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360B1 -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360B1
KR102092360B1 KR1020180162164A KR20180162164A KR102092360B1 KR 102092360 B1 KR102092360 B1 KR 102092360B1 KR 1020180162164 A KR1020180162164 A KR 1020180162164A KR 20180162164 A KR20180162164 A KR 20180162164A KR 102092360 B1 KR102092360 B1 KR 10209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solid
lid
low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구
김경민
라진욱
위기현
송민호
최형준
전현수
김현승
조현익
김기성
박한준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2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하나의 용기가 분할되어 위쪽 별도 용기에 고체 식품을 넣고 아래쪽 용기에는 액체가 들어가는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는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하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Separable type container for liquid and solid}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가 분할되어 위쪽 별도 용기에 고체 식품을 넣고 아래쪽 용기에는 액체가 들어가는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와 고체를 나누어 저장하는 용기는 있었으나, 위 아래 부분 모두 돌려서 여는 형태는 아니었으며 또한 고체를 담는 용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있어 내용물을 많이 넣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체 내용물을 넣는 윗부분의 용기를 크게 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으며 윗부분의 용기도 돌려서 여는 형태로 제작하여 쉽게 어디서든 열리는 일을 방지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기술에 의한 용기 또한 액체와 고체를 나누어 저장하나 액체 내용물과 고체 내용물을 따로 개봉하는 형태가 아니다. 또 종래기술에 의한 용기는 고체 내용물을 담는 용기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부피의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73279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폐쇄된 용기에 담을 수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력 등에 의해 쉽게 열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하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는 하측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의 뚜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와 뚜껑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용기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용기의 뚜껑은 상면이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용기의 본체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용기의 뚜껑 상면에 억지끼움 또는 접척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의 직경은 상기 하부용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하부용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하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는 하측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의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용기의 본체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부용기의 뚜껑에는 측면을 따라 환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환형의 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형의 홈에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하면 상기 상부용기가 하부용기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액체와 고체를 나누어 저장하여 사용하는 용기의 수용 한계량을 늘릴 수 있으며, 성질이 다른 액체와 고체를 용기를 개방하게 되면 모두 섭취 또는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서로 다르게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개봉 후 시간이 지나도 일정량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의 반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의 반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의 반단면도로서, 도 6은 연결부가 해제된 상태를, 도 7은 연결부가 구속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의 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 6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1)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부용기(1), 하부용기(20), 그리고 연결부(12b)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용기(1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0)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0)는 평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정면과 측면은 타원형 형태 또는 돔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0)는 하부측의 본체(12)와, 상부측의 뚜껑(1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12)와 뚜껑(11)이 거의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용기(10)의 본체(12)와 뚜껑(11)은 나사(11a, 12a) 결합에 의해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가 뚜껑(11)을 열고 내용물을 꺼낸 다음 다시 나사 체결하여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용기(2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상부용기(10)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용기(20)는 상부의 주둥이의 직경이 감소된 병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하부용기(20)에는 주둥이가 작아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액체 내용물이 담길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용기(20)도 상부용기(10)와 마찬가지로, 본체(22)와 뚜껑(21)으로 이루어지고, 본체(22)와 뚜껑(22)은 나사(21a, 22a) 결합에 의해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뚜껑(21)을 개방한 다음 내용을 섭취 또는 꺼내고 다시 닫을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부(12b)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12b)는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용기(20)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용기(20)의 뚜껑(21)은 상면이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용기(10)의 본체(12)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부(12b)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용기(20)의 뚜껑(21) 상면에 억지끼움 또는 접척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연결부(12b)를 상기 하부용기(20)에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체결방식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0)의 직경은 상기 하부용기(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b)의 직경은 상기 하부용기(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1)는, 다양한 음료 용기, 음식물 용기 등에 적용이 가능한 바, 예를 들면, 홍시와 감 껍질을 활용한 숙취 해소 음료에서는 고체 내용물을 넣는 곳인 상부용기(10)에 감 껍질 추출물을 포함한 환을 넣을 수 있고, 액체 내용물을 넣는 곳인 하부용기(20)에는 홍시 주스를 넣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용기(10)의 뚜껑(11)을 열어 환을 입 안에 머금고, 하부용기(20)의 뚜껑(21)을 돌려 액체와 같이 섭취하게끔 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병 형태의 하부용기(20) 상부에 돔형태의 상부용기(10)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부용기(10) 또는 하부용기(20)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꺼낸 다음, 다시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용기(10) 또는 하부용기(20)에는 액체 또는 고체 내용물이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부용기(10)가 본체(12)와 뚜껑(11), 그리고 하부용기(20)도 본체(22)와 뚜껑(21)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용기(10)의 본체(12) 하단부의 연결부(12b)가 상기 하부용기(20)의 뚜껑(21)에 연결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부용기(10)를 개방하거나 하부용기(20)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액체, 고정 분리형 용기(100)는,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상부용기(110)와, 상기 상부용기(110)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하부용기(120)와, 상기 상부용기(110)와 하부용기(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12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10) 및 하부용기(120)는 하측의 본체(112, 122)와 상기 본체(112, 12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의 뚜껑(111, 1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112b)는 상기 상부용기(110)의 본체(112)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부용기(120)의 뚜껑(121)에는 측면을 따라 환형의 홈(121b)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12b)의 내측면에는 상기 환형의 홈(121b)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12c)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환형의 홈(121b)에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홈(121c)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121c)에 상기 돌출부(112c)가 위치하면 상기 상부용기(110)가 하부용기(12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112b)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용기(110) 하단부에 고정되되, 내주연을 따라 120도 마다 돌출부(112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12c)는 상기 하부용기(120)의 뚜껑(121) 외면에 형성된 상기 환형의 홈(121b)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용기(110)는 하부용기(120)에 대하여 저항없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환형의 홈(121b)을 따라 돌출부(112c)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자유회전이 가능하나, 환형의 홈(121b)에서 연장된 상기 수직홈(121c)으로 돌출부(112c)가 상승한 경우, 즉 사용자가 상부용기(110)를 잡아 올린 경우에는 자유 회전이 불가능해 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용기(110)와 하부용기(120)를 회전시키면 하부용기(120)의 뚜껑(121)이 본체(122)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간 부분을 잡고 하부용기(120)를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돌출부(112c)와 환형의 홈(121b), 그리고 수직홈(121c)의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측 도면의 경우에는 돌출부(112c)가 환형의 홈(121b)에 삽입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하측 도면의 경우에는 돌출부(112c)가 환형의 홈(121b)에서 수직홈(121c)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홈(121c)으로 상승한 경우로서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100: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10, 110: 상부용기 11, 21: 뚜껑
12, 22: 본체 20, 120: 하부용기
12b, 112b: 연결부

