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23B1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23B1
KR102041923B1 KR1020180013937A KR20180013937A KR102041923B1 KR 102041923 B1 KR102041923 B1 KR 102041923B1 KR 1020180013937 A KR1020180013937 A KR 1020180013937A KR 20180013937 A KR20180013937 A KR 20180013937A KR 102041923 B1 KR102041923 B1 KR 10204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pattern
patterns
electrode patterns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4609A (en
Inventor
여흥수
Original Assignee
여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622261&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419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여흥수 filed Critical 여흥수
Priority to KR102018001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2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n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면에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양전극 구조체 및 음전극 구조체가 이격되어 격자 무늬를 갖도록 헤드부 후면에 배치되는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toothbrush for generating a fine current, the head portion of the head bristles are implanted in the front, the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spaced apart to have a lattice pattern on the rear of the head portion Provided is a toothbrush comprising an electrode structure disposed.

Description

칫솔{Toothbrush}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oothbrushes and, in particular, to toothbrushes that produce microcurrents.

미세 전류는 1000 ㎂ 미만의 전류를 말하고 인체 내에 40~60 ㎂에 해당하는 생체 전류가 인체 내부의 각 기관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흐르고 있다.The microcurrent refers to a current of less than 1000 mA and the biocurrent corresponding to 40 ~ 60 mA in the human body flows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organs inside the human body.

일반적으로 신체의 상태가 불안정해지면 인체 내에 흐르는 생체 전류가 약해진다. 약해진 생체 전류의 보완을 위하여 외부에서 인체 내로 강제적으로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신체 능력의 회복을 돕는 다양한 치료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In general, when the state of the body becomes unstable, the bioelectric current flowing in the human body is weaken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weakened biocurrent, various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restore the body's ability by forcibly flowing a microcurrent from the outside into the human body.

예를 들어, 미세 전류는 아데노신3인산 생성 증가, 골절치유 촉진, 혈액순환 개선, 통증완화, 당뇨치료, 골다공증 치료, 관절염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For example, microcurrent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adenosine triphosphate production, promoting fracture healing, improving blood circulation, pain relief, diabetes treatment, osteoporosis treatment, and arthritis treatment.

미세 전류를 인체에 강제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되는 알려진 다른 효과로 탈모 예방이 있다. 구체적을, 두피에 미세 전류가 흘러 두피 세포가 자극이 되면 모낭 세포를 자극하여 두피의 혈액 순환이 개선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두피에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탈모가 예방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nother known effect caused by forcing a microcurrent to flow through the human body is the prevention of hair loss. Specifically, when a microcurrent flows to the scalp to stimulate the scalp cells,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scalp may be improved by stimulating the hair follicle cells. Due to this, nutritional supply to the scalp is reported that hair loss can be prevented.

한편, 구강은 소화 기관의 시발점인 입 다음에 연속되는 소화기의 하나로서, 혀, 이 및 그 밖의 많은 소화선 등으로 이루어지며, 구강 전체의 내벽에는 혈관 및 신경 등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oral cavity is one of the continuous digestive organs after the mouth,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gestive organ, is composed of the tongue, teeth, and many other digestive gland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many blood vessels and nerves are distributed in the inner wall of the entire oral cavity.

또한, 구강 안쪽은 대화와 음식물 저작으로 인해서 마찰되는 과정에서 타액과 점액이 치아의 표면 혹은 점막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건강한 사람의 구강에는 구강 고유 박테리아와 병원 박테리아 등과 같은 박테리아가 어느 정도 기생하고 있으나 대개는 병을 일으키지 못하는 균이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generally kept clean because saliva and mucus act on the surface of the tooth or mucous membrane during friction due to dialogue and food chewing. The same bacteria are parasitic to some extent, but usually they do not cause disease.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강을 잘못 관리하게 되면 치염, 구강염 등과 같은 구강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구강을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칫솔질이 권장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음식물을 먹고 난 후에 칫솔질을 함으로써 자신의 구강을 청결하게 관리하고 있다.Nevertheless, it is very important to actively manage the oral cavity because wrong management of the oral cavity may cause oral diseases such as gingivitis and oral infection. To do this, brushing is recommended and many people maintain their mouths clean by brushing after eating.

