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953B1 -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953B1
KR102059953B1 KR1020180072256A KR20180072256A KR102059953B1 KR 102059953 B1 KR102059953 B1 KR 102059953B1 KR 1020180072256 A KR1020180072256 A KR 1020180072256A KR 20180072256 A KR20180072256 A KR 20180072256A KR 102059953 B1 KR102059953 B1 KR 102059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rod
melt
discharge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량
Original Assignee
김경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량 filed Critical 김경량
Priority to KR102018007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29C48/2725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filters
    • B29C48/2735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filters u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용융물을 여과시키는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융물이 유입되는 유입로와,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로와, 이물질이 배출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축과, 상기 스크린 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원형 플레이트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에 밀착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린 축 방향으로 안내로가 함몰 형성되는 방사상 플레이트와, 상기 안내로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공과, 상기 배출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크래퍼 유닛 및 상기 배출로에 연통되되, 상기 스크래퍼 유닛에 걸러지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Filtering device for extruder}
본 발명은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용융물을 여과시키는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기는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각종 수지를 가열하여 생성된 수지용융물을 내부의 스크류를 통하여 다이헤드로 압송시켜서 소정의 형상으로 압출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압출되는 용융물은 내부에 다량의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여과하지 않고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노즐이 막히거나 생성되는 생성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함유되어 결과적으로 완성도가 낮은 불량품을 성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통상의 압출기에는 여과수단으로 스크린을 구비하여 압출되는 용융물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노즐의 원활한 압출성형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스크린이 구비된 압출기는 보통 압출기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스크린이 내부로 입설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유지, 보수함에 있어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자되어 여러 개선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종래 기술의 여과장치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795355(등록일자 : 2008.01.10)호 "용융 압출기용 스크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용융 압출기용 스크린 장치는 압출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압출기 본체 내부로 입설되는 형상으로 결합되고 스크린이 폐색되어 교환이 필요한 경우, 전체 공정을 중단하고 공급되는 용융물을 차단해야만 수리 및 교환을 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전체 공정을 중단하기 위해 압출기 본체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수리가 끝난 뒤 다시 압출기를 가열해야 하는 공정대기시간이 요구되어 생산 로스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228283호(등록일자 : 2013.01.24) "사출기 또는 압출기의 필터유닛"에서는 메쉬망으로 수지용액을 필터링한 후 회전하는 메쉬망의 안쪽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메쉬망 표면에 부착된 찌꺼기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것이나, 메쉬망을 이용함에 있어 메쉬망 표면에 부착된 찌꺼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전체 공정을 중단하여 압출기를 가열해야 하는 공정대기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출기와 다이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압출기에서 공급되는 용융물은 투입되되,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작업 공정 중에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시켜 공정의 중단 없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는 용융물이 유입되는 유입로와,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로와, 이물질이 배출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축과, 상기 스크린 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원형 플레이트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에 밀착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린 축 방향으로 안내로가 함몰 형성되는 방사상 플레이트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안내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로 이동되는 용융물을 상기 공급로로 제공하는 유입공과, 상기 배출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크래퍼 유닛 및 상기 배출로에 연통되되, 상기 스크래퍼 유닛에 걸러지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 유닛은 내부에는 상기 배출로와 연통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출관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로드와, 상기 배출관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로드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공관이 형성되는 제2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을 관통하는 제3 로드와, 상기 제3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감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퍼 유닛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음각부와,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양각부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는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축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공으로 투입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로 형성되는 원형 플레이트와, 스크린 축이 회전됨에 따라 원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쌓이게 되는 이물질을 일렬로 배치시켜 배출 유닛으로 내보내는 스크래퍼 유닛을 통해 작업공정 중에 투입된 이물질을 본체 내부에서 즉각 배출시켜 공정 로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래퍼 유닛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배출 유닛은 작업 공정 중에는 제1 배출로가 폐쇄되는 위치에 가압부가 위치하며, 스크래퍼 유닛의 외주면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가압부가 몸체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 배출로를 개폐하여 이물질이 몸체부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몸체부 내부로 이동된 이물질을 제2 배출부로 가압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용융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는 몸체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로드 내지 제3 로드로 구성되며, 제1 로드의 외주면은 몸체부 내주면에 접촉하여 제1 배출로를 개폐 또는 폐쇄시키며, 제2 로드는 제1 로드보다 길게 형성되되 제1 로드에 관통되며 단부에는 제3 로드가 결합되어 제1 로드와 제3 로드 사이 공간을 조절하여 스크래퍼 유닛으로부터 이동되는 이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축, 원형 플레이트, 방사상 플레이트, 유입공, 스크래퍼 유닛 및 배출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는 압출기와 다이헤드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압출기에서 유입되는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 과정에서 전력 차단으로 인해 압출기를 재가열해야 하는 공정대기시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전체적인 생산성이 상승하는 이점을 가지는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스크린 축(200), 원형 플레이트(300), 방사상 플레이트(400), 유입공(500), 스크래퍼 유닛(600) 