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298B1 -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298B1
KR102055298B1 KR1020190103037A KR20190103037A KR102055298B1 KR 102055298 B1 KR102055298 B1 KR 102055298B1 KR 1020190103037 A KR1020190103037 A KR 1020190103037A KR 20190103037 A KR20190103037 A KR 20190103037A KR 102055298 B1 KR102055298 B1 KR 10205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exhaust chamber
unit
indo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서진공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공조(주) filed Critical 서진공조(주)
Priority to KR102019010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은 환기시 급기는 복수의 실들로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기는 화장실이나 욕실 등으로 미리 설정된 배기실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기 덕트 설비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들에 비해 냄새나 습기가 다량 발생하는 배기실의 배기량이 증대됨으로써,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배기실이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배기실의 사용시에는 배기 유닛이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배기실이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본 발명은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실들에 대해 급기는 개별 제어하고, 배기는 화장실이나 욕실에 해당하는 배기실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기 덕트 설비를 최소화시키면서도 환기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된 공기 순환 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와 교환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환기 시스템이다.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은, 실내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에서 유입되는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실내 공기의 열에 의해 외기를 따뜻하거나 차갑게 할 수 있으므로, 열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상기 외기를 정화시킨 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순환 시스템은, 다수의 실(Room)들이 하나의 덕트로 연결됨으로써, 실별 환기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510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 덕트 설비를 최소화시키면서도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은, 외기 도입구, 실내 급기구, 실내 배기구 및 실외 배기구가 형성되고, 급기팬과 배기팬이 구비되어,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급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복수의 실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실내 급기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들로 분배하여 급기하는 다분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화장실과 욕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기실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의 작동시 상기 복수의 실들의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실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배기실로 유입된 후 상기 환기 유닛을 통해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은 환기시 급기는 복수의 실들로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기는 화장실이나 욕실 등으로 미리 설정된 배기실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기 덕트 설비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들에 비해 냄새나 습기가 다량 발생하는 배기실의 배기량이 증대됨으로써,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배기실이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배기실의 사용시에는 배기 유닛이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배기실이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에서 환기 유닛이 작동 중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순환 시스템에서 환기 유닛이 작동 중지시 배기실에서 배기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순환 시스템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배기실과 비상용 덕트에서 배기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환기 유닛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분기 유닛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에서 환기 유닛이 작동 중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은, 복수의 실들(R1~R5)을 포함한 실내(R)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시스템인 바, 상기 복수의 실들(R1~R5) 중에서 화장실과 욕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기실(R5)에서는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배기실을 제외한 나머지 제1~4실들(R1~R4)에서는 급기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실(R5)은, 화장실과 욕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실 등 습기나 냄새가 다량 발생되는 곳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은, 환기 유닛(1), 다분기 유닛(100), 배기 유닛(200), 배기실 사용 감지부(310), 비상 상황 감지부(32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환기 유닛(1)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환기 유닛(1)은,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로 급기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환기 유닛(1)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 급기팬(21), 배기팬(22), 열교환기(30), 필터(40), 복수의 댐퍼들(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상기 열교환기(30)를 중심으로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실내 급기공간(11), 실내 배기공간(12), 외기 도입공간(13) 및 실외 배기공간(14)으로 구획된다.
상기 실내 급기공간(11)과 상기 실내 배기공간(12)은 상기 본체(10)에서 실내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외기 도입공간(13)과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은 실외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실내 급기공간(11)과 상기 실내 배기공간(12)은 제1격벽(10a)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1격벽(10a)에는 상기 실내 급기공간(11)과 상기 실내 배기공간(12)을 연통시켜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제1개구부(10b)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개구부(10b)는 상기 실내 급기공간(11)과 상기 실내 배기공간(12)을 연통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제1개구부(10b)에는 후술하는 제1내부 댐퍼(51)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 배기공간(12)과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은 제2격벽(10c)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2격벽(10c)에는 상기 실내 배기공간(12)과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을 연통시켜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제2개구부(10d)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개구부(10d)는 상기 실내 배기공간(12)과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을 연통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제2개구부(10d)에는 후술하는 제2내부 댐퍼(52)가 설치된다.
