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433B1 -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433B1
KR102059433B1 KR1020190033233A KR20190033233A KR102059433B1 KR 102059433 B1 KR102059433 B1 KR 102059433B1 KR 1020190033233 A KR1020190033233 A KR 1020190033233A KR 20190033233 A KR20190033233 A KR 20190033233A KR 102059433 B1 KR102059433 B1 KR 102059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ractor
crane
wireless charging
curren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구
박종한
고영석
유효열
Original Assignee
(주)그린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파워 filed Critical (주)그린파워
Priority to KR102019003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433B1/ko
Priority to PCT/KR2020/001646 priority patent/WO20201970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6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이동형 크레인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크레인은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 상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2 통신부를 포함하되,상기 집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패드; 및 상기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 상기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 상기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구동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구동부를 상기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구동부와 제2 제어기를 포함하여,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 작업영역내로 들어오면,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위치센서로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가 위치 정렬이 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급전패드를 뻗어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이동형 크레인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복수개의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 상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 2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패드; 및 상기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은,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 상기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 및 상기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상기 급전패드를 트랙터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를 포함하여, 상기 급전부 각각은 상기 트랙터의 미리 정해진 정지위치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에 대항하는 크레인의 측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부 각각은 상기 위치센서를 통해서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센싱하고 복수개의 상기 급전부 중에서 상기 집전부와 위치 정렬된 상기 급전부의 상기 제1 제어기는 해당 상기 급전패드를 뻗어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이동형 크레인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복수개의 집전부; 상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상기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 및 상기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상기 급전패드를 트랙터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패드; 및 상기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여, 상기 집전부 각각은 상기 트랙터가 미리 정해진 정지위치에 정지시 상기 급전패드 위치에 대항하는 상기 트랙터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위치센서를 통해서 복수개의 상기 집전패드 중에서 상기 급전패드와 위치 정렬이 된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센싱하고 상기 집전패드에 상기 급전패드를 뻗어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트랙터가 작업하는 공간 내에서 트랙터의 운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수시로 공급받게 됨으로써 트랙터에 대용량의 배터리 대신 운행에 필요한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어서 초기 투자 비용이 저렴해진다. 또한, 별도의 충전방식이나 배터리 교환 방식에 비해서 별도의 충전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배터리 교환도 필요 없어서 트랙터의 작업시간 손실도 없고, 여분의 배터리나 여분의 트랙터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 면에서 획기적인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전력공급을 위한 전기적, 기계적인 접촉이 없으므로 유선 충전자의 부식 등으로 인한 유지 보수가 필요 없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A WIRELESS CHARGING SYSTEM BETWEEN A CRANE AND A TRACTOR}
본 발명은 항만에서 사용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트랙터를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식 트랙터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에서 기존의 급속 충전방식과 배터리 교환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전기식 트랙터가 크레인 옆에서 승/하역 작업을 하는 동안에 무선으로 충전을 하는 충전방식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의 승/하역을 위해 항만의 육상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선박에 의한 해상운송과 트럭, 열차 등에 의한 육상운송이 연결되는 거점으로서, 선박(컨테이너선)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을 유기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컨테이너 물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도로와 철도를 포함한 육상 운송과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항만에서 컨테이너 물류를 적체 없이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선박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 관련 시설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컨테이너의 하역(landing)/승역(lifting)과 관련해서, 컨테이너 터미널 등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야드 트랙터, 야드 트레일러 또는 무인자동 이송장치(AGV : Automated Guided Vehicle)(이하 트랙터라고 총칭하여 언급함)에서 실려오는 컨테이너를 야적하거나, 혹은 야적된 컨테이너를 트랙터로 승적 하는데 사용된다.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컨테이너 화물을 실은 화물선이 항만에 도착하면, 항만에 설치된 안벽 크레인에 의해 컨테이너가 일차적으로 하역되고, 하역된 컨테이너는 트랙터에 적재되어 야적지역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컨테이너를 야드 크레인이 야적하게 된다. 반대로 트랙터에 의해 운반되어온 컨테이너를 화물선에 선적하는 것도 작업 과정이 반대인 것을 제외하면 위와 동일하다.
