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926B1 - 스페이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스페이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926B1
KR102070926B1 KR1020190055395A KR20190055395A KR102070926B1 KR 102070926 B1 KR102070926 B1 KR 102070926B1 KR 1020190055395 A KR1020190055395 A KR 1020190055395A KR 20190055395 A KR20190055395 A KR 20190055395A KR 102070926 B1 KR102070926 B1 KR 10207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nector
cone
outsi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이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근 filed Critical 이재근
Priority to KR102019005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apertured web, e.g. tr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Screw connections with axis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볼; 내측에 관통홀을 갖는 원뿔형의 콘이 연결파이프의 개방된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는 멤버; 나사부가 형성된 일단이 상기 콘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이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몸체부를 이루며, 타단에 마련되는 헤드부가 상기 콘의 내측면에 걸리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볼트; 상기 연결볼트의 몸체부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볼트의 돌출된 일단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볼트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는 보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장치를 통해 연결볼트의 회전을 위한 슬리브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브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와 연결된 구성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스 프레임{SPACE FRAME}
본 발명은 스페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트러스 구조(Truss structure)를 이루기 위한 스페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스 프레임은 입체 트러스 공법의 일종으로서, 대형 시설물인 체육관, 수영장, 전시장, 공장, 창고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지붕 프레임을 비롯하여, 철탑, 교량, 상징탑 등 여러 분야의 대형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스페이스 프레임은 길이가 긴 원통형 강관의 양쪽 선단부에 콘부재를 일체로 용접한 상현재, 하현재 및 경사재 등의 멤버부재를 구성하고, 멤버부재의 끝단에 마련되는 볼트를 볼부재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멤버부재와 볼부재가 서로 결합된다. 즉, 멤버부재를 볼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트러스 구조가 완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스 프레임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95346호(2013.08.15) "스페이스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로드와,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며, 일측에 관통되게 지지홀이 형성된 커버부재와, 일단부가 커버부재 외부로 돌출되게 지지홀에 삽입되며, 타단부에는 커버부재에 지지되는 헤드부가 마련된 고정부재와, 커버부재와 헤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 내부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가 마련된 암유닛과; 외주면에 암유닛들의 고정부재 일단부가 나사결합되어 구조물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실링부를 통해 로드 내로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시켜 로드의 부식이나 동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페이스 프레임은 연결부재와 슬리브 사이, 슬리브와 커버부재 사이 및 슬리브의 관통구 등을 통해 슬리브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고정부재는 물론, 이와 연결된 연결부재나 커버부재의 내부가 함께 부식되기 때문에 이의 구성들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연결부재와 슬리브 사이 및 슬리브와 커버부재 사이에 실링부재나 개스킷 등을 배치하더라도 고정부재를 감싸는 슬리브가 항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슬리브의 관통구를 통해 슬리브의 내부로 물이 쉽게 유입될 수 있고, 물이나 습기 등과의 접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슬리브의 외면이 쉽게 부식될 수 있었다.
특히, 슬리브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부환경 요인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외력에 의해 쉽게 회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동회전되는 고정부재가 연결부재로부터 점차적으로 이탈되면서 전술한 연결부재와 슬리브 사이 및 슬리브와 커버부재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이의 빈틈을 통해 물이 슬리브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심각하게는 고정부재와 연결부재의 체결이 해제되어 트러스 구조가 무너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5346호(2013.08.15) "스페이스 프레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리브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스페이스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외주면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볼; 내측에 관통홀을 갖는 원뿔형의 콘이 연결파이프의 개방된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는 멤버; 나사부가 형성된 일단이 상기 콘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이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몸체부를 이루며, 타단에 마련되는 헤드부가 상기 콘의 내측면에 걸리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볼트; 상기 연결볼트의 몸체부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볼트의 돌출된 일단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볼트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는 보호장치;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연동회전하는 상기 연결볼트를 통해 상기 멤버를 상기 연결볼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기 보호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개방된 타측에 상기 연결볼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 상기 연결볼트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콘의 관통홀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3 체결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연장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링 형태를 이루고,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슬리브나 상기 제2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일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지지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신축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밀착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수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폐쇄유지부; 및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슬리브로부터 벗어나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 노출시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개방유지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단턱 내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걸림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홈에 걸리는 제1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2 걸림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홈에 걸리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연결볼과 상기 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대체되는 상기 연결볼트의 길이에 맞춰 상기 연결볼과 상기 콘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내측에 상기 슬리브가 출입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유격홈; 및 교체되는 상기 연결볼트의 길이에 맞춰 상기 연결볼트의 몸체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유격홈에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볼트로부터 