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509B1 -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509B1
KR102078509B1 KR1020190101181A KR20190101181A KR102078509B1 KR 102078509 B1 KR102078509 B1 KR 102078509B1 KR 1020190101181 A KR1020190101181 A KR 1020190101181A KR 20190101181 A KR20190101181 A KR 20190101181A KR 102078509 B1 KR102078509 B1 KR 10207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kimchi
powd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복남
Original Assignee
최복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복남 filed Critical 최복남
Priority to KR102019010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509B1/ko
Priority to PCT/KR2020/010973 priority patent/WO20210340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 효능이 있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로부터 추출된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KIMCHI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AND PREVENTING OBESITY}
본 발명은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 효능이 있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치로부터 추출된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지혈증과 같은 지질대사 이상에 기인한 뇌혈관계 질환, 심장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은 혈액 지질대사 이상에 기인한 대사성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써 심각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으로써 과식과 운동부족으로 우리 몸 안의 백색지방 세포의 크기와 숫자가 늘어나게 되어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비만은 렙틴 호르몬 분비를 억제함과 동시에 염증 반응 및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지방간을 비롯한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김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서 각종 비타민, 무기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김치가 지닌 유산균과 생리활성 물질은 항산화, 염증,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변비를 비롯한 각종 대사성 질환 예방 효과가 알려져 있다.
김치의 원재료에 들어있는 식이유황 성분은 지질대사, 다이어트 및 항비만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김치를 이용하여 비만 개선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2353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 효능이 있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치로부터 추출된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미역, 다시마, 멸치, 디포리, 황태 등뼈, 구찌뽕나무, 엄나무, 상황버섯, 뽕나무 뿌리 및 차가버섯을 물에 첨가하여 가열해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절인 배추, 고춧가루, 마늘, 대파, 쪽파, 양파, 생강, 부추, 무, 미나리, 참깨, 돌갓, 당근, 새우젓, 까나리 액젓, 울금 가루, 배, 사과, 흑미가루, 찹쌀가루, 대봉 감, 청각 가루, 표고버섯 가루, 차가버섯 가루 및 소금을 포함하는 주재료에 상기 육수를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로부터 추출된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와 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주재료와 구찌뽕나무, 엄나무 등의 약용성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육수를 김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맛과 풍미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 혈당을 낮춤과 동시에 간 및 지방세포에 침착된 지방축적, 그리고 세포크기를 낮추고 랩틴의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혈액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 추출물을 섭취한 비만 동물모델의 간세포의 임상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 추출물을 섭취한 비만 동물모델의 지방세포의 임상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미역, 다시마, 멸치, 디포리, 황태 등뼈, 구찌뽕나무, 엄나무, 상황버섯 뽕나무 뿌리 및 차가버섯을 물에 첨가하여 가열해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절인 배추, 고춧가루, 마늘, 대파, 쪽파, 양파, 생강, 부추, 무, 미나리, 참깨, 돌갓, 당근, 새우젓, 까나리 액젓, 울금 가루, 배즙, 사과, 흑미 가루, 찹쌀 가루, 대봉 감, 청각 가루, 표고버섯 가루, 차가버섯 가루 및 소금을 포함하는 주재료에 상기 육수를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육수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역 45 내지 10 중량부, 다시마 40 내지 10 중량부, 멸치 30 내지 15 중량부, 디포리 30 내지 15 중량부, 황태 등뼈 30 내지 15 중량부, 구찌뽕나무 20 내지 10 중량부, 엄나무 20 내지 10 중량부, 상황버섯 15 내지 5 중량부, 뽕나무 뿌리 20 내지 10 중량부 및 차가버섯 15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5분 내지 4시간 가열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육수는 미역, 다시마, 황태 등뼈, 멸치 및 디포리를 물에 첨가하여 가열한 다시 육수와 구찌뽕나무, 엄나무, 상황버섯, 뽕나무 뿌리 및 차가버섯을 물에 첨가하여 가열한 육수를 혼합한 한약재 육수를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다시 육수는 미역을 물에 첨가한 후 5 내지 10분 가열한 후 미역을 건져내고 다시 다시마를 첨가하여 5-10분 가열한 후 건져낸 후 멸치, 디포리 및 황태 등뼈를 첨가해 10 내지 20분 가열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한약재 육수는 구찌뽕나무, 엄나무, 상황버섯, 뽕나무 뿌리 및 차가버섯을 물에 첨가한 후 2 내지 5시간, 예를 들어 4시간 가열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주재료와 상기 육수는 9:1 내지 7:3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주재료는 김치 