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028B1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028B1
KR102050028B1 KR1020190107313A KR20190107313A KR102050028B1 KR 102050028 B1 KR102050028 B1 KR 102050028B1 KR 1020190107313 A KR1020190107313 A KR 1020190107313A KR 20190107313 A KR20190107313 A KR 20190107313A KR 102050028 B1 KR102050028 B1 KR 102050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oundary wall
detection sensor
smoke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Priority to KR102019010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8Sliding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는,
천장(CE)을 관통하게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건물 통로(SR) 상측을 개폐하는 제1제연경계벽(11)과; 천장(CE)에 설치되어 제1제연경계벽(11)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경계벽구동기구(12)를 갖춘 제1제연경계기구(10)와:
수용케이스(2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과, 수용케이스(21)의 하측에 상하로 개구되는 제연벽통과홀(21b)을 갖추고서, 제1제연경계벽(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1제연경계벽(11)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수용케이스(21)와;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설치되는 받침체(22)와; 받침체(22)에 설치되는 지지체(23)와; 일단이 지지체(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수용케이스(2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권취드럼(24)과; 받침체(22)에 설치되어 제1권취드럼(24)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구(25) 및; 다수개가 절취 가능하게 이어지고, 제1권취드럼(25)에 권취되며, 제1권취드럼(25)에서 감기거나 풀려 수용케이스(21)의 제연벽통과홀(21b)을 통과하는 제2제연경계벽(26)으로 구성된 제2제연경계기구(20)와:
받침체(22)의 하측에 배치되게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설치되어, 받침체(22)로부터의 하중을 감지하여, 일정 이상의 하중 변화가 감지되면,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출력하는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2제연경계벽(26)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2권취드럼(41)과; 제2권취드럼(41)에 권취되고, 고정밴드(43)가 분리되면 제2권취드럼(41)에서 풀려 낙하하는 제3제연경계벽(42)과; 제3제연경계벽(42)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제연경계벽(42)을 고정하는 고정밴드(43) 및; 일단이 고정밴드(43)에 연결되는 당김바(44a)와, 당김바(44a)를 상방으로 당겨 고정밴드(43)가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기구(44b)를 구비한 절단기기(44)를 갖춘 제3제연경계기구(4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주변 가스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농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농도감지센서(5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방향으로 바람을 부는 송풍팬(60)과:
송풍팬(60) 하측에 설치되어, 송풍팬(60) 하방을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하는 이동체감지센서(7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타측에 설치되어,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80)과: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타측에 설치되어 건물 통로(SR) 바닥에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빔프로젝터(90)와:
가스농도감지센서(50) 설치 방향에 대응되게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제1화재감지센서(100)와:
송풍팬(60)의 후방에 위치하게 천장(CE)에 설치되어, 소방수펌프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는 소방수방출기구(120)와:
소방수펌프에서 소방수방출기구(120)로의 소방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30)와:
소방수방출기구(120) 주변에 위치하게 천장(CE)에 설치되고, 일정 파장대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화재감지센서(140)와:
수용케이스(21)에 설치되는 송신기(150)와: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경계벽구동기구(12)와 가스농도감지센서(50)를 구동하고,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농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권취구동기구(25), 절단기구(44b), 디스플레이유닛(80), 빔프로젝터(90)를 구동하고,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농도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로부터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수신하면 송풍팬(60), 이동체감지센서(70)를 구동하며 이 상태에서 이동체감지센서(70)로부터 이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권취구동기구(25)를 구동하면서 송풍팬(60)의 구동을 해제하는 한편,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의 농도감지신호 및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의 빛감지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밸브(130)를 개방하는 제어유닛(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Fire Preven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제연경계벽이 설치된다.
