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745B1 -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745B1
KR102086745B1 KR1020190156541A KR20190156541A KR102086745B1 KR 102086745 B1 KR102086745 B1 KR 102086745B1 KR 1020190156541 A KR1020190156541 A KR 1020190156541A KR 20190156541 A KR20190156541 A KR 20190156541A KR 102086745 B1 KR102086745 B1 KR 102086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door
flow ring
fire
dead end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도
Original Assignee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15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재실자가 피난하는 과정에서 막다른 복도(Dead End)에 도달하게 되면 인명재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막다른 복도 쪽으로 진입하는 것 자체를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Method for preventing entry into dead end corridor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재실자는 일반적으로 거의 패닉(panic) 상태가 되어 현재의 위치로부터 피난복도를 통하여 피난안전구역으로 피난하는 과정에서 막다른 복도(Dead End) 끝까지 갔다가 되돌아오면서 피난허용시간 이내에 피난안전구역으로 피난하지 못하게 되면 인명재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막다른 복도 쪽으로 진입하는 것 자체를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자가 유도등을 보고는 있지만 녹색의 사람이 뛰는 형상이 실제로 화재가 발생된 지점과는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흰색 바탕에 녹색의 사람이 한 쪽 방향으로 뛰는 형상으로만 되어 있으며, 방향 지시방향을 알 수 없는 형태로 되어 있어, 상황 판단이 어려운 긴박한 상황에서 어디로 대피해야 할지 알기 어렵고, 우왕좌왕 하는 사이 다른 대피자들이 뛰는 방향으로 무작정 따라 뛰게 마련이다.
따라서, 선두 대피자의 판단이 정확하면 다행이겠지만, 판단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아무 생각없이 뒤따라 온 다른 모든 대피자들과 함께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테면, 막다른 복도(Dead End)로 진입하여 일어나는 인명사고를 말한다.
미국소방방화 안전협회(NFPA : national fire protect association)의 빌딩 피난 코드(building exit code) 규정 제101조에 의하면 피난로(means of egress)는 단순히 피난통로(exit, 예; 피난계단) 뿐만 아니라 피난통로로 이동하는 피난통로 접근로(exit access)와 피난통로를 빠져나와 건물 외부의 안전한 공공장소 까지 이동하는 경로인 피난통로 탈출구(exit discharge)가 유기적인 조합을 이루어야 신뢰성 있는 피난로가 완성되는 것을 전제로 피난통로 접근로(exit access), 피난통로(exit), 피난통로 탈출구(exit discharge)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피난통로에는 건물 내부에서 수평이동 통로인 복도가 있고, 또한 수직이동 통로인 계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재실자는 보통 복도를 통해 피난계단으로 이동하여 피난층을 통해 건물 외부로 피난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의 예시와 같이, 재실자가 거실(10)에 서 복도(20)로 이동할 때 복도(20)의 좌,우측에 피난계단(30)이 있는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피난계단(30)이 없는 쪽으로 이동한 경우 막다른 복도(Dead End)와 만나게 되면 피난시간이 길어져 인명재해를 입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막다른 복도의 A-A선 부근에 막다른 복도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방화문이 설치되어 진입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런데, 방화문은 평상시 개방되어 있어야 하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만 닫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락킹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락킹장치가 일종의 걸쇠로서 손잡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피자가 방화문을 못 열게 해야 하는데 이 걸쇠를 잡고 열고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되어 피해가 커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여 진입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53604호(2006.11.28.)