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525B1 - 기판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25B1
KR102065525B1 KR1020190095683A KR20190095683A KR102065525B1 KR 102065525 B1 KR102065525 B1 KR 102065525B1 KR 1020190095683 A KR1020190095683 A KR 1020190095683A KR 20190095683 A KR20190095683 A KR 20190095683A KR 102065525 B1 KR102065525 B1 KR 10206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nnector
spring
protru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수
김용일
소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디
Priority to US16/662,85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25008B2/en
Priority to CN201911024418.5A priority patent/CN111106462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100)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11)를 구비하는 제1 쉘(10); 커버부(22)와 상기 돌출연장부(11) 사이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연장부(11)와 맞물려 고정되는 탄성회동부(21)를 구비하는 제2 쉘(20); 및 상기 제2 쉘(20)을 상기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과 상기 제1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 사이에 배치되는 벌류트 스프링(volute srring)(3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연결용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기판 사이의 결합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유연성 있게 회동할 수 있게 하며, 두 기판 사이의 평행도를 향상시켜 안정적인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통신 기기들 사이에는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되며, 신호가 전송되는 통신 기기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이용된다.
커넥터는 대상물들을 결합시켜 대상물들 사이에 전기적 신호와 접지전압을 전달하는데,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결합, 인쇄회로기판과 동축케이블사이의 결합 또는 동축 케이블들 사이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결합'은 제한된 공간에서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적층하고 그 사이에 다수의 커넥터들을 다수의 단자들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결합을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301772호에서는 알에프(RF) 커넥터의 일측인 커넥터부가 회동, 절곡, 및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판연결용 알에프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도 1을 참조하면, 알에프 커넥터는 제1 기판에 고정되며 인터페이스부를 제공하는 커넥터부(1)와, 제2 기판에 고정되며 인터페이스부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공을 제공하는 단자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부(1)의 케이스(3)의 중앙부에는 나선형으로 절개된 홈인 절개홈(4)이 마련되어, 케이스(3)의 하부측이 제1 기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는 360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개홈(4)의 작용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의 절개홈(4)의 구성을 위하여는 케이스(3)의 중앙부에 나선형의 절개된 홈을 만들기 위한 별도의 제조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절개홈(4)은 상하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을 주로 제공하므로, 좌우방향으로의 유연성 있는 회동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제10-1301772호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128279호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6)를 구비하는 제1 쉘(5),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연장부(6)와 맞물려 고정되는 탄성회동부(8)를 구비하는 제2 쉘(7), 및 상기 제1 쉘(5)과 상기 제2 쉘(7)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 코일스프링(9)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회동부(8)와 상기 제2 쉘(7)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부에서 좌우로 회동이 가능한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128279호에서는 제1 쉘(5)과 제2 쉘(6)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설치하므로, 인쇄회로기판에 과대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스프링이 영구변형을 일으켜 탄성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는 압축코일스프링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128279호에서는 제1 쉘(5)과 제2 쉘(6)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설치하므로, 압코일스프링의 상단면과 하단면의 평행상태가 유지되지 않아서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이 하측에 배치되는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압축코일스프링은 하중 포지션이 코일스프링의 상단면 및 하단면의 전체에 대하여 발생하므로 하중 분포의 불균일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통상의 압축코일스프링은 스프링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서로 수평으로 되어야 제품의 직진도가 형성되므로, 이를 위하여 스프링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수평으로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연마 공정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번거롭게 된다. 또한, 통상의 압축코일스프링을 적용하는 경우에 코일스프링이 소정 크기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기능하는 스토퍼를 스프링 자체에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128279호에서는 제1 쉘(5)과 제2 쉘(6)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이 배치되므로, 제2 쉘(6)이 제1 쉘(5)에 대하여 상대 회전을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기판 사이의 결합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유연성 있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의 하중 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평행도를 개선하여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두 기판 사이의 평행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이 소정 크기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쉘; 커버부와 상기 돌출연장부 사이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연장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탄성회동부를 구비하는 제2 쉘; 및 상기 제2 쉘을 상기 제1 쉘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의 커버부의 하단면과 상기 제1쉘의 하측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벌류트 스프링(volute sr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탄성회동부는 상기 커버부와 이격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회동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벌류트 스프링의 내경은 상기 제2 쉘의 커버부의 하단면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벌류트 