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604B1 -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604B1
KR100653604B1 KR1020050025600A KR20050025600A KR100653604B1 KR 100653604 B1 KR100653604 B1 KR 100653604B1 KR 1020050025600 A KR1020050025600 A KR 1020050025600A KR 20050025600 A KR20050025600 A KR 20050025600A KR 100653604 B1 KR100653604 B1 KR 10065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duction
red
green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727A (ko
Inventor
이효성
이병모
강현종
이두성
Original Assignee
이효성
이두성
이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성, 이두성, 이병모 filed Critical 이효성
Priority to KR102005002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60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5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electroluminescent l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은, 터널이나 대형 건물의 천장 및 통로 등의 특정 부위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그것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송출하는 화재 감지 센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수행되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재발생의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에 대한 상황을 판단하여, 현장에 설치된 각 유도등 장치에 가장 적합한 적색 및 녹색 점등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제어부; 및 터널이나 대형 건물의 통로 등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그 몸체에는 적색 점등 수단과 녹색 점등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시 화재 지점쪽은 적색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녹색으로 점등되나, 대피자가 폐쇄되거나 막힌 통로에 있는 경우에는 화재 지점쪽으로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적색으로 점등되는 유도등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되었을 시 임의의 사람이 현재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화재지점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최단거리의 출구쪽으로 유도등의 방향을 변화, 유도시켜 줌으로써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Emergency guidance lamp system guiding the shortest exit when the fire occur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 시스템에 있어서의 삼각기둥형 유도등 장치와 직육면체의 일반 상자형 유도등 장치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 시스템의 유도등 장치에 적용되는 진입 금지 및 진입 유도 표시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 시스템의 유도등 장치에 적용되는 진입 유도 표시로서의 다양한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표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 시스템에서의 삼각기둥형 유도등 장치와 직육면체의 일반 상자형 유도등 장치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전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 시스템에서의 유도등 장치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 수단을 더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 시스템에서의 유도등 장치에 LED와 EL 램프를 함께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건물 통로의 4거리 교차지점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도등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유도등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유도등 장치의 전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의 유도등 장치가 복도 코너, 삼거리 교차통로, 통로의 막다른 곳에 설치된 예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서의 유도등 장치를 매립형으로 설치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서의 유도등 장치를 복도의 바닥에 설치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서의 유도등 장치가 터널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유도등 작동 상태 및 대피자의 대피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서의 유도등 장치가 지하철 역사나 대중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 구조물의 천장, 벽체, 바닥면 등에 종합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유도등의 작동 상태 및 대피자의 대피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종래의 비상 유도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화재 감지 센서 120...중앙 제어부
130...유도등 장치 140...형광등
150...강화 유리판 160...진입의 녹색 점등 상태
170...진입금지의 적색 점등 상태 180...대피자 대피 경로