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재실자가 피난하는 과정에서 막다른 복도(Dead End)에 도달하게 되면 인명재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막다른 복도 쪽으로 진입하는 것 자체를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힌지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거나 혹은 문짝에 자동닫힘댐퍼가 설치되어 록킹이 풀리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막다른 복도의 진입부 양쪽 측벽에 설치되는 진입차단문과; 상기 진입차단문에 설치된 유동고리(60)와; 상기 유동고리(60)와 대응위치의 측벽에 형성되어 유동고리(60)가 끼워지는 록킹홈(70)과; 상기 록킹홈(70)에 설치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출몰되면 상기 유동고리(60)에 끼워져 록킹하거나 혹은 빠져 언록킹하는 록커(80)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고리(60)는 '⊃'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코일스프링(62)이 끼워지고, 코일스프링(62)이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는 플랜지(64)가 고정되며, 코일스프링(62)의 일단은 진입차단문(50)의 내부공간(IN)에 걸림되게 하고, 타단은 상기 플랜지(64)에 걸림되게 하여 유동고리(60)가 항상 인입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진입차단문(50)을 이용하여 건물내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입차단문(50)을 막다른 복도 진입부에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진입차단문(50)에 설치된 유동고리(60)를 락킹유도공구(90)로 동작시켜 복도의 양측벽에 설치된 록커(80)에 락킹시키는 제2단계와;
화재발생에 따른 조건성취시 유동고리(60)의 락킹이 해제되면서 진입차단문(50)이 자동으로 닫힘과 동시에 유동고리(60)가 진입차단문(50) 속으로 인입되어 손잡이 기능을 상실시키는 제3단계와;
진입차단문(50)이 닫히면 진입차단문(50) 표면에 진입금지 표시가 LED를 통해 점멸식으로 표시되도록 안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발생에 따른 조건성취시 조건은 화재발생비상벨이 울리면서 전기적인 신호를 받거나 혹은 설정된 힘 이상으로 당김력이 작용할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재실자가 피난하는 과정에서 막다른 복도(Dead End)에 도달하게 되면 인명재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막다른 복도 쪽으로 진입하는 것 자체를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내 화재발생시 대피 상황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설명을 위한 진입차단문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설명을 위한 진입차단문용 유동고리의 예시도이다.
빌딩에서의 막다른 골목(dead end)은 피난로를 잘못 선택하여 되돌아 가야되는 통로를 지칭하며, 이러한 막다른 골목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기술적 사상이다.
미국소방방화 안전협회(NFPA : national fire protect association)의 빌딩 피난 코드(building exit code) 규정에는 피난통로 접근로(exit access)와 피난통로(exit)와 피난통로 탈출구(exit discharge)의 보호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피난통로 접근로(exit access)의 방호 규정은 모든 접근로를 방호하는 것이 현실적이지 못하므로 30 명이상의 인원을 수용하는 공간을 위해 사용되는 피난통로접근을 위해 사용되는 복도는 NFPA 코드 8.2.3.에 따라 1시간 이상 버틸 수 있는 비내력 방화벽으로 건물의 다른 부분과 구획하여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피난통로(exit)에 필요한 내화성능은 건물의 높이가 아니고 피난계단실에 연결되는 층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피난통로(exit)의 방호 규정은 고층건물에서도 3 개 미만의 층만 연결되는 계단실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계단실은 1 시간의 내화 및 구조물 유지 성능을 요구하며, 4 개 이상의층을 연결하는 피난 계단은 다른 공간과의 2 시간 내화성능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가 사용되어 해당 구역을 지지하여야 된다.
피난통로 탈출구(exit discharge)의 방호 관련, 피난통로를 지나서 건물 외부로 나가 안전한 공공구역으로 들어서야 되는 경우, 공공 도로(구역)와 피난통로의 끝 사이의 경로가 방호되지 않으면 온전한 피난로가 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피난통로는 옥외에 바고 연결되어야 하고 일정 수준의 방호조치가 있는 경우는 피난인원의 절반은 방호된 1층 공간을 지나 탈출할 수 있도록 규정을 약간 완화하고 있다.
한편, 피난로의 개수는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원칙적으로 2 개 방향의 피난로를 갖추도록 규정하며, 건물의 용도와 면적에 비례하여 계산되는 수용인원에 따라 500 명 이상 내지 1000 명 이하에서는 3 개의 피난로를 필요로 하고, 1000 명 이상의 수용인원인 경우에는 4 개의 피난로를 구비하여야 된다.
