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191B1 -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191B1
KR102069191B1 KR1020130035956A KR20130035956A KR102069191B1 KR 102069191 B1 KR102069191 B1 KR 102069191B1 KR 1020130035956 A KR1020130035956 A KR 1020130035956A KR 20130035956 A KR20130035956 A KR 20130035956A KR 102069191 B1 KR102069191 B1 KR 10206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selector
display panel
selector
sensing line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183A (ko
Inventor
최병화
이승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191B1/ko
Priority to US13/942,424 priority patent/US9013431B2/en
Publication of KR2014012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위치 선택부 및 제2 위치 선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활성화 영역이 정해진다.

Description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Power-saving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요성이 있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 내지 구부러져서 돌돌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속도, 소비전력 등의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젼(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발광 특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내지 롤러블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유연성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평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유연성에 의하여 변형된 3차원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중 원하는 영역만 디스플레이-온(display-on)될 수 있도록 하는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유형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위치 선택부 및 제2 위치 선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활성화 영역이 정해진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방향으로의 좌표인 Xa 및 Xb를 정하고,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방향으로의 좌표인 Ya 및 Yb를 정하며, 상기 Xa, Xb, Ya, Yb가 만나서 이루는 네 개의 좌표인 (Xa, Ya), (Xa, Yb), (Xb, Ya), (Xb, Yb)를 이어서 만든 폐곡선 내부의 영역이 활성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는 제2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상기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는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 이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유형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위치 선택부 및 제2 위치 선택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겨지는 원통형 지그; 및
상기 원통형 지그가 탑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홀(hole)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활성화 영역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 이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방향으로의 좌표인 Xa 및 Xb를 정하고,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방향으로의 좌표인 Ya 및 Yb를 정하며, 상기 Xa, Xb, Ya, Yb가 만나서 이루는 네 개의 좌표인 (Xa, Ya), (Xa, Yb), (Xb, Ya), (Xb, Yb)를 이어서 만든 폐곡선 내부의 영역이 활성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는 제2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상기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는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 이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부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위치 선택부 내지 제4 위치 선택부를 구비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 중 원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된 부분만 디스플레이-온 되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으로, 제1 위치 선택부 내지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이 선택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메카니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메카니즘의 다른 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활성화 영역이 정해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원통형 지그(200), 하우징(housing,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처리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일 경우, 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모서리에 제1 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위치 선택부(111) 및 제2 위치 선택부(112)를 구비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에 제2 방향(도면에서, 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를 구비한다.
제1 위치 선택부(111), 제2 위치 선택부(112),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활성화 영역(101) 및 비활성화 영역(103)을 정하기 위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활성화 영역(1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턴-온(turn-on)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비활성화 영역(103)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턴-오프(turn-off)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활성화 영역(10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가 비활성화 영역(103) 보다 밝은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1 위치 선택부(111) 및 제2 위치 선택부(112)는 제1 방향(X축) 또는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는 제2 방향(Y축) 또는 제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1 위치 선택부(111) 및 제2 위치 선택부(112)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모서리에는 제1 이동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서, 하우징(300)의 일 측면에 제2 이동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위치 선택부(111) 및 제2 위치 선택부(112)에 의해서 활성화 영역(101)의 제1 방향(X축)으로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으며,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에 의해서 활성화 영역(101)의 제2 방향(Y축)으로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a 및 도 2b와 같이 제1 내지 제4 위치 선택부(111, 112, 311, 312)의 위치를 조정하여 활성화 영역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복수의 센싱 라인(sensing line, 121, 122, 도 3 참조)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제1 방향(X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 도 3 참조) 및 제2 방향(Y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111), 제2 위치 선택부(112),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와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121, 122)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활성화 영역을 정할 수 있다. 활성화 영역을 결정하는 보다 자세한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 및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선택부(111), 제2 위치 선택부(112),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가 복수의 센싱 라인(121, 12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각 위치 선택부(111, 112, 311, 314)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 및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선택부(111), 제2 위치 선택부(112),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가 복수의 센싱 라인(121, 122)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압력의 변화를 발생하게 되어 각 위치 선택부(111, 112, 311, 314)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선택부(111), 제2 위치 선택부(112),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선택부(111), 제2 위치 선택부(112),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선택부(111) 및 제2 위치 선택부(112)는 "ㄷ"자 형상을 갖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하부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선택부(111) 및 제2 위치 선택부(112)는 제1 이동부(110)을 따라 지퍼(zipper)형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액정 또는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flexible)한 패널일 수 있으며, 돌돌 감아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121, 122)과는 별도로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고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121, 122)가 활성화 영역 내부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해서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어부(미도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배터리는 초박형 구조로 제조되어 돌돌 말릴 수 있는 가요성 내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전원 공급기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원통형 지그(20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감겨지는 것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원통형 지그(200)에 감겨서 보관될 수 있어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원통형 지그(200)는 하우징(300) 내부에 탑재되어 원통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00) 내부에는 원통형 지그(200)가 하우징(300)과 연결되어 원통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내부 연결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지그(200)는 외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외부 조작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감겨져 있는 원통형 지그(200)를 포장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가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홀(hole, 301)이 마련된다. 상기 홀(30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가 펼쳐져 나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일면에는 상기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312)가 이동할 수 있는 제2 이동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이동부(310)는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접촉 또는 근접할 수 있게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위치 선택부(111), 제2 위치 선택부(112),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활성화 영역(101)을 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만 턴-온(turn-on)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메카니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방향(X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 및 제2 방향(Y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은 제2 방향(Y축)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는 제1 방향(X축)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제1 위치 선택부(111) 및 제2 위치 선택부(112)는 각각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방향(X축)으로의 좌표인 Xa 및 Xb를 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은 제1 방향(X축)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방향(X축)으로의 좌표인 X0, X1, X2, X3,…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위치 선택부(111)는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 중 X1의 좌표를 나타내는 센싱 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Xa는 X1이 된다. 제2 위치 선택부(112)는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122) 중 X3의 좌표를 나타내는 센싱 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Xb는 X3가 된다.