상기 외기 도입공간(13)과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은 제3격벽(10e)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3격벽(10e)에는 상기 외기 도입공간(13)과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을 연통시켜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제3개구부(10f)가 형성된다. 상기 제3개구부(10f)는, 상기 외기 도입공간(13)과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을 연통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제3개구부(10f)에는 후술하는 제3내부 댐퍼(53)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 배기공간(14)과 상기 실내 급기공간(11)은 제4격벽(10g)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4격벽(10g)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실내 급기공간(11)에서 실내를 향한 면에는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실내 급기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 배기공간(12)에서 실내를 향한 면에는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실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실내 배기구(12a)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에는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13a)가 형성된다.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에서 실외를 향한 면에는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실외 배기구(14a)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 급기공간(11)에는 상기 실내 급기구(11a)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21)이 설치된다.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에는 상기 실외 배기구(14a)를 통해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22)이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30)는, 각 면이 상기 실내 급기공간(11), 상기 실내 배기공간(12), 상기 외기 도입공간(13) 및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에 각각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30)의 내부는, 상기 실내 급기공간(11)과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을 연결하는 제1유로와, 상기 실내 배기공간(12)과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을 연결하는 제2유로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혼합되지 않고 교차되면서 열교환만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열교환기(30)의 내부에서 상기 실내 급기공간(11)과 상기 외기 도입공간(13)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한 면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40)는, 헤파필터(Hepa-filter)(41)와 프리필터(Pre-filter)(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40)는, 상기 열교환기(30)의 내부에서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을 향한 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필터(40)의 위치와 개수는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댐퍼들(50)은, 제1내부 댐퍼(51), 제2내부 댐퍼(52), 제3내부 댐퍼(53), 열교환기 댐퍼(54), 실내 급기 댐퍼(61), 실내 배기 댐퍼(62), 외기 도입 댐퍼(63) 및 실외 배기 댐퍼(64)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50)는, 각각 프레임, 댐퍼 개폐부재, 회동축 및 모터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제어부가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축을 구동하여 상기 댐퍼 개폐부재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내부 댐퍼(51), 상기 제2내부 댐퍼(52) 및 제3내부 댐퍼(52)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내부 댐퍼(51)는, 상기 제1격벽(10a)의 상기 제1개구부(10b)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10b)를 개폐한다. 상기 제1내부 댐퍼(51)에 의해 상기 실내 급기공간(11)과 상기 실내 배기공간(12)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 댐퍼(52)는, 상기 제2격벽(10c)의 상기 제2개구부(10d)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구부(10d)를 개폐한다. 상기 제2내부 댐퍼(52)에 의해 상기 실내 배기공간(12)과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 댐퍼(52)에는 방충 필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으로부터 외기가 바로 유입되는 경우, 외기로부터 벌레 등을 걸러낼 수 있다.
상기 제3내부 댐퍼(53)는, 상기 제3격벽(10e)의 상기 제3개구부(10f)에 설치되어, 상기 제3개구부(10f)를 개폐한다. 상기 제3내부 댐퍼(53)에 의해 상기 외기 도입공간(13)과 상기 실외 배기공간(14)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실내 급기 댐퍼(61)는, 상기 실내 급기구(11a)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급기구(11a)를 개폐한다.
상기 실내 배기 댐퍼(62)는, 상기 실내 배기구(12a)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배기구(12a)를 개폐한다.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는, 상기 외기 도입구(13a)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 도입구(13a)를 개폐한다.