제연경계벽은 화재시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사람들이 다니는 통로의 상측에 사람들이 통행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화재 발생으로 연기가 발생할 시, 기준 값 이하의 연기 발생에는 통로를 일정 공간 이상 개방하고, 기준 값 이상의 연기 발생에는 통로를 완전히 폐쇄하면서 다른 방향의 대피로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기술이 없었어, 연기 발생 정도에 따라 신속한 대피로를 안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통로를 완전히 폐쇄하여 소방관이 폐쇄된 상기 통로를 이동하기 어려울 시, 소방관에 의한 신속한 화재 진압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소방관이 상기 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위험 대피 통로의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어려워,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가 확산할 시, 연기 확산 방향으로 진행하는 화염(화재)를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하여, 화염 진행을 차단할 수 없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연기 확산 및 화염 진행 상황을 외부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없어, 신속한 화재 진압이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97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기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 대피자에게 대피로를 정확하게 알려 줄 수 있고, 연기 확산을 최소화하면서 소방관이 화재 발생 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하며, 화재 발생 지역으로 소방관이 이동한 후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의 연기 확산이 계속해서 차단되도록 하고, 연기 확산 방향으로 화염이 진행할 시 이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진압할 수 있으며, 연기 및 화염 발생을 외부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CE)을 관통하게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건물 통로(SR) 상측을 개폐하는 제1제연경계벽(11)과; 천장(CE)에 설치되어 제1제연경계벽(11)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경계벽구동기구(12)를 갖춘 제1제연경계기구(10)와:
수용케이스(2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과, 수용케이스(21)의 하측에 상하로 개구되는 제연벽통과홀(21b)을 갖추고서, 제1제연경계벽(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1제연경계벽(11)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수용케이스(21)와;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설치되는 받침체(22)와; 받침체(22)에 설치되는 지지체(23)와; 일단이 지지체(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수용케이스(2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권취드럼(24)과; 받침체(22)에 설치되어 제1권취드럼(24)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구(25) 및; 다수개가 절취 가능하게 이어지고, 제1권취드럼(25)에 권취되며, 제1권취드럼(25)에서 감기거나 풀려 수용케이스(21)의 제연벽통과홀(21b)을 통과하는 제2제연경계벽(26)으로 구성된 제2제연경계기구(20)와:
받침체(22)의 하측에 배치되게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설치되어, 받침체(22)로부터의 하중을 감지하여, 일정 이상의 하중 변화가 감지되면,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출력하는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2제연경계벽(26)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2권취드럼(41)과; 제2권취드럼(41)에 권취되고, 고정밴드(43)가 분리되면 제2권취드럼(41)에서 풀려 낙하하는 제3제연경계벽(42)과; 제3제연경계벽(42)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제연경계벽(42)을 고정하는 고정밴드(43) 및; 일단이 고정밴드(43)에 연결되는 당김바(44a)와, 당김바(44a)를 상방으로 당겨 고정밴드(43)가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기구(44b)를 구비한 절단기기(44)를 갖춘 제3제연경계기구(4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주변 가스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농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농도감지센서(5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방향으로 바람을 부는 송풍팬(60)과:
송풍팬(60) 하측에 설치되어, 송풍팬(60) 하방을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하는 이동체감지센서(7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타측에 설치되어,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80)과: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타측에 설치되어 건물 통로(SR) 바닥에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빔프로젝터(90)와:
가스농도감지센서(50) 설치 방향에 대응되게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제1화재감지센서(100)와:
송풍팬(60)의 후방에 위치하게 천장(CE)에 설치되어, 소방수펌프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는 소방수방출기구(120)와:
소방수펌프에서 소방수방출기구(120)로의 소방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30)와:
소방수방출기구(120) 주변에 위치하게 천장(CE)에 설치되고, 일정 파장대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화재감지센서(140)와:
수용케이스(21)에 설치되는 송신기(150)와: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경계벽구동기구(12)와 가스농도감지센서(50)를 구동하고,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농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권취구동기구(25), 절단기구(44b), 디스플레이유닛(80), 빔프로젝터(90)를 구동하고,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농도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로부터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수신하면 송풍팬(60), 이동체감지센서(70)를 구동하며 이 상태에서 이동체감지센서(70)로부터 이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권취구동기구(25)를 구동하면서 송풍팬(60)의 구동을 해제하는 한편,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의 농도감지신호 및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의 빛감지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밸브(130)를 개방하는 제어유닛(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제1제연경계기구(10)를 통해 1차로 연기 확산을 차단함에도, 다량의 연기로 인해 연기 확산이 이루어지려 하면, 제2제연경계기구(20)를 통해 추가로 연기 확산을 차단함으로써, 연기 확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2제연경계기구(20)를 통해 연기 확산을 차단할 시, 권취구동기구(25) 설치를 위해 마련된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의해 발생하는 이격 공간을 제3제연경계기구(40)를 통해 폐쇄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연기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연경계기구(10) 및 제2제연경계기구(20)를 통해 건물 통로(SR)를 폐쇄할 시, 디스플레이유닛(80) 및 빔프로젝터(90)을 통해 대피자에게 다른 대피로를 안내함으로써, 대피자가 신속하게 다른 대피로로 이동하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대피자가 당황하여 디스플레이유닛(80)을 확인하지 못할 시, 빔프로젝터(90)에 의해 바닥에 표시된 대피로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통로(SR)가 폐쇄된 상태에서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역으로 이동하려할 시, 소방관 이동로를 확보하기 편리하다. 즉 본 발명은, 소방관이 건물 통로(SR)을 폐쇄하고 있는 가장 하단의 제2제연경계벽(26)을 당기면, 상기 제2제연경계벽(26)이 분리되면서 이동로가 확보되어 다수의 소방관이 신속하게 화재발생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2제연경계벽(26)이 분리되면, 송풍팬(60)이 연기를 화재발생지역을 향해 송풍하여, 일시적인 상기 제2제연경계벽(26)의 분리에 의해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제연경계벽(26)이 분리된 상태에서 소방관의 이동을 확인하여, 소방관의 이동이 없을 시, 분리되지 않은 제2제연경계벽(26)을 이동시켜, 상기 제2제연경계벽(26)과 제3제연경계벽(42)을 통해 다시 건물 통로(SR)을 폐쇄함으로써, 연기 확산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때 송풍팬(60)의 구동을 멈춤으로써 불필요하게 산소가 화재발생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화재감지센서(140)를 매개로 화염의 빛 파장대를 감지하여, 원거리에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이와 동시에 제1제연경계기구(10)의 후방에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염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의 확산 상태 및 화염의 확산 상태를 관리센터에 무선 송출함으로써, 외부 관리자가 화재에 대한 모니터링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제연경계벽, 제2제연경계기구, 제3제연경계기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첨부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 도면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고용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제연경계벽, 제2제연경계기구, 제3제연경계기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상에의 좌우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방향성이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는 제1제연경계기구(10)와, 제2제연경계기구(20)와, 제연경계벽분리센서(30)와, 제3제연경계기구(40)와, 가스농도감지센서(50)와, 송풍팬(60)과, 이동체감지센서(70)와, 디스플레이유닛(80)과, 빔프로젝터(90)와, 제1화재감지센서(100)와, 소화수방출기구(120)와, 밸브(130)와, 제2화재감지센서(140)와, 송신기(150) 및, 제어유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제연경계기구(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연경계벽(11)과, 제1제연경계벽구동기구(12)를 갖춘다.
상기 제1제연경계벽(11)은 천장(CE)을 관통하게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건물 통로(SR) 상측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제연경계벽(11)은 판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제연경계벽(11)은 난연 또는 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경계벽구동기구(12)는 천장(CE)에 설치되어 제1제연경계벽(11)을 상하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경계벽구동기구(12)는 볼스크류 구조로 이루어져 제1제연경계벽(11)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경계벽구동기구(12)는 제1제연경계벽(11)의 상측에 구비되는 연결대(12a)와, 연결대(12a)에 나사산 체결되는 볼트(12b) 및, 천장(CE)에 설치되어 볼트(12b)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c)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경계벽구동기구(12)는 볼스크류 방식으로 제1제연경계벽(11)을 상하 이동시키지만, 실린더 방식 등 제1제연경계벽(11)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제연경계벽구동기구(12)는 제1제연경계벽(11)을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면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제연경계기구(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케이스(21)와, 받침체(22)와, 지지체(23)와, 제1권취드럼(24)과, 권취구동기구(25) 및, 제2제연경계벽(26)을 갖춘다.