항만 컨테이너 운송에 사용되는 트랙터는 환경오염 및 에너지비용 절감을 위해 기존 디젤연료 대신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식 트랙터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충전방식으로 급속 충전방식과 배터리 교환방식이 있다. 급속충전 방식은 충전을 위해서 별도의 충전시설이 있는 장소로 가서 20~30분동안 충전을 하고 돌아와야 하기 때문에 트랙터의 작업시간 손실이 발생하고 이를 보전하기 위해서 여분의 트랙터를 필요로 한다. 또한 한번 충전해서 장시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배터리를 적용해야 하므로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급속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해안의 염분에 의해서 쉽게 부식이 되기 때문에 충전단자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단점도 있다.
배터리 교환식은 배터리 교환장소에 가서 배터리를 충전된 배터리로 교환하고 오는데 20~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역시 작업시간 손실이 발생하고, 배터리 충전소 비용과 대용량의 배터리 채택에 따른 비용과 충전을 위해서 여분의 배터리를 구비해야 해서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미리 정해진 작업 경로로 이동하는 트랙터가 작업하는 공간 내에서 항만 크레인으로부터 트랙터의 운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수시로 공급받게 함으로써 트랙터의 작업시간 손실을 없애고 트랙터에 대용량의 배터리 대신 운행에 필요한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 가능하게 하며, 급속 충전방식이나 배터리 교환방식에 비해서 초기 투자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이동형 크레인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 상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패드; 및 상기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 상기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 상기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구동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구동부를 상기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구동부와 제2 제어기를 포함하여,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 작업영역내로 들어오면,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위치센서로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가 위치 정렬이 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급전패드를 뻗어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구동부의 제어 범위내에서는 상기 트랙터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에서 작업을 위해서 정지하거나 위치 미세조정을 위해 이동하는 중에도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래크와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바퀴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의 작업영역으로 들어오기 전에, 상기 제2 제어기는 항만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트랙터의 정지 위치를 사전에 받아서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트랙터의 상기 집전패드가 정지할 위치로 미리 움직이고,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의 작업영역으로 들어와 정지하면,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급전패드를 뻗어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에 접근하기전에,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트랙터의 진입 방향의 맨 처음으로 보내어 대기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트랙터가 상기 제2 구동부의 제어 범위를 벗어나 이동하게 되면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크레인 방향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이동형 크레인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복수개의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 상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 2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패드; 및 상기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은,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 상기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 및 상기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상기 급전패드를 트랙터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와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 각각은 상기 트랙터의 미리 정해진 정지위치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에 대항하는 크레인의 측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부 각각은 상기 위치센서를 통해서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센싱하고, 복수개의 상기 급전부 중에서 상기 집전부와 위치 정렬된 상기 급전부의 상기 제1제어기는 해당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에 닿을 때까지 뻗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이 지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는 상기 복수개의 급전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상기 인버터와 상기 복수개의 급전패드 사이에 복수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이동형 크레인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복수개의 집전부; 상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상기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 및 상기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상기 급전패드를 트랙터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와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패드; 및 상기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여, 상기 집전부 각각은 상기 트랙터가 미리 정해진 정지위치에 정지시 상기 급전패드 위치에 대항하는 상기 트랙터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위치센서를 통해서 복수개의 상기 집전패드 중에서 상기 급전패드와 위치 정렬이 된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센싱하고 상기 집전패드에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에 닿을 때까지 뻗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이 지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패드 또는 상기 집전패드는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가 마주하는 면의 반대 쪽에 쿨링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패드 또는 상기 집전패드는 수냉식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패드가 상기 트랙터 측면보다 더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패드와 상기 트랙터 몸체 사이에 상기 집전패드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의 재질은 비철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패드 또는 상기 집전패드는 패드 표면에 마찰을 줄이기 위한 돌출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거리 정보를 받아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와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에 닿을 때까지 뻗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이 지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패드를 고정하는 구조물이 중력에 의해서 상기 급전패드가 상기 집전패드 방향으로 뻗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급전패드를 중력에 의해서 상기 집전패드에 닿을 때까지 뻗고 상기 급전패드를 접을 때에는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 간의 통신을 통해서 상기 트랙터내의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받아서 상기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류가 상기 집전패드에서 공급되도록 상기 급전패드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부는 상기 정류부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정류부 