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358B1 -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358B1
KR102081358B1 KR1020130105510A KR20130105510A KR102081358B1 KR 102081358 B1 KR102081358 B1 KR 102081358B1 KR 1020130105510 A KR1020130105510 A KR 1020130105510A KR 20130105510 A KR20130105510 A KR 20130105510A KR 102081358 B1 KR102081358 B1 KR 10208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power
unit
care mod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528A (ko
Inventor
배원호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3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오디오 입력부와, 카메라와, 외부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통신부와, 청소를 실행하는 청소부와,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파워 케어 모드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Robot cleaner,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케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란,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청소기 중 특히,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는 청소기를 로봇 청소기라 칭한다.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는, 충전지에 의하여 동작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 케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오디오 입력부와, 카메라와, 외부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통신부와, 청소를 실행하는 청소부와,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봇 청소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부를 통해, 로봇 청소기에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무선 통신부를 통해, 로봇 청소기로부터, 절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절전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동작방법은,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로봇 청소기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로봇 청소기에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로봇 청소기로부터, 절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절전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는,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집안 내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에 대한 파워 케어 모드를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파워 케어 모드 명령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 단말기에 절전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어, 표시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는, 집안 내의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대한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a는 도 1의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로봇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1은 도 6 또는 도 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대한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대한 통신 시스템(10)은, 로봇 청소기(200), AP 장치(400), 서버(300), 네트워크(550), 이동 단말기들(500a,500b)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00)는,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는 청소기로서, 자동 주행 및 자동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청소기(200)는, 주행 기능 및 청소 기능 외에, 내부에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고,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기기들 또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미도시)는, AP 장치(400)와 유,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장치(400)는, 인접 전기 기기(electric device)에 내부 네트워크(1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기 기기들에, 소정 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때, 내부 네트워크(10)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500b)는, AP 장치(400)를 통해, 로봇 청소기(200)에 접속함으로써, 로봇 청소기(200)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외에,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500a)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네트워크(550)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500a)는, 외부 네트워크(550), 및 AP 장치(400)를 통해, 로봇 청소기(200)에 접속함으로써, 로봇 청소기(200)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3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 수신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로봇 청소기(200)에 대한 펌웨어 정보, 운전 정보(코스 정보 등)를 저장하고, 로봇 청소기(200)에 대한 제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로봇 청소기(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300)는, 공개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200)는,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집안 내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에 대한 파워 케어 모드를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로봇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200)는 바닥을 향해 개구된 하방 개구부(210h)가 형성된 본체(21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좌륜(261a)과 우륜(262a)이 회전함에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이하, 청소구역이라고 함.)을 이동하며, 흡입유닛(270)을 통해 청소구역 내의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흡입유닛(270)은 본체(210)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팬(272)과, 흡입 팬(272)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기류가 흡입되는 흡입구(2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270)은 흡입구(271)를 통해 흡입된 기류 중에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미도시)와,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들이 축적되는 이물질 수용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륜(261a)과 우륜(262a)을 구동시키는 주행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주행 구동부(미도시)는, 좌륜(261a)을 구동하는 좌륜 구동부(미도시)와, 우륜(262a)을 구동하는 우륜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도 3의 270) 제어에 의해 좌륜 구동부(미도시)와 우륜 구동부(미도시)의 작동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본체(210)의 직진, 후진 또는 선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좌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좌륜(261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우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우륜(262a)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본체(2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다. 제어부(도 3의 270)는 좌륜 구동부(미도시)와 우륜 구동부(미도시)의 회전 속도에 차이가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을 겸하는 본체(210)의 병진운동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어부(도 3의 270) 제어를 통한 본체(210)의 운동은 장애물에 대한 회피 또는 선회를 가능하게 한다. 본체(2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바퀴(2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체(210)는 회전 구동부(미도시), 주행 구동부(미도시) 등을 수용하는 본체 하부(211)와, 본체 하부(211)를 덮는 본체 상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부재(232)는 위치감지센서(220)에서 출력되는 광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광이 진행되는 경로상에 배치된다. 투명부재(232)는 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210)는 전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투명부재 프레임(231)에 의해 투명부재(232)가 고정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220)는 장애물을 향해 광을 출사하여 장애물의 위치 또는 거리를 감지한다. 