제거되는 유격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유격홈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유격링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커넥터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는 장공 형태의 제2 체크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연결볼트의 조임상태를 확인하는 확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확인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는 장공 형태의 제1 체크홀; 및 일단이 상기 제1 체크홀을 지나 상기 연결볼트의 일측에 관통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체크홀 내에 배치되는 핀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확인수단은 상기 제1 체크홀 내에서 이동되는 상기 핀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연결볼트의 조임상태를 확인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보호장치의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공간에 방생되는 열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방출되도록 하는 방열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보호장치의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외부로 개방된 상태를 이룰 경우, 이물질이 상기 방열홀을 통해 상기 멤버의 연결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에 의하면, 보호장치를 통해 연결볼트의 회전을 위한 슬리브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브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와 연결된 구성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차단부재에 의해 슬리브가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이루는 경우, 외부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외력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외부환경 요인에 의한 연결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에 의해 슬리브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경우, 작업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즉, 스페이스 프레임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슬리브에 마련되는 제1 체크홀을 통해 연결볼트의 풀림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물이 제1 체크홀을 통해 연결볼트나 이에 연결된 구성들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볼과 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때, 대체되는 연결볼트의 길이에 맞춰 유격링의 개수를 가감시킴에 따라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슬리브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유격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볼과 콘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차단부재가 신축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차단부재를 통해 슬리브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연결볼과 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볼(100), 멤버(200), 연결볼트(300), 슬리브(400) 및 보호장치(500)를 포함한다.
연결볼(100)은 후술할 멤버(200)가 다각도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 형상으로, 외면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홀(110)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11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볼(100)의 체결홀(110)은 스페이스 프레임(10)을 이용한 트러스 구조물의 설계 조건 및 목적에 따라 위치 및 개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멤버(200)는 스페이스 프레임(10)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파이프(230) 및 콘(210)을 포함한다.
연결파이프(230)는 연결볼(100)과 다른 연결볼(10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강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연결파이프(23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결파이프(230)는 양측이 개방된 개구를 형성하고, 이의 개구에 후술할 콘(210)이 제각기 연결될 수 있는데, 용접이음을 통해 콘(210)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콘(210)과의 분리를 위하여 나사체결 방식을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파이프(230)는 후술할 연결볼트(300)가 내외부로 출입하기 위하여,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출입홀(2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홀(231)은 별도로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통해 개폐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콘(210)은 후술할 연결볼트(300)를 구비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연결파이프(230)의 둘레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는 각뿔 형태를 이루고, 내측에 연결볼트(300)의 일부분이 관통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 관통홀(21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211)은 연결볼트(300)의 일부분 직경이 이루는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연결볼트(300)의 헤드부(350) 직경이 이루는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볼트(300)의 일단이 관통홀(211)에 삽입되어 콘(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연결볼트(300)의 헤드부(350)가 콘(210)의 내측에 걸려 콘(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관통홀(21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제2 커넥터(5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체결부(513)가 나사결합되기 위함이다.
연결볼트(300)는 전술한 멤버(200)를 연결볼(10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부(330)와 이의 일단에 마련되는 나사부(310) 및 몸체부(330)의 타단에 마련되는 헤드부(350)를 갖는 통상적인 볼트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는 다각면의 둘레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슬리브(400)의 내측에 마련되는 중공(410)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어 슬리브(400)의 중공(410)에 삽입된 상태로 슬리브(400)와 일체적으로 연결되기 위함이다.
여기서, 연결볼트(300)는 전술한 연결파이프(230)의 출입홀(231)을 통해 콘(210)의 관통홀(211)에 삽입되거나 연결파이프(2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콘(210)의 관통홀(211)에 직접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볼트(300)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310)와 이에 인접하는 몸체부(330)의 일부분이 콘(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헤드부(350)가 콘(210)의 내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콘(210)의 관통홀(21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볼트(300)는 후술할 슬리브(400)에 의해 회전되면서 일단에 마련된 나사부(310)가 연결볼(100)의 체결홀(110)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결볼(100)에 연결되는 후술할 보호장치(500)의 제1 커넥터(510)의 제1 체결부(511)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리브(4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500)를 기존에 사용하던 연결볼(100)에 연결하기 위함으로, 후술할 조립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는 설정된 다양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트러스 구조의 전체적인 설계에 맞춰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되기 위함이다. 예컨대,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가 이루는 설정된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된 길이에서부터 후술할 보조링이 이루는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축소된 길이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된 길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제각기 성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의 몸체부(330)의 길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설정된 길이로 단계별로 더 길게 성형될 수도 있다.
