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169B1 -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169B1
KR102078169B1 KR1020180103161A KR20180103161A KR102078169B1 KR 102078169 B1 KR102078169 B1 KR 102078169B1 KR 1020180103161 A KR1020180103161 A KR 1020180103161A KR 20180103161 A KR20180103161 A KR 20180103161A KR 102078169 B1 KR102078169 B1 KR 10207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ehicle
content
output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토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토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토브
Priority to KR102018010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는 차량의 인도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 차량의 차도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차량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고, 제2 디스플레이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Y CONSIDERING THE TRAFFIC LAN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와 이미지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기의 이용 확산과 디지털 광고 콘텐츠시장의 성장으로 디지털 광고 콘텐츠의 중요성이 증가하였고, 디지털과 멀티 플랫폼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광고 콘텐츠 역시 디지털 광고 콘텐츠 위주로 급격하게 재편되었다.
디지털 광고 콘텐츠는 종래에 페이퍼 형태로 출력되었던 기존의 아날로그 광고 콘텐츠와는 달리 그래픽 처리된 다양한 영상과 음성을 결합하여 제공될 수 있고, 일정 시간 동안의 광고 콘텐츠를 통해 많은 스토리나 메시지 및 이미지 등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로 하여금 호기심이나 관심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고 콘텐츠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광고 콘텐츠의 다양한 장점과 광고 콘텐츠 효과로 인해, 기존 아날로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던 광고주들이 아날로그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광고 콘텐츠로 재편하여 TV,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대상을 홍보하였다.
또한, 디지털 광고 콘텐츠의 다양한 장점과 광고 효과로 인해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곳에서도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버스, 지하철 및 택시와 같이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대중교통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콘텐츠 출력 장치를 설치하고, 설치된 콘텐츠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출력함으로써, 대중교통 승객들이 이동중에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손쉽게 접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택시의 택시 표시등과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하여 택시가 주행하면서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택시 표시등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하여 동영상 타입의 디지털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식의 경우, 다른 차선에서 운전 중인 운전자들의 시선을 장시간 몰입하게 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가 운전자의 안전운전 시야의 각도를 벗어나기 때문에 전방을 주시하지 못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디지털 광고 콘텐츠의 효과를 유지하되, 다른 차선에서 운전중인 운전자들이 운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151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른 차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주행 상태와 같이 차량의 환경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 또는 이미지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라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콘텐츠를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는, 차량의 인도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차도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차량이 차로를 변경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소재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는, 차량의 인도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차도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 대한 교통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로의 교통정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교통정체로 인해 정차 상태 또는 기 설정된 제1 기준속도 이하의 저속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고속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초고속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좌회전 주행 상태 및 우회전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운전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인도측 방향에 구비된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차도측 방향에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인도측에 구비된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차도측에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에서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택시 표시등과 결합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택시 표시등과 결합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택시 표시등과 결합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가 차로에 따라 동작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110), 제2 디스플레이(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주행 정보와 같이 차량의 상태 정보와 조도 및 날씨와 같이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환경에 대한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택시 표시등과 결합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택시 표시등과 결합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4는 택시 표시등과 결합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택시의 상단에 설치되는 택시 표시등과 결합되거나 택시 표시등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택시의 상단에 설치되어 택시 표시등의 기능과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는 택시 표시등과 결합되거나 택시 표시등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제1 디스플레이(110)는 인도측 방향으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분리된 제2 디스플레이(120)는 차도측 방향으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된 제1 디스플레이(110)는 조수석측 차문에 설치될 수 있고, 분리된 제2 디스플레이(120)는 운전석측 차문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만이 택시 표시등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택시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가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110)가 인도측 방향으로 콘텐츠를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120)가 차도측 방향으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는 동영상 콘텐츠 또는 이미지 콘텐츠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 가능한 가공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일 수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는 동영상 타입의 광고 콘텐츠일 수 있고, 이미지 콘텐츠는 스틸 이미지 타입의 광고 콘텐츠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는 