그러나, 이미 구강 질환이 발생된 경우에는 칫솔질만으로는 이를 치료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oral disease has already occurr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treated only by brushing.

본 발명은, 미세 전류를 구강 내로 흐르게 하여 손상을 입었거나 정상적이지 못한 세포가 정상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켜 줌으로써 구강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can treat oral diseases by flowing microcurrent into the oral cavity and activating damaged or abnormal cells to become normal.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인체에 무해한 미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capable of generating a fine current harmless to the human body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에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양전극 구조체 및 음전극 구조체가 이격되어 격자 무늬를 갖도록 헤드부 후면에 배치되는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ront of the brush head is planted in the bristles, the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comprising an electrode structure disposed on the rear of the head portion so as to have a grid pattern spaced apart Provide a toothbrush.

여기서, 양전극 구조체는 서로 이격되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 패턴 집합과, 제1 전극 패턴 집합 중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전극 패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ttern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a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among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s. I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또한, 음전극 구조체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과 이격되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 사이의 이격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전극 패턴 집합과, 제2 전극 패턴 집합 중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을 각각 연결하는 제2 전극 패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disposed in spaced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among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s. It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an oblique direction.

또한, 양전극 구조체는 제1 전극 패턴 집합 중 가장 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전극 패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disposed at the edg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또한, 음전극 구조체는 제1 전극 패턴 지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2 전극 패턴 집합 중 가장 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과 각각 연결되는 제2 전극 패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dispos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disposed at the edg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는 서로 이격되며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을 둘러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urround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또한, 제1 전극 패턴은 제2 전극 패턴 연결부와 이격되고, 제2 전극 패턴은 제1 전극 패턴 연결부와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or,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or.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턴과 제1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와 제1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는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s may be coplanar.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또한, 제1 전극 패턴 연결부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각각 연결하고, 제2 전극 패턴 연결부는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may connect the vertices facing each other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may connect the vertices facing each oth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respectively.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may have the same size.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또한, 제1 전극 패턴, 제1 전극 패턴 연결부 및 제1 전극 패턴 지지부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또한, 제2 전극 패턴, 제2 전극 패턴 연결부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턴 사이의 간격은 제1 전극 패턴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 사이의 간격 또는 제2 전극 패턴 및 제1 전극 패턴 연결부 사이의 간격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may have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or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은 곡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may have a curved shape.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은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may include open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칫솔로부터 생체 전류와 유사한 정도의 미세 전류가 생성되어 물 또는 타액(침)을 매개로 하여 구강 내로 흘러 손상을 입었거나 정상적이지 못한 세포가 정상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켜 줌으로써 구강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brushing, a microcurrent similar to the bioelectric current is generated from the toothbrush and flows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water or saliva (acupuncture), so that damaged or abnormal cells may become normal. By activating so that it is effective in treating oral disea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양전극(+) 구조체와 음전극(-) 구조체 사이에서 물 또는 타액(침)을 매개로 인체에 무해한 미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enerate a microcurrent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rough water or saliva (sp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칫솔 헤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칫솔 헤드부에 구비된 전극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전극 구조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toothbrush head of FIG. 1.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structure provided in the toothbrush head of FIG. 1.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electrode structure of FIG. 3.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칫솔 헤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toothbrush head of Figure 1;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은 전면에 칫솔모(21)가 식모되는 헤드부(20)와, 헤드부(20)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와, 양전극(Anode)(+) 구조체 및 음전극(Cathode)(-) 구조체가 이격되어 격자 무늬를 갖도록 헤드부(20) 후면에 배치되는 전극 구조체(2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toothbrush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 portion 20 to which the bristle 21 is planted on the front and a handle portion (extended from the head portion 20) 30 and an electrode structure 23 disposed behind the head 20 so that the anode (+) structure and the cathode (-) structure are spaced apart to have a lattice pattern.