및 배출 유닛(70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는 일측에는 압출기에서 제공되는 용융물이 유입되는 유입로(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유입로(110)를 통해 유입된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로(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로(11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용융물을 다이헤드로 공급시키는 공급로(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후술할 스크린축(200), 원형 플레이트(300) 및 방사상 플레이트(400)가 설치되도록 내부에는 원통형 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로(110)와 배출로(120) 및 공급로(130)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출기에서 주입되는 용융물이 상기 유입로(110)를 통해 유입되고,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후술할 스크래퍼 유닛(600)에 걸러져 배출로(120)로 배출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용융물은 상기 유입로(110)를 지나 수용공간에 설치된 스크린축(200), 원형 플레이트(300), 방사상 플레이트(400) 및 유입공(500)을 통과하여 상기 공급로(120)를 통해 다이헤드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용융물이 수용공간 내에서 여과되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린 축(20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축(200)의 단부에는 구동 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는 상기 스크린 축(200)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로 형성되며, 다수 개로 형성되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이격된 공간으로는 용융물은 유입되되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통과되지 않도록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는 외주면이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주면과 밀착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과 원형 플레이트(300)의 외주면 사이로 이물질이 통과되지 않도록 밀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400)는 다수 개의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 사이에 밀착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린 축(200)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내로(410)가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400)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410)는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400)에서 상기 스크린 축(200)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스크린 축(20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로(420)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400)는 다수의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이격된 거리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원형 플레이트(300)와 방사상 플레이트(400)가 스크린 축(200)을 따라 반복 형성된다.
상기 안내로(410)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 사이로 이동되는 용융물이 후술할 유입공(500)으로 안내하며, 상기 스크린 축(200)에 인접한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차단로(420)의 측면을 따라 용융물이 이동되어 상기 안내로(410)의 라운드지게 형성된 단부에서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유입공(500)으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400)의 외경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차단로(420)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반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 사이로 유입된 용융물이 안내로(410)에서 다른 안내로(410)로 차단로(420)와 원형 플레이트(300) 간극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공(500)은 상기 안내로(410)가 위치하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안내로(410)의 라운드지게 형성된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공(500)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 사이로 투입된 이물질이 유입공(50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 간의 거리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크린 축(200)에 결합되며, 가장자리부에는 다수의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와 방사상 플레이트(400)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결합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400)의 차단로(420)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도록 체결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과 체결공(310)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축(32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크린 축(200)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와 방사상 플레이트(400)도 동일하게 회전되고, 각각의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400)의 안내로(410)와 차단로(420)가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여 상기 유입로(110)에서 유입되는 용융물이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외주면에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래퍼 유닛(600)은 상기 배출로(120)와 인접하게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원형 플레이트(300)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는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크래퍼 유닛(600)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음각부(610)와,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4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양각부(620)가 반복 형성된다.
즉, 상기 스크린 축(200)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유입로(11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물이 일부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 사이 공간의 안내로(410)로 이동된다.
한편,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회전되는 원형 플레이트(300)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되며, 상기 스크래퍼 유닛(600)의 단부에서 퇴적되게 된다.
상기 이물질은 상기 스크래퍼 유닛(600)의 단부에서 일정량 이상이 퇴적되면, 상기 배출로(120)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배출로(120)에 연통되는 상기 배출 유닛(700)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배출 유닛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출 유닛(700)은 몸체부(710)와, 피스톤부(720) 및 가압부(7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710)는 내부에는 상기 배출로(120)와 연통되는 배출관(711)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711)은 상기 배출로(120)에 연통되는 제1 배출관(711a)과, 상기 제1 배출관(711a)과 연통되며 상기 몸체부(7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 배출관(711b)와 상기 제2 배출관(711b)에 연통되며 최종적으로 이물질이 배출되는 제3 배출관(711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720)는 상기 몸체부(7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배출관(711b)에 삽입된 채로 왕복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730)는 상기 피스톤부(72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부(7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배출관(711b) 내에서 왕복 이동하여 상기 제1 배출관(711a)으로 이동된 이물질을 가압하여 상기 제3 배출관(711c)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730)는 제1 내지 제3 로드(731, 732, 733) 및 마감턱(7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로드(731)는 상기 제2 배출관(711b)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부(72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배출관(711b)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로드(732)는 상기 제2 배출관(711b)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배출관(711b)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로드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관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3 