위치감지센서(220)는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위치감지센서(220)는 광을 출력하는 송광부(미도시)와,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송광부(미도시)는, LED,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치감지센서(200) 외에, 로봇 청소기(200) 전방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230)가 본체 상부(212)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개구부가 설치되는 투명부재 프레임(231)과 투명부재(232) 상에 카메라(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봇 청소기(200)의 상방 및 전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200)는, 센서부(220),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22), 카메라(230), 로봇 청소기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1), 메모리(243), 청소부(245), 오디오 입력부(252), 오디오 출력부(254), 내부 제어를 위한 제어부(270), 로봇 청소기를 주행시키는 주행부(280),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로봇 청소기(200)의 위치 감지를 위한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2a 내지 도 2c 및 그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20)는,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는, 위치감지센서(220)는 광을 출력하는 송광부(미도시)와, 출력광에 대응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치감지센서는, GPS 모듈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GPS 신호를 수신하여, 로봇 청소기(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적어도,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2)는, AP 장치(4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미도시)은,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22)는, AP 장치(400)를 통해, 이동 단말기(5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전력 정보 전송 장치(미도시)로부터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2)는, 무선 통신부(미도시) 외에, 별도로,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로봇 청소기 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나, 별도로, 로봇 청소기(200)의 케이스에 부착되고, 로봇 청소기의 내부 회로와 유선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카메라(230)는, 한편, 위치감지센서(200) 외에, 로봇 청소기(200) 전방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파악하기 위해, 본체 상부(212)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30)는 1개의 RGB 카메라일 수 있다. RGB 카메라는 CCD 모듈 또는 CMOS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30)는, 외부 대상물에 대한 거리 검출을 위한 IR 방식의 카메라일 수도 있다. 한편, 복수개의 RGB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231)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로봇 청소기(200)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231)는, LED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LCD 등을 구비하여, 각종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메모리(243)는, 로봇 청소기(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43)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소부(245)는, 로봇 청소기(200) 하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한다. 이를 위해, 로봇 청소기(200)는 주행부(280)에 의해 주행할 수 있으며, 주행 중 또는 일시 정지 중에, 청소부(245)가 동작하여,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소부(245)는, 도 2a 내지 도 2c 및 그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흡입유닛(27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유닛(270)은 본체(210)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팬(272)과, 흡입 팬(272)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기류가 흡입되는 흡입구(2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270)은 흡입구(271)를 통해 흡입된 기류 중에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미도시)와,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들이 축적되는 이물질 수용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252)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54)는, 제어부(2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로봇 청소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센서부(220), 통신부(222), 카메라(230), 표시부(231), 메모리(243), 청소부(245), 오디오 입력부(252), 오디오 출력부(254), 주행부(280), 입력부(295)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주행부(280)는, 로봇 청소기를 주행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부(280)는, 도 2a 내지 도 2c 및 그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좌륜(261a)과 우륜(262a), 좌륜(261a)과 우륜(262a)을 구동시키는 주행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주행 구동부(미도시)는, 좌륜(261a)을 구동하는 좌륜 구동부(미도시)와, 우륜(262a)을 구동하는 우륜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주행부(280)는, 제어부(270) 제어에 의해, 좌륜(261a)과 우륜(262a)의 각각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중 어느 하나를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본체(210)의 직진, 후진 또는 선회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륜(261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우륜(262a)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본체(2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다. 한편, 제어부(270)는 좌륜(261a)과 우륜(262a)의 회전 속도에 차이가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을 겸하는 본체(210)의 병진운동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295)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로컬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사용자 입력부(530), 센싱부(540), 출력부(550), 메모리(560), 인터페이스부(570), 제어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510)는, 방송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3), 무선 인터넷 모듈(515), NFC 모듈(517), 및 GPS 모듈(5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이동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517)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517)은, NFC 태그 또는 NFC 모듈이 탑재된 홈 어플라이언스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5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21)와 마이크(5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5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5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540)는 이동 단말기(5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5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540)는, 감지센서(541), 압력센서(543), 및 모션 센서(5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5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디스플레이(551), 음향출력 모듈(553), 알람부(555), 및 햅틱 모듈(5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1)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5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553)은 무선 통신부(5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5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555)는 이동 단말기(5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5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560)는 제어부(5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5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581)은 제어부(5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5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5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신 모듈(330), 저장부(340), 및 프로세서(320)를 구비할 수 있다.
