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331B1 - 금속 이온 배터리 - Google Patents

금속 이온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331B1
KR102043331B1 KR1020170060869A KR20170060869A KR102043331B1 KR 102043331 B1 KR102043331 B1 KR 102043331B1 KR 1020170060869 A KR1020170060869 A KR 1020170060869A KR 20170060869 A KR20170060869 A KR 20170060869A KR 102043331 B1 KR102043331 B1 KR 10204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ion battery
metal ion
graphite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631A (ko
Inventor
치앙 치엔-치
린 춘-카이
첸 쿠앙-야오
우 춘-씽
Original Assignee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5140794A external-priority patent/TWI606630B/zh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17012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3Liquid materials, e.g. for Li-SOCl2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In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45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이온 배터리를 제공한다. 금속 이온 배터리는 양극, Cu, Fe, Zn, Co, In, Ni, Sn, Cr, La, Y, Ti, Mn, 또는 Mo인 금속 또는 상기 금속의 합금인 음극, 세퍼레이터, 양극은 세퍼레이터에 의해 음극으로부터 분리되고,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전해질은 이온성 액체 및 알루미늄 할라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 이온 배터리{METAL-ION BATTERY}
이 기술 분야는 금속 이온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금속이고,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전자 장치는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전기 화학적 충/방전 반응 동안 3개의 전자 전달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기반 산화 환원 쌍은 비교적 높은 저장 용량을 제공한다. 또한, 반응성과 가연성이 낮기 때문에 이러한 알루미늄 이온 배터리는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건부 금속-이온 배터리(conditional metal-ion batteries)는 낮은 방전 전압(discharge voltage), 낮은 저장 용량 및 불명확한 방전 전압 평형(discharge voltage plateaus)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신규 배터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금속 이온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금속 이온 배터리는 양극; Fe, Zn, Co, In, Ni, Sn, Cr, La, Y, Ti, Mn 또는 Mo인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인 음극; 세퍼레이터, 양극은 세퍼레이터에 의해 음극으로부터 분리되고;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전해질은 이온성 액체, 알루미늄 할라이드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서 주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온 배터리의 개략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따른 금속 이온 배터리의 충방전시 시간에 따른 전압의 그래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이들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 및 장치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은 금속 이온 배터리를 제공한다. 금속 이온 배터리는 양극; Cu, Fe, Zn, Co, In, Ni, Sn, Cr, La, Y, Ti, Mn 또는 Mo인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인 음극; 세퍼레이터, 양극은 세퍼레이터에 의해 음극으로부터 분리되고;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전해질은 이온성 액체, 알루미늄 할라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극은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이며, 음극의 금속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없다. 