후술되는 제어부(1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하기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는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및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저장부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와 후술되는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음성 콘텐츠를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고, 후술되는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2)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하기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2)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사 서버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는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정면이 차량(1)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는 인도측 방향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차도측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는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분에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되어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는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나,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의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좌우측면을 가득 채우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부는 후술되는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1) 또는 차량(1)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구비된 GPS 센서로부터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1차로를 주행하던 차량(10)의 위치가 한 차로을 이동한 만큼 위치가 변경되면, 제어부(130)는 차량(1)이 2차로을 주행 중이라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위치 센서로부터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1)에 설치된 블랙박스와 같은 촬영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1)에 설치된 블랙박스와 같은 촬영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스틸 이미지형태로 수신하고, 수신된 스틸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및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30)에서 차량(1)의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이나 차량(1)으로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차량(1)의 차선 정보를 직접 입력 받는 방식으로 차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및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 중 두개 이상의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제어부(130)에서 판단한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의 결과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을 통해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하고,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의 방법으로 판단된 차로가 정확한 결과값인지를 검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30)가 차량(1)의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든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근접 센서, 레이저 센서, 라이다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근접 센서, 레이저 센서, 라이다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이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의 차로 판단 방식을 이용하여 판단된 현재 차량(1)이 주행중인 차로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할 콘텐츠를 각각 선택하고, 제어부(130)가 각각 선택한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도측 방향에 구비된 제1 디스플레이(110)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고, 차도측 방향에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차량(1)이 주행중인 차로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콘텐츠가 출력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가 차로에 따라 동작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1(a) 및 1(d))이 우측에 인도(P)가 인접한 2차로(R1및 R4)을 주행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차량(1(a) 및 1(d))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차량(1(a) 및 1(d))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및 차량(1(a) 및 1(d))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현재 차량(1(a) 및 1(d))이 2차로(R1및 R4)을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차량(1(a) 및 1(d))이 주행중인 2차로(R1및 R4)가 인도(P)와 인접한 차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인도(P)측 방향으로 구비된 제1 디스플레이(110)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도측 방향으로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a) 및 1(d))에 설치된 콘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통해 차량(1(a) 및 1(d))의 좌측 차로를 주행중인 차량(1(b) 및 1(c))의 운전자의 운전이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도(P)를 통행하는 보행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어 콘텐츠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1(b) 및 1(c))이 인도(P)와 인접하지 않은 1차로(R2 및 R3)을 주행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차량(1(b) 및 1(c))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차량(1(b) 및 1(c))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및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현재 차량(1(b) 및 1(c))이 1차로(R2 및 R3)을 주행하고 있다는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부(130)는 차량(1(b) 및 1(c))이 주행중인 차로가 인도(P)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모두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가 다른 차로에서 운전중인 운전자를 방해할 여지가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서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다른 차로를 주행하고 있는 차량(1)의 운전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효과를 유지하되, 콘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로 인해 장시간 시선을 뺏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및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1)의 차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1)이 주행중인 차로를 변경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소재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소재는 콘텐츠의 내용을 형성하는 재료를 의미한다. 