서버(300) 내의 통신 모듈(330)은,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인식된 텍스트 형식의 음성 데이터를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 내의 통신 모듈(330)은,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로봇 청소기(200)와 관련한 제품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200)의 등록 완료시 등록 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 내의 통신 모듈(330)은,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로봇 청소기(200)의 펌 웨어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펌 웨어를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냉장고 전반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4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40)는,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되는 로봇 청소기(200)와 관련한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식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320)는,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품 등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320)는,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펌웨어를 다른 예로, 프로세서(320)는,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8a 내지 도 11은 도 6 또는 도 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함께 설명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500)는, 로봇 청소기(200)에 무선으로 접속한다(S705). 그리고, 케어 모드 진입 명령, 특히 파워 케어(silver care) 모드 진입 명령을 로봇 청소기(200)로 전송한다(S708).
이동 단말기(5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로봇 청소기(20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로봇 청소기(200)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500)는, 로봇 청소기(20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집안 내의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을 수행하기 위한, 파워 케어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파워 케어 모드는, 집안 내에, 전원이 온되거나, 파워 소모가 큰 전기기기에 대해,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파워 소모를 줄여, 절전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케어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원격지에 떨어져 지내는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500)와, 집안 내에 로봇 청소기(200) 를 이용하여, 집안 내의 전기 기기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절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파워 케어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무선 통신부(510)를 통해, 로봇 청소기(200)에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의 무선 통신부(510)는, 파워 케어 진입 명령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가 댁 내에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500)는, AP 장치(400)를 경유하여, 로봇 청소기(200)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500)가 댁 외에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500)는, 외부 네트워크(600) 및 AP 장치(400)를 경유하여, 로봇 청소기(200)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500)는, 로봇 청소기(200)에 무선으로 접속한 후, 파워 케어 모드 실행을 위한,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200)의 통신부(222)는,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 로봇 청소기(200)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특히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을 수신하고,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610). 그리고, 파워 케어 모드에 따라, 특정 사용자, 근처로 접근하도록, 주행할 수 있다(S620).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22)를 통해,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케어 모드 진입에 따라, 오디오 입력부(252)와 카메라(230)가 활성화될 수 있다.
미리, 메모리(243)에, 집안 내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위치 및, 각 전기 기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워 케어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주행부(280)를 제어하여, 로봇 청소기(200)가 집안 내를 주행하도록 하고, 주행 도중에, 메모리(24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기 기기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로봇 청소기(200)는, 주행 중에, 또는 주행 완료 후에, 집안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S630). 그리고, 소정 기기가 동작하는 경우(S640), 전기 기기에 절전을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642).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주행 중에, 활성화된 로봇 청소기(200) 내의 오디오 입력부(252)와 카메라(23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집안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청소기(200)가 특정 전기 기기 근처에 접근한 경우, 주행을 종료하고, 고정된 위치에서, 오디오 입력부(252)와 카메라(23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획득된 데이터와,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3) 내에 소정 전기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나, 파워 케어 모드에 따라, 카메라(230)를 통해, 전원이 온 된 전기 기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그 차이에 따라, 전기 기기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243) 내에 소정 전기 기기의 전원 오프시와 관련한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나, 파워 케어 모드에 따라, 오디오 입력부(252)를 통해, 해당 전기 기기의 전원 온시와 관련한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그 차이에 따라, 전기 기기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상 상태 판단시, 주위의, 생활 환경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는 배제하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활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는, 냉장고 문 여닫는 소리, 씽크대/ 세면대 물 소리, 창문/ 현관 문 여닫는 소리 등과 관련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생활 환경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는, 미리 메모리(243)에 저장될 수 있으며, 획득되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이러한 생황 환경 관련 오디오 데이터를 제외한 후, 다시 메모리(243)에 저장된, 전기 기기와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 등과 비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절전을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22)를 통해, 해당하는 전기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가 켜져 있는 경우,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전원 오프를 위한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22)를 통해, TV로 전원 오프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가, 집안 내의 로봇 청소기(200)를 이용하여, 전원이 온 된 TV 등의 전기 기기의 절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파워 케어 모드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봇 청소기(200)에서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는, IR 신호 또는 RF 신호 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한편,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는, 전기 기기 별로, 서로 다른 코드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 청소기(200) 내의 메모리(243)는, 각 전기 기기 별, 원격 제어를 위한 코드 정보 또는 주파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70)는, 이러한 코드 정보 또는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 기기를 원격제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로봇 청소기(200)는, 원격제어신호 전송 이후, 해당 전자 기기에 대한 절전 상태를 확인한다(S644). 