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940B1 - 자동차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940B1
KR102037940B1 KR1020180051130A KR20180051130A KR102037940B1 KR 102037940 B1 KR102037940 B1 KR 102037940B1 KR 1020180051130 A KR1020180051130 A KR 1020180051130A KR 20180051130 A KR20180051130 A KR 20180051130A KR 102037940 B1 KR102037940 B1 KR 102037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ift
coupled
driv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102018005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only vertical trans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에는, 1층 및 2층 주차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지지하며, 후크 고리를 가지는 팔레트;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좌우 이동을 위하여, 제 1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제 1 구동장치; 상기 팔레트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하여, 제 2 구동모터 및 와이어가 구비되는 제 2 구동장치; 상기 후크 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고리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후크;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는 캠 푸쉬부; 및 상기 이송장치에 고정되는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캠 푸쉬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직선 운동하는 작동 캠; 및 상기 작동 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주차장치 {A device for parking car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주차장치는 자동차의 입출고 및 보관을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자동차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차 주차장치는 자동차가 보관될 수 있는 층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는 자동화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주차장치에 의하면, 상기 자동화 장치의 구조 및 입고 또는 출고 과정이 복잡하여 신속한 입출고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2층으로 구성된 주차장치의 경우, 1층의 차량이 출고되어야 2층의 차량이 출고될 수 있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의 문헌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제 1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공개번호(공개일자) : JP 특개평6-57998(1994년 3월 1일), 발명의 명칭 : 승강식 자동차 주차기
2. 제 2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공개번호(공개일자) : JP 특개평7-18901(1995년 1월 20일), 발명의 명칭 : 입체 주차장치용의 차량승강 유니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입체 주차장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입출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에는, 1층 및 2층 주차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지지하며, 후크 고리를 가지는 팔레트;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좌우 이동을 위하여, 제 1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제 1 구동장치; 상기 팔레트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하여, 제 2 구동모터 및 와이어가 구비되는 제 2 구동장치; 상기 후크 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고리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후크;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는 캠 푸쉬부; 및 상기 이송장치에 고정되는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캠 푸쉬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직선 운동하는 작동 캠; 및 상기 작동 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후크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 고리는 캡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그 하측에 개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프트 후크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회전하여 상기 후크 고리의 상부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후크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후크 브라켓 및 상기 리프트 후크를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동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이동 가이드 롤러가 삽입되는 홈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2 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레일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구동장치; 및 상기 제 2 레일에 구비되는 제 2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의 양측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캠 푸쉬부가 구비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지지축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힌지축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에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이송본체가 포함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본체의 네 모서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에는, 코일이 감겨지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 캠에 결합되는 작동 바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작동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작동 바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상기 코어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구동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1 구동축; 상기 제 1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이송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구름 작용하는 종동롤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2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2 스프로켓; 상기 제 1,2 스프로켓에 권취되는 체인; 상기 제 2 스프로켓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축; 및 상기 제 2 구동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드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2개의 드럼에 각각 권취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장치에 자동차가 놓여져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자동차의 주차과정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송장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장치 및 리프트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이송장치 또는 리프트 장치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리프트 후크가 구비되어, 자동차를 지지하는 팔레트가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리프트 후크는 갈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팔레트의 후크 고리에 용이하게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후크를 구동하기 위한 후크 구동장치에는, 솔레노이드 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푸쉬 바 및 상기 푸쉬 바에 의하여 가압되는 작동 캠이 포함되어, 상기 리프트 후크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 있는 리프트 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가 이송 장치의 하단부까지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가 자동차 주차장치의 출입공간까지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캠 및 솔레노이드 기구의 제 1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캠 및 솔레노이드 기구의 제 2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 자동차가 지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시, 출입공간에 위치된 팔레트에 결합된 리프트 후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시 3층 높이까지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가 2층 높이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리프트 후크와 팔레트의 결합이 해제되어 자동차의 입고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00) 및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기둥(50)이 포함된다. 상기 기둥(50)은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상기 기둥(50)의 높이만큼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는 개방되며, 차량(2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이 이루는 공간에, 1층(높이 H1, 도 15 참조) 및 2층(높이 H2, 도 15 참조)으로 분리되어 주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1층에는 차량(20)이 정렬하여 주차될 수 있으며, 1층의 대략 중앙부에는 차량이 2층으로 승강하기 위하여 투입될 수 있는 출입공간(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입공간(30)의 상측에는, 상기 차량(20)이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는 승강로(35)가 형성된다.
