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149B1 -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149B1
KR102042149B1 KR1020130091121A KR20130091121A KR102042149B1 KR 102042149 B1 KR102042149 B1 KR 102042149B1 KR 1020130091121 A KR1020130091121 A KR 1020130091121A KR 20130091121 A KR20130091121 A KR 20130091121A KR 102042149 B1 KR102042149 B1 KR 10204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onding portion
bonding
flexi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268A (ko
Inventor
안태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1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렉서블 패널의 벤딩에 의해 발생된 힘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패드부에 본딩되어 있는 구동부 및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픽셀들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 및 패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 상기 패드부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패드부의 끝단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픽셀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구동부가 본딩되어 있는 본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얇은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 상에 화소셀이 구현되어 종이처럼 접거나 말아도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에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렉서블 플라즈마 표시장치(flexible plasma display device),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플렉서블 전기 영동 표시장치(flexibl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또는 플렉서블 전자습윤 표시장치(flexible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들 중에서, 특히,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1ms 이하의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자체 발광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플렉서블 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평면 및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테블릿PC 정도의 중소형 단말기로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패널(10), 상기 플렉서블 패널에 본딩되는 구동부(40) 및 외부시스템과 상기 구동부(40)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플렉서블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50)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은 대향 합착된 하부기판 및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특히, 플렉서블 유기발광패널이 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얇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기판은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진 표시 영역(A),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는 비표시 영역(B)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어느 한 곳에 마련된 패드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A)에는, 상기 픽셀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고,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픽셀 전극이 상기 픽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기판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얇고 투명한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기판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기판은, 상기 하부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 합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하부 기판 중 상기 패드부(C)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향 합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은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이 합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략적으로, 상기 표시 영역(A)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기 상부 기판이며, 상기 표시 영역(A)과 상기 비표시 영역(B) 및 상기 패드부(C)를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하부 기판이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이 플렉서블 유기발광패널인 경우,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은 편광필름, 베리어필름(Barrier Film), 인캡(Encap), 유기발광소자(OLED), 박막트랜지스터(TFT), 하부기판(PI) 및 백플레이트(Back Plate) 등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플렉서블 유기발광패널의 두께는 대략 500㎛ 전후로 제작된다.
다음,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하부 기판의 상기 패드부(C)에 본딩되어 상기 표시 영역(A)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에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구동부(40)는 집적회로(IC)로 형성된 후, 이방성 도전 필름(ACF) 등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부(C)에 본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40)는 칩온글래스(COF: Cip On Glass) 형태로 상기 패드부(C)에 본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은,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타이밍 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상기 구동부(4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돤돕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과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 사이에 삽입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패널(10) 중 상기 패드부(C)에 본딩된다.
즉,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 및 상기 구동부(40)와, 상기 플렉서블 패널(10)과의 전기적인 접촉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 및 상기 구동부(4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은 곡면을 유지하려고 하나,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에 본딩(Bonding)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 및 상기 구동부(40)는 평면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충된 균형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50)의 끝단 영역에서 가장 크게 일어난다. 이러한 힘의 불균형에 의해, 본딩되어 있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의 양쪽 끝단(D)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의 상기 패드부(C)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과 상기 구동부(40) 사이에서는,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은, 상기 구동부(40)에도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구동부(40)와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 사이 및 상기 구동부(40)와 상기 픽셀들 사이에서는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제조 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불량이 발견된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불량으로 분리된다.
