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205B1 -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 Google Patents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205B1
KR102047205B1 KR1020190022476A KR20190022476A KR102047205B1 KR 102047205 B1 KR102047205 B1 KR 102047205B1 KR 1020190022476 A KR1020190022476 A KR 1020190022476A KR 20190022476 A KR20190022476 A KR 20190022476A KR 102047205 B1 KR102047205 B1 KR 102047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haft
tube
fir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현
강영록
Original Assignee
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현 filed Critical 신상현
Priority to KR102019002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23P19/061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for pipes or pipe-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1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conical threads
    • F16L15/002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conical threads with more then one threaded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소화배관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소화배관 제조방법은 관의 일측 단부를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의 제1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경사 축관하는 제1 축관단계; 직관 형태의 제2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축관부의 전체 길이 중 일부 길이를 직관 축관하는 제2 축관단계; 상기 제2 축관부에 원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축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루빙 가공하는 홈가공단계; 및 상기 홈가공단계까지 완료된 2개의 관 각각의 제2 축관부의 단부를 맞대어 위치시키고, 상기 홈에 체결되는 환형의 2개 이상의 체결돌기를 갖는 관 이음매를 상기 제2 축관부에 결합하는 관 이음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METHOD OF MANUFACTURING FIRE PIPE AND FIRE PIPE}
본 발명은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 배관을 구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소단위 관들의 연결이 용이한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에는 스프링쿨러와 같은 소화설비가 설치되며, 스크링쿨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소화배관이 연결 설치된다.
예를 들어, 소화배관은 소방용수를 저장하고 있는 공급처로부터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배관 및 주배관에서 분기되어 각 층으로 분기되는 분기배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배관 및 분기배관들은 복수의 소단위 소화배관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소화배관은 소단위 소화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관 중 어느 하나의 관의 단부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축관하고, 축관된 단부를 다른 관의 내부로 삽입하고, 서로 연결된 관 대 관의 연결부분을 용접하여 소단위 소화배관들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소화배관의 연결구조에서 각각의 소단위 소화배관의 용접부분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소단위 소화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한 용접과정에 의해 소화배관의 시공 과정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관 대 관의 연결부분에서의 파손이 최소화되며, 관 대 관의 연결구조가 견고해지도록 한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배관 제조방법은 관의 일측 단부를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의 제1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경사 축관하는 제1 축관단계; 직관 형태의 제2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축관부의 전체 길이 중 일부 길이를 직관 축관하는 제2 축관단계; 상기 제2 축관부에 원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축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루빙 가공하는 홈가공단계; 및 상기 홈가공단계까지 완료된 2개의 관 각각의 제2 축관부의 단부를 맞대어 위치시키고, 상기 홈에 체결되는 환형의 2개 이상의 체결돌기를 갖는 관 이음매를 상기 제2 축관부에 결합하는 관 이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축관단계에서 직관축관용 장치가 이용되고, 상기 직관축관용 장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의 축관길이제한부; 상기 축관길이제한부의 일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의 외경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심봉의 일부분을 에워싸도록 상기 중심봉이 연결되는 상기 축관길이제한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관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축관단계에서 관이 직관 축관될 때, 상기 중심봉은 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여 전진하면서 상기 관압입부의 단부가 상기 제1 축관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축관부의 단부가 상기 관압입부의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직관 축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축관단계에서 상기 제1 축관부의 단부가 상기 관압입부의 내측으로 압입될 때 상기 제1 축관부가 열원으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배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화배관은 관의 외경으로부터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축관부, 상기 제1 축관부의 말단으로부터 직관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축관부, 및 상기 제2 축관부에 상기 제2 축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형홈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소단위 소화배관; 및 상기 각각의 소단위 소화배관의 