2층에는 이송장치(210) 또는 리프트 장치(250)에 의하여 이동된 차량(20)이 주차될 수 있다. 상기 2층의 차량(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거치 프레임(280)에 놓여져 주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거치 프레임(28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102)과 교차하는 방향, 일례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02)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 프레임(280)의 상측에는 팔레트(110)가 놓여지며, 상기 팔레트(110)의 상면에 차량(20)이 지지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차량(20)이 상기 출입공간(30)으로 투입되는 방향을 후방, 그 반대방향을 전방이라 이름하고, 상기 전후방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을 측방이라 한다. 일례로, 차량(20)이 상기 출입공간(30)으로 투입되는 방향의 좌측을 좌측방, 우측을 우측방이라 정의한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장치(2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송장치(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지지되어 2층 높이에 위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0)에는, 대략 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이송 본체(210)가 포함된다. 상기 이송 본체(210)의 하부는 개구된다. 상기 이송 본체(210)가 상기 승강로(35)에 위치될 때, 상기 개구된 하부는 상기 승강로(35)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로(35)는 상기 출입공간(30)으로부터 상기 이송 본체(210)의 내부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본체(2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가이드 레일(105)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좌측부로부터 우측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은 후술할 구동롤러(223) 및 종동롤러(224)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09)가 제공된다. 상기 스토퍼(109)는 상기 이송장치(200)의 탈선을 방지하는 "탈선 방지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이송장치(200)의 좌우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장치(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동장치(22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자동차를 지지하는 팔레트(1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팔레트(110)는 주차장치의 2층을 형성하는 공간에서,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팔레트(110)는 좌우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하여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 장치(250) 및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장치(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장치(23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장치(25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네 모서리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차량(20)의 입고 또는 출고시, 상기 리프트 장치(250)는 상기 차량(20)를 지지하는 팔레트(110)의 네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2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20)는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량(20)가 상기 2층에 주차되어 있는 다른 차량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20)는 상기 2층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일례로, 3층 높이(H3, 도 15 참조)의 위치)까지 들어올려진 후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자동차(20a)는 상기 3층 높이의 위치까지 들어올려졌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송장치(200)의 구성, 즉 제 1 구동장치(220), 제 2 구동장치(230) 및 리프트 장치(25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가 이송 장치의 하단부까지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이송장치(2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장치(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동장치(22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모터(221)와, 상기 제 1 구동모터(221)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1 구동축(222) 및 상기 제 1 구동축(222)에 결합되어 구름 작용하는 구동롤러(22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동모터(221)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 브라켓(21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215)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b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지지 브라켓(215)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221)가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구동모터(221)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상단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축(222)은 상기 제 1 구동모터(22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223)는 상기 제 1 구동축(222)의 양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모터(221)가 구동하면, 상기 제 1 구동축(2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223)는 구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에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좌우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종동롤러(22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종동롤러(224)는 상기 이송본체(2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본체 프레임(210a)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며, 축에 의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21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롤러(224)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우측부 전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롤러(223) 및 종동롤러(224)는 각각 2개씩 구비되어, 상기 이송본체(210)의 상단부 네 모서리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223) 및 상기 종동롤러(224)는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에 접촉하여 구름 작용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이송본체(2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리프트 장치(2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장치(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장치(23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구동모터(231)와, 상기 제 2 구동모터(23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스프로켓(232)과, 상기 제 1 스프로켓(232)에 이격되는 제 2 스프로켓(233) 및 상기 제 1,2 스프로켓(232,233)에 권취되는 체인(233a)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모터(231)가 구동하여 상기 제 1 스프로켓(232)이 회전하면, 상기 제 1 스프로켓(232)의 회전력은 상기 체인(233a)을 통하여 상기 제 2 스프로켓(233)에 전달되며, 상기 제 2 스프로켓(233)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에는, 상기 제 2 스프로켓(23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축(234) 및 상기 제 2 