또한, 제조 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 현상이 발생되지는 않더라도,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일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지속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벤딩(Bending) 과정이 발생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기 위한 것으로서, 플렉서블 패널의 벤딩에 의해 발생된 힘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패드부에 본딩되어 있는 구동부 및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픽셀들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 및 패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 상기 패드부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패드부의 끝단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픽셀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구동부가 본딩되어 있는 본딩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픽셀들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과, 패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부를 절단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픽셀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구동부가 본딩되어 있는 본딩부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패널의 벤딩에 의해 발생된 힘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패드부에 본딩되어 있는 구동부 및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평면 및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E방향에서 플렉서블 패널(100)을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111)들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A)과, 상기 표시 영역(A)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112, 113, 114)과, 상기 표시 영역(A) 외곽에 형성되는 패드부(15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100), 상기 패드부(150)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픽셀(111)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00) 및 상기 패드부(150)의 끝단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400)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구동부(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400)는 집적회로(IC)로 형성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ACF)(600) 등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부(150)에 본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40)는 칩온글래스(COF: Cip On Glass) 형태로 상기 패드부(150)에 본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형성 공정 중에 상기 패드부(15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표시 영역(A)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에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밍 컨트롤러,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GCS, DCS)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영상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DCS)는 소스 쉬프트 클럭(SSC), 소스 스타트 펄스(SSP), 극성 제어신호(POL)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GCS)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성 형태에 따라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스타트신호(VST) 및 게이트클럭(GCL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라인에 스캔신호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라인분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즉,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감마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데이터라인들로 출력시킨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를 소스 쉬프트 클럭(Source Shift Clock; S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샘플링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소스 쉬프트 클럭(SSC)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화소 데이터(RGB)(영상 데이터)를 샘플링 신호에 따라 래치하여, 데이터 전압으로 변경한 후, 상기 소스 출력 인에이블(Source Output Enable; SOE) 신호에 응답하여 수평 라인 단위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쉬프트 레지스터부, 래치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출력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어온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순차적으로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갖는 스캔신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게이트 온 전압(Von)의 스캔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공급한다.
즉,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세 가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은,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타이밍 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상기 구동부(4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과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 사이에 삽입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600)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 중 상기 패드부(150)에 본딩된다.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에는, 상기 외부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다양한 타이밍신호들을, 상기 구동부(40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 및 상기 구동부(400)와,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과의 전기적인 접촉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은 벤딩(Bending)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패널이 될 수 있다. 특히,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플렉서블 표시장치 중에서,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패널인 것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은 대향 합착된 제1기판(140)과 제2기판(110), 상기 제1기판(140)의 하면에 형성된 백 플레이트(back plate) 및 상기 제2기판(110)의 상면에 부착되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첫째, 상기 제1기판(140)은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메탈 포일(metal 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판(140)은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의 상기 제1기판(140)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NB(polynorborneen),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apthanate) 및 PES(polyethersulfone)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40)의 상기 표시 영역(A)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복수의 픽셀(111)들이 형성되어 있다.
둘째, 상기 제2기판(11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기판(14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기판(110)은 상기 제1기판(140)의 비표시 영역에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 합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기판(140)과 대향 합착된다.
상기 합착 부재는 상기 제1기판(140) 및 상기 제2기판(120)을 대향 합착시킴과 아울러, 외부의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상기 제1기판(140)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140) 및 상기 제2기판(11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즉, 상기 제2기판(110)은 상기 제1기판(140)을 밀봉시키는 봉지기판(인캡)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제1기판(14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판(140)의 저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기판(140)의 상기 표시 영역(A)에서 방출되는 광이 상기 제1기판(140)의 하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판(140)은 유리기판과 같은 메인기판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화소 구동 회로를 형성하는 공정을 거치며, 상기 제2 기판(110)과 합착된 후, 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기판에 부착되어 있던 상기 제1기판(140)의 저면에는 접착물질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물질들에 의해 이물질이 쉽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기판과 분리된 상기 제1기판(140)의 저면에는 상기 백 플레이트가 부착된다. 상기 백 플레이트는 플라스틱과 같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넷째,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 및/또는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등의 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기판(110)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섯째, 상기 표시 영역(A)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미도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미도시),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들(미도시), 복수의 픽셀들(미도시) 및 복수의 캐소드 전원 라인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각각과 교차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또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각각과 나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픽셀(111)들 각각은 교차하는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스캔신호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픽셀(111)들은, 화이트(W) 픽셀, 레드(R) 픽셀, 그린(G) 픽셀 및 블루(B)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셀(111)들의 배치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픽셀(111)들은, 각각 고유한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도 있으나, 백색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패널(100)에는, 화이트(W) 컬러, 레드(R) 컬러, 그린(G) 컬러 및 블루(B) 컬러를 출력하기 위한 컬러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픽셀(111)들 각각은, 도 2의 확대된 원(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데이터 라인(DL)과 게이트 라인(GL)에 접속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T1, T2)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은 제1전원(VDD)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은 제2전원(VSS)에 접속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2트랜지스터(T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되어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상기 픽셀(111)에 형성되어 있는 각종 회로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픽셀(111)에는 제1전원(VDD)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된 제2트랜지스터(T2)(구동트랜지스터), 상기 제2트랜지스터(T2)와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상기 게이트 라인(GL) 사이에 접속된 제1트랜지스터(T1)(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a-Si TFT(thin film transistor), poly-Si TFT, Oxide TFT, Organic TFT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셀(111)에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2)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상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비표시 영역(112, 113, 114)은 상기 표시 영역(A)을 감싸도록 상기 표시 영역(A)의 외곽에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2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 합착 부재(미도시)가 도포되며, 상기 합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제2기판(110)과 상기 제1기판(140)이 합착된다.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 중 상기 합착 부재의 안쪽이 상기 표시 영역(A)에 대응되며, 상기 합착 부재의 외곽이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된다.