여기서, 전극 구조체(23)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을 이용해 칫솔질을 할 때, 양전극(+) 구조체 및 음전극(-) 구조체 사이에서 생체 전류와 유사한 정도의 미세 전류를 생성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구강 내에 있는 물 또는 타액(침)이 전해질로서 작용한다. Here, the electrode structure 23, when the user brushing using the toothbrush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current of a degree similar to the biocurren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Create In this case, water or saliva (acupuncture) in the mouth of the user acts as an electrolyte.

즉, 전극 구조체(23)는, 양전극(+) 구조체 및 음전극(-) 구조체 사이에서 물 또는 타액(침)을 전해질로 이용하여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일으켜 미세 전류를 발생시킨다.That is, the electrode structure 23 generates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by using water or saliva (needle) as an electrolyt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to generate a fine current.

특히, 전극 구조체(23)는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물 또는 타액(침)을 전해질로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미세 전류를 발생시킨다.In particular, the electrode structure 23 uses water or saliva (acupuncture) as an electrolyte to generate a microcurrent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이와 같이, 발생된 미세 전류는 물 또는 타액(침)을 매개로 하여 구강 내로 흘러 손상을 입었거나 정상적이지 못한 세포가 정상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켜 줌으로써 구강 질환을 치료하게 된다.As such, the generated microcurrent flows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water or saliva (acupuncture) to treat oral diseases by activating damaged or abnormal cells to be in a normal state.

한편, 도면에는 헤드부(20) 및 손잡이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헤드부(20) 및 손잡이부(30)를 각각 분리하여 형성하고 이 후 이들을 결합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head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are illustrated as being integrally formed in the drawing, the head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then, these may be combined.

또한, 도면과 달리, 헤드부(20)의 전면 부분과 후면 부분을 각각 별개로 형성하여 이들 각 부분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헤드부(20)의 후면 부분과 손잡이부(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drawing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0 may be formed separately to combine the respective portions. In this case, the rea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may be integrally formed.

이에 따라, 칫솔모(21)가 마모된 경우 칫솔(1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칫솔모(21)가 식모된 헤드부(20)의 전면 부분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칫솔(10)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ristle 21 is worn out, only the front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0 in which the bristle 21 has been planted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entire toothbrush 10 needs to be replaced, thereby increasing resource utilization and the toothbrush ( 10) The cost of replacement can be reduced.

손잡이부(30)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할 때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The handle part 30 is a part held by the user when brushing, and may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in consideration of ease of u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부(20)에 구비된 전극 구조체(23)를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electrode structure 23 provided in the toothbrush head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1의 칫솔 헤드부에 구비된 전극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전극 구조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structure provided in the toothbrush head of FIG. 1,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electrode structure of FIG. 3.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23)는 양전극(+) 구조체 및 음전극(-) 구조체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electrode structure 2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a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양전극(+) 구조체는 제1 전극 패턴 집합(110),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고, 음전극(-) 구조체는 제2 전극 패턴 집합(120),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ttern set 110, a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10, and a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3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 120, a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 220,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제1 전극 패턴 집합(110)은, 서로 이격되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을 포함한다.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제2 전극 패턴 집합(120)은,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이격되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 사이의 이격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을 포함한다.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nd disposed in spaced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Include.

전극 구조체(23)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됨으로써 격자 무늬를 갖게 된다.The electrode structure 23 has a lattice pattern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lternately.

이에 따라, 전극 구조체(23)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에서 물 또는 타액(침)을 전해질로 이용하여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일으켜 다량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킨다.Accordingly, the electrode structure 23 generates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by using water or saliva (needle) as an electrolyte between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Generates a fine current of

한편, 일정 면적의 전극 구조체(23) 내에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 수가 증가될수록 즉, 전극 구조체(23)의 비표면적이 더 증가될수록 더 많은 미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increases in the electrode structure 2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at is, as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structure 23 increases, the number increases. It can generate a fine current.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는 제1 전극 패턴 집합(110) 중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을 각각 연결한다.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10 connects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rranged in an oblique direction among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s 110.

