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627B1 -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627B1
KR102043627B1 KR1020190030476A KR20190030476A KR102043627B1 KR 102043627 B1 KR102043627 B1 KR 102043627B1 KR 1020190030476 A KR1020190030476 A KR 1020190030476A KR 20190030476 A KR20190030476 A KR 20190030476A KR 102043627 B1 KR102043627 B1 KR 10204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ble
flexible
traction cabl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맥스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스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맥스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14Separate linked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32Details of the rotating or oscillating shaft, e.g. using a flexib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내부로 삽입하여 조직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조직박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물을 우회하여 목표로 하는 지점으로 절삭헤드를 근접시키거나 최적의 각도에서 조직을 박리할 수 있도록 수술 중에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내관을 자유롭게 벤딩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조직박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외관(110)과, 전단부가 상기 외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외관의 내부로 삽입된 내관(120)과, 상기 내관의 전단에 위치한 절삭헤드(130)와, 상기 절삭헤드의 후단에 연결된 케이블(140)과, 상기 케이블의 후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150)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외관의 전단에는 상기 내관의 전단부를 감싸는 플렉시블관(170)이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관의 내부에는 상기 외관의 내부로 연장되는 견인케이블(180)이 삽입되며; 상기 플렉시블관의 내부에는 상기 견인케이블을 감싸는 탄성부재(181)가 삽입되며; 상기 견인케이블의 후단에는 상기 견인케이블을 견인하여 상기 플렉시블관을 벤딩시키는 벤딩구동부(190)가 구비된 플렉시블 조직박리기(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조직박리기{Flexible diss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인체 내부로 삽입하여 조직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조직박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물을 우회하여 목표로 하는 지점으로 절삭헤드를 근접시키거나 최적의 각도에서 조직을 박리할 수 있도록 수술 중에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내관을 자유롭게 벤딩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조직박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수술(encoscopic)은 환자의 몸에 1cm 내외의 작은 구멍을 시술하고, 상기 구멍에 내시경 카테터(encoscopic catheter)을 끼운 후, 상기 내시경 카테터를 통해 필요한 수술용 도구를 통과시켜 치료대상 부분의 치료를 수행하는 수술방법으로서, 조직박리기를 이용하여 신경외과나 정형외과에서 많이 시행된다.
이러한 조직박리기에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으며, 그 일예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841456호를 통해 개시된 조직박리기용 어셈블리가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직박리기(1)는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외관(11)과, 전단부가 상기 외관(11)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외관(11)의 내부로 삽입된 내관(12)과, 상기 내관(12)의 전단에 위치한 절삭헤드(13)와, 상기 절삭헤드(13)의 후단에 연결된 케이블(14)과, 상기 케이블(14)의 후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15)와, 상기 구동샤프트(15)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1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6)를 동작시키면 구동샤프트(15)가 회전하면서 구동샤프트(15)의 회전력이 케이블(14)을 통해 절삭헤드(13)로 전달되며, 절삭헤드(13)가 회전하면서 절삭헤드(13)와 접촉되는 조직들을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직박리기는 수술 중 박리할 이상조직이 예컨대 장애물의 뒤쪽이나 홈부 등 절삭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는 장애물을 우회하여 목표로 하는 지점으로 절삭헤드(13)를 근접시키거나 최적의 각도에서 조직을 박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술 전에 미리 내관(12)을 특정각도로 벤딩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벤딩장치를 구비한 조직박리기용 어셈블리가 국내등록특허 제1841456호를 통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조직박리기용 어셈블리는 벤딩된 내관(12)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용 후 조직박리기(10)를 분해하여 내관(12)을 새것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조직박리기(10)는 수술 이전에 내관(12)을 미리 벤딩시켜야 하므로 수술 부위까지 내관(12)을 삽입하기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신체 내부에 삽입된 내관(12)을 신체 외부로 빼내야 재벤딩이 가능하므로 변화하는 수술 도중에 신속 정확하게 대처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애물을 우회하여 목표로 하는 지점으로 절삭헤드를 근접시키거나 최적의 각도에서 조직을 박리할 수 있도록 수술 도중에 내관을 자유롭게 벤딩시키고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조직박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외관과, 전단부가 상기 외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외관의 내부로 삽입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전단에 위치한 절삭헤드와, 상기 절삭헤드의 후단에 연결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후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외관의 전단에는 상기 내관의 전단부를 감싸는 플렉시블관이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에는 상기 외관의 내부로 연장되는 견인케이블이 삽입되며,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에는 상기 견인케이블을 감싸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견인케이블의 후단에는 상기 견인케이블을 견인하여 상기 플렉시블관을 벤딩시키는 벤딩구동부가 구비된 플렉시블 조직박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은 전후방향으로 연속되게 힌지 결합된 복수의 분할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벤딩구동부는 외관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공간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케이블의 후단을 고정시키는 고정편과, 상기 