구동축(234)의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드럼(23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축(234)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2개의 드럼(235)은 상기 이송본체(210)의 대략 중앙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에는, 상기 2개의 드럼(235)에 각각 권취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236) 및 상기 이송본체(210)의 상단부 네 모서리측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드럼(235)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236)가 권취되는 4개의 와이어 롤러(23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와이어(236)는 상기 4개의 와이어 롤러(237)를 경유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각각 리프트 장치(2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의 와이어(236)에 결합되며 회전 동작하는 리프트 후크(251)가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네 모서리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4개의 리프트 후크(25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 도 12 참조)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상기 와이어(236)가 결합되는 상부를 가지는 후크 브라켓(254) 및 상기 후크 브라켓(254)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25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와이어(236)의 하부는 상기 후크 브라켓(254)에 결합되는 브라켓 핀(254a)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52)은 상기 후크 브라켓(254) 및 상기 리프트 후크(251)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상부는 상기 힌지축(252)에 의하여 상기 후크 브라켓(254)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상기 힌지축(252)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동가이드 롤러(253)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 롤러(253)는 가이드 레일(217)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17)에는, 2개의 이동가이드 롤러(253) 중 일 이동가이드 롤러(253)가 삽입되는 제 1 레일(217a) 및 타 이동가이드 롤러(253)가 삽입되는 제 2 레일(217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2 레일(217a,217b)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레일(217a,217b)은 고정 브라켓(218)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18)은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2 레일(217a,217b)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18)에 의하여, 상기 제 1,2 레일(217a,217b)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2 레일(217a,217b)는 대략 "ㄷ"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가이드 롤러(253)가 삽입되는 홈(217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가이드 롤러(253)는 상기 홈(217c)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후술할 작동캠(310)에 의하여 가압되는 캠 푸쉬부(255)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는, 지지축(256)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256)은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양측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캠 푸쉬부(255)는 2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256)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캠 푸쉬부(255)에는, 롤러 또는 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256)은 상기 힌지축(252)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바, 상기 캠 푸쉬부(255)를 통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는 상기 힌지축(252)을 기준으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회전운동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17)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251)를 회전시키기 위한 후크 구동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에는, 상기 캠 푸쉬부(255)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캠(310) 및 상기 작동 캠(31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캠(31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기구(320)가 포함된다.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는 2개가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에는, 제 1 레일(217a)에 결합되는 제 1 후크 구동장치(300a) 및 제 2 레일(217b)에 결합되는 제 2 후크 구동장치(30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후크 구동장치(300a)에 구비되는 작동 캠(310)은 상기 2개의 캠 푸쉬부(255) 중 하나에 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 2 후크 구동장치(300b)에 구비되는 작동 캠(310)은 상기 2개의 캠 푸쉬부(255) 중 다른 하나에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1개의 리프트 후크(251)에 대하여, 2개의 캠 푸쉬부(255) 및 2개의 후크 구동장치(300)가 구비되며, 이송장치(200) 전체를 기준으로 4개의 리프트 후크(251)가 제공되므로, 총 8개의 후크 구동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가 자동차 주차장치의 출입공간까지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5,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본체(210)의 네 모서리 측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전방 좌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1 리프트 후크(251a)와, 상기 이송본체(210)의 전방 우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2 리프트 후크(251b)와, 상기 이송본체(210)의 후방 좌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3 리프트 후크(251c) 및 상기 이송본체(210)의 후방 우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4 리프트 후크(251d)가 포함된다.
먼저 도 2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리프트 후크(251)가 이송장치(20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위치에서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하면, 차량(20)은 2층에 주차된 차량보다 높은 위치(3층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5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리프트 후크(251)가 이송장치(200)의 하단부에 위치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위치에서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하면, 차량(20)은 2층의 주차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7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리프트 후크(251)가 이송장치(200)의 하측으로 이격하여 위치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위치에서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하면, 차량은 1층의 출입공간(30)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캠 및 솔레노이드 기구의 제 1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캠 및 솔레노이드 기구의 제 2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동장치(300)에는, 캠 푸쉬부(255)를 가압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 캠(310) 및 상기 작동캠(31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캠(31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기구(320)가 포함된다.