이에 따라, 사선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전극 라인이 형성된다.As a result,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lines to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re connected in an oblique direction is formed.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는 제2 전극 패턴 집합(120) 중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을 각각 연결한다.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20 connects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dispos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mong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s 120.

이에 따라, 사선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전극 라인이 형성된다.As a result,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to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are connec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is formed.

이와 같은 복수의 제1 전극 라인과 복수의 제2 전극 라인은 사선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다.Such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lin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n oblique direction.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는 제1 전극 패턴 집합(110) 중 가장 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각각 연결된다.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disposed at the edg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110.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는, 제1 전극 패턴 집합(110) 중 상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제1 전극 라인을 지지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disposed abov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110,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 Support the electrode line.

또한,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는, 제1 전극 패턴 집합(110) 중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제1 전극 라인을 지지한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supports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lines by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dispos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110.

여기서,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는, 제1 전극 패턴 집합(110) 중 상측 및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연결되거나, 제1 전극 패턴 집합(110) 중 상측 및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110 o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110.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disposed on the right side.

이에 따라,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제1 전극 라인의 양단 중 일단과만 연결된다.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has a bent shape and is connected to only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lines.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2 전극 패턴 집합(120) 중 가장 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과 각각 연결된다.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20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10, and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disposed at the edg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120, respectively. do.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제2 전극 패턴 집합(120) 중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과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제2 전극 라인을 지지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disposed below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120,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Support the electrode line.

또한,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제2 전극 패턴 집합(120) 중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과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제2 전극 라인을 지지한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dispos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12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여기서,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제2 전극 패턴 집합(120) 중 하측 및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과 연결되거나, 제2 전극 패턴 집합(120) 중 하측 및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과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120 or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120.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disposed on the right side.

이에 따라,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제2 전극 라인의 양단 중 일단과만 연결된다.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has a bent shape and is connected to only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한편,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가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연결되면,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과 연결된다.Meanwhile, wh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disposed on the left side,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disposed on the right side. Connected with

이와 반대로,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가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연결되면,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과 연결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disposed on the right side,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

이에 따라,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 및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을 둘러싸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surround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제1 전극 패턴(111)은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와 이격되고, 제2 전극 패턴(121)은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와 이격된다.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3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10.

한편, 도면과 달리, 제1 전극 패턴 집합(110),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 및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는 음전극(-) 구조체이고, 제2 전극 패턴 집합(120),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양전극(+) 구조체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rawing,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110,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210 an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ortion 310 is a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120, the first The two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20 may b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의 전극 구조체(23)는, 양전극(+) 구조체와 음전극(-) 구조체가 서로 번갈아 배치된 형태로서 이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electrode structure 23 of the toothbrush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의 전극 구조체(23)는 양전극(+) 구조체와 음전극(-) 구조체가 서로 번갈아 배치된 형태로서 이격된 구조를 가지고,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이 격자 무늬로 배치됨에 따라,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물 또는 타액(침)을 전해질로 이용하여 양전극(+) 구조체와 음전극(-) 구조체 사이에서 인체에 무해한 1000 ㎂ 미만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structure 23 of the toothbrush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pattern 1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are arranged in a lattice pattern, water or saliva (needle) is used as an electrolyt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microcurrent of less than 1000 kHz which is harmless to human body.

이와 같이, 발생된 미세 전류는 물 또는 타액(침)을 매개로 하여 구강 내로 흘러 손상을 입었거나 정상적이지 못한 세포가 정상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켜 줌으로써 구강 질환을 치료하게 된다.As such, the generated microcurrent flows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water or saliva (acupuncture) to treat oral diseases by activating damaged or abnormal cells to be in a normal state.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과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와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electrode pattern 111,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10,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20,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10, and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20 ) May be coplanar.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23)는 평판형 구조를 갖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electrode structure 2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t structure.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은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함과 동시에 양전극(+) 구조체와 음전극(-) 구조체가 서로 번갈아 배치되게 하기 위해 사각형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and circles, as shown in FIG. 3,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be 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quadrangle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m is constant and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are alternately arranged.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는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각각 연결하고,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는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Wh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are formed in a quadrangl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10 connects vertices facing each other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respectively, The two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20 may connect verti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that face each other.