출력전압이 일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배터리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크레인 방향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크레인에서 승역 또는 하역 작업을 완료했다는 작업 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크레인 방향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집전부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크레인 방향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센서는 영상센서나 광학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부는 상기 급전코일과 공진하는 공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부는 상기 집전코일과 공진하는 공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패드는 상기 트랙터의 정지위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집전패드 보다 수평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패드는 상기 트랙터에 컨테이너가 실릴 때와 실리지 않을 때의 상기 트랙터 높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급전패드 보다 수직 폭이 넓거나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작업 경로로 이동하는 트랙터가 작업하는 공간 내에서 항만 크레인으로부터 트랙터의 운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수시로 공급받게 함으로써 트랙터의 작업시간 손실을 없애고 트랙터에 대용량의 배터리 대신 운행에 필요한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여분의 트랙터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급속 충전방식이나 배터리 교환방식에 비해서 초기 투자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트랙터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기적, 기계적인 접촉이 없으므로 유선 충전단자의 부식 등으로 인한 유지 보수가 필요 없는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레인과 트랙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컨테이너 사이즈별 트랙터의 정지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와 집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와 집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와 집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와 집전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패드 또는 급전패드의 돌출 부재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레인과 트랙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레인(100)과 축전장치인 배터리를 장착한 트랙터(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크레인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를 갖는 크레인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은 토롤리, 스프레더, 몸체부, 바퀴부를 포함한다. 트롤리(110)는 크레인의 상부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트롤리(110)에는 지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로프를 통해 스프레더가 연결되어 있다. 스프레더(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를 통해 트롤리와 연결되고, 트롤리(110)와 연동하여 상부 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스프레더(120)는 트롤리와 연결된 로프의 상하운동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몸체부는 크레인(1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130)과 지지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30)에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30)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140)과 일체형으로 설치되거나 혹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트랙터(400)의 측면에 부착된 집전부(300)에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200)를 포함하고, 급전부(20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급전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50) 자체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크레인의 측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른 부분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트랙터(400)에 부착되는 집전부(300)는 트랙터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320)을 포함하는 집전패드(310)와 집전패드(310)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340)를 포함하고, 크레인에 부착되는 급전부(200)는 크레인(100)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220)을 포함하는 급전패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패드에(21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면 집전패드(310)에 자기유도 방식으로 급전부(200)에서 집전부(300)로 전력이 공급된다. 여기에서 급전패드(210)의 급전코일(22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500)는 외부 상용전력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거나 크레인(100)에 별도로 구비된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전원을 받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버터(500)는 트랙터(400)로부터 배터리 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1 통신부(510)를 포함하고, 트랙터(400)는 장착된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인버터(500)로부터 제어 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2 통신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500)는 제1 통신부(510)와 제2 통신부(710) 간의 통신을 통해서 트랙터에 장착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서 트랙터내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받아서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류가 집전패드(310)에서 공급되도록 급전패드(21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인버터(500)는 급전패드(21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급전패드(210)에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급전패드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집전부(300)는 정류기(340)와 배터리(700) 사이에 배터리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500)는 정류기(340) 출력전압이 일정하도록 급전패드(21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고, 레귤레이터는 배터리(700)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는 정류기(340)의 출력을 충전이 필요한 배터리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부스터 컨버터나 벅 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크레인에 부착되는 급전부(200)는 트랙터(400)의 측면에 부착되는 집전패드(21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위치센서는 영상센서나 광학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센서는 움직이는 트랙터(400)의 영상이나 형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는 실시간 정보와 기준이 되는 트랙터(400)의 영상이나 형체 정보를 비교하여 트랙터가 위치 정렬 완료 기준 이내에 들어왔는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센서는 위치 정렬 완료 기준 이내에 들어온 트랙터(400)가 움직이는지, 정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컨테이너(C1, C2) 사이즈별 트랙터의 정지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는 승/하역할 컨테이너의 사이즈에 따라 정지하는 위치가 달라진다. 트랙터(400)의 정지 위치는 작업을 위해 정지하고 있는 크레인(100)에 의해 정해진다.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크레인(100) 옆에 정차된 트랙터(400)에 컨테이너의 승/하역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항만운영시스템에서 트랙터(400)가 정지할 위치 정보를 트랙터 운전자 및 트랙터에 알려주게 된다.
