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910B1 -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910B1
KR102054910B1 KR1020170174732A KR20170174732A KR102054910B1 KR 102054910 B1 KR102054910 B1 KR 102054910B1 KR 1020170174732 A KR1020170174732 A KR 1020170174732A KR 20170174732 A KR20170174732 A KR 20170174732A KR 102054910 B1 KR102054910 B1 KR 102054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rolo
cyano
amino
oxoethyl
carbox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673A (ko
Inventor
김경희
진정욱
이지훈
김신애
정경진
김준우
민상현
유지훈
이주석
이원석
송재영
이응석
정태천
김정애
Original Assignee
한림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제약(주) filed Critical 한림제약(주)
Priority to KR102017017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롤로[2,3-d]피리미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카뎁신 K를 선택적으로 저해함으로써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PYRROLO[2,3-D]PYRIMIDINE DERIVATIVE OR ITS SAL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카뎁신은 파페인-유사 시스테인 프로테아제군(papain-like cysteine protease family)에 속하는 라이소좀 프로테아제(lysosomal protease)로서 카뎁신 B, C, F, H, L, O, S, V, X, W 등이 알려져 있다. 이중 카텝신 K는 강력한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가지고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골흡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카뎁신 K는 주로 파골세포에서 발현되는 반면, 다른 조직이나 세포에서는 매우 낮게 발현된다. 파골세포의 경우 카뎁신 K는 다른 카뎁신 L이나 S 대비 약 100배 이상 발현된다.
카뎁신 K는 에스트로겐에 의해 하향-조절(down-regulation)되고, RANKL, TNF, 그리고 비타민 D, PTH, 인터루킨 등에 의해 상향-조절(up-regulation)된다. 카뎁신 K는 골 매트릭스(organic bone matrix)를 구성하는 제1형 콜라겐(type I collagen)을 분해한다. 카뎁신 K는 콜라겐 외에도 오스테오넥틴(osteonectin), 아그리칸(aggrecan) 그리고 IGF-1 등 뼈나 연골에 있는 다양한 다른 단백질도 분해하므로, 카뎁신 K의 선택적인 저해제 개발은 골다공증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G. Costa, N.E. Cusano, B.C. Silva, S. Cremers. and J.P. Bilezikian, Cathepsin K: its skeletal actions and role as a therapeutic target in osteoporosis. Nat. Rev. Rheumatol. 7, 447-456 (2011)).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제WO03/075836호, 제WO04/076455호 등은 골다공증 등의 치료에 유용한 카뎁신 K 저해제를 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선택적인 카뎁신 K 저해 활성을 가짐으로써,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카뎁신 K 저해용 시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카뎁신 K 저해용 시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즉,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선택적인 카뎁신 K 저해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즉,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1
식 중,
R1은 수소 또는 아미노카보닐메틸기이고,
R2은 페닐, 몰포리노페닐, 페닐에티닐페닐, 비페닐, 피페라지닐-비페닐, 피페리딘일-비페닐, 및 몰포리닐-비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환이고,
상기 방향족 환은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C1∼C6 알킬; C3∼C6 시클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알콕시-C1∼C6 알콕시-C1∼C6 알킬; C1∼C6 알콕시카보닐-C1∼C6 알킬; 모노- 혹은 디-C1∼C6 알킬아미노-C1∼C6 알콕시; C1∼C6 알킬설포닐; 메탄설포닐아미노; C1∼C6 알킬카보닐아미노; C1∼C6 알킬카보닐; C1∼C6 알콕시카보닐; 모노- 혹은 디-C1∼C6 알킬아미노카보닐; 모노- 혹은 디-C1∼C6 알킬아미노-C1∼C6 알킬아미노카보닐; C1∼C6 알콕시-C1∼C6 알킬아미노카보닐; (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아미노카보닐; 및 히드록시카보닐-C1∼C6 알킬아미노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개의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R3는 C3∼C6 시클로알킬, C1∼C6 알콕시, 또는 퓨란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 알킬기; C3∼C6 시클로알킬기; 또는 벤질기이고,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3∼C6 시클로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 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단, R3 및 R4가 동시에 수소일 수는 없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족 환은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C1∼C6 알킬; C1∼C6 알콕시; (2-메톡시에톡시)메틸; 메톡시카보닐에틸; 디메틸아미노에톡시; 메탄설포닐; 메탄설포닐아미노; 아세틸아미노;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디메틸아미노카보닐;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카보닐; 2-메톡시에틸아미노카보닐; (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아미노카보닐; 및 2-히드록시카보닐에틸아미노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개의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다음과 같다: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2-시아노-7-시클로헥실-4-(디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2-시아노-7-이소부틸-4-(이소부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N,7-디벤질-2-시아노-4-(이소부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1,1-비페닐]-4-일메틸)-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이소부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시클로헥실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시클로펜틸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펜틸-4-(메틸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메틸설폰아미도)-[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메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2-디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메틸-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2-메톡시에틸)-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푸란-3-일메틸)-4-(메틸아미노)-N-((4'-(메틸술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4'-아세트아미도-[1,1'-비페닐]-4-일)메틸)-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메틸 4'-((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카르복실에이트;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디메틸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몰포리노-[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4'-(4-아세틸피페라진-1-일)-[1,1'-비페닐]-4-일)메틸)-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4-(메틸아미노)-N-((4'-(메틸술포닐)-[1,1'-비페닐]-4-일)메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N-((4'-(2-(디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2-메톡시에톡시)메틸)-[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메틸 2-(4'-((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일)아세테이트;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2-(디메닐아미노)에틸)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2-메톡시에틸)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3-(4'-((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카르복스아미도)프로파노익산;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3,4-디플루오로페닐)에티닐)벤질)-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시아노-N-((4'-(1-시클로프로필피페리딘-4-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시아노-4-(디메틸아미노)-N-((4'-(2-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시아노-4-(메틸아미노)-N-((4'-(2-(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염은 통상의 산부가염, 예를 들어 염산, 브롬산,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무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 및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은 통상의 금속염 형태, 예를 들어 리튬, 소듐, 또는 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과 같은 알카리 토금속염; 또는 크롬염을 포함한다. 또한 적당한 유기 리간드들로 형성된 염, 예를 들면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며,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또는 N-메틸-D-글루카민염과 아르기닌과 라이신 등으로 형성된 아미노산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R1이 아미노카보닐메틸기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 및 2와 같이, 링크 아마이드 MBHA 수지(Rink amide MBHA resin) 등의 수지를 이용한 고체상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이 아미노카보닐메틸기이고, R2가 비치환된 방향족 환(Ar')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링크 아마이드 MBHA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2
반응식 1에서, R3,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Ar'은 페닐, 몰포리노페닐, 페닐에티닐페닐, 비페닐, 피페라지닐-비페닐, 피페리딘일-비페닐, 및 몰포리닐-비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환이다. 또한, ○-NHFmoc는 링크 아마이드 MBHA 수지(Rink amide MBHA resin)를 나타내며, 이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NHFmoc의 수지 화합물의 탈보호화는 N,N '-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하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팽창시킨 후에 용매를 제거한 후, N,N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인 20% 피페리딘을 첨가하여 10분 동안 2회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보호 반응을 수행한 후, N,N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그리고 마지막으로 N,N'-디메틸포름아미드로 세척하여 탈보호된 일차아민을 얻을 수 있다. 탈보호된 일차아민에 대하여 브로모아세틸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화학식 2의 화합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브로모아세틸화 반응은 N,N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아있는 브로모아세트산과 N,N '-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첨가하여 약 20분 동안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함으로써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Figliozzi et al., Methods Enzymol. 