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752B1 - 팽이 - Google Patents

팽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752B1
KR102059752B1 KR1020180127864A KR20180127864A KR102059752B1 KR 102059752 B1 KR102059752 B1 KR 102059752B1 KR 1020180127864 A KR1020180127864 A KR 1020180127864A KR 20180127864 A KR20180127864 A KR 20180127864A KR 102059752 B1 KR102059752 B1 KR 10205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er
protrusion
weight
finish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Priority to KR102018012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6Diabolos or similar thrown and caught spinning tops; Throwing and catching devices therefor
    • A63B67/165Diabolos or similar thrown and caught spinning tops; Throwing and catching devices therefor the diabolo being able to rotate freely in one direction only, e.g. fitted with an over-running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18Double tops; Multiple tops mounted in or on one an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이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웨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돌출부를 통해 회전중인 팽이에 부착하는 보조팽이를 구비한 팽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으로 발생되는 원심력을 통해 웨이트부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웨이트부의 이동과 연동하여 구성된 돌출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스타터 팽이; 및 회전중인 상기 스타터 팽이로 이동하여 상기 노출된 돌출부를 통해 상기 스타터 팽이에 부착되면, 상기 스타터 팽이와 함게 회전하는 미들 팽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팽이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웨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돌출부를 통해 회전중인 팽이에 부착시켜 적층하는 보조팽이를 통해 새로운 팽이게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팽이{TOY TOP}
본 발명은 팽이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팽이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웨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돌출부를 통해 회전중인 팽이에 치합 또는 부착하는 보조팽이를 구비한 팽이에 관한 것이다.
팽이는 대개 어린이들의 게임이나 놀이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팽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구조의 원추형 형태를 갖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이 소멸되기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놀이기구를 말한다.
팽이를 이용한 게임은 주로 팽이를 회전시킨 다음, 팽이가 쓰러지지 않고 오래 회전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팽이를 충돌시켜 넘어지지 않는 팽이가 승리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즉, 자신의 팽이를 친구 또는 경쟁 상대의 팽이에 부딪치게 하여 상대방의 팽이를 쓰러뜨리는 게임이나, 자신의 팽이로 상대방의 팽이를 게임 보드에서 밀어내는 게임 또는 서로의 팽이가 오래 회전하는 게임을 한다.
최근에는 어린이들이 더 즐겁게 팽이 놀이나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팽이가 제안되고 있는데, 팽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이나, 충돌시 타격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 팽이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이 팽이를 이용한 게임은 단순히 팽이의 회전과, 상대 팽이와의 충돌만을 이용할뿐 팽이의 회전을 이용한 다른 게임은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37171호(발명의 명칭: 완구용 팽이) 문헌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2109호(고암의 명칭: 출몰하는 회전날개가 형성된 팽이완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팽이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웨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돌출부를 통해 회전중인 팽이에 치합 또는 부착하는 보조팽이를 구비한 팽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이 발생하면 원심력을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웨이트부; 및 상기 웨이트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이동에 따라 미들 팽이와 치합 또는 접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한 스타터 팽이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타터 팽이는 상기 회전축, 웨이트부 및 돌출부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타터 팽이는 상기 웨이트부가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타터 팽이은 상기 돌출부가 일정 거리 이상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웨이트부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홈; 및 상기 돌출부와 치합하도록 기울기를 형성한 웨이트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출부는 저면에 상기 웨이트 경사부와 치합하는 "∧" 형상의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타터 팽이는 상면에 상기 미들 팽이와 치합하는 하우징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출부는 상부에 상기 미들 팽이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타터 팽이는 상기 웨이트부 및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타터 팽이는 상기 원심력이 사라지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미들 팽이와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들 팽이는 회전중인 상기 스타터 팽이로 이동하여 상기 노출된 돌출부를 통해 상기 스타터 팽이에 부착되면, 상기 스타터 팽이와 함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팽이는 상기 미들 팽이 상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피니쉬 팽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들 팽이는 상기 돌출부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스타터 팽이에 부착되도록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니쉬 팽이는 상기 미들 팽이의 자석부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미들 팽이에 부착되도록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들 팽이는 하부에 상기 스타터 팽이의 일부와 치합하는 미들 팽이 결합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들 팽이는 상부에 상기 피니쉬 팽이와 치합하는 미들 팽이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니쉬 팽이는 하부에 상기 미들 팽이의 일부와 치합하는 피니쉬 팽이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팽이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웨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돌출부를 통해 회전중인 팽이에 부착시켜 적층하는 보조팽이를 통해 새로운 팽이게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회전만 수행하는 팽이가 아니라 어린이들이 회전중인 팽이에 보조팽이를 회전력의 감쇄없이 부착 및 적층하는 동작을 통해 집중력을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들 팽이와 피니쉬 팽이를 회전시켜 돌출부에 안착시키므로 스타터팽이의 회전력을 유지 및 추가해 줄 수 있으며, 팽이의 회전력이 줄어들어 돌출부가 내려갈 경우, 미들팽이와 피니쉬팽이가 스타터팽이에서 떨어지거나 흩어지는 효과로 팽이 게임의 활동적인 형상을 참가자들에게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정지 상태에서 스타터 팽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회전 상태에서 스타터 팽이 구조를 나타낸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팽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따른 팽이의 정지 상태에서 스타터 팽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정지 상태에서 스타터 팽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회전 상태에서 