슬리브(400)는 연결볼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강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자세하게는, 슬리브(400)는 내측에 전술한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중공(410)이 마련되고, 외주면이 다각형의 둘레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400)는 중공(410)으로 전술한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가 삽입됨에 따라 중공(410)의 내주면과 몸체부(330)의 외주면이 정합 상태로 서로 지지되므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4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연결된 연결볼트(3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연결볼트(300)의 조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수단(700)은 제1 체크홀(710) 및 핀부재(730)를 포함한다.
제1 체크홀(710)은 연결볼트(3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 전술한 슬리브(40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중공(410)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는 장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크홀(710)은 후술할 핀부재(730)가 관통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핀부재(7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
핀부재(730)는 연결볼트(3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면에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드라이버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핀부재(730)는 제1 체크홀(7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제1 체크홀(710)을 통해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홈(300a)에 나사결합되면서, 타단이 제1 체크홀(710) 내에 배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핀부재(730)는 연결볼트(300)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어 슬리브(400)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볼트(300)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작업자는 연결볼트(300)의 조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핀부재(730)는 제1 체결홀(110) 내에 배치된 상태로, 제1 체결홀(110)의 범위내에서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연결된 연결볼트(300)가 제1 체결홀(110)의 범위내에서만 이동도록, 연결볼트(3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수 있다. 즉, 핀부재(730)는 후술할 조립과정 후, 연결볼트(3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이상, 연결볼트(300)가 제1 커넥터(5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장치(500)는 전술한 슬리브(400)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커넥터(510), 제2 커넥터(520), 이동부재(530) 및 차단부재(54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510)는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개방된 타측에 연결볼(100)의 체결홀(110)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부(511)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 연결볼트(300)의 나사부(310)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부(513)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며, 끝단 둘레를 따라 개방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단턱(5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넥터(510)는 제1 체결부(511)가 연결볼(100)의 체결홀(110)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됨에 따라 연결볼(10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넥터(510)는 외주면 일부분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행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이의 평행면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커넥터(510)가 연결볼(10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조이기 위함이다.
한편, 연결볼(100)과 제1 커넥터(510)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연결볼(100)과 제1 커넥터(510) 사이로 물이나 습기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커넥터(520)는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태를 이루되, 외주면 일측에 전술한 콘(210)의 관통홀(211)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체결부(521)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연장되는 지지부(527)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넥터(520)는 내주면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가 전술한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가 이룰 수 있는 직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룰 수 있고, 지지부(527)를 기준으로 제3 체결부(521)의 타측이 이루는 외경의 크기는 전술한 슬리브(400)의 외주면 둘레가 이룰 수 있는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커넥터(520)는 제3 체결부(521)가 콘(210)의 관통홀(211) 내측으로 나사결합되어 연결됨에 따라 콘(21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커넥터(520)는 지지부(527)의 끝단 외주면 일부분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행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이의 평행면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커넥터(520)가 콘(21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조이기 위함이다.
한편,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와 콘(210) 사이에는 전술한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제2 커넥터(520)와 콘(210) 사이로 물이나 습기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부재(530)는 후술할 차단부재(540)를 신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동부재(530)는 외주면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가 제1 케넉터의 단턱(515) 내주면이 이루는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룰 수 있고, 내주면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가 제2 커넥터(520)의 외주면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530)는 내측을 관통하는 슬리브(400)나 제2 커넥터(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재(530)는 탄성변형가능한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을 이룰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로 제1 커넥터(510)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이동부재(5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탄성부재(5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제1 커넥터(510)의 개방된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 그대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530)는 파지부(531)가 마련될 수 있다.