본 발명은 비상 유도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되었을 시 임의의 사람이 현재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화재지점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최단거리의 출구쪽으로 유도등의 방향을 변화, 유도시켜 줌으로써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상 유도등(200)은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백색 바탕에 녹색의 사람이 뛰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대피자가 유도등을 보고는 있지만 녹색의 사람이 뛰는 형상이 실제로 화재가 발생된 지점과는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흰색 바탕에 녹색의 사람이 한 쪽 방향으로 뛰는 형상으로만 되어 있으며, 방향 지시방향을 알 수 없는 형태로 되어 있어, 상황 판단이 어려운 긴박한 상황에서 어디로 대피해야 할지 알기 어렵고, 우왕좌왕 하는 사이 다른 대피자들이 뛰는 방향으로 무작정 따라 뛰게 마련이다. 따라서, 선두 대피자의 판단이 정확하면 다행이겠지만, 판단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아무 생각없이 뒤따라온 다른 모든 대피자들과 함께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도 22에서 참 조번호 210은 유도등 케이스, 220은 표시부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현재의 유도등은 그것을 바라보는 임의의 개인에 있어서, 그 개인 자신의 위치에서 어느 방향이 비상탈출구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지 알 수 없고, 게다가 방화벽 차단으로 잘못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 발생지점과 떨어져 있는 대피자의 경우, 화재 발생지점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화재 방향으로 잘못 진입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재지점은 한 곳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화재가 계속 번지는 상황이 발생되어, 하나의 화재 현장에 동시 다발적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상황에서 유도등이 상황에 따라 적절히 그 표시를 변화하여 화재로부터 가장 가까운 방향의 비상구로 유도 작동함으로써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도등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시 임의의 사람이 현재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화재지점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최단거리의 출구쪽으로 유도등의 방향을 변화, 유도시켜 줌으로써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은,
터널이나 대형 건물의 천장 및 통로 등의 특정 부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그것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송출하는 화재 감지 센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수행되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재발생의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에 대한 상황을 판단하여, 현장에 설치된 각 유도등 장치에 가장 적합한 적색 및 녹색 점등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제어부; 및
터널이나 대형 건물의 통로 등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그 몸체에는 적색 점등 수단과 녹색 점등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시 화재 지점쪽은 적색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녹색으로 점등되나, 대피자가 폐쇄되거나 막힌 통로에 있는 경우에는 화재 지점쪽으로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적색으로 점등되는 유도등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은 화재 감지 센서(110), 중앙 제어부(120), 유도등 장치(1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화재 감지 센서(110)는 터널이나 대형 건물의 천장 및 통로 등의 특정 부위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그것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송출한다. 이와 같은 화재 감지 센서(110)로는 열감지 센서나 가스감지 센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어떠한 장소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화재 감지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화재 감지 센서(110)는 후술되는 유도등 장치(130)에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할 경우 화재 발생시 유도등 장치(130)의 위치 번호로 화재 발생 지점을 상황실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 제어부(120)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110)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수행되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재발생의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에 대한 상황을 판단하여, 현장에 설치된 각 유도등 장치에 가장 적합한 적색 및 녹색 점등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중앙 제어부(120)는 바람직하게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각 센서 및 유도등 장치의 위치를 도식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하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대형 건물 또는 지하구조물 및 지하철 역사의 경우 종합 상황실이나 전기실 등에 마련되어 있는 중앙 통제(관리) 시스템의 메인 컴퓨터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중앙 제어부(120)의 내부 메모리에는 대형 건물 또는 지하구조물 및 지하철 역사의 경우 사전에 내부 통로 구조를 조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화재 발생을 시뮬레이션화하여 화재 발생에 따른 가장 가까운 대피 경로를 퍼지(fuzzy) 이론에 의해 찾아 내는 알고리즘이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미리 작성되어 저장된다.
상기 유도등 장치(130)는 터널이나 대형 건물의 통로 등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며(예를 들면, 벽면에 설치시 바닥면으로부터 0m∼1.8m 높이에 설치하고, 배치 간격은 50㎝, 1m, 2m, 5m, 10m 등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 그 몸체에는 적색 점등 수단과 녹색 점등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제어부(120)로부터의 점등 제어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시 화재 지점쪽은 적색(그쪽 방향으로의 진입금지를 의미)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녹색(그쪽 방향으로의 진입유도, 즉 대피를 의미)으로 점등된다. 그러나, 대피자가 폐쇄되거나 막힌 통로에 있는 경우에는 부득이 화재 발생지점쪽으로 통과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따라서 이때에는 화재 지점쪽으로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적색으로 점등된다.