공간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케이블을 고정편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견인케이블의 가이드롤러와 고정편 사이 구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회동할 때 상기 견인케이블의 가이드롤러와 고정편 사이 구간을 가압하여 상기 견인케이블에 대하여 견인력을 제공하는 가압돌기를 가진 조작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록킹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레버는 회동시 상기 록킹홈에 대하여 단계적 걸림이 이루어지는 록킹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일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판스프링은 형상기억합금편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연속되게 결합된 복수의 판스프링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판스프링은 연질의 절연튜브에 감싸져 보호되며, 상기 절연튜브의 내측으로 상기 형상기억합금편을 가열하는 전열선과, 외부의 무선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전열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렉시블 조직박리기는 외관의 전단에 돌출된 내관의 전단부를 플렉시블관이 감싸고 있고,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에 견인케이블과 탄성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견인케이블의 후단에 상기 견인케이블을 견인하여 상기 플렉시블관을 벤딩시키는 벤딩구동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술 도중에 박리할 이상조직이 예컨대 장애물의 뒤쪽이나 홈부 등 절삭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벤딩구동부를 동작시켜 플렉시블관의 벤딩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해 가면서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목표로 하는 이상조직에 절삭헤드를 최대한 근접시켜 최적의 각도에서 매우 정밀하게 절삭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수술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직박리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조직박리기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플렉시블관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벤딩구동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벤딩구동부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3의 플렉시블관이 벤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관의 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관의 단면도와 요부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박리기(100)는 외관(110)과, 상기 외관(110)에 삽입되는 내관(120)과, 상기 내관(120)의 전단에 구비되는 절삭헤드(130)와, 상기 절삭헤드(130)의 후단에 연결된 케이블(140)과, 상기 케이블(140)의 후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150)와, 상기 구동샤프트(15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도시 안됨)로 구성된다.
상기 외관(110)은 양단이 개방된 직선관으로서 인체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외관(110)은 인체에 무해함은 물론 목표로 하는 정확한 지점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중 구부러지거나 부러지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지닌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내관(120)은 전단이 외관(11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외관(110)의 내부에 수평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120)의 전단에는 절삭헤드(130)가 구비된다. 상기 내관(120)은 수술 도중에 박리할 이상조직이 예컨대 장애물의 뒤쪽이나 홈부 등 절삭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 벤딩됨으로써 목표로 하는 이상조직에 절삭헤드(130)를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도록 연성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절삭헤드(13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내관(120)의 전단에 여유있게 끼워져 결합되는데, 박리할 이상조직과의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내관(120)보다 큰 직경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절삭헤드(130)는 수평상태의 내관(120)에 대하여 벤딩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외관(1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내관(120)이 용이하게 벤딩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벤딩조작 없이도 초기에 벤딩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삭헤드(130)의 후단에는 케이블(140)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140)의 후단에는 구동샤프트(150)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샤프트(150)는 외관(110)의 후단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회전축(S)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구동모터가 동작되면 구동샤프트(150)가 회전하면서 구동샤프트(150)의 회전력이 케이블(140)을 통해 절삭헤드(130)로 전달되면서 절삭헤드(130)가 회전하게 된다. 절삭헤드(130)가 회전하면 절삭헤드(130)와 접촉되는 조직들은 박리된다. 이때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는 상기 외관(110) 및 내관(120)은 회전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외관(110)의 전단에는 상기 내관(120)의 전단부를 감싸는 플렉시블관(170)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플렉시블관(170)은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속되게 힌지 결합된 복수의 분할관(171)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관(170) 내부에는 상기 외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견인케이블(180)이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플렉시블관(170) 내부에는 상기 견인케이블(180)을 감싸는 탄성부재(181)가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181)는 상기 플렉시블관(170)이 직선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력을 제공하며, 플렉시블관(170)이 벤딩되는 경우 벤딩된 플렉시블관(170)에 대하여 원래의 직선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복귀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181)는 코일스프링이 적당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케이블(180)의 후단에는 상기 견인케이블(180)을 견인하여 상기 플렉시블관(170)을 벤딩시키는 벤딩구동부(190)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벤딩구동부(190)는 외관(110)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케이블(180)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진 하우징(191)을 구비한다.
