KR102093427B1 - 출입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27B1
KR102093427B1 KR1020190084315A KR20190084315A KR102093427B1 KR 102093427 B1 KR102093427 B1 KR 102093427B1 KR 1020190084315 A KR1020190084315 A KR 1020190084315A KR 20190084315 A KR20190084315 A KR 20190084315A KR 102093427 B1 KR102093427 B1 KR 10209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unit
management device
data process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427B9 (ko
Inventor
서수옥
Original Assignee
서수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옥 filed Critical 서수옥
Priority to KR102019008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27B1/ko
Publication of KR10209342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2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에 출입하는 인원을 감지하고 상기 시설 내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메인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관리 장치는 상기 시설의 출입구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시설의 출입 인원을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출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관리시스템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본 발명은 출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시설에 출입하는 인원을 감지하고 시설 내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출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출입관리시스템은 출입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시설 관리, 건물 관리, 주차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지하 피트(pit)나 탱크 클리닝 등과 같은 위험한 작업장에서는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지하 콘베어 설비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장에서는 작업장 내에 작업자의 잔류 여부 확인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산업 현장 또는 작업장에서의 위험성을 인지하여 출입 인원뿐 아니라 시설 내부의 상황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출입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시설 내에 출입하는 인원을 감지하고 시설 내 인원수를 카운트하여 시설 내 인원의 유무, 시설 내 남아있는 인원수 등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 내 출입 인원을 감지하여, 시설 내 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전등, 경광등, 비상경보기 등을 제어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 내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모니터링 하여 시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의 이상상황을 감지하고 구조신호를 발송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에 출입하는 인원을 감지하고 상기 시설 내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메인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관리 장치는 상기 시설의 출입구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시설의 출입 인원을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관리 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시설 내에 위치되어 상기 시설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휴대용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 관리 장치는 상기 시설 내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메인 관리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시설 내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구조신호를 발송하는 구조신호 발송 모듈을 포함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시설의 상기 출입구의 일 지점에 위치되어,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입출구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사람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에 남아있는 인원수를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시설에 설치된 전등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 상기 시설에 설치된 경광등을 제어하는 경광등 제어부 및 상기 시설에 설치된 비상경보기를 제어하는 비상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사람의 체온 분포를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인 출입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추출한 사람이 설정 시간이 지나도록 움직임이 없는 경우를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출입하는 인원을 감지하고 시설 내 인원수를 카운트하여 시설 내 인원의 유무, 시설 내 남아있는 인원수 등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시설 내 출입 인원을 감지하여, 시설 내 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전등, 경광등, 비상경보기 등을 제어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시설 내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모니터링 하여 시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의 이상상황을 감지하고 구조신호를 발송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센서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10)은 메인 관리 장치(100) 및 휴대용 관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메인 관리 장치(100)는 시설에 설치되어 시설에 출입하는 인원을 감지하고, 시설 내 인원수를 카운트한다.
휴대용 관리 장치(200)는 메인 관리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있으며, 시설 내에 위치되어, 시설에서 작업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한다.
도 2는 도 1의 메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관리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출입구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한다. 센서부(110)는 제1센서(111) 및 제2센서(112)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센서(111) 및 제2센서(112)는 포토 센서, 근접 센서 등으로 제공되어, 물체가 인접하게 위치하면 이를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제2센서(111, 112)는 시설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제2센서(111, 112)는 출입구의 입, 출구 방향으로 서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제2센서(111, 112)가 사람을 감지하면 센서부(110)는 그 신호를 통신방법을 통해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시설의 출입 인원을 체크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람의 출입여부와 시설 내 인원수를 통해 시설 내 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조명, 경광등, 비상경보기 등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출입관리시스템(10)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제어부(120)로부터 시설에 입장한 인원수, 시설에서 퇴장한 인원수, 현재 시설 내 인원수, 휴대용 관리 장치(200)에서 모니터링한 데이터 등을 관리자가 확인 가능하게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시스템의 동작 상태, 시설 내 인원의 유무, 시설 내 남아있는 인원수 등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센서부(110) 및 제어부(120)를 연결하여,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제어부(120)로 송신되게 한다. 또한, 통신부(140)는 제어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를 연결하여, 제어부(120)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어부(120)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 통신부(140)는 제어부(120)의 구성 요소들 사이가 상호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이더넷 통신 등과 같은 유선통신방법 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3G, 4G, 5G, RF, 지그비,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법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데이터 처리부(121), 조명 제어부(122), 경광등 제어부(123), 비상경보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센서부(110)에서 전송된 신호를 토대로 사람의 출입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출입여부의 판단한 결과로 시설 내 인원을 카운트하여 시설 내 남아있는 인원수를 계산한다. 이렇게 판단한 결과와 계산된 결과는 통신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30)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제어부(120)의 구성 요소들에서 상호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이를 통해 시설 내 출입 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조명 제어부(122)는 시설 내 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전등(미도시)을 제어하여 온/오프 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1)에서 최초의 입장이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이하, 입장 개시 데이터)를 조명 제어부(122)로 송신하고, 입장 개시 데이터가 수신되면 조명 제어부(122)는 전등을 켤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1)에서 최후의 퇴장이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이하, 최후 퇴장 데이터)를 조명 제어부(122)로 전송하고, 최후 퇴장 데이터가 수신되면 조명 제어부(122)는 전등을 끌 수 있다.
