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331B1 -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331B1
KR102051331B1 KR1020190076936A KR20190076936A KR102051331B1 KR 102051331 B1 KR102051331 B1 KR 102051331B1 KR 1020190076936 A KR1020190076936 A KR 1020190076936A KR 20190076936 A KR20190076936 A KR 20190076936A KR 102051331 B1 KR102051331 B1 KR 10205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temporary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형
Original Assignee
안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형 filed Critical 안재형
Priority to KR102019007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 데이터 수집 단계;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지반 데이터 조건에 대응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도록 하여, 센서 모듈로부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 계측된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현장 관리자 단말에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보강 작업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한 지반 데이터와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시공 현장에 매칭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고, 설치된 흙막이 가시설을 관제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공사는 건설 공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으로서,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여 굴착 작업 시에 시공 현장 내로 주변 흙이나 물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주변 지반 붕괴를 방지하고, 토압 및 수압의 측압에 저항하도록 설치되는 가설공사를 말한다.
이러한 흙막이 가시설 설치 공사는, 최근 구조물의 대형화, 고층화, 지하공간 활용의 필요성 증대에 따른 수요로 인하여 대규모 지반 굴착 및 흙막이 공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 증대에도 불구하고, 흙막이 가시설 공사는 공사 후 제거되는 임시 가시설이라는 이유로 지반 굴착 공사에서 발생하는 붕괴 사고 중 48%가 흙막이 가시설의 부실 시공에 의한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흙막이 가시설 설계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거나, 설치된 흙막이 가시설의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소홀히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10-1191131호(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변위 계측 장치)에서는 가시설 구조물 자체의 변위를 측정하여 원격지에서도 가시설의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설치된 가시설의 변위 측정에 의하여 가시설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질 조사를 수행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사람이 직접 데이터를 분석하여,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공법을 선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게다가 이러한 문제는 지질 조사 수행 시점의 지질 상태에 대한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공법을 결정하게 됨에 따라서, 지질 조사 시점 이후 기상 상황이 악화되어, 단기간에 강수량이 늘어날 경우, 토사 유실 및 토양 하중 증가로 인한 붕괴 사고를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한 지반 데이터와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시공 현장에 매칭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되, 시공 현장에 대응되는 지역의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상 요소가 고려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공 현장에 설치된 흙막이 가시설을, 센서 모듈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변위를 계측하여 현장 관리자 단말 측에 보강이 필요한 영역의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여줄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은,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 데이터 수집 단계;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지반 데이터 조건에 대응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도록 하여, 센서 모듈로부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 계측된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현장 관리자 단말에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보강 작업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지반 데이터로부터, 시공 현장에 요구되는 흙막이 가시설의 최소 내하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소 내하력을 만족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기상 데이터는 기상 관측 서버를 통해 수집된, 시공 현장에 대한 미래의 예측된 기상 데이터이고, 예측된 기상 데이터로부터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에 우천이 예상되는 경우,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가시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기상 데이터는, 시공 현장에 대한 과거의 누적된 기상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우천 발생 기간에 대한 기상 데이터이고, 우천 발생 기간과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가시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센서 모듈은,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주변 현장에 더 설치되도록 하여,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시, 시공 현장의 지반 및 인접 구조물의 지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지반의 변위 계측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인력 단말에는,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요구되는 자재 정보, 시공 순서 및 시공 유의사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공 안내 콘텐츠가 제공되고, 시공 안내 콘텐츠는, 시공 인력 단말의 출력 수단에서 출력 가능한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출력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센서 모듈은, 지중 경사계, 침하계, 하중계, 지하 수위계, 변형률계, 수압계 및 토압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장치는,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 데이터 수집부;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지반 데이터 조건에 대응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도록 하여, 센서 모듈로부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부; 및 모니터링부의 기능 수행 결과, 계측된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현장 관리자 단말에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보강 작업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술한 단계들은: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 데이터 수집 단계;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지반 데이터 조건에 대응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도록 하여, 센서 모듈로부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 계측된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현장 관리자 단말에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보강 작업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공 현장에 대한 과거 및 예측된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게 됨에 따라서, 지반 조사 시점 이후, 단기간에 강우량이 많아져 토압 및 수압이 증대되더라도 증대된 토압 및 수압의 측압에 저항할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공 현장에 설치된 흙막이 가시설을, 센서 모듈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원격지에서도 흙막이 가시설의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실시간으로 