상기 실외 배기 댐퍼(64)는, 상기 실외 배기구(14a)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 배기구(14a)를 개폐한다.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은, 실내 오염도 측정부(71), 실외 오염도 측정부(72),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부(73), 실외 온습도 측정부(74), 실내 온습도 측정부(75) 및 가열 코일(9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내 오염도 측정부(71)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 오염도 측정부(71)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중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먼지는 실내에서 발생된 먼지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유입되는 먼지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먼지 이외에 실내 공기의 오염을 나타내는 성분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값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외 오염도 측정부(72)는, 실외에 설치되어 외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실외 오염도 측정부(72)는,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의 외벽 등에 설치되어 직접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상청이나 외부 기관에서 측정된 외기의 오염도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부(73)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실외 온습도 측정부(74)는 외기의 온도와 습도를 입력받는다. 상기 실외 온습도 측정부(74)는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의 외벽 등에 설치되어 직접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상청이나 외부 기관에서 측정된 외기의 오염도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내 온습도 측정부(75)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가열 코일(91)은, 상기 외기 도입구(13a)에 연결된 외기 도입 배관(9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인가시 열을 발생하는 히터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다분기 유닛(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다분기 유닛(100)은, 1개의 상기 환기 유닛(1)과 상기 복수의 공간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 유닛(1)에서 급기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공간들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공간은 건물의 복수의 실들(R1~R4)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간은 하나의 실 내부에 구획된 공간들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다분기 유닛(100)은, 상기 환기 유닛(1)의 상기 실내 급기구(11a)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4실들(R1~R4)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다분기 유닛(100)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20), 메인 출입구(121), 복수의 분기구들(131~134), 복수의 댐퍼들(141~144), 상기 복수의 댐퍼 개도 조절 수단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다분기 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 출입구(121)는, 상기 하우징(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출입하는 출입구이다. 상기 메인 출입구(121)는, 상기 환기 유닛(1)의 상기 실내 급기구(11a)와 급기 덕트(110)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분기구들(131~134)은, 상기 메인 출입구(121)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제1~4실들(R1~R4)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분기구들(131~134)은, 상기 복수의 제1~4실들(R1~R4)에 각각 제1~4분기덕트들(101~104)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실들이 총 4개의 실들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복수의 분기구들은 상기 4개의 실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총 4개의 분기구들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다분기 유닛(100)은, 하나의 분기구가 2개 이상의 실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2개 이상의 분기구가 하나의 실에 연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댐퍼들(141~144)은, 상기 복수의 분기구들(131~134)의 내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분기구들(131~134)을 각각 개폐한다.
상기 복수의 댐퍼 개도 조절수단(미도시)은, 상기 복수의 댐퍼들(141~144)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댐퍼들(141~144)을 각각 회동시켜 개도를 조절한다. 상기 댐퍼 개도 조절수단은, 댐퍼 회동축(미도시), 댐퍼 모터(미도시), 커플링(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배기 유닛(2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기 유닛(200)은, 상기 환기 유닛(1)과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실들(R1~R5) 중에서 상기 다분기 유닛(100)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배기실(R5)로 미리 설정된 실로부터 실내 공기를 배기하는 유닛이다.
상기 배기실(R5)은 상기 복수의 실들(R1~R5) 중에서 화장실과 욕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실(R5)은 샤워시설이 구비된 화장실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기실(R5)은, 상기 복수의 실들(R1~R5) 중에서 냄새나 습기가 다량 발생하는 곳이라면 설정 가능하다.
상기 배기실(R5)에는 상기 제1~4실들(R1~R4)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가능하도록 개구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01)는, 상기 배기실(R5)의 문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개구부(201)는 상기 배기실(R5)의 벽면 또는 창문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배기 유닛(200)은, 배기 덕트(210), 개폐부재(230), 비상용 덕트(240) 및 비상용 밸브(242)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덕트(210)는, 일단은 상기 환기 유닛(1)의 상기 실내 배기구(12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실(R5)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실(R5)로부터 상기 환기 유닛(1)으로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배관이다.
상기 개폐부재(230)는, 상기 개구부(201)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구부(201)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230)는, 상기 개구부(201)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판들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 루버(미도시)와, 상기 루버(미도시)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201)를 개폐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부재(230)는, 상기 제어부(4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201)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식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개구부(201)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개구되게 형성된 개구홀만 있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201)가 개구홀만 형성되는 경우, 화장실이나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실(R5)의 문 하단 일부나 상단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201)에는 상기 루버가 하향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루버는 수동으로 작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비상용 덕트(240)는, 상기 배기 덕트(210)가 연결되지 않은 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화재를 포함한 비상 상황시에만 개방되는 배관이다. 즉, 상기 비상용 덕트(240)는, 일단은 상기 제1~4실들(R1~R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 덕트(210)에 연결된 배관이다.
