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997B1 -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997B1
KR102073997B1 KR1020140140436A KR20140140436A KR102073997B1 KR 102073997 B1 KR102073997 B1 KR 102073997B1 KR 1020140140436 A KR1020140140436 A KR 1020140140436A KR 20140140436 A KR20140140436 A KR 20140140436A KR 102073997 B1 KR102073997 B1 KR 102073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ushion
flooring
flooring materia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237A (ko
Inventor
조봉규
성재완
박성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4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9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층으로서 탄성PLA층을 구비하는 쿠션바닥재의 하부에 하부보강재를 적층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무독성, 친환경의 효과를 제공함과 아울러, 특히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의 소리 및 진동의 전달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래로부터 쿠션층(105), 인쇄층(113), 탄성PLA층(11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포함하는 쿠션바닥재(100); 및 상기 쿠션바닥재(100)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보강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바닥재를 구성하는 표면층으로서 탄성PLA층을 적용함으로써 표면층 상부에 위치하는 표면처리층이 마모되어 표면층이 노출되더라도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무독성, 친환경의 쿠션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쿠션바닥재의 하부보강재로 쿠션층이 적층됨에 따라 완충효과 및 차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쿠션바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외관적으로도 미려하고, 다양한 기능들, 특히 차음 및 쿠션성을 부여해줌으로써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Elastic floor sheet having elastic doubler}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층으로 탄성PLA층을 구비하는 쿠션바닥재의 하부에 하부보강재를 적층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무독성, 친환경의 효과를 제공함과 아울러, 특히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의 소리 및 진동의 전달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은 물론 친환경적인 제품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일례로, 주거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바닥재는 점차 친환경 및 차음성능을 부여해줄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이러한 바닥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질 등의 규제 또한 점차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5494호로 선 출원된 바닥재는 PVC 소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종래의 바닥재는 아래로부터 이면층, 쿠션층, 치수보강층, 인쇄층, 투명층, 표면처리층의 순서로 적층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닥재는 주로 PVC 소재가 사용됨에 따라 프탈레이트계 등과 같은 유독성 가소제를 포함하고, 소각폐기 또는 화재 발생시에 환경호르몬 및 유독가스(염화수소) 등의 유해 물질을 방출한다. 매립 폐기시에는 자연환경 하에서 거의 영구적으로 잔존함에 따라 환경 부담을 유발하는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는 상면에 표면처리층이 형성되어 있어 긁힘 및 오염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처리층이 점차 마모되어 사라지게 된다. 이 경우 그 하부에 적층 형성된 투명층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며, 이러한 PVC재질의 투명층이 인체에 직접 맞닿게 되는 경우 방출되는 유해물질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파트 등과 같은 생활공간에서의 층간 소음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 법규(주택건설법 등)도 점차 강화되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강화마루는 사용품질 문제로 인해 그 사용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고, PVC시트로 된 바닥재의 시장 역시 정체이며, 층간 소음 이슈로 쿠션성이 높은 고후도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생분해성이며 독성 가소제를 요하지 않는 수지인 폴리유산(PLA)과 아크릴계 탄성체를 포함한 복합수지로 표면층을 구성함으로써, 표면층 상부에 위치하는 표면처리층이 마모되어 상기 표면층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쿠션바닥재의 하부에 하부보강재를 더 적층해줌으로써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는, 아래로부터 쿠션층, 인쇄층, 탄성PLA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포함하는 쿠션바닥재; 및 상기 쿠션바닥재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PLA층은, 아크릴계 탄성수지와 폴리유산의 혼합비가 100 : 1 - 1 : 100 인 복합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탄성수지는,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와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하드 세그멘트 : 소프트 세그멘트가 20 내지 40 : 80 내지 60 중량%의 범위 이내의 혼합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드 세그멘트는 80 내지 120℃의 범위 이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이고, 상기 소프트 세그멘트는 -60 내지 -20℃의 범위 이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헵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메타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바람직하게 메틸메타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i-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아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바람직하게 n-부틸아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수지는, 