상기 작동 캠(3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bar)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캠 푸쉬부(255)를 가압하는 가압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면(311)은,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가 이송본체(210)의 네 모서리측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 캠(3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는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세히, 솔레노이드 기구(320)에는, 코일(321b)이 감겨지는 코어(321a) 및 상기 코어(321a)의 외측에 결합되는 코어 브라켓(321c)이 포함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에는, 상기 코어(321a) 또는 상기 코어 브라켓(321c)에 결합되는 스프링(322)과, 상기 스프링(322)을 지지하는 스프링 브라켓(323) 및 상기 스프링 브라켓(323)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력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 바(325)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322)에는, 인장 스프링이 포함된다. 상기 스프링(32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코어 브라켓(321c)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323)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바(325)는 상기 코어(321a)의 내측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에는, 상기 작동 캠(310)에 결합되는 캠 브라켓(31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캠 브라켓(312)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 캠(31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며, 고정핀(314)에 의하여 상기 작동 캠(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캠 브라켓(312)에는, 상기 작동 바(325)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 바(325)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캠 브라켓(312) 및 상기 작동 캠(31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는 상기 가이드 레일(217)의 하부에 지지 또는 결합되어, 일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2층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에 인접해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 및 작동캠(310)과 연동하여 회전동작 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110)는 대략 4각 패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팔레트(110)에는, 차량(20)가 안착되는 안착부(111) 및 상기 안착부(111)의 네 모서리측에 구비되는 팔레트 브라켓(11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 브라켓(115)에는, 갈고리 형상의 리프트 후크(251)가 결합되는 후크 고리(116)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 고리(116)는 상기 팔레트 브라켓(115)의 상부에 구비되며 캡 형상, 즉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 고리(116)의 하부는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개방부(116a)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후크 고리(116)에 걸려지거나 상기 후크 고리(116)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을 할 때,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후크 고리(116)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후크 고리(116)의 하방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작동 바(325)는 상기 스프링(322)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상기 코어(321a)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322)은 인장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322)과 함께 상기 코어 브라켓(321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캠 브라켓(312) 및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코어(321a)에 가깝게 접근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캠 푸쉬부(255)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 일례로 상기 캠 푸쉬부(255)로부터 이격되거나 접촉만 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작동 캠(310)이 상기 캠 푸쉬부(255)를 약간 가압한다 하더라도,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에 걸려져, 차량(20)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리프트 후크(251)의 팔레트(110) 지지 상태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에 인가된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작동 바(325)는 상기 스프링(3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코어(321a)로부터 상기 작동 캠(3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322)은 압축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322)과 함께 상기 코어 브라켓(321c)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바(325)의 돌출에 의하여, 상기 캠 브라켓(312) 및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코어(3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캠 푸쉬부(255)를 가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캠 푸쉬부(255)는 힌지축(252)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후크 고리(116)에 걸려져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후크 고리(116)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제 2 구동장치(230)의 구동에 의하여 하방, 즉 (a)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이후에 회전하더라도 상기 후크 고리(116)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하방 이동후,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가 도 10과 같이 작동하여 상기 작동 캠(310)이 상기 캠 푸쉬부(255)를 b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일례로 시계방향(c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후크 고리(116)로부터의 걸림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 고리(116)의 하부는 개방되어 개방부(116a)를 형성하므로,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c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개방부(116a)를 경유하여 상기 후크 고리(116)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도 11의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팔레트(110)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가 도 8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코어(321a)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 푸쉬부(255)를 가압하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자중에 의하여,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c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개방부(116a)를 통하여 상기 후크 고리(116)를 하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제 2 구동장치(230)의 구동에 의하여 상방으로 설정거리 만큼 이동하고, 상기 후크 고리(116)의 상부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 자동차가 지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시, 출입공간에 위치된 팔레트에 결합된 리프트 후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시 3층 높이까지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가 2층 높이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리프트 후크와 팔레트의 결합이 해제되어 자동차의 입고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20)는 팔레트(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본체(2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110)의 네 모서리측에는 리프트 후크(251)가 위치하며,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에 걸려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구동장치(220)가 구동하면, 상기 이송본체(21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구동장치(230)가 구동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하 바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차량(20)이 자동차 주차장치(10)에 입고 및 출고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20)의 입고과정을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차량(20)이 출입공간(30)의 전방에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송본체(210)는 상기 승강로(35)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한 상태에서 대략 지면의 높이까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 2 구동장치(230)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차량(20)이 전진하여 상기 팔레트(110)의 상면에 놓여지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리프트 후크(251) 및 팔레트(110)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20)이 상기 승강로(35) 내에서 대략 3층 높이까지 올라갈 때까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차량(20)이 상기 3층 높이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장치(220)가 구동하여, 상기 이송본체(210) 및 리프트 후크(251)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량(20)을 주차할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된다.