1996, 267, 437에 따라 아민 치환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화학식 3의 화합물(모노머 펩토이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아민 치환반응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Ar'-메틸아민과 약 2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하여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한 브로모아세틸화 반응 및 R3-NH2를 사용한 아민 치환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화학식 4의 화합물(다이머 펩토이드)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브로모아세틸화 반응 및 아민 치환반응은 상기에서 기술된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은 유기용매 중에서 4,6-디클로로-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와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하에서 0 ℃ 내지 상온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5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을 수행한 후, 상기 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하여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은 아민 치환반응 및 고리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화학식 6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아민 치환반응은 화학식 5의 화합물을 N-메틸-2-피롤리돈(NMP) 용매 하에서 NHR4R5와 80 내지 120℃ 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하여 -NR4R5 기가 도입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화합물의 고리화 반응은 N,N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매 중에서 소듐 메톡사이드와 60 내지 100 ℃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6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하여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은 산화반응을 통하여 티오에테르기를 메탄술포닐기로 전환한 후, 시안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화학식 7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반응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물의 혼합용매 중에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meta-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과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존재하에서 0 ℃ 내지 상온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하여 메탄술포닐기를 갖는 중간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체의 시안화 반응은 디메틸설폭시드 용매 중에서 시안화나트륨(NaCN)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텐(DABCO) 존재하에서 80 ℃ 내지 120 ℃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하여 화합물 7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적절한 산 조건, 예를 들어, cleavage cocktail (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을 사용하여 수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R1이 아미노카보닐메틸기이고, R2가 치환기를 갖는 방향족 환(Ar''')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서와 같이, 할로겐으로 치환된 Ar'-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한 화학식 7'의 화합물에 치환기를 도입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로부터 화학식 1b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3
반응식 2에서, R3,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Ar''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Ar'이다. Ar'''은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C1∼C6 알킬; C3∼C6 시클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알콕시-C1∼C6 알콕시-C1∼C6 알킬; C1∼C6 알콕시카보닐-C1∼C6 알킬; 모노- 혹은 디-C1∼C6 알킬아미노-C1∼C6 알콕시; C1∼C6 알킬설포닐; 메탄설포닐아미노; C1∼C6 알킬카보닐아미노; C1∼C6 알킬카보닐; C1∼C6 알콕시카보닐; 모노- 혹은 디-C1∼C6 알킬아미노카보닐; 모노- 혹은 디-C1∼C6 알킬아미노-C1∼C6 알킬아미노카보닐; C1∼C6 알콕시-C1∼C6 알킬아미노카보닐; (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아미노카보닐; 및 히드록시카보닐-C1∼C6 알킬아미노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Ar'이다. Ar'은 페닐, 몰포리노페닐, 페닐에티닐페닐, 비페닐, 피페라지닐-비페닐, 피페리딘일-비페닐, 및 몰포리닐-비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환이다. 또한, ○-NHFmoc는 링크 아마이드 MBHA 수지(Rink amide MBHA resin)를 나타내며, 이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반응식 1에서 Ar'-메틸아민 대신 할로겐(예를 들어, 브롬)으로 치환된 Ar'-메틸아민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도입되는 치환기를 갖는 (치환기)B(OH)2의 붕소산 유도체와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8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N,N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매 중에서 Pd(dppf)Cl2, Cs2CO3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하에서 100 ℃ 내지 120 ℃에서 스즈키 커플링(suzuki coupling) 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을 수행한 후, 상기 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화학식 8의 화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적절한 산 조건, 예를 들어, cleavage cocktail (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을 사용하여 수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화학식 1b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R1이 수소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3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4
반응식 3에서, R2, R3,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Ar''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Ar'이다. Ar'은 페닐, 몰포리노페닐, 페닐에티닐페닐, 비페닐, 피페라지닐-비페닐, 피페리딘일-비페닐, 및 몰포리닐-비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환이다.
화학식 9의 화합물은,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하에서,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와 R3-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유기용매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10의 화합물은, 디이소프로필아민 등의 염기 존재하에서.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을 4,6-디클로로-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디클로로메탄 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0 ℃ 내지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11의 화합물은, 디이소프로필아민 등의 염기 존재하에서,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R4R5-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4-디옥산 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약 12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12의 화합물은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NaOMe,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덱-7-엔(DBU) 등의 염기를 사용하여 고리화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N,N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수산화나트륨 등의 염기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화학식 14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과 Ar''-메틸아민과의 아마이드 커플링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니움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is(dimethylamino)methylene]-1H-1,2,3-triazolo[4,5-b]pyridinium 3-oxid hexafluorophosphate, HATU) 등의 커플링 시약을 사용하여, N,N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15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산화시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산화는 테트라히드로퓨란과 물의 혼합용매 혹은 디클로로메탄과 물의 혼합용매 중에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meta-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 및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16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5의 화합물에 대한 시안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반응은 디메틸설폭시드 용매 중에서 시안화나트륨(NaCN)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텐(DABCO)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c의 화합물은 도입되는 치환기를 갖는 (치환기)B(OH)2의 붕소산 유도체와 상기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N,N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매 중에서 Pd(dppf)Cl2, Cs2CO3를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생성물은 추출, 건조, 농축, 정제 등의 공정에 의해 단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치료학적 유효량은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하며, 예를 들어 약 1 mg/kg 내지 약 300 mg/kg per day의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치료학적 유효량 범위는 환자의 나이, 체중, 감수성, 증상 또는 화합물의 약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및 현탁제, 유제 또는 시럽제와 같은 경구용 제제; 또는 주사제 등의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단회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투여 형태(dosage form)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락토즈, 옥수수전분 등의 부형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활택제, 유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및 등장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감미제 및/또는 향미제를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내, 복강내, 피하, 직장 및 국소 투여를 포함한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 캅셀제, 수성액제 또는 현탁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락토즈, 옥수수 전분 등의 담체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활택제가 통상 가해질 수 있다. 경구투여용 캅셀제의 경우, 락토즈 및/또는 건조 옥수수 전분이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수성 현탁제가 필요할 경우, 활성성분을 유화제 및/또는 현탁화제와 결합시킬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특정 감미제 및/또는 향미제를 가할 수 있다. 근육내, 복강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의 경우, 활성성분의 멸균 용액이 통상 제조되며, 용액의 pH를 적합하게 조절하고 완충시켜야 한다. 정맥내 투여의 경우, 용질의 총 농도는 제제에 등장성이 부여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pH가 7.4인 염수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제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용액은 국소 주사(local bolus injection)로 환자의 근육내 혈류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카뎁신 K의 활성을 저해하는 시약(reagent)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카뎁신 K 저해용 시약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들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핵자기 공명(NMR) 스펙트럼 분석은 브루커(Bruker) 400 MHz 분광계 상에서 수행하였고, 화학이동(chemical shift)는 ppm으로 분석하였으며, LCMS는 Shinadzu 2020 syst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는 CombiFlash Rf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의 출발물질은 공지의 화합물로 문헌에 따라 합성하거나, 시그마 알드리치사, Alfa Aesar, TCI로부터 구입하였다.