미국 소방방화 안전협회(NFPA)의 빌딩 피난 코드 101 규정 챕터 20.2.5.2.2.에 의하면 빌딩의 막다른 복도(dead end corridors)는 6100 밀리미터(20 피트)를 넘지 말아야 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20.2.5.1 에서는 피난로(means of egress)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으며, 20.2.5.2 에서는 막다른 복도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고, 20.2.5.2.1 에서는 9.7.1.1 정의에 의한 스프링클러 시설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막다른 복도(dead end corridors)를 15 미터(60 피트) 까지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의 경우 스프링클러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막다른 복도로 진입하는 경우 피난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을 헛되어 소모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막다른 복도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즉, 이러한 피난로 경로상에 막다른 골목 또는 복도(dead end corridor)는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어 되돌아 와야 되는 구간이고 귀중한 피난시간을 소모시키는 영역이므로 이러한 막다른 골목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대피자와 피난민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설명을 위한 진입차단문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설명을 위한 진입차단문용 유동고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은 진입차단문을 막다른 복도 진입부에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진입차단문에 설치된 유동고리를 락킹유도공구로 동작시켜 복도의 양측벽에 설치된 잠금기구에 락킹시키는 제2단계와; 화재발생에 따른 조건성취시 유동고리의 락킹이 해제되면서 진입차단문이 자동으로 닫힘과 동시에 유동고리가 진입차단문 속으로 인입되어 손잡이 기능을 상실시키는 제3단계와; 진입차단문이 닫히면 진입차단문 표면에 진입금지 표시가 LED를 통해 점멸식으로 표시되도록 안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되는 진입차단문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복도(20) 중에서 막다른 복도(Dead End)의 진입부 양쪽 측벽(40)에 매립설치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진입차단문(50)이 복도(20)의 양쪽 측벽(40)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그러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진입차단문(50)이 복도(20)로 노출되면서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여기에서, 진입차단문(50)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화재발생에 따른 조건성취시 조건은 화재발생비상벨이 울리면서 전기적인 신호를 받거나 혹은 설정된 힘 이상으로 당김력이 작용할 때이다.
이 경우, 설정된 힘 이상으로 당김력이 작용할 때는 어떤 힘을 설정값으로 정할지는 가변적이기 때문에 특정할 수는 없다.
다만, 상당한 힘이 작용하여 설정값보다 큰 힘이 작용하면 록커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진입차단문(50)을 닫을 수 있게 되는데, 보통은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경우는 해당 전선이 타서 전기신호를 받을 수 없는 등 특별한 경우이다.
또한, 상기 진입차단문(50)은 힌지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거나 혹은 문짝에 자동닫힘댐퍼가 설치되어 록킹이 풀리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힘 반대쪽, 즉 막다른 복도 안쪽에서 피난계단(30, 도 1 참조)을 향해 진입차단문(50)을 밀고 나올 수는 있어도 그 반대쪽으로 밀 수는 없는 구조로 닫힌다.
즉, 일방향으로만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진입차단문(50)이 열렸을 때 측벽(40)을 향하는 면에는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은 유동고리(60)가 설치되고, 측벽(40)에는 상기 유동고리(60)가 끼워지는 록킹홈(70)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홈(70)에는 그 속에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출몰되면 상기 유동고리(60)에 끼워져 록킹하거나 혹은 빠져 언록킹하는 록커(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록커(80)는 일종의 솔레노이드밸브이다.
그리고, 상기 유동고리(60)는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코일스프링(62)이 끼워지고, 또한 코일스프링(62)이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는 플랜지(64)가 고정된다.