상기 폴리유산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활제 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PLA층의 상부에는, 표면처리층;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과 탄성PLA층 사이에는, 투명층;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는, 유색층;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층의 하부에는, 표면 눌림강도를 보강해주는 중지층;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는, 치수안정층;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층과 치수안정층의 사이에는,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간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수안정층은, PVC졸에 함침시킨 유리섬유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층의 하부에는, 밸런스층;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층의 하부에는, 부가기능층;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재는, 수지 발포체 또는 고무 발포체인 것을 포함하며, 상기 수지 발포체는 원료수지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재는, 상기 쿠션바닥재의 가장자리에 L자형으로 노출되는 접착면을 가지도록 적층되어, 이웃하는 다른 바닥재의 쿠션바닥재 저면을 상기 접착면 상에 배치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재는, 적어도 제1, 2쿠션층으로 상하 이등분되되, 상기 제2쿠션층이 제1쿠션층의 가장자리에 L자형으로 노출되는 접착면을 가지도록 적층되어, 이웃하는 다른 바닥재의 제1쿠션층 저면을 상기 접착면 상에 배치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재의 저면에는, 충격완충용 요철;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쿠션바닥재를 구성하는 표면층으로서 탄성PLA층을 적용함으로써 표면층 상부에 위치하는 표면처리층이 마모되어 표면층이 노출되더라도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무독성, 친환경의 쿠션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쿠션바닥재의 하부에 하부보강재가 적층됨에 따라 완충효과 및 차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외관적으로도 미려하고, 다양한 기능들, 특히 차음 및 쿠션성을 부여해줌으로써 경량충격음은 물론 생활 중량소음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구체적인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일 실시예,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다양한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원활한 시공을 위해 접착면이 구비된 타일 형태로 형성된 바닥재의 일 실시예,
도 11은 도 10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원활한 시공을 위해 접착면이 구비된 타일 형태로 형성된 바닥재의 다른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보강재의 저면에 충격완충용 요철이 형성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구체적인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일 실시예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1)는, 아래로부터 쿠션층(105), 인쇄층(113), 탄성PLA층(11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포함하는 쿠션바닥재(100)와, 상기 쿠션바닥재(100)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보강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쿠션바닥재(100)를 구성하는 적층구조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쿠션층(105)은 쿠션바닥재(100)의 하부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쿠션층(105)은 쿠션바닥재(100)로서 어느 정도의 볼륨감 및 쿠션을 부여해줄 수 있도록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층(105)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예비가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 변성올레핀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EVA) 또는 열가소성 우레탄수지(TPU)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션층(105)의 조성은, 중합도가 1000 내지 1700인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비가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300중량부, 변성 올레핀수지 0.1 내지 20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EVA) 또는 열가소성 우레탄수지(TPU) 5 내지 100중량부, 가소제 30 내지 85중량부, 발포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발포제 2 내지 6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층(105)은 발포 오븐(Oven)을 통해 열처리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인쇄층(113)은 후술할 탄성PLA층(117)과 더불어 쿠션바닥재(100)의 상부구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쇄층(113)은 쿠션바닥재(100)에 다양한 인쇄무늬를 부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쇄층(113)은 인쇄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층에 전사인쇄, 그라비아인쇄 또는 스크린인쇄를 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사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선택적으로, 인쇄무늬가 형성된 필름 또는 종이 등을 합지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쇄층은 인쇄를 통해 무늬를 부여해주게 되어, 심미감이 우수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탄성PLA층(117)은 유해한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은 생분해성, 친환경 수지로 이루어져 쿠션바닥재(100)의 물성을 향상시켜줌과 아울러 차음 및 쿠션성을 부여해줄 수 있으며, 그 하부의 인쇄층(113)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탄성PLA층(117)은 그 위에 형성된 표면처리층이 마모되어 탄성PLA층(117)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유해물질의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탄성PLA층(117)은 캘린더(calender) 성형, 캐스팅(casting)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성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캘린더 성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 이상의 롤(roll) 사이에 원료를 압연시켜 시트 또는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성형방법이다. 