여기서, 상기 비상 상황은, 화재 발생 뿐만 아니라 상기 실내 온습도 측정부(75)에서 측정된 실내의 온도나 습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용 밸브(242)는, 상기 비상용 덕트(240)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상용 덕트(240)를 개폐한다.
한편,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310)는, 상기 배기실(R5)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310)는, 상기 배기실(R5)에 설치된 전등에 전원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전등 센서(미도시)와, 상기 배기실(R5)의 재실자의 출입여부를 감지하는 재실자 감지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실(R5)의 전등이 온되면, 상기 배기실(R5)이 사용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실(R5)의 전등이 오프되면 상기 배기실(R5)의 사용자가 나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환기 유닛(1), 상기 다분기 유닛(100), 상기 배기 유닛(200) 및 상기 비상용 밸브(242)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내 오염도 측정부(71), 상기 실외 오염도 측정부(72) 및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부(73)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내 오염도 측정부(71), 상기 실외 오염도 측정부(72) 및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부(73)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급기팬(21), 상기 배기팬(22), 상기 실내 급기 댐퍼(61), 상기 실내 배기 댐퍼(62),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 상기 실외 배기 댐퍼(64), 상기 제1내부 댐퍼(51), 상기 제2내부 댐퍼(52), 상기 제3내부 댐퍼(53) 및 상기 열교환기 댐퍼(54)의 개폐를 각각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복수의 실들(R1~R4)마다 서로 다른 환기 조건에 따라 상기 다분기 유닛(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복수의 실들의 이산화탄소 농도, 실내 오염도, 실내 온도, 실내 습도 및 재실자 여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댐퍼들(141~144)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실들(R1~R4)마다 급기되는 급기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 여부와 상기 배기실(R5)의 사용 여부에 따라 배기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시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키고,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 중지시 상기 배기실(R5)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팬(22)은 작동시키고 상기 급기팬(21)은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내(R)의 비상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비상용 덕트(240)의 사용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배기실(R5)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개구부(201)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및 욕실을 이용한 공기 순환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내 오염도 측정부(71)와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부(73)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실내의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환기 유닛(1)의 상기 급기팬(21)과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키는 환기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환기 모드는,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청정 환기 모드와 자연 환기 모드, 외기를 도입하지 않고 실내 공기를 정화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 청정 모드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외 오염도 측정부(72)에서 측정된 실외 오염도에 따라 상기 청정 환기 모드와 상기 자연 환기 모드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청정 환기 모드는, 외기를 도입하되 외기가 상기 필터(40)를 통과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청정 환기 모드시, 상기 열교환기 댐퍼(54), 상기 실내 급기 댐퍼(61), 상기 실내 배기 댐퍼(62),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 및 상기 실외 배기 댐퍼(64)를 모두 개방시키고, 상기 제1내부 댐퍼(51), 상기 제2내부 댐퍼(52) 및 상기 제3내부 댐퍼(53)를 모두 차폐시킨다. 상기 외기 도입구(13a)를 통해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40)에 의해 정화된다.