항만운영시스템의 정보를 받은 트랙터는 지정된 작업영역으로 이동하여 작업이 필요한 크레인에 접근을 하게 되며, 크레인(100)의 작업영역에 들어간 트랙터(400)는 작업할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서 작업을 위해 지정된 위치로 속도를 줄여 이동하여 지정된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20피트(C1)나 40피트(C2)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랙터의 정지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에서는 20피트(C1) 컨테이너 1개를 트랙터의 후면에 적재한 트랙터의 정지위치를 표시하고, 도 2의 (b)에서는 40피트(C2)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랙터의 정지위치를 표시하고, 도 2의 (c)에서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트랙터의 전면에 적재한 트랙터의 정지위치를 표시한다. 트랙터에 실린 컨테이너는 적재시 컨테이너가 트랙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약 ±10~25cm의 적재 공차가 발생하므로, 실제 트랙터가 정확히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여도 크레인(100)의 작업을 위해서는 트랙터(400)의 위치 미세조정이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시스템은, 트랙터(400)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에서 작업을 위해서 정지하거나 위치 미세조정을 위해 이동하는 중에도 트랙터의 운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수시로 급전부(200)에서 집전부(300)로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200)와 집전부(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시스템에서 크레인은 급전부(200)와 급전부(300)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500)를 포함하고, 인버터(500)는 제1 통신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터는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300), 배터리(700),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2 통신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전부(300)는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320)을 포함하는 집전패드(310) 및 집전패드(310)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전부(300)는 집전코일(320)과 공진을 하는 공진회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의 급전부(200)는 집전패드(31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미도시),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220)을 포함하는 급전패드(210), 급전패드(210)가 고정되고 급전패드(210)를 집전패드(310)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600)와 제1 제어기(미도시) 및 제1 구동부(600)가 고정되고 제1 구동부를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구동부(610)와 제2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전부(200)는 집전코일(220)과 공진을 하는 공진회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 작업영역내로 들어오면, 제2 제어기는 위치센서로 집전패드(3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급전패드(210)와 집전패드(310)가 위치 정렬이 되도록 제2 구동부(610)를 제어하고, 제1 제어기는 급전패드를 뻗어서 급전패드와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600)를 제어하여 트랙터의 집전패드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가 크레인의 작업영역으로 들어오기 전에, 제2 제어기는 항만 운영시스템으로부터 트랙터의 정지 위치를 사전에 받아서 급전패드(210)를 트랙터의 집전패드(310)가 정지할 위치로 미리 움직이고, 트랙터가 크레인의 작업영역으로 들어와 정지하면, 제1 제어기는 급전패드(210)를 뻗어서 급전패드와 집전패드(31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600)를 제어하여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배터리(700)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가 크레인에 접근하기전에, 제2 제어기는 제2 구동부(610)를 제어하여 급전패드(210)를 트랙터의 진입 방향의 맨 처음으로 보내어 대기하게 하고, 트랙터가 크레인의 작업영역내로 들어오면, 제2 제어기는 위치센서로 집전패드(3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급전패드(210)와 집전패드(310)가 위치 정렬이 되도록 제2 구동부(610)를 제어하면서, 제1 제어기는 급전패드를 뻗어서 급전패드와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600)를 제어하고, 제2 구동부의 제어 범위내에서는 트랙터가 완전히 정지하지 않고 이동중에도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기는 트랙터(400)가 제2 구동부(610)의 제어 범위를 벗어나 이동하게 되면 급전패드를 크레인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제어기는 위치센서로 집전패드(3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급전패드(210)와 집전패드(310)가 위치 정렬이 되도록 제2 구동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부(610)는 랙기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랙기어는 제1 구동부(600)가 부착되는 피니언(630)과 피니언에 연결된 구동 모터(6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래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는 크레인에 설치된 래크(620)의 일 단면의 톱니 바퀴와 피니언(630)의 톱니 바퀴가 맞물려 피니언(630)이 회전운동을 하면서 래크(620)의 일 단면을 직선으로 이동한다. 제2 제어기가 위치센서로부터 집전패드(3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구동모터(640)에 연결된 피니언(630)을 래크(620)의 일 단면에 대하여 좌 또는 우로 이동하면서 피니언(630)에 연결된 급전패드(210)와 집전패드(310)가 위치 정렬이 되도록 구동모터(6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동부는 바퀴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와 집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시스템은, 크레인에 복수개의 급전부(200, 201, 202)와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500)를 포함하며, 인버터는 제1 통신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터는 급전부(200,201,202)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300), 배터리(700),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 2통신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터의 