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687B1 - 음료용기 캐리어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87B1
KR102069687B1 KR1020190149005A KR20190149005A KR102069687B1 KR 102069687 B1 KR102069687 B1 KR 102069687B1 KR 1020190149005 A KR1020190149005 A KR 1020190149005A KR 20190149005 A KR20190149005 A KR 20190149005A KR 102069687 B1 KR102069687 B1 KR 10206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everage container
development
coupl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471A (ko
Inventor
손준
Original Assignee
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준 filed Critical 손준
Priority to KR102019014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65D71/48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8Foldable carton-boxes simulating, or transformable into, a special configuration, e.g. a car, a house, an ani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료용기 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전개도부를 포함하여 전개도부를 이용하여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1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 상기 하면부의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2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1 전개도부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제2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2 측면부,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 및 상기 2개의 손잡이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2개의 손잡이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멍형태의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중 최단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접힘 가이드선에서 상기 삽입홀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보다 더 길고, 상기 전개도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접힘 가이드선과 수직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2개의 손잡이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2개의 손잡이부 슬릿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손잡이부 슬릿으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과 상기 제1, 제2 손잡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 캐리어{Carrier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수용된 컵 등 음료용기를 복수 개 거치하고도 한 손으로 쉽게 파지하고 운반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에 과한 것이다.
최근 커피, 주스, 차 등 음료의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매장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매장에서 손님이 머물면서 음료를 마시는 것 이외에 음료를 테이크아웃(takeout)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한 명의 손님이 복수의 음료를 테이크아웃하는 경우, 매장에서는 복수의 음료용기를 한 손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주로 박스 재질의 판지재로 형성되고, 접어서 음료용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접는 구조가 복잡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리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보관을 위해서 상당한 공간을 점유한다는 문제가 있다.
음료용기 캐리어는 심하게 손상되지 않는 한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매장 외부로 반출된 후 다시 회수되는 것이 어려워 사실상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손님 입장에서도 사용 후의 음료용기 캐리어를 처리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실정이다. 또한, 음료용기 캐리어가 한 번 사용 후 폐기되는 것은 자원 낭비를 유발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접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서 보관 시 공간효율성이 높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음료용기 캐리어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접는 구조가 간단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이 용이한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음료용기 캐리어를 음료용기를 운반하는데 사용한 이후에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한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1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 상기 하면부의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2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1 전개도부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제2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2 측면부,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 및 상기 2개의 손잡이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2개의 손잡이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멍형태의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중 최단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접힘 가이드선에서 상기 삽입홀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보다 더 길고, 상기 전개도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접힘 가이드선과 수직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2개의 손잡이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2개의 손잡이부 슬릿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손잡이부 슬릿으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과 상기 제1, 제2 손잡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어느 하나의 전개도부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다른 하나의 전개도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접는 구조가 간단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음료용기를 운반하는데 사용한 이후에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1 측면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2 측면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부 중 하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음료용기 캐리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 캐리어는 판지재의 종이로 형성된다. 음료용기 캐리어의 판지재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한다. 내면은 음료용기 캐리어가 음료용기를 거치하기 위해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를 바라보는 면에 해당하고, 외면은 외부를 바라보는 면에 해당한다.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는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판지재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으로 인해 판지재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는 내면과 외면 모두에 코팅이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의 내면과 외면에는 각종 정보 및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지재의 외면에는 음료용기 캐리어가 수납하는 음료를 판매하는 매장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 캐리어가 음료용기를 수납하게 되면 매장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판지재의 내면에는 후술할 전개도부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전개도부는 전개도부가 조립된 이후에 외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전개도부에 전개도부의 조립체의 외면에 맞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하면부(100), 측면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하부, 측부 등의 방향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가 정상적인 상태로 사용될 경우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기준을 잡고 정한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도 도면의 아래 방향이 하방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하면부(100)는 음료용기 캐리어가 사용되기 위해서 손잡이부(300)가 결합된 경우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하면부(10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면부(100)에는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10)이 형성된다. 삽입홀(110)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삽입홀(110)이 2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홀(110)은 음료용기(5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1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홀(110)은 음료용기(500)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500)의 하부 부분은 삽입홀(110)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 부분은 삽입홀(110)의 위 부분에 위치하여 삽입홀(11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료용기(500)는 하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좁고, 상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넓은 거꾸로 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거나 삽입홀(110)에 거치되기 위한 별도의 거치부를 마련한 형태일 수 있다.
