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638B1 -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638B1
KR102034638B1 KR1020180169400A KR20180169400A KR102034638B1 KR 102034638 B1 KR102034638 B1 KR 102034638B1 KR 1020180169400 A KR1020180169400 A KR 1020180169400A KR 20180169400 A KR20180169400 A KR 20180169400A KR 102034638 B1 KR102034638 B1 KR 102034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ir
air conditioner
indo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클라우드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라우드앤 filed Critical (주)클라우드앤
Priority to KR102018016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638B1/ko
Priority to PCT/KR2019/010904 priority patent/WO20201386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638B1/ko
Priority to PH12020551964A priority patent/PH120205519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는, 실내 공간에 대한 부피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부피정보 관리부와, 실내 및 실외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환경정보 관리부와, 실내의 가스농도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재실정보를 관리하는 재실정보 관리부와, 실내에 설치된 냉방 또는 난방 공조기의 전력소비량을 획득하여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전력정보 관리부와, 상기 부피정보, 상기 환경정보, 상기 재실정보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기를 전력절감모드 또는 공기정화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실내의 체적에 따른 최적의 공조조건을 설정하고, 재실상태에 따른 공기부하량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ENERGY SAVING INDOOR AIR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면적 대비 재실률을 판단하여 공조기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 실내 공기 질(IA: Indoor Air Qualit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점막의 자극 또는 건조, 버니 아이(burning eyes), 피로로 인한 두통과 같은, 특정되지 않은 증상에 대해 불평하는 다양한 실내 환경의 거주자의 보고에 의해 초기에 촉발되었다. 어떤 경우에 이들 증상들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실내 공기의 특정 오염 물질의 높은 농도와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나쁜 실내 공기 질에 대해 불평할 때마다 기후 조건 및 실내의 공기의 오염 물질을 측정하고 결정하는데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1735호(2016년 2월 11일 공고)는 실내공기질의 예측을 통한 오염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유형의 오염원에 따라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센서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예측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대형 건물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의 공기정화 능력치를 현재 실내공기질의 오염 상태에 적용할 경우에 예상되는 공기정화 예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능동적으로 대형건물의 실내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 대기환경오염만큼 실내 공기오염에도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실내의 공기 질 측정 및 각 플랫폼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기술과 데이터 분석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사물 인터넷 기반 실내 공기 질 측정 및 분석 플랫폼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플랫폼은 수집된 공기 질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센서의 정확도가 조금 부족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현재 공기 질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여 환기 및 대처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실시간으로 다양한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감시하고, 공기부하량을 조절하여 냉난방 공조기에 따른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의 체적에 따른 최적의 공조조건을 설정하고, 재실상태에 따른 공기부하량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건물의 외벽이나 유리 등을 통한 열전도율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기부하량을 설정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의 공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공기부하량의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는, 실내 공간에 대한 부피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부피정보 관리부와, 실내 및 실외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환경정보 관리부와, 실내의 가스농도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재실정보를 관리하는 재실정보 관리부와, 실내에 설치된 냉방 또는 난방 공조기의 전력소비량을 획득하여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전력정보 관리부와, 상기 부피정보, 상기 환경정보, 상기 재실정보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기를 전력절감모드 또는 공기정화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제1 공조기와의 제1 거리정보와, 제2 공조기와의 제2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공조기 및 상기 제2 공조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기가 난방모드인 경우 방위별 외벽 전도열과 방위별 창문 전도열을 이용하여 난방부하를 계산하고, 상기 공조기가 냉방모드인 경우 상기 방위별 외벽 전도열과 방위별 유리 일사열을 이용하여 냉방부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실내에 복수의 공조기가 설치된 경우, 상기 공조기의 동작 타이밍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기 설정된 전체허용전력 내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실정보 관리부는, 상기 가스농도와 실내의 통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재실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의 체적에 따른 최적의 공조조건을 설정하고, 재실상태에 따른 공기부하량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이나 유리 등을 통한 열전도율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기부하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공기부하량의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은 공기정화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에서 실내 체적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에서 재실상태에 따라 공조기의 출력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에서 복수의 공조기의 전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공기정화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정화 관리시스템은 센서(10), 공조기(20), 전력량계(30) 및 공기관리장치(100)를 포함한다. 센서(10)는 실내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거나, 재실정보를 수집한다. 이 경우, 센서(10)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조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0)는 복수로 형성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기관리장치(100)로 환경정보나 재실정보를 전송한다.