상기 수용케이스(21)는, 수용케이스(2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과, 수용케이스(21)의 하측에 상하로 개구되는 제연벽통과홀(21b)을 갖추고서, 제1제연경계벽(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1제연경계벽(11)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케이스(21)는,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지지패널(21c)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체(22)는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체(22)는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23)는 받침체(2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23)는 사각바 형상으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권취드럼(24)은, 일단이 지지체(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수용케이스(2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연벽통과홀(21b)의 상방에 위치하게 수용케이스(21)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권취구동기구(25)는, 받침체(22)에 설치되어 제1권취드럼(24)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권취구동기구(25)는 모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제연경계벽(26)은 다수개가 절취 가능하게 이어지고, 제1권취드럼(25)에 권취되며, 제1권취드럼(25)에서 감기거나 풀려 수용케이스(21)의 제연벽통과홀(21b)을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2제연경계벽(26)의 연결부에는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절취부(26a)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제연경계벽(26)은 난연 또는 불연 재질의 막 형상을 이룬다. 한편 도 1~4는 제1권취드럼(24)에 제2제연경계벽(26)이 감긴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2제연경계벽(26)의 감긴 횟수 및 절취부(26a) 갯수는 설계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체(22)의 하측에 배치되게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설치되어, 받침체(22)로부터의 하중을 감지하여, 일정 이상의 하중 변화가 감지되면,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는 하중 변화 감지를 통해 제2제연경계벽(26)의 분리를 감지하는 센서지만, 권취구동기구(25)에 설치되어 권취구동기구(25)의 구동축에 감겨진 제2제연경계벽(26)에 가해지는 외력 변화를 감지하여, 제2제연경계벽(26)의 분리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연경계벽분리센서(30)는, 제2제연경계벽(26)이 당겨져 일정 이상 외력이 발생할 시, 이를 감지하여 제2제연경계벽(26)이 분리된 것으로 인식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는 제2제연경계벽(26)의 당김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센서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3제연경계기구(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권취드럼(41)과, 제3제연경계벽(42)과, 고정밴드(43) 및, 절단기기(44)를 갖춘다.
상기 제2권취드럼(41)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2제연경계벽(26)에 이웃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권취드럼(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케이스(21)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패널(21c)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외팔보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3제연경계벽(42)은 제2권취드럼(41)에 권취되고, 고정밴드(43)가 분리되면 제2권취드럼(41)에서 풀려 낙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제연경계벽(42)의 하단에는 낙하의 용이를 위해 무게추(또는 일정 무게를 갖는 무게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3제연경계벽(42)은 난연 또는 불연 재질의 막 형상을 이룬다. 한편 도 1~4는 제2권취드럼(41)에 제3제연경계벽(42)이 감긴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3제연경계벽(42)의 감긴 횟수는 설계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3제연경계기구(4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고정밴드(43)는 제3제연경계벽(43)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제연경계벽(42)을 감아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밴드(42)는 일정 당김력에 끊어지도록 절취부가 구비되거나, 일정이상의 외력에 끊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기기(44)는, 일단이 고정밴드(43)에 연결되는 당김바(44a)와, 당김바(44a)를 상방으로 당겨 고정밴드(43)가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기구(44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당김바(44a)는 일단에 고리가 구비되어 고정밴드(4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절단기구(44b)는 솔레노이드 구동방식이거나 실린더 구동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농도감지센서(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주변 가스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농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농도감지센서(50)는 연기 또는 유독가스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가스 형태를 감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6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방향으로 바람을 분다.
상기 이동체감지센서(7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0) 하측에 설치되어, 송풍팬(60) 하방을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감지센서(70)는 송풍팬(60)의 하측에 설치되지만, 건물 통로(SR)을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으면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감지센서(70)는 초음파 감지센서가 적용되지만, 그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8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타측에 설치되어, 대피 방향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우닛(80)은 대피 방향 표시 외에도 다양한 화재 관련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9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타측에 설치되어 건물 통로(SR) 바닥에 대피 방향을 표시한다.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100)는 가스농도감지센서(50) 설치 방향에 대응되게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화재감지센서(100)는 도 1상에서 가스농도감지센서(50)가 설치된 방향의 건물 내부에 설치되되, 제1제연경계기구(10)로부터 원거리에 설치된다.