음극의 금속 및 전해질의 할라이드 음이온은 금속 할라이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할라이드는 루이스 산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이온 배터리의 충방전시, 음극으로부터 용해된 금속은 전해질과 반응하여 할로메탈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고, 전해질의 알루미늄 할라이드는 이온성 액체와 반응하여 할로알루미네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 시스템은 가역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할로메탈레이트는 할로알루미네이트의 이온 크기보다 더 작은 이온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할로알루미네이트는 활성 물질(예를 들어 그라파이트)에 삽입되거나 할로알루미네이트를 활성 물질에 삽입하여 금속 이온 배터리의 전체 용량을 증가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온 배터리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이온 배터리(100)는 양극(10), 음극(12) 및 세퍼레이터(14)를 포함할 수 있고, 세퍼레이터(14)는 양극(10)과 음극(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14)는 양극(10)과 음극(12)의 전기적 단락을 완화할 수 있다. 금속 이온 배터리(100)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 되고 양극(10) 및 음극(12)과 접촉하는 금속 이온 배터리(100) 내의 전해질(20)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이온 배터리(100)는 일차 배터리일 뿐만 아니라 재충전가능한 이차 배터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10)은 전류 집전층(current-collecting layer)(11) 및 전류 집전층(11)에 배치된 활성 물질(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집전층(11)은 카본 클로스(cloth), 카본 펠트, 또는 카본 페이퍼와 같은 전도성 카본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카본 기판은 약 1mΩcm2 내지 6mΩcm2의 시트 저항 및 65wt% 초과의 카본 함량을 가질 수 있다. 활성 물질(13)은 적층된 활성층 또는 적층된 활성층의 응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물질(13)은 그라파이트(천연 그라파이트, 인공 그라파이트, 메소페이즈 카본 마이크로비즈, 열분해 그라파이트, 발포 그라파이트, 플레이크 그라파이트, 또는 팽창 그라파이트를 포함), 그래핀, 카본 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삽입된 카본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물질(13)은 적층된 이중 수산화물, 적층된 산화물, 적층된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활성층(13)은 약 0.05 내지 0.95, 예를 들어 약 0.3 내지 0.9의 공극률(porosity)을 가질 수 있다. 활성 물질(13)은 전류 집전층(11) 에서 직접(즉, 활성층과 전류 집전층 사이에 다른 층 없이) 성장할 수 있다. 또한, 활성 물질(13)은 접착제를 통해 전류 집전층(11)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퍼레이터(14)의 재료는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목재 섬유, 폴리에테르설폰(PES), 세라믹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극(12)은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일 수 있고, 음극의 금속 및 전해질의 할라이드 음이온은 금속 할라이드를 형성할 수 있고, 금속 할라이드는 루이스 산이다. 따라서 전해질 시스템은 가역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M)은 Cu, Fe, Zn, Co, In, Ni, Sn, Cr, La, Y, Ti, Mn 또는 Mo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극(12)이 금속(M)의 합금일 때, 금속(M)을 함유하는 합금은 알루미늄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극(12)은 전류 집전층(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극(12)은 전류 집전층 및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전류 집전층에 배치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은 전류 집전층(11)에 직접(즉, 금속과 전류 집전층 사이에 다른 층 없이, 또는 금속의 합금과 전류 집전층 사이에 다른 층 없이) 성장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은 접착제를 통해 전류 집전층(11)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M)은 금속 이온 배터리의 음극의 부식을 개선하기 위해 알루미늄의 전위보다 낮은 전위를 갖는 금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20)은 이온성 액체, 알루미늄 할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100 ℃ 미만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성 액체는 실온 이온성 액체(RTI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성 액체는 우레아(urea), N-메틸우레아(N-methylurea), 콜린 클로라이드(choline chloride), 에틸콜린 클로라이드(ethylchlorine chloride), 알칼리 할라이드(alkali halide), 디메틸 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메틸술포닐메탄(methylsulfonylmethane), 알킬이미다졸륨 염(alkylimidazolium salt), 알킬피리디늄 염(alkylpyridinium salt), 알킬플루오로피라졸륨 염(alkylfluoro-pyrazolium salt), 알킬트리아졸륨 염(alkyltriazolium salt), 아랄킬암모늄염(aralkylammonium salt), 알킬알콕시암모늄 염(alkylalkoxyammonium salt), 아랄킬포스포늄 염(aralkylphosphonium salt), 아랄킬술포늄 염(aralkylsulfonium salt)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할라이드의 이온성 액체에 대한 몰비는 적어도 약 1.1 또는 적어도 약 1.2, 예를 들어 약 1.1 내지 2.1, 약 1.1, 약 1.3, 약 1.5, 약 1.6 또는 약 1.