상기 자연 환기 모드는, 외기를 도입하되 외기가 상기 필터(40)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자연 환기 모드시, 상기 급기팬(21)은 작동시키고, 상기 배기팬(22)은 정지시키고, 상기 열교환기 댐퍼(54)는 차폐시키고, 상기 실내 급기 댐퍼(61)와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는 개방시키고, 상기 실내 배기 댐퍼(62)와 상기 배기댐퍼(64)는 차폐시키며, 상기 제1내부 댐퍼(51)와 상기 제2내부 댐퍼(52)는 개방시키고, 상기 제3내부 댐퍼(53)는 차폐시킨다.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는 개방되나, 상기 열교환기 댐퍼(54)가 차폐되기 때문에, 상기 외기 도입구(13a)를 통해 상기 외기 도입공간(13)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열교환기(30)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 제2내부 댐퍼(52)를 통해 상기 실내 배기공간(12)으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 청정 모드는, 실내 공기 중 먼지 농도가 높으며, 외기의 오염도도 높을 경우, 외기를 도입하지 않고, 실내 공기만을 정화시켜 다시 실내로 순환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외 오염도 측정부(72)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실내 청정 모드를 수행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내 청정 모드시, 상기 급기팬(21)은 작동시키고, 상기 배기팬(22)은 정지시키며, 상기 열교환기 댐퍼(54)를 개방시키고, 상기 실내 급기 댐퍼(61)와 상기 실내 배기 댐퍼(62)는 개방시키고,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와 상기 실외 배기 댐퍼(64)를 차폐시키고, 상기 제1내부 댐퍼(51)와 상기 제2내부 댐퍼(52)는 차폐시키고, 상기 제3내부 댐퍼(53)는 개방시킨다. 상기 실내 청정 모드는, 미세먼지 등 외기의 오염도가 심한 날에도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댐퍼들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환기 모드 이외에도 실내 공기를 이용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 재생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필터 재생모드시,상기 급기팬(21)은 정지시키고, 상기 배기팬(22)은 작동시키고, 상기 열교환기 댐퍼(54)를 개방시키고, 상기 실내 급기 댐퍼(61)와 상기 실외 배기 댐퍼(64)는 모두 개방키고, 상기 실내 배기 댐퍼(62)와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는 차폐시키고, 상기 제1내부 댐퍼(51)와 상기 제2내부 댐퍼(52)는 차폐시키고, 상기 제3내부 댐퍼(53)는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외 온습도 측정부(74)에서 측정한 온도가 미리 설정된 동파 방지 온도보다 낮으면, 동파 방지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동파 방지 모드시, 상기 급기팬(21)과 상기 배기팬(22)을 모두 정지시키고,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와 상기 실외 배기 댐퍼(64)는 모두 차폐시키고, 상기 외기 도입 배관(101)에 설치된 상기 가열 코일(91)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외 온습도 측정부(74)에서 측정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결로 방지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실내 공기 오염도를 참조하여 결로 방지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팬(21)과 상기 배기팬(22)을 모두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열교환기 댐퍼(54), 상기 실내 급기 댐퍼(61), 상기 실내 배기 댐퍼(62), 상기 외기 도입 댐퍼(63) 및 상기 실외 배기 댐퍼(64)를 모두 개방시키고, 상기 제1내부 댐퍼(51), 상기 제2내부 댐퍼(52) 및 상기 제3내부 댐퍼(53)를 모두 차폐시키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가열 코일(91)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시, 상기 배기 유닛(200)도 함께 작동된다.
도 1은 상기 환기 유닛(1)과 상기 배기 유닛(200)이 모두 작동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시 상기 급기팬(21)과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급기는 상기 환기 유닛(1)을 통해 이루어지고, 배기는 상기 배기 유닛(200)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상기 환기 모드 중 상기 청정 환기 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청정 환기 모드 외에 상기 자연 환기 모드나 상기 실내 청정 모드시에도 상기 환기 유닛(1)과 상기 배기 유닛(200)을 모두 작동시키는 방법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급기팬(21)이 작동되면, 상기 외기 도입구(13a)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40)에 의해 정화된다.
상기 열교환기(30)의 내부에서는 외기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실내 급기구(11a)를 통해 상기 급기 덕트(110)로 배출된다.
상기 급기 덕트(110)로 나온 공기는 상기 다분기 유닛(100)을 통해 상기 제1~4실들(R1~R4)로 분배되어 급기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4실들(R1~R4)의 환기 조건에 따라 적어도 일부 실들에만 급기하거나, 각 실들마다 급기율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조건은, 상기 각 실의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상기 각 실의 재실자 유무, 상기 각 실의 수증기, 냄새 및 습기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 다른 조건을 이용하여 각 실들의 환기를 개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R)에 있는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실(R5)만을 통해 배기된다.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키고, 상기 개폐부재(230)가 상기 개구부(201)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개구부(201)가 개방되고, 상기 배기팬(22)이 작동되면, 상기 제1~4실들(R1~R4)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201)를 통해 상기 배기실(R5)로 흡입된다.