그리하여, 코일스프링(62)의 일단은 내부공간(IN)의 내벽에 걸림되게 하고, 타단은 상기 플랜지(64)에 걸림되게 하면 상기 코일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동고리(60)는 항상 진입차단문(50) 속에 들어가 있는 상태이므로 문이 닫혔을 때 대피자가 잡을 수 있는 문고리 역할을 하는 게 없어 진입차단문(50)을 당겨 열 수 없고, 또한 밀어서는 당연히 열리지 않는 문이므로 결국 대피자는 막다른 복도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동고리(60)의 설치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도 3의(b)와 같이, 진입차단문(50)의 설치면 쪽에 일정 크기의 홈(52)을 파고, 여기에 유동고리 조립체를 통째로 삽입한 상태에서 유동고리(6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편(54)을 덧대어 홈(52)을 밀폐하면서 일부를 진입차단문(50)의 설치면에 나사체결되게 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유동고리(60)를 록커(80)로 잠글 때에는 유동고리(60)가 돌출되어야 하므로 반대편에서 도 4에서와 같은 락킹유도공구(90)로 플랜지(64)를 밀어 유동고리(60)를 돌출시키고, 돌출시킨 상태로 유동고리(60)를 록킹홈(70)에 밀어 넣고 록커(80)로 잠근 후 락킹유도공구(90)를 분리하면 쉽게 잠글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소방관 등에 의하여 막다른 복도로 진입하고 혹시 있을 수 있는 피난민을 구출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공구 또는 알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막다른 복도를 차단하고 있는 진입차단문(50)을 개방하도록 하는 소방관용 레버 또는 차단해제장치 또는 거리 등의 구성이 추가 설치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며, 이러한 구성은 일반인이 찾기 어렵거나 작동시킬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유동고리(60)는 자석에 잘 붙는 금속편으로 대체되고 록커(80)는 전자석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며, 동작 원리는 평소에 전자석에 동작전원이 인가되어 전자석은 강한 자성을 발생하므로 금속편을 잡아당기거나 홀딩한다. 금속편은 진입차단문(50)에 고정 설치되므로 진입차단문(50)을 측벽(40)에 고정시키게 된다.
화재가 발생하는 비상사태 등의 경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자석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므로 전자석은 자성을 잃어버리게 되며, 따라서 금속편은 전자석으로부터 분리되고, 금속편이 고정 설치된 진입차단문(50)은 측벽(40)에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되며, 진입차단문(50)에 설치된 탄성장치 등에 의하여 막다른 복도를 차단하는 상태로 회동되므로 피난민은 막다른복도로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진입차단문(50)의 일측면, 즉 닫혔을 때 대피자에게 보이는 면에는 다수의 엘이디(LED) 등이 글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이를 테면, '진입금지'를 표출하도록 하고, 점등되었을 때 붉은색으로 표현되게 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엘이디 등 대신에 백열전구 또는 형광표시판 등과 같이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발광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이때, 진입금지와 같은 경고문구 표시는 점등, 점멸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록커(80)가 해제되는 순간 동일신호를 받아 동시 구동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진입차단문(50)의 타측면 즉, 닫혔을 때 대피자에게 보이는 않는 면에는 다수의 LED 등이 글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이를 테면, '탈출구' 또는 '피난 탈출구'가 표시되도록 하고 점등되었을 때 녹색으로 표현되게 하여 안전한 피난 방향을 안내 또는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엘이디(LED)를 포함한 제어기 등은 진입차단문(50)에 내장될 수 있다.