제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절인 배추 65 내지 80 중량부, 마늘 2 내지 3.84 중량부, 대파 1.0 내지 2 중량부, 쪽파 0.5 내지 1 중량부, 양파 0.5 내지 1 중량부, 생강 2 내지 3 중량부, 부추 0.5 내지 1 중량부, 무 2.75 내지 4 중량부, 미나리 0.14 내지 0.5 중량부, 참깨 0.13 내지 0.5 중량부, 돌갓 1.64 내지 3.4 중량부, 고춧가루 5.86 내지 8 중량부, 당근 0.14 내지 0.3 중량부, 새우젓 0.12 내지 0.2 중량부, 까나리 액젓 0.12 내지 0.3 중량부, 울금 가루 0.12 내지 0.25 중량부, 배즙 0.15 내지 0.72 중량부, 사과 0.13 내지 0.3 중량부, 흑미 0.12 내지 0.24 중량부, 찹쌀가루 0.12 내지 0.250 중량부, 대봉 감 0.77 내지 1.85 중량부, 청각 가루 0.27 내지 1.5 중량부, 표고버섯 가루 0.3 내지 0.4 중량부, 차가버섯 가루 0.4 내지 0.5 중량부 및 소금 0.2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즙은 배를 갈은 후 숙성시켜 걸러낸 맑은 즙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흑미가루 및 찹쌀가루는 각각 흑미풀 및 찹쌀풀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소금은 ㈜지장푸드코리아에서 제조한 해설(海雪) 소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주재료는 계절에 따라 생새우, 낙지 젓, 전복 및 생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재료는 김치 제품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낙지 젓 0.12 내지 0.3 중량부, 전복 0.15 내지 0.3 중량부, 생굴 0.12 내지 0.25 중량부, 생새우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필요에 따라 잘게 썰거나, 채썰거나 다져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주재료 중 울금 가루, 청각 가루, 표고버섯 가루 및 차가버섯 가루는 상기 육수에 먼저 첨가되어 불리고 우려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루류를 육수에서 불리고 우려낸 후 가라앉은 가루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는 볶음밥, 김치전, 햄버거 패티 등 김치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로부터 추출된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김치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결건조 분말, 압착 추출액, 열수 추출액 또는 유기용매 추출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김치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김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김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추출물은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치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김치를 이용한 음식, 예를 들어, 김치볶음밥, 김치전, 햄버거 패티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김치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김치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김치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김치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김치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김치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김치 추출물의 제조
김치 시료는 본 발명의 김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김치를 지장푸드코리아(주)(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로부터 공급받았다. 김치 시료를 가정용 믹서기에 넣고 분쇄 후 면으로 된 천으로 감싼 후 압착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김치 추출물은 -20℃에 보관하였으며 사용 전에 실온으로 유지한 후 경구투여 하였다.
실시예 2. 동물 실험
동물실험은 유럽위원회 가이드라인(EEC Directive of 1986; 86/609/EEC)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Sprague Dawley strain 랫드 6주령 수컷(체중 165±3g) 28마리를 대한바이오링크(주)로부터 구입하였다. 일반식이를 이용하여 일주일 동안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4처리구, 반복 케이지 당 1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기간 중 모든 처리구의 동물은 우지를 함유한 고지방식이(high fat diet, HFD, D12492, 40% kcal fat, New Brunswick, NJ, USA)를 섭취하면서 비만을 유도하였다. 처리구는 일반식이 섭취 대조구(CD, chow diet as normal control), 비만대조구(HFD, high fat diet), 일반김치 추출물 투여구(HFDCK, HFD plus commercial kimchi extracts), 김치 추출물 투여구(HFDJK, HFD plus jijang kimchi extract)로 구분하였다. 대조구는 생리식염수 1 mL, 처리구는 각각 해당 김치추출물 1 mL를 28일 동안 매일 일정한 시간에 직경 1 mm의 위관을 이용해서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의 온도 22±2℃, 상대습도 55±2%, 12간 조명으로 조절하였으며 물과 실험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장능력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매주 1회 측정하였고 식이효율은 체중/식이섭취량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비만모델 동물에서 김치 추출물의 경구투여가 체중을 크게 낮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한 비만모델동물에게 김치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성장능력을 관찰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비만모델동물에서 김치 추출물을 투여한 HFDJK가 일반김치 추출물을 경구투여 한 HFDCK와 비교하였을 때 크게 향상되었다(p<0.05). 일반식이를 섭취한 대조구 CD와 비교할 때 비만모델동물 HFD에서 나타난 식이섭취량은 낮았으나 체중, 식이효율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비만모델동물에서 대조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식이섭취량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증가한 점은 고지방식이의 섭취에 의해 에너지 섭취량이 높았고 근육 양의 증가보다는 간의 비대와 함께 축적된 체지방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동물에서 식이섭취량은 에너지 요구량에 의해서 조절되며 고에너지식이를 섭취하는 경우 저에너지식이 섭취와 비교할 때 식이섭취량은 낮아진다.