캐스팅 성형은 박리가 쉬운 내열성이 우수한 이형지에 합성수지 졸을 다층으로 코팅한 후 라미네이션하는 성형방법이다. 블로우 성형은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 용융하여 압출기에서 튜브상으로 연속적으로 압출한 파리손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금형에 끼워 넣어 닫고 그 상하를 봉한 뒤 맨드렐에서 파리손 안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팽창시키면 파리손은 그 금형 내벽에 밀착시켜서 중공 용기제품을 만드는 성형방법이다. 압출성형은 기재의 표면에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기 사용하여 가열 용융하여 유동상태로 한 뒤 T다이에서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동시에 연속으로 압착하는 성형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캘린더 성형의 경우, 여타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첨가제 등의 성분의 함량의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우수한 유연성,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가공성, 안착성 및 용융 효율을 가지는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원재료비의 절감도 가능하므로, 캘린더 성형공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PLA층(117)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투명한 탄성PLA층(117)은 복합수지를 구성하는 폴리유산(PLA) 및 상기 아크릴계 탄성수지들 각각이 투명한 상태로 가공될 수 있는 수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들을 혼합하여도 여전히 투명한 복합수지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 기초하며, 투명한 탄성PLA층(117)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인쇄층(113)을 통해 심미감 있는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PLA층(117)을 폴리유산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폴리유산은 치수안정성이 좋지 않아 수축, 뒤틀림 등 변형이 심하게 일어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물성이 적절치 못하게 될 수 있다.
둘째, 폴리유산은 하절기와 같은 고온 조건 하에서는 블록킹 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권취된 상태에서 필름끼리 서로 들러붙어 잘 풀리지 않고, 이에 따라 이를 사용하여 바닥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셋째, 폴리유산은 가공온도 범위가 좁아(130 내지 150℃) 가공성이 낮으며, 따라서 이를 사용하여 바닥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넷째, 폴리유산은 사용온도 범위가 좁아(20 내지 35℃) 바닥재에 적용하기가 까다로우며, 위 사용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즉, 20℃ 이하에서는 지나치게 경화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동절기에 쉽게 파손될 수 있고, 35℃ 이상에서는 탄성을 잃어 지나치게 연화되는 경향이 있어,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바닥재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성PLA층(117)은 아크릴계 탄성수지와 폴리유산의 혼합비(중량비)를 100 : 1 - 1 : 100, 바람직하게는 95 : 5 - 30 :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0 - 40 : 60 로 혼합한 복합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탄성 및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재 제조에 유용한 탄성PLA층(117)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탄성수지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된 경우, 상기한 바의 폴리유산의 바닥재로서의 사용 시의 단점 즉, 낮은 치수안정성, 고온 블록킹의 문제, 협소한 가공온도 범위 및 사용온도 범위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충분치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탄성PLA층(117)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탄성수지는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와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 또는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는 소프트 세그멘트를 코어로, 하드 세그멘트를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의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소프트 세그멘트를 포함하는 코어를 제조한 후, 하드 세그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을 제조한다. 상기 코어 및 쉘은 유화중합이나 현탁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의 분리나 가공이 용이한 현탁중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소프트 세그멘트와 하드 세그멘트로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소프트 세그멘트 양단에 하드 세그멘트를 결합한 트리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저온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각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를 리빙 중합(living polymerization)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리빙 중합은, 예를 들면, 유기 알칼리금속화합물을 중합개시제로 하고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 등의 광산염 존재 하에서 음이온 중합하는 방법,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을 중합개시제로 하고 유기 알루미늄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음이온 중합하는 방법, 유기 희토류 금속 착체를 중합 개시제로서 중합하는 방법, α-할로겐화 에스테르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구리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라디칼 중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다가 라디컬 중합개시제나 다가 라디칼 연쇄이동제를 이용하여, 각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를 중합시켜, 