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750B1 -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 Google Patents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750B1
KR102070750B1 KR1020190043881A KR20190043881A KR102070750B1 KR 102070750 B1 KR102070750 B1 KR 102070750B1 KR 1020190043881 A KR1020190043881 A KR 1020190043881A KR 20190043881 A KR20190043881 A KR 20190043881A KR 102070750 B1 KR102070750 B1 KR 10207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front cover
housing assembly
main body
proof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교
Original Assignee
최명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교 filed Critical 최명교
Priority to KR102019004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폭 성능을 구비하면서도 면접합 방식이 적용된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1)는,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32) 및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42)를 포함하는 본체(2); 제1 접합부(32)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관통면(24)이 형성되는 전측커버(4); 제2 접합부(42)에 결합되는 후측커버(6); 및 전측커버(4)의 내측에 배치되는 투명부재(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EXPLOSION-PROOF HOUSING ASSEMBLY FOR FLAME DETECTOR}
본 발명은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폭 성능을 구비하면서도 면접합 방식이 적용된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형 건물에는 화재 시 인명 사고 및 재산상 피해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화재탐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화재경보설비는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열, 연기 또는 화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탐지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 의 경보장치에 의해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불꽃감지기는 불꽃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자외선 대역대에 특정 파장을 검출함으로써 작동하는 감지기이다. 불꽃감지기에는 불꽃에서 발생되는 185nm~260nm대역대의 자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자외선 불꽃감지기와, 불꽃에서 발생되는 4.0㎛~5.2㎛대역대의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불꽃 감지기 및 자외선과 적외선을 각각 감지하여 화재발생여부를 동시에 AND회로로 출력시킬 수 있는 복합형 불꽃감지기가 있다.
한편, 불꽃감지기 용기는 방폭성능을 만족해야 하므로 종래 불꽃감지기 용기는 방폭인증을 위하여 나사접합 방식에 의하였다. 나사접합 방식은 방폭인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무리가 없으나 이를 위하여 불꽃감지기 자체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경량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나사접합 방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용기를 제작하기 때문에 용기 내부 용적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91722호 (등록일자: 2009.03.2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나사접합 방식에서 탈피하여 면접합 방식을 통한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면접합 방식을 통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불꽃 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꽃감지기의 센싱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는,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 및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접합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관통면이 형성되는 전측커버; 상기 제2 접합부에 결합되는 후측커버; 및 상기 전측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1 접합면;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측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접합면에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2 접합면;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측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제2 접합면에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측커버의 내측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투명부재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측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측커버의 외측에는, 상기 링부재를 수용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함몰하여 형성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부재를 고정하도록 일측 부분은 상기 투명부재에 밀착하게 상측커버 내에 배치되고, 타측 부분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고정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나사접합 방식에서 탈피하여 면접합 방식을 통한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면접합 방식을 통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불꽃 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불꽃감지기의 센싱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a의 길이방향 단면도(도 2d의 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c는 도 2a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2d는 도 2a의 좌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측커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후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도 3a의 좌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d는 도 3c의 BB'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e는 도 3b의 좌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측커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도 4a의 