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루미늄 할라이드가 알루미늄 염화물이고 이온성 액체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일 경우, 알루미늄 염화물의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에 대한 몰비는 적어도 약 1.2, 예를 들어 약 1.2 내지 1.8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은 전기 전도성을 증가시키고 점도를 낮추기위한 도펀트 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전해질은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어 금속의 가역 전착을 촉진시키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20)은 알루미늄 할라이드가 아닌 다른 금속(M2) 할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금속(M2)은 Cu, Fe, Zn, Co, In, Ni, Sn, Cr, La, Y, Ti, Mn, Mo,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금속(M2) 할라이드는 금속 불화물, 금속 염화물, 금속 브롬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금속 할라이드는 루이스 산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성 액체는 금속 이온 배터리의 충방전 시 할라이드 이온을 갖는 염일 수 있고, 알루미늄 할라이드 및 이온성 액체는 할로알루미네이트, 예를 들어 클로로알루미네이트[AlCl4]-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이온 배터리가 충방전된 후에, 음극의 금속은 전해질과 반응하여 할로메탈레이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극의 금속은 Cu, Fe, Zn, Co, In, Ni, Sn, Cr, La, Y, Ti, Mn 또는 Mo를 포함하며, 알루미늄 할라이드는 알루미늄 염화물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속 이온 배터리의 충방전 후에 클로라이드메탈레이트(MCl(x+1) -,x는 1 내지 4의 정수, 예를 들어, CuCl2 -, CuCl3 -, FeCl3 -, FeCl4 -, MnCl3 -, MnCl4 -, LaCl4 -, YCl4 -, MoCl4 -, ZnCl3 -, NiCl3 -, CoCl3 -, CoCl4 -, CrCl3 -, 또는 CrCl4-,……)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클로라이드메탈레이트는 활성 물질(예를 들어, 그라파이트)에 삽입되거나, 또는 클로로알루미네이트를 활성 물질에 삽입시켜 금속 이온 배터리의 방전 전압 및 전체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여기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잘 알려진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 번호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제 1 실시예:
구리 전극은 구리 호일(두께 0.025mm)을 절단하여 얻었다. 다음으로, 세퍼레이터(Whatman GFA 사의 2 층)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전류 집전 기판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전극(전류 집전 기판은 카본 섬유 페이퍼이고, 활성층은 60.5mg의 팽창 그라파이트)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구리 전극(음극으로서 작용), 세퍼레이터 및 그라파이트 전극(양극으로서 작용)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알루미늄 플라스틱 파우치 내에 밀봉하였다. 이어서, AlCl3의 [EMIm]Cl에 대한 몰비가 약 1.4 : 1인 알루미늄 염화물(AlCl3)/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EMIm]Cl)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알루미늄 플라스틱 파우치에 주입하여 플라스틱 금속 이온 배터리(1)를 얻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예의 금속 이온 배터리(1)를 NEWARE 배터리 분석기로 약 100mA/g의 전류 밀도로 충전(약 2.45V까지)하고 방전(약 1V까지)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금속 이온 배터리(1)의 최대 비 용량(specific capacity)은 약 95.8 mAh/g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금속 이온 배터리(1)의 충방전시 시간에 따른 전압의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V 내지 2.45V의 범위에서 다수의 충전 플랫폼(charging platforms)이 관찰되었고, 또한 2.3V 내지 2.45V에서 상당한 충전 플랫폼이 관찰되었고, 2.0V 내지 2.1V 및 1.8V 내지 1.9V에서 일부의 충전 플랫폼이 관찰되었다.
또한, 금속 이온 배터리(1)는 약 500mA/g의 전류 밀도에서 충방전되고, 금속 이온 배터리(1)의 비 용량은 약 87.43mAh/g이다. 음극으로 구리를 사용하면, 충방전 후에 구리(Ⅱ) 클로라이드(CuCl3 -) 및 제 1 구리(I) 클로라이드(ICl3)의 이온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어, 금속 이온 배터리의 비 용량이 향상한다.