파지부(531)는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이동부재(53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후술할 콘(210)과 마주하는 일측 끝단에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콘(210)이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파지부(531)의 외주면에는 작업자의 손가락과의 마찰이 발생되도록 널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차단부재(540)는 슬리브(400)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신축가능한 자바라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차단부재(540)는 탄성변형가능한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부재(540)는 내측으로 전술한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일단이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이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일측면과 마주하는 이동부재(530)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540)의 양단은 별로 마련되는 접착제 등을 통해 제2 커넥터(520)와 이동부재(530)에 제각기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540)는 작업자에 의해 이동부재(530)가 연결볼트(300)의 길이방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는,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폐쇄하거나, 슬리브(400)를 외부로 노출시켜 슬리브(40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슬리브(400)를 외부로 개방하기 위함이다.
탄성부재(550)는 전술한 이동부재(530)가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5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50)는 내측으로 제2 커넥터(520)나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차단부재(540)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제2 케넉터의 지지부(527)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이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일측면과 마주하는 이동부재(530)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50)의 양단은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일측면과 이동부재(530)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는 홈에 제각기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별도의 접착제 등을 통해 더욱더 견고히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550)는 이동부재(530)의 일측면을 항시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이동부재(530)가 제1 커넥터(510)의 개방된 내측면에 밀착되게 가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이동부재(530)가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된 상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짐과 동시에 탄성복원되면서 이동부재(530)를 다시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밀착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장치(500)는 이동부재(530)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5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유지부(563) 및 개방유지부(563)를 포함한다.
폐쇄유지부(563)는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동부재(530)를 제1 커넥터(510)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걸림홈(561a)과 이동부재(53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제1 걸림홈(561a)에 걸리는 제1 걸림돌기(561b)를 포함한다.
여기서, 폐쇄유지부(563)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또는 탄성부재(550)에 의해 이동부재(530)가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으로 내삽되면서, 제1 걸림돌기(561b)가 제1 걸림홈(561a)에 걸림에 따라 이동부재(53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변형되고, 이 형태 그대로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개방유지부(563)는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로부터 벗어나 슬리브(400)를 외부로 노출시켜 슬리브(40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슬리브(400)를 외부로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동부재(530)를 제2 커넥터(520)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제2 커넥터(520)의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2 걸림홈(563a)과 이동부재(530)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제2 걸림홈(563a)에 걸리는 제2 걸림돌기(563b)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방유지부(563)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이동부재(530)가 제2 커넥터(520)의 외측으로 외삽되면서, 제2 걸림돌기(563b)가 제2 걸림홈(563a)에 걸림에 따라 이동부재(53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로부터 벗어나 중첩된 형태로 변형되고, 이 형태 그대로 슬리브(400)를 외부에 개방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장치(500)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00)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400)는 보호장치(500)를 통해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이루지 않는 한, 항시 외부로부터 폐쇠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슬리브(400)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510)와 제2 커넥터(520) 사이에 별도의 실링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물이나 습기 등이 슬리브(400)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결볼트(300)의 조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슬리브(400)에 제1 체크홀(710)과 같은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이를 통해 물이나 습기 등이 슬리브(400)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리브(400)는 차단부재(540)에 의해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외력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연결볼트(300)의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다양한 연결볼트(300)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볼트(300)의 교체시 이의 길이가 가감됨에 따라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제1 커넥터(510), 제2 커넥터(520) 및 슬리브(40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데, 이의 유격을 제거하기 위한 유격방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격방지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홈(610) 및 유격링(630)을 포함한다.
