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749B1 -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749B1
KR102088749B1 KR1020190048482A KR20190048482A KR102088749B1 KR 102088749 B1 KR102088749 B1 KR 102088749B1 KR 1020190048482 A KR1020190048482 A KR 1020190048482A KR 20190048482 A KR20190048482 A KR 20190048482A KR 102088749 B1 KR102088749 B1 KR 10208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smps
modu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젬
Priority to KR102019004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8Plural converter units for generating at two or more independent and non-parallel outputs, e.g. systems with plural point of load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2001/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전원공급장치에 복수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모듈을 구비하고, 하나의 SMPS모듈이 오류 내지 고장 등의 이유로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의 경로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공급 도모하면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AC 입력단과 DC 출력단이 각각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모듈을 갖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SMPS모듈의 AC 입력단 또는 DC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Long-life power supply with power multiplexing function}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 등에 DC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전원공급장치에 복수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모듈을 구비하고, 하나의 SMPS모듈이 오류 내지 고장 등의 이유로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의 경로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공급 도모하면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건축 및 산업 설비의 고집적화 및 자동화 추세에 따라 정보, 통신, 신호 및 영상 시스템 등에 고전압에 취약한 컴퓨터,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정보 통신 기기의 설치가 빠르게 증가되고 있어 공급 전력의 품질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현대 사회 시스템은 고도 정보화, 도시 기능화, 전기 에너지의 이용이 하이테크화 등에 의해 전기의 안정적 공급과 정보 통신망의 질적 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일 예로 실내, 외에 설치되는 LED 조명등, 각종 디스플레이 기기, PC 등의 전기 또는 전자 제품은 동작에 필요한 입력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전원장치로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이하 "SMPS"라고 한다.)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MPS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 소자를 고속 스위치로 사용하여 직류 입력전압을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필터를 통하여 정류된 직류 전압을 얻는 장치이다. 직류출력의 제어는 스위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이루어지며,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 다양한 권선비를 갖는 트랜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트랜스의 출력전압이 과전압인 경우, 출력전압을 궤환(feed back)시켜 트랜스의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등 전원공급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명용으로 제공되는 SMPS는 조명의 특성 상 장시간 작동이 불가피함으로 열화에 쉽게 노출되고 반복적인 ON/OFF 사용에 의해 다른 전자기기용 SMPS에 비하여 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조명용 SMPS의 교체 및 수리 주기 역시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8510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전원공급장치에 복수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모듈을 구비하고, 하나의 SMPS모듈이 오류 내지 고장 등의 이유로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의 경로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공급 도모하면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이하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라 칭함)은, AC 입력단과 DC 출력단이 각각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모듈을 갖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SMPS모듈의 AC 입력단 또는 DC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원공급부는,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DC 전원을 출력하되, DC 전원의 +전원 또는 -전원 중 선택된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원이 각각 출력되는 제 1 DC 출력단과 제 2 DC 출력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DC 출력단과 제 2DC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원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전원 또는 -전원이 광원의 제 1입력전원으로 공급되며, 상기 스위칭모듈은, 상기 제 1 DC 출력단 또는 제 2 DC 출력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DC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원 또는 -전원이 상기 광원의 제 2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원공급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각각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출력되고, 출력된 +전원 또는 -전원 중 선택된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원이 광원의 제 1입력전원으로 공급되며, 상기 스위칭모듈은, 한 쌍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1입력전원에 반대 극성을 갖는 +전원 또는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한 쌍의 전원공급부 중 선택된 하나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또는 -전원이 광원의 제 2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원공급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단상의 L상(Live Line) 전원과 중성선의 N상(neutral Line) 전원으로 구분되는 AC전원이 입력되며, 각각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각각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출력되고, 상기 스위칭모듈은, 상기 AC 입력단의 전단에서 단상의 L상(Live Line) 전원 또는 중성선의 N상(neutral Line) 전원 중 선택된 하나가 입력되고, 입력된 L상 전원 또는 N상 전원이 상기 한 쌍의 전원공급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원공급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SMPS 모듈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각각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출력되고, 출력된 +전원 또는 -전원 중 선택된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원이 광원의 제 1입력전원으로 공급되며, 상기 스위칭모듈은, 한 쌍의 SMPS 모듈로부터 상기 제 1입력전원에 반대 극성을 갖는 +전원 또는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한 쌍의 SMPS 모듈 중 선택된 하나의 SMPS 모듈로부터 입력된 +전원 또는 -전원이 광원의 제 2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SMPS 모듈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단상의 L상(Live Line) 전원과 중성선의 N상(neutral Line) 전원으로 구분되는 AC전원이 입력되며, 각각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각각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출력되고, 상기 스위칭모듈은, 상기 AC 입력단의 전단에서 단상의 L상(Live Line) 전원 또는 중성선의 N상(neutral Line) 전원 중 선택된 하나가 입력되고, 입력된 L상 전원 또는 N상 전원이 상기 한 쌍의 SMPS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SMPS 모듈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하나의 전원공급장치에 복수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모듈을 구비하고, 하나의 SMPS모듈이 오류 내지 고장 등의 이유로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의 경로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공급 도모하면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AC 입력단과 DC 출력단이 각각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모듈을 갖는전원공급부 및 상기 SMPS모듈의 AC 입력단 또는 DC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스위칭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AC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교류(AC)전원을 광원에 전압특성에 적합한 직류(DC)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이를 상기 광원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은 복수의 LED 소자로 구성되는 조명용 LED 모듈일 수 있다.