스타터 팽이 구조를 나타낸 다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이는 스타터 팽이(100)와,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타터 팽이(100)는 회전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으로 발생되는 원심력을 통해 내재된 웨이트부(1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웨이트부(120)의 이동과 연동하여 구성된 돌출부(13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하우징(110)과,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와, 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회전축(111)을 형성한 구성으로서, 덮개부(110a)와, 회전축(111)과, 가이드부(112)와, 스토퍼(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외부 형상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지름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말단에는 회전축(111)이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110a)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와, 스프링(140)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0)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11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가 수납되도록 하우징(110)을 포함한 구성을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우징(110) 없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막대 형상을 갖는 회전축(111)의 하부측 일부를 원뿔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111)의 원뿔 상에 상기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상기 덮개부(110a)와 회전축(111)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웨이트부(120)가 회전축(1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하우징(110)의 경사면 내측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웨이트부(120)와 치합하여 상기 웨이트부(120)가 원심력에 의해 이동할 경우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113)는 상기 덮개부(110a)의 관통공(110a') 둘레 저면으로부터 하우징(1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돌출부(130)와 접촉하여 상기 돌출부(130)가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덮개부(110a)의 상부에 설치되어 미들 팽이(200)가 상기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 접착되면, 상기 미들 팽이(200)의 저면과 치합되도록 하여 상기 스타터 팽이(100)와 미들 팽이(200)가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 돌기부(114)를 추가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부(120)는 상부는 평판형상이고, 하부는 경사면을 형성한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타터 팽이(10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웨이트부(120)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120)는 경사면에 하우징(110)의 가이드부(112)와 치합하는 안내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2)를 따라 일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120)는 원심력이 사라지면, 상기 웨이트부(120)의 자중에 의해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원위치 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120)는 원심력이 크게 발생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는 웨이트부(120)의 상/하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원통형상의 구성으로서, 상기 웨이트부(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부(1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130)의 일부가 덮개부(110a)에 설치된 관통공(110a')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원판부(131)와, 자석부(132)와, 자석 고정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판부(131)는 돌출부(130)의 몸체에 설치되어 웨이트부(120)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웨이트부(120)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돌출부(1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석부(132)는 돌출부(130)의 몸체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 슈팅(또는 드롭)되는 미들 팽이(20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미들 팽이(200)가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석 고정부(133)는 자석부(132)가 돌출부(1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스프링(140)은 덮개부(110a)와 돌출부(130)의 원판부(13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가 일정 위치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스프링(140)은 스타터 팽이(10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가 제1 위치인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스타터 팽이(100)가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 상기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가 제2 위치인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원심력이 사라지면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가 제1 위치로 원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140)은 원심력이 사라지면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력을 통해 서로 부착된 돌출부(130)와 미들 팽이(200)가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미들 팽이(200)는 회전중인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서 슈팅 또는 드롭(Drop)되어 상기 스타터 팽이(100)로 이동하고, 상기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 노출된 돌출부(130)를 통해 상기 스타터 팽이(100)에 부착되어 상기 스타터 팽이(100)와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원반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미들 팽이(200)는 내부에 돌출부(13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스타터 팽이(100)에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미들 팽이(200)는 저면에 스타터 팽이(100)의 하우징 돌기부(114)와 치합하는 미들 팽이 결합홈(2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들 팽이(200)는 상면에 피니쉬 팽이(300)와 치합하는 미들 팽이 돌기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미들 팽이 돌기부(230)는 피니쉬 팽이(300)가 상기 미들 팽이(200)의 상부에 접착되면, 상기 피니쉬 팽이(300)의 저면과 치합하여 상기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가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니쉬 팽이(300)는 미들 팽이(200)가 적층되어 함께 회전중인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서 슈팅 또는 드롭되어 상기 스타터 팽이(100)로 이동하고, 상기 미들 팽이(200)에 설치된 자석부(21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미들 팽이(200)에 부착되어 상기 스타터 팽이(100), 미들 팽이(200)와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원반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니쉬 팽이(300)는 상기 미들 팽이(200)의 자석부(21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미들 팽이(200)에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니쉬 팽이(300)는 저면에 미들 팽이(200)의 미들 팽이 돌기부(230)와 치합하는 피니쉬 팽이 결합홈(320)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쉬 팽이(300)가 상기 미들 팽이(200)의 상부에 접착되면, 상기 미들 팽이 돌기부(230)와 치합하여 상기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가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스타터 팽이(100)와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스타터 팽이(100)를 회전시킨다.