실시예 1: N-(2-아미노-2- 옥소에틸 )-N- 벤질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디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2-(시클로헥실아민)아세트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주사기 형태의 반응기(Torviq)를 사용하여 링크 아마이드 MBHA 수지(Rink amide MBHA resin)(100 mg, 0,075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하에서 약 2 시간 동안 팽창시킨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N,N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인 20% 피페리딘(1 mL)을 첨가하여 10분 동안 2회에 흔들어 반응시킨 후, 남아있는 피페리딘을 제거하였다. N,N '-디메틸포름아미드(1 mL, 2회), 메탄올(1 mL, 2회), 디클로로메탄(1 mL, 2회) 그리고 마지막으로 N,N '-디메틸포름아미드(1 mL, 2회)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수지에 N,N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인 2M 브로모아세트산(0.75 mL)과 2M N,N'-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0.75 mL)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흔들어 반응시킨 후,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2회), 메탄올(1 mL, 2회), 디클로로메탄(1 mL, 2회) 그리고 마지막으로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2회)로 세척하였다. 세척 후 얻어진 수지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인 2M 벤질아민(0.75 mL)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흔들어준 후,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2회), 메탄올(1 mL, 2회), 디클로로메탄(1 mL, 2회) 그리고 마지막으로 N,N '-디메틸포름아미드로(1 mL, 2회) 세척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한번 더 브로모아세트산, N,N '-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그리고 2M 시클로헥실아민(0.75 mL)을 가지고 펩토이드 합성과정을 수행하고, N,N '-디메틸포름아미드(1 mL, 2회), 메탄올(1 mL, 2회), 디클로로메탄(1 mL, 3회) 세척한 후, cleavage cocktail(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1 mL)을 첨가하여 수지에서 화합물 분리한 후 LC/MS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LRMS(ESI): m/z = 304.20 [M+H]+
단계 2: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2-((6-클로로-5-포르밀-2-(메틸티오)피리미딘-4-일)(시클로헥실)아미노)아세트아미드
단계 1에서 얻어진 수지에 붙어있는 다이머펩토이드 화합물(100 mg, 0,07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mL) 용매 중에서 4,6-디클로로-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5 eq)와 트리에틸아민(5 eq)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흔들어준 후,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고, N,N '-디메틸포름아미드(1 mL, 3회), 메탄올(1 mL, 2회) 그리고 디클로로메탄(1 mL, 2회)으로 세척하였다. 소량의 수지에 cleavage cocktail(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 (50 uL)을 첨가하여 수지에서 화합물 분리한 후 LC/MS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LRMS(ESI) : m/z = 490.20 [M+H]+
단계 3: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2-(시클로헥실(6-(디메틸아미노)-5-포르밀-2-(메틸티오)피리미딘-4-일)아미노)아세트아미드
단계 2에서 얻어진 수지에 붙어있는 화합물(100 mg, 0,075 mmol)을 N-메틸-2-피롤리돈(NMP)(2 mL) 용매 중에서 N,N'-디이소프로필아민(20eq)과 테트라히드로퓨란(THF)에 녹아있는 2M 디메틸아민(20 eq)을 첨가하고, 80 ℃ 에서 12시간 동안 흔들어준 후,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3회), 메탄올(1 mL, 2회) 그리고 디클로로메탄(1 mL, 2회)으로 세척하였다. 소량의 수지에 cleavage cocktail(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50 uL) 을 첨가하여 수지에서 화합물 분리한 후 LC/MS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LRMS(ESI) : m/z = 499.50 [M+H]+
단계 4: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7-시클로헥실-4-(디메틸아미노)-2-(메틸티오)-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3에서 얻어진 수지에 붙어있는 화합물(100 mg, 0,075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2 mL) 용매 중에서 소듐 메톡사이드(NaOMe)(20 eq)를 첨가하고 60 ℃ 에서 12시간 동안 흔들어준 후,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3회), 메탄올(1 mL, 2회) 그리고 디클로로메탄(1 mL, 2회)으로 세척하였다. 소량의 수지에 cleavage cocktail (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50 uL) 을 첨가하여 수지에서 화합물 분리한 후 LC/MS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LRMS(ESI) : m/z = 481.30 [M+H]+
단계 5: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7-시클로헥실-4-(디메틸아미노)-2-(메틸설포닐)-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4에서 얻어진 수지에 붙어있는 화합물(100 mg, 0,075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1.5 mL) 에 녹인 m-CPBA(10 eq)와 물(0,5 mL)에 녹인 탄산수소나트륨(NaHCO3)(15 eq)을 섞은 후 첨가하여 0 ℃ 내지 상온에서 3시간 동안 흔들어준 후,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3회), 메탄올(1 mL, 2회) 그리고 디클로로메탄(1 mL, 2회)으로 세척하였다. 소량의 수지에 cleavage cocktail (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50 uL) 을 첨가하여 수지에서 화합물 분리한 후 LC/MS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LRMS(ESI) : m/z = 513.30 [M+H]+
단계 6: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2-시아노-7-시클로헥실-4-(디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5에서 얻어진 수지에 붙어있는 설포닐기-함유 화합물(100 mg, 0,075 mmol)을 디메틸설폭시드 용매 중에서 시안화나트륨(NaCN)(20 eq)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텐(DABCO)(4 eq)을 첨가하여 100 ℃에서 12시간 동안 흔들어준 후,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3회), 메탄올(1 mL, 2회) 그리고 디클로로메탄(1 mL, 2회)으로 세척하였다. cleavage cocktail (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50 uL) 을 첨가하여 수지에서 화합물 분리하였다.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5
LRMS(ESI) : m/z = 460.2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16 - 8.02 (m, 2H), 7.47 - 7.02 (m, 4H), 6.89 - 6.70 (m, 2H), 4.67 (d, J = 37.7 Hz, 2H), 4.35 - 4.23 (m, 1H), 3.97 (d, J = 24.8 Hz, 2H), 3.10 (s, 6H), 1.84 - 1.68 (m, 4H), 1.67 - 1.53 (m, 2H), 1.43 - 1.12 (m, 4H).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사용한 벤질아민 및 시클로헥실아민,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디메틸아민 대신, 대응하는 각각의 아민 유도체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9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N-(2-아미노-2- 옥소에틸 )-N- 벤질 -2- 시아노 -7-이소부틸-4-( 이소부틸아미노 )-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6
LRMS(ESI) : m/z = 462.2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41 (s, 2H), 8.30 (s, 1H), 7.61 - 7.30 (m, 4H), 7.16 - 7.12 (m, 1H), 7.03 - 6.98 (m, 1H), 4.66 (s, 2H), 4.25 - 4.00 (m, 2H), 3.93 (s, 2H), 3.18 - 3.16 (m, 2H), 2.12 - 2.26 (m, 1H), 2.12 - 1.85 (m, 1H), 0.93 (d, J = 6.0 Hz, 6H), 0.71 (d, J = 6.0 Hz, 6H).
실시예 3: N-(2-아미노-2- 옥소에틸 )- N,7 - 디벤질 -2- 시아노 -4-( 이소부틸아미노 )-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7
LRMS(ESI) : m/z = 496.2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50 (s, 2H), 8.26 (d, J = 19.7 Hz, 1H), 7.41 - 7.28 (m, 1H), 7.26 - 7.09 (m, 4H), 7.08 - 7.01 (m, 3H), 6.95 - 6.71 (m, 3H), 5.48 (s, 2H), 4.53 (d, J = 25.1 Hz, 2H), 3.66 (d, J = 25.1 Hz, 2H), 3.10 (d, J = 5.2 Hz, 2H), 1.91 - 1.88 (m, 1H), 0.84 (t, J = 18.6 Hz, 6H).
실시예 4: N-([1,1-비페닐]-4- 일메틸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시클로헥실-4-(이소부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8
LRMS(ESI) : m/z = 564.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31 - 8.05 (m, 2H), 7.66 - 7.54 (m, 3H), 7.48 - 7.36 (m, 3H), 7.35 - 7.19 (m, 2H), 7.17 - 7.04 (m, 1H), 6.97 - 6.74 (m, 1H), 4.59 (d, J = 32.9 Hz, 2H), 4.51 - 4.37 (m, 2H), 4.35 - 4.23 (m, 1H), 4.12 - 3.97 (m, 1H), 3.91 (d, J = 26.3 Hz, 2H), 3.10 (d, J = 5.1 Hz, 1H), 1.91 - 1.88 (m, 1H), 1.84 - 1.68 (m, 4H), 1.67 - 1.53 (m, 2H), 1.43 - 1.12 (m, 4H), 0.85 (d, J = 6.7 Hz, 6H)
실시예 5: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메틸아미노 )-N-(4-몰포리노벤질)-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09
LRMS(ESI) : m/z = 531.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0 (s, 1H), 7.52 - 7.31 (m, 1H), 7.27 - 7.21 (m, 1H), 7.18 - 7.06 (m, 2H), 6.99 - 6.89 (m, 2H), 6.84 - 6.68 (m, 1H), 4.48 (d, J = 49.5 Hz, 2H), 4.26 - 4.21 (m, 1H), 3.85 (d, J = 46.7 Hz, 2H), 3.78 - 3.68 (m, 2H), 3.14 - 3.04 (m, 2H), 2.98 - 2.89 (m, 2H), 1.87 - 1.70 (m, 4H), 1.69 - 1.61 (m, 2H), 1.43 - 1.12 (m, 4H).
실시예 6: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시클로헥실메틸 )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0
LRMS(ESI) : m/z = 613.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15 (d, J = 5.3 Hz, 1H), 7.43 - 7.28 (m, 1H), 7.28 - 7.18 (m, 1H), 7.16 - 7.03 (m, 2H), 6.96 - 6.88 (m, 2H), 6.80 (s, 1H), 4.50 (d, J = 39.4 Hz, 2H), 4.31 - 4.12 (m, 1H), 3.78 - 3.69 (m, 4H), 3.86 (d, J = 39.4 Hz, 2H), 3.28 - 3.24 (m, 2H), 3.12 - 3.04 (m, 4H), 1.84 - 1.49 (m, 11H), 1.31 - 1.11 (m, 10H)
실시예 7: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시클로헥실아미노 )-N-(4-몰포리노벤질)-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1
LRMS(ESI) : m/z = 599.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03 - 7.89 (m, 1H), 7.45 - 7.31 (m, 1H), 7.26 - 7.21 (m, 1H), 7.17 - 7.03 (m, 1H), 7.11 - 7.01 (m, 1H), 6.95 - 6.91 (m, 2H), 6.82 (s, 1H), 4.50 (d, J = 36.1 Hz, 2H), 4.25 - 4.14 (m, 1H), 4.06 - 3.92 (m, 1H), 3.87 (d, J = 33.4 Hz, 2H), 3.73 (dd, J = 9.5, 6.0 Hz, 4H), 3.09 (dd, J = 10.5, 6.0 Hz, 4H), 1.97 - 1.58 (m, 12H), 1.52 - 0.98 (m, 8H).
