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695B1 - 노면 청소차량 - Google Patents

노면 청소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695B1
KR102065695B1 KR1020190095057A KR20190095057A KR102065695B1 KR 102065695 B1 KR102065695 B1 KR 102065695B1 KR 1020190095057 A KR1020190095057 A KR 1020190095057A KR 20190095057 A KR20190095057 A KR 20190095057A KR 102065695 B1 KR102065695 B1 KR 10206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creen
vehicle
loading box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성
Original Assignee
부커셰링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커셰링코리아(주) filed Critical 부커셰링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09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54Apparatus in which the mechanically dislodged dirt is partially sucked-off, e.g. dislodging- sweeping apparatus with dirt collector in brush housing or dirt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트스크린의 상하 회전동작을 위한 실린더를 더트스크린이 수용된 공간으로부터 격리된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실린더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면 청소차량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차량 하부에 설치되고,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부; 상기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게 되는 송풍기;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적재함;을 포함하되, 상기 적재함은,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는 도어; 상기 케이싱의 내측 전부에 하방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 전방이 격벽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와 구획되고 후방이 상기 개구부와 통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측 후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부;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상기 적재공간부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배기덕트; 상기 적재공간부의 상부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기덕트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공간부에서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는 더트스크린; 및 스크린개폐실린더, 그리고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와 상기 더트스크린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더트스크린을 개폐시키는 스크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 및 상기 적재공간부에서 이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 또는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면 청소차량{Road sweeping vehicle}
본 발명은 노면 청소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에 떨어진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한 청소차량에 관한 것이다.
노면 청소차량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8685호(2008.09.09.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저소음용 노면 청소차"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호퍼의 내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더트 스크린과, 와이어에 의해 상기 더트 스크린과 연결되어 더트 스크린을 상하 회전시키도록 작동하는 실린더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더트 스크린을 하강시킨 후 더트 스크린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더트 스크린을 통과한 미세 먼지가 실린더, 특히 실린더의 로드에 달라붙게 되어 실린더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고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을 비롯한 종래의 노면 청소차량은 적재함(호퍼)의 개폐를 위해 구비된 도어의 개폐 각도가 좁아, 적재함에 모인 이물질을 쓰레기매립지 등의 배출장소에 배출할 때에 배출장소의 바닥에서부터 쌓인 이물질이 도어와 쉽게 접촉하게 됨으로써 이물질 배출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58685호(2008.09.0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트스크린의 상하 회전동작을 위한 실린더를 더트스크린이 수용된 공간으로부터 격리된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실린더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면 청소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구조를 개선하여 도어가 더욱 넓은 각도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적재함에 모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노면 청소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은, 차량 하부에 설치되고,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부; 상기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게 되는 송풍기;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적재함;을 포함하되, 상기 적재함은,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는 도어; 상기 케이싱의 내측 전부에 하방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 전방이 격벽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와 구획되고 후방이 상기 개구부와 통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측 후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부;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상기 적재공간부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배기덕트; 상기 적재공간부의 상부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기덕트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공간부에서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는 더트스크린; 및 스크린개폐실린더, 그리고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와 상기 더트스크린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더트스크린을 개폐시키는 스크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 및 상기 적재공간부에서 이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 또는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더트스크린의 상측에는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풀리와 상기 관통공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통과하게 되는 보조관통공을 갖는 지지브래킷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공과 상기 보조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더트스크린 측으로 연장된 연결대; 및 일단이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더트스크린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는 이의 상측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 상단부에는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도어브래킷이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은 상기 도어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측 후부에 형성된 실린더장착공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장착공간부에는, 실린더브래킷, 그리고 튜브가 상기 실린더브래킷에 연결되고, 로드가 상기 도어브래킷에 연결되는 도어개폐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개폐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도어브래킷의 연결부위는 상기 회전축의 전방 상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을 승강 동작시키게 되는 적재함승강실린더;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상승동작을 위한 적재함상승스위치, 상기 적재함의 하강동작을 위한 적재함하강스위치, 상기 도어의 개방동작을 위한 도어개방스위치, 그리고 상기 도어의 폐쇄동작을 위한 도어폐쇄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하강시 적재함에 접촉되고 적재함의 상승시 적재함에 비 접촉되어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적재함에 비 접촉시 상기 도어폐쇄스위치로 공급되는 전류를 단절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에 설치된 경보기; 및 상기 적재공간부 또는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더트스크린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의 가동시 상기 경보기를 작동시키게 되는 압력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 여부를 검출하는 차량운행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구동부는 상기 더트스크린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스위치에 의한 숭풍기의 가동 신호와, 상기 차량운행검출부에 의한 차량운행 신호의 발생 시 상기 더트스크린을 폐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은, 스크린개폐실린더가 배기덕트 및 적재공간부에서 이탈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더트스크린을 통과한 미세 먼지를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개폐실린더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수명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은 도어개폐실린더가 적재함에 형성된 실린더장착공간부에 설치되어 작동시 도어브래킷을 실린더장착공간부 측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도어가 더욱 넓은 각도로 개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재함에 모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적재함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에서 적재함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케이싱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에서 적재함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더트스크린과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도어개폐실린더 부위를 발췌한 확대도.