일 예로,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인 경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소재는 광고 콘텐츠에서 광고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가 광고대상 A에 대한 광고 콘텐츠인 경우, 동영상 콘텐츠의 소재는 광고 대상 A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출력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1)이 1차로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광고 대상A에 대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및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1)의 차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고 대상A에 대한 이미지 콘텐츠를 광고 대상B에 대한 이미지 콘텐츠로 변경하여 출력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와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사람들의 시선을 끌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차량(1)에 구비된 제어 시스템 또는 차량(1)의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콘텐츠 출력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및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및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저장부는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및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마다 각각 가중치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및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마다 각각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및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는 빈도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저장부에 제1 내지 4 동영상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고, 제1 내지 4 동영상 콘텐츠에 각각 1 내지 4의 가중치가 순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내지 4 동영상 콘텐츠를 1:2:3:4의 비율로 출력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총 100번의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동영상 콘텐츠 10번, 제2 동영상 콘텐츠 20번, 제3 동영상 콘텐츠 30번 및 제4 동영상 콘텐츠 40번을 출력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및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변경 주기를 설정하고, 콘텐츠 변경 주기에 따라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및 복수의 이미지 콘텐츠를 변경하여 출력하되, 차량(1)이 주행하는 차로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변경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이 3차선 도로를 주행중인 경우, 중앙선과 인접한 1차로의 콘텐츠 변경 주기를 1분으로 설정할 수 있고, 2차로의 콘텐츠 변경 주기를 30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인도와 인접한 3차로의 콘텐츠 변경 주기를 10초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1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1분 간격으로 제어하여 출력되는 이미지 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1)이 2차로로 차선변경을 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30초 간격으로 제어하여 출력되는 이미지 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한 3차로로 차선변경을 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10초 간격으로 제어하여 출력되는 이미지 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차량(1)이 콘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많이 접할 수 있는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일 때 콘텐츠 변경 주기를 짧게 함으로써, 인도에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종류 및 다양한 소재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텐츠 출력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인 경우,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다양한 광고 콘텐츠를 빠르게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 대상의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의 주행 상태는, 차량이 지속적으로 이동하고 있는 주행 상태, 차량(1)이 이동하지 않는 정차 상태 및 차량(1)이 정차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주차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가 변화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을 주행 상태, 정차 상태 및 주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 변화량을 이용하여 차량(1)의 주행 상태 및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제어부(130)는 차량(1)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속도 이하인 경우, 차량(1)을 저속 주행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차량(1)의 속도가 제2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고속 주행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속도가 제3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초고속 주행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속도는 속도에 따른 차량(1)의 주행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속도를 의미하며, 저속 주행 상태의 기준이 되는 제1 기준속도, 고속 주행상태의 기준이 되는 제2 기준속도 및 초고족 주행 상태의 기준이 되는 제3 기준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속도, 제2 기준속도 및 제3 기준속도는 순차적으로 큰 값을 가지며,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관리자에 따라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위치의 변화가 없는 상태가 어느 정도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조향 방향에 따라 좌회전 주행 상태, 우회전 주행 상태 및 후진 주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으로부터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 시동 온/오프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차량(1)의 기어 상태 등 차량(1)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차량(1)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교통체증에 의해 차량(1)의 주행 상태가 정차 상태 또는 저속 주행 상태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차로에서 운전중인 운전자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에 의해 시선이 뺏겨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콘텐츠 출력 장치(100)가 구비된 차량(1)뿐만 아니라 다른 차로에서 주행중이던 차량이 함께 정차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콘텐츠 출력 장치(100)가 외부 서버(2)로부터 수신한 교통상황 정보를 토대로, 현재 차량(1)이 주행중인 도로에 교통체증이 심한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1)이 장시간 정차중이거나 기 설정된 제1 기준속도 이하의 저속 주행 상태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주변에 정차중인 차량의 운전자의 시선을 끌어 콘텐츠 출력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교통상황 정보를 토대로 교통체증이 완화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차량(1)의 속도가 제1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주행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2)는 도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도로공사 서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초고속 주행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량(1)이 고속도로와 같은 공간에서 초고속 주행을 하는 경우에 운전중 다른 행동을 하거나 다른 곳을 보는 경우, 찰나의 순간에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고속도로와 같은 공간에서 초고속 주행을 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다른 차로에서 운전중인 운전자가 콘텐츠에 의해 운전을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고, 콘텐츠 출력으로 인핸 사고 발생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좌회전 주행 상태 및 우회전 주행 상태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1)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직진 주행시보다 위험 요소가 많기 때문에 전방 주시를 더욱 집중해서 수행해야 한다. 