경광등 제어부(123)는 시설 내 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경광등(미도시)을 제어하여 온/오프 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1)에서 시설 내 남아있는 인원수가 설정 인원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이하, 주의 상황 데이터)를 경광등 제어부(123)로 송신하고, 주의 상황 데이터가 수신되면 경광등 제어부(123)는 경광등을 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21)는 시설 내로 복수의 인원이 입장한 후, 퇴장한 사람이 발생하여 시설 내 잔류 인원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시설 내 설정 인원이 잔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의 상황 데이터를 경광등 제어부(123)로 송신하고, 경광등 제어부(123)는 경광등을 켤 수 있다. 일 예로, 시설 내 잔류 인원이 감소하여 1명이 되면, 경광등 제어부(123)는 경광등을 켤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1)에서 최후의 퇴장이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경광등 제어부(123)로 전송하고, 경광등 제어부(123)가 경광등을 끌 수 있다.
비상경보 제어부(124)는 시설 내 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비상경보기(미도시)를 제어하여 온/오프 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주의 상황 데이터를 송신한 후 설정 시간이 지나면, 해당 데이터(이하, 경보 상황 데이터)를 비상경보 제어부(124)로 송신하고, 경보 상황 데이터가 수신되면 비상경보 제어부(124)는 비상경보기를 울릴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관리 장치(200)는 카메라(210), 통신모듈(220), 구조신호 발송 모듈(230)을 포함한다.
카메라(210)는 시설 내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시설에 입장하는 작업자는 휴대용 관리 장치(200)를 휴대하고 시설에 들어가 작업 등 업무에 앞서 시설 일측에 두고, 카메라(210) 스위치를 ON시켜 촬영한다. 이렇게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메인 관리 장치(100)로 송신된다. 메인 관리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부(121)는 수신된 영상에서 배경을 제외한 움직임을 통해 사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1)는 영상에서 시설의 지면을 추출할 수 있다.
통신모듈(220)은 메인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40)와 통신방법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관리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메인 관리 장치(100)에 연결되거나,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직접 메인 관리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관리 장치(200)는 통신모듈(220)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 및 수신이 가능하고, 이를 열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동작 상태, 시설 내 인원의 유무, 시설 내 남아있는 인원수 등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관리 장치(200)는 통신모듈(220)을 통해 시설 내에서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메인 관리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121)는 영상에서 추출한 데이터의 변화량을 통해 시설 내 이상상황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영상에서 추출한 사람이 설정 시간이 지나도록 움직임이 없는 경우, 시설 내에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영상에서 추출한 사람이 1m 이상의 움직임이 검출된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10분 이상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데이터 처리부(121)는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시간은 10분 또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1)는 영상에서 추출한 사람의 머리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설정 높이 이하가 되면, 시설 내에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사람이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된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에서 추출한 사람의 머리 부분의 높이가 검출된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람의 머리 부분의 높이가 50cm 이하가 되면, 데이터 처리부(121)는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높이는 50cm 또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210)는 적외선 카메라로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사람의 체온 분포를 촬영할 수 있다. 메인 관리 장치(100)는 휴대용 관리 장치(200)가 ON되어 동작 개시되는 시점의 영상을 통해 사람의 최초 체온 분포를 저장한다. 이후, 수신되는 영상의 체온 분포의 변화가 최초 체온 분포에서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데이터 처리부(121)는 시설 내에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후수신 영상의 체온 분포와 저장된 최초 체온 분포의 차이가 4℃ 이상이면, 데이터 처리부(121)는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140)를 통해 119 등과 같은 안전시설에 구조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1)는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관리 장치(200)로 해당 결과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구조신호 발송 모듈(230)이 119 등과 같은 안전시설에 구조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구조신호 발송 모듈(230)에 의해 발신되는 안전시설로 발송되는 구조신호는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를 포함하여, 구조신호 발송 모듈(230)이 송신하는 구조신호에 의해 구조를 요하는 사람의 위치가 정확히 특정될 수 있다. 또한, 구조신호 발송 모듈(230)은 스피커를 포함하도록 제공되어, 스피커를 통해 비상 상황을 알리는 소리가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센서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센서부(110)가 출입 인원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제2센서(111, 112)가 시설에 입장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다면, 사람이 시설 내로 입장하는 경우, 제1센서(111), 제2센서(112) 순서로 감지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121)는 제1센서(111), 제2센서(112) 순서로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사람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람이 시설에서 퇴장하는 경우, 제2센서(112), 제1센서(111) 순서로 감지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121)는 제2센서(112), 제1센서(111) 순서로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사람이 퇴장한 것으로 판단한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사람의 출입여부를 입장으로 판단하면, 카운트 값을 1만큼 증가시켜 시설 내 인원을 카운트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1)는 사람의 출입여부를 퇴장으로 판단하면, 카운트 값을 1만큼 감소시켜 시설 내 인원을 카운트한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이렇게 카운트되는 수를 통해 현재 시설 내 인원수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출입관리시스템(10)은 메인 관리 장치(100) 및 휴대용 관리 장치(200)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로 출입관리시스템(10)은 휴대용 관리 장치(200)가 생략된 상태로 메인 관리 장치(100)만을 포함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 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출입관리시스템 100 : 메인 관리 장치