도 8은 도 6에서 도어개폐실린더 부위를 발췌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의 전기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적재함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은 크게 흡입부(200), 송풍기(300) 및 적재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흡입부(200)는 차량(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송풍기(300)에 의해 흡입력을 제공받아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흡입부(200)는 플랙시블 덕트(flexible duct)에 의해 후술될 적재함(400)의 적재공간부(45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흡입부(200)는 노면에서 흡입한 이물질을 상기 적재공간부(450)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차량(100)의 하부에는 상기 흡입부(200)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브러시(1000) 및 물분사노즐(11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100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부(200) 측으로 쓸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노즐(1100)은 먼지 등의 작은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도록 노면에 물을 분사하게 된다.
송풍기(300)는 차량(100)의 섀시(chassis)에 탑재되어 상기 흡입부(200)에 흡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송풍기(300)의 옆에는 송풍기(300)의 구동을 위한 보조엔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엔진은 송풍기(300)와 인접하도록 차량(100)의 섀시에 탑재되어 송풍기(300)를 구동시키게 된다.
적재함(400)은 차량(100)의 섀시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흡입부(200)에 의해 노면에서 흡입된 이물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적재함(4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에서 적재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케이싱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에서 적재함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더트스크린과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400)은, 케이싱(410); 상기 케이싱(410)의 후면에 설치된 도어(420); 상기 케이싱(410)의 내측 전부(前部)에 형성된 수용공간부(430); 상기 케이싱(410)의 내측 후부에 형성된 적재공간부(450); 상기 케이싱(4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배기덕트(460); 상기 적재공간부(450)의 상부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더트스크린(470); 및 상기 더트스크린(470)의 회전 동작을 위한 스크린구동부(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적재함(400)은 후단부 하측이 차량(100)의 섀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적재함(400)은 차량(100)과 적재함(40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적재함승강실린더(500, 도 2 참조)의 작동에 의해 차량(100) 섀시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승강 동작하게 된다.
케이싱(410)은 적재함(40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케이싱(410)의 후면에는 상기 적재공간부(450)와 통하도록 개구부(411)가 형성된다.
도어(420)는 케이싱(4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411)를 개폐하게 된다.
수용공간부(430)는 케이싱(410)의 내측 전부에 하방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 수용공간부(430)에 상기 송풍기(300)와 보조엔진이 수용된다.
적재공간부(450)는 전방이 격벽(440)에 의해 수용공간부(430)와 구획되고, 후방이 개구부(411)와 통하도록 형성된다. 적재공간부(450)는 흡입부(200)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적재공간부(450)에는 흡입부(200)에 의해 노면에서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된다.