후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c는 도 4a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d는 도 4c의 CC'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부재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부재를 도시하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도 7a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7c는 도 7b의 DD'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d는 도 7b의 EE'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측면 단면도로서, 도 8의 FF'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는,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 및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접합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관통면이 형성되는 전측커버; 상기 제2 접합부에 결합되는 후측커버; 및 상기 전측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는, 종래 불꽃감지기의 하우징을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시켜 방폭 성능을 확보하였던 것과는 달리, 면접합 방식으로 하우징 조립체를 결합하면서도 방폭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면접합 방식을 채용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나사산의 형성과 회전방식에 의해 불꽃감지기의 하우징을 결합하는 나사결합 방식에 비해 내구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측커버 및 후측커버를 몸체의 양 측에 면접합시키도록 구성되고 개방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내부로의 접근이 쉬워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측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면 일 측에 배치되는 링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투명부재를 통해 하우징 조립체 내부로 유입되는 빛 중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여 불꽃감지기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1)는 본체(2), 전측커버(4), 후측커버(6) 및 투명부재(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에 대하여 양 측에 전측커버(4) 및 후측커버(6)가 면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내부 실장 부품에 대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꽃감지기 설치 후 설치장소에서 작업자가 감도 조절을 행하거나 내부의 보수, 유지 및 관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2)의 양 측에서 내부 부품에 대하여 접근가능하게 형성되므로 비교적 소형인 불꽃감지기 내부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켜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a에는 도 1의 본체(2)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체(2)에는 내부에 수용공간(12)이 마련되고, 양 측에 개구부(22a, 22b)가 형성된다. 본체(2) 내의 수용공간(12)에는 개구부(22a, 22b)를 통해 불꽃감지를 위한 센서 등의 내부 부품들이 실장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양 측 외면에는 접합부(32, 42)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고 구별짓는 목적을 위하여 본체(2)의 양 측에 형성되는 접합부를, 각각, 제1 접합부(32) 및 제2 접합부(42)로 지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체(2)의 제1 접합부(32) 및 제2 접합부(42)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다만,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전측커버(4)가 결합하는 접합부를 제1 접합부(32)라고 지칭하고, 후측커버(6)가 결합하는 접합부를 제2 접합부(42)라고 지칭하여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제1 접합부(32)는 제1 수직부(132) 및 제1 접합면(232)을 포함하고, 제2 접합부(42)는 제2 수직부(142) 및 제2 접합면(242)을 포함한다.
제1 접합부(32)의 제1 수직부(132)는 개구부(22a)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된다. 제1 수직부(132)는 본체(2)의 외면으로부터 본체(2)의 내면을 향하여 절곡된다. 제1 수직부(132)는 본체(2)의 내면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한다. 즉, 제1 수직부(132)를 기점으로 개구부(22a)가 형성된 말단면까지 본체(2)는 감소된 두께로 형성된다.
감소된 두께를 갖는 본체(2)의 부분은 제1 접합면(232)에 해당한다. 또한, 제1 접합면(232)은 전측커버(4)가 면접합하여 결합하게 된다. 제1 접합면(232)은 제1 수직부(132)로부터 수직하게 절곡하여 연장한다.
제1 접합부(32)와 유사하게, 제2 접합부(42)의 제2 수직부(142)는 제2 접합부(42) 측 개구부(22b)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며, 본체(2)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절곡되고, 본체(2)의 내면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한다. 본체(2)는 제2 수직부(142)부터 개구부(22b)가 형성된 말단면에 이르기까지 감소된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감소된 두께로 형성되는 본체(2)의 부분은 제2 접합면(242)에 해당한다. 제2 접합면(242)에는 후측커버(6)가 면접합하여 결합하게 된다. 제2 접합면(242)은 제2 수직부(142)로부터 수직하게 절곡하여 연장한다.
도 2d를 참고하면, 본체(2)의 개구부(22a)의 둘레에는 결합공(52)이 형성된다. 도 2d에는 전측커버(4)가 결합되는 측의 개구부(22a) 둘레에 형성되는 결합공(52)을 도시하고 있으나, 후측커버(6)가 결합되는 측의 개구부(22b)의 둘레에도 결합공(52)이 형성된다. 결합공(52)은 전측커버(4) 및 후측커버(6)가, 각각, 본체(2)의 제1 접합부(32) 및 제2 접합부(42)와 면결합된 뒤 체결부재(예: 접시머리볼트)를 통해 본체(2)와 전측커버(4) 간의 결합력 및 본체(2)와 후측커버(6)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본체(2)에는 장착부(62)가 마련된다. 장착부(62)는 후술하는 장착체(30)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a 내지 3e를 참조하여 전측커버(4)가 설명된다.
전측커버(4)는 본체(2)의 제1 접합부(32)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측커버(4)는 제1 접합면(232)에 면접합을 통해 끼움결합한다. 전측커버(4)에는 제1 접합면(232)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면(14)이 형성된다.
전측커버(4)에는 전측커버(4)의 일부를 관통하는 관통면(24)이 형성된다. 관통면(24)의 일측은 외부에 인접하는 부분이고, 타측은 본체(2)와 인접합 부분이다. 외부에 인접하는 관통면(24)의 일측은 팔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팔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소형인 불꽃감지기 본체(2) 내에서도 충분한 수광각 확보를 할 수 있고, 광량의 집중도가 우수하다.