스프링의 외경은 상기 제1 쉘의 하측 플랜지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쉘의 하측 플랜지의 상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의 하단부의 외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쉘의 커버부의 하단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의 상단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쉘; 커버부와 상기 돌출연장부 사이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연장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탄성회동부를 구비하는 제2 쉘; 및 상기 제2 쉘을 상기 제1 쉘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의 커버부의 하단면과 상기 제1쉘의 하측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회동부는 상기 커버부와 이격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회동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은 내측원형띠,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의 복수의 연장부 및 복수의 다리부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경사지게 돌출하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중간 지점에서 경사도가 변하는 변곡부를 가지며 다리부의 말단부가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의 내측원형띠 및 연장부는 상기 제1 쉘의 하측 플랜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에 맞물리며,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의 복수의 다리부의 말단부는 상기 제2 쉘의 커버부의 하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부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의 복수의 다리부의 말단부가 상기 다리부의 정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며, 상기 제2 쉘이 상기 제1 쉘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의 다리부의 말단부가 상기 제1 쉘의 하측 플랜지부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의 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내측원형띠,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말단부가 스토퍼의 정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스토퍼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스프링(60-3)은 상기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의 상면에서 상기 다중점 지지 스프링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쉘이 상기 제1 쉘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 스프링의 스토퍼의 말단부가 상기 제1쉘의 하측 플랜지부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의 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쉘의 돌출연장부의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스토퍼(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쉘이 상기 제1 쉘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쉘의 탄성회동부의 하단부가 상기 제1 쉘의 스토퍼(14)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의 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을 관통하는 중심도체인 컨택트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탄성회동부는 상기 제2 쉘의 좌우 회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이동공간부에는 상기 탄성회동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오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2 기판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제2 쉘의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잭 타입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컨택트핀은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터미널은 제1 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은 제2 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터미널의 일 단부는 구(球)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터미널의 길이방향의 삽입공간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제2 쉘의 상하 및 좌우로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터미널도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2 쉘이 상기 제1 쉘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터미널의 일 단부가 상기 제1 터미널의 삽입공간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의 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육안으로 위치의 확인이 어려운 두 기판 사이의 결합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유연성 있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과대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쉘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이 영구변형을 일으키기 않고 스프링의 하중 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두 기판간의 결합시 좌우방향으로 과도한 결합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커넥터의 영구적인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며, 또한 삽입되는 핀이 휘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평행도를 개선하여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두 기판 사이의 평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이 소정 크기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1 쉘과 제2 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쉘에 벌류트 스프링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벌류트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수직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잭 타입 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터미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1 쉘과 제2 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쉘에 판스프링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판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판스프링과 스토퍼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판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수직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3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두 기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100)에 고정되는 제1 쉘(10)과, 제1 쉘(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쉘(20)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부와, 제2 기판(200)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제2 쉘(20)의 상단이 맞물리는 잭 타입 커넥터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쉘(20)의 상단에는 잭 타입 커넥터부(80)의 내주면에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릿홈(26)을 가질 수 있다.