원형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환형의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축관부 각각의 원형홈에 체결되도록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축관부들에 결합되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축관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관 이음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배관 제조방법은 관의 일측 단부를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의 제1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경사 축관하는 제1 축관단계; 직관 형태의 제2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축관부의 전체 길이 중 일부 길이를 직관 축관하는 제2 축관단계; 상기 제2 축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을 가공하는 나사산가공단계; 및 내부에 제2 나사산을 갖는 중공의 관 형태의 관 이음매의 양측에서 상기 나사산가공단계까지 완료된 2개의 관 각각의 제2 축관부를 상기 관 이음매에 나사결합하는 관 이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배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화배관은 관의 외경으로부터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축관부, 상기 제1 축관부의 말단으로부터 직관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축관부, 및 상기 제2 축관부에 상기 제2 축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나사산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소단위 소화배관; 및 상기 각각의 소단위 소화배관의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는 중공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축관부가 상기 중공관의 양측에서 나사결합되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축관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관 이음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배관에 의하면, 용접의 과정 없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소단위 소화배관을 관 이음매를 통해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용접에 의해 소단위 소화배관을 연결함에 따라 용접 부위에서의 균열 등으로 인한 소화배관의 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관 대 관의 연결부분에서의 파손이 최소화되며, 관 대 관의 연결구조가 견고해지고, 다수의 소단위 소화배관의 연결과정이 쉽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나아가 건물에 설치되는 소화 배관 전체의 시공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는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소화배관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공정 진행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공정 진행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각 층에 화재시의 소화시설을 위한 소화배관이 각 층에 연장된다. 이때, 소화배관은 공급처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 및 주배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분기배관이 각 층의 세대로 연장 및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주배관 대 주배관 또는 상기 분기배관 대 분기배관의 연결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소화배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소화배관을 개시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공정 진행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은 제1 축관단계(S110), 제2 축관단계(S120), 홈가공단계(S130) 및 관 이음단계(S140)를 포함한다.
제1 축관단계(S110)는 관의 일측 단부를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의 제1 축관부(110)가 형성되도록 경사 축관하는 단계이다.
제1 축관단계(S110)에서 경사축관용 금형틀(300)이 이용된다. 경사축관용 금형틀(300)은 일측에 테이퍼가공부(310)를 포함하며, 테이퍼가공부(310)의 단부는 밀폐되고 테이퍼가공부(310)의 반대편은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의 금형일 수 있다.
제1 축관단계(S110)에서는 이러한 경사축관용 금형틀(300)을 이용하며, 그 과정은, 관(100)의 단부를 경사축관용 금형틀(300)의 개방된 단부로 삽입한 후, 관(100)을 경사축관용 금형틀(300)의 내부로 압입하여 상기 제1 축관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축관단계(S120)는 직관 형태의 제2 축관부(120)가 형성되도록 제1 축관부(110)의 전체 길이 중 일부 길이를 직관 축관하는 단계이다.
제2 축관단계(S120)에서 직관축관용 장치(400)가 이용된다. 직관축관용 장치(40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의 축관길이제한부(410), 상기 축관길이제한부(410)의 일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중심봉(420), 및 상기 중심봉(420)의 외경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심봉(420)의 일부분을 에워싸도록 상기 중심봉(420)이 연결되는 상기 축관길이제한부(410)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관압입부(4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직관축관용 장치(400)의 축관길이제한부(410)의 다른 일면에는 직관축관용 장치(400)를 상기 중심봉(420)과의 동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모터연결축(44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축관단계(S120)에서는 이러한 직관축관용 장치(400)가 이용되며, 그 과정은, 중심봉(420)은 관(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여 전진하면서 상기 관압입부(430)의 단부가 상기 제1 축관부(110)의 외면 둘레를 가압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축관부(110)의 단부가 상기 관압입부(430)의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직관 축관된다. 이때, 직관 축관되는 길이는 상기 축관길이제한부(410)를 통해 제한되며, 직관 축관된 길이는 상기 관압입부(430)의 길이에 대응된다.
홈가공단계(S130)는 제2 축관부(120)에 원형의 홈(130)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축관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루빙 가공한다. 이때, 원형홈(130)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원형홈(130)은 하나일 수 있다.