그리고, 해당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이 완료된 경우(S646), 절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650).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원격제어신호 전송 이후, 로봇 청소기(200) 내의 오디오 입력부(252)와 카메라(23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계속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신호가 전송된 해당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 상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획득된 데이터와,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3) 내에 소정 전기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격제어신호 전송 이후, 카메라(230)를 통해, 전원이 오프 된 전기 기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절전 완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243) 내에 소정 전기 기기의 전원 오프시와 관련한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격제어신호 전송 이후, 오디오 입력부(252)를 통해, 전원이 오프 된 전기 기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그해당 전기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절전 완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상 상태 판단시, 주위의, 생활 환경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는 배제하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당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절전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부(222)를 통해,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절전 완료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부(254)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집안 내에 있는, 다른 사용자가, 절전 완료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이동 단말기(500)는, 로봇 청소기(200)로부터 절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S750). 이동 단말기(500)의 무선 통신부(510)는, 로봇 청소기(200)로부터 절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580)에 전달한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수신되는 절전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55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500)와, 집 안 내의 로봇 청소기(20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집안 내의 전기 기기에 대한 파워 케어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이동 단말기(500)를 통해, 파워 케어 모드 진입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1501)가, "파워 케어 부탁해"라는 음성(1905)을 출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500)는, 마이크(523)를 통해, 해당 음성(1905)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80)는, 수신되는 음성에 대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 내에,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구비되는 경우, 해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500)는, 음성 인식을 위해, 서버(300)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300)로부터 인식된 음성 인식 내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완료 후, 이동 단말기(500)는, 화면에 파워 케어 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10)를 표시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파워 케어 진입 명령을 로봇 청소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어도, 음성 인식 완료 후, 자동으로, 파워 케어 진입 명령을 로봇 청소기(2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파워 케어 진입 명령을 수신한, 로봇 청소기(200)는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한다.
도 8b는 파워 케어 모드에 따라, 로봇 청소기(200)가 집안(10) 내 곳곳을 주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집안 내의 각 종 전기 기기들을 찾아, 로봇 청소기(200)가 집안(10) 내의, 곳곳(1010,1020,1030,1040,1050)을 주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로봇 청소기(200)는, 이러한 주행시에, 활성화된 오디오 입력부(252) 및 카메라(23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획득되는 데이터와 메모리(243)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c는 집안(10) 내 배치되는 각 종 전기기기(400a,400b,400c,400d) 들을 예시하며, 특히, 로봇 청소기(200)의 주행 중에, 탐색되는, 전기기기들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각 전기기기(400a,400b,400c,400d)로, TV(400a), 에어컨(400b),조리기기(400c), 조명장치(400d)를 예시한다.
이 중, TV(400a)의 전원이 온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로봇 청소기(200)는, 도 8d와 같이, 방송 영상(1970)을 표시하는 TV(400a)에 전원 오프를 위한 원격제어신호(1832)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TV(400a)의 전원이 오프된다.
결국, 로봇 청소기(200)는, TV(400a)의 원격제어장치와 같이, TV(400a)를 전원 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TV(400a)에 대한 절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비디오 데이터의 비교에 기초한 이상 판단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200)는, 제2 시간(t2)에, 카메라(230)를 통해, 집안 내의 전기 기기들 중 TV(400a)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1210)를 획득한다. 도면에서는, TV(400a)가 방송 영상(2070)을 표시하고 있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시간(t1)에 획득되어, 메모리(243)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1205)와, 비디오 데이터(1210)를 비교한다.
메모리(243)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1205)에는, TV(400a)의 전원이 오프된 것을 알 수 있다.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비디오 데이터(1205)와, 비디오 데이터(1210)를 비교하여, 그 차이로, TV(400a)가 방송 영상(2070)을 표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 데이터에 의해,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TV(400a)가 전원 온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로봇 청소기(200)는, 도 8d와 같이, TV(400a)로 전원 오프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오디오 데이터의 비교에 기초한 이상 판단을 예시한다.
도 10(a)는, 로봇 청소기(200)의 주행 중에, 오디오 입력부(252)를 통해, 외부 오디오가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로봇 청소기(200)는, 주행에 의해, 파워 케어 모드의 대상인 TV(400a) 근처로 이동하여, TV(400a) 주변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00)는, 제2 시간(t2)에, 오디오 입력부(252)를 통해, 집안 내의 전기 기기들 중 TV(400a)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TV(400a)에서, 소정의 오디오(Sok)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시간(t1)에 획득되어, 메모리(243)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Sok)를 비교한다.
메모리(243)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는, TV(400a)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생활 환경과 관련한 오디오 데이터만 포함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00)의 제어부(270)는, 두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로, TV(400a)의 전원이 온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로봇 청소기(200)는, 도 8d와 같이, TV(400a)로 전원 오프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파워 케어 모드 명령 전송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파워 케어 모드 명령의 전송은, 이동 단말기가 아닌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신이 가능하다.