상기 공간부 내측에는 상기 견인케이블(180)의 후단을 고정시키는 고정편(192)과, 상기 견인케이블(180)을 고정편(192)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93)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91)에는 견인케이블(180)의 가이드롤러(193)와 고정편(192)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관통공(19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벤딩구동부(190)는 상기 견인케이블(180)에 대하여 견인력을 제공하는 조작레버(195)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레버(195)는 상기 하우징(191)에 삽입 결합된 회전축(S)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191)의 외측에 설치되는 몸체부(195a)와, 상기 관통공(194)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195a)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95a)가 회동할 때 상기 견인케이블(180)의 가이드롤러(193)와 고정편(192) 사이 구간을 가압하여 상기 견인케이블(180)에 대하여 견인력을 제공하는 가압돌기(195b)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91)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록킹홈(191a)들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레버(195)의 몸체부(195a)에 회동시 상기 록킹홈(191a)에 대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195c)가 구비되면, 조작레버(195)의 회동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플렉시블관(170)을 단계적으로 벤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벤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플렉시블관(170) 내부에는 상기 견인케이블(180)의 반대측에 보조탄성부재(182)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182)는 벤딩된 플렉시블관(170)에 대하여 원래의 직선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복귀력을 배가시켜 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81) 및 보조탄성부재(182)는 코일스프링이 적당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렉시블 조직박리기(100)는 조작레버(195)를 하향 회전시키면 조작레버(195)의 몸체부(195a)가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가압돌기(195b)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아래로 이동한 가압돌기(195b)가 견인케이블(180)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견인케이블(180)은 외관(11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케이블(180)의 전단에 고정된 플렉시블관(170)을 일측으로 견인하면서 플렉시블관(170)은 일측으로 벤딩된다. 이때, 플렉시블관(170)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181) 및 보조탄성부재(182)는 탄성 변형되며 이후 사용자가 조작레버(195)를 상향 회전시키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플렉시블관(170)을 직선 상태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수술 도중에 박리할 이상조직이 예컨대 장애물의 뒤쪽이나 홈부 등 절삭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 조작레버(195)를 이용하여 플렉시블관(170)의 벤딩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해 가면서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목표로 하는 이상조직에 절삭헤드(130)를 최대한 근접시켜 최적의 각도에서 매우 정밀하게 절삭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수술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91)의 외측에 록킹홈(191a)들이 형성되고, 조작레버(195)의 몸체부(195a)에 록킹홈(191a)이 형성된 경우에는 플렉시블관(170)을 단계적으로 벤딩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벤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사용이 보장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플렉시블관(170) 내부에는 상기 견인케이블(180)을 감싸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진 판스프링(181a)이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181a)은 단면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수술 도중 플렉시블관(170)이 의도하지 않게 반대방향(F)으로 벤딩되는 사고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181a)의 특성상, 플렉시블관(170)이 의도하지 않게 반대방향(F)으로 벤딩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원위치로 복귀되기 힘들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관(170) 내부에는 형상기억합금(183a)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연속되게 결합되며 상기 견인케이블(180)을 감싸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진 복수의 판스프링편(183b)들로 구성된 판스프링(183)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판스프링(183a)은 연질의 절연튜브(184)에 감싸져 보호되며, 상기 절연튜브(184)의 내측으로 상기 형상기억합금(183a)을 가열하는 전열선(185)과, 외부의 무선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전열선(185)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시 안됨)를 구비한다.