제 2 실시예:
니켈 전극은 니켈 호일(두께 0.03mm)을 절단하여 얻었다. 다음으로, 세퍼레이터(Whatman GFA 사의 2 층)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전류 집전층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전극(전류 집전 기판은 카본 섬유 페이퍼이고, 활성층은 72mg의 팽창 그라파이트)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니켈 전극(음극으로서 작용), 세퍼레이터 및 그라파이트 전극(양극으로서 작용)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알루미늄 플라스틱 파우치 내에 밀봉하였다. 이어서, AlCl3 대 [EMIm]Cl의 몰비가 약 1.4 : 1인 알루미늄 염화물(AlCl3)/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EMIm]Cl)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알루미늄 플라스틱 파우치에 주입하여 플라스틱 금속 이온 배터리(2)를 얻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예의 금속 이온 배터리(2)를 NEWARE 배터리 분석기로 약 100 mA/g의 전류 밀도로 충전(약 2.45V까지)하고 방전(약 1V까지)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이온 배터리(2)의 최대 비 용량은 약 88mAh/g이고, 1.5V 내지 2.45V 범위에서 다수의 충전 플랫폼이 관찰되며, 2.3V 내지 2.45V에서 상당한 충전 플랫폼이 관찰되었고, 2.0V 내지 2.1V, 1.8V 내지 1.9V, 2.3V 내지 2.0V 및 1.8V 내지 1.5V 에서 일부의 충전 플랫폼이 관찰되었다.
금속 이온 배터리(2)의 충방전 사이클을 여러 차례 수행한 후에, 니켈 전극(음극으로서 작용)의 관통 또는 파손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전해질로서 알루미늄 염화물/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를 갖는 음극으로서 니켈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음극의 부식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스테인리스강 호일(두께 0.1mm, Nippon Steel, YUS190, 철 및 크롬 조성)을 절단하여 스테인리스강 전극을 얻었다. 다음으로, 세퍼레이터(Whatman GFA 사의 2 층)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전류 집전층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전극(전류 집전 기판은 카본 섬유 페이퍼이고, 활성층은 45mg의 팽창 그라파이트)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스테인리스강 전극(음극으로서 작용), 세퍼레이터 및 그라파이트 전극(양극으로서 작용)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알루미늄 플라스틱 파우치 내에 밀봉하였다. 이어서, AlCl3 대 [EMIm]Cl의 몰비가 약 1.4 : 1인 알루미늄 염화물(AlCl3)/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EMIm]Cl)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알루미늄 플라스틱 파우치에 주입하여 플라스틱 금속 이온 배터리(3)를 얻었다.
다음으로, 제 3 실시예의 금속 이온 배터리(3)를 NEWARE 배터리 분석기로 약 100 mA/g의 전류 밀도로 충전(약 2.45V까지)하고 방전(약 1V까지)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이온 배터리(3)의 최대 비 용량은 약 95.8mAh/g이고, 1.5V 내지 2.45V 범위에서 다수의 충전 플랫폼이 관찰되며, 2.3V 내지 2.45V에서 상당한 충전 플랫폼이 관찰되었고, 2.0V 내지 2.2V 및 2.3V 내지 1.5V 에서 일부의 충전 플랫폼이 관찰되었다. 음극으로 스테인레스강(철과 크롬의 조성)을 사용하면, 충방전 후에 염화 크롬(II)(CrCl3 -) 및 염화철(II)(FeCl3 -)의 이온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어, 금속 이온 배터리의 비 용량이 증가된다.
제 1 비교예:
알루미늄 호일(두께 0.025mm)을 절단하여 알루미늄 전극을 얻었다. 다음으로, 세퍼레이터(Whatman GFA 사의 2 층)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전류 집전층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전극(전류 집전 기판은 카본 섬유 페이퍼이고, 활성층은 57mg의 팽창 그라파이트)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전극(음극으로서 작용), 세퍼레이터 및 그라파이트 전극(양극으로서 작용)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알루미늄 플라스틱 파우치 내에 밀봉하였다. 다음으로, AlCl3 대 [EMIm]Cl의 몰비가 약 1.4 : 1인 알루미늄 염화물(AlCl3)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EMIm]Cl)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알루미늄 플라스틱 파우치에 주입하여 금속 이온 배터리(4)를 얻는다.
다음으로, 제 1 비교예의 금속 이온 배터리(4)를 NEWARE 배터리 분석 장치로 약 100mA/g의 전류 밀도로 충전(약 2.45V까지)하고 방전(약 1.5V까지)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금속 이온 배터리(4)의 최대 비 용량은 약 80.7mAh/g이다.