공조기(20)는 냉방, 난방, 공기정화, 제습 등이 가능한 장치이다. 공조기(20)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천정형, 이동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조기(20)는 공기관리장치(100)에 의해 제어된다.
전력량계(30)는 배전함에 설치되어 실내 전력량을 측정한다. 전력량계(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기관리장치(100)로 전력정보를 전송한다. 이는 실시간으로 전력소비량을 판단하여 사용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공기관리장치(100)는 센서(10)로부터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센서(10)로부터 환경정보, 재실정보 등을 수집하게 된다. 공기관리장치(100)는 전력량계(30)로부터 실시간 전력정보를 획득한다. 공기관리장치(100)는 환경정보, 재실정보, 전력정보 등을 이용하여 실내 냉방, 난방 등의 부하량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하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기정화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40) 또는 조명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건물의 관리자나 매장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40)은 공기관리장치(100)로부터 실내의 환경정보, 재실정보, 전력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원격에서 공기관리장치(100)를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조명장치(50)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조명으로 전력소비량이나 조도를 감지한다. 조명장치(50)는 복수로 형성되어 출력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장치(50)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출력세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공기관리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100)는 부피정보 관리부(110), 환경정보 관리부(120), 재실정보 관리부(130), 전력정보 관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부피정보 관리부(110)는 실내 공간에 대한 부피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부피정보 관리부(110)는 레이저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부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피정보는 바닥면의 공간과 천정고를 측정하여 계산된다. 부피정보는 실내 공간에 대해 초기에 설정된다. 이러한 부피정보는 실내의 공기부하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부피정보 관리부(110)는 측정된 부피정보를 위치정보와 함께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피정보 관리부(110)는 개방형의 넓은 공간의 경우 가상의 공간을 구획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부피정보 관리부(110)는 이동형로봇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부피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형로봇에는 레이저센서, 접촉센서,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형로봇은 자율주행 알고리즘에 의해 구동되면서 실내 공간을 학습한다. 예를 들어, 이동형로봇은 랜덤한 실내 공간에 놓여지게 되면 벽면으로 접촉하도록 자율주행할 수 있다. 이는 실내의 벽면을 따라 이동로봇이 주행하면서 전체적인 바닥면적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형로봇은 동일한 실내의 공간을 복수로 반복하면서 평균값을 면적값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이동형로봇의 상부측에 위치한 레이저센서를 이용하여 천정고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공간을 스스로 학습하면 부피정보를 완성할 수 있다.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실내 및 실외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한다.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실내 및 실외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실외의 환경정보를 외부의 기상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실외의 환경정보를 실내의 위치정보에 따른 지역별 기상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실내 및 실외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환경정보는 내기의 실외 배출 및 외기의 실내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또한,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실내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실내의 온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거나 온도 변화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로 판단할 수 있다.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환경정보 관리부(120)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을 산란시켜 광전소자의 수광량이 변하여 작동하는 광전식 연기감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온화식 연기감지센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실내의 가스농도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재실정보를 관리한다. 재실정보는 사용자 유무, 사용자 인원수, 사용자 활동성향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실내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농도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면적별 사용자 인원수, 활동성향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화량에 대한 기 설정된 특성테이블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실정보는 매장과 같이 불특정한 사람들이 왕래하는 공간에서 사용자 이용추이별 최적의 공조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된다.