블록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제조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공중합체가 고순도로 얻을 수 있고 또 분자량 분포가 좁은, 즉, 내충격성, 내열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올리고머나,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고분자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하고,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음이온 중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이소부틸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 알루미늄, 이소부틸비스(2,6-디-t-부틸 페녹시) 알루미늄, 이소부틸비스[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 페녹시)]알루미늄, n-옥틸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n-옥틸 비스(2,6-디-t-부틸페녹시) 알루미늄, n-옥틸비스[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녹시)]알루미늄, 트리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트리스(2,6-디페닐페녹시)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이소부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이소부틸비스(2,4-디-t-부틸페녹시)알루미늄, n-옥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또는 n-옥틸비스(2,4-디t-부틸페녹시) 알루미늄이, 중합 활성, 블록 효율 등의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드 세그멘트 : 소프트 세그멘트가 20 내지 40 : 80 내지 60 중량%의 범위 이내,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 75 내지 65 중량%의 범위 이내의 혼합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PLA층(117)에 탄성을 부여하면서도 바닥재의 원료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기계적인 물성, 특히 내마모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드 세그멘트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의 범위 이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이고, 상기 소프트 세그멘트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의 범위 이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헵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메타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i-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아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부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탄성수지는 잔존 모노머나 올리고머 등 저분자량 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용융점도가 낮아 유동성이 높고, 용액의 점도가 낮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량이 적으며, 뛰어난 내후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극성수지와의 상용성 및 접착성이 양호하여 하부에 선택적으로 PVC 같은 합성수지층이 위치할 경우 접착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쿠션바닥재는 탄성PLA층(117)으로 상기와 같은 아크릴계 탄성수지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탄성, 유연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고, 소프트한 터치감을 부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복합수지는 상기 폴리유산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활제 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로는 바닥재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상용화된 고급지방산들이 될 수 있다.
하부보강재(200)는 쿠션바닥재(100)의 하부에 적층되어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의 소리 및 진동의 전달을 최대한 차단하여 층간소음을 저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보강재(200)는 발포체, 바람직하게는 수지 발포체 또는 고무 발포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어 '발포제'는 수지 또는 고무 원료에 발포제를 혼합하고 발포경화시켜 성형된 것으로서, 내부에 다수의 미세 기공들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수지 발포체의 경우 원료수지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등이 주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무 발포체 역시 상기 수지 발포체와 동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원료로서 수지 대신 고무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발포에 의해 내부에 다수의 미세 기공들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체는 통상적으로 단열성, 흡성, 경량성, 완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통형이나 판형으로 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하부보강재(200)는 쿠션바닥재(100)와 동일 유사하게 판형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판형의 쿠션바닥재(100)와 동일한 크기로 제단하고, 상기 쿠션바닥재(100)의 하부에 적층되어 구성된다. 규격이나 형상에 제한이 없으나, 시공 편의를 위하여 통상의 타일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보강재(200)는 7 ~ 3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량 충격음 개선(△20dB 이상) 및 생활 중량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는 쿠션바닥재(100)가 다양한 적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쿠션바닥재(100)의 다양한 적층구조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쿠션바닥재(100)는 필수 구성인 쿠션층(105)과 인쇄층(113) 및 탄성PLA층(117)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아래로부터 밸런스층(103), 쿠션층(105), 간지층(107), 치수안정층(109), 인쇄층(113), 투명층(115), 탄성PLA층(117), 표면처리층(119)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쿠션층(105), 인쇄층(113) 및 탄성PLA층(117)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반복되는 설명은 모두 피하기로 한다.