이때, 콘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동영상 콘텐츠 또는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게 되면, 콘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 의해 시선을 뺏겨 자칫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주행을 할 때, 다른 차로에서 주행중이거나 차량(1)과 함께 다른 차량이 함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차량(1)이 좌회전 주행 상태 또는 우회전 주행 상태에서 직진 주행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차량(1)이 주행중인 차로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각각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따라 좌회전 또는 우회전 하는 경우, 인도측 방향에 구비된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서는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고 차도측 방향에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서는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주차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1)이 주차 상태인 경우에 장시간 동안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게 되면,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많은 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비해야 하기 때문에,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콘텐츠 출력 장치(100) 또는 차량(1)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를 과도하게 소비하여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1)이 인적이 드문 지하 주차장과 같은 공간에 차량(1)이 주차된 경우, 장시간 동안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더라도 콘텐츠 출력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주차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이미지 콘텐츠를 게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30)는 차량(1)이 주차 상태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모두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에 정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차량(1)이 정차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를 이미지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1)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차량(1)이 주차 상태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차량(1)이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에서 기 설정된 제1 기준속도 이하의 저속으로 주행중인 저속 주행 상태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가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120)가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1)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고속 주행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10)가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이 제2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고속 주행 상태인 경우, 행인이나 주정차된 차량 또는 저속 주행중인 차량을 빠르게 지나치게 때문에,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를 식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이 제2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고속 주행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10)가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고속 운전 상태인 경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가 모두 출력되지 않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가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여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식별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콘텐츠를 출력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1)이 주행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1)이 주행중인 속도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속도는 차량(1)이 고속 주행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2 기준속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 출력 장치(100)를 이용하는 관리자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 새로운 기준속도 값일 수 있다.
차량(1)이 일정 속도를 초과하는 고속 주행 상태가 되면, 주차 또는 정차된 차량에 탑승중인 운전자나 행인들이 콘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제대로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에 대한 식별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영역은 복수의 콘텐츠마다 각각 설정된 핵심 포인트(중요 포인트)일 수 있고, 제어부(130)는 차량(1)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복수의 콘텐츠마다 각각 설정된 핵심 포인트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속도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확대하는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1)의 속도에 따라 고속 주행 상태의 단계를 분할 할 수 있고, 분할된 고속 주행의 단계에 따라 확대하는 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이 70km/h로 주행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콘텐츠를 2배 확대할 수 있고, 차량(1)이 90km/h로 주행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콘텐츠를 3배 확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차량(1)이 주행중인 차로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확대하는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2배로 확대할 수 있고, 차량(1)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3배로 확대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로고(LOGO)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1)의 속도가 제2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고속 주행 상태인 경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로고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사람들이 콘텐츠 출력 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든 적용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인도측 및 차도측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아날로그 콘텐츠 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콘텐츠 제공부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아날로그 콘텐츠는 프린팅 장치를 통해 프린팅된 페이퍼 형태의 콘텐츠를 의미한다. 제어부(130)는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주변 조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제대로 식별하기 어려운 환경인 경우, 아날로그 콘텐츠 제공부를 제어하여 아날로그 콘텐츠를 게시함으로써, 콘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차량(1)으로부터 현재 차량(1)이 주행중인 차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S110), 차량(1)이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한다(S120). 이때,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및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차선을 판단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판단한 차량(1)이 현재 위치한 차로가 인도와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S130단계에서 차량(1)가 현재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콘텐츠 출력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120)가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40).