50: 진입차단문 60: 유동고리
70: 록킹홈 80: 록커

Claims (1)

  1. 힌지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거나 혹은 문짝에 자동닫힘댐퍼가 설치되어 록킹이 풀리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막다른 복도의 진입부 양쪽 측벽에 설치되는 진입차단문과; 상기 진입차단문에 설치된 유동고리(60)와; 상기 유동고리(60)와 대응위치의 측벽에 형성되어 유동고리(60)가 끼워지는 록킹홈(70)과; 상기 록킹홈(70)에 설치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출몰되면 상기 유동고리(60)에 끼워져 록킹하거나 혹은 빠져 언록킹하는 록커(80)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고리(60)는 '⊃'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코일스프링(62)이 끼워지고, 코일스프링(62)이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는 플랜지(64)가 고정되며, 코일스프링(62)의 일단은 진입차단문(50)의 내부공간(IN)에 걸림되게 하고, 타단은 상기 플랜지(64)에 걸림되게 하여 유동고리(60)가 항상 인입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진입차단문(50)을 이용하여 건물내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입차단문(50)을 막다른 복도 진입부에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진입차단문(50)에 설치된 유동고리(60)를 락킹유도공구(90)로 동작시켜 복도의 양측벽에 설치된 록커(80)에 락킹시키는 제2단계와;
    화재발생에 따른 조건성취시 유동고리(60)의 락킹이 해제되면서 진입차단문(50)이 자동으로 닫힘과 동시에 유동고리(60)가 진입차단문(50) 속으로 인입되어 손잡이 기능을 상실시키는 제3단계와;
    진입차단문(50)이 닫히면 진입차단문(50) 표면에 진입금지 표시가 LED를 통해 점멸식으로 표시되도록 안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발생에 따른 조건성취시 조건은 화재발생비상벨이 울리면서 전기적인 신호를 받거나 혹은 설정된 힘 이상으로 당김력이 작용할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KR1020190156541A 2019-11-29 2019-11-29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KR102086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41A KR102086745B1 (ko) 2019-11-29 2019-11-29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41A KR102086745B1 (ko) 2019-11-29 2019-11-29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745B1 true KR102086745B1 (ko) 2020-03-09

Family

ID=6980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541A KR102086745B1 (ko) 2019-11-29 2019-11-29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7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49U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쇼케이스의 도어 손잡이
KR100653604B1 (ko) 2005-03-28 2006-12-05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0885404B1 (ko) * 2008-01-31 2009-02-24 주식회사 쓰리에스도어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KR20140124477A (ko) * 2013-04-17 2014-10-27 (주)에이스앤아이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잠금해제장치
KR20150056423A (ko) * 2013-11-15 2015-05-26 유관열 시온페인트를 이용한 화재감지문
KR20170077348A (ko) * 2015-12-28 2017-07-06 홍의찬 화재 발생시 사용자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
KR20190004925A (ko) * 2017-07-05 2019-01-15 주식회사 한빛안전기술단 화재 온도를 감지 가능한 방화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49U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쇼케이스의 도어 손잡이
KR100653604B1 (ko) 2005-03-28 2006-12-05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0885404B1 (ko) * 2008-01-31 2009-02-24 주식회사 쓰리에스도어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KR20140124477A (ko) * 2013-04-17 2014-10-27 (주)에이스앤아이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잠금해제장치
KR20150056423A (ko) * 2013-11-15 2015-05-26 유관열 시온페인트를 이용한 화재감지문
KR20170077348A (ko) * 2015-12-28 2017-07-06 홍의찬 화재 발생시 사용자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
KR20190004925A (ko) * 2017-07-05 2019-01-15 주식회사 한빛안전기술단 화재 온도를 감지 가능한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9555A (en) Fire and smoke protection device for use in buildings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US5644111A (en) Elevator hatch door monitoring system
US20100309004A1 (en)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WO1996035630A9 (en) Elevator hatch door monitoring system
US20160140823A1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EP2956917A1 (en) Evacuation assistance apparatus
KR102086745B1 (ko)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WO1998022381A1 (en) Elevator hoistway door seal structure and drainage system for a multiple level building
KR20150034150A (ko) 건물(아파트)화재 발생시 옥상 방화문 자동개방장치
DE19649552A1 (de) Evakuierungssystem für Aufzüge
KR20200001971U (ko) 피난 유도등이 구비된 비상문 개폐 제어기
WO2011067444A1 (es) Mecanismo de apertura inmediata de cerramientos
KR20040040415A (ko) 비상탈출용 유도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098392B1 (ko) 화재 대피 유도장치
KR19990032707A (ko) 방화방연 셔터의 안전강하 연동제어기
KR20180138334A (ko) 하향식 피난용 사다리의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540491B1 (ko) 건축물의 비상 대피장치
RU190301U1 (ru) Защитно-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Spatar et al. Principles of designing information fire systems in multi-apartment buisdings
KR10245084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안전 유도장치
KR102540487B1 (ko)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KR101021297B1 (ko)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KR200338226Y1 (ko)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Class the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