상기 배기실(R5)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210)를 통과하여 상기 환기 유닛(1)의 상기 실내 배기구(12a)로 들어간다.
상기 실내 배기구(12a)를 통해 상기 환기 유닛(1)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상기 외기와 열교환된 후, 상기 실외 배기구(14a)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내로의 급기는 상기 환기 유닛(1)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1~4실들(R1~R4)로 각각 이루어지고, 실내에서의 배기는 상기 배기실(R5)에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실들마다 배기 덕트를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기 덕트 설비가 최소화될 수 있다. 배기 덕트 설비가 최소화됨으로써,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들에 비해 냄새나 습기가 많은 배기실(R5)에서 배기량이 증대됨으로써,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배기실(R5)이 보다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에서 환기 유닛이 작동 중지시 배기실에서 배기만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 중지시 배기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실내 오염도 측정부(71)와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부(73)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실내의 환기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환기 유닛(1)의 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급기팬(21)과 상기 배기팬(22)이 정지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배기실(R5)의 사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상기 배기실(R5)은 화장실이나 욕실이기 때문에 사용 중이면 냄새나 습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실내의 다른 실들의 환기 여부와 관계없이 배기가 필요하다.
상기 배기실(R5)의 사용 여부는, 상기 배기실(R5)의 전등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배기실(R5)의 재실자의 출입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310)로부터 상기 배기실(R5)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급기팬(22)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키고, 상기 개폐부재(230)가 상기 개구부(201)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개구부(201)가 개방되고, 상기 배기팬(22)이 작동되면, 상기 제1~4실들(R1~R4)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201)를 통해 상기 배기실(R5)로 흡입된다.
상기 배기실(R5)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210)를 통과하여 상기 환기 유닛(1)의 상기 실내 배기구(12a)로 들어간다.
상기 실내 배기구(12a)를 통해 상기 환기 유닛(1)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상기 외기와 열교환된 후, 상기 실외 배기구(14a)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배기실(R5)의 사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실(R5)의 사용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킨 후,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기팬(22)의 작동을 중지한다. 따라서, 상기 배기실(R5)의 실내 공기를 충분히 배기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기실(R5)의 사용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배기팬(22)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실내의 환기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배기실(R5)이 사용될 때는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실이나 욕실에 해당하는 상기 배기실(R5)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실(R5)의 사용 중에 상기 개폐부재(230)가 상기 개구부(201)를 개방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기실(R5)의 사용 중에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상기 개폐부재(230)가 상기 개구부(201)를 차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배기실(R5)이 사용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개폐부재(230)가 상기 개구부(201)를 자동으로 차폐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상기 배기팬(22)은 작동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배기실(R5)의 사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개폐부재(230)가 상기 개구부(201)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기실(R5)의 사용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배기팬(22)의 작동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실(R5)의 사용 중에 상기 개구부(201)를 닫더라도 상기 배기실(R5)의 사용 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개구부(201)를 개방시키고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배기실(R5)을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배기실과 비상용 덕트에서 배기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320)에서 감지된 정보로부터 비상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팬(22)을 작동시키고, 상기 개폐부재(230)가 상기 개구부(201)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비상용 밸브(242)가 상기 비상용 덕트(24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 상황은, 화재 발생 뿐만 아니라 상기 실내 온습도 측정부(75)에서 측정된 실내의 온도나 습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01)와 상기 비상용 덕트(240)가 모두 개방되면, 상기 제1~4실들(R1~R4)의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개구부(201)를 통해 상기 배기실(R5)로 흡입된 후 배기되고, 나머지는 상기 비상용 덕트(240)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상황이 아닌 평상시에는 상기 배기실(R5)을 통해서만 배기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에만 상기 비상용 덕트(240)를 개방하여 배기함으로써, 배기 덕트 설비를 최소화하더라도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환기 유닛 10: 본체
11a: 실내 급기구 12a: 실내 배기구
13a: 외기 도입구 14a: 실외 배기구
21: 급기팬 22: 배기팬
30: 열교환기 40: 필터
100: 다분기 유닛 110: 급기 덕트
200: 배기 유닛 201: 개구부
210: 배기 덕트 230: 개폐부재
240: 비상용 덕트 242: 비상용 밸브

Claims (11)

  1. 외기 도입구, 실내 급기구, 실내 배기구 및 실외 배기구가 형성되고, 급기팬과 배기팬이 구비되어,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급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복수의 실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실내 급기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들로 분배하여 급기하는 다분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화장실과 욕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기실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의 작동시 상기 복수의 실들의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실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배기실로 유입된 후 상기 환기 유닛을 통해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유닛과;
