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027B1 -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027B1
KR102052027B1 KR1020180039179A KR20180039179A KR102052027B1 KR 102052027 B1 KR102052027 B1 KR 102052027B1 KR 1020180039179 A KR1020180039179 A KR 1020180039179A KR 20180039179 A KR20180039179 A KR 20180039179A KR 102052027 B1 KR102052027 B1 KR 10205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xn
scell
control zone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904A (ko
Inventor
곽영수
김형종
박준완
김명종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8003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02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된 터미널의 수에 따라 각 FA(Frequency Area)의 컨트롤 존의 생성 여부를 탄력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출하는 밀리미터파 빔에 의해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빔으로 구획되고 각 빔이 다시 복수의 주파수 대역(FA)으로 분할된 채로 운용되는 하나 이상의 MXN 허브, 각 MXN 허브에 무선 정합된 하나 이상의 MXN 터미널 및 MXN 허브에 연결되어 MXN 터미널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mXCU를 포함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MXN 허브에 의해 수행되며, 각 빔에 대해 P셀 및 S셀 할당 테이블을 구축하는 (a) 단계; 임의의 빔에 접속된 MXN 터미널의 데이터 량을 파악하여 CA(Carrier Aggregation)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A가 필요한 경우에는 S셀을 추가로 할당한 후에 이렇게 할당된 S셀을 통해 CA를 수행하도록 해당 MXN 터미널에 지시하는 (c) 단계; 접속된 MXN 터미널의 수에 따라 S셀에 셀 기반 정보나 단말 기반 정보가 담긴 컨트롤 존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S셀에 컨트롤 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S셀에 컨트롤 존을 할당하지 않거나 기존에 S셀에 할당되어 있던 컨트롤 존을 삭제하고 S셀의 전체 심볼 영역을 사용자 데이터가 실리는 유저 데이터 존으로 사용하는 반면에 컨트롤 존이 필요한 경우에는 S셀에 컨트롤 존을 할당한 후에 해당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전송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Xhaul network}
본 발명은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된 터미널의 수에 따라 각 FA(Frequency Area)의 컨트롤 존의 생성 여부를 탄력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은 2015년 10월 전파통신총회를 열고, 5G의 공식 기술 명칭을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20'으로 정했는데, 5G는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다. 2㎓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5G는 6㎓ 이하 및 24 ㎓ 이상의 초고대역 주파수, 즉 밀리미터파를 사용한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내린 정의에 따르면, 5G는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20Gbps, 최저 다운로드 속도가 100Mbps인 이동통신 기술로서, 1㎢ 반경 안의 100만 개 기기에 사물 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속 500㎞ 고속열차에서도 자유로운 통신을 지원해야 한다. 5G 다운로드 속도는 현재 이동통신 속도인 300Mbps에 비해 70배 이상 빠르고, 일반 LTE에 비해선 280배 빠른 수준으로서, 1GB 영화 한 편을 10초 안에 내려 받을 수 있는 속도이다.
또한, 4G에서는 응답 속도가 10~50㎳ 정도이지만, 5G는 이보다 대략 10배 정도 빠른 수 ㎳ 이내의 응답 속도를 지원함으로써 많은 양의 데이터를 중앙 서버와 끊김 없이 주고받아야 하는 자율주행차나 사물 인터넷(IoT) 분야에서 5G가 활발하게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5G에 대한 얘기가 본격적으로 이뤄진 건 2015년부터인데,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국제 민간 기술 표준화 기구인 3GPP는 오는 2020년까지 수차례 국제회의를 거쳐 5G 표준을 완성해 나갈 계획이다. 그 외에도 각 나라에서 5G에 대한 논의가 한창인데, 한국은 5G 포럼, 중국은 IMT-2020, 일본은 ARIB 등을 만들고 5G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한편, 5G 서비스의 시작은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는데, 폭증하는 모바일 트래픽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는 CoMP, CA 및 MIMO 등과 같은 최신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의 도입 뿐 아니라 기지국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축소시키고 기지국 밀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다. 무선 액세스 구간에서의 트래픽 폭증과 기지국의 조밀화는 네트워크의 모세관 현상(capillarity)을 촉발하여 결국 RAN과 패킷 코어(EPC; Evolved Packet Core) 사이의 백홀의 트래픽 부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 모세관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백홀의 증설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유선 위주의 구축ㆍ증설 방식으로는 통신 사업자의 수익이 데이터 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못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조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통신 사업자 간 네트워크 공유가 용이하도록 통합적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5G 서비스를 위한 구축ㆍ증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통합형 프론트홀/미드홀/백홀 기술로의 진화가 필요하다(이상 선행기술1 참조). 이를 감안하여 제안된 기술이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 Mobile Xhaul Network)이다.