상기 스타터 팽이(100)가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부(120)가 스타터 팽이(10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웨이트부(120)의 동작과 연동하여 돌출부(130)도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자석부(132)가 설치된 돌출부(130)의 상부 말단이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 노출된다.
상기 돌출부(130)가 노출된 상태에서, 도 6(a)와 같이 미들 팽이(200)를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 슈팅 또는 드롭시켜 상기 스타터 팽이(100)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미들 팽이(200)가 상기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 접착되면, 상기 미들 팽이(200)의 저면에 형성된 미들 팽이 결합홈(220)과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 돌기부(114)가 치합하여 상기 스타터 팽이(100)와 미들 팽이(200)는 부착된 상태에서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또한, 스타터 팽이(100)에 미들 팽이(200)가 부착된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피니쉬 팽이(300)를 스타터 팽이(100)의 상부에서 슈팅 또는 드롭시켜 상기 미들 팽이(200) 상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니쉬 팽이(300)가 미들 팽이(200)의 상부에 접착되면, 상기 미들 팽이(200)의 상면에 형성된 미들 팽이 돌기부(230)와 피니쉬 팽이(300)의 하부에 형성된 미들 팽이 결합홈(320)이 치합하여 상기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상기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의 슈팅 또는 드롭은 게임을 통해 진행될 수 있고, 스트터 팽이(100)가 회전되도록 최초 슈팅 후 원심력이 줄어들기 전에 상기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를 순서대로 슈팅 또는 드롭시켜 스타터 팽이(100)와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가 합체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잃지 않고 오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를 너무 일찍 슈팅 또는 드롭할 경우 회전력의 손해를 보게 되고, 반대로 너무 늦게 슈팅 또는 드롭할 경우, 원심력이 줄어 들면서, 자석부(132)에 부착되지 않아 합체되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는 상기 스타터 팽이(100)와 같이, 회전상태로 슈팅 또는 드롭하여 스타터 팽이(100)의 회전력이 부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회전없이 슈팅 또는 드롭하여 상기 스타터 팽이(10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타터 팽이(100)의 원심력이 줄어들면, 스프링(140)의 탄성력이 돌출부(130)를 원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미들 팽이(200) 및 피니쉬 팽이(300)가 상기 스타터 팽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팽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따른 팽이의 정지 상태에서 스타터 팽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예에 따른 팽이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팽이는 스타터 팽이(100')와, 미들 팽이(200)와, 피니쉬 팽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팽이는 스타터 팽이(100')의 구성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팽이와 구별된다.
상기 스타터 팽이(100')는 회전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으로 발생되는 원심력을 통해 내재된 웨이트부(1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수평방향 이동하면, 상기 웨이트부(120')의 이동과 연동하여 돌출부(130')가 이동하여 스타터 팽이(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하우징(110')과, 웨이트부(120')와, 돌출부(130')와, 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회전축(111)이 형성되며,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과 수평 가이드부(115)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웨이트부(120')가 원심력에 의해 이동할 경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웨이트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이 회전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수평이동하여 벌어지도록 구성된 반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안내홈(121')과, 웨이트 경사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홈(121')은 하우징(110')의 수평 가이드부(115)와 치합하여 상기 웨이트부(110')가 하우징(11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웨이트 경사부(122)는 웨이트부(120')의 일측에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 경사부(122)의 단부는 돌출부(130')와 치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웨이트부(120')가 원심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돌출부(130')가 상기 웨이트 경사부(122)를 따라 이동하여 하우징(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돌출부(130')는 웨이트부(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부(120')의 수평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돌기를 형성한 돌출부 몸체(131')와, 상기 돌기의 상단부에 설치된 자석부(132)와, 상기 돌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134)는 단면의 형상이 "∧" 형상으로 구성되어 웨이트 경사부(122)의 경사면과 치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웨이트 경하부(122)의 수평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돌출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팽이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웨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돌출부를 통해 회전중인 팽이에 부착시켜 적층하는 보조팽이를 통해 새로운 팽이게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 : 스타터 팽이 110, 110' : 하우징
110a : 덮개부 110a' : 관통공
111 : 회전축 112 : 가이드부
113 : 스토퍼 114 : 하우징 돌기부
115 : 수평 가이드부 120, 120' : 웨이트부
121, 121' : 안내홈 122 : 웨이트 경사부
130, 130' : 돌출부 131 : 원판부
131' : 돌출부 몸체 132 : 자석부
133 : 자석 고정부 134 : 경사부
140 : 스프링 200 : 미들 팽이
210 : 자석부 220 : 미들 팽이 결합홈