도 11(a)는, 로봇 청소기(200)가 충전 거치대(100)에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105)의 특정키(107)가 동작하는 것을 예시한다. 로봇 청소기(200)의 통신부(222)는, 이러한 특정키(107)의 동작에 따른, 파워 케어 모드 명령을 수신하고,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1(b)는, 사용자(800)가 집을 나서면서, "잘 살펴줘"라는 음성(803)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로봇 청소기(200)의 오디오 입력부(252)는, 해당 음성(803)을 수신하고, 내부 알고리즘 또는 서버(300)에 접속하여 서버(300) 내부의 알고리즘에 의해,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식된 음성 내용이, 외출 모드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로봇 청소기(200)는 집안 내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을 위한 파워 케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출 모드 내에는 다양한 모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파워 케어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1(c)는, 이동 단말기(500)의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케어 모드, 특히 파워 케어 모드 항목(1203)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는, 파워 케어 모드 명령을 로봇 청소기(200)로 전송하고, 로봇 청소기(200)는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로봇 청소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오디오 입력부;
    카메라;
    외부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통신부;
    청소를 실행하는 청소부; 및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의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 케어 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와 상기 오디오 입력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파워 케어 모드에 따른 주행 중에, 상기 오디오 입력부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상기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전송 이후,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전기 기기가 절전 완료된 경우, 외부로 절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이후 또는 상기 주행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 또는 상기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케어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삭제
  7. 삭제
  8. 로봇 청소기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파워 케어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경우,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케어 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 내의 카메라와 오디오 입력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파워 케어 모드에 따른 주행 중에, 상기 오디오 입력부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로봇 청소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소정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전기 기기로 절전을 위한 상기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전송 이후,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절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기기가 절전 완료된 경우, 외부로 절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케어 모드에 따라, 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 단계는, 상기 주행 이후 또는 상기 주행 중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단계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파워 케어 모드 진입 명령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105510A 2013-09-03 2013-09-03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81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10A KR102081358B1 (ko) 2013-09-03 2013-09-03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10A KR102081358B1 (ko) 2013-09-03 2013-09-03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28A KR20150026528A (ko) 2015-03-11
KR102081358B1 true KR102081358B1 (ko) 2020-04-14

Family

ID=5302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510A KR102081358B1 (ko) 2013-09-03 2013-09-03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493B1 (ko) * 2015-10-27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 및 그 제어방법
WO2018131920A1 (ko) * 2017-01-13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등록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KR102021832B1 (ko) 2017-01-13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등록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6821A (ja) * 2000-12-27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移動体、情報端末及び機器管理システム
KR100619745B1 (ko) 2004-09-23 200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6305315A (ja) 2005-04-25 2006-11-09 Lg Electronics Inc ロボット掃除機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6318173A (ja) 2005-05-12 2006-11-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セキュリティロボット
KR100738890B1 (ko) 2005-07-22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45A (ko) * 2000-05-23 2001-12-07 이정철 다기능 가정용 로봇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123416A (ko) * 2008-05-28 2009-12-02 박재용 원격로봇제어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6821A (ja) * 2000-12-27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移動体、情報端末及び機器管理システム
KR100619745B1 (ko) 2004-09-23 200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6305315A (ja) 2005-04-25 2006-11-09 Lg Electronics Inc ロボット掃除機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6318173A (ja) 2005-05-12 2006-11-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セキュリティロボット
KR100738890B1 (ko) 2005-07-22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28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637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 시스템
EP3081135B1 (en) Robot cleaner, robot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06037589B (zh) 机器人清洁器
US9974422B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KR101855831B1 (ko) 청소 장치, 및 복수의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협동 청소 방법
KR101976424B1 (ko) 이동 로봇
KR101412590B1 (ko)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56161B1 (ko)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78883B1 (ko) 로봇 청소기, 단말 장치, 및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JP2006123158A (ja)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
US20200341477A1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of moving robot
KR102081358B1 (ko)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3206710U (ja) リアルタイム監視キャリアーシステム
KR102178490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08301B1 (ko) 로봇 청소기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30027353A (ko) 이동 로봇, 단말 장치, 및 이동 로봇의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KR102093710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9103073A (ja)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システム
KR102093709B1 (ko)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508073B1 (ko)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150026529A (ko)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9886030B2 (en)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carriers
KR20190003157A (ko)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 시스템
JP2014137767A (ja) イベント監視システム
KR20240029949A (ko) 이동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