이러한 유도등 장치(130)는 그 외형에 있어서 도 2a에서와 같이, 하나의 공통변을 기준으로 그 양쪽에 적색 및 녹색의 표시면을 갖는 삼각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b에서와 같이 직육면체의 일반 상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후술되는 도 7에서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육면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도등 장치(130)의 내부에는 적색을 발하는 점등 수단과 녹색을 발하는 점등 수단이 상기 삼각기둥형 또는 직육면체의 일반 상자형 몸체의 대향되는 면에 모두 각각 마련된다. 즉, 서로 대향되는 양쪽면 모두에 적색 및 녹색 점등 수단이 각각 모두 마련되는 것이다. 그와 같이 마련된 상태에서, 중앙 제어부(120)의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동일한 면이라 하더라도 어떤 때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또 어떤 때는 녹색으로 점등되어 긴급 상황에 처한 대피자에게 안전한 대피 경로를 안내(지시)해 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서 간단히 부연 설명을 해보면, 도 2a 및 도 2b에서 A와 C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유도등 장치(130)를 보았을 때, 그 바라보이는 면이 적색(이 적색을 녹색과의 색상 구별을 위해 이후의 모든 도면에서 편의상 겹줄로 도시함)으로 점등되어 있다면(이때 후면은 보이지 않게 된다) 그쪽 방향으로는 진입 금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피자는 그 적색 점등면쪽으로 진입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서 B와 D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유도등 장치(130)를 보았을 때, 그 바라보이는 면이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다면(이때도 마찬가지로 후면은 보이지 않게 된다) 그쪽 방향으로 진입 유도, 즉 대피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피자는 그쪽 방향으로 대피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유도등 장치(130)의 점등 수단으로는 적색 및 녹색의 LED(발광 다이오드) 혹은 적색과 녹색이 하나의 LED에 다 들어가 있는 적/녹 일체형 LED가 사용되거나, 적색과 녹색의 EL(Electro Luminescence)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도등 장치(130)는 긴급상황, 화재 또는 위험 발생시에만 작동하고, 평상시에는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는 평상시에 작동할 경우 그것을 바라보는 일반 사람들이 불안이나 혼란을 느낄 수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은 유도등 장치(130)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대피자들로 하여금 화재 발생 또는 긴급 상황 사실을 그들이 위치해 있는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보장치 또는 스피커가 더 설치된다.
또한, 이와 같은 유도등 장치(130)의 전원으로는 화재 발생전에 충전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면,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인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해도 전원이 차단되지 않으면 기존의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한다. 상기 직류전원이 사용될 경우에는 최소 60분 정도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 시스템에 있어서, 유도등 장치의 진입 금지 및 진입 유도 표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 (a)와 (b)는 진입 금지를, (c)는 진입 유도를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a)의 경우, 그 전체적인 점등 부위의 색상은 진입 금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적색으로 하고, 형태는 원형으로 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b)의 경우는 역시 진입 금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점등 색상은 적색으로 하고, 그 형태 또한 진입 금지의 의미를 보다 확실하게 표시하는 "X"자 형태로 구성한 경우를 보여준다. (c)의 경우, 상기 (a)의 진입 금지의 경우와 외형상으로는 동일하다. 다만 점등 부위의 색상이 녹색이라는 점이 다르다. 여기서, 이 (c)의 경우의 진입 유도 표시에 있어서, 그 형태를 이와 같이 원형으로 하는 것 외에도 도 4의 (d) 내지 (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형태로도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유도등 장치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사시도로서, 도 5는 삼각기둥형의 경우를, 도 6은 직육면체의 일반 상자형의 경우를 각각 보여준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 장치(130)의 양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적색과 녹색)의 표시가 점등되는 바, 따라서 대피자는 현재의 위치에서 이들 둘 중의 어느 한 쪽면만을 보게 되는데, 그것에 의해 "진입 금지" 혹은 "진입 유도"의 판단을 신속히 하여 적절히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유도등 장치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 수단을 더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유도등 장치(130)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 수단으로서 형광등(140)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도등 장치(130)에서의 적색, 녹색 점등 수단이 점등될 시 백라이트 역할을 할 수 있고, 또한 평상시에는 일반 조명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유도등 장치에 LED와 EL 램프를 함께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 장치(130)의 양측 표시면에는 LED를 이용한 표시등의 기능을 하도록 하고, 양측면 사이에는 EL 램프를 설치하여 조명등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건물 통로의 4거리 교차지점에 설치되는 유도등 장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1은 설치 위치도, 도 12는 유도등 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13은 유도등 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건물 통로의 4거리 교차지점에서는 4방향에서 다 볼 수 있도록 그 교차지점의 천정에 유도등 장치(130)를 설치한다. 이때, 유도등 장치(13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상자형 형태로 구성되고, 4개의 측면에는 작동시 진입유도(대피)를 의미하는 녹색의 화살표 표시나 원형 표 시, 진입금지를 의미하는 적색의 "X"자 표시가 마련되고, 유도등 장치(130)를 설치시 하면을 향하는 면부에는 조명용 EL 램프를 설치한다.