실시예 8: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시클로펜틸아미노 )-N-(4-몰포리노벤질)-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2
LRMS(ESI) : m/z = 585.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05 (d, J = 7.3 Hz, 1H), 7.47 - 7.28 (m, 1H), 7.23 (t, J = 6.4 Hz, 1H), 7.18 - 7.02 (m, 2H), 7.10 - 7.01 (m, 2H), 6.82 (s, 1H), 4.50 (d, J = 35.6 Hz, 2H), 4.29 - 4.13 (m, 1H), 3.87 (d, J = 37.3 Hz, 2H), 3.79 - 3.69 (m, 4H), 3.21 - 3.04 (m, 4H), 2.29 - 2.18 (m, 1H), 2.06 - 1.91 (m, 3H) 1.88 - 1.46 (m, 11H), 1.45 - 1.14 (m, 4H)
실시예 9: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펜틸 -4-( 메틸아미노 )-N-(4-몰포리노벤질)-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3
LRMS(ESI) : m/z = 517.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d, J = 4.2 Hz, 1H), 7.49 - 7.29 (m, 1H), 7.19 (t, J = 13.1 Hz, 1H), 7.15 - 7.02 (m, 2H), 6.99 - 6.88 (m, 1H), 6.85 (s, 1H), 6.75 (s, 1H), 4.86 - 4.69 (m, 1H), 4.50 (d, J = 41.0 Hz, 2H), 3.85 (d, J = 34.6 Hz, 2H), 3.78 - 3.66 (m, 4H), 2.94 - 2.85 (m, 4H), 2.01 - 1.78 (m, 4H), 1.69 - 1.49 (m, 4H)
실시예 10: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N-(2-아미노-2-옥소에틸)-N-(4-브로모벤질)-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사용한 벤질아민 대신 4-브로모벤질아민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디메틸아민 대신 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2: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에서 얻어진 수지에 붙어있는 화합물(50 mg, 37.5 umol)을 N,N '-디메틸포름아미드(1 mL) 그리고 물(1 내지 두 방울) 용매 중에서 탄산세슘(122 mg, 10 eq), 4-(메탄설포닐)페닐보론산[4-(methanesulfonyl)phenylboronic acid](109 mg, 10 eq) 그리고 디클로로메탄 중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9.2 mg, 0.3 eq)을 첨가하여 120℃에서 1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킨 후, 폴리프로필렌 주사기 형태의 필터 반응기에 넣어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고, N,N '-디메틸포름아미드(1 mL, 3회), 메탄올(1 mL, 2회) 그리고 디클로로메탄(1 mL, 2회)으로 세척한 후, cleavage cocktail(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물)(500 uL)을 첨가하여 수지에서 화합물 분리한 후 prep-HPLC(용리액: H2O 80%/ACN 20%, v/v)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4
LRMS(ESI) : m/z = 600.2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 8.23 (m, 1H), 8.02 - 7.99 (m, 1H), 7.96 - 7.89 (m, 1H), 7.85 - 7.71 (m, 2H), 7.53 - 7.50 (m, 1H), 7.47 (s, 1H), 7.44 - 7.31 (m, 1H), 7.27 - 7.12 (m, 1H), 7.11 - 7.02 (m, 1H), 7.02 - 6.91 (m, 1H), 6.89 - 6.74 (m, 1H), 4.67 (d, J = 37.7 Hz, 2H), 3.97 (d, J = 24.8 Hz, 2H), 4.28 - 4.15 (m, 1H), 3.26 (s, 3H), 1.84 - 1.68 (m, 4H), 1.67 - 1.53 (m, 2H), 1.43 - 1.12 (m, 4H)
실시예 10의 단계 1에서 사용한 4-브로모벤질아민 및 시클로헥실아민, 실시예 10의 단계 2에서 사용한 4-(메탄설포닐)페닐보론산 대신, 대응하는 각각의 아민 유도체 및 보론산 유도체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1 내지 3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메틸아미 노)-N-((4'-(메틸설폰아미도)-[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5
LRMS(ESI) : m/z = 615.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85 (s, 1H), 8.23 (s, 1H), 7.62 - 7.53 (m, 2H), 7.51 - 7.27 (m, 5H), 7.25 - 7.05 (m, 3H), 6.84 - 6.78 (m, 1H), 4.65 (d, J = 41.1 Hz, 2H), 4.32 - 4.21 (m, 1H), 3.03 (s, 3H), 3.95 (d, J = 30.8 Hz, 2H), 1.84 - 1.69 (m, 4H), 1.68 - 1.59 (m, 2H), 1.43 - 1.11 (m, 4H)
실시예 12: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메틸아미 노)-N-((4'-(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6
LRMS(ESI) : m/z = 590.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1 - 8.19 (m, 1H), 7.90 (t, J = 8.5 Hz, 2H), 7.85 - 7.82 (m, 2H), 7.77 - 7.71 (m, 2H), 7.52 (d, J = 8.2 Hz, 1H), 7.45 (s, 1H), 7.43 - 7.31 (m, 1H), 7.17 (d, J = 15.9 Hz, 1H), 6.81 (d, J = 14.4 Hz, 1H), 4.67 (d, J = 38.3 Hz, 2H), 4.32 - 4.18 (m, 1H), 3.97 (d, J = 27.3 Hz, 2H), 1.86 - 1.71 (m, 4H), 1.68 - 1.57 (m, 2H), 1.47 - 1.12 (m, 4H).
실시예 13: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N-((4'- 메톡시 -[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7
LRMS(ESI) : m/z = 552.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3 (s, 1H), 7.73 - 7.59 (m, 4H), 7.49 - 7.43 (m, 2H), 7.35 (s, 1H), 7.29 (d, J = 8.2 Hz, 1H), 7.23 - 7.09 (m, 1H), 7.09 - 7.01 (m, 1H), 6.80 (d, J = 23.5 Hz, 1H), 4.62 (d, J = 42.0 Hz, 2H), 4.32 - 4.19 (m, 1H), 3.94 (d, J = 34.0 Hz, 2H), 3.80 (s, 3H), 1.87 - 1.71 (m, 4H), 1.69 - 1.58 (m, 2H), 1.46 - 1.13 (m, 4H)
실시예 14: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N-((4'-(2-디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8
LRMS(ESI) : m/z = 609.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3 (s, 1H), 7.69 - 7.57 (m, 4H), 7.45 (d, J = 8.3 Hz, 2H), 7.35 (s, 1H), 7.32 - 7.28 (m, 1H), 7.26 - 7.04 (m, 2H), 6.84 (s, 1H), 4.63 (d, J = 36.3 Hz, 2H), 4.39 - 4.29 (m, 1H), 3.95 (d, J = 35.0 Hz, 2H), 2.95 - 2.93 (m, 2H), 2.88 - 2.83 (m, 2H), 1.81 - 1.71 (m, 4H), 1.69 - 1.54 (m, 2H), 1.31 - 1.13 (m, 4H).
실시예 15: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메틸 -4-( 메틸아 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19
LRMS(ESI) : m/z = 614.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31 (s, 1H), 8.16 - 7.87 (m, 5H), 7.82 - 7.76 (m, 2H), 7.59 - 7.41 (m, 2H), 7.24 - 7.18 (m, 1H), 6.94 (s, 1H), 4.72 - 4.69 (m, 2H), 4.21 - 4.07 (m, 2H), 4.14 - 4.08 (m, 2H), 3.97 (s, 3H), 1.61 - 1.48 (m, 3H), 1.39 - 1.03 (m, 5H), 1.04 - 0.76 (m, 3H).