제1 쉘(10)과 제2 쉘(20)은 전도성 재료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간 또는 다른 구성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쉘(20)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탄성회동부(21)가 제2 쉘(20)의 바깥쪽으로 제1 쉘(10)을 향해 부착된 커버부(22)와 제1 쉘(10)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연장부(11)와 맞물린다. 또한, 탄성회동부(21)가 탄성회동부(21)와 커버부(22) 사이의 이동공간부(50) 내에서 회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간의 커넥터를 통한 결합시의 제2 쉘(20)의 좌우 회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 쉘(20)의 회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1 및 제2 터미널(41, 42)의 배치 및 돌출연장부(11)와 탄성회동부(21)의 맞물림 구성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2 쉘(20)을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과 상기 제1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 사이에 벌류트 스프링(volute spring)(30)이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벌류트 스프링(30)은 원뿔 코일 스프링의 일종으로, 사각형 단면의 강판을 원뿔 형상으로 감은 압축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벌류트 스프링(30)은 복수의 턴(turn)을 감긴 구조로서, 예를 들어, 도 4, 도 5 및 도8에서는 6회 턴으로 감긴 벌류트 스프링(30)으로 도시하고, 도 6 및 도 7에서는 3회 턴으로 감긴 벌류트 스프링(30)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벌류트 스프링(30)의 감긴 턴 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작용하는 하중 조건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상단은 상기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에 맞물리며,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하단은 상기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에 맞물린다.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이 제1 쉘(10)과 제2 쉘(20) 사이에 잘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내경(d), 즉 상단부의 내경은 상기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의 내경(d2)보다 크거가 같게 설정되며,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외경(D)은 상기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외경(D2)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상하단부가 각각 제1 쉘(10)과 제2 쉘(20)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12)의 상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하단부의 내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상단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벌류트 스프링의 하단부가 제1 쉘의 하측 플랜지의 상부면에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벌류트 스프링의 상단부가 제2 쉘의 커버부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200)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축 하중이 작용할 때, 벌류트 스프링의 완충 하중(수용 하중)은 스프링의 변형과 함께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다가 스프링 직경이 큰 하단부의 판(plate)부터 순차적으로 좌면(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 상면)에 접촉한다. 벌류트 스프링의 하단부에서 좌면에 접촉된 부분의 판은 스프링으로서의 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하중 이상에서의 변위에 대하여 완충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가진다. 또한, 벌류트 스프링(30)은 서로 밀착되는 판과 판 사이의 마찰에 의한 진동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200)에 작용하는 과대한 하중으로부터 스프링이 보호될 수 있으며, 작은 장소에서도 커넥터가 큰 하중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잭 타입 커넥터부(80)는 제2 기판(200)에 마련된 탭형의 통공에 회전 결합되거나 제2 기판(200)에 삽입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잭 타입 커넥터부(80)는 제2 쉘(20)의 상단이 맞물리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부, 바디부의 중앙부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관통삽입되는 단자핀, 및 단자핀을 둘러싸며 바디부의 중앙부에 고정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쉘(10)은 결합부(16)가 제1 기판(100)에 삽입고정되거나 탭형의 통공에 회전결합 등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쉘(10)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는 제2 쉘(20)이 잭 타입 커넥터부(80)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제1 쉘(10)과 잭 타입 커넥터부(80)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상호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제1 쉘(10)과 잭 타입 커넥터부(80)는 각각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중 어느 기판에 설치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은 통신용 함체일 수 있다. 즉, 함체와 기판의 결합 또는 기판과 기판의 결합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기판의 알에프(Radio Frequency) 신호를 함체와 절연된 상태로 함체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거나, 외부의 알에프 신호를 함체 내의 기판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기판연결용터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쉘(10), 제2 쉘(20) 및 컨택트핀(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쉘(10)은 제1 기판(100)에 결합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쉘(10)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쉘(10)의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11)도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연장부(11)는 제1 쉘(10)의 본체부의 두께보다 더 작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제1 쉘의 본체부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연장부(11)는 제2 쉘(20) 측을 향하는 상부의 일 단부(11a)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제2 쉘(20)의 본체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회동부(21)와의 맞물림을 위한 구성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회동부(21)는 제2 쉘(20)의 좌우 회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형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은 제1 쉘(20)의 돌출연장부(11)가 제2 쉘(20)의 탄성회동부(21)와 맞물리며 결합할 때,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회동부(21)가 제2 쉘(20)의 회동으로 인한 외력을 받을 