제 1 비교예와 비교하여, 제 1 및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극으로 비 알루미늄 전극을 사용한 금속 이온 배터리에서는 충방전으로 음극이 전해질과 반응하여 클로로알루미네이트 [AlCl4]-보다 이온 크기가 작은 클로라이드메탈레이트(MCl(x+1) -)를 형성할 수 있어서 그래파이트로 삽입하거나 콜로알루를 그래파이트로 삽입시키는 것을 쉽게하여 금속 이온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음극으로 니켈을 사용한 금속 이온 배터리는 니켈 전극이 금속 이온 배터리(20)의 충방전 후에도 부식이 없기 때문에, 니켈 전극은 금속 이온 배터리의 전체 용량이 증가시키고 금속 이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개시된 방법들 및 재료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만들어질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6)

  1. 금속 이온 배터리로서,
    전류 집전층(current-collecting layer) 및 적층된 활성층 또는 상기 적층된 활성층의 응집체인 활성 물질로 구성된 양극,
    Cu, Fe, Zn, Co, In, Ni, Sn, Cr, La, Y, Ti, Mn, 또는 Mo인 금속 또는 상기 금속의 합금인 음극;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은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음극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전해질은 이온성 액체 및 알루미늄 할라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이온 배터리는, 상기 금속 이온 배터리의 충전 동안의 충전 플랫폼(charging platforms) 및 상기 금속 이온 배터리의 방전 동안의 방전 플랫폼(discharging platforms)을 나타내는, 금속 이온 배터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층(current-collecting layer)은 전도성 카본 기판인 금속 이온 배터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 기판은 카본 클로스(cloth), 카본 펠트, 또는 카본 페이퍼인 금속 이온 배터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은 그라파이트, 카본 나노튜브, 그래핀,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금속 이온 배터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는 천연 그라파이트, 인공 그라파이트, 메소페이즈 카본 마이크로비즈, 열분해 그라파이트, 발포 그라파이트, 플레이크 그라파이트, 팽창 그라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금속 이온 배터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알루미늄 할라이드가 아닌 금속 할라이드를 더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배터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할라이드는 금속 불화물, 금속 염화물, 금속 브롬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배터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할라이드는 루이스 산인 금속 이온 배터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할라이드는 알루미늄 불화물, 알루미늄 염화물, 또는 알루미늄 브롬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배터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우레아(urea), N-메틸우레아(N-methylurea), 콜린 클로라이드(choline chloride), 에틸콜린 클로라이드(ethylchlorine chloride), 알칼리 할라이드(alkali halide), 디메틸 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메틸술포닐메탄(methylsulfonylmethane), 알킬이미다졸륨 염(alkylimidazolium salt), 알킬피리디늄 염(alkylpyridinium salt), 알킬플루오로피라졸륨 염(alkylfluoro-pyrazolium salt), 알킬트리아졸륨 염(alkyltriazolium salt), 아랄킬암모늄염(aralkylammonium salt), 알킬알콕시암모늄 염(alkylalkoxyammonium salt), 아랄킬포스포늄 염(aralkylphosphonium salt), 아랄킬술포늄 염(aralkylsulfonium salt),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배터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인 금속 이온 배터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할라이드는 상기 금속 이온 배터리의 충방전 후에, 이온성 액체와 반응하여 할로알루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금속 이온 배터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의 금속은 상기 금속 이온 배터리의 충방전 후에, 상기 전해질과 반응하여 할로메탈레이트를 형성하는 금속 이온 배터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메탈레이트의 음이온의 이온 크기는 상기 할로알루미네이트의 음이온의 이온 크기 보다 작은 금속 이온 배터리.