또한,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통신정보를 획득하여 재실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가스농도와 통신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농도를 기준으로 재실인원이 2명이라 판단되고, 해당 위치에 통신정보에서 서로 다른 3개의 통신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재실인원을 3명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외부의 통신서버를 통해 통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실내의 소리정보를 획득하여 재실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소리정보는 실내의 음파에 대한 정보로 사람이 재실한 경우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한다.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가스농도와 소리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재실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농도를 기준으로 재실인원이 2명이라 판단되고, 소리정보를 통해 3개의 서로 다른 음성주파수를 감지하는 경우 재실인원을 3명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리정보는 음파감지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실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재실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영상정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사람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가스농도와 영상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재실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농도를 기준으로 재실인원이 2명이라 판단되고, 영상정보를 통해 3개의 서로 다른 객체가 감지하는 경우 재실인원을 3명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재실정보 관리부(130)는 가스정보 외에 통신정보, 소리정보 및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재실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가스정보 외에 통신정보, 소리정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재살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력정보 관리부(140)는 실내에 설치된 냉방 또는 난방 공조기의 전력소비량을 획득하여 전력정보를 관리한다. 전력정보 관리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실내에 설치된 냉난방 공조기의 전력소비량을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전력정보는 전력소비량, 전력사용시간, 전력사용패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전력정보 관리부(140)는 전체 전력소비량과 각 공조기의 전력소비량을 관리할 수 있다. 전력정보 관리부(140)는 공조기 외에 전체 전력소비량에 대한 전력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력정보는 공조기의 전력소비를 절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부(150)는 실내의 부피정보, 환경정보, 재실정보 및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공조기를 전력절감모드 또는 공기정화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전력절감모드는 공조기의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도록 공조기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공기정화모드는 실내의 공기오염도를 최소화하도록 공조기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제어부(150)는 실내에 사람이 부재하거나 일정수 이하인 경우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도록 전력절감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실내에 사람이 일정수 이상이 재실한 경우에는 공기오염도를 최소화하도록 공조기를 공기정화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동작모드를 기 설정된 시간주기마다 업데이트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공조기가 난방모드인 경우 방위별 외벽 전도열과 방위별 창문 전도열을 이용하여 난방부하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시간별 실내 온도와 외기 온도의 차이와 외벽의 열관류율, 방위계수 및 면적을 이용하여 방위별 외벽 전도율을 계산한다. 이 경우, 방위별 외벽 전도율은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30393631-pat00001
수학식 1에서 Fh(1)은 방위별 외벽 전도율, d1은 외벽의 면적을 나타내고, f1은 외벽의 열관류율, f2는 외벽의 방위계수, N은 실내온도, O는 외기온도를 나타내고, k6, k7은 카운트를 나타낸다. 이 경우, 외벽의 면적은 동, 서, 남, 북의 4방위로 계산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시간별 외기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와 창문의 열관류율, 방위계수 및 면적을 이용하여 방위별 창문 전도율을 계산한다. 이 경우, 방위별 창문 전도율은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30393631-pat00002
수학식 1에서 Fh(2)는 방위별 창문 전도율, d2는 창문의 면적을 나타내고, f3은 창문의 열관류율, f4는 창문의 방위계수, N은 실내온도, O는 외기온도를 나타내고, k6, k7은 카운트를 나타낸다. 이 경우, 창문의 면적은 동, 서, 남, 북의 4방위로 계산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난방부하는 F(H)=Fh(1)+Fh(2)로 계산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공조기가 냉방모드인 경우 방위별 외벽 전도열과 방위별 유리 일사열을 이용하여 냉방부하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시간별 실내 온도와 외기 온도의 차이와 외벽의 열관류율, 방위계수 및 면적을 이용하여 방위별 외벽 전도율을 계산한다. 이 경우, 방위별 외벽 전도율은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방위별 유리 일사열은 아래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30393631-pat00003