삽입홀(1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료용기(예를 들어, 커피 용 일회용 컵)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삽입홀(110)은 70mm 내지 9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110)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삽입홀(110)에 거치되는 음료용기(500)는 상단 부분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인접한 삽입홀(110)이 충분히 이격되지 않는 경우 음료용기(500)가 거치되었을 때 음료용기(500) 상단끼리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에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105)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측면부(201) 및 하면부(100)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 측면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201)와 제2 측면부(202)는 하면부(100)의 각각의 끝단(105)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한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측면부(200)의 상단 부분에서 각각 연장된 손잡이부(300)가 서로 맞닿게 된다. 손잡이부(300) 및 이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측면부(200)와 하면부(100)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105)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 가이드선(105)은 판지재를 접기 위해 외력을 가했을 때 미리 정해진 라인을 따라 접히도록 가압 라인 등을 형성한 것이다. 접힘 가이드선(105)는 하면부(100)와 제1 측면부(201)를 구분하는 제1 접힘 가이드선과 하면부(100)와 제2 측면부(202)를 구분하는 제2 접힘 가이드선이 있을 수 있다.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는 하면부(100)에서 서로 마주보게 접히게 된다.
측면부(200)에는 전개도부(400)가 포함된다. 전개도부(4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손잡이부(300)는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된다. 제1 측면부(201)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를 제1 손잡이부(301)로 지칭하고, 제2 측면부(202)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를 제2 손잡이부(302)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측면부(200)가 하면부(100)에서 접히게 되면 서로 맞닿게 된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구멍형태의 결합공(310)과 결합공(310)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서로 맞닿아 대응되는 결합공(310)을 포함하고, 제1 손잡이부(301)에 2개의 결합공(310)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32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310)은 결합된 이후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구멍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1 측면부(201)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2 측면부(202)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면부(200)는 전개도부(400)를 포함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 절취선(405)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된다. 절취선(405)은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으로, 약간의 외력이 가해지면 전개도부(400)가 절취선(405)을 따라 주변의 측면부(200)에서 분리되게 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개도부(400)는 제1 측면부(201)와 제2 측면부(202)에 각각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개도부(400)는 모두 6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6개의 전개도부(400) 중 하나는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5개는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전개도부는 제1 전개도부(401)라고 지칭하고,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전개도부는 제2 전개도부(402)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제1 측면부(201)의 측면 가장자리와 제1 전개도부(401)가 이격된 거리를 A라고 하고, 제2 측면부(202)의 측면 가장자리와 제2 전개도부(402)가 이격된 거리를 B라고 하면 A가 B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부(201)의 측면 가장자리와 제2 측면부(202)의 측면 가장자리는 접힘 가이드선(105)과 제1, 제2 손잡이부(301, 302)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제2 전개도부(401, 402)가 모두 제1, 제2 측면부(201, 20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측면부(201)가 제2 측면부(202)보다 더욱 견고하게 삽입되어 있는 컵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개의 측면부(201, 202)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가 컵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의 상하단 및 양측단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개도부(400)는 하면부(100)와 측면부(200) 사이의 접힘 가이드선(431)과 손잡이부(3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측면부(200)에 복수의 전개도부(400)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전개도부(40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개도부(400)가 측면부(200)에서 분리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음료용기를 거치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부(400) 중 하나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서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전개도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410) 및 슬릿(4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삽입편(420)을 포함한다. 슬릿(410)은 전개도부(400)가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칼선을 의미한다. 삽입편(420)은 대략적으로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슬릿(410)에 한 번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쉽게 빠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전개도부(400)는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면(430)은 전개도부(400)가 조립될 경우, 접힘에 의해 구분되는 면들이다. 복수의 면(430)은 접힘 가이드선(431)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면(430) 중 인접하는 면은 서로 직교하도록 접힘 가이드선(431)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서로 결합되는 슬릿(410)과 삽입편(420) 사이에는 복수의 면이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면 양단에 위치한 슬릿(410)과 삽입편(420)은 복수의 면들이 접히게 되면 서로 맞닿게 되고, 슬릿(410)과 삽입편(420)이 결합되어 복수의 면들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슬릿(410)과 삽입편(420) 사이에 4개의 면이 있는 경우, 4개의 면이 상하좌우면을 이루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개도부(400)의 복수의 면 중 일부의 일면은 일면에서 연장되는 날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면과 날개부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441)이 형성되고, 슬릿(410)은 접힘 가이드선(4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440)는 전개도부(400)가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되는 경우, 입체적인 형상 내부로 접혀 들어가는 부분이다. 날개부(440)가 입체적인 형상 내부 방향으로 접히게 되면 슬릿(410)의 틈새가 벌어지면서 삽입편(420)이 삽입되기 쉽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복수의 전개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개도부(401) 및 제2 전개도부(402)는 각각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전개도부(401)가 조립된 것을 제1 조립물(501)이라 지칭하고, 제2 전개도부(402) 중 어느 하나가 조립된 것을 제2 조립물(502)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제1 조립물(501)과 제2 조립물(50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립물(501)은 결합홈(510)을 포함하고, 제2 조립물(502)을 결합돌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510)은 내부로 연통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돌기(520)는 결합홈(5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520)는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결합홈(510)에 한번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쉽게 빠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든 전개도부(400)의 조립물(500)은 결합되어 하나의 조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조형물은 예를 들어, 사람 또는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전개도부(400)는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고, 조립된 이후에 상기 이미지는 조립물의 외면을 이루게 된다. 조립물들이 하나의 조형물로 조립되면, 전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이미지가 나오도록 이미지가 전개도부(400)에 미리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음료용기 캐리어에는 전개도부(400)의 조립 방법 및 결합 방법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음료용기 캐리어 중 전개도부(400)가 아닌 다른 부분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음료용기 캐리어가 포함한 전개도부(400)를 이용하여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자는 사용한 후의 음료용기 캐리어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전개도부(400)를 조립하여 조형물을 제작하는 것에 따른 유희를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형물을 친근감 있는 캐릭터 등으로 제작하여 마케팅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의 전개도부와 삽입홀의 위치 관계 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105)에서 삽입홀(110)까지의 최단거리를 D1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제1 전개도부(401)에서 제1 측면부(201)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D4, D5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제2 전개도부(402)에서 제2 측면부(202)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D2, D3라고 지칭한다. 측면부(200)의 측면 가장자리는 2개가 존재하므로, 전개도부(400)에서 측면부(200)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한 전개도를 기준으로 2개가 존재한다.