실시예 16: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2- 메톡시에틸 )-4-( 메틸아 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0
LRMS(ESI) : m/z = 576.2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44 (s, 1H), 8.08 - 7.93 (m, 4H), 7.84 - 7.74 (m, 3H), 7.60 - 7.39 (m, 2H), 7.14 (s, 1H), 6.95 (s, 1H), 4.77 (d, J = 31.0 Hz, 2H), 4.54 - 4.41 (m, 2H), 4.01 - 3.88 (m, 2H), 3.77 - 3.60 (m, 1H), 3.58 - 3.48 (m, 1H) 3.25 (s, 3H), 2.69 - 2.65 (m, 3H).
실시예 17: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푸란-3- 일메틸 )-4-( 메틸아 미노)-N-((4'-(메틸술포닐)-[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1
LRMS(ESI) : m/z = 598.2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14 (s, 1H), 8.14 - 7.90 (m, 3H), 7.87 - 7.71 (m, 2H), 7.69 - 7.39 (m, 4H), 7.22 (s, 1H), 7.10 (s, 1H), 6.97 (s, 1H), 6.31 (d, J = 5.8 Hz, 1H), 6.19 (d, J = 8.2 Hz, 1H), 4.82 - 4.55 (m, 2H), 4.48 - 4.28 (m, 2H), 3.26 (s, 3H), 3.79 - 3.67 (m, 2H).
실시예 18: N-((4'- 아세트아미도 -[1,1'-비페닐]-4-일) 메틸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2
LRMS(ESI) : m/z = 579.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02 (s, 1H), 8.22 (s, 1H), 7.74 - 7.55 (m, 4H), 7.44 (d, J = 8.0 Hz, 2H), 7.38 - 7.25 (m, 2H), 7.23 - 7.07 (m, 2H), 6.80 (d, J = 21.2 Hz, 1H), 4.32 - 4.21 (m, 1H), 4.63 (d, J = 42.2 Hz, 2H), 3.94 (d, J = 32.2 Hz, 2H), 1.86 - 1.71 (m, 4H), 1.71 - 1.58 (m, 2H), 1.41 - 0.96 (m, 4H).
실시예 19: 메틸 4'-((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카르복실에이트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3
LRMS(ESI) : m/z = 580.2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05 (d, J = 8.2 Hz, 2H), 7.88 - 7.71 (m, 4H), 7.51 (d, J = 8.4 Hz, 2H), 7.37 (d, J = 9.1 Hz, 2H), 6.80 (d, J = 11.5 Hz, 2H), 4.66 (d, J = 38.1 Hz, 2H), 4.34 - 4.17 (m, 1H), 3.96 (d, J = 29.2 Hz, 2H), 3.88 (s, 3H), 1.84 - 1.72 (m, 4H), 1.69 - 1.52 (m, 2H), 1.26 - 1.13 (m, 4H).
실시예 20: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N-((4'-(4- 이소 프로필피페라진-1-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4
LRMS(ESI) : m/z = 648.5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4 (s, 1H), 7.74 - 7.52 (m, 4H), 7.46 - 7.41 (m, 1H), 7.38 - 7.32 (m, 1H), 7.31 - 7.27 (m, 1H), 7.21 - 7.04 (m, 3H), 6.83 - 6.79 (m, 1H), 4.63 (d, J = 38.6 Hz, 2H), 4.32 - 4.18 (m, 1H), 4.01 - 3.86 (m, 4H), 3.54 (d, J = 9.8 Hz, 2H), 3.19 - 3.15 (m, 2H), 3.01 - 2.97 (m, 2H), 1.96 - 1.52 (m, 6H), 1.31 (d, J = 6.4 Hz, 6H), 1.29 - 1.05 (m, 4H)
실시예 21: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N-((4'-( 디메틸 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5
LRMS(ESI) : m/z = 593.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s, 1H), 7.97 - 7.62 (m, 4H), 7.57 - 7.42 (m, 4H), 7.37 - 7.34 (m, 1H), 7.27 - 7.07 (m, 1H), 6.85 - 6.78 (m, 1H), 4.63 (d, J = 51.6 Hz, 2H), 4.40 - 4.08 (m, 1H), 3.95 (d, J = 22.9 Hz, 2H), 1.98 - 1.54 (m, 6H), 1.31 - 1.04 (m, 4H).
실시예 22: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메틸아미 노)-N-((4'-몰포리노-[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6
LRMS(ESI) : m/z = 607.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3 (s, 1H), 7.98 - 7.25 (m, 5H), 7.21 - 6.98 (m, 2H), 6.94 - 6.64 (m, 2H), 6.57 - 6.34 (m, 2H), 4.84 - 4.51 (m, 2H), 4.29 - 4.19 (m, 1H), 4.16 - 3.81 (m, 2H), 3.73 - 3.59 (m, 4H), 3.09 (d, J = 60.6 Hz, 2H), 2.88 (d, J = 44.9 Hz, 2H), 1.98 - 1.54 (m, 6H), 1.31 - 1.04 (m, 4H).
실시예 23: N-((4'-(4- 아세틸피페라진 -1-일)-[1,1'-비페닐]-4-일) 메틸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7
LRMS(ESI) : m/z = 648.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s, 1H), 7.64 - 7.52 (m, 4H), 7.49 - 7.37 (m, 2H), 7.36 - 7.28 (m, 2H), 7.27 (d, J = 8.5 Hz, 1H), 7.10 - 7.01 (m, 1H), 6.87 - 6.74 (m, 1H), 4.61 (d, J = 43.2 Hz, 2H), 4.40 - 4.08 (m, 1H), 3.93 (d, J = 35.5 Hz, 2H), 3.68 - 3.56 (m, 2H), 3.25 - 3.19 (m, 2H), 3.17 - 3.12 (m, 2H), 2.96 - 2.87 (m, 2H), 2.05 (s, 3H), 1.87 - 1.69 (m, 6H), 1.29 - 1.11 (m, 4H).
실시예 24: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4-( 메틸아미노 )-N-((4'-( 메틸 술포닐)-[1,1'-비페닐]-4-일)메틸)-7-네오펜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8
LRMS(ESI) : m/z = 588.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4 (s, 1H), 8.04 - 7.92 (m, 3H), 7.89 - 7.73 (m, 3H), 7.64 - 7.33 (m, 2H), 7.24 - 7.16 (m, 1H), 7.10 - 7.02 (m, 1H), 6.95 (s, 1H), 4.78 (d, J = 69.6 Hz, 2H), 4.16 (d, J = 66.4 Hz, 2H), 3.26 (s, 3H), 2.93 (s, 2H), 0.89 (s, 9H).
실시예 25: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N-((4'-(2-(디메틸아미노) 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29
LRMS(ESI) : m/z = 597.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4 (s, 1H), 7.69 - 7.56 (m, 4H), 7.54 - 7.42 (m, 3H), 7.41 - 7.31 (m, 1H), 7.24 - 7.16 (m, 1H), 7.14 - 6.97 (m, 2H), 4.74 (d, J = 64.0 Hz, 2H), 4.45 - 4.20 (m, 4H), 3.97 (d, J = 66.3 Hz, 2H), 2.94 (s, 2H), 2.88 (d, J = 4.2 Hz, 6H), 0.88 (s, 9H).
실시예 26: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N-((4'-(2- 메톡 시에톡시)메틸)-[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0
LRMS(ESI) : m/z = 610.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s, 1H), 7.87 - 7.52 (m, 4H), 7.51 - 7.28 (m, 3H), 7.28 - 7.07 (m, 2H), 6.93 - 6.66 (m, 2H), 4.65 (d, J = 29.4 Hz, 2H), 4.34 - 4.16 (m, 1H), 4.53 (s, 3H), 3.97 (d, J = 15.4 Hz, 2H), 3.91 (s, 2H), 3.63 - 3.53 (m, 2H), 3.53 - 3.45 (m, 2H), 1.84 - 1.69 (m, 4H), 1.67 - 1.57 (m, 2H), 1.32 - 1.16 (m, 4H).
실시예 27: 메틸 2-(4'-((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1
LRMS(ESI) : m/z = 594.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3 (s, 1H), 7.74 - 7.51 (m, 4H), 7.48 - 7.42 (m, 2H), 7.39 - 7.22 (m, 3H), 7.21 - 7.09 (m, 2H), 4.69 - 4.55 (m, 2H), 4.34 - 4.12 (m, 1H), 4.01 - 3.88 (m, 2H), 3.63 (s, 3H), 1.84 - 1.73 (m, 4H), 1.71 - 1.57 (m, 2H), 1.32 - 1.16 (m, 4H).