도 14는 유도등 장치가 복도 코너, 삼거리 교차통로, 통로의 막다른 곳에 설치된 예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의 (a)에서와 같이, 복도 코너의 경우에는 유도등 장치(130)가 복도 코너의 직교하는 양면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b)에서와 같이 통로의 삼거리 교차지점에서는 통로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앞에 벽면이 보이는 유도등 장치(130)가 설치된다. 또한, (c)에서와 같이, 통로의 막다른 곳에 벽면에는 진입금지 표시의 유도등 장치(130)가 설치된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은 유도등 장치를 매립형으로 설치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의 (a),(b)에서와 같이, 유도등 장치(130)를 설치함에 있어서, 위에서 지금까지 보여준 예들과는 달리 매립형으로 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벽체에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 속에 유도등 장치(13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유도등 장치(130)의 양쪽 표시등이 설치되는 면이 충분히 보일 수 있도록 유도등 장치(130)의 중심에서 홈의 양쪽 입구턱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도등 장치(130)가 그 내부에 설치된 홈의 개방 입구부에는 투명 강화 유리판(150)으로 막는다. 이는 내부의 유도등 장치(130)를 보호하는 한편 미관을 더욱 좋게 하고 화재로부터 유도등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16의 (a),(b)는 양쪽 표시등(유도등) 사이에 조명등으로서의 형광등(140) 이 더 설치된 경우를, 도 17의 (a).(b)는 양쪽 표시등(유도등) 사이에 조명등으로서의 EL 램프가 더 설치된 경우를 각각 보여준다.
도 18 및 도 19는 유도등 장치를 복도의 바닥에 설치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 장치(130)를 복도의 바닥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복도의 바닥면에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의 내부에 유도등 장치(13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면의 개방부에는 투명 강화유리판으로 된 덮개를 덮는다. 이때 물론 덮개는 주변 바닥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한다. 이 도 18의 경우는 일자형 복도의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9는 유도등 장치가 복도 바닥의 십자 교차로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로서, 그 내부에 설치되는 유도등 장치(130)의 형태가 사방에서 모두 볼 수 있어야 하므로, 직육면체의 상자형으로 구성된다.
도 20은 유도등 장치가 터널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발생 시 유도등 작동상태 및 대피자의 대피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에서와 같이, 유도등 장치(130)가 터널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터널 길이가 짧으면 이와 같은 유도등 장치(130)를 설치할 필요가 없겠지만, 터널 길이가 500m 이상인 터널에서는 화재 발생 지점에서 출구 방향으로 어느 쪽이 단거리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이 터널 길이가 비교적 긴 터널에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그 효과를 확실하게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예컨대, 도 20에서 발화 지점을 A로 가정할 경우, 그 A 지점을 기준으로 하 여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유도등 장치(130)의 표시등이 점등함에 있어, A지점과 대면하는 모든 면은 녹색(160)으로 점등 표시되고, A지점과 대면하지 않는 모든 면은 적색(170)으로 점등 표시된다. 따라서, B 지점에 있는 대피자는 A 지점에서의 화재 발생 상황을 몰라도 서울방향쪽 유도등 장치를 보면 적색만 보이고, 대전방향쪽 유도등 장치를 보면 녹색만 보이게 되므로, 어느 쪽으로 대피해야 할지를 간단히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대피자 B는 안전한 대피 경로(180)를 택하여 대피하게 된다.
도 21은 유도등 장치가 지하철 역사나 대중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 구조물의 천장, 벽체, 바닥면 등에 종합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발생 시 유도등의 작동 상태 및 대피자의 대피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 장치(130)가 지하철 역사나 대중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 구조물의 천장, 벽체, 바닥면 등에 종합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21에서와 같이 유도등 장치(130)가 설치된 상태에서, C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유도등 장치(130)는 발화지점 C를 기준으로 화재지점을 피하여 가장 짧은 거리쪽의 비상구로 유도하도록,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녹색(160, 화살표)과 적색(170, X)으로 점등 표시된다. 따라서, 대피자 E는 화재지점 C를 몰라도 유도등의 표시대로 따라가면 가장 가까운 비상구 A지점에 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피자 F도 화재지점 C를 모르는 상태에서 비상구 A, B 두 군데가 있지만, 유도등의 표시대로 따라가면 화재를 피하여 더 가까운 쪽의 비상구 B지점에 도달하게 되며, 그에 따라 마찬가지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 게 된다.