변위를 계측하여 현장 관리자 단말 측에 보강이 필요한 영역의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여 줌에 따라서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공 현장은 물론이고, 시공 현장에 인접한 인접 구조물의 변위 계측을 통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지반 공사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대한 시공 안내 콘텐츠를 시공 인력 단말에 제공하여, 체계적인 시공이 수행되도록 하며, 시공 유의사항을 상기 시켜 시공 인력의 시공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시공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집된 지반 데이터를 기초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선정되어 제공되는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집된 기상 데이터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이 상향 조정되는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에 설치된 센서 모듈에 의하여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모니터링 되는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장 관리자 단말에 보강 작업 정보가 제공되는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공 인력 단말에 시공 안내 콘텐츠가 제공되는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한 지반 데이터와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시공 현장에 매칭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되, 시공 현장에 대응되는 지역의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상 요소가 고려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시공 현장에 설치된 흙막이 가시설을, 센서 모듈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변위를 계측하여 현장 관리자 단말 측에 보강이 필요한 영역의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여줄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먼저,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 데이터 수집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S10 단계에서 수행되는 지반 조사는,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및 본조사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예비 조사와,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설계, 시공 및 유지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는 본 조사가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예비 조사의 조사 항목으로서, 입지 조건과 주변 조건, 지형 및 지사, 토질 및 지하수, 매설물 및 장애물, 도로 및 교통 상황 정보가 수집될 수 있으며, 본 조사의 조사 항목으로서 물리 특성, 역학 특성, 압축 특성 및 지하수 특성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조사는 하나 이상의 계측 기기로 수행될 수 있으며, S1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시공 현장 및 시공 현장 주변에 대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베이스 자료로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매칭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20 단계는 상술한 지반 데이터로부터 시공 현장에 요구되는 흙막이 가시설의 최소 내하력을 산출할 수 있는데, 상술한 최소 내하력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단순보법, 연속보법, 탄성보법, 탄소성보법 및 유한요소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최소 내하력 산출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타 시공 현장에 대한 흙막이 가시설의 설계 이력을 수집하여, 시공 현장의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이 가장 유사한 타 시공 현장에서 산출된 최소 내하력 값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상술한 S20 단계에서 선정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공법들 중 산출된 최소 내하력을 만족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 현장에는, 지반 붕괴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이 극대화된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흙막이 가시설로 인한 지반 붕괴에는 부실 시공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나, 이와 더불어 예기치 못한 우천으로 인한 강수량 증가에 의하여 토압 및 수압이 증가하면서 흙막이 가시설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상하는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어 해소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으로서 과거 기상 데이터 및 예측된 기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기상 악화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고 관련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제1 실시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기상 데이터로서 기상 관측 서버를 통해 수집된 미래의 예측된 기상 데이터를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이 7월 1일부터 8월 1일이라고 가정해볼 때, 기상 관측 서버에서 미래의 예측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 시공 기간에 우천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될 시,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시설이 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기상 데이터에 대한 제2 실시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상술한 기상 데이터는 상술한 시공 현장에 대한 과거의 누적된 기상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우천 발생 기간에 대한 기상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S20 단계의 수행 시점에서부터 과거 10년 이내의 누적된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천 발생 기간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도출하고, 이렇게 도출된 우천 발생 기간과,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의 중복 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중복 기간이 존재할 시,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가시설이 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으로서 기상 데이터를 더 고려함에 따라서,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기간 중 강수량이 늘어나 토압 및 수압이 증가하고, 지반의 물리적 상태가 변동되더라도, 이에 대하여 충분히 견뎌낼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S20 단계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S20 단계에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의 실제 설치 시공을 수행하는 시공 인력 단말에는,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요구되는 자재 정보, 시공 순서 및 시공 유의사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공 안내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대한 자재 정보로서, 에측된 자재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공 순서 및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유의 사항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시공 안내 콘텐츠는 시공 인력 단말의 출력 수단에서 출력 가능한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출력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실시 예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시공 인력의 시공 이해도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대한 타 시공 현장을 촬영한 영상 콘텐츠로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시공 인력의 시공 실수를 최소화하여 부실 시공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도록 하여 센서 모듈로부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흙막이 가시설에 설치되는 센서 모듈은, 예를 들어 지중 경사계, 침하계, 하중계, 지하 수위계, 변형률계, 수압계 및 토압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로 이해될 것이다.