Claims (8)

  1.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 또는 고체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하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는 하측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의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용기의 본체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부용기의 뚜껑에는 측면을 따라 환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환형의 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환형의 홈에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용기가 상기 하부용기에 대하여 상승하면 상기 상부용기가 하부용기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회전시키면 하부용기의 뚜껑이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방되는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뚜껑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 및 분리되는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용기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의 직경은 상기 하부용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하부용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7. 삭제
  8. 삭제
KR1020180162164A 2018-12-14 2018-12-14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KR10209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164A KR102092360B1 (ko) 2018-12-14 2018-12-14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164A KR102092360B1 (ko) 2018-12-14 2018-12-14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360B1 true KR102092360B1 (ko) 2020-03-23

Family

ID=6999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164A KR102092360B1 (ko) 2018-12-14 2018-12-14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732A1 (ko) * 2020-05-15 2021-11-18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928U (ko) * 1994-02-25 1995-09-15 홍동희 다중체결형 음료용기
JP3109996U (ja) * 2005-01-25 2005-06-09 株式会社大川商店 薬入れ容器
KR100677922B1 (ko) * 2005-11-01 2007-02-05 노희권 용기마개
KR101732797B1 (ko) 2015-07-14 2017-05-08 정성욱 음료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928U (ko) * 1994-02-25 1995-09-15 홍동희 다중체결형 음료용기
JP3109996U (ja) * 2005-01-25 2005-06-09 株式会社大川商店 薬入れ容器
KR100677922B1 (ko) * 2005-11-01 2007-02-05 노희권 용기마개
KR101732797B1 (ko) 2015-07-14 2017-05-08 정성욱 음료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732A1 (ko) * 2020-05-15 2021-11-18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024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8672164B2 (en) Drinking vessel with atmospheric assist valve
US69942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5244113A (en) Container lid assembly
US7530478B2 (en) Closure with one or more lids
US20060049127A1 (en) Container
US5765725A (en) Dual compartment squeezable dispensing container and cap
US10532866B2 (en) Container cap assembly
GB2523797A (en) Container assembly
US20210032005A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mixing food items
KR920008337B1 (ko) 압력 개방식 뚜껑을 갖는 용기
WO2014142445A1 (ko) 2액형 음료용기
JP2017520489A (ja) 万能ボトルキャップ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190002150A (ko) 음료용기의 뚜껑
AU2006237711B2 (en) Closure arrangement
JP3226268U (ja) ボトル
US10349768B1 (en) Multi-container vessel
KR20190091840A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JP2007253948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JP5785060B2 (ja) 混合容器
JP2017013840A (ja) 球状物用容器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