도 1은 4G/5G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예상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는 4G 또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론트홀(Fronthaul) 및 백홀(Backhaul) 기능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무선망으로서 MXN 허브(Hub)(110), MXN 터미널(Terminal)(130) 및 mXCU(mobile Xhaul Control Unit, 이동성 제어기)(120)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MXN 허브(110)와 MXN 터미널(130)은 유연하면서도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망 구성을 위해 광 대역폭의 주파수 활용이 가능한 밀리미터파 기반의 무선 링크 정합을 제공한다. MXN 터미널(130)은 4G/5G 기지국(140), 예를 들어 스몰셀이나 펨토셀 등에 정합되고 MXN 허브(110)는 후술하는 MXN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LTE 네트워크의 EPC(100)에 연결되어 무선 백홀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4G/5G DU(Digital Unit)(미도시)가 MXN 허브(110)와 정합되고 RU(Radio Unit) 또는 기지국 기능 분할에 따라 구성된 TP(Transmit Point)(미도시)가 MXN 터미널(130)과 연동하여 프론트홀 서비스를 제공한다. MXN 터미널(130)은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버스나 기차 또는 이동 셀의 AP(Access Point)로도 구성될 수 있는데, mXCU(120)에 의해 그 이동성이 제어된다. mXCU(120)는 MXN의 토폴로지 및 데이터 경로를 관리하고, 전송 노드들을 중앙 집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구성에서, MXN 허브(110)는 기본 기지국에 해당될 수 있고, MXN 터미널(130)은 백홀 중계 단말에 해당될 수 있으며, MXN 터미널(130)에 정합된 스몰셀이나 펨토셀 등의 4G/5G 기지국은 백홀 기지국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에서는 대용량 전송을 위해 최소 500㎒ 이상의 연속적인 광대역 확보가 용이한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6㎓ 이하 및 24㎓ 이상의 주파수 대역 사용이 폭넓게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의 전파는 자유 공간 손실이 심하고, 대기 및 강우 감쇠로 인한 손실이 크며, 직진성이 강하고, 회절 및 투과에 의한 전파 손실이 크기 때문에 안테나의 에너지를 집중시켜서 좁은 빔(narrow beam)의 형태로 방사된다.
이를 감안하여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는 일정 영역(빔 스폿)을 커버하는 일정 방향의 빔들이 전체 영역을 나누어서 커버하는 다중 빔 형태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경우에 기지국은 자신의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서 많은 소폭 빔(narrow beam)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물리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이동통신 셀(20)은, 예를 들어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도 2의 예에서는 16개)의 빔 스폿(Beam Spot)으로 구획될 수 있고, 각각의 빔 스폿은 다시 이에 1대1 대응 또는 1대M(단, M은 복수) 대응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각 안테나 소자는 패치 안테나 또는 혼 안테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이러한 안테나 소자들이 행렬 형태, 예를 들어 4*4의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안테나 어레이(10)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빔의 운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이 대략 1㎓ 정도로 넓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각 빔을 다시 복수, 예를 들어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로 분할(이하 각 CC를 'FA'(frequency Area)라고 지칭한다)한 상태에서 LTE-A 시스템에서 채택하고 있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LTE-A 시스템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셀(cell)의 개념을 사용하는데, 상기한 반송파 집성 환경은 다중 셀(multiple cells) 환경으로 일컬을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셀은 프라이머리 셀(P셀: primary cell) 및 세컨더리 셀(S셀: secondary cell)을 포함한다. P셀은 PCC(prim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는데, 전술한 MXN 터미널이나 단말(이하 총칭하여 '터미널'이라 한다)이 초기 연결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이나 연결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핸드오버 과정에서 지시된 셀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러한 P셀은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 설정된 서빙 셀 중 제어 관련 통신의 중심이 되는 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터미널은 자신의 P셀에서만 PUCCH을 할당 받아 전송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거나 모니터링 절차를 변경함에 있어서도 P셀만을 이용할 수 있다.