상기 밸런스층(103)은 쿠션층(105)의 하부에 적층되어 쿠션바닥재(100) 상하부의 전반적인 휨(curling) 발란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런스층(103)은 쿠션층(105)과 동일한 조성의 폴리염화비닐과 충진제(즉, 탄산칼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간지층(107)은 치수안정층(109)과 쿠션층(105)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간지층(107)은 발포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쿠션층(105)과 동일한 조성의 폴리염화비닐과 충진제(즉, 탄산칼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수안정층(109)은 쿠션바닥재(100)의 치수안정성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지층(107)에 의해 쿠션바닥재(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지층(107)을 매개로 하여 쿠션층(105)과 인쇄층(113)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치수안정층(109)은 PVC졸로 함침처리된 유리섬유(glass fiber),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PVC졸로 함침하는 것은 유리섬유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러한 치수안정층(109)이 쿠션층(105)과의 합판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PVC졸은 중합도가 1200 내지 1700인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 가소제로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ioctylterephthalate : DOTP) 또는 디옥틸프탈레이트 (Dioctylphthalate : DOP) 50 내지 100중량부, 에폭시화대두유 1 내지 3 중량부, 바륨-아연계 열안정제 2 내지 6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80중량부,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탄 5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115), 바람직하게는 투명층(115)은 탄성PLA층(117)과 함께 적용되어 탄성PLA층(117)의 두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투명층(115)의 재료인 PVC 또는 PET 등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비싼 탄성PLA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고, 그에 의하여 상기 쿠션층 상에 형성되는 투명층 전체가 탄성PLA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기능 및 외관 상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투명층(115)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중 선택된 하나의 수지로 제조한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이 우수한 투명 폴리염화비닐 또는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처리층(119)은 탄성PLA층(117)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으며, 특히 쿠션바닥재(100)의 표면에 초기 오염방지 기능, 즉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표면처리층(119)은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코팅액을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열경화성 화합물의 경우, 표면처리층(119)을 형성하기 위하여 열을 가할 때, 열에 의하여 그 하부에 위치되는 다른 층들, 특히 탄성PLA층(117)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광경화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화성 화합물로는 가교반응이 가능한 불포화 결합기 등과 같은 1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나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크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티오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은 예시적으로 나열된 것이고,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광경화성 화합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에는 광경화성 화합물과 용매 이외에도 광중합 개시제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안정제, 레벨링제 등 하드 코팅층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첨가제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층(119)은 연필 경도에 의하여 측정된 표면 경도가 7H 이상인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 표면의 표면 경도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H 내지 8H 범위에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표면처리층(119)을 구성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은 통상의 광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구조를 갖는 바닥재는 밸런스층(103)이 0.1 내지 0.2㎜, 쿠션층(105)이 0.3 내지 3.0㎜(발포 전 두께), 간지층(107)이 0.05 내지 0.60㎜, 치수안정층(109)이 0.32 내지 0.38㎜, 투명층(115)이 0.1 내지 0.7㎜, 탄성PLA층(117)이 0.1 내지 0.2㎜ 그리고 표면처리층(119)이 20 내지 40㎛의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층들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는 총 두께 약 4.5㎜가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쇄층(113)은 인쇄에 의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그 두께를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얇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두께가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되는 바닥재의 총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얇아 그 두께를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 밸런스층(103)과 투명층(115)은 생략가능하다. 다만, 상기 투명층(115)이 생략되는 경우 탄성PLA층(117)이 더 두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탄성PLA층(117)의 두께는 0.2 내지 1.0㎜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바닥재(100)는 상기한 바의 필수적인 기본 구성으로서 쿠션층(105)과 인쇄층(113) 및 탄성PLA층(117)에 더해,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부가기능층(101), 쿠션층(105), 간지층(107), 치수안정층(109), 인쇄층(113), 투명층(115), 탄성PLA층(117), 표면처리층(119)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의 밸런스층(103) 대신 상기 부가기능층(101)이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며,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모두 피하기로 한다.