Figure 112019084840985-pat00001
혈액 지질 프로파일, 혈당, 렙틴, 기관무게
실험 종료 12시간 전부터 절식을 시킨 후 랫드를 에틸에테르 가볍게 마취시켰다. 복부를 절개 후 복대동맥으로부터 25게이지 주사기를 이용해서 항응고제가 들어있지 않은 Serum separate tube (SST, 8.5 mL) 속으로 혈액 2 mL를 채혈 후 5회 정도 위, 아래를 바꿔주면서 혼합하였다. 실온에 30분간 세워 둔 다음 2,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청(serum)을 얻었다. 혈액 생화학적 분석기(Hitachi 917, Japan)를 이용하여 혈액 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및 저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을 Diagnostic kit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로써 측정하였다. 혈당은 Beckman glucose analyzer (Beckman instrument Co., Palo Alto, CA, USA)를 사용하였다. 간, 신장, 비장 및 지방조직은 채혈 후 즉시 떼어서 생리식염수로 혈액을 씻은 다음 여과지에 흡착시켜서 수분을 제거하고 기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김치 추출물의 경구투여가 비만모델동물에서 체지방 축적을 크게 낮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김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처리구에서 조사한 간, 신장, 비장 및 지방조직의 무게변화는 표 2에 제시하였다. 간, 신장 및 지방조직 무게는 HFD>HFDCK>CD, HFDJK 의 순서대로 낮았으며 HFDJK와 HFDCK 사이의 통계적 유의차는 있었으나(p<0.05) CD와 HFDJK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비장의 무게는 HFD가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나(p<0.05) 기타 처리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되면 지질대사 이상으로 간과 지방세포 내 지방의 축적이 일어나므로 기관무게가 정상식이를 섭취하였을 때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치 추출물의 경구투여군에서 지방조직 무게가 낮았던 점은 김치 속에 함유된 식이섬유, 식이유황 및 유산균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서 낮아진 혈액으로부터 중성지방(표 3)이 지방조직으로 이동한 수준을 낮춰서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비만모델동물에서 혈액 지질 프로파일 및 혈당 수준의 변화는 표 3과 같다. 중성지방은 HFD>HFDCK>HFDJK>CD의 순서대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총콜레스테롤, LDL-C 및 혈당은 HFD>HFDCK>HFDJK, CD의 순서대로 유의하게 낮았으나(P<0.05) HFDJK와 CD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HDL-C는 CD와 HFDJK가 HFDCK, HFD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CD와 HFDJK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결과는 비만모델동물에서 김치 추출물의 경구투여가 혈액 지질대사, 혈당 조절 효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혈액 중성지방과 LDL-C 수준이 높으면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등의 심장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지고 HDL-C 수준의 증가는 이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모델동물에서 혈액 렙틴 호르몬 수준의 변화는 표 4와 같다. 렙틴 호르몬은 HFD>HFDCK>HFDJK>CD의 순서대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비만모델동물은 정상식이를 공급한 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량(표 1)과 지방조직 증가량(표 2)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와 함께 혈액 중 렙틴 호르몬의 분비량이 증가하였다. 렙틴은 지방조직에서 생성되며 아디포카인 분비로써 식품 섭취와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한다. 렙틴 호르몬의 증가는 혈액 lymophocyte들로부터 IL-6, IL-10, TNF-alpha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하여 염증반응을 초래한다. 따라서, 김치가 일반김치 처리구에 비해서 렙틴 호르몬의 수준이 낮았던 점은 김치의 염증 억제효능에 관한 새로운 발견이었다.