때 상기 슬롯을 통해 내측 및 외측으로 일정 간격 회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2 쉘(20)의 효과적인 회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슬롯은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구성될 수도 있으며, 임의의 개수 및 간격을 이루며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슬롯의 형상은 제2 쉘(20)의 탄성회동부(21)뿐만 아니라 제1 쉘(20)의 돌출연장부(11)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쉘(20)은 커버부(22)와 돌출연장부(11) 사이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연장부(11)와 맞물려 고정되는 탄성회동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회동부(21)는, 제2 쉘(20)의 제1 쉘(10)을 향하는 일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 단면에서 제2 쉘(20)의 바깥쪽으로 결합되는 커버부(22)에 가까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회동부(21)는 연속된 원형의 형상으로서 커버부(22)와 제1 쉘(10)의 돌출연장부(11) 사이의 공간으로 제1 쉘(10)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탄성회동부(21)는 상기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돌출연장부(11)와의 결합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슬롯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쉘(20)의 임의의 일 단면에, 예를 들면,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회동부(21)는 일 단부(21a)에 제1 쉘(10)의 돌출연장부(11)의 일 단부(11a)와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회동부(21)의 돌출부는 제1 쉘(10) 또는 제2 쉘(2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반경 방향'이란 중심축으로의 방향 또는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제2 쉘(20)의 탄성회동부(21)의 일 단부(21a)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제1 쉘(10)에서 제2 쉘(20)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연장부(11)의 일 단부(11a)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서로 맞물리며 고정된다. 예를 들면, 탄성회동부(21)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고, 돌출연장부(11)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탄성회동부(21)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향하고, 돌출연장부(11)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돌출연장부(11)와 탄성회동부(21)의 각각의 반경은 어느 한쪽이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쉘(10)의 돌출연장부(11)와 제2 쉘(20)의 탄성회동부(21)는 각각 제1 및 제2 쉘(10, 20)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쉘(10, 20)의 일 단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2 쉘(20)의 탄성회동부(21)가 제1 쉘(10)의 돌출연장부(11)에 끼워져 맞물리면서, 제2 쉘(20)이 제1 쉘(10)의 상부에서 상하ㆍ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탄성회동부(21) 및/또는 돌출연장부(11)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두 기판(100, 200) 사이의 결합시의 제2 쉘(20)과 제1 쉘(10)의 상대적인 회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한다. 특히, 탄성회동부(21)와 돌출연장부(11)는 서로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커넥터 내부 중공의 일정 공간 내에서 회동가능하므로, 제2 쉘(20)과 제1 쉘(10)간의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효과적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탄성회동부(21)와 커버부(22) 사이에는 이동공간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회동부(21)는 커버부(22)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탄성회동부(21)와 커버부(22)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50)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탄성회동부(21)의 좌우로의 회동은, 커넥터 장착시의 양 기판(100, 200)간의 결합시, 제1 및 제2 쉘(10, 20)을 서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기판간의 결합시 좌우방향으로 과도한 결합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커넥터의 영구적인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며, 또한 삽입되는 핀이 휘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이용되는 벌류트 스프링의 재질은 고탄소강, 크롬강, 스테인레스 강, 인청동, 베릴륨동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금속재료도 이용될 수 있다. 벌류트 스프링은 소정 두께 및 폭의 판 형상의 스프링 재료를 소정의 내경, 외경 및 높이를 가지도록 소정 권수로 감아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핀(40)은 제1 쉘(10)과 제2 쉘(20)을 관통하는 중심도체로서 커넥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컨텍트핀(40)은 절연부(24)에 의해 제2 쉘(2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40)은 제1 터미널(41) 및 제2 터미널(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터미널(41)은 제1 쉘(10) 내측에 배치되고, 제2 터미널(42)은 제2 쉘(2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20)의 일 단부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쉘(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41)의 길이방향의 삽입공간(43)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두 기판(100, 200)간의 결합시 수평 정렬이 맞지 않을 경우에, 제1 및 제2 쉘(10, 20)의 상하 및 좌우로의 회동에 따라 제2 터미널(20)도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하다. 즉, 제1 터미널(41)과 제2 터미널(42)은 서로 결합되고 제2 터미널 내로 제1 터미널(41)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제1 쉘(10)과 제2 쉘(20) 간의 상호 회동시에 컨택트핀(40)이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2 쉘(20)이 제1 쉘(10)쪽으로 이동할 때, 제2 터미널(42)의 일 단부(42a)가 제1 터미널(41)의 삽입공간(43)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 쉘(20)의 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하여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이 영구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를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었으며,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100)에 고정되는 제1 쉘(10)과, 제1 쉘(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쉘(20)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부와, 제2 기판(200)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제2 쉘(20)의 상단이 맞물리는 잭 타입 커넥터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쉘(20)의 