S셀은 SCC(second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는데, 특정 터미널에 P셀은 하나만 할당되며, S셀은 하나 이상 할당될 수 있다. S셀은 RRC 연결 확립이 이루어진 이후에 구성 가능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빔의 운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빔의 각 FA는 다시 컨트롤 존(control zone)과 유저 데이터 존(user data zone)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컨트롤 존에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및 페이징(phasing) 정보와 같은 셀 기반 정보(cell base information)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나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등의 단말 기반 정보(UE base information)가 담겨 있다. 유저 데이터 존에는 순수하게 사용자 데이터가 담겨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는 컨트롤 존에 담긴 컨트롤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가능하다.
여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이 총 14심볼인 경우에 컨트롤 존으로는 1~4 심볼이 할당되고, 나머지 10~13 심볼은 유저 데이터 존으로 할당된다. 이와 같이 컨트롤 존의 크기는 터미널의 수에 의해 결정되고, 유저 데이터 존의 크기는 컨트롤 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도 5는 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빔의 운용 방식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인데, 편의상 임의의 빔에 2개의 터미널 연결된 상태에서 4개의 FA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현재 예상되는 각 빔의 운용 방식에 따르면 터미널의 수에 관계 없이 모든 FA에서 1~4개의 심볼, 통상적으로는 3개의 심볼을 컨트롤 존으로 운용하는데, 예를 들어 1번 FA의 컨트롤 존에는 1번 및 2번 터미널의 P셀 컨트롤 정보가 실리고, 나머지 2~4번 FA의 컨트롤 존에는 1번 및 2번 터미널의 S셀 컨트롤 정보가 실리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LTE-A를 기반으로 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빔 운용 방식에 따르면, 임의의 빔에 접속한 터미널의 수에 관계 없이 모든 FA에 컨트롤 존이 할당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해당 빔에 접속된 터미널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컨트롤 존을 할당하는 것이 되고, 결과적으로 그만큼 유저 데이터 존이 줄어들어서 데이터 스루풋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특허문헌) - 선행기술1: 한국 통신학회 2017년도 동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논문명: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 구조)
(특허문헌 1) - 선행기술2: 10-2015-0095503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
(특허문헌 2) - 선행기술3: 10-2016-0004003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속된 터미널의 수에 따라 각 FA(Frequency Area)의 컨트롤 존의 생성 여부를 탄력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출하는 밀리미터파 빔에 의해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빔으로 구획되고 각 빔이 다시 복수의 주파수 대역(FA)으로 분할된 채로 운용되는 하나 이상의 MXN 허브, 각 MXN 허브에 무선 정합된 하나 이상의 MXN 터미널 및 MXN 허브에 연결되어 MXN 터미널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mXCU를 포함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MXN 허브에 의해 수행되며, 각 빔에 대해 P셀 및 S셀 할당 테이블을 구축하는 (a) 단계; 임의의 빔에 접속된 MXN 터미널의 데이터 량을 파악하여 CA(Carrier Aggregation)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A가 필요한 경우에는 S셀을 추가로 할당한 후에 이렇게 할당된 S셀을 통해 CA를 수행하도록 해당 MXN 터미널에 지시하는 (c) 단계; 접속된 MXN 터미널의 수에 따라 S셀에 셀 기반 정보나 단말 기반 정보가 담긴 컨트롤 존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S셀에 컨트롤 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S셀에 컨트롤 존을 할당하지 않거나 기존에 S셀에 할당되어 있던 컨트롤 존을 삭제하고 S셀의 전체 심볼 영역을 사용자 데이터가 실리는 유저 데이터 존으로 사용하는 반면에 컨트롤 존이 필요한 경우에는 S셀에 컨트롤 존을 할당한 후에 해당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전송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S셀의 컨트롤 존의 유무와 관련된 정보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통해 MXN 터미널에 전송된다.
S셀에 컨트롤 존의 크기에 관한 정보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를 통해 MXN 터미널에 전송된다.
MXN 터미널에 전달할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PCFICH에 의해 할당된 컨트롤 존에 PDCCH(DCI)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알려준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접속된 터미널의 수에 따라 각 FA(Frequency Area)의 컨트롤 존의 생성 여부를 탄력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4G/5G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예상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물리적인 구성도.