적재공간부(450)의 하측에는 물저장공간부(4G0)가 형성된다. 물저장공간부(4G0)에는 물분사노즐(110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다. 적재공간부(450)와 물저장공간부(4G0)는 적재공간부(450)의 바닥을 이루도록 구비된 바닥판(4H0)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바닥판(4H0)은 도어(420) 측을 향해 하방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적재공간부(450)에 모인 이물질을 개구부(411)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기덕트(460)는 적재공간부(450)와 송풍기(300)의 흡입구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더트스크린(470)은 전단부가 배기덕트(460)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방 회전된 상태에서 배기덕트(460)를 폐쇄하고 하방 회전된 상태에서 배기덕트(460)를 개방하게 된다. 더트스크린(470)의 표면은 전반적으로 망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배기덕트(460)를 폐쇄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적재공간부(450)에서 배기덕트(460)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스크린구동부(480)은 스크린개폐실린더(481), 그리고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481)와 더트스크린(47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8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481)의 작동에 의해 더트스크린(470)을 개폐시키게 된다. 즉, 스크린개폐실린더(481)의 로드가 인출될 경우 연결부재(482)를 더트스크린(470) 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더트스크린(470)이 하방 회전될 수 있으며, 스크린개폐실린더(481)의 로드가 인입될 경우 연결부재(482)를 당기게 됨으로써 더트스크린(470)이 상방 회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481)는 적재함(400)의 수용공간부(430) 내에 설치됨으로써 배기덕트(460) 및 적재공간부(450)에서 이탈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연결부재(482)가 스크린개폐실린더(481)에서 격벽(440) 또는 배기덕트(460)를 통과하여 더트스크린(47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격벽(440) 또는 배기덕트(460)에는 연결부재(482)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490)이 형성되고, 더트스크린(470)의 상측에는 풀리(4A0)가 설치되며, 상기 풀리(4A0)와 상기 관통공(490)의 사이에는 연결부재(482)가 통과하게 되는 보조관통공(4B1)을 갖는 지지브래킷(4B0)이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부재(482)는 상기 관통공(490)과 상기 보조관통공(4B1)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되, 일단이 스크린개폐실린더(481)의 로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더트스크린(470) 측으로 연장된 연결대(482a); 및 일단이 상기 연결대(482a)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4A0)를 거쳐 더트스크린(470)에 연결된 와이어(48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대(482a)는 금속 막대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490)과 보조관통공(4B1)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스크린개폐실린더(481)의 구동력이 와이어(482b)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와이어(482b)는 상기 풀리(4A0)를 거침에 따라 'ㄱ' 형상으로 꺾이어 상기 연결대(482a)와 더트스크린(470)을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스크린개폐실린더(481)가 배기덕트(460) 및 적재공간부(450)에서 이탈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송풍기(300)에 의한 공기의 이동경로로부터 격리된 공간에 배치되고, 따라서 스크린개폐실린더(481)가 더트스크린(470)을 통과한 미세 먼지를 피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개폐실린더(481)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공(490)은 공기의 누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482)와 최대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 경우 연결부재(482)의 동작에 의해 연결부재(482)와 격벽(440) 또는 배기덕트(46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490)에는 연결부재(482)가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482)를 감싸 지지하는 가이드블록(4F0)이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주로 참조하여 적재함(400)에서 도어(420)와 관련된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서 도어개폐실린더 부위를 발췌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도어개폐실린더 부위를 발췌한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20)는 이의 상측에 설치된 회전축(421)에 의해 케이싱(4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어(420)는 상기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420)의 전면 상단부에는 도어(42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도어브래킷(422)이 설치된다.