여기서,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와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는, 중첩되지 않으며 사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된다. Her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220 do not overlap and become parallel to the diagonal direc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have the same siz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은, 전극 구조체(23)에 포함된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이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짐으로써, 전극 구조체(23)의 각 영역에 대해 미세 전류를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toothbrush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included in the electrode structure 23 have the same size to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fine current uniformly for each region.

제1 전극 패턴(111),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 및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함께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10, an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1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gether.

그리고, 제2 전극 패턴(121),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함께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or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2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gether.

그리고, 양전극(+) 구조체 및 음전극(-) 구조체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구체적으로, 전극 구조체(23)는, 양전극(+) 구조체 및 음전극(-) 구조체 간 산화 및 환원 현상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전극(+) 구조체는 산화 구리(Cu2O3),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음전극(-) 구조체는 알루미늄(Al), 아연(Zn), 산화 코발트(Co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ode structure 23 is to use the oxidation and reduction phenomenon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the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 is copper oxide (Cu 2 O 3 ),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and the like, the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 may be made of aluminum (Al), zinc (Zn), cobalt oxide (CoO) and the lik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 사이의 간격 과 제2 전극 패턴(121) 및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 사이의 간격도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may be formed to be constant, an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unit ( An interval between the 220 and an interval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an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unit 210 may also be formed to be constant.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은,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 사이의 간격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have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 220.

또한,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은, 제2 전극 패턴(121) 및 제1 전극 패턴 연결부(210) 사이의 간격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have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an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ng portion 210.

예를 들어,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은,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이 단락(Short)되지 않도록 0.3mm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 사이의 간격은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가 단락되지 않도록 0.2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 사이의 간격은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220)가 단락되지 않도록 0.2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is 0.3 mm or more in size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are not shorted. It can be formed as.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 220 may be formed to be 0.2 mm or more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 220 are not shorted. .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 220 may be formed to be 0.2 mm or more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art 220 are not shorted. .

또한,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의 면적은, 2mm2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rea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be formed to be 2 mm 2 or mor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의 전극 구조체(23)는 평판형 또는 곡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de structure 23 of the toothbrush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lat or curved structure.

이와 같이 전극 구조체(23)가 곡면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은 곡면형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de structure 23 has a curved structur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have a curved shape.

곡면형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체(23)는 평판형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체(도 3 참조)를 구부려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곡면형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체의 외측 면에서는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지만, 내측 면에서는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이 단락(Short)될 수 있다.The electrode structure 23 having the curved structure may be formed by bending an electrode structure (see FIG. 3) having a flat structure.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increases on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de structure having a curved structure, but on the inner sid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121 is reduce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be shorted.

이와 같이, 곡면형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체(23)의 형성 과정에서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이 전극 구조체(23)의 내측면에서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의 상단면 및 하단면은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urved electrode structure 23,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hort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ode structure 23. To this end,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be formed to have a taper shape.

이와 같이,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는 경우, 곡면형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체(23)를 이루는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의 외주면은 내주면 보다 더 큰 크기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have a taper shap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forming the electrode structure 23 having a curved structu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111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have a larger size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이를 통해, 곡면형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체(23)의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은,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의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게 되어,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이 전극 구조체의 내측면에서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of the electrode structure 23 having the curved structure may be reduc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It has a constant siz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from being sh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ode structure.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는 제1 전극 패턴(11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위치 고정 홀(311)을 포함하고,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는 제2 전극 패턴(12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위치 고정 홀(3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10 includes a first position fixing hole 311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er 320 is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It may include a second position fixing hole 321 for fixing the position 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의 전극 구조체(2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structure 23 of the toothbrush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격자 무늬를 갖는 복수의 양전극(+) 구조체 및 복수의 음전극(-) 구조체를 각각 복수 개로 제조한다.First,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 structure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 structures having a lattice pattern are respectively manufactured.