실시예 28: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메틸아미 노)-N-((4'-(((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2
LRMS(ESI) : m/z = 649.4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58 (t, J = 5.5 Hz, 1H), 8.22 - 8.19 (m, 1H), 8.01 - 7.92 (m, 2H), 7.79 - 7.69 (m, 4H), 7.61 - 7.45 (m, 2H), 7.41 - 7.32 (m, 1H), 7.26 - 7.12 (m, 1H), 6.80 (d, J = 16.4 Hz, 1H), 4.66 (d, J = 39.5 Hz, 2H), 4.54 - 4.42 (m, 1H), 4.34 - 4.19 (m, 1H), 4.09 - 3.84 (m, 3H), 3.84 - 3.72 (m, 1H), 3.64 (dd, J = 14.4, 7.5 Hz, 1H), 2.50 (d, J = 1.8 Hz, 1H), 2.26 (d, J = 10.5 Hz, 1H), 1.92 - 1.70 (m, 6H), 1.68 - 1.52 (m, 2H), 1.49 - 1.12 (m, 4H), 1.05 - 0.92 (m, 1H)
실시예 29: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N-((4'-((2-( 메닐아미노)에틸)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3
LRMS(ESI) : m/z = 636.4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4 (d, J = 7.4 Hz, 1H), 7.95 (s, 1H), 7.84 - 7.72 (m, 4H), 7.69 - 7.44 (m, 3H), 7.41 - 7.33 (m, 2H), 7.29 - 7.18 (m, 2H), 4.67 (d, J = 34.2 Hz, 2H), 4.21 - 4.08 (m, 1H), 3.96 (d, J = 31.5 Hz, 2H), 3.71 - 3.54 (m, 2H), 2.99 - 2.89 (m, 2H), 1.90 (s, 6H), 1.84 - 1.69 (m, 4H), 1.67 - 1.57 (m, 2H), 1.32 - 1.16 (m, 4H).
실시예 30: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N-((4'-((2- 톡시에틸)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4
LRMS(ESI) : m/z = 623.3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57 (s, 1H), 7.99 - 7.93 (m, 3H), 7.89 - 7.68 (m, 3H), 7.54 - 7.48 (m, 2H), 7.39 - 7.29 (m, 2H), 7.22 - 7.15 (m, 1H), 6.83 - 6.73 (m, 1H), 4.67 (d, J = 39.1 Hz, 2H), 4.35 - 4.21 (m, 1H), 3.97 (d, J = 29.4 Hz, 2H), 3.51 - 3.42 (m, 2H), 3.28 (s, 3H), 2.98 - 2.87 (m, 2H), 1.84 - 1.69 (m, 4H), 1.67 - 1.57 (m, 2H), 1.32 - 1.16 (m, 4H).
실시예 31: 3 -(4'-((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4-( 메틸아미노 )-7-네오펜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카르복스아미도)프로파노익산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5
LRMS(ESI) : m/z = 625.4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43 (s, 1H), 8.31 (s, 1H), 7.98 - 7.92 (m, 1H), 7.85 - 7.69 (m, 4H), 7.51 - 7.41 (m, 2H), 7.39 - 7.32 (m, 2H), 7.30 - 7.15 (m, 1H), 7.14 - 7.01 (m, 1H), 4.71 - 4.59 (m, 2H), 4.39 - 4.21 (m, 2H), 4.11 - 3.99 (m, 2H), 2.67 (s, 2H), 0.83 (s, 9H)
실시예 32: N-(2-아미노-2- 옥소에틸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N-(4-((3,4- 플루오로페닐)에티닐)벤질)-4-(메틸아미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사용한 4-벤질아민 대신 (3,4-디플루오로페닐)에티닐)벤질아민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디메틸아민 대신 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6
LRMS(ESI) : m/z = 582.2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7 - 8.16 (m, 1H), 7.78 - 7.68 (m, 1H), 7.64 - 7.54 (m, 2H), 7.53 - 6.99 (m, 5H), 6.89 - 6.71 (m, 2H), 4.62 (d, J = 44.9 Hz, 2H), 4.35 - 4.21 (m, 1H), 3.93 (d, J = 31.6 Hz, 2H), 1.86 - 1.73 (m, 4H), 1.71 - 1.62 (m, 2H), 1.41 - 1.24 (m, 4H).
실시예 33. 2-시아노-N-((4'-(1-시클로프로필피페리딘-4-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에틸 네오펜틸글리시네이트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네오펜틸아민과 트리에틸아민을 녹인 뒤, 0 ℃에서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를 천천히 적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RMS(ESI) : m/z = 174.50 [M+H]+
1H NMR (400 MHz, CDCl3) δ 4.39 - 4.34 (q, J = 7.3 Hz, 2H), 3.39 (s, 2H), 2.34 (s. 2H), 1.29 - 1.26 (t, J = 7.1 Hz, 3H), 0.92 (s, 9H).
단계 2: 에틸-N-(6-클로로-5-포밀-2-(메틸치오)피리미딘-4-일)-N-네오펜틸글리시네이트
단계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N,N '-디이소프로필아민을 상온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한 후, 4,6-디클로로-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를 첨가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MPLC로 분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RMS(ESI) : m/z = 360.20 [M+H]+
1H NMR (400 MHz, CDCl3) δ 10.2 (s, 1H), 4.32 (s, 2H), 4.16 - 4.05 (q, 2H), 2.52 (s, 3H), 1.58 (s, 2H), 1.21 - 1.16 (t, J = 7.3 Hz, 3H), 0.92 (s, 9H).
단계 3: 에틸-N-(5-포밀-6-(메틸아미노)-2-(메틸티오)피리미딘-4-일)-N-네오펜틸글리시네이트
단계 2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1,4-디옥산 중에서 2M 메틸아민과 N,N '-디이소프로필아민을 첨가하고, 120 ℃ 마이크로웨이브(Micorowave)하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RMS(ESI) : m/z = 355.50 [M+H]+
1H NMR (400 MHz, CDCl3) δ 9.87 (s, 1H), 8.86 (s, 1H), 4.34 (s, 2H), 4.17 - 4.11 (q, J = 7.12 Hz, 2H), 3.56 (s, 3H), 3.05 (d, J = 4.92 Hz, 2H), 2.57 (s, 3H), 1.24 - 1.21 (t, J = 7.16 Hz, 3H), 0.89 (s, 9H).
단계 4: 에틸-4-(메틸아미노)-2-(메틸티오)-7-네오펜틸-7H-피롤로[2,3-디]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단계 3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N,N '-디메틸포름아미드에 가한 후,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덱-7-엔(DBU)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RMS(ESI) : m/z = 337.20 [M+H]+
1H NMR (400 MHz, CDCl3) δ 7.24 (s, 1H), 4.60 (s, 2H), 4.43 - 4.34 (q, J = 9.84 Hz, 2H), 2.62 (s, 3H), 1.54 (s, 3H), 1.41 - 1.37 (t, J = 7.12 Hz, 3H), 0.96 (s, 9H)
단계 5: 4-(메틸아미노)-2-(메틸티오)-7-네오펜틸-7H-피롤로[2,3-디]피리미딘-6-카르복실산
단계 4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1N-NaOH를 가한 후, 40 ℃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1N-HCl 용액으로 산성화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얻은 잔사를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LRMS(ESI) : m/z = 309.20 [M+H]+
1H NMR (400 MHz, CDCl3) δ 3.30 (s, 2H), 2.63 (s, 3H), 2.12 (s, 3H), 0.93 (s, 9H)
단계 5: N-(4-브로모벤질)-4-(메틸아미노)-2-(메틸티오)-7-네오펜틸-7H-피롤로[2.3-디]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5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N,N '-디메틸포름아미드에 가한 후, N,N '-디이소프로필아민, 4-브로모벤질아민,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니움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is(dimethylamino)methylene]-1H-1,2,3-triazolo[4,5-b]pyridinium 3-oxid hexafluorophosphate, HATU)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RMS(ESI) : m/z = 476.30 [M+H]+
1H NMR (400 MHz, CDCl3) δ 8.01 (s, 1H), 7.48 - 7.46 (d, J = 8.4 Hz, 2H), 7.23 - 7.21 (d, J = 8.4 Hz, 2H), 6.62 (s, 1H), 5.05 (s, 1H), 4.61 - 4.47 (m, 4H), 3.15 - 3.14 (d, J = 5.04 Hz, 3H), 2.57 (s, 3H), 0.89 (s, 9H).