유격홈(610)은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 제2 커넥터(520)의 제3 체결부(521)가 마련된 타측으로부터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소정 직경을 이루는 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유격홈(610)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는 전술한 슬리브(400)의 외주면이 이룰 수 있는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슬리브(400)가 유격홈(610)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격링(630)은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설정된 두께를 갖는 링 형태를 이루되, 내주면이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 외주면 둘레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외경이 수용홈의 직경이 이루는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유격링(630)의 두께는 전술한 연결볼트(300)가 단계적으로 가감되는 길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유격링(630)은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감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되는 연결볼트(300)의 길이에 맞춰 소정의 개수만큼 가감될 수 있는데, 후술할 조립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제2 체크홀(5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크홀(525)은 전술한 유격홈(610) 내에 구비되는 유격링(630)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520)의 일측 즉, 지지부(527)를 기준으로 마련되는 제3 체결부(521)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수용홈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는 장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크홀(5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를 벗어나 제2 커넥터(520)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체크홀(525)은 제1 체크홀(710)과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520)의 수용홈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기 때문에 물이나 습기 등이 내부로 스며들 수 있으나, 전술한 보호장치(500)에 의해 슬리브(400)와 마찬가지로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차단되어 보호되므로, 물이나 습기 등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방열홀(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홀(800)은 전술한 보호장치(500)의 차단부재(540)에 의해 슬리브(400)가 폐쇄된 상태를 이룰 경우, 이의 폐쇄공간에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로부터 콘(210)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게 관통형성되는 통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방열홀(800)은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내측에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관통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넥터(520)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콘(210)의 관통홀(211) 외측에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방열홀(800)은 지지부(527)나 관통홀(211)의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장공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 커넥터(520)와 콘(210)의 조립시 방열홀(800)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부(527) 및 콘(210)의 일부분에 의해 방열홀(800)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방열홀(800)은 제2 커넥터(520)와 콘(210)의 조립시, 전술한 바와 같은 장공 형태를 이룸에 따라 항시 연장되게 관통된 상태를 이룰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부재(540)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공간에 발생되는 열이 연결파이프(230)로 방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에 의한 차단부재(540)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필터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900)는 전술한 방열홀(800)을 통해 차단부재(540)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공간으로 이무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210)의 일측 즉, 연결파이프(230)와 마주하는 콘(21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쉬망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재(900)는 후술할 조립과정 후, 제1 체크홀(710) 또는 제2 체크홀(525)을 확인하거나,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해당되는 곳에 배치된 슬리브(400)가 외부로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차단부재(540)를 수축시킨다. 이 경우, 외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방열홀(80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데, 필터부재(900)는 이의 이물질을 차단하여 연결파이프(23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연결볼(100)의 체결홀(110)에 제1 커넥터(510)의 제1 체결부(511)를 나사결합한다. 이때, 연결볼(100)과 제1 케넥터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 콘(210)의 관통홀(211)에 제2 커넥터(520)의 제3 체결부(521)를 나사결합한다. 이때, 콘(210)과 제2 커넥터(520)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커넥터(520)의 일측에 차단부재(540)가 이동부재(530)와 함께 고정된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이동부재(530)가 개방유지부(563)를 통해 제2 커넥터(52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 설명하는 스페이스 프레임(10)의 나머지 구성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 콘(210)에 연결파이프(230)가 연결되기 전에 연결볼트(300)를 콘(210)의 관통홀(211)에 삽입하거나, 콘(210)에 연결파이프(230)가 연결된 후에 출입홀(231)을 통해 연결볼트(300)를 콘(210)의 관통홀(211)에 삽입하고,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가 제2 커넥터(520)의 내부를 지나도록 삽입하면서 제2 커넥터(520)의 몸체부(330) 일부분을 제2 커넥터(520)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다음, 전술한 연결볼트(300)의 길이에 맞춰 유격링(630)을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에 외삽하면서 유격홈(610) 내에 배치시킨다. 예컨대, 유격링(630)의 개수는 연결볼트(300)의 길이에 맞춰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감될 수 있다.
다음, 슬리브(400)를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에 외삽한다.
다음, 핀부재(730)를 제1 체크홀(710)을 통해 연결볼트(300)의 연결홈(300a)에 나사체결한다.
다음, 연결볼트(300)의 나사부(310)를 제1 커넥터(510)의 제2 체결부(513)에 나사결합한다.
여기서, 슬리브(4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연동회전하는 연결볼트(300)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볼트(300)의 나사부(310)가 제1 커넥터(510)의 제2 체결홈내로 삽입되면서 콘(210)이 연결볼(100)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슬리브(400)의 회전에 의해 연결볼(100)과 콘(210)이 마련된 멤버(200)가 용이하게 연결된다.