도 3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빔의 운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빔의 운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빔의 운용 방식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각 빔의 FA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각 빔의 FA 운용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빔에 접속된 터미널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의 컨트롤 존 할당 방식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
도 9는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빔에 접속된 터미널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의 컨트롤 존 할당 방식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 운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각 빔의 FA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데, 기지국, 즉 MXN 허브를 주체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의 MAC 스케줄러(미도시)는 각 빔에 대해 P셀 및 S셀 할당 테이블을 구축(단계 S10)하고, 이렇게 구축된 할당 테이블에 따라 P셀 및 S셀을 운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각 터미널은 P셀을 검색해서 기지국에 접속한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임의의 빔에 접속된 각 터미널의 데이터 량을 파악하여 P셀만으로 처리가 가능한지, 즉 CA가 필요한지를 판단(단계 S20)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는 S셀을 추가로 할당(단계 S30)한 후에 이렇게 할당된 S셀을 통해 CA를 수행하도록 해당 터미널에 지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S셀을 통한 CA의 수행이 완료되면, 기지국과 터미널은 P셀과 S셀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써 P셀만을 사용할 때보다 사용자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 및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기지국은 S셀에 컨트롤 존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단계 S40)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기지국은 임의의 빔에 접속된 터미널의 수에 따라 운용할 컨트롤 존의 크기를 결정한 후에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를 통해 터미널에 알려준다.
이후 기지국은 터미널에 전달할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PCFICH에 의해 할당된 컨트롤 존에 PDCCH(DCI)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알려주고, 터미널은 PDCCH 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에게 할당된 사용자 데이터의 위치 및 크기 등을 확인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각 빔의 FA 운용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의 빔 운용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에 접속된 터미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컨트롤 존을 P셀, 예를 들어 1번 FA에만 할당하고, 나머지 2~8번 FA에는 컨트롤 존을 할당함이 없이 모든 심볼 영역을 유저 데이터 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기지국에 접속된 터미널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S셀, 예를 들어 2~8번 FA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FA에 컨트롤 존을 할당할 수도 있다.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기지국에 접속된 터미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S셀에 컨트롤 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S셀에 컨트롤 존을 할당하지 않거나 기존에 할당되어 있던 컨트롤 존을 삭제하고, S셀의 컨트롤 정보를 P셀에 할당(단계 S50)한 후에 S셀의 컨트롤 존에도 사용자 데이터(단계 S70)를 전송, 즉 S셀의 모든 심볼 영역을 유저 데이터 존으로 사용한다.
반면에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S셀에도 컨트롤 존이 필요한 경우에는 S셀에 컨트롤 존을 할당한 후에 해당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전송(단계 S60)하는데, 이에 의해 유저 데이터 존의 크기가 그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에 S셀의 컨트롤 존의 유무와 관련된 정보는 MIB를 통해 터미널에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빔에 접속된 터미널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의 컨트롤 존 할당 방식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인데, 편의상 임의의 빔에 2개의 터미널 연결된 상태에서 4개의 FA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빔을 통해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인 2개의 터미널만 접속된 경우에는 기지국은, 예를 들어 1번 및 2번 터미널에 대한 P셀 컨트롤 정보와 S셀 컨트롤 정보를 모두 P셀, 예를 들어 1번 FA의 컨트롤 존을 통해 전송한다. 이에 따라 1번 FA의 유저 데이터 존에는 1번 또는 2번 터미널의 사용자 데이터가 할당될 수 있고, S셀인 2~4번 FA는 전체 심볼 영역에 걸쳐서 유저 데이터 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빔에 접속된 터미널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의 컨트롤 존 할당 방식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빔을 통해 상대적으로 많은, 예를 들어 3개의 터미널이 기지국에 접속하여 P셀인 1번 FA의 컨트롤 존에 모든 터미널에 대한 P셀 컨트롤 정보 및 S셀 컨트롤 정보를 실을 수 없는 경우에 기지국은 P셀인 1번 FA의 컨트롤 존을 통해서는 모든 터미널에 대한 P셀 컨트롤 정보만을 전송하고, 임의의 S셀, 예를 들어 2번 FA의 컨트롤 존에 모든 터미널에 대한 S셀 컨트롤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빔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된 터미널의 수가 더 증가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3번 및 4번 FA는 물론이고 나머지 FA의 컨트롤 존에도 S셀 컨트롤 정보를 할당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P셀 컨트롤 정보도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운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안테나 어레이, 20: 기지국 셀,
100: EPC, 110: MXN 허브,
120: mXCU, 130: MXN 터미너ㄹ,