상기 부가기능층(101)은 바람직하게는 쿠션층(105)의 하부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층(101)은 통상의 직포, 편물, 부직포가 될 수 있으며, 직포, 편물 또는 부직포들은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또는 이들을 혼방한 혼섬사를 직조한 직포이거나, 편직한 편물이거나 또는 니들펀칭 등의 공지의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닥재의 외관, 특히 바닥재의 이면(바닥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제품을 고급화하고, 시장가치를 높이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바닥재의 바닥과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바닥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층구조를 갖는 상기 바닥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기능층(101)이 0.1 내지 0.2㎜, 쿠션층(105)이 0.3 내지 3.0㎜(발포 전 두께), 간지층(107)이 0.05 내지 0.60㎜, 치수안정층(109)이 0.32 내지 0.38㎜, 투명층(115)이 0.1 내지 0.7㎜, 탄성PLA층(117)이 0.1 내지 0.2㎜ 그리고 표면처리층(119)이 20 내지 40㎛의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 부가기능층(101)과 투명층(115)은 생략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탄성PLA층(117)의 두께는 0.2 내지 1.0㎜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바닥재(100)는 상기한 바의 필수적인 기본 구성으로서 쿠션층(105)과 인쇄층(113) 및 탄성PLA층(117)에 더해, 아래로부터 밸런스층(103), 쿠션층(105), 치수안정층(109), 유색층(111), 인쇄층(113), 투명층(115), 탄성PLA층(117), 표면처리층(119)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색층(111)은 인쇄층(113)을 보조하여 인쇄층(113)에 형성된 무늬의 배경이 되는 바탕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유색층(111)은 인쇄층(11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발포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쿠션층(105)과 동일한 조성의 폴리염화비닐과 충진제(즉, 탄산칼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구조를 갖는 상기 쿠션바닥재(100)는 바람직하게 밸런스층(103)이 0.1 내지 0.2㎜, 쿠션층(105)이 0.3 내지 3.0㎜(발포 전 두께), 치수안정층(109)이 0.32 내지 0.38㎜, 유색층(111)이 0.1 내지 0.2㎜, 투명층(115)이 0.1 내지 0.7㎜, 탄성PLA층(117)이 0.1 내지 0.2㎜ 그리고 표면처리층(119)이 20 내지 40㎛의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 밸런스층(103), 투명층(115), 표면처리층(119)은 생략가능하다. 다만, 상기 투명층(115)이 생략되는 경우 탄성PLA층(117)이 더 두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탄성PLA층(117)의 두께는 0.2 내지 1.0㎜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바닥재(100)는 상기한 바의 필수적인 기본 구성으로서 쿠션층(105)과 인쇄층(113) 및 탄성PLA층(117)에 더해, 아래로부터 부가기능층(101), 쿠션층(105), 치수안정층(109), 인쇄층(113), 투명층(115), 탄성PLA층(117), 표면처리층(119)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적층구조를 갖는 상기 쿠션바닥재(100)는, 바람직하게 부가기능층(101)이 0.1 내지 0.2㎜, 쿠션층(105)이 0.3 내지 3.0㎜(발포 전 두께), 치수안정층(109)이 0.32 내지 0.38㎜, 투명층(115)이 0.1 내지 0.7㎜, 탄성PLA층(117)이 0.1 내지 0.2㎜ 그리고 표면처리층(119)이 20 내지 40㎛의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가기능층(101)과 투명층(115)은 생략가능하다. 다만, 상기 투명층(115)이 생략되는 경우 탄성PLA층(117)이 더 두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탄성PLA층(117)의 두께는 0.2 내지 1.0㎜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밸런스츠(103), 쿠션층(105), 간지층(107), 치수안정층(109), 중지층(110), 유색층(111), 인쇄층(113), 투명층(115), 탄성PLA층(117) 및 표면처리층(119)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지층(110)은 쿠션바닥재(100)의 표면 눌림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부가기능층(101), 밸런스층(103), 쿠션층(105), 간지층(107), 치수안정층(109), 유색층(111), 인쇄층(113), 투명층(115), 탄성PLA층(117) 및 표면처리층(119)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의 상기 탄성PLA층(117)을 대신하여 아크릴탄성층(11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아크릴탄성층(116)은 탄성PLA층(117)에 포함되는 복합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탄성수지와 동일 및/또는 유사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의 원활한 시공을 위해 접착면이 구비된 타일 형태로 형성된 바닥재의 일 실시예이고, 도 11은 도 10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는 복수를 연이어 중첩되게 배치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접착면(A)이 구비된 구조로 제작하여, 바닥재(1)의 간편하면서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바닥재 시공시 기존의 까다로운 접착제 도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바닥재의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고, 필요시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는, 하부보강재(200)가 쿠션바닥재(100)의 가장자리에 L자형으로 노출되는 접착면(A)을 가지도록 적층되어, 이웃하는 다른 바닥재의 쿠션바닥재(100) 저면을 상기 접착면(A) 상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재(1)는 가로×세로가 대략 1 ~ 2m 내외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보강재(200)가 적어도 제1, 2쿠션층(210)(220)으로 상하 이등분되되, 상기 제2쿠션층(220)이 제1쿠션층(210)의 가장자리에 L자형으로 노출되는 접착면(A)을 가지도록 적층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바닥재의 제1쿠션층(210) 저면을 접착면(A) 상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보강재(200)의 저면에는 바닥재(1)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충격완충용 요철(2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밸런스층(103), 쿠션층(105), 간지층(107), 치수안정층(109), 인쇄층(113), 투명층(115), 탄성PLA층(117) 및 표면처리층(119)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쿠션바닥재(100)를 제조하되, 상기 탄성PLA층(117)은 폴리유산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계 탄성수지 30중량부 및 활제로서 상용화된 고급지방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두께 0.1㎜로 제조된 것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를 총 두께 4.5㎜를 갖도록 제조하였다.