상기 소방수방출기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0)의 후방에 위치하게 천장(CE)에 설치되어,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는 소방수펌프(미도시)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소방수방출기구(120)는 스프링클러 타입으로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밸브(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수펌프에서 소방수방출기구(120)로의 소방수 공급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130)는 천장(CE)에 배치되어 소방수펌프와 소방수방출기구(12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설치된다.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수방출기구(120) 주변에 위치하게 천장(CE)에 설치되고, 일정 파장대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화재감지센서(140)는 화재로 인식되는 빛의 일정 파장대를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지만, 열을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송신기(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케이스(2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150)는 수용케이스(21)의 전측에 설치되어, 가스농도감지센서(50)의 농도감지신호 및 제2화재감지센서(140)의 빛감지신호를 무선송출한다.
상기 제어유닛(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계벽구동기구(12), 권취구동기구(25),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 절단기구(44b), 가스농도감지센서(50), 송풍팬(60), 이동체감지센서(70), 디스플레이유닛(80), 빔프로젝터(90), 제1화재감지센서(100), 밸브(130), 제2화재감지센서(140), 송신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성을 작동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110)은,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경계벽구동기구(12)와 가스농도감지센서(50)를 구동하고,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농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권취구동기구(25), 절단기구(44b), 디스플레이유닛(80), 빔프로젝터(90)를 구동하고,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농도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로부터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수신하면 송풍팬(60), 이동체감지센서(70)를 구동하며 이 상태에서 이동체감지센서(70)로부터 이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권취구동기구(25)를 구동하면서 송풍팬(60)의 구동을 해제하는 한편,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의 농도감지신호 및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의 빛감지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밸브(130)를 개방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어유닛(110)은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면, 제어유닛(110)은 제1경계벽구동기구(12)를 구동하여, 제1제연경계벽(1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한다. 이때 화재발생지역으로부터 확산하던 연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연경계벽(11)에 막혀 이동이 차단된다.
이때, 제어유닛(110)은 가스농도감지센서(50)를 구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빠른 시간내에 진압되지 못하여 건물 통로(SR) 내의 연기 농도(또는 유독가스 농도)가 계속 높아지면, 차단된 연기가 제1제연경계벽(11)을 넘어 이동하려고 한다.
이때, 가스농도감지센서(50)가 기준 값 이상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면, 제어유닛(110)에 농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유닛(110)은, 권취구동기구(25)를 구동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연경계벽(26)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절단기구(44b)를 구동하여 고정밴드(43)이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제연경계벽(42)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3제연경계벽(42)은 하단이 바닥면과 접촉한다.
이때, 제어유닛(1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유닛(90) 및 빔프로젝터(90)를 구동하여, 대피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방관이 화재발생 방향으로 향하기 위해 건물 통로(SR)을 막고 있는 제2제연경계벽(26)을 통과해야할 시, 소방관은 상기 제2제연경계벽(26)을 당겨, 상기 제2제연경계벽(26)을 또 다른 제2제연경계벽(26)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관 이동로가 확보된다.
한편, 제2제연경계벽(26)이 분리되면,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는 하중 변화를 감지하여,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제어유닛(110)에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유닛(1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0)을 구동하여(화살표 방향 참조), 일시적인 건물 통로(SR) 개방에 의해, 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차단하고, 이동체감지센서(70)를 구동한다.
이때, 이동체감지센서(70)가 이동체감지센서(70)의 하방을 이동하는 이동체(소방관)을 감지하지 못하면, 제어유닛(110)에 권취기구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권취구동기구(25)가 구동되어 제1권취드럼(24)에 감긴 제2제연경계벽(26)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연기의 확산이 다시 차된된다.
한편, 제2제연경계벽(26)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통로(SR)을 다시 폐쇄하면, 제어유닛(110)은 송풍팬(60)을 구동을 멈춰, 송풍팬(60)의 지속적인 구동에 의해 화재발생지역으로 많은 량의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화재 확산을 방지한다.