140: 기지국, 150: 사용자 단말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출하는 밀리미터파 빔에 의해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빔으로 구획되고 각 빔이 다시 복수의 주파수 대역(FA)으로 분할된 채로 운용되는 하나 이상의 MXN 허브, 각 MXN 허브에 무선 정합된 하나 이상의 MXN 터미널 및 MXN 허브에 연결되어 MXN 터미널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mXCU를 포함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MXN 허브에 의해 수행되며,
    각 빔에 대해 P셀 및 S셀 할당 테이블을 구축하는 (a) 단계;
    임의의 빔에 접속된 MXN 터미널의 데이터 량을 파악하여 CA(Carrier Aggregation)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A가 필요한 경우에는 S셀을 추가로 할당한 후에 이렇게 할당된 S셀을 통해 CA를 수행하도록 해당 MXN 터미널에 지시하는 (c) 단계;
    접속된 MXN 터미널의 수에 따라 S셀에 셀 기반 정보나 단말 기반 정보가 담긴 컨트롤 존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S셀에 컨트롤 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S셀에 컨트롤 존을 할당하지 않거나 기존에 S셀에 할당되어 있던 컨트롤 존을 삭제하고 S셀의 전체 심볼 영역을 사용자 데이터가 실리는 유저 데이터 존으로 사용하는 반면에 컨트롤 존이 필요한 경우에는 S셀에 컨트롤 존을 할당한 후에 해당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전송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S셀의 컨트롤 존의 유무와 관련된 정보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통해 MXN 터미널에 전송되고,
    S셀에 컨트롤 존의 크기에 관한 정보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를 통해 MXN 터미널에 전송되며
    MXN 터미널에 전달할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PCFICH에 의해 할당된 컨트롤 존에 PDCCH(DCI)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KR1020180039179A 2018-04-04 2018-04-04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KR10205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179A KR102052027B1 (ko) 2018-04-04 2018-04-04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179A KR102052027B1 (ko) 2018-04-04 2018-04-04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04A KR20190115904A (ko) 2019-10-14
KR102052027B1 true KR102052027B1 (ko) 2019-12-05

Family

ID=6817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179A KR102052027B1 (ko) 2018-04-04 2018-04-04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0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2159A (zh) * 2011-12-22 2014-08-2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Lte载波聚合中的控制信令
KR20150095503A (ko) 2014-02-13 2015-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201599B1 (ko) 2014-07-01 202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54287A (ko) * 2015-11-06 2017-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자원 구성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승권 외 3인, "이동 엑스홀 네트워크 기술 동향", 대한전자공학회지 제44권 제4호, pp.48-57 (2017.04.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04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4086B2 (en) Method of performing a measurement procedure in LTE-A (long-term evolution advanced) system
KR1024376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8511990A (ja) ミリ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ソース区分
KR10180781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무선자원 관리 장치 및 그의 관리 방법
WO2021090607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GB2504862A (en) Handover from a relay node
KR2019012433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51312B1 (en) Controlling carrier assignment based on quantities of relay-served UEs
WO2018190070A1 (ja) 第1の基地局、第2の基地局、端末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3412642B (zh) 通信装置和通信方法
US20160073407A1 (en) User equipment and radio base station
US2016011983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mobility of user equipment having dual connectivity in communication system
Sung et al. Fast intra-beam switching scheme using common contention channels in millimeter-wave based cellular systems
CN117296417A (zh) 用于无线通信***中的集成接入和回程节点的复用切换的设备和方法
US20240090050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
WO2020217534A1 (ja) 無線通信ノード
US20240089744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base station, and ris device
WO2021163997A1 (en) Techniques for activating a secondary cell
US110128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ation of carrier-aggregation service
KR102052027B1 (ko)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US989384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between digital unit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the same
US11582755B2 (en) Control signaling technique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KR10203885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운용 방법
KR102024313B1 (ko)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KR102039331B1 (ko)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