    상기 배기실의 사용 여부를 입력받는 배기실 사용 감지부와;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상기 배기실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실내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을 연결하는 배기 덕트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 유닛의 작동시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환기 유닛의 작동 중지시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정지시키고,
    상기 환기 유닛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상기 배기실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급기팬은 정지시키고 상기 배기팬만 작동시키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2. 외기 도입구, 실내 급기구, 실내 배기구 및 실외 배기구가 형성되고, 급기팬과 배기팬이 구비되어,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급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복수의 실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실내 급기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들로 분배하여 급기하는 다분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화장실과 욕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기실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의 작동시 상기 복수의 실들의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실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배기실로 유입된 후 상기 환기 유닛을 통해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유닛과;
    상기 배기실의 사용 여부를 입력받는 배기실 사용 감지부와;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상기 배기실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팬의 작동 여부와 상기 배기실의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루버와, 상기 루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실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루버를 차폐시키고,
    상기 배기실의 사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루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배기실의 사용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3. 외기 도입구, 실내 급기구, 실내 배기구 및 실외 배기구가 형성되고, 급기팬과 배기팬이 구비되어,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급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복수의 실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실내 급기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들로 분배하여 급기하는 다분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화장실과 욕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기실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의 작동시 상기 복수의 실들의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실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배기실로 유입된 후 상기 환기 유닛을 통해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유닛과;
    상기 배기실의 사용 여부를 입력받는 배기실 사용 감지부와;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상기 배기실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실내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을 연결하는 배기 덕트와,
    일측은 상기 복수의 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 덕트에 연결된 비상용 덕트와,
    상기 비상용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용 덕트를 개폐하는 비상용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를 포함한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용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용 덕트를 개방하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실의 사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실의 사용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기팬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는,
    상기 배기실에 설치된 전등에 전원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전등 센서를 포함하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는,
    상기 배기실의 재실자의 출입여부를 감지하는 재실자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팬의 작동 여부와 상기 배기실의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루버와, 상기 루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팬의 작동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루버를 개방시키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루버와, 상기 루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실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루버를 차폐시키고,
    상기 배기실의 사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루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배기실의 사용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실내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을 연결하는 배기 덕트와,
    일측은 상기 복수의 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 덕트에 연결된 비상용 덕트와,
    상기 비상용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용 덕트를 개폐하는 비상용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를 포함한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용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용 덕트를 개방하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11. 외기 도입구, 실내 급기구, 실내 배기구 및 실외 배기구가 형성되고, 급기팬과 배기팬이 구비되어,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급기구에 연결되도록 메인 출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복수의 실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의 분기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구들에는 상기 분기구들을 각각 개폐하도록 복수의 댐퍼들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구들의 외부에는 상기 댐퍼를 회동시켜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퍼 개도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실내 급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분배하여, 상기 복수의 실들 중 적어도 일부로 선택적으로 급기하는 다분기 유닛과;
    일측은 상기 환기 유닛의 상기 실내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의 화장실과 욕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기실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의 작동시 상기 복수의 실들의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실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배기실로 유입된 후 상기 환기 유닛을 통해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유닛과;