이후, 추가 소방관이 건물 통로(SR)를 이동할 시, 소방관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2제연경계벽(26)을 다시 분리하여, 이동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기만 확산하는 것이 아니라 화염 또한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을 경우, 화염이 제1제연경계기구(10)로 근접하면, 원거리의 화염 불빛을 제2화재감지센서(140)가 신속하게 감지하여, 빛감지신호를 제어유닛(110)에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유닛(110)은, 밸브(130)를 열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수펌프로부터의 소방수가 소방수방출기구(120)를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제1제연경계기구(10)의 근접 후방에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소방수가 분사되면 화염이 확산하여 제1제연경계기구(10) 근처로 접근하더라도 화염이 제1제연경계기구(10)를 넘어 확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피자가 보다 안전하게 화재 대피를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10)은,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의 농도감지신호 및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의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별도의 관리센터에 무선송출한다. 그러면 관리센터의 관리자는 연기의 확산 상태 및 화염의 확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1제연경계기구(10)를 통해 1차로 연기 확산을 차단함에도, 다량의 연기로 인해 연기 확산이 이루어지려 하면, 제2제연경계기구(20)를 통해 추가로 연기 확산을 차단함으로써, 연기 확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2제연경계기구(20)를 통해 연기 확산을 차단할 시, 권취구동기구(25) 설치를 위해 마련된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의해 발생하는 이격 공간을 제3제연경계기구(40)를 통해 폐쇄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연기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연경계기구(10) 및 제2제연경계기구(20)를 통해 건물 통로(SR)를 폐쇄할 시, 디스플레이유닛(80) 및 빔프로젝터(90)을 통해 대피자에게 다른 대피로를 안내함으로써, 대피자가 신속하게 다른 대피로로 이동하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대피자가 당황하여 디스플레이유닛(80)을 확인하지 못할 시, 빔프로젝터(90)에 의해 바닥에 표시된 대피로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통로(SR)가 폐쇄된 상태에서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역으로 이동하려할 시, 소방관 이동로를 확보하기 편리하다. 즉 본 발명은, 소방관이 건물 통로(SR)을 폐쇄하고 있는 가장 하단의 제2제연경계벽(26)을 당기면, 상기 제2제연경계벽(26)이 분리되면서 이동로가 확보되어 다수의 소방관이 신속하게 화재발생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2제연경계벽(26)이 분리되면, 송풍팬(60)이 연기를 화재발생지역을 향해 송풍하여, 일시적인 상기 제2제연경계벽(26)의 분리에 의해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제연경계벽(26)이 분리된 상태에서 소방관의 이동을 확인하여, 소방관의 이동이 없을 시, 분리되지 않은 제2제연경계벽(26)을 이동시켜, 상기 제2제연경계벽(26)과 제3제연경계벽(42)을 통해 다시 건물 통로(SR)을 폐쇄함으로써, 연기 확산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때 송풍팬(60)의 구동을 멈춤으로써 불필요하게 산소가 화재발생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화재감지센서(140)를 매개로 화염의 빛 파장대를 감지하여, 원거리에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이와 동시에 제1제연경계기구(10)의 후방에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염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의 확산 상태 및 화염의 확산 상태를 관리센터에 무선 송출함으로써, 외부 관리자가 화재에 대한 모니터링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1,2화재감지센서(100,140)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연기 확산 및 화염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제연경계벽 기능 및 소화 기능을 함으로써, 불로 인한 재난(화재 확산)을 방재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소방장치'로 정의한다.