적재함(400)에는 도어(42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케이싱(410)의 내측 후부에 실린더장착공간부(4C0)가 형성되고, 이 실린더장착공간부(4C0)에는 실린더브래킷(4D0)과, 도어개폐실린더(4E0)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브래킷(4D0)은 도어개폐실린더(4E0)가 실린더장착공간부(4C0)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도어개폐실린더(4E0)의 튜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어개폐실린더(4E0)는 튜브가 상기 실린더브래킷(4D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가 상기 도어브래킷(4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도어브래킷(422)은 상기 도어개폐실린더(4E0)의 로드와 도어브래킷(422)의 연결부위(423)가 상기 회전축(421)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어개폐실린더(4E0)의 로드가 인출되는 것에 의해 도어(420)가 하방 회전되어 폐쇄되고, 도어개폐실린더(4E0)의 로드가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420)가 상방 회전되어 개방되는데, 여기서 도어개폐실린더(4E0)의 로드가 인입될 때에 상기 로드와 도어브래킷(422)의 연결부위(423)를 실린더장착공간부(4C0)로 당기게 됨으로써 도어(420)가 케이싱(410)의 후면에 대하여 대략 120° 내지 130°의 각도를 이루도록 개방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도어(420)는 종래의 노면 청소차량에 구비된 도어가 약 90°이내의 각도를 이루도록 개방되는 것과 비교할 때에, 종래의 것보다 훨씬 넓은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의 전기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면 청소차량은 조작부(600), 리미트스위치(700), 경보기(800) 및 압력스위치(9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부(600)는 적재함승강실린더(500)와 도어개폐실린더(4E0)의 조작을 위해 차량(100)에 설치된 것으로서, 적재함(400)의 상승동작을 위한 적재함상승스위치(610), 적재함(400)의 하강동작을 위한 적재함하강스위치(620), 도어(420)의 개방동작을 위한 도어개방스위치(630), 그리고 도어(420)의 폐쇄동작을 위한 도어폐쇄스위치(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스위치는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적재함승강실린더(500)는 상기 적재함상승스위치(61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적재함(400)을 상승시키도록 작동되고, 상기 적재함하강스위치(62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적재함(400)을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도어개폐실린더(4E0)는 상기 도어개방스위치(62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어(420)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고, 상기 도어폐쇄스위치(64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어(420)를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리미트스위치(700)는 적재함(400)의 하강시 적재함(400)에 접촉되고 적재함(400)의 상승시 적재함(400)에 비 접촉되도록 차량(100)에 설치된다. 리미트스위치(700)의 접점은 도어폐쇄스위치(640)를 지나는 회로상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리미트스위치(700)는 적재함(400)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검출하게 되고, 적재함(400)에 비 접촉시 도어폐쇄스위치(640)로 공급되는 전류를 단절시키게 된다.
결국, 리미트스위치(700)는 적재함(400)에 모인 이물질의 배출시 적재함(400)이 상승한 상태에서 도어(42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장소의 바닥에 배출된 후 쌓인 이물질(D, 도 2 참조)이 적재함(400)이 상승한 상태에서 도어(420)가 폐쇄되는 것에 의해 케이싱(410)과 도어(420)의 사이에 끼어 적재함(4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보기(800)는 차량(100)에 설치되어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이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경보기(800)는 더트스크린(470)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연결된다. 경보기(800)는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가 이상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스위치(900)는 상기 경보기(800)를 지나는 회로상에 연결된다.
압력스위치(900)는 리미트스위치(700)와 적재함(400)의 접촉시 작동하고, 더트스크린(470)이 개방된 상태에서 경보기(800)를 작동시키게 된다.
결국, 경보기(800)와 압력스위치(900)는 더트스크린(470)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하고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어, 더트스크린(470)이 개방된 상태에서 노면 청소작업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노면 청소차량은 필요에 따라 차량(100)의 운행 여부를 검출하는 차량운행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크린구동부(480)는 상기 차량운행검출부에서 발생한 신호에 의해 더트스크린(470)를 폐쇄하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있다.