다음, 안착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미도시)를 준비한다.Next, a fixing portion (not shown)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is prepared.

여기서, 안착부에는 복수의 전극 구조체(23)가 적층적으로 안착되며, 제1 돌기부는 안착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위치 고정 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돌기부는 안착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 위치 고정 홀(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Here, a plurality of electrode structures 23 are stack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first protrus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sition fixing hole 311,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 fixing hole 321.

또한,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second protrusions may be formed.

다음, 제1 전극 패턴 지지부(310)의 제1 위치 고정 홀(311)을 제1 돌기부에 끼움 삽입하여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을 안착부에 안착시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의 위치를 고정한다.Next, the first position fixing hole 311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part, and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re seated on the seating part so as to seat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 To fix the position.

다음, 제2 전극 패턴 지지부(320)의 제2 위치 고정 홀(321)을 제2 돌기부에 끼움 삽입하여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을 안착부에 안착시켜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의 위치를 고정한다. Next, the second position fixing hole 321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are seated on the seating part so as to seat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 To fix the position.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전극 구조체(23)를 적층적으로 안착부에 안착시켜, 복수의 전극 구조체(23)에 포함된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he plurality of electrode structures 23 are stacked and stacked on the seating portions,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 structures 23 are formed. Fix the position.

다음, 적층된 복수의 전극 구조체(23)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전극 구조체(23)의 상부면에 절연성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부를 부착하고, 접착부가 부착된 전극 구조체(23)를 고정부에서 분리한다.Next, an adhesive part made of an insulating adhesive material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structure 23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stacked electrode structures 23, and the electrode structure 23 to which the adhesive part is attached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전극 구조체(23)를 고정부에서 각각 분리한다.By repeating this process, the plurality of electrode structures 23 are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ions, respectively.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의 전극 구조체(23)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전극 구조체(23)의 제조 과정에서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이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structure 23 of the toothbrush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de structure 23,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horted.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전극 패턴(111) 및 제2 전극 패턴(121)은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1 may include an opening (not shown).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전극 패턴(111)과 복수의 제2 전극 패턴(121)에 개구부가 구비됨에 따라, 전극 구조체(23)의 비표면적이 더 증가됨으로써 더 많은 미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As such, as the openings a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21,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structure 23 is further increased to generate more fine current. .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10: 칫솔
20: 헤드부
21: 칫솔모
23: 전극 구조체
30: 손잡이부
110, 120: 제1 및 제2 전극 패턴 집합
111, 121: 제1 및 제2 전극 패턴
210, 220: 제1 및 제2 전극 패턴 연결부
310, 320: 제1 및 제2 전극 패턴 지지부
311, 321: 제1 및 제2 위치 고정 홀
10: toothbrush
20: head part
21: brush head
23: electrode structure
30: handle part
110 and 120: set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11 and 121: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210 and 220: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portions
310 and 320: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311, 321: first and second position fixing holes

Claims (16)

전면에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헤드부 후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양전극 구조체와, 상기 양전극 구조체와 이격하며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음전극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격자 무늬를 이루고,
상기 양전극 구조체는
상기 전극 구조체 제조 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위치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음전극 구조체는
상기 전극 구조체 제조 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위치 고정홀을 구비하고,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은 서로 연결되는
칫솔.
Head part which is planted bristles on the front;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A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disposed on the rear of the head and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a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The electrode structure is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grid pattern,
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A first position fixing hole for fix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when the electrode structure is manufactured;
The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is
A second position fixing hole for fix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when manufacturing the electrode structure;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othbru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 구조체는
서로 이격되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 패턴 집합; 및
상기 제1 전극 패턴 집합 중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전극 패턴 연결부
를 포함하는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A first electrode pattern set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 first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an obliqu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Toothbrush includ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과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 사이의 이격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전극 패턴 집합; 및
상기 제2 전극 패턴 집합 중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패턴을 각각 연결하는 제2 전극 패턴 연결부
를 포함하는 칫솔.
The method of claim 2,
The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is
A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disposed in spaced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respectively;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an oblique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Toothbrush includ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 구조체는
상기 제1 전극 패턴 집합 중 가장 자리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전극 패턴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칫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uni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disposed at edg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et, respectively.
Toothbrush including mo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 구조체는
상기 제1 전극 패턴 지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 패턴 집합 중 가장 자리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패턴과 각각 연결되는 제2 전극 패턴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칫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is
A second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dispos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upport part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disposed at an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et;
Toothbrush including mo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칫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oothbrus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3937A 2018-02-05 2018-02-05 Toothbrush KR102041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37A KR102041923B1 (en) 2018-02-05 2018-02-05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37A KR102041923B1 (en) 2018-02-05 2018-02-05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09A KR20190094609A (en) 2019-08-14
KR102041923B1 true KR102041923B1 (en) 2019-11-07