상단에는 잭 타입 커넥터부(80)의 내주면에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릿홈(26)을 가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2 쉘(20)을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과 상기 제1쉘(10)의 하측 플랜지부 사이에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이 배치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은 내측원형띠(61),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62)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다리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이 상기 제2 쉘(2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다리부(63)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리부(63)는 3개가 될 수도 있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4개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의 하단인 내측원형띠(61)는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때, 판스프링(60-1)의 하단이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에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판스프링(60-1)의 내측원형띠(61)와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62)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원형띠(61)와 연장부(62)의 윤곽에 맞도록 형성된 오목한 홈 형상의 안착부(14)가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의 복수의 다리부(63)의 말단부들(65)이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에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말단부들이(65)이 삽입될 수 있는 오목한 홈 형상의 안착부가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은 복수의 다리부(63)가 제2 쉘(20)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 원형의 상단면에 의해 상부 기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보다 하중 편차가 훨씬 적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하측에 배치되는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63)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설계 사양에 따라 4개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쉘(10)과 제2 쉘(20) 사이에 배치된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이 상부 기판을 하중 편차가 적게 하부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의 복수의 다리부(63)의 말단부들(65)은 수평으로, 즉 내측원형띠(61)의 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의 복수의 다리부들(63)은 내측원형띠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62)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판스프링(60-1)의 하중 지지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다리부들(63)의 중간 지점에 경사도가 변하는 변곡부(64)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은 Beryllium Copper C1720_TO.15를 이용하여 프레스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금속재료 및/또는 다른 기계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는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상면과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 사이의 최대 거리(H)는 대략 2.6mm가 유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치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제2 쉘(20)이 완충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이 하방향으로 수축되는데, 이때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의 영구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쉘(20)이 제1 쉘(10)을 향하여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스토퍼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는 제1 쉘(10)의 돌출연장부(11)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소정의 높이(h)를 가지는 스토퍼(1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의 높이(h)는 약 0.8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치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컨택트핀(40)은 제1 쉘(10)과 제2 쉘(20)을 관통하는 중심도체로서 커넥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컨텍트핀(40)은 절연부(24)에 의해 제2 쉘(2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40)은 제1 터미널(41) 및 제2 터미널(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터미널(41)은 제1 쉘(10) 내측에 배치되고, 제2 터미널(42)은 제2 쉘(2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20)의 일 단부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쉘(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41)의 길이방향의 삽입공간(43)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두 기판(100, 200)간의 결합시 수평 정렬이 맞지 않을 경우에, 제1 및 제2 쉘(10, 20)의 상하 및 좌우로의 회동에 따라 제2 터미널(20)도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하다. 즉, 제1 터미널(41)과 제2 터미널(42)은 서로 결합되고 제2 터미널 내로 제1 터미널(41)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제1 쉘(10)과 제2 쉘(20) 간의 상호 회동시에 컨택트핀(40)이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2 쉘(20)이 제1 쉘(10)쪽으로 이동할 때, 제2 터미널(42)의 일 단부(42a)가 제1 터미널(41)의 삽입공간(43)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 쉘(20)의 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하여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이 영구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b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과 스토퍼 스프링(60-3)이 도시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스프링(60-3)이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스토퍼 스프링(60-3)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스토퍼 스프링(60-3)은 내측원형띠(61-3),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62-3)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말단부(65-3)가 스토퍼의 정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h) 만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63-3)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 