다음, 이동부재(530)의 파지부(531)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부재(530)가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내삽되도록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동부재(530)가 폐쇄유지부(563)를 통해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단부재(540)를 신장시켜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지속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보호장치(500)를 통해 슬리브(400)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음에 따라 연결볼트(300)는 물론 이에 연결되는 구성들의 부식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환경 용인으로부터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슬리브(4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연결된 연결볼트(300)의 풀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보호장치(500)를 통해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구성들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이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므로, 스페이스 프레임(10)을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스페이스 프레임 100 : 연결볼
110 : 체결홀 200 : 멤버
210 : 콘 211 : 관통홀
230 : 연결파이프 300 : 연결볼트
400 : 슬리브 410 : 중공
500 : 보호장치 510 : 제1 커넥터
511 : 제1 체결부 513 : 제2 체결부
515 : 단턱 520 : 제2 커넥터
521 : 제3 체결부 527 : 지지부
530 : 이동부재 540 : 차단부재
550 : 탄성부재 560 : 잠금수단
561 : 폐쇄유지부 561a : 제1 걸림홈
561b : 제1 걸림돌기 563 : 개방유지부
563a : 제2 걸림홈 563b : 제2 걸림돌기
600 : 유격방지부 610 : 유격홈
630 : 유격링

Claims (4)

  1. 외주면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볼;
    내측에 관통홀을 갖는 원뿔형의 콘이 연결파이프의 개방된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는 멤버;
    나사부가 형성된 일단이 상기 콘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이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몸체부를 이루며, 타단에 마련되는 헤드부가 상기 콘의 내측면에 걸리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볼트;
    상기 연결볼트의 몸체부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볼트의 돌출된 일단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볼트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는 보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연동회전하는 상기 연결볼트를 통해 상기 멤버를 상기 연결볼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호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개방된 타측에 상기 연결볼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 상기 연결볼트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콘의 관통홀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3 체결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연장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링 형태를 이루고,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슬리브나 상기 제2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일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지지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신축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밀착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수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폐쇄유지부; 및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슬리브로부터 벗어나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 노출시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개방유지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유지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단턱 내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걸림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홈에 걸리는 제1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유지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2 걸림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홈에 걸리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KR1020190055395A 2019-05-13 2019-05-13 스페이스 프레임 KR10207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95A KR102070926B1 (ko) 2019-05-13 2019-05-13 스페이스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95A KR102070926B1 (ko) 2019-05-13 2019-05-13 스페이스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926B1 true KR102070926B1 (ko) 2020-03-02

Family

ID=6980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395A KR102070926B1 (ko) 2019-05-13 2019-05-13 스페이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9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0273A (en) * 1991-07-09 1994-05-10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Joint for truss structure
US5427472A (en) * 1992-10-29 1995-06-27 Ono; Taisaburo Underwater truss structure
KR200329820Y1 (ko) * 2003-07-12 2003-10-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폐열회수보일러의 신축 주름관 단열 구조
KR200346791Y1 (ko) * 2003-11-28 2004-04-08 김태용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부의 육안 확인 가능한 체결부위의부식방지구조
KR101295346B1 (ko) 2011-07-05 2013-08-09 강현구 스페이스 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0273A (en) * 1991-07-09 1994-05-10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Joint for truss structure
US5427472A (en) * 1992-10-29 1995-06-27 Ono; Taisaburo Underwater truss structure
KR200329820Y1 (ko) * 2003-07-12 2003-10-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폐열회수보일러의 신축 주름관 단열 구조
KR200346791Y1 (ko) * 2003-11-28 2004-04-08 김태용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부의 육안 확인 가능한 체결부위의부식방지구조
KR101295346B1 (ko) 2011-07-05 2013-08-09 강현구 스페이스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1863B2 (ja) 弁装置
KR1017385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KR102070926B1 (ko) 스페이스 프레임
US20060059805A1 (en) End cap locking mechanism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es
KR200383524Y1 (ko) 너트 보호캡
KR10186033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US6294734B1 (en) Cable sealing device for consecutive cable ports
KR100586078B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200448227Y1 (ko) 가설 난간용 지주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KR20190116785A (ko) 부식 방지용 볼트 너트 보호캡
JP2008121712A (ja) クランプ装置
KR200493677Y1 (ko) 볼트너트 보호캡
KR101825694B1 (ko) 볼트 풀림 방지장치
JPH0313891A (ja) 原子炉容器のスタッドホール用プラグ
JP7311259B2 (ja) 耐震補修弁の傾き矯正構造
KR200359648Y1 (ko) 볼트·너트 풀림방지 기능 핀
KR101803640B1 (ko) 원터치 클램프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레일링 장치
KR101423905B1 (ko) 케이블의 쌍방향 정착장치
KR200386826Y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CN212926503U (zh) 防护结构
JPH08333718A (ja) 落橋防止装置
KR20140013771A (ko) 작업 및 관리 안전성이 개선된 가로등주
JP4925997B2 (ja) ナット
KR102100482B1 (ko) 전선용 가스차단접속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