    상기 배기실의 사용 여부를 입력받는 배기실 사용 감지부와;
    상기 복수의 실들의 환기 조건에 따라 상기 댐퍼들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실들 중 적어도 일부에 선택적으로 급기하고, 상기 환기 유닛의 작동 중지시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상기 배기실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실내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을 연결하는 배기 덕트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팬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일측은 상기 복수의 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 덕트에 연결된 비상용 덕트와,
    상기 비상용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용 덕트를 개폐하는 비상용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 유닛의 작동시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환기 유닛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실 사용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상기 배기실이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급기팬은 정지시키고 상기 배기팬만 작동시키고,
    상기 배기실의 사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실의 사용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기팬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화재를 포함한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비상용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용 덕트를 개방하고,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0190103037A 2019-08-22 2019-08-22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055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037A KR102055298B1 (ko) 2019-08-22 2019-08-22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037A KR102055298B1 (ko) 2019-08-22 2019-08-22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298B1 true KR102055298B1 (ko) 2020-01-22

Family

ID=6936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037A KR102055298B1 (ko) 2019-08-22 2019-08-22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2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329B1 (ko) * 2020-10-15 2021-05-07 현대건설주식회사 주방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환기시스템
KR102274941B1 (ko) * 2021-05-06 2021-07-08 서진공조 주식회사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274940B1 (ko) * 2021-05-06 2021-07-08 서진공조 주식회사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274942B1 (ko) * 2021-05-06 2021-07-08 서진공조 주식회사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20220010387A (ko) 2020-07-17 2022-01-2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실 유지관리 시스템
KR102434618B1 (ko) * 2021-09-28 2022-08-23 김학겸 멀티 모드 창문형 공기 조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397A (ja) * 1995-01-11 1996-07-23 Sekisui Chem Co Ltd サニタリ換気乾燥システム
JPH10220838A (ja) * 1997-01-31 1998-08-21 Taisei Corp 換気システム装置
JP2002195623A (ja) * 2000-12-26 2002-07-10 Matsushita Seiko Co Ltd 建物の空気質変換システムとそれを設けた建物
KR100851052B1 (ko) 2008-01-16 2008-08-12 신기만 덕트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
JP2010048485A (ja) * 2008-08-22 2010-03-04 Max Co Ltd 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397A (ja) * 1995-01-11 1996-07-23 Sekisui Chem Co Ltd サニタリ換気乾燥システム
JPH10220838A (ja) * 1997-01-31 1998-08-21 Taisei Corp 換気システム装置
JP2002195623A (ja) * 2000-12-26 2002-07-10 Matsushita Seiko Co Ltd 建物の空気質変換システムとそれを設けた建物
KR100851052B1 (ko) 2008-01-16 2008-08-12 신기만 덕트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
JP2010048485A (ja) * 2008-08-22 2010-03-04 Max Co Ltd 換気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87A (ko) 2020-07-17 2022-01-2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실 유지관리 시스템
KR102248329B1 (ko) * 2020-10-15 2021-05-07 현대건설주식회사 주방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환기시스템
KR102274941B1 (ko) * 2021-05-06 2021-07-08 서진공조 주식회사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274940B1 (ko) * 2021-05-06 2021-07-08 서진공조 주식회사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274942B1 (ko) * 2021-05-06 2021-07-08 서진공조 주식회사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285695B1 (ko) * 2021-05-06 2021-08-10 서진공조 주식회사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434618B1 (ko) * 2021-09-28 2022-08-23 김학겸 멀티 모드 창문형 공기 조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1824148B1 (ko) 환기장치
KR101790696B1 (ko)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1855482B1 (ko)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00325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0628078B1 (ko) 환기시스템
KR101115314B1 (ko) 배연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KR101348786B1 (ko) 냉난방장치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2039106B1 (ko)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965126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벽부설치 급배기 일체형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037228A (ko) 에너지 절약형 전자동 공기조화기
KR20180014122A (ko) 환기장치
KR102274942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1931723B1 (ko) 필터장치를 이용한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0583004B1 (ko)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JP7228836B2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KR2018013810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274941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058287B1 (ko) 건물의 환기시스템
KR102058286B1 (ko) 건물의 실내 환기장치
KR102274940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1253304B1 (ko) 천정 부착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