  16. 삭제
KR1020170060869A 2016-05-17 2017-05-17 금속 이온 배터리 KR102043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7629P 2016-05-17 2016-05-17
US62/337,629 2016-05-17
TW105140794A TWI606630B (zh) 2016-05-17 2016-12-09 金屬離子電池
TW105140794 201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631A KR20170129631A (ko) 2017-11-27
KR102043331B1 true KR102043331B1 (ko) 2019-11-11

Family

ID=6033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869A KR102043331B1 (ko) 2016-05-17 2017-05-17 금속 이온 배터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8663B2 (ko)
JP (1) JP6621442B2 (ko)
KR (1) KR102043331B1 (ko)
CN (1) CN107394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2289B (zh) * 2017-12-22 2022-03-1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电解质组合物及包含其的金属离子电池
CN111224163B (zh) 2018-11-27 2022-02-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电解质组合物及包含其的金属离子电池
US11283110B2 (en) 2018-12-27 2022-03-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lyte composition and metal-ion battery employing the same
CN111384360B (zh) * 2018-12-27 2022-02-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金属离子电池
CN112820932A (zh) * 2021-03-01 2021-05-18 南京大学 一种铜空气熔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CN112952213B (zh) * 2021-03-26 2022-07-08 李国新 一种铜储能电池生产工艺
CN112928343B (zh) * 2021-04-15 2022-04-29 燕山大学 一种适用于大规模储能应用的水系铜离子电池
CN115133109B (zh) * 2022-06-17 2023-05-12 苏州大学 一种水系铜离子电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49261A1 (en) * 2014-02-28 2015-09-03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Ultra-fast rechargeable metal-ion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072A (en) * 1983-11-30 1984-07-31 Allied Corporation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room-temperature molten 1,2,3-trialkylimidazolium halide non-aqueous electrolyte
JPH0195469A (ja) * 1987-10-06 1989-04-13 Nobuyuki Koura 二次電池用非水系電解液
JPH0240868A (ja) * 1988-07-29 1990-02-09 Tosoh Corp 二次電池
US5474861A (en) 1993-01-14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H09120816A (ja) * 1995-10-26 1997-05-06 Sony Corp アルミニウム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217290B2 (ja) 1998-02-19 2009-01-28 Fdk株式会社 負極にアルミニウムを用いた非水電解液電池
CN1197183C (zh) 2000-03-01 2005-04-13 东芝株式会社 铝电池
GB0413960D0 (en) * 2004-06-22 2004-07-28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US20100316914A1 (en) 2009-06-14 2010-12-16 Correia Pedro Manuel Brito Da Silva Rechargeable battery with aluminium anode containing a non aqueous electrolyte consisting of an ether as solvent and a lithium salt of an imide
CN101645500B (zh) 2009-09-08 2011-10-26 无锡欧力达新能源电力科技有限公司 碳基嵌渗硫材料的制备和以此为正极活性材料的铝二次电池
CN101662020B (zh) 2009-09-24 2011-03-23 无锡欧力达新能源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二次铝电池及其正极活性材料的制备
CN101794907B (zh) 2009-11-20 2012-09-19 无锡欧力达新能源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铝聚合物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CN101764254B (zh) 2009-11-20 2011-12-28 无锡欧力达新能源电力科技有限公司 二次铝电池及其正极的制备方法
CN101764256B (zh) 2009-11-20 2013-06-19 无锡欧力达新能源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可再充铝电池及其制备方法
US20120082904A1 (en) 2010-09-30 2012-04-05 Brown Gilbert M High energy density aluminum battery
US9466853B2 (en) 2010-09-30 2016-10-11 Ut-Battelle, Llc High energy density aluminum battery
US8859143B2 (en) 2011-01-03 2014-10-14 Nanotek Instruments, Inc. Partially and fully surface-enabled metal ion-exchanging energy storage devices
JP4843106B2 (ja) * 2011-01-24 2011-12-21 独立行政法人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イオン液体を用いたウランの回収方法
WO2013049097A1 (en) 2011-09-26 2013-04-04 Cornell University Aluminum ion battery including metal sulfide or monocrystalline vanadium oxide cathode and ionic liquid based electrolyte