일곱째, 상기 패드부(150)는, 상기 비표시 영역과 동일하게, 상기 표시 영역(A)의 외곽에 형성된다. 즉, 상기 패드부(150)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하나이다.
상기 패드부(150)에는 상기 픽셀(111)들로 상기 스캔신호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구동부(400)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ACF) 등을 이용해 본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150)에는, 상기 외부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다양한 타이밍신호들을, 상기 구동부(40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500)이 이방성 도전 필름(ACF) 등을 이용해 본딩되어 있다.
즉, 상기 패드부(150) 중 상기 표시 영역(A)과 인접되어 있는 영역에는 상기 구동부(400)가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부(150)의 외곽에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이 본딩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이 본딩되어 있는 상기 패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00)와 상기 픽셀(111)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410)이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120) 및 상기 링크부(120)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 및 상기 구동부(400)가 본딩되어 있는 본딩부(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링크부(120)에는 상기 구동부(400)와 상기 픽셀(111)들을 연결하는 배선(41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딩부(130)에는 상기 구동부(400)와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이 본딩되어 있다.
상기 본딩부(130)와 상기 링크부(120)는 상기 제1기판(14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본딩부(130)의 외곽을 상기 제1기판(140)으로부터 절단시키는 공정에 의해, 상기 링크부(12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본딩부(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기판(140) 중, 상기 본딩부(130)가 형성되는 영역의 외곽을 일부 절단시킴으로써, 상기 본딩부(130)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모서리(131)가, 상기 본딩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131)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우측 모서리(121)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절단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모서리(131)와, 상기 링크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121)가 서로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본딩부(130)의 외곽이 절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 모서리는, 상기 본딩부의 상기 좌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좌측 모서리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단될 수도 있으며, 서로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절단될 수도 있다.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의 우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60)에는 제1절단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부(120)를 포함하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도 2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 상기 벤딩에 의해 발생된 힘이 상기 링크부(120)를 통해 상기 본딩부(130)에 직접적으로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160)에는 상기 제1절단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단부(1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히, 상기 본딩부(130)의 상기 우측 모서리(13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절단부(150)는 상기 본딩부(130)의 상기 우측 모서리(131)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의 좌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에는 제2절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단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절단부(150)와 같이,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절단부는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 모서리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은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드부(150)에 본딩되어 있다.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벤딩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400) 또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패드부(1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드부(150)는, 상기 링크부(120) 및 상기 본딩부(130)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벤딩되는 경우, 상기 링크부(120)로 인가되는 힘이 상기 본딩부(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드부(150)가 상기 링크부(12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본딩부(130)와 상기 링크부(1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60)에는 절단부(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부(150)는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또는 좌측 모서리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111)들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A)과, 상기 표시 영역(A)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112, 113, 114)과, 상기 표시 영역(A) 외곽에 형성되는 패드부(15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100), 상기 패드부(150)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픽셀(111)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00) 및 상기 패드부(150)의 끝단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400)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중,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또는 간단히 설명된다.
즉,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상기 패드부(150)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들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상기 패드부(150)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된다.