아울러 쿠션바닥재(100)의 하부에 10mm 두께의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하부보강재(200)를 적층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투명층(115)을 사용하지 않고, 탄성PLA층(117)으로서 두께 0.8㎜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투명층(115)과 상기 탄성PLA층(117) 대신 이들 두 층의 두께의 합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하여 PVC층만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닥재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의 바닥재와 상용화된 바의 투명층(115)이 표면층을 구성하는 비교예 1의 TVOC(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을 비교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VOC 방출량의 측정방법은 환경부 고시 제2010-24호, 실내공기질공정시험 기준 소형챔버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는 질량분석기/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MS/HPLC)에 연결된 소형챔버 내에 시험재료인 바닥재의 시편을 투입하고, 방출되는 TVOC가 상기 소형챔버에 의해 수집되어 상기 질량분석기/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TVOC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다른 시험조건으로는 실제 생활환경 시에 바닥재가 처하는 조건으로서, 이때 온도는 주변온도(약 25℃)이었으며, 동일한 온도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편들을 시험하여 객관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의 TVOC 방출량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분 TVOC(㎎/㎡·h) 측정방법
비교예 1 0.246 실내공기질 공정시험기준 소형챔버법
실시예 1 0.079
실시예 2 0.06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비교예 1의 바닥재에 비해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차음성능을 비교한 시험자료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차음성능 시험은 KS F 2810-2(중량충격음 시험조건)에 따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바닥재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맨바닥을 대상으로, 비교예 1은 상기 대조군의 맨바닥에 비교예 1의 바닥재를 설치한 것을 대상으로, 그리고 실시예 1은 상기 대조군의 맨바닥에 실시예 1의 바닥재를 설치한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분 차음성능(㏈) 측정방법
측정값 감쇄량
대조군 55 - KS F2810-2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현장측정방법-표준중량충격원에 의한 방법)
비교예 1 53 △2
실시예 1 53 △2
실시예 2 53 △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는 대조군에 비해 중량충력 차음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 :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100 : 쿠션바닥재
101 : 부가기능층 103 : 밸런스층
105 : 쿠션층 107 : 간지층
109 : 치수안정층 110 : 중지층
111 : 유색층 113 : 인쇄층
115 : 투명층 116 : 아크릴탄성층
117 : 탄성PLA층 119 : 표면처리층
200 : 하부보강재 210 : 제1쿠션층
220 : 제2쿠션층 230 : 요철
A : 접착면

Claims (23)

  1. 아래로부터 부가기능층(101), 쿠션층(105), 인쇄층(113), 하드 세그멘트 : 소프트 세그멘트가 20 내지 40 : 80 내지 60 중량%의 범위 이내의 혼합비를 갖는 아크릴계 탄성수지와 폴리유산의 혼합비가 100 : 1 - 1 : 100 인 복합수지를 포함하는 탄성PLA층(11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포함하는 쿠션바닥재(100); 및
    상기 쿠션바닥재(100)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보강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보강재(200)는 두께가 7-30mm인 수지 발포체 또는 고무 발포체인 것이고,
    상기 수지 발포체는 원료수지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탄성수지는,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와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체의 공중합체인 것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세그멘트는 80 내지 120℃의 범위 이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이고, 상기 소프트 세그멘트는 -60 내지 -20℃의 범위 이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n-부틸아크릴레이트인 것인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113)의 하부에는,
    유색층(111);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113)의 하부에는,
    PVC졸에 함침시킨 유리섬유 부직포로 제조된 치수안정층(109);이 적층된 것을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재(200)는,
    상기 쿠션바닥재(100)의 가장자리에 L자형으로 노출되는 접착면(A)을 가지도록 적층되어,
    이웃하는 다른 바닥재의 쿠션바닥재(100) 저면을 상기 접착면(A) 상에 배치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재(200)는,
    적어도 제1, 2쿠션층(210)(220)으로 상하 이등분되되, 상기 제2쿠션층(220)이 제1쿠션층(210)의 가장자리에 L자형으로 노출되는 접착면(A)을 가지도록 적층되어,
    이웃하는 다른 바닥재의 제1쿠션층(210) 저면을 상기 접착면(A) 상에 배치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재(200)의 저면에는,