110 : 센서부 111 : 제1센서
112 : 제2센서 120 : 제어부
121 : 데이터 처리부 122 : 조명 제어부
123 : 경광등 제어부 124 : 비상경보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통신부
200 : 휴대용 관리 장치 210 : 카메라
220 : 통신모듈 230 : 구조신호 발송 모듈

Claims (5)

  1. 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에 출입하는 인원을 감지하고 상기 시설 내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메인 관리 장치; 및
    상기 메인 관리 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 가능하게 제공되어 작업에 앞서 상기 시설의 일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어, 상기 시설 내에 위치되어 상기 시설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휴대용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관리 장치는
    상기 시설의 출입구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시설의 출입 인원을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관리 장치는
    상기 시설 내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메인 관리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시설 내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구조신호를 발송하는 구조신호 발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시설의 상기 출입구의 일 지점에 위치되어,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입출구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토대로 사람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에 남아있는 인원수를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최초의 입장이 판단되면 켜지고, 최후의 퇴장이 판단되면 꺼지도록, 상기 시설에 설치된 전등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
    상기 시설 내에 설정 인원이 잔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주의 상황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시설에 설치된 경광등이 켜지도록 제어하는 경광등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주의 상황 데이터를 송신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경보 상황 데이터가 수신되면 동작되도록 상기 시설에 설치된 비상경보기를 제어하는 비상경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에서 사람의 머리 부분 및 상기 시설의 지면을 추출한 후, 사람의 머리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설정 높이 이하가 되면 상기 시설 내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구조신호를 발송하고, 또한, 상기 휴대용 관리 장치로 상기 이상상황이 발생된 결과를 송신하여 상기 구조신호 발송 모듈이 GPS정보인 위치정보를 포함한 구조신호를 발송하고 비상 상황을 알리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84315A 2019-07-12 2019-07-12 출입관리시스템 KR10209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315A KR102093427B1 (ko) 2019-07-12 2019-07-12 출입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315A KR102093427B1 (ko) 2019-07-12 2019-07-12 출입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427B1 true KR102093427B1 (ko) 2020-03-25
KR102093427B9 KR102093427B9 (ko) 2023-07-13

Family

ID=7000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315A KR102093427B1 (ko) 2019-07-12 2019-07-12 출입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649B1 (ko) * 2021-09-17 2022-10-28 청년협동조합 청양사람 공유 시설의 무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597U (ko) * 2009-09-08 2011-03-16 윤현자 조명등 구동장치
KR20170024264A (ko) * 2015-08-25 2017-03-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혹은 초음파 계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건물 내 환경 자동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6110A (ko) * 2015-12-04 2017-06-14 성기배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597U (ko) * 2009-09-08 2011-03-16 윤현자 조명등 구동장치
KR20170024264A (ko) * 2015-08-25 2017-03-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혹은 초음파 계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건물 내 환경 자동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6110A (ko) * 2015-12-04 2017-06-14 성기배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649B1 (ko) * 2021-09-17 2022-10-28 청년협동조합 청양사람 공유 시설의 무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427B9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936055B1 (ko) 터널안전을 위한 유,무선 스마트 통합 감지시스템
US10155642B2 (en) Intelligent escalator emergency stop system (IE2S2)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20070029760A (ko) 감시 장치
KR101250774B1 (ko)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JP2008146301A (ja) 保護具着用検知システム及びid−tag付き保護具
KR102100411B1 (ko) 비상호출버튼과 화재감지센서와 주차표시등을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WO2017172123A1 (en) Sensing technologies in alarm devices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KR20160086506A (ko) 다리 난간의 추락 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락 탐지 방법
KR102093427B1 (ko) 출입관리시스템
KR101797218B1 (ko) 원격 방범용 멀티제어장치
JP4940160B2 (ja) 移動ロボット
JP6624522B2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102199969B1 (ko) 메쉬 블루투스 통신망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재난 알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612867B1 (ko) 돌발상황발생 차량정보 인식을 통한 돌발상황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182823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피난 유도 장치
EP3621048A1 (en) Risk-detection system for a passenger moving installation
WO2009017628A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WO2000068908A1 (en) Surveillance system
JP6599261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101703497B1 (ko) 출입관리시스템
JP2008250745A (ja) 警備システム
JP6574694B2 (ja) 警備装置および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