단계 6: N-(4-브로모벤질)-4-(메틸아미노)-2-(메틸설포닐)-7-네오펜틸-7H-피롤로[2,3-디]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5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0 ℃로 냉각한 후, 3-클로로과벤조산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다음,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중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RMS(ESI) : m/z = 508.20 [M+H]+
단계 7: N-(4-브로모벤질)-2-시아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디]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6에서 얻어진 화합물과 NaCN을 DMSO에 용해시키고,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텐(DABCO)를 상온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2 일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1N-NaOH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RMS(ESI) : m/z = 455.20 [M+H]+
1H NMR (400 MHz, MeOD) δ 7.51 (d, J = 8.0 Hz, 2H), 7.32 (d, J = 8.0 Hz, 2H), 7.04 (s, 1H), 4.52 (d, J = 8.8 Hz, 2H), 3.10 (s, 2H), 0.85 (s, 9H)
단계 8: 2-시아노-N-((4'-(1-시클로프로필피페리딘-4-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단계 7에서 얻어진 화합물과 N,N '-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중에서 탄산세슘, (4-(1-시클로프로필피페리딘-4-일)페닐)보론산(4-(1-cyclopropylpiperidin-4-yl)phenyl)boronic acid)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디클로로메탄(II)을 첨가하여 120 ℃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완료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잔사를 prep-HPLC(용리액:H2O 80%/ACN 20%, v/v)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33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7
LRMS(ESI) : m/z = 576.5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36 (s, 1H), 8.74 (s, 1H), 8.36 (s, 1H), 7.71 - 7.48 (m, 4H), 7.44 (dd, J = 20.6, 8.2 Hz, 2H), 7.32 (d, J = 8.3 Hz, 2H), 7.17 (s, 1H), 4.55 - 4.32 (m, 2H), 3.63 (d, J = 10.8 Hz, 2H), 2.97 (s, 2H), 3.03 - 2.76 (m, 2H), 2.10 - 2.01 (m, 2H), 1.87 - 1.71 (m, 2H), 1.03 - 0.83 (m, 4H), 0.79 (s, 9H).
실시예 33의 단계 1에서 사용한 네오펜틸아민, 실시예 33의 단계 8에서 사용한 (4-(1-시클로프로필피페리딘-4-일)페닐)보론산 대신, 대응하는 각각의 아민 유도체 및 보론산 유도체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4 내지 36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2- 시아노 -7- 시클로헥실 -4-( 메틸아미노 )-N-((4'-( 메틸설포닐 )-[1,1'-비페닐]-4-일)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8
LRMS(ESI) : m/z = 543.2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31 (s, 1H), 7.97 (dd, J = 24.5, 8.5 Hz, 5H), 7.75 (d, J = 8.3 Hz, 2H), 7.48 (d, J = 8.4 Hz, 2H), 7.10 (s, 1H), 5.05 - 4.70 (m, 1H), 4.52 (d, J = 5.9 Hz, 2H), 3.25 (s, 3H), 1.91 - 1.71 (m, 4H), 1.70 - 1.61 (m, 2H), 1.32 - 1.16 (m, 4H).
실시예 35. 2-시아노-4-(디메틸아미노)-N-((4'-(2-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39
LRMS(ESI) : m/z = 554.5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51 (s, 1H), 7.62 (dd, J = 16.3, 8.5 Hz, 4H), 7.50 - 7.48 (m, 1H), 7.44 - 7.33 (m, 2H), 7.09 (d, J = 8.8 Hz, 2H), 4.58 - 4.55 (m, 2H), 4.52 - 4.42 (m, 2H), 4.37 - 4.34 (m, 2H), 2.99 (s, 2H), 2.87 (s, 6H), 0.80 (s, 9H).
실시예 36. 2-시아노-4-(메틸아미노)-N-((4'-(2-(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17126257904-pat00040
LRMS(ESI) : m/z = 526.3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36 (s, 1H), 8.61 (s, 1H), 8.37 (s, 1H), 7.73 - 7.51 (m, 4H), 7.40 (d, J = 8.3 Hz, 2H), 7.17 (s, 1H), 7.13 - 7.01 (m, 2H), 4.58 - 4.37 (m, 2H), 4.37 - 4.11 (m, 2H), 2.98 (s, 2H), 2.68 (dd, J = 3.5, 1.5 Hz, 3H), 0.80 (s, 9H).
시험예 : 카뎁신 K, B, L, 및 S 억제 활성 분석
카뎁신 K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50 mM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MES), 2 mM 디티오쓰레이톨(dithiothreitol, DTT), 2.5 mM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0.01% Triton X-100, 및 10%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로 이루어진 완충용액(pH 5.5)을 준비하였다. 상기 완충용액에 기질, 시험물질, 및 효소를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Z-Phe-Arg-AMC 기질은 최종농도가 10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최종농도가 각각 10.0 μM, 3.33 μM, 1.11 μM, 0.370 μM, 0.123 μM, 0.0412 μM, 0.0137 μM, 0.00457 μM, 0.00152 μM, 0.000508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카뎁신 K 효소는 최종농도가 1 n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액의 최종부피는 10 μL로 하였다. 기질, 시험물질, 및 효소의 혼합물을 30분간 반응시킨 후 효소 활성을 흡수파장 355nm와 방출파장 460nm에서 Synergy Neo (Biotek)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IC50 값은 GraphPad Prism의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카뎁신 B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50 mM MES, 5 mM DTT, 2.5 mM EDTA, 0.005% 폴리소베이트 20(Polysorbate 20), 및 10% DMSO로 이루어진 완충용액(pH 6.0)을 준비하였다. 상기 완충용액에 기질, 시험물질, 및 효소를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Z-Arg-Arg-AMC 기질은 최종농도가 40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최종농도가 각각 10.0 μM, 3.33 μM, 1.11 μM, 0.370 μM, 0.123 μM, 0.0412 μM, 0.0137 μM, 0.00457 μM, 0.00152 μM, 0.000508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카뎁신 B 효소는 최종농도가 1 n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액의 최종부피는 10 μL로 하였다. 기질, 시험물질, 및 효소의 혼합물을 90분간 반응시킨 후 효소 활성을 흡수파장 340nm와 방출파장 460nm에서 EnVision (Perkin Elmer)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IC50 값은 GraphPad Prism의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카뎁신 L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50 mM MES, 2.5 mM DTT, 2.5 mM EDTA, 0.005% 폴리소베이트 20, 및 10% DMSO로 이루어진 완충용액(pH 5.5)을 준비하였다. 상기 완충용액에 기질, 시험물질, 및 효소를 소정의 최종농도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Z-Phe-Arg-AMC 기질은 최종농도가 2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최종농도가 각각 10.0 μM, 3.33 μM, 1.11 μM, 0.370 μM, 0.123 μM, 0.0412 μM, 0.0137 μM, 0.00457 μM, 0.00152 μM, 0.000508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카뎁신 L 효소는 최종농도가 3 n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액의 최종부피는 10 μL로 하였다. 기질, 시험물질, 및 효소의 혼합물을 30분간 반응시킨 후 효소 활성을 흡수파장 340nm와 방출파장 460nm에서 EnVision (Perkin Elmer)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IC50 값은 GraphPad Prism의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카뎁신 S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50 mM MES, 2.5 mM DTT, 1.0 mM EDTA, 0.001% 우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및 10% DMSO로 이루어진 완충용액(pH 6.5)을 준비하였다. 상기 완충용액에 기질, 시험물질, 및 효소를 소정의 최종농도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Z-Phe-Arg-AMC 기질은 최종농도가 70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최종농도가 각각 10.0 μM, 3.33 μM, 1.11 μM, 0.370 μM, 0.123 μM, 0.0412 μM, 0.0137 μM, 0.00457 μM, 0.00152 μM, 0.000508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카뎁신 S 효소는 최종농도가 3 n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액의 최종부피는 10 μL로 하였다. 기질, 시험물질, 및 효소의 혼합물을 45분간 반응시킨 후 효소 활성을 흡수파장 340nm와 방출파장 460nm에서 EnVision (Perkin Elmer)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IC50 값은 GraphPad Prism의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정하여 얻어진 카뎁신 K, B, L, 및 S 효소에 대한 IC50 값은 다음 표 1과 같다.