상기 AC 입력단은 AC전원을 입력받고 이를 상기 SMPS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라이브(Live)입력단 및 뉴트럴(Neutral) 입력단(AC-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노이즈 등의 방지 목적을 갖기 위해 구성되는 접지단(F.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C 출력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SMPS 모듈을 통해 변환되는 DC전원을 출력하하기 위한 +출력단 및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MPS모듈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필터 모듈, 정류 모듈, 평활 회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잇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의 전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정류 모듈은 상기 상기 필터 모듈에서 필터링된 AC전원의 전력 신호를 정류하여 정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전원의 전력 신호에서 (-)신호를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활 회로 모듈은 변환된 정류 신호를 평활하여 DC전원의 전력 신호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C전원의 전력 신호는 부하(load)로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적 회로로 일체화된 것이거나 별도의 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하나의 전원공급부에는 복수의 SMPS모듈이 구성되거나, 하나의 SMPS모듈이 하나의 전원공급부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공급부가 복수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위칭모듈은 각 전원공급부 또는 각 SMPS모듈에 입력되는 AC전원을 선택하거나, 각 전원공급부 또는 각 SMPS모듈에서 출력되는 DC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광원으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전원공급부(10)의 구비되는 DC 출력단(13, 14)의 출력 전원을 제어하여 광원(30)에 대한 전원 다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원공급부(10)는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DC 전원을 출력하되, DC 전원의 +전원 또는 -전원 중 선택된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원이 각각 출력되는 제 1 DC 출력단(13)과 제 2 DC 출력단(1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DC 전원을 출력하되, 상기 제 1 DC 출력단(13)과 제 2 DC 출력단(14)에서 출력되는 전원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전원 또는 -전원이 광원(30)의 제 1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모듈(100)은 상기 제 1 DC 출력단(13) 또는 제 2 DC 출력단(14)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DC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원 또는 -전원이 상기 광원(30)의 제 2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모듈(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 1 DC 출력단(13) 또는 제 2 DC 출력단(14)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 1 DC 출력단(13) 및 제 2 DC 출력단(14)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칭모듈(100)은 제 1 DC 출력단(13) 또는 제 2 DC 출력단(14) 중 어느 하나의 DC 출력단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DC 출력단의 전원 공급 경로를 차단하면서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하나의 DC 출력단을 통해 DC 전원의 +전원 또는 -전원이 상기 광원(3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한 쌍의 전원공급부(10, 20)가 구비되고, 이들 한 쌍의 전원공급부(10, 20)의 출력 전원을 제어하여 광원(30)에 대한 전원 다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전원공급부(10, 20)는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에서는 각각 SMPS모듈(11, 21)이 구비되어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는 각각 출력된 DC전원의 +전원 또는 -전원 중 선택된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원이 광원(30)의 제 1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모듈(100)은 상기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1입력전원에 반대 극성을 갖는 +전원 또는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제 1전원공급부(10) 또는 제 2전원공급부(20) 중 선택된 하나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또는 -전원이 상기 광원(30)의 제 2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스위칭모듈(100)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칭모듈(100)은 제 1전원공급부(10) 또는 제 2전원공급부(20) 중 어느 하나 전원공급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 경로를 차단하면서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하나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DC 전원의 +전원 또는 -전원이 상기 광원(3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한 쌍의 전원공급부(10, 20)가 구비되고, 이들 한 쌍의 전원공급부(10, 20)의 입력 전원을 제어하여 광원(30)에 대한 전원 다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전원공급부(10, 20)는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에서는 각각 SMPS모듈(11, 21)이 구비되어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각각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되는 AC 전원은 단상의 L상(Live Line) 전원과 중성선의 N상(neutral Line) 전원으로 구분되는 AC전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모듈(100)은 각 전원공급부(10, 20)의 AC 입력단의 전단에서 단상의 L상(Live Line) 전원 또는 중성선의 N상(neutral Line) 전원 중 선택된 하나가 