관 이음단계(S140)에서는 관 이음매(510)가 이용된다. 관 이음매(510)는 내면에 환형의 2개 이상의 체결돌기(511, 512)를 갖는다. 일 예로, 체결돌기(511, 512)는 2개의 관(100) 각각에 형성되는 원형홈(130)에 체결되도록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체결돌기(511) 및 제2 체결돌기(5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 이음매(510)는 미리 제작되어 준비된다.
관 이음단계(S140)는 홈가공단계(S130)까지 완료된 2개의 관(100) 각각의 제2 축관부(120)의 단부를 맞대어 위치시키고, 관 이음매(510)의 내측의 각각의 체결돌기(511, 512)가 2개의 관(100) 각각의 원형홈(130)에 체결되도록 2개의 관(100) 각각의 제2 축관부(120)에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은 제2 축관단계(S120)에서 상기 제1 축관부(110)의 단부가 상기 관압입부(430)의 내측으로 압입될 때 상기 제1 축관부(110)가 열원(600)으로 가열된다. 상기 열원(600)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가스를 연료로 하는 토치일 수 있다.
제1 축관부(110)가 열원으로 가열됨에 따라 제1 축관부(110)는 어느 정도 용융된 상태가 되고, 용융된 상태에서 관압입부(430)의 내측으로 압입되므로 제2 축관부(120)의 두께는 직관축관용 장치(400)의 중심봉(420)의 외면 및 관압입부(430)의 내면 사이의 거리만큼의 두께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제2 축관부(120)를 성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화배관은 2개 이상의 소단위 소화배관(100) 및 관 이음매(510)를 포함한다.
2개 이상의 소단위 소화배관(100) 각각은, 관의 외경으로부터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축관부(110), 상기 제1 축관부(110)의 말단으로부터 직관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축관부(120), 및 상기 제2 축관부(120)에 상기 제2 축관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형홈(130)을 포함한다.
관 이음매(510)는 각각의 소단위 소화배관(100)의 원형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환형의 체결돌기(511, 51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511, 512)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축관부(120) 각각의 원형홈(130)에 체결되도록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축관부(120)들에 결합되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축관부(120)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배관은, 용접의 과정 없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소단위 소화배관(100)을 관 이음매(510)를 통해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용접에 의해 소단위 소화배관을 연결함에 따라 용접 부위에서의 균열 등으로 인한 소화배관의 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관 대 관의 연결부분에서의 파손이 최소화되며, 관 대 관의 연결구조가 견고해지고, 다수의 소단위 소화배관(100)의 연결과정이 쉽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나아가 건물에 설치되는 소화 배관 전체의 시공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는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소화배관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공정 진행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은 제1 축관단계(S210), 제2 축관단계(S220), 나사산가공단계(S230) 및 관 이음단계(S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축관단계(S210) 및 제2 축관단계(S2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의 제1 축관단계(S110) 및 제2 축관단계(S1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사산가공단계(S230)는 제1 축관단계(S210)에서 형성되는 제1 축관부(210)로부터 연장되도록 제2 축관단계(S220)에서 형성되는 제2 축관부(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230)을 가공한다.
관 이음단계(S240)에서는 관 이음매(520)가 이용된다. 관 이음매(520)는 중공의 관 형태로 구비되며, 관의 내부 양측에 제2 나사산(521)을 갖는다. 이러한 관 이음매(520)는 미리 제작되어 준비된다.
관 이음단계(S240)는 내부 양측에 제2 나사산(521)을 갖는 중공의 관 형태의 관 이음매(520)의 양측에서 상기 나사산가공단계(S230)까지 완료된 2개의 관(200) 각각의 제2 축관부(220)를 상기 관 이음매(520)에 나사결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화배관은 2개 이상의 소단위 소화배관(200) 및 관 이음매(520)를 포함한다.