수학식 3에서, Fh(3)은 방위별 유리 일사열, d3는 유리의 면적, A는 유리의 수정일사량 취득계수, f5는 유리의 일사량계수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냉방부하는 F(C)=Fh(1)+Fh(3)으로 계산된다. 이 경우, 냉방부하는 방위별 창문 전도율을 반영하여 F(C)=F(1)n+Fh(2)+Fh(3)로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실내에 복수의 공조기가 설치된 경우 전체허용전력 이내가 되도록 각 공조기의 동작 타이밍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조기의 소비전력이 5kW이고, 제2 공조기의 소비전력 5kW인 경우, 전체허용전력이 8kW인 경우 제1 공조기와 제2 공조기의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여 전체 소비전력이 8kW 이내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허용전력은 전력소비량을 제한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키기 위해 설정된 전력을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설정된 온도나 습도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냉난방 공조기의 타이밍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량도 일정 이하로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실내에 조명장치의 디밍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실내의 재실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조명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창문의 일사량정보를 이용하여 창문 주변의 조명의 세기를 일사량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사량이 증가하는 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조명의 출력을 낮추고, 일사량이 감소하는 시간대에는 조명의 출력을 높이게 된다. 제어부(150)는 공조기에 의한 전력정보와 조명에 의한 전력정보를 비교하여 최대허용전력 내에서 공조기와 조명이 동시에 동작시 조명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체 전력량을 최대허용전력 이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재실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나, 사용자수에 따라 공조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실내에 복수의 공조기가 설치된 경우에는 각 공조기와 실내의 사용자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공조기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정보나 레이저센서를 이용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내에 재실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사용자수가 많을수록 공조기의 출력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공조기를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효과적으로 출력량을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100)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한다. 통신부(160)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환경정보 및 전력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러한 환경정보 및 전력정보는 건물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실내의 환경정보의 변화량이나 전력정보의 변화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공조기의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시 사용자 단말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조기가 일정 시간이상 전력의 변화량이 없는 경우 고장신호를 전송하고, 공조기 주변의 연기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속하게 공조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공조기의 동작스케줄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사람이 재실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가 실내 근처에 접근하면 공조기를 미리 가동시켜 실내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학습된 일별 재실정보를 분석하여 공조기의 동작스케줄을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실시간 측정된 재실정보에 기초하여 공조기의 동작스케줄을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100)는 평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가부(170)는 사용자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이용하여 현재의 공조조건을 수정하는데 사용된다. 평가부(170)는 현재의 공조조건에 대해 관리자로부터 평점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사업장의 평가정보를 분석하여 평점이 높은 실내의 공조조건을 분석하여 변경할 수 있다. 평가부(17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별, 월별, 분기별, 연별로 평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격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어하는 경우에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평가부(17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평가정보를 기준으로 전자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지도에는 건물의 위치정보와 평가정보가 표시되며, 각 건물에서의 환경정보, 전력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같은 건물이라도 층수나 창문의 방향 등에 따라 환경정보, 전력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전자지도에는 전력효율이 좋은 건물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냉방비나 난방비 등의 전력계통의 관리바기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정보는 부동산 중개업자 등에게 제공되어, 건물을 매수하거나 임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사전에 건물의 관리비정보를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에서 실내 체적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센서 또는 접촉센서가 구비된 이동형로봇(300)이 실내를 자율주행하면서 면적을 계산한다. 이 경우, 이동형로봇(300)은 지그재그경로, 직선주행경로, 장애물 회피경로 등으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이동형로봇(300)은 실내의 경계면과 접촉하면서 벽면을 감지하면서 면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동형로봇(300)은 상부에 레이저센서가 설치되어 천정고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내의 면적 크기에 따라 복수의 이동형로봇(300)을 주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이동형로봇과 제2 이동형로봇의 실내의 면적정보를 비교하여 평균치로 최종 면적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에서 재실상태에 따라 공조기의 출력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내에 제1 공조기(C1)와 제2 공조기(C2)가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공조기(C1)와 제2 공조기(C2)는 실내에 사용자가 재실한 경우 각 사용자와의 거리를 판단한다. 