Family

ID=6762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937A KR102041923B1 (en) 2018-02-05 2018-02-05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058B1 (en) 2020-07-15 2020-12-11 황인규 Toothbrush generating micro-curr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499B1 (en) * 2020-01-22 2022-01-07 석수현 Toothbrush Hea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401Y1 (en) 2000-11-27 2001-06-01 윤승룡 Photovoltaic Toothbrush with Light Emitter
JP2003250636A (en) 2002-02-27 2003-09-09 Fukui Shigeaki Toothbrush and hairbrush
JP2005192578A (en) 2003-12-26 2005-07-21 Lion Corp Tool for cleaning oral cavity
KR101100632B1 (en) * 2003-06-30 2012-01-03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A device and top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and rosacea with electrochemically generated zinc 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60973A1 (en) * 2014-12-05 2017-12-21 NMR Technology AS Electrochemical device for releasing 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401Y1 (en) 2000-11-27 2001-06-01 윤승룡 Photovoltaic Toothbrush with Light Emitter
JP2003250636A (en) 2002-02-27 2003-09-09 Fukui Shigeaki Toothbrush and hairbrush
KR101100632B1 (en) * 2003-06-30 2012-01-03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A device and top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and rosacea with electrochemically generated zinc ions
JP2005192578A (en) 2003-12-26 2005-07-21 Lion Corp Tool for cleaning oral ca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058B1 (en) 2020-07-15 2020-12-11 황인규 Toothbrush generating micro-curr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09A (en)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3798C2 (en) Oral care appliance with conducting ledges
KR102025614B1 (en) Oral treatment apparatus using LED having wide wavelength-range
US4598437A (en) Modular oral hygiene system
US3520297A (en) Iontophoretic toothbrush
JP3493359B1 (en) Iontophoretic therapy device
US11730760B2 (en) Laser assisted wound healing protocol and system
KR102041923B1 (en) Toothbrush
WO2011078127A1 (en) Brush body and toothbrush
JPWO2011078128A1 (en) Brush body and toothbrush
JP2020533110A (en) Plasma treatment device
US20190380482A1 (en) Oral care device and attachment
US20220257970A1 (en) Laser assisted wound healing protocol and system
US4724570A (en) Toothbrush for sulcular brushing
KR101808785B1 (en) Dent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dental device
US20220395087A1 (en) Toothbrush for promoting plaque remov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860000481B1 (en) Tooth brushes for cleaning sulcular areas of the teeth
US20050108842A1 (en) Toothbrush with contoured head
CN104013195B (en) Detachable correction toothbrush
US11654293B2 (en) Laser assisted wound healing protocol and system
CN210581522U (en) U-ring tooth socket
KR102190058B1 (en) Toothbrush generating micro-current
KR200243868Y1 (en) a toothbrush for curing the mouth
CN220632275U (en) Nursing head assembly and oral care equipment
CN211911866U (en) Electric toothbrush structure suitable for moderate and severe periodontal patients and patients with intraoral dental implant
KR102470389B1 (en) LED oral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1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728

Effective date: 2023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