소단위 소화배관(200) 각각은, 관의 외경으로부터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축관부(210), 상기 제1 축관부의 말단으로부터 직관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축관부(220), 및 상기 제2 축관부(220)에 상기 제2 축관부(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나사산(230)을 포함한다.
관 이음매(520)는 각각의 소단위 소화배관(200)의 제1 나사산(230)에 체결되는 제2 나사산(521)을 포함하는 중공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관 이음매(520)는 상기 제2 축관부(220)가 관 이음매(520)의 양측에서 나사결합되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축관부(220)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배관은, 용접의 과정 없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소단위 소화배관(200)을 관 이음매(520)를 통해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용접에 의해 소단위 소화배관을 연결함에 따라 용접 부위에서의 균열 등으로 인한 소화배관의 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관 대 관의 연결부분에서의 파손이 최소화되며, 관 대 관의 연결구조가 견고해지고, 다수의 소단위 소화배관(200)의 연결과정이 쉽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나아가 건물에 설치되는 소화 배관 전체의 시공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는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소화배관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테이퍼가공부가 형성된 경사축관용 금형틀을 이용하고, 관의 단부를 상기 경사축관용 금형틀의 개방된 단부로 삽입한 후 관을 경사축관용 금형틀의 내부로 압입하여, 관의 일측 단부를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의 제1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경사 축관하는 제1 축관단계;
    원형 또는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의 축관길이제한부, 상기 축관길이제한부의 일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의 외경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심봉의 일부분을 에워싸도록 상기 중심봉이 연결되는 상기 축관길이제한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관압입부, 상기 축관길이제한부의 다른 일면에서 돌출되어 구동모터와 연결하기 위한 모터연결축을 포함하는 직관축관용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제1 축관부는 열원으로 가열되고 중심봉은 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전진하면서 상기 관압입부의 단부가 상기 제1 축관부의 외면 둘레를 가압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축관부의 단부가 상기 관압입부의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직관 형태의 제2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축관부의 전체 길이 중 일부 길이를 직관 축관하는 제2 축관단계;
    상기 제2 축관부에 원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축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그루빙 가공하는 홈가공단계; 및
    상기 홈가공단계까지 완료된 2개의 관 각각의 제2 축관부의 단부를 맞대어 위치시키고, 상기 홈에 체결되는 환형의 2개 이상의 체결돌기를 갖는 관 이음매를 상기 제2 축관부에 결합하는 관 이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배관 제조방법.
  2. 테이퍼가공부가 형성된 경사축관용 금형틀을 이용하고, 관의 단부를 상기 경사축관용 금형틀의 개방된 단부로 삽입한 후 관을 경사축관용 금형틀의 내부로 압입하여, 관의 일측 단부를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의 제1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경사 축관하는 제1 축관단계;
    원형 또는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의 축관길이제한부, 상기 축관길이제한부의 일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의 외경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심봉의 일부분을 에워싸도록 상기 중심봉이 연결되는 상기 축관길이제한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관압입부, 상기 축관길이제한부의 다른 일면에서 돌출되어 구동모터와 연결하기 위한 모터연결축을 포함하는 직관축관용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제1 축관부는 열원으로 가열되고 중심봉은 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전진하면서 상기 관압입부의 단부가 상기 제1 축관부의 외면 둘레를 가압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축관부의 단부가 상기 관압입부의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직관 형태의 제2 축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축관부의 전체 길이 중 일부 길이를 직관 축관하는 제2 축관단계;
    상기 제2 축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을 가공하는 나사산가공단계; 및