스프링(60-3)은 상기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12)의 상면에서 다중점 지지 스프링(60-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쉘(20)이 상기 제1 쉘(10)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 스프링(60-3)의 스토퍼(63-3)의 말단부가 상기 제1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20)의 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스프링(60-3)의 스토퍼(63-3)의 높이는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의 다리부(63)의 높이보다 낮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스프링(60-3)의 스토퍼(63-3)의 정점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부의 길이(h)는 약 0.8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치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12c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4)이 도시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4)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에 비하여 복수의 다리부(63)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65)가 정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h)만큼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4)의 다리부(63)의 말단부(65)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4)의 복수의 다리부(63)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63)의 말단부(65)로부터 소정 길이(h) 만큼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쉘(20)이 제1 쉘(10)으로 이동하여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4)이 하방향으로 수축될 때, 상기 다리부(63)의 연장된 말단부(65)가 먼저 제1 쉘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접촉되어 제2 쉘(20)의 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63)의 말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된 길이(h)는 약 0.8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치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는, 제2 쉘(20)의 탄성회동부(21)와 함께 제1 쉘(10)과 제2 쉘(20)간의 상호 회동을 보다 자유롭게 하는 추가적인 구성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탄성회동부(21)와 커버부(22) 사이에 형성된 이동공간부(50)에 플레이트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나 오링(O-ring)(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완충 역할을 하는 추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탄성회동부(21)와 커버부(22) 사이의 이동공간부(50)에 플레이트 스프링(plate spring)이 더 배치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스프링은 일부가 탄성회동부(21)를 향하여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기판(100, 200) 간의 결합시 제1 및 제2 쉘(10, 20)이 회동할 때, 그에 따라 제1 쉘(10)의 돌출연장부(11)와 맞물려 고정되는 제2 쉘(20)의 탄성회동부(21)도 회동하여 커넥터의 자유로운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1 및 제2 쉘(10, 20)의 회동에 의하여 탄성회동부(21)에 가해지는 압력은 플레이트스프링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스프링은 탄성회동부(21)에 유연성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회동의 유연성이 극대화되며, 탄성회동부(21)와 같은 커넥터의 각 구성이 손상되는 것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스프링은 커버부(30)의 내벽에 장착되고 중간 부분이 탄성회동부(21)를 향하여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부분이 탄성회동부(21)를 향하여 휘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탄성회동부(21)에 맞닿아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회동부(21)와 커버부(30) 사이의 이동공간부(50)에 오링이 더 배치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오링이 이동공간부(50)에 끼워져 탄성회동부(21)에 가해지는 압력을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다. 오링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커버부(22)의 내벽에 형성되는 함몰부에 끼워져 상기 내벽을 지나 탄성회동부(21)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지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플레이트 스프링 또는 오링 등의 구성은 동시에 이동공간부(50)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돌출연장부(11)와 탄성회동부(21)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커넥터 내부의 임의의 공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또는 변경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쉘 11: 돌출연장부
12: 플랜지부 13: 스토퍼
20: 제2 쉘 21: 탄성회동부
22: 커버부 24: 절연부
30: 벌류트 스프링 31: 벌류트 스프링의 하단부
32: 벌류트 스프링의 상단부 40: 컨택트핀
41: 제1 터미널 42: 제2 터미널
50: 이동공간부 60, 60-1, 60-4: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
60-3: 스토퍼 스프링 61, 61-3: 내측원형띠
62, 62-3: 연장부 63: 다리부
65, 65-3: 말단부 80: 잭 타입 커넥터
100: 제1 기판 200: 제2 기판

Claims (13)

  1. 제1 기판(100)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11)를 구비하는 제1 쉘(10);
    커버부(22)와 상기 돌출연장부(11) 사이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연장부(11)와 맞물려 고정되는 탄성회동부(21)를 구비하는 제2 쉘(20); 및
    상기 제2 쉘(20)을 상기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과 상기 제1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 사이에 배치되는 벌류트 스프링(volute srring)(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12)의 상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하단부의 외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상단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23)가 형성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회동부(21)는 상기 커버부(22)와 이격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회동부(21)와 상기 커버부(22)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50)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한
    기판연결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내경(d)은 상기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의 내경(d2)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벌류트 스프링(30)의 외경(D)은 상기 제1 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외경(D2)보다 작거나 같은
    기판연결용 커넥터.