집전부(300)는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320)을 포함하는 집전패드(310) 및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전부(300)는 집전코일(320)과 공진을 하는 공진회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의 급전부(200)는 집전패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미도시),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220)을 포함하는 급전패드(210) 및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급전패드를 트랙터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전부(200,201,202) 각각은 급전코일(220,221,222)과 공진을 하는 공진회로(230,23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급전부 각각은 트랙터의 미리 정해진 정지위치에 따라서 정해지는 집전패드의 위치에 대항하는 크레인의 측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인버터(500)는 복수개의 급전패드(210,211,212)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인버터(500)와 복수개의 급전패드 사이에 복수개의 스위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제어기중에서 집전패드(310)와 위치 정렬된 급전패드의 제1 제어기는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시켜서 인버터(500)의 고주파 전류를 급전패드에 공급하고 위치 정렬이 안된 급전패드의 제1 제어기 각각은 대응하는 스위치를 오프 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 작업영역내로 들어오면, 급전부(200,201,202) 각각은 위치센서를 통해서 집전부(300)의 위치를 센싱하고 복수개의 급전부 중에서 집전부와 위치 정렬된 급전부의 제1 제어기는 해당 급전패드를 뻗어서 급전패드와 집전패드(31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당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트랙터의 집전패드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와 집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항만 운송용 이송 장치에서 무인자동 이송장치(AGV)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도 3 또는 도 5와 같은 운전자가 필요한 야드 트랙터나 야드 트레일러와 달리 무인자동 이송장치는 항만 운영시스템에서 지정한 작업영역 및 이동경로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무인으로 컨테이너의 승/하역 작업을 하게 되므로, 트랙터의 무인 자동화 운영을 위한 이송장치로 적용되고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시스템은 크레인에 급전부(200)와 급전부(200)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500)를 포함하며, 인버터는 제1 통신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터는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복수개의 집전부(300, 301, 302), 배터리(700),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2 통신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부는 집전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210) 및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급전패드를 트랙터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600)와 제1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전부(200)는 급전코일(220)과 공진을 하는 공진회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터의 집전부(300,301,302)는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320,321,322)을 포함하는 집전패드(310,311,312) 및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340,341,3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전부(300,301,302) 각각은 집전코일(320,321,322)과 공진을 하는 공진회로(330,33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전부(300,301,302) 각각은 트랙터가 미리 정해진 정지위치에 정지시 크레인의 측면에 배치된 급전패드에 대항하는 트랙터의 측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 작업영역내로 들어오면, 제1 제어기는 위치센서를 통해서 복수개의 집전패드 중에서 급전패드와 위치 정렬이 된 집전패드의 위치를 센싱하고 집전패드에 급전패드를 뻗어서 급전패드와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트랙터의 집전패드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200)와 집전부(3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급전패드(210)나 집전패드(310)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급전코일 또는 집전코일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주기위해 급전패드 또는 집전패드는 쿨링 팬이나 수냉식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쿨링 팬이나 수냉식 냉각 장치는 급전패드와 집전패드가 서로 마주하는 면의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또는 도 7b를 참조하면, 집전패드(310)는 트랙터(400) 차체 측면보다 더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부착될 수 있다. 트랙터 측면보다 더 밖으로 튀어나오는 길이는 트랙터 운행에 방해가 안되는 범위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집전패드(310)는 급전패드(210)에 공급하는 고주파 전류에 의한 자기장으로부터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집전패드(310)에도 고주파 전류가 유기되고 이로 인한 자기장이 외부에 영향을 주게 된다. 집전패드(310) 주변으로 누설되는 자기장을 억제하기 위해 집전패드(310)와 트랙터(400) 몸체 사이에 집전패드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는 비철 금속성의 재질을 갖는 차폐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전패드(210)와 집전패드(310)가 근접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급전패드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의 영향을 고려하여 급전패드(210) 또는 집전패드(310) 중 더 큰 패드 사이즈 보다 큰 폭과 길이의 차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의 작업영역에 정지하는 트랙터는 승/하역 되는 컨테이너의 무게로 인해 트랙터의 지상고 높이에 변동이 발생하게 되고, 트랙터의 정지위치는 트랙터에 실린 컨테이너의 적재 편차 및 트랙터 운전자의 숙련도 등에 의하여 정지위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자기 유도방식에 위한 전력전송 방식에서는 급전패드와 집전패드의 위치 정렬에 따라 전달 전력량 및 전달 효율이 차이가 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급전패드와 집전패드 간의 오 정렬에 강인한 패드 구조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급전패드는 트랙터의 정지위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해서 집전패드 보다 수평 폭이 넓을 수 있다.