입력되고, 입력된 L상 전원 또는 N상 전원이 상기 제 1전원공급부(10) 또는 제 2전원공급부(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원공급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스위칭모듈(100)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 1전원공급부(10)와 제 2전원공급부(20)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칭모듈(100)은 제 1전원공급부(10) 또는 제 2전원공급부(20) 중 어느 하나 전원공급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전원공급부의 입력 전원 경로를 차단하면서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하나의 전원공급부에 입력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정상 상태의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DC 전원이 상기 광원(3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전원공급부(10, 20)은 상기 광원(30)과 연결되는 동일 DC 출력라인을 상호 공유하게 되므로, 정상 상태로 광원(30)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에 광원(30) 등으로부터 이상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DC 출력라인에는 다이오드 소자(20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하나의 전원공급부 내부에 SMPS 모듈이 두 개가 구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하나의 전원공급부(10)에 한 쌍의 SMPS모듈(11, 12)이 구비되고, 이들 한 쌍의 SMPS모듈(11, 12)의 출력 전원을 제어하여 광원(30)에 대한 전원 다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SMPS모듈(11, 12)은 제 1 SMPS모듈(11)과 제 2 SMPS모듈(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SMPS모듈(11)과 제 2 SMPS모듈(12)에서 각각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SMPS모듈(11)과 제 2 SMPS모듈(12)은 각각 출력된 DC전원의 +전원 또는 -전원 중 선택된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원이 광원(30)의 제 1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모듈(100)은 상기 제 1 SMPS모듈(11)과 제 2 SMPS모듈(12)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1입력전원에 반대 극성을 갖는 +전원 또는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제 1 SMPS모듈(11) 또는 제 2 SMPS모듈(12) 중 선택된 하나의 SMPS모듈로부터 입력된 +전원 또는 -전원이 상기 광원(30)의 제 2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스위칭모듈(100)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 1 SMPS모듈(11)과 제 2 SMPS모듈(12)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 1 SMPS모듈(11)과 제 2 SMPS모듈(12)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칭모듈(100)은 제 1 SMPS모듈(11) 또는 제 2 SMPS모듈(12) 중 어느 하나 SMPS모듈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SMPS모듈의 전원 공급 경로를 차단하면서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하나의 SMPS모듈을 통해 DC 전원의 +전원 또는 -전원이 상기 광원(3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하나의 전원공급부(10)에 한 쌍의 SMPS모듈(11, 12)이 구비되고, 이들 한 쌍의 SMPS모듈(11, 12)의 입력 전원을 제어하여 광원(30)에 대한 전원 다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SMPS모듈(11, 12)은 제 1 SMPS모듈(11)와 제 2 SMPS모듈(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SMPS모듈(11)과 제 2 SMPS모듈(12)에서는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각각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되는 AC 전원은 단상의 L상(Live Line) 전원과 중성선의 N상(neutral Line) 전원으로 구분되는 AC전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모듈(100)은 각 SMPS모듈(11, 12)의 AC 입력단의 전단에서 단상의 L상(Live Line) 전원 또는 중성선의 N상(neutral Line) 전원 중 선택된 하나가 입력되고, 입력된 L상 전원 또는 N상 전원이 상기 제 1 SMPS모듈(11) 또는 제 2 SMPS모듈(1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SMPS모듈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스위칭모듈(100)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 1 SMPS모듈(11)와 제 2 SMPS모듈(12)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 1 SMPS모듈(11)와 제 2 SMPS모듈(12)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칭모듈(100)은 제 1 SMPS모듈(11) 또는 제 2 SMPS모듈(12) 중 어느 하나 SMPS모듈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SMPS모듈의 입력 전원 경로를 차단하면서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하나의 SMPS모듈에 입력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정상 상태의 SMPS모듈에서 출력되는 DC 전원이 상기 광원(3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SMPS모듈(11, 12)은 상기 광원(30)과 연결되는 동일 DC 출력라인을 상호 공유하게 되므로, 정상 상태로 광원(30)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SMPS모듈에 광원(30) 등으로부터 이상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DC 출력라인에는 다이오드 소자(20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20 : 전원공급부 11, 12 : SMPS모듈
13, 14 : DC 출력단 30 : 광원
100 : 스위칭모듈 200 : 다이오드 소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AC 입력단과 DC 출력단이 각각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모듈을 갖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SMPS모듈의 AC 입력단 또는 DC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입력된 AC전원으로부터 각각 +전원과 -전원으로 구분되는 DC전원이 출력되고, 출력된 +전원 또는 -전원 중 선택된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원이 광원의 제 1입력전원으로 공급되며,