첫째, 상기 패드부(150)는, 상기 비표시 영역과 동일하게, 상기 표시 영역(A)의 외곽에 형성된다. 즉, 상기 패드부(150)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하나이다.
상기 패드부(150)에는 상기 픽셀(111)들로 상기 스캔신호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구동부(400)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ACF) 등을 이용해 본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150)에는, 상기 외부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다양한 타이밍신호들을, 상기 구동부(40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500)이 이방성 도전 필름(ACF) 등을 이용해 본딩되어 있다.
즉, 상기 패드부(150) 중 상기 표시 영역(A)과 인접되어 있는 영역에는 상기 구동부(400)가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부(150)의 외곽에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이 본딩되어 있다.
둘째,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이 본딩되어 있는 상기 패드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00)와 상기 픽셀(111)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410)이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120) 및 상기 링크부(120)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 및 상기 구동부(400)가 본딩되어 있는 본딩부(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링크부(120)에는 상기 구동부(400)와 상기 픽셀(111)들을 연결하는 배선(41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딩부(130)에는 상기 구동부(400)와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이 본딩되어 있다.
상기 본딩부(130)와 상기 링크부(120)는 상기 제1기판(14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본딩부(130)의 외곽을 상기 제1기판(140)으로부터 절단시키는 공정에 의해, 상기 링크부(12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본딩부(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기판(140) 중, 상기 본딩부(130)가 형성되는 영역의 외곽을 일부 절단시킴으로써, 상기 본딩부(130)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모서리(131)가, 상기 본딩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131)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우측 모서리(121)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절단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모서리(131)와, 상기 링크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121)가 서로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본딩부(130)의 외곽이 절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 모서리는, 상기 본딩부의 상기 좌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좌측 모서리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단될 수도 있으며, 서로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절단될 수도 있다.
셋째,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의 우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60)에는 제1홀(17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부(120)를 포함하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도 4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 상기 벤딩에 의해 발생된 힘이 상기 링크부(120)를 통해 상기 본딩부(130)에 직접적으로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160)에는 상기 제1홀(17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홀(170)에 의해 상기 링크부(120)와 상기 본딩부(130)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벤딩에 의해 상기 링크부(120)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본딩부(13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제1홀(170)은, 원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홀(170)은,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모서리(131)와, 상기 본딩부(130)의 상기 우측 모서리(131)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120)의 우측 모서리(121)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의 좌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에는 제2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홀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홀(170)과 같이,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 모서리와, 상기 본딩부(130)의 상기 좌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120)의 좌측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은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드부(150)에 본딩되어 있다.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벤딩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400) 또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패드부(1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드부(150)는, 상기 링크부(120) 및 상기 본딩부(130)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벤딩되는 경우, 상기 링크부(120)로 인가되는 힘이 상기 본딩부(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드부(150)가 상기 링크부(12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본딩부(130)와 상기 링크부(1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60)에는 홀(1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170)은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또는 좌측 모서리와, 상기 링크부(120)의 우측 또는 좌측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픽셀(111)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표시 영역(A)과, 상기 표시 영역(A)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112, 113, 114)과, 상기 패드부(150)를 포함하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제조된다.
다음, 상기 패드부(150)를 절단하여, 상기 구동부(400)와 상기 픽셀(111)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410)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120), 및 상기 링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500)과 상기 구동부(400)가 본딩되어 있는 상기 본딩부(130)로 분리시킨다.