Figure 112019084840985-pat00002
Figure 112019084840985-pat00003
Figure 112019084840985-pat00004
간, 지방조직의 임상병리학적 변화
랫드의 간, 지방조직 시료를 분리하여 0.1M cacodylate buffer, pH 7.4로 완충시키고 4% glutaraldehyde를 이용하여 전 고정하였다. 2% osmium tetroxide (OSO4, 2%)를 사용해서 후 고정하였다. propylene oxide로 치환, EPON resin으로 조직 내의 탈수 용매를 채워주었다. 60℃에서 포매, 중합하고 ultramicrotome로 300 nn 두께의 절편을 제작하여 toluidine blue로 염색하였다. 에너지 여과 투과전자현미경(EF-TEM, Leo 912AB, Carl Zeiss Inc., Germany)을 사용하여 간, 지방조직의 임상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만모델동물에서 간, 지방세포의 임상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결과의 새로운 발견은 김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비만모델동물에서 간 및 지방세포의 크기가 줄었다는 사실이었다. 간 및 지방세포의 크기는 CD와 비교할 때 HFD, HFDCK, HFDJK의 순서대로 증가하였다. HFD와 HFDCK의 간 세포는 HFDJK에 비해서 더욱 크고 동그란 포말형 지방구의 침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HFD의 간 세포는 지방구가 과도하게 침착되어 동그란 형태의 백색을 나타냈으며 세포 형태의 관찰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세포 소기관의 막과 형태가 불명확 한 지방간의 생성과 함께 지방조직 내 지방세포의 크기가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HFDJK는 HFDCK, HFD와 비교할 때 간 조직 속에서 지방 축적량이 줄어들었고 쿠퍼세포의 활성화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중심정맥 주변의 정상적인 간세포가 잘 나타나고 비만으로 인한 간 손상을 크게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조직에서 관찰한 지방세포의 크기는 HFDJK가 HFDCK, HFD와 비교할 때 현저하게 줄어들어 CD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통계처리
얻어진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version 20.0, IBM Inc., Armonk, NY, USA)을 사용하였다. one-way analysis of variance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써 각 처리구 평균값에 대한 95% 신뢰수준에서의 통계적인 유의차 (P<0.05)를 검증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역 45 내지 10 중량부, 다시마 40 내지 10 중량부, 멸치 30 내지 15 중량부, 디포리 30 내지 15 중량부, 황태 등뼈 30 내지 15 중량부, 구찌뽕나무 20 내지 10 중량부, 엄나무 20 내지 10 중량부, 상황버섯 15 내지 5 중량부, 뽕나무 뿌리 20 내지 10 중량부, 차가버섯 15 내지 5 중량부를 각각 5분 내지 4시간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절인 배추, 고춧가루, 마늘, 대파, 쪽파, 양파, 생강, 부추, 무, 미나리, 참깨, 돌갓, 당근, 새우젓, 까나리 액젓, 울금 가루, 배즙, 사과, 흑미가루, 찹쌀가루, 대봉 감, 청각 가루, 표고버섯 가루, 차가버섯 가루 및 소금을 포함하는 주재료에 상기 육수를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와 상기 육수는 9:1 내지 7:3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주재료는 김치 제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절인 배추 65 내지 80 중량부, 마늘 2 내지 3.84 중량부, 대파 1 내지 2 중량부, 쪽파 0.5 내지 1 중량부, 양파 0.5 내지 1 중량부, 생강 2 내지 3 중량부, 부추 0.5 내지 1 중량부, 무 2.75 내지 4 중량부, 미나리 0.14 내지 0.5 중량부, 참깨 0.13 내지 0.5 중량부, 돌갓 1.64 내지 3.4 중량부, 고춧가루 5.86 내지 8 중량부, 당근 0.14 내지 0.3 중량부, 새우젓 0.12 내지 0.2 중량부, 까나리 액젓 0.12 내지 0.3 중량부, 울금 가루 0.12 내지 0.25 중량부, 배즙 0.15 내지 0.72 중량부, 사과 0.13 내지 0.3 중량부, 흑미가루 0.12 내지 0.24 중량부, 찹쌀가루 0.12 내지 0.250 중량부, 대봉 감 0.77 내지 1.85 중량부, 청각 가루 0.27 내지 1.5 중량부, 표고버섯 가루 0.3 내지 0.4 중량부, 차가버섯 가루 0.4 내지 0.5 중량부 및 소금 0.2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김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는 생새우, 낙지 젓, 전복 및 생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김치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의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로부터 추출된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 추출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동결건조 분말, 압착 추출액, 열수 추출액 또는 유기용매 추출액인 것인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 추출물.