일 예로써, 상술한 지중 경사계는, 흙막이 가시설의 배면의 하부 지층까지 설치하여 수평 변위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하 수위계 역시 흙막이 가시설의 배면에 설치하여 시공 현장 주변의 지하 수위 거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고, 변형률계는 지보 수단인 버팀보에 설치하여 버팀보에 작용하는 응력이 측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하계는, 흙막이 가시설의 배면 및 시공 현장과 인접한 구조물이 위치한 지반에 설치하여 지반의 침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중계, 수압계 및 토압계는, 흙막이 가시설의 벽체에 설치되어, 벽체에 인가되는 하중, 수압, 및 토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센서 모듈은,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주변 현장에 더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에 의하여 계측되는 변위 데이터를 현장 관리자 단말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S30 단계에서는 시공 현장의 지반은 물론이고 인접 구조물이 위치한 지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지반의 변위 계측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져 시공 현장과 인접 지역에 대한 안전 사고 대비를 더욱 철저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 후, 계측된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시, 현장 관리자 단말에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보강 작업 정보 제공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앞서 언급한 센서 모듈에는 센서 모듈마다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상술한 S40 단계에서는 센서 모듈로부터 계측된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에 대한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하중계에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이 +5ton이고, 실시간으로 계측된 하중이 +5.1ton일 경우, 하중 분산을 위한 흙막이 가시설의 벽체 보강 혹은 지보 수단의 보강에 대한 작업 정보를 현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보강 작업 정보는, 앞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되어 제공되는 예와 마찬가지로, 실제 보강 시공을 수행하는 시공 인력 단말에 보강 작업에 대한 시공 안내 콘텐츠를 더 제공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S40 단계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센서 모듈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변위량이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초과하거나, 최대 허용 변위량을 초과하는 것에 임박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위기 상황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현장 관리자 단말에 송출하고, 이에 대한 즉각적이 대응이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종합적으로, 상술한 S10 내지 S4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시공 현장에 대한 과거 및 예측된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게 됨에 따라서, 지반 조사 시점 이후, 단기간에 강우량이 많아져 토압 및 수압이 증대되더라도 증대된 토압 및 수압의 측압에 저항할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공 현장에 설치된 흙막이 가시설을, 센서 모듈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원격지에서도 흙막이 가시설의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실시간으로 변위를 계측하여 현장 관리자 단말 측에 보강이 필요한 영역의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여 줌에 따라서 흙막이 가시설의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공 현장은 물론이고, 시공 현장에 인접한 인접 구조물의 변위 계측을 통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지반 공사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대한 시공 안내 콘텐츠를 시공 인력 단말에 제공하여, 체계적인 시공이 수행되도록 하며, 시공 유의사항을 상기 시켜 시공 인력의 시공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시공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집된 지반 데이터를 기초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선정되어 제공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의 100을 참조하면, 수집된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기초로 한 시공 영역 지반 특성 정보(1001)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지반 특성 정보(1001)는 도시된 지반의 강도, 지하 수위, 시공 영역 면적 외에도, 지층 종류, 심도, 암석 일측 강도, 공내 재하, 공내 전단, 시추공영상 촬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지반 조사 결과에 따른 정보가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본 발명에서는 최소 내하력을 도출하고, 도출된 최소 내하력을 만족하는 공법을 선정하여 공법 매칭 결과(1002)로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의 화면 100에서의 실시 예에서는 시공 영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공법으로서, 벽체는, C.I.P(Cast In Place Pile)이, 지보 방식으로는 Strut 방식(버팀보 방식)이 선정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는, 예를 들어, 흙막이 벽체로서 H-Pile 및 흙막이판 공법, CIP 공법, SCW 공법, 지하 연속벽 공법이, 지보 수단으로서 자립공법, 역타 공법, 버팀보 공법, 앵커 공법, 소일네일링 공법, 레이커 공법에 대한 공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흙막이 벽체와, 지보 수단의 조합에 의한 각각의 최소 내하력이 산출되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앞서 시공 영역에 대하여 산출된 최소 내하력을 만족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집된 기상 데이터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이 상향 조정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3의 화면 110A 및 110B를 참조하면, 양 실시 예 모두 다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110A에서는 흙막이 가시설 설치 기간 중 우천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110B에서는 흙막이 가시설 설치 기간 중 우천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대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하였다.