한편,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는 각각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방향(Y축)으로의 좌표인 Ya 및 Yb를 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은 제2 방향(Y축)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방향(Y축)으로의 좌표인 Y0, Y1, Y2, Y3,…를 나타낼 수 있다. 제3 위치 선택부(311)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 중 Y1의 좌표를 나타내는 센싱 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Ya는 Y1이 된다. 제4 위치 선택부(312)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121) 중 Y3의 좌표를 나타내는 센싱 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Yb는 Y3가 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위치 선택부(111, 112, 311, 312)에 의해서 선택된 좌표들이 만나서 이루는 네 개의 좌표, 즉, (Xa, Ya), (Xa, Yb), (Xb, Ya), (Xb, Yb)를 이어서 만든 폐곡선 내부의 영역을 활성화 영역(101)으로 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X1, Y1), (X1, Y3), (X3, Y1), (X3, Y3)을 이어서 만든 폐곡선의 내부 영역이 활성화 영역(101)이 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메카니즘의 다른 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위치 선택부(111, 112, 311, 312)가 여러 개의 센싱 라인에 걸쳐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활성화 영역(101)을 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선택부(111) 및 제2 위치 선택부(112)가 두 개 이상의 제2 센싱 라인(122)에 걸쳐있는 경우, X 좌표를 정함에 있어, 그 중 가장 큰 좌표를 활성화 영역을 정하는 X 좌표로 정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제1 위치 선택부(111)는 X2 및 X3를 나타내는 센싱 라인에 걸쳐 있지만, 활성화 영역이 되는 Xa 좌표는 X2보다 큰 좌표인 X3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 선택부(112)는 X4 및 X5를 나타내는 센싱 라인에 걸쳐 있지만, 활성화 영역이 되는 Xb 좌표는 X4 보다 큰 좌표인 X5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가 활성화 영역의 좌표로 선택하는 좌표는 제3 위치 선택부(311) 및 제4 위치 선택부(312)가 걸쳐져 있는 좌표 중 가장 큰 좌표로 선택하도록 정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Ya는 Y1이고 Yb는 Y4가 되도록 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화 영역(101)은 (X3, Y1), (X3, Y4), (X5, Y1), (X5, Y4)로 이어지는 폐곡선 내부 영역이 될 수 있다. 활성화 영역(101)의 좌표를 정하는 것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비교할 때, 추가 하우징(500) 및 추가 원통형 지그(400)이 더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에 하우징(300)이 있으며, 다른 일측에는 추가 하우징(500)이 있다. 추가 하우징(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감아 놓을 때,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펼치 때 용이하게 펼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추가 하우징(5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홀(미도시)이 구비된다.