상기 이송본체(210) 및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주차할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 프레임(280)에 팔레트(110)가 지지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팔레트(110)가 상기 이격 프레임(280)에 지지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의 구동에 의하여, 도 11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도 17 참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차량(20)의 입고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의 출고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출고과정은 상기 입고과정과 반대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본체(210) 및 리프트 후크(251)는 출고할 차량(20)이 있는 위치까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17 및 도 16에 순서대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에 의하여 리프트 후크(251)가 작동하여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여 상기 차량(20)을 3층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에 의하여 상기 승강로(35)를 향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제 2 구동장치(230)가 구동하며,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차량(20)은 1층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20)은 출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자동차 주차장치(10)의 구조가 간단하고, 차량(20)의 입출고 과정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 자동차 주차장치 30 : 출입공간
35 : 승강로 50 : 기둥
100 : 메인 프레임 102 : 지지프레임
105 : 이송가이드 레일 110 : 팔레트
200 : 이송장치 210 : 이송 본체
220 : 제 1 구동장치 230 : 제 2 구동장치
250 : 리프트 장치 251 : 리프트 후크
252 : 힌지축 253 : 이동가이드 롤러
254 : 후크 브라켓 255 : 캠 푸쉬부
300 : 후크 구동장치 310 : 작동 캠
320 : 솔레노이드 기구 321a : 코어

Claims (13)

  1. 주차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지지하며, 후크 고리를 가지는 팔레트;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좌우 이동을 위하여, 제 1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제 1 구동장치;
    상기 팔레트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하여, 제 2 구동모터 및 와이어가 구비되는 제 2 구동장치;
    상기 후크 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고리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후크;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는 캠 푸쉬부; 및
    상기 이송장치에 고정되는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캠 푸쉬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직선 운동하는 작동 캠; 및
    상기 작동 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에는,
    코일이 감겨지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 캠에 결합되는 작동 바가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는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 주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고리는 캡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그 하측에 개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프트 후크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회전하여 상기 후크 고리의 상부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주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후크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후크 브라켓 및 상기 리프트 후크를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동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이동 가이드 롤러가 삽입되는 홈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더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2 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레일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구동장치; 및
    상기 제 2 레일에 구비되는 제 2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의 양측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캠 푸쉬부가 구비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지지축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힌지축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이송본체가 포함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본체의 네 모서리측에 배치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작동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작동 바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상기 코어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구동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1 구동축;
    상기 제 1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이송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구름 작용하는 종동롤러가 더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2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2 스프로켓;
    상기 제 1,2 스프로켓에 권취되는 체인; 및
    상기 제 2 스프로켓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축; 및 상기 제 2 구동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드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2개의 드럼에 각각 권취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KR1020180051130A 2018-05-03 2018-05-03 자동차 주차장치 KR102037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30A KR102037940B1 (ko) 2018-05-03 2018-05-03 자동차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30A KR102037940B1 (ko) 2018-05-03 2018-05-03 자동차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940B1 true KR102037940B1 (ko) 2019-10-29

Family

ID=6842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30A KR102037940B1 (ko) 2018-05-03 2018-05-03 자동차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10Y1 (ko) * 2021-11-26 2022-11-04 박현희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KR20230018623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캐리어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퍼즐식 주차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157U (ja) * 1991-11-20 1993-06-18 大谷櫻井鐵工株式会社 立体駐車場におけるパレツト保持装置
KR20160143046A (ko) * 2015-06-04 2016-12-14 김성진 자동차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157U (ja) * 1991-11-20 1993-06-18 大谷櫻井鐵工株式会社 立体駐車場におけるパレツト保持装置
KR20160143046A (ko) * 2015-06-04 2016-12-14 김성진 자동차 주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623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캐리어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퍼즐식 주차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623229B1 (ko) * 2021-07-30 2024-01-10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캐리어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퍼즐식 주차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0496110Y1 (ko) * 2021-11-26 2022-11-04 박현희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설치 정비용 구조물 이송운반용 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940B1 (ko) 자동차 주차장치
TW494172B (e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vehicle parking method of the same
JP2010007271A (ja) 機械式駐車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20160143046A (ko) 자동차 주차장치
JP6010401B2 (ja) 駐車装置
CN110607931A (zh) 立体停车设备及其控制方法
JP6284324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522021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0694694B1 (ko) 코일 스키드 편마모 방지장치
KR100219845B1 (ko) 자동 주차설비
JP3932508B2 (ja) フラット面を形成するターン装置
KR100465017B1 (ko) 기계식입체주차장의텐테이블선회장치
CN1347110A (zh) 光盘承载装置
JP5134902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3023650B2 (ja) 立体収容庫
JP2019105072A (ja) フォーク式駐車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1851110B1 (ko) 차량용 2단 적재장치
JP2010037067A (ja) 走行機構
KR0125584B1 (ko) 입체주차장치
JP2002309795A (ja) 立体駐輪装置
JPH0518133A (ja) 立体格納装置
JP4005603B2 (ja) 立体駐車装置
JP2971256B2 (ja) 立体駐車場のエレベーター台のパレット固定装置
JP4566881B2 (ja) 駐車装置と駐車方法
JP2561545B2 (ja) ストッパ付き棚を備えた自動倉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