이에 양 실시 예를 비교하여보면, 동일한 지반 데이터 조건을 갖는 시공 영역에 있어서, 우천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실시 예인 110A에서는 공법 매칭 결과로서, 벽체는 C.I.P, 지보 방식은 strut가 선정된 반면, 우천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시 예인 110B에서는 공법 매칭 결과로서 벽체는 강널 말뚝이, 지보 방식은 Anchor가 선정됨을 알 수 있다.
이때, 강널 말뚝과 지보 방식은 C.I.P 및 strut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자재의 단면 강성이 크고, 우수한 항복 응력 및 토압 저항력을 가진 자재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시공 현장에 대하여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기간 중의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흙막이 가시설 선정 공법의 선정 기준을 상향할지 여부를 결정함에 따라서, 지반 조사 시점 이후, 단기간에 강우량이 많아져 토압 및 수압이 증대되더라도 증대된 토압 및 수압의 측압에 저항할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기상 데이터로서 예측된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상 데이터는 과거의 누적된 기상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우천 발생 기간에 대한 기상 데이터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에 설치된 센서 모듈에 의하여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모니터링 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의 화면 140을 참조하면, 현장 관리자 단말에는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 및 흙막이 가시설과 인접하게 설치된 센서 모듈에 의하여 시공 현장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1201)와 시공 현장과 인접한 구조물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120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결과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시점을 기준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된 변위량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모니터링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모니터링 결과를 현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함에 있어서, 센서 모듈에 의해 계측된 변위량을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과 비교하여, 그 근접 정도에 따라 안전, 주의 요망, 위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더 제공하여 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장 관리자 단말에 보강 작업 정보가 제공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화면 130을 참조하면, 보강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앞서,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 혹은 흙막이 가시설과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센서 모듈에 의하여 계측된 모니터링 결과(1301)를 제공하여줄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결과(1301)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센서 모듈에서 계측된 변위량에 있어서,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초과하는 값을 가진 영역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강이 요구되는 영역에 대한 보강 작업 정보(1302)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도 5의 화면 130을 예로 들면, 모니터링 결과(1301)로서 토사 하중이 증가 함에 따라 보강 작업이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보강 작업 정보(1302)로서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영역에 중간 말뚝을 추가하는 보강 작업을 지시하여 증가한 토사 하중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센서 모듈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위를 계측하여 현장 관리자 단말 측에 보강이 필요한 영역의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여 줌에 따라서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공 인력 단말에 시공 안내 콘텐츠가 제공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도 6을 참조하면, 시공 인력 단말에는 도 6에 도시된 화면 140과 같은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에 대한 시공 안내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시공 안내 콘텐츠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140에서는 텍스트와 영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시공 안내 콘텐츠가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시공 안내 콘텐츠에는,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한 세부 정보로서 1401에 표현된 바와 같이, 시공 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공 순서와 더불어, 더욱 자세한 시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공과 관련한 타 시공 현장에서 촬영된 실제 시공 영상 데이터(1402)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시공 안내 콘텐츠에는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시공 유의사항(1403)을 더 제공하여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시공이 수행되도록 하며, 시공 유의사항을 상기 시켜 시공 인력의 시공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시공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장치(10)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10)로 구현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장치(10)는, 바람직하게 지반 데이터 수집부(11),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12), 모니터링부(13) 및, 보강 작업 정보 제공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지반 데이터 수집부(11)는,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술한 지반 데이터 수집부(11)는, 하나 이상의 지반 조사 장비(20)(계측 기기)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을 입력 받아 지반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술한 지반 데이터 수집부(11)는 앞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 현장 및 현장 주변에 대한 지반 데이터가 수집되게 됨에 따라서 후술할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12)의 베이스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12)는, 앞서 지반 데이터 수집부(11)에서 수집한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0) 상에서 매칭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12)는, 앞서 도 1에서 언급한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거 및 미래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예측된 기상 데이터를 고려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지반 조사 시점의 지반 상태만을 고려한 것이 아닌, 우천으로 인하여 토양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까지 고려하여 도출된 최소 내하력을 만족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흙막이 가시설의 부실 시공에 의한 지반 붕괴 위험성이 현저히 저감된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술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12)는, 시공 인력 단말에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대한 시공 안내 콘텐츠를 더 