    내부에 제2 나사산을 갖는 중공의 관 형태의 관 이음매의 양측에서 상기 나사산가공단계까지 완료된 2개의 관 각각의 제2 축관부를 상기 관 이음매에 나사결합하는 관 이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배관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22476A 2019-02-26 2019-02-26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KR102047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476A KR102047205B1 (ko) 2019-02-26 2019-02-26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476A KR102047205B1 (ko) 2019-02-26 2019-02-26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205B1 true KR102047205B1 (ko) 2019-12-02

Family

ID=6884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476A KR102047205B1 (ko) 2019-02-26 2019-02-26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2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49B1 (ko) 2019-11-20 2020-05-27 전명숙 소화 배관 제조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627942A (zh) * 2020-10-27 2021-04-09 蓝晶卡特排放技术南京有限公司 柴油颗粒捕集器的再生方法以及***
CN113523712A (zh) * 2020-04-14 2021-10-22 崔东圭 在空拉制区间形成有焊线的指向部形成方法
KR20220016543A (ko)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평림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563A (ja) * 1996-02-19 1997-09-02 Nisshin Steel Co Ltd 管端縮径ダイス及び管端縮径加工方法
JP3078055U (ja) * 2000-12-01 2001-06-22 劉 鴻恩 端部の開口を一体成型して閉塞したチューブ
KR101341838B1 (ko) * 2013-04-22 2013-12-16 김영득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KR20140004916U (ko) * 2014-07-08 2014-09-04 (주)로프트 냉매 분배관의 축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563A (ja) * 1996-02-19 1997-09-02 Nisshin Steel Co Ltd 管端縮径ダイス及び管端縮径加工方法
JP3078055U (ja) * 2000-12-01 2001-06-22 劉 鴻恩 端部の開口を一体成型して閉塞したチューブ
KR101341838B1 (ko) * 2013-04-22 2013-12-16 김영득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KR20140004916U (ko) * 2014-07-08 2014-09-04 (주)로프트 냉매 분배관의 축관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49B1 (ko) 2019-11-20 2020-05-27 전명숙 소화 배관 제조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3523712A (zh) * 2020-04-14 2021-10-22 崔东圭 在空拉制区间形成有焊线的指向部形成方法
CN113523712B (zh) * 2020-04-14 2023-10-27 崔东圭 在空拉制区间形成有焊线的指向部形成方法
KR20220016543A (ko)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평림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KR102651618B1 (ko) * 2020-08-03 2024-03-26 신용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CN112627942A (zh) * 2020-10-27 2021-04-09 蓝晶卡特排放技术南京有限公司 柴油颗粒捕集器的再生方法以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205B1 (ko)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US3415552A (en) Splicing metallic reinforcing rods with a threaded coupling sleeve
US331940A (en) Half to ralph bagaley
RU2155290C2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облицованных труб и трубы, соединенные этим способом
CN102261167A (zh) 可调型钢筋螺纹连接装置
US20060225281A1 (en) Process for forming a connector for tube and pipe fittings
US3273916A (en) Unitary flexible metallic connector
US4369911A (en) Method of making a gas-tight connection between a corrugated high quality tube and a high quality steel sleeve
CN215408503U (zh) 直连式气凝胶隔热油套管
US6527472B1 (en) Device for making detachable tube-joint
KR101837909B1 (ko) 유체 분배용 관 접속구조 및 접속방법
CN101014459A (zh) 用于焊接具有多重壁的管的加热板及其焊接方法
NO872550L (no) Skjeanordning for r, sŸrlig for varmeisolert rlednin g.
JP6414914B2 (ja) 分岐マニホールドの製造方法
CN211332021U (zh) 一种管道焊接辅助装置
CN114810756A (zh) 一种声测管的连接装置
KR102383855B1 (ko) 플렉시블 조인트
KR20110022752A (ko) 소화용 배관파이프 연결장치
CN111550630B (zh) 一种带过滤功能的冷连接分歧器及其与管道的装配方法
US5240168A (en) Method for making a composite to carbon steel joint
CN211475147U (zh) 螺旋波纹管接头
US20210048125A1 (en) Hydraulic pipe coupling structure that is formed integrally and has enhanced strength
JP7024956B2 (ja) 分岐継手、分岐施工方法、及び分岐継手の製造方法
CN214500346U (zh) 一种用于沟槽管件的快速拆接装置
RU162419U1 (ru) Секция биметаллического секционного радиа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