또한, 집전패드는 트랙터에 컨테이너가 실릴 때와 실리지 않을 때의 트랙터 높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급전패드 보다 수직 폭이 넓거나 좁을 수 있다.
도 7a는 무선충전 준비 상황이나 작업 완료 이후의 상황을 나타내고, 도 7b는 무선충전 중인 상황을 나타낸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승/하역을 위해 지정된 위치에 정지한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급전부(200)의 제1 구동부(600)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 및 급전패드와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기는 거리센서로부터 거리 정보를 받아서 급전패드(210)와 집전패드(31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제어기는 배터리가 충전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급전패드(210)를 크레인(100)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는 크레인에서 승/하역 작업을 완료했다는 작업 완료신호를 수신하면 급전패드(210)를 크레인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는 제1 통신부(510)로부터 집전부(300)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급전패드를 크레인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을 위해 급전패드(210)를 집전패드(310)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600)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와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어기는 급전패드(210)를 집전패드(310)에 닿을 때까지 뻗되 급전패드에 연결되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가 급전패드를 집전패드 쪽으로 미는 압력센서 정보를 받아서 압력센서의 압력이 지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급전패드(210)를 고정하는 구조물이 중력에 의해서 급전패드가 집전패드(310) 방향으로 뻗도록 구성되어서, 급전패드를 중력에 의해서 집전패드에 닿을 때까지 뻗고, 급전패드를 접을 때에는 제1 제어기는 제1 구동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급전패드(210)를 고정하는 구조물이 지면을 향하여 기울어져 급전패드를 뻗는 동작에서는 제1 구동부(600)의 동력이 없이도 급전패드 자체의 자중에 의한 중력으로 급전패드가 집전패드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600)는 크레인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재(650) 및 일단이 제1결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급전패드에 연결되는 연결부재(6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650)는 상기 연결부재 일단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는 각각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기는 급전패드(210)에 연결된 연결부재(660)를 집전패드 방향으로 뻗어서 급전패드가 집전패드에 닿도록 상기 제1 구동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는 급전패드와 크레인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 및 로프를 풀거나 감는 로프 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기는 로프 릴 구동부를 제어하여 집전패드로 뻗은 급전패드를 크레인 쪽으로 접는 것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패드 또는 급전패드의 돌출 부재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패드(210) 또는 집전패드(310)는 서로 접촉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트랙터나 크레인이 움직일 때에 서로 미끄러지도록 패드표면에 마찰을 줄이기 위한 돌출바퀴(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크레인,
110 : 트롤리,
120 : 스프레더
130 : 상부프레임
140 : 지지프레,
150 : 측면프레임
200, 201, 202 : 급전부
210, 211, 212 : 급전패드
220, 221, 222 : 급전코일
230, 231, 232 : 공진회로
300, 301, 302 : 집전부
310, 311, 312 : 집전패드
320, 321, 322 : 집전코일
330, 331, 332 : 공진회로
340, 341, 342 : 정류기
350 : 차폐판
400 : 트랙터
500 : 인버터
510 : 제1 통신부
600 : 제1 구동부
610 : 제2 구동부
620 : 래크
630 : 피니언
640 : 모터
650 : 제1결합부재
660 : 연결부재
700 : 배터리
710 : 제2 통신부
800 : 스위치
900 : 돌출바퀴
C, C1, C2 : 컨테이너

Claims (30)

  1. 이동형 크레인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
    상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패드; 및
    상기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
    상기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
    상기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구동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구동부를 상기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구동부와 제2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에 접근하기 전에,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트랙터의 진입방향의 맨 처음으로 보내어 대기하게 하고,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의 작업영역내로 들어오면,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위치센서로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가 위치 정렬이 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급전패드를 뻗어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구동부의 제어 범위내에서는 상기 트랙터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에서 작업을 위해서 정지하거나 위치 미세조정을 위해 이동하는 중에도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이동형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의 작업영역내에서 복수의 지정된 정지 위치에 주차하고, 배터리로 구동되는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충전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
    상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제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측면에 부착되고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패드; 및
    상기 집전패드에 전달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