10; 제1제연경계기구 20; 제2제연경계기구
30;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 40; 제3제연경계기구
50; 가스농도감지센서 60; 송풍팬
70; 이동체감지센서 80; 디스플레이유닛
90; 빔프로젝터 100; 제1화재감지센서
110; 제어유닛 120; 소방수방출기구
130; 밸브 140; 제2화재감지센서
150; 송신기

Claims (1)

  1. 천장(CE)을 관통하게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건물 통로(SR) 상측을 개폐하는 제1제연경계벽(11)과; 천장(CE)에 설치되어 제1제연경계벽(11)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경계벽구동기구(12)를 갖춘 제1제연경계기구(10)와:
    수용케이스(2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과, 수용케이스(21)의 하측에 상하로 개구되는 제연벽통과홀(21b)을 갖추고서, 제1제연경계벽(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1제연경계벽(11)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수용케이스(21)와;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설치되는 받침체(22)와; 받침체(22)에 설치되는 지지체(23)와; 일단이 지지체(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수용케이스(2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권취드럼(24)과; 받침체(22)에 설치되어 제1권취드럼(24)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구(25) 및; 다수개가 절취 가능하게 이어지고, 제1권취드럼(25)에 권취되며, 제1권취드럼(25)에서 감기거나 풀려 수용케이스(21)의 제연벽통과홀(21b)을 통과하는 제2제연경계벽(26)으로 구성된 제2제연경계기구(20)와:
    받침체(22)의 하측에 배치되게 권취구동기구설치공간(21a)에 설치되어, 받침체(22)로부터의 하중을 감지하여, 일정 이상의 하중 변화가 감지되면,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출력하는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2제연경계벽(26)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2권취드럼(41)과; 제2권취드럼(41)에 권취되고, 고정밴드(43)가 분리되면 제2권취드럼(41)에서 풀려 낙하하는 제3제연경계벽(42)과; 제3제연경계벽(42)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제연경계벽(42)을 고정하는 고정밴드(43) 및; 일단이 고정밴드(43)에 연결되는 당김바(44a)와, 당김바(44a)를 상방으로 당겨 고정밴드(43)가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기구(44b)를 구비한 절단기기(44)를 갖춘 제3제연경계기구(4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주변 가스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농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가스농도감지센서(5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방향으로 바람을 부는 송풍팬(60)과:
    송풍팬(60) 하측에 설치되어, 송풍팬(60) 하방을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하는 이동체감지센서(70)와: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타측에 설치되어,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80)과:
    수용케이스(21)의 외부 타측에 설치되어 건물 통로(SR) 바닥에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빔프로젝터(90)와:
    가스농도감지센서(50) 설치 방향에 대응되게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제1화재감지센서(100)와:
    송풍팬(60)의 후방에 위치하게 천장(CE)에 설치되어, 소방수펌프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는 소방수방출기구(120)와:
    소방수펌프에서 소방수방출기구(120)로의 소방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30)와:
    소방수방출기구(120) 주변에 위치하게 천장(CE)에 설치되고, 일정 파장대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화재감지센서(140)와:
    수용케이스(21)에 설치되는 송신기(150)와: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경계벽구동기구(12)와 가스농도감지센서(50)를 구동하고, 제1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농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권취구동기구(25), 절단기구(44b), 디스플레이유닛(80), 빔프로젝터(90)를 구동하고,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 농도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연경계벽분리감지센서(30)로부터 제연경계벽분리신호를 수신하면 송풍팬(60), 이동체감지센서(70)를 구동하며 이 상태에서 이동체감지센서(70)로부터 이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권취구동기구(25)를 구동하면서 송풍팬(60)의 구동을 해제하는 한편, 가스농도감지센서(50)로부터의 농도감지신호 및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의 빛감지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제2화재감지센서(140)로부터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밸브(130)를 개방하는 제어유닛(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KR1020190107313A 2019-08-30 2019-08-30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05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13A KR102050028B1 (ko) 2019-08-30 2019-08-30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13A KR102050028B1 (ko) 2019-08-30 2019-08-30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028B1 true KR102050028B1 (ko) 2019-11-28

Family

ID=6873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313A KR102050028B1 (ko) 2019-08-30 2019-08-30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02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277B1 (ko) * 2020-05-12 2020-12-09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다수의 근거리 통신망 커넥팅 전용 허브의 커넥팅 어셈블리
CN113066252A (zh) * 2021-04-01 2021-07-02 珠海一键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安全报警装置