한편, 대피자 D와 같이 대피자가 폐쇄되거나 막힌 통로에 있을 경우에는 화재발생 지점(C)으로 부득이 통과해야 하는 바, 이 경우에는 화재지점쪽은 녹색(160)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적색(170)으로 점등된다. 따라서, 대피자 D는 유도등의 점등 색상을 따라 화재지점을 일단 통과하면 정상적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되었을 시 임의의 사람이 현재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화재지점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최단거리의 출구쪽으로 유도등의 방향을 변화, 유도시켜 줌으로써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터널이나 대형 건물의 천장 및 통로 등의 특정 부위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그것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송출하는 화재 감지 센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수행되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재발생의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에 대한 상황을 판단하여, 현장에 설치된 각 유도등 장치에 가장 적합한 적색 및 녹색 점등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제어부; 및
    터널이나 대형 건물의 통로 등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그 몸체에는 적색 점등 수단과 녹색 점등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시 화재 지점쪽은 적색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녹색으로 점등되나, 대피자가 폐쇄되거나 막힌 통로에 있는 경우에는 화재 지점쪽으로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그 반대쪽은 적색으로 점등되는 유도등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는 열감지 센서나 가스감지 센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각 센서 및 유도등 장치의 위치를 도식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하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는 대형 건물의 경우 사전에 내부 통로 구조를 조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화재 발생을 시뮬레이션화하여 화재 발생에 따른 가장 가까운 대피 경로를 퍼지(fuzzy) 이론에 의해 찾아 내는 알고리즘이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미리 작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장치는 그 외형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변을 기준으로 그 양쪽에 적색 및 녹색의 표시면을 갖는 삼각기둥 형태, 직육면체의 일반 상자형, 사다리꼴 형태의 육면체형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장치의 내부에는 적색을 발하는 점등 수단과 녹색을 발하는 점등 수단이 상기 삼각기둥형 또는 직육면체의 일반 상자형 몸체의 대향되는 면에 모두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장치의 점등 수단으로 적색 및 녹색의 LED(발광 다이오드) 혹은 적색과 녹색이 하나의 LED에 다 들어가 있는 적/녹 일체형 LED, 적색과 녹색의 EL(Electro Luminescence) 램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장치에는 대피자들로 하여금 화재 발생 사실을 그들이 위치해 있는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보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장치의 진입 금지 및 진입 유도 표시에 있어서 진입 금지 표시는 적색의 원형이나 "X"자 형태로, 진입 유도 표시는 녹색의 원형이나 화살표 형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 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장치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 수단으로서 형광등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장치는 그 양측 표시면에는 LED를 이용하여 표시등의 기능을 하도록 하고, 양측면 사이에는 EL 램프를 설치하여 조명등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장치의 전원으로는 화재 발생전에 충전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면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인 배터리가 사용되거나, 화재가 발생해도 전원이 차단되지 않으면 기존의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20050025600A 2005-03-28 2005-03-28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065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600A KR100653604B1 (ko) 2005-03-28 2005-03-28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600A KR100653604B1 (ko) 2005-03-28 2005-03-28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727A KR20060103727A (ko) 2006-10-04
KR100653604B1 true KR100653604B1 (ko) 2006-12-05

Family

ID=3762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600A KR100653604B1 (ko) 2005-03-28 2005-03-28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60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475B1 (ko) * 2010-07-22 2010-12-09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주차장 조명 자동 제어장치
KR20180053062A (ko) 2016-11-11 2018-05-21 임성철 비상 조명등
KR101950722B1 (ko) 2017-08-28 2019-02-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KR101991258B1 (ko) 2018-01-30 2019-06-20 주식회사 삼우이머션 피난 유도물 및 피난 유도원의 배치효율 평가 방법
KR20190109643A (ko) 2018-03-06 2019-09-26 정용진 재난구호용 안내 로봇
KR102086745B1 (ko) 2019-11-29 2020-03-09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KR102132257B1 (ko) 2019-12-19 2020-07-10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막다른 복도 소방시설물 장치
KR20200100329A (ko) 2019-02-18 2020-08-26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KR102373894B1 (ko) * 2020-09-10 2022-03-15 한국광기술원 유도등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6049B2 (en) * 2005-12-14 2009-12-22 Ellul Jr Joseph Emergency notification and directional signaling apparatus