230 : 미들 팽이 돌기부 300 : 피니쉬 팽이
310 : 자석부 320 : 피니쉬 팽이 결합홈

Claims (18)

  1. 회전축(111);
    상기 회전축(111)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이 발생하면 원심력을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웨이트부(120, 120'); 및
    상기 웨이트부(120, 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부(120, 120')의 이동에 따라 미들 팽이(200)와 치합 또는 접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0, 130')를 구비한 스타터 팽이(100, 100')를 포함하는 팽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는 상기 회전축(111), 웨이트부(120, 120') 및 돌출부(130)를 수납하는 하우징(110, 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팽이(100)는 상기 웨이트부(120)가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팽이(100)은 상기 돌출부(130)가 일정 거리 이상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120')는 상기 웨이트부(120')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홈(121'); 및
    상기 돌출부(130')와 치합하도록 기울기를 형성한 웨이트 경사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0')는 저면에 상기 웨이트 경사부(122)와 치합하는 "∧" 형상의 경사부(1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는 상면에 상기 미들 팽이(200)와 치합하는 하우징 돌기(1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0, 130')는 상부에 상기 미들 팽이(20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는 상기 웨이트부(120, 120') 및 돌출부(130, 130')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는 상기 원심력이 사라지면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미들 팽이(200)와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팽이(200)는 회전중인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로 이동하여 상기 노출된 돌출부(130, 130')를 통해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에 부착되면,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는 상기 미들 팽이(200) 상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피니쉬 팽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팽이(200)는 상기 돌출부(130, 13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에 부착되도록 자석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쉬 팽이(300)는 상기 미들 팽이(200)의 자석부(21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미들 팽이(200)에 부착되도록 자석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팽이(200)는 하부에 상기 스타터 팽이(100, 100')의 일부와 치합하는 미들 팽이 결합홈(2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팽이(200)는 상부에 상기 피니쉬 팽이(300)와 치합하는 미들 팽이 돌기부(2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쉬 팽이(300)는 하부에 상기 미들 팽이(200)의 일부와 치합하는 피니쉬 팽이 결합홈(3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KR1020180127864A 2018-10-25 2018-10-25 팽이 KR10205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64A KR102059752B1 (ko) 2018-10-25 2018-10-25 팽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64A KR102059752B1 (ko) 2018-10-25 2018-10-25 팽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752B1 true KR102059752B1 (ko) 2019-12-26

Family

ID=6910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864A KR102059752B1 (ko) 2018-10-25 2018-10-25 팽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7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767B2 (ja) 1998-10-02 2000-07-31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配置配線方法及び自動配線システム並びにその記録媒体
JP2014533594A (ja) 2011-11-30 2014-12-15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離脱可能な合体コマ玩具
KR101773899B1 (ko) * 2016-05-18 2017-09-01 주식회사 우리아이 원심력 기반 변신 완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767B2 (ja) 1998-10-02 2000-07-31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配置配線方法及び自動配線システム並びにその記録媒体
JP2014533594A (ja) 2011-11-30 2014-12-15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離脱可能な合体コマ玩具
KR101773899B1 (ko) * 2016-05-18 2017-09-01 주식회사 우리아이 원심력 기반 변신 완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722B1 (ko) 코마 완구
EP2498885B1 (en) A toy spinning top
US5664777A (en) Rotary ball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for a pinball game
US6824463B1 (en) Number drawing apparatus and game machine therewith
JP2017209158A (ja) コマ玩具遊戯台
US20210220724A1 (en) Battling environment with multiple play level surfaces
JP5802367B2 (ja) コマ玩具遊戯台
KR102059752B1 (ko) 팽이
CN113877216A (zh) 一种操控陀螺的方法
US10500478B2 (en) Swaying toy
JP5054154B2 (ja) 操作コマと、操作コマを使ったサッカー遊戯具、スラローム遊戯具、喧嘩ゴマ遊戯具、およびジャンプ遊戯具
US10434401B2 (en) Toy top
US7614623B2 (en) Head-to-head tilting surface game
US4266767A (en) Competitive capture game
US20200016502A1 (en) Spinning top toy
JP3066857U (ja) コマ玩具
US5505463A (en) Game toy
CN221061716U (zh) 一种玩具陀螺盘
WO2016185597A1 (ja) 玩具
JP4666141B2 (ja) パチンコ機
JPH07155476A (ja) 独楽玩具およびゲーム盤
RU2102098C1 (ru) Игра
JP5512345B2 (ja) 球転がし遊具
KR200211850Y1 (ko) 경품 제공 게임용 전자오락기
RU24646U1 (ru) Игровая рулетка для казин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