전측커버(4)의 내측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안착부(34)가 형성된다. 안착부(34)에는 투명부재(8)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안착부(34)는 전측커버(4)의 내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측커버(4)의 외측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함몰하여 형성되는 수용부(44)가 형성된다. 수용부(44)는 후술하는 링부재(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수용부(44)는 링부재(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측커버(4)의 외측면에서 함몰하여 형성된다.
전측커버(4)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결합공(54)이 형성된다. 결합공(54)은 본체(2)에 형성되는 결합공(52)과 정렬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의 결합공(52)과 전측커버(4)의 결합공(54)에는 체결부재가 장착되어 양 자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전측커버(4)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체(134)가 형성되고, 결합체(134)는 안착부(34)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결합체(134)에는 관통공(1134)이 형성된다. 관통공(1134)은 투명부재(8)를 사이에 두고, 후술하는 투명부재(8)를 고정하는 고정링부재(20)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도 4a 내지 4d를 참조하면, 후측커버(6)는 본체(2)의 제2 접합부(42)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측커버(6)는 제2 접합면(42)에 면접합하도록 구성된다. 후측커버(6)에는 제2 접합면(42)과 접합될 수 있는 제2 결합면(16)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측커버(4)의 내측에는 투명부재(8)가 배치된다. 투명부재(8)는 전측커버(4)에 형성되는 외부를 관망하는 투시 부재로서, 투명부재(8)의 재질은 크리스탈 유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성능이 유사한 공지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부재(8)는 전측커버(4)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부(34)에 안착되고, 안착부(34)와 대향하는 측에 투명부재(8)를 고정시키도록 고정링부재(2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고정링부재(20)는 전측커버(4)에 형성되는 결합체(134)에 형성된 관통공(1134)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된다. 고정링부재(20)의 일측 부분은 투명부재(8)에 밀착하게 전측커버(4) 내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 부분은 본체(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설계를 통해 결합구의 배치를 위하여 많은 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을 쉽게 할 수 있다. 즉, 불꽃감지기 자체에 구멍이 많이 형성되면 방폭인증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링부재(20)의 일측은 투명부재(8)에 밀착하게 전측커버(4)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측 부분은 본체(2) 내에 배치되도록 하여 구멍의 생성을 불필요하게 하여 방폭인증의 충족을 가능하게 한다.
도 7a 내지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측커버(4)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부재(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부재(10)는 전측커버(4)에 형성되는 관통면(24)의 일 측에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링부재(1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의 반사 특성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재(10)는 팔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부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형의 불꽃감지기에서 수광각의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링부재(10)에는 금도금이 수행될 수 있다. 팔각 형상의 링부재(10)와 금도금 처리된 링부재(10)는 수광 범위가 집중될 수 있도록 도모한다.
링부재(10)는, 도 7b 내지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10) 및 둘레부(210)를 포함한다. 중공부(110)에는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다. 둘레부(210)는 일정 각도로 절곡하는 절곡면(1210)을 포함한다. 절곡면(1210)은 불필요한 빛이 본체(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집광을 위하여 형성된다. 즉, 링부재(10)에 금도금이 수행되는 경우, 금도금으로 인하여 반사되는 광을 집중하여 수용할 수 있다.