  4. 삭제
  5. 제1 기판(100)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11)를 구비하는 제1 쉘(10);
    커버부(22)와 상기 돌출연장부(11) 사이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연장부(11)와 맞물려 고정되는 탄성회동부(21)를 구비하는 제2 쉘(20); 및
    상기 제2 쉘(20)을 상기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20)의 커버부(22)의 하단면과 상기 제1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 사이에 배치되는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회동부(21)는 상기 커버부(22)와 이격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회동부(21)와 상기 커버부(22)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50)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 60-4)은 내측원형띠(61),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3개 이상의 연장부(62)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3개 이상의 다리부(63)를 구비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4)의 복수의 다리부의 말단부(65)가 상기 다리부의 정점(66)으로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h) 만큼 연장되며,
    상기 제2 쉘(20)이 상기 제1쉘(10)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4)의 다리부의 말단부(65)가 상기 제1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20)의 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내측원형띠(61-3),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62-3)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말단부가 스토퍼의 정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h) 만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63-3)를 구비하는 스토퍼 스프링(60-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스프링(60-3)은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60-1)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쉘(20)이 상기 제1 쉘(10)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 스프링(60-3)의 스토퍼(63-3)의 말단부가 상기 제1쉘(10)의 하측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20)의 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10)의 돌출연장부(11)의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스토퍼(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쉘(20)이 상기 제1쉘(10)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쉘의 탄성회동부(21)의 하단부가 상기 제1쉘(10)의 스토퍼(14)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20)의 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10)과 상기 제2 쉘(20)을 관통하는 중심도체인 컨택트핀(40)을 더 포함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회동부(21)는 상기 제2 쉘(20)의 좌우 회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핀(40)은 제1 터미널(41) 및 제2 터미널(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터미널(41)은 제1 쉘(1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터미널(42)은 제2 쉘(20)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터미널(42)의 일 단부는 구(球)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터미널(41)의 길이방향의 삽입공간(43)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제2 쉘(20)의 상하 및 좌우로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터미널(20)도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한
    기판연결용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20)이 상기 제1 쉘(10)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터미널(42)의 일 단부(42a)가 상기 제1 터미널(41)의 삽입공간(43)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쉘(20)의 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20190095683A 2018-10-25 2019-08-06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206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62,854 US11025008B2 (en) 2018-10-25 2019-10-24 Board to board connector
CN201911024418.5A CN111106462A (zh) 2018-10-25 2019-10-25 基板连接用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55 2019-06-04
KR20190066255 2019-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525B1 true KR102065525B1 (ko) 2020-01-13

Family

ID=6915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683A KR102065525B1 (ko) 2018-10-25 2019-08-06 기판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25008B2 (ko)
KR (1) KR102065525B1 (ko)
CN (1) CN1111064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06A (ko) * 2020-08-26 2022-03-08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동축 커넥터
KR20220146817A (ko) *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알에프 동축 커넥터
KR102651528B1 (ko) * 2023-05-30 2024-03-28 주식회사 비마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CN117954876A (zh) * 2024-03-26 2024-04-30 深圳市锦凌电子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且便于调节的板对板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636B1 (ko) * 2018-02-28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787121A (zh) * 2019-11-11 2021-05-1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EP3923421A1 (de) * 2020-06-09 2021-12-15 Afag Holding AG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mit einem grundkörper und einem verschiebekörper
DE102020004993A1 (de) * 2020-08-17 2022-02-17 Auto-Kabel Management Gmbh Bordnetzsteckverbinder
JP7280558B2 (ja) * 2020-10-12 2023-05-24 Smk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のフローティング構造
TWI750868B (zh) * 2020-10-23 2021-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環形連接器
US11990715B2 (en) * 2020-12-11 2024-05-21 Raytheon Company Self-aligning radio frequency connector
US11831103B1 (en) * 2021-01-14 2023-11-2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lf-aligning connector assembly
CN214254973U (zh) * 2021-02-02 2021-09-2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无线通信设备的内部印刷电路板对印刷电路板连接器
DE102021133914A1 (de) * 2021-12-20 2023-06-22 Hanon Systems Efp Deutschland Gmbh Einricht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Elektromotorwicklung eines Elektromotors mit einer Leiterplatte einer Motorsteueru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852A (ja) * 2007-08-30 2009-03-19 Tokai Rubber Ind Ltd ロアインシュレータ
KR101476570B1 (ko) * 2010-12-07 2014-12-24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케이블 아웃렛 커넥터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장치