상기 차량운행검출부는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등 주차브레이크의 해제 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거나, 차량의 차속센서와 연결되어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운행될 때에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 외에도 차량운행검출부는 차량의 엔진 또는 파워 트레인(power train)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거나,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에 연결된 배선 또는 단자(OBD단자)와 접속되도록 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를 전달받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크린구동부(480)는 더트스크린(47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스위치(900)에 의한 송풍기(300)의 가동 신호와, 상기 차량운행검출부에 의해 차량운행 신호의 발생시 더트스크린(470)을 폐쇄하도록 작동하게 됨으로써, 노면 청소작업시 개방된 상태의 더트스크린(470)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 200 : 흡입부
300 : 송풍기 400 : 적재함
410 : 케이싱 411 : 개구부
420 : 도어 421 : 회전축
422 : 도어브래킷 423 : 연결부위
430 : 수용공간부 440 : 격벽
450 : 적재공간부 460 : 배기덕트
470 : 더트스크린 480 : 스크린구동부
481 : 스크린개폐실린더 482 : 연결부재
482a : 연결대 482b : 와이어
490 : 관통공 4A0 : 풀리
4B0 : 지지브래킷 4B1 : 보조관통공
4C0 : 실린더장착공간부 4D0 : 실린더브래킷
4E0 : 도어개폐실린더 4F0 : 가이드블록
4G0 : 물저장공간부 4H0 : 바닥판
500 : 적재함승강실린더 600 : 조작부
610 : 적재함상승스위치 620 : 적재함하강스위치
630 : 도어개방스위치 640 : 도어폐쇄스위치
700 : 리미트스위치 800 : 경보기
900 : 압력스위치 1000 : 브러시
1100 : 물분사노즐

Claims (6)

  1. 차량(100) 하부에 설치되고,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부(200);
    상기 차량(100)에 탑재되고, 상기 흡입부(200)에 흡입력을 제공하게 되는 송풍기(300); 및
    상기 차량(100)에 탑재되고, 상기 흡입부(200)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적재함(400);을 포함하되,
    상기 적재함(400)은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411)를 갖는 케이싱(410);
    상기 케이싱(4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411)를 개폐하게 되는 도어(420);
    상기 케이싱(410)의 내측 전부에 하방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3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430);
    전방이 격벽(44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430)와 구획되고 후방이 상기 개구부(411)와 통하도록 상기 케이싱(410)의 내측 후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200)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부(450);
    상기 케이싱(410)의 내측 상부에 상기 적재공간부(450)와 상기 송풍기(300)의 흡입구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배기덕트(460);
    상기 적재공간부(450)의 상부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460)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기덕트(460)를 폐쇄하도록 상방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공간부(450)에서 상기 배기덕트(460)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는 더트스크린(470); 및
    스크린개폐실린더(481), 그리고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481)와 상기 더트스크린(47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8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481)의 작동에 의해 상기 더트스크린(470)을 개폐시키는 스크린구동부(48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481)는 상기 수용공간부(43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460) 및 상기 적재공간부(450)에서 이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440) 또는 상기 배기덕트(460)에는 상기 연결부재(482)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490)이 형성되고,
    상기 더트스크린(470)의 상측에는 풀리(4A0)가 설치되며,
    상기 풀리(4A0)와 상기 관통공(490)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재(482)가 통과하게 되는 보조관통공(4B1)을 갖는 지지브래킷(4B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482)는
    상기 관통공(490)과 상기 보조관통공(4B1)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스크린개폐실린더(481)의 로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더트스크린(470) 측으로 연장된 연결대(482a); 및
    일단이 상기 연결대(482a)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4A0)를 거쳐 상기 더트스크린(470)에 연결된 와이어(48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20)는 이의 상측에 설치된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도어(420)의 전면 상단부에는 도어(42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도어브래킷(422)이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400)은 상기 도어(42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410)의 내측 후부에 형성된 실린더장착공간부(4C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장착공간부(4C0)에는, 실린더브래킷(4D0), 그리고 튜브가 상기 실린더브래킷(4D0)에 연결되고, 로드가 상기 도어브래킷(422)에 연결되는 도어개폐실린더(4E0)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개폐실린더(4E0)의 로드와 상기 도어브래킷(422)의 연결부위(423)는 상기 회전축(421)의 전방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400)을 승강 동작시키게 되는 적재함승강실린더(500);