안착부(34) 및 링부재(1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즉, 전측 커버(4) 내의 안착부(34) 및 링부재(10) 사이에는 빈 공간인 간극이 형성된다. 간극에는 에폭시 등의 고착 접착제가 투입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불꽃감지기에 구멍의 형성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 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는 오링(o-ring)일 수 있고, 내압을 실링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1)에는 조립체(1)를 외부 벽체 등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체(30)가 형성된다. 장착체(30)에는 각도조절부재(130)가 형성되어 장착 후 불꽃감지기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2: 본체 4: 전측커버
6: 후측커버 8: 투명부재
10: 링부재 12: 수용공간
14: 제1 결합면 16: 제2 결합면
20: 고정링부재 21: 관통공
22a, 22b: 개구부 24: 관통면
30: 장착체 32: 제1 접합부
34: 안착부 42: 제2 접합부
44: 수용부 52: 결합공
54: 결합공 62: 장착부
110: 중공부 130: 각도조절부재
132: 제1 수직부 134: 결합체
142: 제2 수직부 210: 둘레부
232: 제1 접합면 242: 제2 접합면
1134: 관통공 1210: 절곡면

Claims (9)

  1.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 및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불꽃감지를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내부 부품이 실장되는 본체;
    상기 제1 접합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관통면이 형성되는 전측커버;
    상기 제2 접합부에 결합되는 후측커버;
    상기 전측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투명부재;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외부에 장착가능하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착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1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측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접합면에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측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제2 접합면에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면이 형성되는 것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측커버의 내측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투명부재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측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측커버의 외측에는, 상기 링부재를 수용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함몰하여 형성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를 고정하도록 일측 부분은 상기 투명부재에 밀착하게 상측커버 내에 배치되고, 타측 부분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고정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KR1020190043881A 2019-04-15 2019-04-15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KR10207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81A KR102070750B1 (ko) 2019-04-15 2019-04-15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81A KR102070750B1 (ko) 2019-04-15 2019-04-15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750B1 true KR102070750B1 (ko) 2020-01-29

Family

ID=6932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81A KR102070750B1 (ko) 2019-04-15 2019-04-15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0874A (zh) * 2020-03-23 2020-06-09 泉州市元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安防的监控报警一体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574A (ja) * 1992-10-16 1994-05-13 Hochiki Corp 光電式分離型煙感知器
JP2009008511A (ja) * 2007-06-27 2009-01-15 Hiroshi Sasaki Co検知装置、複合検知装置及び火災警報装置
KR100891722B1 (ko) 2008-02-18 2009-04-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화재 및 연소감지용 불꽃감지기
JP2009301465A (ja) * 2008-06-17 2009-12-24 Nohmi Bosai Ltd 火災警報器
CN101894442A (zh) * 2009-05-13 2010-11-24 鞍点有限责任两合公司 火焰报警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574A (ja) * 1992-10-16 1994-05-13 Hochiki Corp 光電式分離型煙感知器
JP2009008511A (ja) * 2007-06-27 2009-01-15 Hiroshi Sasaki Co検知装置、複合検知装置及び火災警報装置
KR100891722B1 (ko) 2008-02-18 2009-04-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화재 및 연소감지용 불꽃감지기
JP2009301465A (ja) * 2008-06-17 2009-12-24 Nohmi Bosai Ltd 火災警報器
CN101894442A (zh) * 2009-05-13 2010-11-24 鞍点有限责任两合公司 火焰报警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0874A (zh) * 2020-03-23 2020-06-09 泉州市元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安防的监控报警一体器
CN111260874B (zh) * 2020-03-23 2021-08-20 聊城中翔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防的监控报警一体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0387B2 (en) Smoke detector
KR102070750B1 (ko) 불꽃감지기용 방폭 하우징 조립체
JP2005276656A (ja) タンパースイッチ構造及びそのタンパースイッチ構造を備えた防犯用センサ
JP2007257107A (ja) 増設機器を併設した火災警報器
WO2012176028A1 (ja) 火災感知器
JP2013008084A (ja) 火災感知器
US11385211B2 (en) Detector
JP4043204B2 (ja) 火災検知器
TW200941415A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JP6887898B2 (ja) 炎感知器
JP2000339567A (ja) 火災ガス漏れ複合型警報器
JP2009110815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KR101876898B1 (ko) 불꽃 감지기
JP4650455B2 (ja) 煙感知器
TWI725400B (zh) 煙感測器
JP5029224B2 (ja) 自動水栓
CN219285807U (zh) 烟雾探测器
CN220730931U (zh) 一种火焰探测装置
JP2003331701A (ja) エリアセンサ
CN210606022U (zh) 烟感迷宫及烟雾报警器
JP5677084B2 (ja) 警報器取り付け具
JP3114130B2 (ja) 炎式火災感知器
EP4296986A1 (en) Smoke sensor
JP7507638B2 (ja) 炎検知器
CN221125333U (zh) 一种烟感消防报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