제공하여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모니터링부(13)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50)이 설치되도록 하여 센서 모듈(50)로부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모니터링부(13)는, 앞서 도 1에서 언급한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시공 현장과 인접한 구조물이 설치된 지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져 안전 사고에 대한 대비를 더욱 철저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보강 작업 정보 제공부(14)는, 앞서 언급한 모니터링부(13)의 기능 수행 결과, 계측된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현장 관리자 단말(40)에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보강 작업 정보 제공부(14)는, 앞서 도 1에서 언급한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의 취약 지점에 대한 보강 작업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이면서, 경제성 및 시공 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한편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에 있어서,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상기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매칭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상기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 계측된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현장 관리자 단말에 상기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되, 계측된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에 대한 보강 작업 정보 및 보강 작업의 종류로서 흙막이 가시설의 벽체 보강 또는 지보 수단의 보강에 대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보강 작업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작업 정보 제공 단계는,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 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계측된 변위량을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과 비교하여, 그 근접 정도에 따라 안전, 주의 요망, 위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상기 지반 데이터로부터, 상기 시공 현장에 요구되는 흙막이 가시설의 최소 내하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최소 내하력을 만족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선정되도록 하되, 상기 최소 내하력 산출 시, 타 시공 현장에 대한 흙막이 가시설의 설계 이력을 수집하여, 상기 시공 현장의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이 가장 유사한 타 시공 현장에서 산출된 최소 내하력 값을 이용하여 최소 내하력을 산출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상기 기상 데이터는 기상 관측 서버를 통해 수집된,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미래의 예측된 기상 데이터이고, 상기 예측된 기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에 우천이 예상되는 경우,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가시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상기 기상 데이터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과거의 누적된 기상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우천 발생 기간에 대한 기상 데이터이고, 상기 우천 발생 기간과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가시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상기 시공 현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주변 현장에 더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시공 현장의 지반 및 인접 구조물의 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의 변위 계측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인력 단말에는,
    상기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에 요구되는 자재 정보, 시공 순서 및 시공 유의 사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공 안내 콘텐츠가 제공되고,
    상기 시공 안내 콘텐츠는, 상기 시공 인력 단말의 출력 수단에서 출력 가능한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출력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지중 경사계, 침하계, 하중계, 지하 수위계, 변형률계, 수압계 및 토압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장치에 있어서,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상기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 데이터 수집부;
    상기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매칭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상기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의 기능 수행 결과, 계측된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현장 관리자 단말에 상기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되, 계측된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에 대한 보강 작업 정보 및 보강 작업의 종류로서 흙막이 가시설의 벽체 보강 또는 지보 수단의 보강에 대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보강 작업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작업 정보 제공부는,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 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계측된 변위량을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과 비교하여, 그 근접 정도에 따라 안전, 주의 요망, 위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는,
    상기 지반 데이터로부터, 상기 시공 현장에 요구되는 흙막이 가시설의 최소 내하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최소 내하력을 만족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선정되도록 하되, 상기 최소 내하력 산출 시, 타 시공 현장에 대한 흙막이 가시설의 설계 이력을 수집하여, 상기 시공 현장의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이 가장 유사한 타 시공 현장에서 산출된 최소 내하력 값을 이용하여 최소 내하력을 산출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상기 기상 데이터는 기상 관측 서버를 통해 수집된,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미래의 예측된 기상 데이터이고, 상기 예측된 기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에 우천이 예상되는 경우,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가시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부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상기 기상 데이터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과거의 누적된 기상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우천 발생 기간에 대한 기상 데이터이고, 상기 우천 발생 기간과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가시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상기 시공 현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주변 현장에 더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모니터링부의 기능 수행 시, 상기 시공 현장의 지반 및 인접 구조물의 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의 변위 계측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장치.