KR102324858B1 (ko) * 2021-06-03 2021-11-11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화염 차단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소방용 차단장치
KR102324857B1 (ko) * 2021-06-02 2021-11-11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기능 탑재 소방용 제연장치
KR102347962B1 (ko) * 2021-06-08 2022-01-10 (주)케이아이기술단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2347954B1 (ko) * 2021-06-08 2022-01-10 (주)케이아이기술단 화재진압효율이 개선된 소방용 방재장치
KR102645863B1 (ko) * 2023-03-31 2024-03-11 주식회사 대웅엔지니어링 화재발생을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기기
KR102645865B1 (ko) * 2023-03-31 2024-03-12 주식회사 대웅엔지니어링 화염차단기능을 구비한 안전형 소방용 차단기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793A (ja) * 1992-08-24 1994-03-08 Toyota Motor Corp 粉体入りワイヤの製造方法
KR200363470Y1 (ko) * 2004-06-30 2004-10-01 장종복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의 화재 감지 및 대피 안내장치
KR200428521Y1 (ko) * 2006-07-26 2006-10-13 유창경 자동방화셔터 제어시스템
US20100024992A1 (en) * 2007-07-26 2010-02-04 Smoke Guard, Inc. Barrier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including vapor and/or fire barrier systems
JP2011012542A (ja) * 2010-08-26 2011-01-20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の施工方法
JP2011153454A (ja) * 2010-01-27 2011-08-11 Shinsen:Kk 防火シャッター装置
KR101679713B1 (ko)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20180053062A (ko) * 2016-11-11 2018-05-21 임성철 비상 조명등
KR101893364B1 (ko) * 2017-12-14 2018-09-04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793A (ja) * 1992-08-24 1994-03-08 Toyota Motor Corp 粉体入りワイヤの製造方法
KR200363470Y1 (ko) * 2004-06-30 2004-10-01 장종복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의 화재 감지 및 대피 안내장치
KR200428521Y1 (ko) * 2006-07-26 2006-10-13 유창경 자동방화셔터 제어시스템
US20100024992A1 (en) * 2007-07-26 2010-02-04 Smoke Guard, Inc. Barrier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including vapor and/or fire barrier systems
JP2011153454A (ja) * 2010-01-27 2011-08-11 Shinsen:Kk 防火シャッター装置
JP2011012542A (ja) * 2010-08-26 2011-01-20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の施工方法
KR101679713B1 (ko)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20180053062A (ko) * 2016-11-11 2018-05-21 임성철 비상 조명등
KR101893364B1 (ko) * 2017-12-14 2018-09-04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277B1 (ko) * 2020-05-12 2020-12-09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다수의 근거리 통신망 커넥팅 전용 허브의 커넥팅 어셈블리
CN113066252A (zh) * 2021-04-01 2021-07-02 珠海一键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安全报警装置
KR102324857B1 (ko) * 2021-06-02 2021-11-11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기능 탑재 소방용 제연장치
KR102324858B1 (ko) * 2021-06-03 2021-11-11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화염 차단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소방용 차단장치
KR102347962B1 (ko) * 2021-06-08 2022-01-10 (주)케이아이기술단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2347954B1 (ko) * 2021-06-08 2022-01-10 (주)케이아이기술단 화재진압효율이 개선된 소방용 방재장치
KR102645863B1 (ko) * 2023-03-31 2024-03-11 주식회사 대웅엔지니어링 화재발생을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기기
KR102645865B1 (ko) * 2023-03-31 2024-03-12 주식회사 대웅엔지니어링 화염차단기능을 구비한 안전형 소방용 차단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402942B1 (ko) 피난장치
KR10205003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226530B1 (ko) 소방피난유도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JP6978809B2 (ja) 火災避難室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6529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102557987B1 (ko) 스프링클러 연결형 다기능 소방방재장치
JP3914466B2 (ja) 乗物用防災設備
KR102380406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1796701B1 (ko) 터널용 내진 소화 시스템
KR101674444B1 (ko) 건축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20200044213A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KR102396887B1 (ko)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1685524B1 (ko) 건축물의 제연이 가능한 소방방재장치
KR20190128327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KR102598716B1 (ko) 차량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858010B1 (ko) 신속 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KR102438471B1 (ko) 임시 가설물이나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감시 및 소화 장치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