Enzyme assay, IC50(nM)
카뎁신 K 카뎁신 B 카뎁신 L 카뎁신 S
실시예 1 4.7 45 203 74
실시예 2 30 1760 1100 590
실시예 3 84.9 〉10000 5310 1610
실시예 4 96.6 5140 〉10000 1820
실시예 5 15.1 223 4600 606
실시예 7 81.2 1330 4240 1130
실시예 8 61.5 1000 4240 1050
실시예 9 40.8 91 3020 851
실시예 10 7.3 161 2630 389
실시예 11 27.9 244 3080 311
실시예 13 19.9 2040 〉10000 1970
실시예 14 0.1 29.7 505 200
실시예 15 45.7 〉10000 〉10000 7900
실시예 18 9.8 372 6090 601
실시예 19 24.2 721 〉10000 2120
실시예 20 0.3 45 749 396
실시예 21 14.7 199 4430 522
실시예 22 16.3 762 〉10000 3380
실시예 23 4.2 204 7550 1080
실시예 24 11.6 1720 〉10000 1490
실시예 25 0.4 259 3560 450
실시예 26 14.8 173 3611 615
실시예 27 17.9 199 7443 427
실시예 28 20 166 2581 320
실시예 29 1.4 34 321 202
실시예 30 13.9 103 2987 245
실시예 31 33.7 1240 〉10000 1196
실시예 32 111
실시예 33 6.2 〉10000 〉10000 〉10000
실시예 34 83.2
실시예 35 20.8
실시예 36 1.0 9338 〉10000 87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카뎁신 K에 대하여 선택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9084671640-pat00041

    식 중,
    R1은 수소 또는 아미노카보닐메틸기이고,
    R2은 페닐, 몰포리노페닐, 페닐에티닐페닐, 비페닐, 피페라지닐-비페닐, 피페리딘일-비페닐, 및 몰포리닐-비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환이고,
    상기 방향족 환은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C1∼C6 알킬; C1∼C6 알콕시; (2-메톡시에톡시)메틸; 메톡시카보닐에틸; 디메틸아미노에톡시; 메탄설포닐; 메탄설포닐아미노; 아세틸아미노;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디메틸아미노카보닐;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카보닐; 2-메톡시에틸아미노카보닐; (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아미노카보닐; 및 2-히드록시카보닐에틸아미노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개의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R3는 C3∼C6 시클로알킬, C1∼C6 알콕시, 또는 퓨란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 알킬기; C3∼C6 시클로알킬기; 또는 벤질기이고,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3∼C6 시클로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 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단, R3 및 R4가 동시에 수소일 수는 없다)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2-시아노-7-시클로헥실-4-(디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N-벤질-2-시아노-7-이소부틸-4-(이소부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N,7-디벤질-2-시아노-4-(이소부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1,1-비페닐]-4-일메틸)-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이소부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시클로헥실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시클로펜틸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펜틸-4-(메틸아미노)-N-(4-몰포리노벤질)-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메틸설폰아미도)-[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메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2-디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메틸-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2-메톡시에틸)-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푸란-3-일메틸)-4-(메틸아미노)-N-((4'-(메틸술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4'-아세트아미도-[1,1'-비페닐]-4-일)메틸)-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메틸 4'-((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카르복실에이트;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디메틸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몰포리노-[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4'-(4-아세틸피페라진-1-일)-[1,1'-비페닐]-4-일)메틸)-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4-(메틸아미노)-N-((4'-(메틸술포닐)-[1,1'-비페닐]-4-일)메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N-((4'-(2-(디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2-메톡시에톡시)메틸)-[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메틸 2-(4'-((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일)아세테이트;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2-(디메닐아미노)에틸)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2-메톡시에틸)카르바모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3-(4'-((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도)메틸)-[1,1'-비페닐]-4-카르복스아미도)프로파노익산;
    N-(2-아미노-2-옥소에틸)-2-시아노-7-시클로헥실-N-(4-((3,4-디플루오로페닐)에티닐)벤질)-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시아노-N-((4'-(1-시클로프로필피페리딘-4-일))-[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시아노-7-시클로헥실-4-(메틸아미노)-N-((4'-(메틸설포닐)-[1,1'-비페닐]-4-일)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시아노-4-(디메틸아미노)-N-((4'-(2-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및
    2-시아노-4-(메틸아미노)-N-((4'-(2-(메틸아미노)에톡시)-[1,1'-비페닐]-4-일)메틸)-4-(메틸아미노)-7-네오펜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치료학적 유효량의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카뎁신 K 저해용 시약.
KR1020170174732A 2017-12-19 2017-12-19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5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732A KR102054910B1 (ko) 2017-12-19 2017-12-19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732A KR102054910B1 (ko) 2017-12-19 2017-12-19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673A KR20190073673A (ko) 2019-06-27
KR102054910B1 true KR102054910B1 (ko) 2019-12-12

Family

ID=6705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732A KR102054910B1 (ko) 2017-12-19 2017-12-19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9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804A (ja) 2002-06-24 2005-11-10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システイン・プロテアーゼ活性に関係する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新規プリン−もしくはピロール−[2,3−d]ピリミジン−2−カルボニトリル
US20140336503A1 (en) 2013-05-10 2014-11-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Radiolabeled biomarkers for osteoclast activation and related methods thereof
WO2017055533A1 (en) 2015-09-30 2017-04-06 Les Laboratoires Servier New pyrrolo[2,3-d]pyrimidine derivatives as dual dyrk1/clk1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1033D0 (en) * 2001-08-30 2001-10-24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804A (ja) 2002-06-24 2005-11-10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システイン・プロテアーゼ活性に関係する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新規プリン−もしくはピロール−[2,3−d]ピリミジン−2−カルボニトリル
US20140336503A1 (en) 2013-05-10 2014-11-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Radiolabeled biomarkers for osteoclast activation and related methods thereof
WO2017055533A1 (en) 2015-09-30 2017-04-06 Les Laboratoires Servier New pyrrolo[2,3-d]pyrimidine derivatives as dual dyrk1/clk1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673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1502B1 (e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EP2997019B1 (en) Sulphamoylthiophenamide derivatives and the use thereof as medicament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b
EP3166608B1 (en) Aminopyridazinone compound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US8841447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ogliptin
JP6726773B2 (ja) 新規な4−アミノピラゾロ[3,4−d]ピリミジニルアザビシクロ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JP2010536825A (ja) 肝炎などのウイルス感染の治療用イミダゾ[1,2−a]ピラジン化合物
EP3759083B1 (en) 2,4-diaminoquinazol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virus infections, cancer or allergies
KR20220004641A (ko) Tyk2 슈도키나아제 리간드
KR20210124409A (ko) Tyk2 슈도키나제 리간드
KR20110105792A (ko) 페닐피리미돈을 함유하는 화합물, 그 약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KR20180051220A (ko) 신규한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20107194A (ko) Tyk2 슈도키나제 리간드
KR101753654B1 (ko) 3-(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도)-1h-피라졸로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me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232786B2 (ja) タンパク質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ピラゾロ(1,5−a)(1,3,5)トリアジン及びピラゾロ(1,5−a)ピリミジン誘導体
CA3146439A1 (en) 1-(6-(methoxy)pyridazin-3-yl)cyclopropane-1-carboxamide derivatives as autotaxin (atx) modulator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airway diseases
KR102054910B1 (ko) 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US20120046294A1 (e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HUT71559A (en) 4-oxo-3h,5h-pyrrolo[3,2-d]pyrimidin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N114621206B (zh) 一种5-取代的嘧啶二胺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30106186A (ko) 아자인돌 유도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Trk 저해제 조성물 및 Trk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A3087926A1 (en) Cycloalkyl substituted pyrazolopyrimidines having activity against rsv
CN109134481A (zh) 一种取代吡咯色原酮类化合物或其药学上可接受的盐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3511222A (ja) 置換ピリダジノン類化合物とその用途
WO2017149469A1 (en) Heterocyclic compounds useful as ido and/or tdo modulators
EP393998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novel azolopyrimidine heterocyclic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