여기서, 상기 본딩부(130)와 상기 링크부(120)의 분리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제조된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제조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1기판 상에 상기 표시 영역(A)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이 형성된 후,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이 합착되면, 상기 제1기판 중 상기 패드부(150)에 대응되는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본딩부(130)와 상기 링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딩부(130)와 상기 링크부(120)가 분리되어 있는 제1기판 상에 상기 표시 영역(A)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이 형성된 후,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이 합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의 우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60)에,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모서리(13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절단부(15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의 좌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에,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절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의 우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60)에, 상기 본딩부(130)의 우측 모서리(131)와, 상기 본딩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131)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120)의 우측 모서리(121)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 형태의 제1홀(17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의 좌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에, 상기 본딩부(130)의 좌측 모서리와, 상기 본딩부(130)의 상기 좌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120)의 좌측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 형태의 제2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패널의 패드부에 본딩(Bonding)되어 있는 구동부 및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이 벤딩(Bending)될 때, 상기 패드부로부터 분리되는 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플렉서블 패널의 양쪽 사이드(Side)가 벤딩될 경우, 칩온글래스(COG) 타입의 상기 구동부, 및 이방성 도전필름(ACF)에 의해 상기 패드부에 본딩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쪽으로, 상기 벤딩에 의해 발생되는 힘이 집중되어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패드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벤딩에 의해 발생되는 힘이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에 형성되는 상기 패드부(150)를, 상기 링크부(120)와 상기 본딩부(130)로 분리시키고 있으며, 상기 링크부(120)와 상기 본딩부(130)가 연결부(16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60)에는 상기 절단부(150)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홀(170)이 형성되므로서, 상기 링크부(120)로 작용된 벤딩 힘이, 상기 본딩부(13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플렉서블 패널 150 : 패드부
120 : 링크부 130 : 본딩부
160 : 연결부 150 : 절단부
170 : 홀 400 : 구동부
500 :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600 : 이방성 도전 필름(ACF)
112, 113, 114 : 비표시 영역 A : 표시 영역

Claims (10)

  1. 픽셀들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 및 패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
    상기 패드부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패드부의 끝단에 본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픽셀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구동부가 본딩되어 있는 본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딩부의 우측 모서리는, 상기 본딩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우측 모서리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본딩부의 좌측 모서리는, 상기 본딩부의 상기 좌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좌측 모서리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우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에는 제1절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딩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좌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에는 제2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부는, 상기 본딩부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절단부는, 상기 본딩부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우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에는 제1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딩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좌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에는 제2홀이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은, 상기 본딩부의 우측모서리와, 상기 본딩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우측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이며,
    상기 제2홀은, 상기 본딩부의 좌측 모서리와, 상기 본딩부의 상기 좌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좌측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삭제
  8. 픽셀들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과, 패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부를 절단하여, 상기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픽셀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구동부가 본딩되어 있는 본딩부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딩부의 우측 모서리는, 상기 본딩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우측 모서리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본딩부의 좌측 모서리는, 상기 본딩부의 상기 좌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좌측 모서리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우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에, 상기 본딩부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절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본딩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좌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에, 상기 본딩부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절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우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에, 상기 본딩부의 우측모서리와, 상기 본딩부의 상기 우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우측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 형태의 제1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본딩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좌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에, 상기 본딩부의 좌측 모서리와, 상기 본딩부의 상기 좌측 모서리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링크부의 좌측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 형태의 제2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130091121A 2013-07-31 2013-07-31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4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121A KR102042149B1 (ko) 2013-07-31 2013-07-31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121A KR102042149B1 (ko) 2013-07-31 2013-07-31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268A KR20150015268A (ko) 2015-02-10
KR102042149B1 true KR102042149B1 (ko) 2019-11-07

Family

ID=5257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121A KR102042149B1 (ko) 2013-07-31 2013-07-31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046B1 (ko) 2015-11-04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403234B1 (ko) 2016-06-20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7370B1 (ko) * 2017-12-28 2023-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4245568A (zh) * 2022-01-04 2022-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电路板、显示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027A (ko) * 2006-08-23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탭 패키지 및 탭 패키지 리워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268A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25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3732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display device
US10276117B2 (en) Gate line driving circuit, circuit for outputting an emission control signal, and display device
KR10203411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169169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00938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3565B1 (ko) 표시장치
US9559128B2 (en) Pa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4067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931248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90339B1 (ko) 표시 장치
KR10204214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04492B1 (ko) 액정표시장치
US9711538B2 (en) Display device
KR102132864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8823891B2 (en) Bi-stable chiral splay nematic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11406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146459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160074270A (ko) 레벨 쉬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430969B2 (e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for AMOLED pixel circuit
KR102211065B1 (ko) 표시장치
KR20140081482A (ko) 플렉서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5148A (ko) 표시장치
KR102662960B1 (ko) 면적이 감소된 연성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71220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