만약, S130단계에서 차량(1)이 현재 위치한 차선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전술한 콘텐츠 출력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몇몇 실시예는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차량의 인도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차도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중이고, 상기 차량 이외의 차량이 상기 차량의 제2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위치에서 주행중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다가,
    상기 차량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하도록 차로를 변경하고, 상기 차량 이외의 차량이 상기 차량의 제2 디스플레이를 시청할 수 있는 차로에서 주행중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경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중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차량이 차로를 변경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소재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 대한 교통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로의 교통정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 또는 기 설정된 제1 기준속도 이하의 저속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고속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초고속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좌회전 주행 상태 및 우회전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어떠한 콘텐츠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운전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크기를 조절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12. 콘텐츠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인도측 방향에 구비된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차도측 방향에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인도와 인접하지 않은 차로를 주행중이고, 상기 차량 이외의 차량이 상기 차량의 제2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위치에서 주행중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서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다가,
    상기 차량이 인도와 인접한 차로를 주행하도록 차로를 변경하고, 상기 차량 이외의 차량이 상기 차량의 제2 디스플레이를 시청할 수 있는 차로에서 주행중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미지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경되는 콘텐츠 출력 방법.
  13. 삭제
KR1020180103161A 2018-08-31 2018-08-31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207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61A KR102078169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61A KR102078169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192A Division KR20200026220A (ko) 2020-02-11 2020-02-11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169B1 true KR102078169B1 (ko) 2020-02-17

Family

ID=6967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161A KR102078169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16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515A (ko) 2004-04-21 2005-10-24 주식회사 유니버스애드 대중교통 수단의 차량 내외부 영상 기록 기능을 갖는멀티미디어 상업광고 출력장치 및 방법
JP2013203327A (ja) * 2012-03-29 2013-10-07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101490218B1 (ko) * 2013-12-05 2015-02-05 (주)미산전자 차량 탑재용 광고장치
KR20150097826A (ko) * 2014-02-17 2015-08-27 김재문 부가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택시 기반 실시간 광고 시스템
JP2017139602A (ja) * 2016-02-03 2017-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動画再生装置
US20180053215A1 (en) * 2016-08-22 2018-02-22 Venia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gital advertising campaigns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for example including autonomous vehicles
KR101871819B1 (ko) * 2017-08-18 2018-06-28 송지을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515A (ko) 2004-04-21 2005-10-24 주식회사 유니버스애드 대중교통 수단의 차량 내외부 영상 기록 기능을 갖는멀티미디어 상업광고 출력장치 및 방법
JP2013203327A (ja) * 2012-03-29 2013-10-07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101490218B1 (ko) * 2013-12-05 2015-02-05 (주)미산전자 차량 탑재용 광고장치
KR20150097826A (ko) * 2014-02-17 2015-08-27 김재문 부가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택시 기반 실시간 광고 시스템
JP2017139602A (ja) * 2016-02-03 2017-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動画再生装置
US20180053215A1 (en) * 2016-08-22 2018-02-22 Venia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gital advertising campaigns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for example including autonomous vehicles
KR101871819B1 (ko) * 2017-08-18 2018-06-28 송지을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857B1 (ko)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US11854393B2 (en) Road hazard communication
US98091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driver distraction of a head-up display (HUD) in a vehicle
US202103748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road sign personalization
JP6253417B2 (ja) 車両情報表示制御装置
TWI388803B (zh) 具有簡化顯示模式之導航系統及其顯示方法
JP6443716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5976457A (zh) 用于指示车辆行车动态的方法和装置
US10274727B2 (en) Device controlling range of vision
JP2014202859A (ja) 広告表示装置、広告表示方法並びに広告表示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US8773458B2 (en) Method of and computer implemented system for generating a junction view image
JP2022169621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等
JP7437630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車両
CN101726313A (zh) 具有简化显示模式的导航***及其显示方法
US11840173B2 (en) External facing communica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CN108665556B (zh) 一种基于混合现实的路政指示显示方法及存储介质
CN105809095A (zh) 交通路口通行状态的确定
JP2019040634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EP4009301A2 (en) Road side service unit, traffic prompt device, traffic prompt system and method
US983586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display apparatus
KR102078169B1 (ko)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JPWO2019224972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制御方法
DE102018200099A1 (de)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Informationen an einer Außenseite eines Fahrzeugs
Ananya et al. Semi-Automted IoT Vehicles
CN114450558A (zh) 使用基础结构性能的路线选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