추가 하우징(500) 내부에는 추가 원통형 지그(400)이 마련된다. 추가 원통형 지그(4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감길 수 있다. 추가 하우징(500) 내부에는 추가 원통형 지그(400)가 추가 하우징(500)과 연결되어 원통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내부 연결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원통형 지그(400)는 외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외부 조작부(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추가 하우징(500) 및 추가 원통형 지그(400)가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보호 및 휴대가 더 용이해 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 20)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2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디스플레이 패널
101: 활성화 영역 103: 비활성화 영역
200: 원통형 지그 300: 하우징
400: 추가 원통형 지그 500: 추가 하우징
110: 제1 이동부 310: 제2 이동부
111: 제1 위치 선택부 112: 제2 위치 선택부
311: 제3 위치 선택부 312: 제4 위치 선택부
121: 제1 센싱 라인
122: 제2 센싱 라인
21, 122: 복수의 센싱 라인

Claims (22)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위치 선택부 및 제2 위치 선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활성화 영역이 정해지며,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정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가 정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방향으로의 좌표인 Xa 및 Xb를 정하고,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방향으로의 좌표인 Ya 및 Yb를 정하며,
    상기 Xa, Xb, Ya, Yb가 만나서 이루는 네 개의 좌표인 (Xa, Ya), (Xa, Yb), (Xb, Ya), (Xb, Yb)를 이어서 만든 폐곡선 내부의 영역이 활성화 영역이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는 제2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상기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는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는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 이동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위치 선택부 및 제2 위치 선택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겨지는 원통형 지그; 및
    상기 원통형 지그가 탑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홀(hole)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활성화 영역이 정해지며,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 이동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정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가 정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방향으로의 좌표인 Xa 및 Xb를 정하고,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방향으로의 좌표인 Ya 및 Yb를 정하며,
    상기 Xa, Xb, Ya, Yb가 만나서 이루는 네 개의 좌표인 (Xa, Ya), (Xa, Yb), (Xb, Ya), (Xb, Yb)를 이어서 만든 폐곡선 내부의 영역이 활성화 영역이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는 제2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상기 제2 위치 선택부, 제3 위치 선택부, 및 제4 위치 선택부는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모서리에는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 이동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2 위치 선택부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부에 걸쳐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제4 위치 선택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35956A 2013-04-02 2013-04-02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956A KR102069191B1 (ko) 2013-04-02 2013-04-02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3/942,424 US9013431B2 (en) 2013-04-02 2013-07-15 Power-sav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956A KR102069191B1 (ko) 2013-04-02 2013-04-02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183A KR20140120183A (ko) 2014-10-13
KR102069191B1 true KR102069191B1 (ko) 2020-01-23

Family

ID=5162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956A KR102069191B1 (ko) 2013-04-02 2013-04-02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13431B2 (ko)
KR (1) KR102069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3014A1 (ko) * 2020-11-13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034B1 (ko) * 2014-11-17 2021-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4310B1 (ko) * 2015-02-13 2021-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CN104851366B (zh) * 2015-05-29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USD836077S1 (en) * 2015-08-31 2018-12-1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DE102015015630A1 (de) * 2015-12-03 2017-06-08 Audi Ag Vorrichtung zur Anordnung in einem Kraftfahrzeug, Kraftfahrzeug mit ein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orrichtung
KR102468289B1 (ko) * 2016-05-30 2022-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527213B1 (ko) * 2016-07-05 2023-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1886A (ko) * 2016-09-20 2018-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0010009B (zh) * 2019-04-28 2021-04-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KR20220036419A (ko) * 2020-09-14 2022-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9872A (ja) * 2004-12-20 2005-04-14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JP2003162370A (ja) * 2001-09-14 2003-06-06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タッチパネル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3999688B2 (ja) 2003-03-12 2007-10-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面表示方法,画面表示装置,画面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画面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4084171A1 (ja) * 2003-03-19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表示装置
WO2007069187A2 (en) * 2005-12-16 2007-06-21 Polymer Vision Limited Circular displays
TW200823729A (en) * 2006-06-14 2008-06-01 Polymer Vision Ltd User input on rollable display device
CN101681038B (zh) * 2006-10-19 2011-10-19 创造者科技有限公司 可卷式或可绕式显示装置的顺光照明
EP1967937A1 (en) * 2007-03-06 2008-09-10 Polymer Vision Limited A display unit,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EP1970799B1 (en) * 2007-03-15 2017-08-1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de thereof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045590B2 (ja) * 2008-07-23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998076B1 (ko) 2008-09-24 2010-12-03 주식회사 오비고 정보 단말기의 영상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100088653A1 (en) * 2008-10-07 2010-04-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20013807A (ko) * 2010-08-06 201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및 하이라이트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27644B1 (ko)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5714935B2 (ja) * 2011-02-24 2015-05-0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接触操作制御方法および接触操作制御プログラム
US10296205B2 (en) * 2011-12-12 2019-05-21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display scale of an image
JP5704408B2 (ja) * 2012-01-20 2015-04-2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操作入力システム
US20130222416A1 (en) * 2012-02-29 2013-08-29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flexible display
TWI475436B (zh) * 2012-07-11 2015-03-01 Wistron Corp 具感測功能之框架以及觸控處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9872A (ja) * 2004-12-20 2005-04-14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3014A1 (ko) * 2020-11-13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183A (ko) 2014-10-13
US20140292672A1 (en) 2014-10-02
US9013431B2 (en)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191B1 (ko)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86218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430184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providing image la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7546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1825B1 (ko)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959030B2 (en) Display apparatus
JP7107833B2 (ja) フレキシブル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製造方法、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及び製造方法、表示デバイス
KR101752750B1 (ko)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US9983628B2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19046B2 (ja) 表示装置
KR102278508B1 (ko)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489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841937B2 (en) Foldable display
JP2013225052A (ja) 表示装置
US20190114044A1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9695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084985A1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nput function, input method,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nput function
WO2016125215A1 (ja) 情報処理装置、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入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30158A (ja) 情報処理装置、そ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102181887B1 (ko) 휴대 단말기
WO2014030191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表示装置の点灯範囲制御方法
TW201915689A (zh) 折疊式觸控元件及其控制方法
KR20140106285A (ko) 휴대용 표시 장치
KR10208398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99452A1 (ja) 情報処理装置、点灯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