JP2017059337A (ja) * 2015-09-15 2017-03-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圧接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921128B1 (ko) * 2018-04-27 2018-11-22 주식회사 엠피디 리셉터클 커넥터
KR20190060662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6303A (en) * 1995-01-11 1996-05-14 The Whitaker Corporation Floating panel-mounted coaxial connector for use with stripline circuit boards
JPH09320708A (ja) * 1996-05-31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5769652A (en) * 1996-12-31 1998-06-23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JP3358999B2 (ja) * 1999-02-09 2002-1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3035541B1 (ja) 1999-03-19 2000-04-2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フロ―ティングコネクタ
US6558177B2 (en) * 2000-11-22 2003-05-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loating coaxial connector
ATE298140T1 (de) * 2001-08-31 2005-07-15 Tyco Electronics Amp Gmbh Koaxial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erplatten
US6699054B1 (en) * 2003-01-15 2004-03-02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US6776668B1 (en) * 2003-08-01 2004-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coaxial board-to-board connector
JP4192275B2 (ja) 2005-09-21 2008-12-10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付き同軸コネクタ
FR2905528B1 (fr) * 2006-08-31 2008-10-31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pour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DE102007059254B3 (de) * 2007-12-08 2009-04-30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Schwenkbarer Leiterkartensteckverbinder
CN101420091B (zh) 2008-11-25 2011-11-23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高频同轴连接器
CN102714385B (zh) 2010-01-25 2014-12-03 胡贝尔和茹纳股份公司 电路板共轴连接器
DE102010042804A1 (de) * 2010-10-22 2012-04-26 Robert Bosch Gmbh Kohlebürste mit Abschaltvorrichtung
US8157588B1 (en) 2011-02-08 2012-04-17 Belden Inc. Cable connector with biasing element
KR101326296B1 (ko) 2012-02-27 2013-11-11 주식회사 텔콘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KR101301772B1 (ko) 2012-03-06 2013-08-29 주식회사 텔콘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FR2994031A1 (fr) * 2012-07-27 2014-01-31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hyperfrequence pour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US9484650B2 (en) * 2012-09-12 2016-11-01 Hypertronics Corporation Self-adjusting coaxial contact
US9429179B2 (en) * 2013-11-14 2016-08-3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Retaining wave spring
JP5872000B1 (ja) * 2014-08-06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N104852180B (zh) 2015-06-08 2018-01-26 苏州瑞可达连接***股份有限公司 一种盲插浮动式连接器
JP6183626B2 (ja) 2015-08-04 2017-08-23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CN108173092B (zh) 2017-12-30 2024-05-17 中航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用pogo pin同轴连接器
KR101926502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Pimd 특성이 향상된 신호 컨택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852A (ja) * 2007-08-30 2009-03-19 Tokai Rubber Ind Ltd ロアインシュレータ
KR101476570B1 (ko) * 2010-12-07 2014-12-24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케이블 아웃렛 커넥터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장치
JP2017059337A (ja) * 2015-09-15 2017-03-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圧接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190060662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1921128B1 (ko) * 2018-04-27 2018-11-22 주식회사 엠피디 리셉터클 커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06A (ko) * 2020-08-26 2022-03-08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동축 커넥터
KR102421001B1 (ko) * 2020-08-26 2022-07-18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동축 커넥터
KR20220146817A (ko) *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알에프 동축 커넥터
KR102580290B1 (ko) 2021-04-26 2023-09-2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알에프 동축 커넥터
KR102651528B1 (ko) * 2023-05-30 2024-03-28 주식회사 비마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CN117954876A (zh) * 2024-03-26 2024-04-30 深圳市锦凌电子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且便于调节的板对板连接器
CN117954876B (zh) * 2024-03-26 2024-05-28 深圳市锦凌电子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且便于调节的板对板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25008B2 (en) 2021-06-01
US20200136314A1 (en) 2020-04-30
CN111106462A (zh)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525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1936770B1 (ko) 접촉 장치
US9620900B2 (en)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CA2689119C (en) Co-axial connector
KR102025933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2122687B1 (ko)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
JP5816384B2 (ja) 基板接続用rfコネクタ
US11411347B2 (en) Coaxial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11404808B2 (en) Coaxial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7109303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21018948A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US1138101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1664617B2 (en) Electrical terminal, method for manufacturing elastic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1201521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10040767A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CN210866559U (zh) 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WO2020255648A1 (ja) コネクタ
CN103887626A (zh) 同轴连接器
CN112928515A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CN111769389B (zh) 电连接组件、电路板组件和电子设备
CN211530232U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JP2024054475A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コネクタ
JP2023064163A (ja) 通信ケーブルコネクタ
JP2024059967A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およびコイルスプリング付きコネクタ
TW202042447A (zh) 端子結構和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