    상기 차량(10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적재함(400)의 상승동작을 위한 적재함상승스위치(610), 상기 적재함(400)의 하강동작을 위한 적재함하강스위치(620), 상기 도어(420)의 개방동작을 위한 도어개방스위치(630), 그리고 상기 도어(420)의 폐쇄동작을 위한 도어폐쇄스위치(640)를 포함하는 조작부(600); 및
    상기 차량(100)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400)의 하강시 적재함(400)에 접촉되고 적재함(400)의 상승시 적재함(400)에 비 접촉되어 적재함(400)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미트스위치(700)는 상기 적재함(400)에 비 접촉시 상기 도어폐쇄스위치(640)로 공급되는 전류를 단절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에 설치된 경보기(800); 및
    상기 경보기(800)를 지나는 회로상에 연결되고, 상기 더트스크린(47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경보기(800)를 작동시키게 되는 압력스위치(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에 설치되어 차량(100)의 운행 여부를 검출하는 차량운행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구동부(480)는 상기 더트스크린(47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스위치(900)에 의한 상기 송풍기(300)의 가동 신호와, 상기 차량운행검출부에 의한 차량운행 신호의 발생 시 상기 더트스크린(470)을 폐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
  6. 삭제
KR1020190095057A 2019-08-05 2019-08-05 노면 청소차량 KR10206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57A KR102065695B1 (ko) 2019-08-05 2019-08-05 노면 청소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57A KR102065695B1 (ko) 2019-08-05 2019-08-05 노면 청소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95B1 true KR102065695B1 (ko) 2020-03-02

Family

ID=6980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057A KR102065695B1 (ko) 2019-08-05 2019-08-05 노면 청소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699B1 (ko) 2021-11-18 2022-02-18 부커셰링코리아(주) 고전압인터락 회로를 구성하여 안전성을 높인 전기식 노면청소차
KR102367541B1 (ko) 2020-11-26 2022-02-25 부커셰링코리아(주) 미세먼지 집진 성능이 향상된 습식필터가 장착된 노면 청소차량
KR102409307B1 (ko) 2021-09-16 2022-06-15 부커셰링코리아(주)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KR102459782B1 (ko) * 2022-08-19 2022-10-27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량용 적재함 이지 크리닝장치
KR102490393B1 (ko) 2022-07-26 2023-01-20 부커셰링코리아(주)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85B1 (ko) 2008-03-21 2008-09-16 부커셰링코리아(주) 저소음용 노면 청소차
KR20090129113A (ko) * 2008-06-12 2009-12-16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용 더트 스크린 장치
KR20160059331A (ko) *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85B1 (ko) 2008-03-21 2008-09-16 부커셰링코리아(주) 저소음용 노면 청소차
KR20090129113A (ko) * 2008-06-12 2009-12-16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용 더트 스크린 장치
KR20160059331A (ko) *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541B1 (ko) 2020-11-26 2022-02-25 부커셰링코리아(주) 미세먼지 집진 성능이 향상된 습식필터가 장착된 노면 청소차량
KR102409307B1 (ko) 2021-09-16 2022-06-15 부커셰링코리아(주)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KR102364699B1 (ko) 2021-11-18 2022-02-18 부커셰링코리아(주) 고전압인터락 회로를 구성하여 안전성을 높인 전기식 노면청소차
KR102490393B1 (ko) 2022-07-26 2023-01-20 부커셰링코리아(주)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KR102459782B1 (ko) * 2022-08-19 2022-10-27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량용 적재함 이지 크리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695B1 (ko) 노면 청소차량
CA1287954C (en) Vacuum cleaner with operating condition indicator system
EP0578442B1 (en) Improved hopper and filter chamber for direct forward throw sweeper
KR20100132893A (ko)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먼지 포집 방법
JP2006316520A (ja) 路面清掃車
US5142732A (en) Bulk separator for industrial vacuum machine
JPS6130084B2 (ko)
KR20200007490A (ko) 로봇 청소기용 구동휠 높이조절장치
US6428588B1 (en) Filter cleaning apparatus
JPH08244906A (ja) ごみ貯留装置
KR10195676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CN209082408U (zh) 一种道路洗扫车抽吸***自洁装置
CN209618065U (zh) 垃圾桶
JP5732445B2 (ja) コンバイン
KR102367541B1 (ko) 미세먼지 집진 성능이 향상된 습식필터가 장착된 노면 청소차량
KR101010422B1 (ko) 자동청소기의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CN219699805U (zh) 垃圾回收装置、垃圾回收组件、基站、清洁机器人及***
US6578293B1 (en) Suction excavator
CN219029762U (zh) 吸污车
KR100296690B1 (ko) 레일 도상 자갈 회수장치
US6588056B2 (en) Web trim collection system
KR200333315Y1 (ko) 집진기
CN221342367U (zh) 用于垃圾车的垃圾箱以及具有它的垃圾车
CN114633967B (zh) 一种垃圾仓及清洁设备
CN218947683U (zh) 矿用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