    상기 스위칭모듈은,
    한 쌍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1입력전원에 반대 극성을 갖는 +전원 또는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한 쌍의 전원공급부 중 선택된 하나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또는 -전원이 광원의 제 2입력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48482A 2019-04-25 2019-04-25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KR10208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82A KR102088749B1 (ko) 2019-04-25 2019-04-25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82A KR102088749B1 (ko) 2019-04-25 2019-04-25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749B1 true KR102088749B1 (ko) 2020-03-16

Family

ID=6994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482A KR102088749B1 (ko) 2019-04-25 2019-04-25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7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354B1 (ko) * 2020-09-03 2022-02-18 주식회사 피에스앤아이덴산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KR102464632B1 (ko) * 2021-11-29 2022-11-10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모듈형 구조의 이중화 전원 공급 장치
EP4216418A1 (en) * 2022-01-21 2023-07-26 Sergei Ivanovich Antonov Repeater of alternating and direct voltage sig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104B1 (ko) 2005-07-21 2007-02-22 주식회사 케이이씨 정전류 출력 특성을 갖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KR20080104102A (ko) * 2007-10-31 2008-12-01 주식회사 케이티 선택스위치 장치,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스위칭 방법
KR101164631B1 (ko) * 2012-04-05 2012-07-11 엠넥스텍 주식회사 Led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130965A (ko) * 2016-05-20 2017-11-29 주식회사 유니룩스 다수의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조도조절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104B1 (ko) 2005-07-21 2007-02-22 주식회사 케이이씨 정전류 출력 특성을 갖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KR20080104102A (ko) * 2007-10-31 2008-12-01 주식회사 케이티 선택스위치 장치,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스위칭 방법
KR101164631B1 (ko) * 2012-04-05 2012-07-11 엠넥스텍 주식회사 Led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130965A (ko) * 2016-05-20 2017-11-29 주식회사 유니룩스 다수의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조도조절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354B1 (ko) * 2020-09-03 2022-02-18 주식회사 피에스앤아이덴산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KR102464632B1 (ko) * 2021-11-29 2022-11-10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모듈형 구조의 이중화 전원 공급 장치
EP4216418A1 (en) * 2022-01-21 2023-07-26 Sergei Ivanovich Antonov Repeater of alternating and direct voltage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749B1 (ko)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US20140346896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energy usage
US9917522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sub-module of MMC converter
US10477631B2 (en) Power circuit applied in LED load
KR19990081390A (ko) 전원 공급 회로
US10104727B2 (en) Silicon-controlled rectifier-compatible constant-voltage circuit, LED dimming circuit, and related LED lighting apparatus
US10424938B2 (en) Power supply system
US10148124B1 (en) Uninterrupted power bank capable of supplying high DC voltage during interruption of main supply and providing AC voltage as normal supply of the main supply
KR101543768B1 (ko) 3입력 태양광 인버터 장치
KR20060081798A (ko) 전자식 자동 절환 스위치
US20160181817A1 (en) Power-source multiplexing system and power-supplied unit
CN112886694B (zh) 一种配电***及服务器***
US20180279442A1 (en) Led drive circuit for controlling a leakage current
US7781911B2 (en) Power supply circuit having power assigning elements between output branches
CN111009958B (zh) 一种供电控制电路
TW201812511A (zh) 嵌入式電腦
KR101563278B1 (ko) 엘이디 조명 제어장치
EP3314766B1 (en) Optocoupler driver circuit
US20150137690A1 (en) Power supply module for energy saving lamp
KR102555854B1 (ko) 직류 전원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210898994U (zh) 一种电机驱动装置及电机运行***
WO2023026357A1 (ja) 無停電電源装置
US20230409095A1 (en) Power Architecture for Server and IT Equipment Rack
US9681092B1 (en) Cable TV amplifier system
US9795011B2 (en) LED lighting system driven at high voltage D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