이 경우, 제1 공조기(C1)와 제2 공조기(C2)에는 레이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공조기(C2)로부터 측정된 제1 거리와, 제2 공조기(C2)로부터 측정된 제2 거리를 비교하여 제1 거리가 더 짧은 경우 제1 공조기(C1)의 출력량을 제2 공조기(C2)의 출력량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공조기(C1, C2)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내에 복수의 사용자(P1, P2)가 위치한 경우, 각 사용자와 각 공조기 간의 거리를 연산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공조기(C1)와 제2 공조기(C2)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출력세기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수가 적은 곳에는 전력소비가 낮아짐에 따라 전체적인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에서 복수의 공조기의 전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공조기, 제2 공조기 및 제3 공조기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며, 이 경우 허용최대전력(일정한 주기 내에서 동작 시간 100%인 경우)이 각각 1100W, 1650W 및 2000W이고, 동작 주기가 1분이며, 전력 허용치는 3.3kW라고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세번째 주기(cycle 3)를 비교하면, 제2 공조기가 턴-온되어 동작을 개시함과 동시에 제1 공조기의 동작이 잠시 멈춘다. 그리고 제2 공조기가 주기적으로 턴-오프(turn-off)되는 시간동안 제1 공조기가 턴-온되어 동작함으로써 동시 동작 구간이 0으로 맞추어 순간 소모 전력을 최소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셋 이상의 공조기가 동작할 때 동시 동작 구간이 불가피하게 생길 경우(0초 초과)에는 적어도 셋 이상의 공조기들 중 적어도 어느 둘 이상의 공조기의 소모전력의 합이 최소이면서, 동시 동작 구간이 최소가 되는 조합으로 각 공조기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또한 다섯번째 주기(cycle 5)를 비교하면, 제1 공조기 및 제2 공조기가 동작 개시 중에 제3 공조기가 소모전력 50%, 즉, 동작 시간 30초로 주기적으로 턴-온된다. 이때 제1 공조기와 제2 공조기의 소모 전력의 합은 2750W, 제2 공조기와 제3 공조기의 소모전력의 합은 3650W, 제3 공조기와 제1 공조기의 소모 전력의 합은 3100W이므로, 상기 조합 중에서 가장 작은 소모 전력의 합을 가지는 제1 공조기와 제2 공조기가 동시 동작 구간을 갖도록 동작 개시 타이밍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3 공조기의 동작 시간과 이격되어 제1 공조기 및 제2 공조기가 동시 동작 구간을 갖도록 개시 타이밍을 조절하면, 절전제설매트(100)는 한 주기 내에서 순간 소모 전력은 30초 동안 2750W 및 이후 30초 동안 2000W로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내 공기조건이 미리 설정된 최적조건의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S110). 이 경우, 최적조건은 실내의 온도, 습도, 재실정보 등을 포함하는 조건으로 초기에 설정한 값이다. 실내 공기조건이 최적조건의 범위 내인 경우 외부 기상정보를 수집한다(S120). 외부 기상정보는 기상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내 온도 및 습도정보를 수집한다(S130). 실내 온도 및 습도정보는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내의 재실정보를 수집한다(S140). 이 경우, 재실정보로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냉난방부하정보가 최적조건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S150). S110 단계에서 실내 공기조건이 최적조건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온도를 조절한다(S115). 이후, S150 단계에서 냉난방부하정보가 최적조건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 다시, S150 단계에서 냉난방부하정보가 최적조건 이내인 경우 공조기의 전력을 측정하고 종료한다(S160). 냉난방부하저보가 최적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설비를 제어하고 S120단계부터 다시 동작한다(S155). 이러한, 동작흐름은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센서
11 : 기상정보
20 : 공조기
30 : 전력량계
40 : 사용자 단말
50 : 조명장치
100 : 공기관리장치
110 : 부피정보 관리부
120 : 환경정보 관리부
130 : 재실정보 관리부
140 : 전력정보 관리부
150 : 제어부
160 : 통신부
170 : 평가부
300 : 이동형로봇

Claims (5)

  1. 레이저센서, 접촉센서 및 조도센서로 형성된 이동형 로봇이 자율주행하면서 바닥면적과 천정고를 측정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부피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부피정보 관리부;
    실내 및 실외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환경정보 관리부;
    실내의 가스농도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재실정보를 관리하되, 일정한 시간 주기로 실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가스농도에 따른 재실인원과 상기 영상정보에 따른 재실인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재실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재실정보 관리부;
    실내에 설치된 냉방 또는 난방 공조기의 전력소비량을 획득하여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전력정보 관리부; 및
    상기 부피정보, 상기 환경정보, 상기 재실정보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기를 전력절감모드 또는 공기정화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제1 공조기와의 제1 거리정보와, 제2 공조기와의 제2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공조기 및 상기 제2 공조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기가 난방모드인 경우 방위별 외벽 전도열과 방위별 창문 전도열을 이용하여 난방부하를 계산하고, 상기 공조기가 냉방모드인 경우 상기 방위별 외벽 전도열과 방위별 유리 일사열을 이용하여 냉방부하를 계산하는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에 복수의 공조기가 설치된 경우, 상기 공조기의 동작 타이밍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기 설정된 전체허용전력 내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정보 관리부는,