여기서, 측면 가장자리는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105)과 제1, 제2 손잡이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인
여기서, D1은 D2, D3, D4 및 D5 중 최단거리보다 작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D2, D3, D4 및 D5 중 최단거리는 D3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1은 D3보다 작다.
그리고 D4와 D5 중 최단거리는 D2와 D3 중 최단거리보다 크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D4와 D5 중 최단거리는 D5이다. 그리고 D2와 D3 중 최단거리는 D3이다. 따라서 D5는 D3보다 큰 것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삽입홈에 삽입된 컵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면부 105: 접힘 가이드선
110: 삽입홀
200: 측면부 201: 제1 측면부
202: 제2 측면부
300: 손잡이부 301: 제1 손잡이부
302: 제2 손잡이부 310: 결합공
320: 결합편
400: 전개도부 401: 제1 전개도부
402: 제2 전개도부 405: 절취선
410: 슬릿 420: 삽입편
430: 전개도의 면들 431: 접힘 가이드선
440: 날개부 441: 접힘 가이드선
500: 조립물 완성품 501: 제1 조립물
502: 제2 조립물 510: 결합홈
520: 결합돌기

Claims (2)

  1.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1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
    상기 하면부의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2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1 전개도부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제2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2 측면부;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 및
    상기 2개의 손잡이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2개의 손잡이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멍형태의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중 최단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접힘 가이드선에서 상기 삽입홀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보다 더 길고,
    상기 전개도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접힘 가이드선과 수직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2개의 손잡이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2개의 손잡이부 슬릿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손잡이부 슬릿으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과 상기 제1, 제2 손잡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인 음료용기 캐리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어느 하나의 전개도부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다른 하나의 전개도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KR1020190149005A 2019-11-19 2019-11-19 음료용기 캐리어 KR10206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05A KR102069687B1 (ko) 2019-11-19 2019-11-19 음료용기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05A KR102069687B1 (ko) 2019-11-19 2019-11-19 음료용기 캐리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89A Division KR20190017106A (ko) 2017-08-10 2017-08-10 음료용기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71A KR20190131471A (ko) 2019-11-26
KR102069687B1 true KR102069687B1 (ko) 2020-01-23

Family

ID=6873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005A KR102069687B1 (ko) 2019-11-19 2019-11-19 음료용기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88B2 (ja) 1997-03-12 2001-03-07 富士車輌株式会社 ラベル等の不要物の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88U (ja) * 2008-04-17 2008-07-10 正和 小林 牛乳用紙製牛乳パック
KR101546330B1 (ko) * 2013-05-21 2015-08-24 유길호 음료용기 운반수단
KR20170085691A (ko) * 2016-01-15 2017-07-25 김수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상자용 포장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88B2 (ja) 1997-03-12 2001-03-07 富士車輌株式会社 ラベル等の不要物の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71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5473C (en) Packaging unit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101380398B1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546330B1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KR102069687B1 (ko) 음료용기 캐리어
KR20110114967A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200478437Y1 (ko) 컵음료 포장용 받침대
US20030209454A1 (en) Beverage container carrier
KR20180110563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20190017106A (ko) 음료용기 캐리어
KR102112313B1 (ko)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KR102112324B1 (ko) 컵 삽입부에 고정용 날개부가 형성된 컵 캐리어
KR102192339B1 (ko) 손잡이 형성 구조를 갖는 포장용 종이 박스
KR200491122Y1 (ko) 사용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101793097B1 (ko) 컵 캐리어
KR20110108076A (ko)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KR20190108442A (ko) 컵 트레이 겸용 홀더
US10029839B2 (en) Article including a bottle of cosmetic product and a pack
KR200491336Y1 (ko) 컵 캐리어 구조체
KR20200046359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20160000032U (ko) 종이판재로 제작되어 박스형태가 유지되는 치킨 포장용 쇼핑백
KR20180002876U (ko) 사용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20150103441A (ko) 컵 커버
KR200474336Y1 (ko) 음료 용기 캐리어
JP3241583U (ja) ボトル用キャリ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