    충격완충용 요철(230);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KR1020140140436A 2014-10-17 2014-10-17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KR102073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36A KR102073997B1 (ko) 2014-10-17 2014-10-17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36A KR102073997B1 (ko) 2014-10-17 2014-10-17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37A KR20160045237A (ko) 2016-04-27
KR102073997B1 true KR102073997B1 (ko) 2020-02-05

Family

ID=5591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436A KR102073997B1 (ko) 2014-10-17 2014-10-17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632B1 (ko) 2022-08-04 2022-11-14 주식회사 제이포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펠트 소재 충진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334B1 (ko) * 2016-06-29 2018-03-20 주식회사 에코인슈텍 층간소음 방지 특성이 우수한 저방사 단열바닥재 제조방법
KR102453651B1 (ko) * 2018-11-06 2022-10-12 (주)엘엑스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3376B1 (ko) * 2019-05-17 2022-09-14 (주)엘엑스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KR102609298B1 (ko) * 2019-05-17 2023-12-05 (주)엘엑스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WO2020235859A1 (ko) * 2019-05-17 2020-11-26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KR102448445B1 (ko) * 2020-04-29 2022-09-30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다층 바닥장식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1147A1 (ja) * 2005-05-13 2006-11-16 Kaneka Corporation 生分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820B1 (ko) * 2009-11-12 2017-02-10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용 수지 조성물
KR20110103808A (ko) * 2010-03-15 2011-09-21 (주)엘지하우시스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pla 바닥재
US8171691B1 (en) * 2011-03-03 2012-05-08 Tower Ipco Company Limited Floor member with cork substr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1147A1 (ja) * 2005-05-13 2006-11-16 Kaneka Corporation 生分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632B1 (ko) 2022-08-04 2022-11-14 주식회사 제이포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펠트 소재 충진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37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997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JP6338225B2 (ja) クッション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14555B1 (ko)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3744924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10704270B2 (en) Rigid multilayer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10526798B2 (en) Custom-made covering panels by digital printing of base panels
KR102128607B1 (ko) 다층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7250B1 (ko)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
US9650483B2 (en) Carrier plate for decorative panel
KR102017912B1 (ko) 표면층으로 탄성층을 구비한 쿠션바닥재
JP2019120014A (ja) 内装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0078A (ko) 수지를 피복 코팅한 섬유 원사로 만든 직물을 사용한바닥장식재
KR102038157B1 (ko)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521B1 (ko) 펄 필러 또는 mma칩을 포함하는 탄성층을 구비한 쿠션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6985874B2 (ja) 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65195B1 (ko) 표면층으로 탄성층을 구비한 쿠션바닥재
KR20160037417A (ko) 복합수지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09371A (ko) 입체효과를 가지는 바닥장식재
NL2013100B1 (en) Panel suitable for installation of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KR20130106014A (ko) Pla 수지를 이용한 쿠션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7247B1 (ko)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
US20230007825A1 (en) Floo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