  8. 제6항의 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90101181A 2019-08-19 2019-08-19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KR102078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81A KR102078509B1 (ko) 2019-08-19 2019-08-19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PCT/KR2020/010973 WO2021034077A1 (ko) 2019-08-19 2020-08-18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81A KR102078509B1 (ko) 2019-08-19 2019-08-19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509B1 true KR102078509B1 (ko) 2020-02-17

Family

ID=6967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181A KR102078509B1 (ko) 2019-08-19 2019-08-19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8509B1 (ko)
WO (1) WO20210340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077A1 (ko) * 2019-08-19 2021-02-25 최복남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KR102624331B1 (ko) * 2023-03-21 2024-01-11 김세환 젓갈 김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073A (ko) * 2007-09-19 2009-03-24 성병훈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용 조성물
KR20110006556A (ko) * 2009-07-13 2011-01-20 육태웅 꾸지뽕김치 그 제조방법
KR101023449B1 (ko) * 2009-11-06 2011-03-25 괴산군 풋고추 배추말이 물김치의 제조방법
KR20110123905A (ko) * 2010-05-10 2011-11-16 경상남도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양념 조성물
KR101172353B1 (ko) 2010-04-19 2012-08-14 조민형 다이어트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69229B1 (ko) * 2014-01-23 2014-03-04 이규명 백하수오 김치양념 및 그 제조방법과 그 백하수오 김치양념이 배합된 김치
KR20140092983A (ko) * 2013-01-17 2014-07-25 김순영 꾸지뽕 효소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160022961A (ko) * 2014-08-20 2016-03-03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을 위한 경구투여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09B1 (ko) * 2019-08-19 2020-02-17 최복남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073A (ko) * 2007-09-19 2009-03-24 성병훈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용 조성물
KR20110006556A (ko) * 2009-07-13 2011-01-20 육태웅 꾸지뽕김치 그 제조방법
KR101023449B1 (ko) * 2009-11-06 2011-03-25 괴산군 풋고추 배추말이 물김치의 제조방법
KR101172353B1 (ko) 2010-04-19 2012-08-14 조민형 다이어트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3905A (ko) * 2010-05-10 2011-11-16 경상남도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양념 조성물
KR20140092983A (ko) * 2013-01-17 2014-07-25 김순영 꾸지뽕 효소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369229B1 (ko) * 2014-01-23 2014-03-04 이규명 백하수오 김치양념 및 그 제조방법과 그 백하수오 김치양념이 배합된 김치
KR20160022961A (ko) * 2014-08-20 2016-03-03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을 위한 경구투여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077A1 (ko) * 2019-08-19 2021-02-25 최복남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KR102624331B1 (ko) * 2023-03-21 2024-01-11 김세환 젓갈 김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4077A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204B1 (ko) 당뇨병 또는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KR102078509B1 (ko)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KR20130020095A (ko) 멀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JP5066725B2 (ja) 脂肪吸収阻害剤、脂肪蓄積抑制剤又は脂肪燃焼促進剤
JP4432069B2 (ja) 肥満抑制剤
KR20180011021A (ko)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079954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suaeda japonica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diabetes
KR20160049732A (ko) 여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식품 소스 및 기능성 발효 음료
JP3628999B2 (ja) 苦瓜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692604B1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08163004A (ja) 脂肪蓄積抑制剤
JP2008163003A (ja) 脂肪吸収阻害剤
JP2015182987A (ja) 抗炎症剤
KR20190046245A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0903185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 d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KR101257329B1 (ko)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62887B1 (ko) 다래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163005A (ja) 脂肪燃焼促進剤
KR20160133914A (ko) 오미자 추출 원액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 원액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