로드(733)는 상기 제1 로드(73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을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로드(733)의 일단은 상기 제1 로드(731)의 단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3 로드(733)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마감턱(734)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 유닛(7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작업 시에는 제1 로드(731)와 제2 로드(732)가 밀착되어 제3 로드(733)가 몸체부(710)의 외측을 돌출되는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스크래퍼 유닛(600)에 퇴적된 이물질이 양이 기준량 이하일 경우에는 제1 배출관(711a)을 통해 이물질이 상기 배출 유닛(700)으로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 유닛(600)에 기준량 이상의 이물질이 퇴적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720)가 상기 몸체부(7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피스톤부(720)에 결합된 제1 로드(731)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로드(731)와 제2 로드(732) 사이(즉, 제2 배출관(711b))에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로드(731)가 상기 피스톤부(7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로드(731)에 연결된 제3 로드(733)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3 로드(733)의 단부에 결합된 마감턱(734)이 제2 로드(732)의 외면에 밀착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720)가 상기 몸체부(710)의 외측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 상기 제1 로드(731)와 제3 로드(733)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3 로드(733)의 단부에 결합된 마감턱(734)이 제2 로드(732)를 가압하여 제2 로드(732)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제1 로드(731)와 제2 로드(732) 사이 공간이 제3 배출관(711c)와 연통되며, 제2 로드(731)와 제2 로드(732) 사이 공간에 수용된 이물질이 제3 배출관(7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도 5 내지 도 7의 작동 순서를 반복하여, 용융물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 사이로 통과되어 유입공(500)을 통해 공급로(130)로 공급되고,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3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스크래퍼 유닛(600)에 퇴적되어 배출로(120)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 유닛(7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작업 공정 중에서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작업공정 중에 투입된 이물질을 본체 내부에서 즉각 배출시켜 공정 로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본체 710 : 몸체부
110 : 유입로 711 : 배출관
120 : 배출로 720 : 피스톤부
130 : 공급로 730 : 가압부
200 : 스크린 축 731 : 제1 로드
300 : 원형 플레이트 732 : 제2 로드
310 : 체결공 733 : 제3 로드
320 : 결합축 734 : 마감턱
400 : 방사상 플레이트 1000 :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410 : 안내로
420 : 차단로
500 : 유입공
600 : 스크래퍼 유닛
610 : 음각부
620 : 양각부
700 : 배출 유닛

Claims (4)

  1. 용융물이 유입되는 유입로와, 용융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로와, 이물질이 배출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축;
    상기 스크린 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원형 플레이트;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에 밀착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린 축 방향으로 안내로가 함몰 형성되는 방사상 플레이트;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안내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로 이동되는 용융물을 상기 공급로로 제공하는 유입공;
    상기 배출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크래퍼 유닛; 및
    상기 배출로에 연통되되, 상기 스크래퍼 유닛에 걸러지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퍼 유닛은,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음각부와,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양각부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내부에는 상기 배출로와 연통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출관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로드와, 상기 배출관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로드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공관이 형성되는 제2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공관을 관통하는 제3 로드와, 상기 제3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감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4. 삭제
KR1020180072256A 2018-06-22 2018-06-22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KR10205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56A KR102059953B1 (ko) 2018-06-22 2018-06-22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56A KR102059953B1 (ko) 2018-06-22 2018-06-22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953B1 true KR102059953B1 (ko) 2019-12-27

Family

ID=6906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256A KR102059953B1 (ko) 2018-06-22 2018-06-22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9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330A (ja) * 2007-10-09 2009-05-21 Tsukada Tokuro メルトフィルタ
KR101430897B1 (ko) * 2014-03-21 2014-08-18 임성일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KR20140143824A (ko) * 2012-04-05 2014-12-17 그린필드 스페셜티 알콜스 아이엔씨. 고체/유체 분리용 트윈 스크류 압출기 프레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330A (ja) * 2007-10-09 2009-05-21 Tsukada Tokuro メルトフィルタ
KR20140143824A (ko) * 2012-04-05 2014-12-17 그린필드 스페셜티 알콜스 아이엔씨. 고체/유체 분리용 트윈 스크류 압출기 프레스
KR101430897B1 (ko) * 2014-03-21 2014-08-18 임성일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3823B2 (ja) 熱可塑性合成樹脂材料を押出す装置
US4332541A (en) Filtering arrangement for thermoplastics materials
US7419592B2 (en) Device for filtering a fluid especially for plastic-processing installations
KR10143089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US4755290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filtering plastic melt with noninterruptive purge
EP0450003B1 (de) Elektrish aufheizbare düse für eine spritzgiessmachine, eine heisskanaleinrichtung o.dgl.
WO199200593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with melt filtration
JPH032002B2 (ko)
KR101935995B1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CN203485420U (zh) 转轴滤芯式换网器
KR20010102011A (ko) 열가소성 플라스틱 물질을 여과시키는 장치
KR102059953B1 (ko)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US20140001111A1 (en) Dirt precipitator for a highly viscous medium
KR100795355B1 (ko) 용융 압출기용 스크린 장치
WO2018184722A1 (de) Filteranordnung für ein fluid
KR101594678B1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의 여과판 막힘 방지장치
KR20190056596A (ko) 재생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압출 다이스
KR101681843B1 (ko) 합성수지 불순물 제거장치
US7052267B2 (en) Extrusion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oduct based on a rubber mix
CN213441078U (zh) 挤出机用方便更换滤芯的过滤器
US3271820A (en) Pelletizer with steam ejection of pellets
KR20120025642A (ko)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JPS60114313A (ja) ろ過装置
KR20240033918A (ko) 재생 합성수지용 이물질 여과 장치
TWM619327U (zh) 押出機過濾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