JP5681753B2 (ja) 2012-12-07 2015-03-1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負極材料、負極活物質、負極およびアルカリ金属イオン電池
JP6195236B2 (ja) 2013-05-13 2017-09-13 学校法人 関西大学 アルミニウム二次電池
CN103254664A (zh) 2013-05-14 2013-08-21 四川大学 一种二氧化钒包覆云母的智能控温型粉体的制备方法
CN104023526B (zh) * 2014-03-24 2016-01-13 金仕生物科技(常熟)有限公司 一种处理生物材料的方法及经该方法处理的生物材料
CN103825045A (zh) 2014-03-26 2014-05-28 北京科技大学 一种铝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CN103915611A (zh) 2014-04-08 2014-07-09 童东革 一种水系铝离子电池阳极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5224283A (ja) * 2014-05-27 2015-12-14 広栄化学工業株式会社 再生セルロースの洗浄方法
US9601801B2 (en) 2014-07-18 2017-03-21 Uchicago Argonne, Llc Electrolytes comprising metal amide and metal chlorides for multivalent battery
KR101708463B1 (ko) * 2014-07-25 2017-03-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그네슘 전지용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83835B (zh) 2014-08-22 2015-09-23 南京中储新能源有限公司 一种铝碳气凝胶复合材料及以此为负极的二次铝电池
CN104201350A (zh) 2014-08-22 2014-12-10 南京中储新能源有限公司 基于石墨烯气凝胶/硫复合材料的二次电池
CN104241596A (zh) 2014-08-22 2014-12-24 北京科技大学 一种可充电铝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CN104393290B (zh) 2014-10-29 2016-08-24 北京科技大学 一种采用MoS2为正极材料的铝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CN104701541A (zh) 2015-01-06 2015-06-10 北京科技大学 一种ws2做正极的铝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CN104810544A (zh) 2015-04-20 2015-07-29 北京科技大学 一种可充电铝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CN104868179B (zh) 2015-05-13 2017-11-17 北京科技大学 一种可充放电铝离子熔盐电池及其制备方法
CN104993130A (zh) 2015-05-25 2015-10-21 石嘴山市天和创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非水溶液铝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CN104952629B (zh) 2015-06-08 2019-05-10 深圳博磊达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铝电容电池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49261A1 (en) * 2014-02-28 2015-09-03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Ultra-fast rechargeable metal-ion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08340A (ja) 2017-11-24
US20170338514A1 (en) 2017-11-23
CN107394260A (zh) 2017-11-24
US10418663B2 (en) 2019-09-17
JP6621442B2 (ja) 2019-12-18
CN107394260B (zh) 2020-06-09
KR20170129631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331B1 (ko) 금속 이온 배터리
Liu et al. Electrolyte strategies toward better zinc-ion batteries
EP3246980B1 (en) Metal-ion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1557058B (zh) 固体电解质材料和电池
RU2686477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аккумулятор
TWI463720B (zh) 鈉離子為主之水相電解質電化學二次能源儲存裝置
RU2569328C2 (ru) Перезаряжаемый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US20060088767A1 (en) Battery with molten salt electrolyte and high voltage positive active material
WO2013069597A1 (ja) ナトリウム電池用の負極活物質、負極及びナトリウム電池
JP2011210694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TWI606630B (zh) 金屬離子電池
DE102019115873A1 (de) Schutzbeschichtungen für lithiummetallelektroden
CN103782423A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的正极活性物质及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5892490B2 (ja) 硫黄系二次電池
WO2014170979A1 (ja) 溶融塩電解液を使用するナトリウム二次電池用の負極活物質、負極及び溶融塩電解液を使用するナトリウム二次電池
CN112889120B (zh) 锂离子传导性固体电解质材料和使用它的电池
JPH1186905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WO2013035527A1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180366763A1 (en) Energy storage system
JP419928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7751464A (zh) 正极材料、使用该正极材料的电池以及电池的充电方法
CN112840413B (zh) 固体电解质材料和使用它的电池
CN116868404A (zh) 具有基于磺酰胺的电解质的超高电压可充电电池
JP2007141860A (ja) 非水電解質電池
JP2013211170A (ja) 蓄電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