    상기 가스농도와 실내의 통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재실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KR1020180169400A 2018-12-26 2018-12-26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KR10203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400A KR102034638B1 (ko) 2018-12-26 2018-12-26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PCT/KR2019/010904 WO2020138635A1 (ko) 2018-12-26 2019-08-27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PH12020551964A PH12020551964A1 (en) 2018-12-26 2020-11-18 Energy saving type indoor air manag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400A KR102034638B1 (ko) 2018-12-26 2018-12-26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638B1 true KR102034638B1 (ko) 2019-11-08

Family

ID=6854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400A KR102034638B1 (ko) 2018-12-26 2018-12-26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34638B1 (ko)
PH (1) PH12020551964A1 (ko)
WO (1) WO20201386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395B1 (ko) * 2021-04-07 2021-09-08 동양비엠에스(주) 스마트 인공지능 환경감시제어장치
KR20220090841A (ko) * 2020-12-23 2022-06-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존 규모로 측정된 건물의 에너지사용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790A (ja) * 1992-07-30 199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空気調和機の冷暖房制御システム
JP2005226904A (ja) * 2004-02-12 2005-08-2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2013124834A (ja) * 2011-12-15 2013-06-24 Toyota Home Kk 住環境管理システム
JP2016200311A (ja) * 2015-04-08 2016-12-01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847A (ko) * 2013-12-26 2015-07-06 전자부품연구원 셀룰러 통신 신호를 이용한 실내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174963B2 (en) * 2015-06-23 2019-01-08 Qin Zhang Smart building HVAC energy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790A (ja) * 1992-07-30 199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空気調和機の冷暖房制御システム
JP2005226904A (ja) * 2004-02-12 2005-08-2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2013124834A (ja) * 2011-12-15 2013-06-24 Toyota Home Kk 住環境管理システム
JP2016200311A (ja) * 2015-04-08 2016-12-01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841A (ko) * 2020-12-23 2022-06-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존 규모로 측정된 건물의 에너지사용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83390B1 (ko) 2020-12-23 2023-09-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존 규모로 측정된 건물의 에너지사용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299395B1 (ko) * 2021-04-07 2021-09-08 동양비엠에스(주) 스마트 인공지능 환경감시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20551964A1 (en) 2021-09-13
WO2020138635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130B1 (ko) 에너지 절감형 공조기 관리장치
JP6283004B2 (ja) 空調設備の制御方法
ES2639539T3 (es) Sistema de muestreo de aire de múltiples puntos que tiene sensores comunes para proporcionar información de parámetros de calidad de aire mezclada para monitoreo y control de construcción
KR101160986B1 (ko) 실내공기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 제어 시스템
US20170154517A1 (en) Air quality alert system and method
KR102034638B1 (ko)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JP2007120090A (ja) 日射遮蔽制御装置
KR20190066814A (ko) 공기질 정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6382A (ko) 환경센서를 통한 가정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A2641366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ssessing and reducing air pollution by regulating airflow ventilation
JP2007183032A (ja) 環境制御用ロボット装置及びシステム
CN106440270A (zh) 室内空气监测与净化智能控制***及监测净化方法
CN106886171B (zh) 电器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WO2017203603A1 (ja)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機、及び空調システム
KR101881509B1 (ko)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CN105757882A (zh) 一种热舒适性室内环境综合控制方法及装置
US9854644B2 (en) Lighting control analyzer
KR102546739B1 (ko)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Lan et al. Advanced building energy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 integrated EnergyPlus platform for personal climate control
Kolková et al. Analysis of ensuring thermal comfort using an intelligent control system
KR102404374B1 (ko) 실내외 센서 모듈을 이용한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JP3374754B2 (ja) 空調システム制御装置
CN116839186A (zh) 一种中央空调智能控制装置
KR102479044B1 (ko)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534056B1 (ko)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