    상기 크레인의 측면에 부착되고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급전패드;
    상기 급전패드가 고정되고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 방향으로 뻗는 제1 구동부와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구동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구동부를 상기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구동부와 제2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의 작업영역으로 들어오기 전에,
    상기 제2 제어기는 항만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트랙터의 정지 위치를 전달받아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트랙터의 집전패드가 정지할 위치로 미리 움직이며,
    상기 트랙터가 상기 크레인의 작업영역내로 들어오면,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위치센서로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가 위치 정렬이 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급전패드를 뻗어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구동부의 제어 범위내에서는 상기 트랙터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에서 작업을 위해서 정지하거나 위치 미세조정을 위해 이동하는 중에도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트랙터가 상기 제2 구동부의 제어 범위를 벗어나 이동하게 되면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크레인 방향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7.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와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 각각은 상기 트랙터의 미리 정해진 정지위치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에 대항하는 크레인의 측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부 각각은 상기 위치센서를 통해서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센싱하고,
    복수개의 상기 급전부 중에서 상기 집전부와 위치 정렬된 상기 급전부의 상기 제1제어기는 해당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에 닿을 때까지 뻗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이 지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복수개의 급전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상기 인버터와 상기 복수개의 급전패드 사이에 복수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9.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와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부 각각은 상기 트랙터가 미리 정해진 정지위치에 정지시 상기 급전패드 위치에 대항하는 상기 트랙터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위치센서를 통해서 복수개의 상기 집전패드 중에서 상기 급전패드와 위치 정렬이 된 상기 집전패드의 위치를 센싱하고 상기 집전패드에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에 닿을 때까지 뻗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이 지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랙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10.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패드 또는 상기 집전패드는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가 마주하는 면의 반대 쪽에 쿨링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11.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패드 또는 상기 집전패드는 수냉식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12.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패드가 상기 트랙터 측면보다 더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13.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패드와 상기 트랙터 몸체 사이에 상기 집전패드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는 비철 금속의 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14. 삭제
  1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패드 또는 상기 집전패드는 패드 표면에 마찰을 줄이기 위한 돌출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16.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거리 정보를 받아서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집전패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17.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와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집전패드에 닿을 때까지 뻗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이 지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18. 삭제
  19.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 간의 통신을 통해서 상기 트랙터내의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받아서 상기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류가 상기 집전패드에서 공급되도록 상기 급전패드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0.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는 상기 정류부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정류부 출력전압이 일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배터리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1.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크레인 방향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2.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크레인에서 승역 또는 하역 작업을 완료했다는 작업 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크레인 방향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3.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집전부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급전패드를 상기 크레인 방향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4.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영상센서나 광학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5. 삭제