따라서, 수술 도중 플렉시블관(170)이 의도하지 않게 반대방향(F)으로 벤딩되면 플렉시블관(170)을 따라 판스프링(183)과 함께 형상기억합금(183a)도 함께 벤딩되는데, 이때 전원공급부를 동작시켜 전열선(185)을 가열시키면 형상기억합금(183a)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판스프링(183)에 복귀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수술 도중 플렉시블관(170)이 의도하지 않게 반대방향(F)으로 벤딩되더라도 매우 신속하고 확실하게 플렉시블관(170)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확대도와 같이,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181)가 적용 시에는 상기 탄성부재(181)에 미리 인장력이 걸리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분할관(171)들 사이 위치마다 탄성부재(181)에 야광 소재의 식별색부(188)를 적용하여 탄성부재(181)의 인장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식별색부(188)가 위치 이동을 하여 분할관(171)들 사이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181)의 불량 유무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110; 외관
120; 내관 130; 절삭헤드
140; 케이블 150; 구동샤프트
170; 플렉시블관 171; 분할관
180; 견인케이블 181; 탄성부재
190; 벤딩구동부 191; 하우징
192; 고정편 193; 가이드롤러
194; 관통공 195; 조작레버
195a; 몸체부 195b; 가압돌기

Claims (3)

  1.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외관과, 전단부가 상기 외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외관의 내부로 삽입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전단에 위치한 절삭헤드와, 상기 절삭헤드의 후단에 연결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후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외관의 전단에는 상기 내관의 전단부를 감싸는 플렉시블관이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관의 내부에는 상기 외관의 내부로 연장되는 견인케이블이 삽입되며; 상기 플렉시블관의 내부에는 상기 견인케이블을 감싸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견인케이블의 후단에는 상기 견인케이블을 견인하여 상기 플렉시블관을 벤딩시키는 벤딩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벤딩구동부는, 외관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진 하우징; 상기 공간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케이블의 후단을 고정시키는 고정편; 상기 공간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케이블을 고정편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견인케이블의 가이드롤러와 고정편 사이 구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회동할 때 상기 견인케이블의 가이드롤러와 고정편 사이 구간을 가압하여 상기 견인케이블에 대하여 견인력을 제공하는 가압돌기를 가진 조작레버;
    를 구비한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은 전후방향으로 연속되게 힌지 결합된 복수의 분할관들을 구비한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3. 삭제
KR1020190030476A 2019-03-18 2019-03-18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KR102043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76A KR102043627B1 (ko) 2019-03-18 2019-03-18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76A KR102043627B1 (ko) 2019-03-18 2019-03-18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234A Division KR20200111087A (ko) 2019-07-03 2019-07-03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627B1 true KR102043627B1 (ko) 2019-11-12

Family

ID=6857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476A KR102043627B1 (ko) 2019-03-18 2019-03-18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6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093A (ja) * 2004-10-05 2006-04-20 Mizuho Co Ltd 医療用処置具
KR20090039163A (ko) * 2007-10-17 2009-04-22 국립암센터 소구경 복강경 수술기구
JP2011156269A (ja) * 2010-02-03 2011-08-1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
WO2013108486A1 (ja) * 2012-01-16 2013-07-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US20150066033A1 (en) * 2005-12-20 2015-03-05 CroJo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ic procedures
KR101841456B1 (ko) * 2017-07-05 2018-03-23 김창영 조직박리용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093A (ja) * 2004-10-05 2006-04-20 Mizuho Co Ltd 医療用処置具
US20150066033A1 (en) * 2005-12-20 2015-03-05 CroJo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ic procedures
KR20090039163A (ko) * 2007-10-17 2009-04-22 국립암센터 소구경 복강경 수술기구
JP2011156269A (ja) * 2010-02-03 2011-08-1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
WO2013108486A1 (ja) * 2012-01-16 2013-07-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KR101841456B1 (ko) * 2017-07-05 2018-03-23 김창영 조직박리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5079B1 (en) Polypectomy snare instrument
US9078684B2 (en) Methods for two-piece end-effectors of robotic surgical tools
EP1248570B1 (en) Polypectomy snare instrument
US10136909B2 (en) Magnetic introducer systems and methods
JP6234267B2 (ja) 手術用マニピュレータ操作装置および手術用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JP5290658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4282554B2 (ja) 内視鏡用処置具システム
JP2000000207A (ja) 内視鏡用処置具挿抜装置
KR102043627B1 (ko)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KR20200111087A (ko)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EP2401952B1 (en) Endoscope apparatus
KR20170135532A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US9974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sheath onto the distal end of a surgical shaft instrument
WO2019163086A1 (ja) 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WO2014156244A1 (ja) 医療器具及び医療システム
JP4643250B2 (ja) 手術用処置具
JP7442253B2 (ja) 内視鏡用電気焼灼処置具
WO2015159719A1 (ja) 内視鏡
JP4271088B2 (ja) 内視鏡処置システム
CA3171215A1 (en) Laceration system and device, and methods for laceration
JPH11155872A (ja) 外科用の組織切除回転刃と、これを用いた外科用の組織切除器
JP2012196374A (ja) 高周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