KR100791365B1 (ko) * 2006-12-01 2008-01-07 한국과학기술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두 노드 사이의 안전한 최단 경로산출방법
KR100985507B1 (ko) * 2008-03-08 2010-10-05 이강민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006461B1 (ko) * 2008-06-13 2011-01-06 한국해양연구원 위치인식 및 센서네트워크 기반 능동형 비상관제 시스템
US8228176B2 (en) 2009-03-31 2012-07-24 Timothy John Lewis Electronic guides, incident response methods, incident response systems, and incident monitoring methods
KR100986145B1 (ko) * 2009-11-05 2010-10-07 윤병기 피난유도 시스템
KR101156288B1 (ko) * 2010-04-13 2012-06-1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상황을 위한 피난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018296B1 (ko) * 2010-12-03 2011-03-04 문엔지니어링 (주)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항터미널용 비상 유도장치
KR101108817B1 (ko) * 2011-05-04 2012-01-31 김한승 전체 또는 구획별 방송이 가능한 방송시스템
KR101360897B1 (ko) * 2012-10-08 2014-02-13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안전시스템
KR101630200B1 (ko) * 2014-11-28 2016-06-14 (주)매트론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658344B1 (ko) * 2015-01-16 2016-09-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1358B1 (ko) * 2018-02-08 2018-07-25 김석원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KR102014184B1 (ko) * 2018-03-22 2019-08-26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대피로 통제 시스템
KR102039655B1 (ko) * 2018-03-23 2019-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경보 방법
KR102631624B1 (ko) * 2022-03-08 2024-02-01 한국광기술원 유도등을 제어하는 서버,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538A (ko) * 2001-02-27 2001-05-07 이운주 비상구 표시 장치
KR20030038605A (ko) * 2003-04-18 2003-05-16 안균호 피난경로 표시장치
KR20030057066A (ko) * 2001-12-28 2003-07-04 윤병찬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KR20040040415A (ko) * 2004-04-17 2004-05-12 김운복 비상탈출용 유도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40076396A (ko) * 2003-02-25 2004-09-01 손재설 피난로 유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538A (ko) * 2001-02-27 2001-05-07 이운주 비상구 표시 장치
KR20030057066A (ko) * 2001-12-28 2003-07-04 윤병찬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KR20040076396A (ko) * 2003-02-25 2004-09-01 손재설 피난로 유도 시스템
KR20030038605A (ko) * 2003-04-18 2003-05-16 안균호 피난경로 표시장치
KR20040040415A (ko) * 2004-04-17 2004-05-12 김운복 비상탈출용 유도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475B1 (ko) * 2010-07-22 2010-12-09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주차장 조명 자동 제어장치
KR20180053062A (ko) 2016-11-11 2018-05-21 임성철 비상 조명등
KR101950722B1 (ko) 2017-08-28 2019-02-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KR101991258B1 (ko) 2018-01-30 2019-06-20 주식회사 삼우이머션 피난 유도물 및 피난 유도원의 배치효율 평가 방법
KR20190109643A (ko) 2018-03-06 2019-09-26 정용진 재난구호용 안내 로봇
KR20200100329A (ko) 2019-02-18 2020-08-26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KR102086745B1 (ko) 2019-11-29 2020-03-09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KR102132257B1 (ko) 2019-12-19 2020-07-10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막다른 복도 소방시설물 장치
KR102373894B1 (ko) * 2020-09-10 2022-03-15 한국광기술원 유도등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727A (ko)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US20090066522A1 (en) Emergency guidance lamp system for guiding to nearest exit in the event of fire
RU25447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 указатель пути эвакуации для него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WO2005116519A1 (en) Smoke detection and escape system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261448B1 (ko)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20150014326A (ko) 피난구 유도등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100547919B1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20070012756A (ko)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100998997B1 (ko)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KR20160069059A (ko) 생명길 유도등
KR20140021930A (ko) 비상구 유도등
US20030051379A1 (en) Emergency visual and tactile exits system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WO2016208783A1 (ko) 대피 안내 겸용 조명장치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668014B1 (ko) 비상통로 방향 안내장치
EP4205094A1 (en) Safety device, door, fire safety systems, and method of indicating the status of a door, and improving fire safety
KR20040040415A (ko) 비상탈출용 유도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3445111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