  26. 삭제
  27.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패드는 상기 트랙터의 정지위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집전패드 보다 수평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8.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패드는 상기 트랙터에 컨테이너가 실릴 때와 실리지 않을 때의 상기 트랙터 높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급전패드 보다 수직 폭이 넓거나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2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래크와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3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바퀴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KR1020190033233A 2019-03-23 2019-03-23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KR102059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233A KR102059433B1 (ko) 2019-03-23 2019-03-23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PCT/KR2020/001646 WO2020197079A1 (ko) 2019-03-23 2020-02-05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233A KR102059433B1 (ko) 2019-03-23 2019-03-23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433B1 true KR102059433B1 (ko) 2019-12-27

Family

ID=6906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233A KR102059433B1 (ko) 2019-03-23 2019-03-23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9433B1 (ko)
WO (1) WO20201970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079A1 (ko) * 2019-03-23 2020-10-01 (주)그린파워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69A (ko) * 2009-04-01 2010-10-11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장치
KR20140025355A (ko) * 2011-03-18 2014-03-04 인겐뉘르뷔로 데우스첼 유도에너지전달장치
KR20140096767A (ko) * 2013-01-29 2014-08-06 강미연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충전 시스템
KR20160146720A (ko) * 2014-04-18 2016-12-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픽-업 코일들보다 짧은 피치를 갖는 복수의 충전 코일들을 포함하는 차량들을 위한 유도 전력 공급기
KR101830454B1 (ko) * 2010-04-08 2018-03-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무선 전력 안테나 정렬 조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7042A (ja) * 2010-02-15 2011-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給電システム
KR102059433B1 (ko) * 2019-03-23 2019-12-27 (주)그린파워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69A (ko) * 2009-04-01 2010-10-11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장치
KR101830454B1 (ko) * 2010-04-08 2018-03-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무선 전력 안테나 정렬 조절 시스템
KR20140025355A (ko) * 2011-03-18 2014-03-04 인겐뉘르뷔로 데우스첼 유도에너지전달장치
KR20140096767A (ko) * 2013-01-29 2014-08-06 강미연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충전 시스템
KR20160146720A (ko) * 2014-04-18 2016-12-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픽-업 코일들보다 짧은 피치를 갖는 복수의 충전 코일들을 포함하는 차량들을 위한 유도 전력 공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079A1 (ko) * 2019-03-23 2020-10-01 (주)그린파워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079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4992B1 (en) Tyre-type gantry crane for receiving supply of power in contactless fashion
KR101501434B1 (ko)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충전 시스템
CN109283921B (zh) 一种智能集装箱轨道平车控制***及轨道平车
WO2012153807A1 (ja) 車両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1489405B1 (ko)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JP5991209B2 (ja) 無人搬送車の運行制御システム
JP2009023816A (ja) クレーン装置
CN102520722A (zh) 非接触式供电自动导引车
KR102059433B1 (ko)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무선충전 시스템
KR101058644B1 (ko)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야드 트랙터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17067A (ja) 無人搬送車の搬送システム
CN207433672U (zh) 挂车及拖挂车搬运***
JP2013169109A (ja) 移動車両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974460B2 (ja) 移動車両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110588386A (zh) 线圈小车及用于轨道车辆的无线充电***
JP7069918B2 (ja) コンテナ用無人搬送車の非接触式充電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ナ用無人搬送車
JP6996427B2 (ja) コンテナ用無人搬送車の非接触式充電システム
KR101992809B1 (ko)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WO2013050447A2 (en) A movable structure including a charging station and a method of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 vehicle
CN113104768A (zh) 一种前移式叉车agv
WO2013080861A1 (ja) 非接触給電装置
CN221141124U (zh) 一种协作搬运智能移动车
CN221233709U (en) Power exchange system compatible with heavy truck and loader and power exchange station
CN212861696U (zh) 一种全向自动导向牵引运输车
JP2001218307A (ja) 搬送台車の給電方法及び給電装置並びにその給電装置を用いた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