  9.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상기 시공 현장의 지질 특성과 관련된 지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매칭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선정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
    선정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기초로 상기 시공 현장에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 시공을 수행하되,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일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를 계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 계측된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현장 관리자 단말에 상기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되, 계측된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변위가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에 대한 보강 작업 정보 및 보강 작업의 종류로서 흙막이 가시설의 벽체 보강 또는 지보 수단의 보강에 대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보강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보강 작업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작업 정보 제공 단계는,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 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계측된 변위량을 기 설정된 최대 허용 변위량과 비교하여, 그 근접 정도에 따라 안전, 주의 요망, 위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상기 지반 데이터로부터, 상기 시공 현장에 요구되는 흙막이 가시설의 최소 내하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최소 내하력을 만족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법이 선정되도록 하되, 상기 최소 내하력 산출 시, 타 시공 현장에 대한 흙막이 가시설의 설계 이력을 수집하여, 상기 시공 현장의 지반 데이터 조건과, 건축물의 설계 조건이 가장 유사한 타 시공 현장에서 산출된 최소 내하력 값을 이용하여 최소 내하력을 산출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상기 기상 데이터는 기상 관측 서버를 통해 수집된,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미래의 예측된 기상 데이터이고, 상기 예측된 기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에 우천이 예상되는 경우,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가시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 선정 단계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상기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되,
    상기 기상 데이터는,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과거의 누적된 기상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우천 발생 기간에 대한 기상 데이터이고, 상기 우천 발생 기간과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시공 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상기 흙막이 가시설의 선정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하력을 갖는 흙막이 가시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되는 상기 시공 현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주변 현장에 더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시공 현장의 지반 및 인접 구조물의 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의 변위 계측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90076936A 2019-06-27 2019-06-27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5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36A KR102051331B1 (ko) 2019-06-27 2019-06-27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36A KR102051331B1 (ko) 2019-06-27 2019-06-27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331B1 true KR102051331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936A KR102051331B1 (ko) 2019-06-27 2019-06-27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33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045B1 (ko) * 2020-01-21 2020-07-23 임창진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가설 구조물
KR102137200B1 (ko) * 2020-02-11 2020-07-23 주식회사 유앤씨 흙막이 시공용 각형강관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2143969B1 (ko) * 2020-01-03 2020-08-12 정경한 P-cip 흙막이 벽체용 파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46372B1 (ko) * 2020-05-12 2020-08-20 (주) 코리아에스이 조립지압판 및 말뚝 횡브레이싱 구조를 가지는 멀티웨브 말뚝을 이용한 무띠장 흙막이 벽체, 이를 영구구조체로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162460B1 (ko) * 2020-03-03 2020-10-06 토우산업 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의 말뚝용 높이 연장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과 철거 방법
CN112343098A (zh) * 2020-09-25 2021-02-09 北京大成国测科技有限公司 用于围护结构顶部的水平监测***与方法
KR102244515B1 (ko) * 2020-09-29 2021-04-26 주식회사 비던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KR102260321B1 (ko) * 2020-11-02 2021-06-02 박성희 토목 시공 현장의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이를 이용한 토목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290462B1 (ko) * 2020-12-04 2021-08-13 최문학 흙막이 지보공의 시공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340766B1 (ko) * 2021-03-16 2021-12-17 미래가설산업(주)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시스템 비계 설계 데이터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25659A (ko) 2022-02-21 2023-08-2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hc 흙막이 벽체를 영구 외벽으로 이용하는 지하 외벽의 설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379A (ko) * 2008-04-08 2009-10-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지하공사의 터파기 공법 선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56138A (ko) * 2008-11-19 2010-05-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지하공사를 위한 터파기 공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32640B1 (ko) * 2010-04-30 2012-04-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KR101936121B1 (ko) * 2017-12-13 2019-04-03 지에스건설주식회사 기상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시공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379A (ko) * 2008-04-08 2009-10-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지하공사의 터파기 공법 선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56138A (ko) * 2008-11-19 2010-05-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지하공사를 위한 터파기 공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32640B1 (ko) * 2010-04-30 2012-04-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KR101936121B1 (ko) * 2017-12-13 2019-04-03 지에스건설주식회사 기상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시공관리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969B1 (ko) * 2020-01-03 2020-08-12 정경한 P-cip 흙막이 벽체용 파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37045B1 (ko) * 2020-01-21 2020-07-23 임창진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가설 구조물
KR102137200B1 (ko) * 2020-02-11 2020-07-23 주식회사 유앤씨 흙막이 시공용 각형강관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2162460B1 (ko) * 2020-03-03 2020-10-06 토우산업 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의 말뚝용 높이 연장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과 철거 방법
KR102146372B1 (ko) * 2020-05-12 2020-08-20 (주) 코리아에스이 조립지압판 및 말뚝 횡브레이싱 구조를 가지는 멀티웨브 말뚝을 이용한 무띠장 흙막이 벽체, 이를 영구구조체로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2343098B (zh) * 2020-09-25 2021-12-10 北京大成国测科技有限公司 用于围护结构顶部的水平监测***与方法
CN112343098A (zh) * 2020-09-25 2021-02-09 北京大成国测科技有限公司 用于围护结构顶部的水平监测***与方法
KR102244515B1 (ko) * 2020-09-29 2021-04-26 주식회사 비던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KR102260321B1 (ko) * 2020-11-02 2021-06-02 박성희 토목 시공 현장의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이를 이용한 토목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290462B1 (ko) * 2020-12-04 2021-08-13 최문학 흙막이 지보공의 시공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340766B1 (ko) * 2021-03-16 2021-12-17 미래가설산업(주)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시스템 비계 설계 데이터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25659A (ko) 2022-02-21 2023-08-2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hc 흙막이 벽체를 영구 외벽으로 이용하는 지하 외벽의 설계 방법
KR102667832B1 (ko) 2022-02-21 2024-05-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hc 흙막이 벽체를 영구 외벽으로 이용하는 지하 외벽의 설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331B1 (ko)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132640B1 (ko)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Hsieh et al.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deep excavations with cross walls
Tan et al. Statistical analyses on a database of deep excavations in Shanghai soft clays in China from 1995–2018
Jia et al. Study on ground settlement and structural deformation for large span subway station using a new pre-supporting system
JP2017027488A (ja) 補強土壁用簡易警報システム
Wang et al. The history of rescuing reinforcement and the preliminary study of preventive protection system for the cliff of Mogao Grottoes in Dunhuang, China
JP2014037745A (ja) 地盤基礎仕様判定方法、地盤基礎仕様判定システムおよび地盤基礎仕様判定プログラム
Yamany et al. Modelling of cast-in-place concrete tunnel liners condition
Guo et al.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geosynthetic-reinforced and pile-supported embankments
CN106547960A (zh) 一种隧道临近历史建筑物的施工方法
KR20120072984A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변위 계측장치
Li et al. Distress evaluation and remediation for a high-rise building with pile-raft foundation
Askarian et al. Design of deep urban excavations using life cycle cost in comparison with acceptable risk and conventional method
JP5405535B2 (ja) 地すべり保全管理システム及び地すべり保全管理方法
Prusov Aspects of the influence assessment of the new construction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urban territory areas in the dense building conditions
Hebiba et al. Wind-wise automated stability analysis for selection of tower crane and location
Lyman et al. Estimating System Stiffness of Soil Nailing Wall for Deep Excavation in Clay
Marr Why Monitor Performance?
KR102550072B1 (ko) 옹벽의 사고 위험을 감지하는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관제 방법
JP7129364B2 (ja) 道路復旧支援システム、道路復旧支援方法および道路復旧支援プログラム
Kelly et al. Briefing: Ciria guide C760: guidance on embedded retaining wall design
Joseph et al. Forensic Study of an Earth Retaining System Failure
KR102203678B1 (ko) 연석을 이용하여 지하 공간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Rabensteiner et al. Monitoring and integrated data management for safe urban tunne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