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727B1 - 서브모듈 - Google Patents

서브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727B1
KR102030727B1 KR1020180034683A KR20180034683A KR102030727B1 KR 102030727 B1 KR102030727 B1 KR 102030727B1 KR 1020180034683 A KR1020180034683 A KR 1020180034683A KR 20180034683 A KR20180034683 A KR 20180034683A KR 102030727 B1 KR102030727 B1 KR 10203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connection
pack
electrod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553A (ko
Inventor
정택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727B1/ko
Priority to CN201910137803.4A priority patent/CN110365226B/zh
Priority to US16/286,814 priority patent/US10819114B2/en
Priority to EP19161957.6A priority patent/EP3547472A1/en
Publication of KR2019011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4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chas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07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eries compensators
    • H02J3/1814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eries compensators wherein al least one reactive element is actively controlled by a bridge converter, e.g. unified power flow controllers [UPF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35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 H02J3/1864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wherein the stepless control of reactive power is obtained by at least one reactive element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miconductor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0Housing; Encapsulation
    • H01G2/106Fixing the capacitor in a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Y02E40/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서브모듈은 다수의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파워팩과, 다수의 스위칭모듈과 접속되어 파워팩의 제1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와, 다수의 스위칭모듈과 접속되어 파워팩의 제2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와, 커패시터소자를 포함하는 커패시터팩과, 커패시터팩의 일면의 양 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파워팩과 커패시터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 각각은 제1 및 제2 연결부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브모듈{Submodule}
본 발명은 서브모듈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 수요는 급증하는데 반해, 전력생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생산지에서 생성된 전력을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수요지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계통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전력조류와 계통전압, 안정도 향상을 위한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FACTS 설비 중 3세대로 불리는 전력보상장치의 일종인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설비는 전력계통에 병렬로 병입되어 전력계통에서 필요로 하는 무효전력 및 유효전력을 보상해 주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계통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력계통시스템(10)은 전력생성원(20), 전력계통(30), 부하(40) 및 다수의 전력보상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생성원(20)은 전력을 생성하는 장소나 설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력을 생성하는 생산자로 이해될 수 있다.
전력계통(30)은 전력생성원(20)에서 생성된 전력을 부하(40)로 송전하도록 하여 주는 전력선, 철탑, 피뢰기, 애자 등을 포함하는 일체의 설비를 의미할 수 있다.
부하(40)는 전력생성원(20)에서 생성된 전력을 소비하는 장소나 설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력을 소비하는 소비자로 이해될 수 있다.
전력보상장치(50)는 전력계통(30)에 연계되어, 전력계통(30)으로 흐르는 전력 중에서 유효전력 또는 무효전력의 공급 또는 부족에 따라 해당 유효전력 또는 무효전력을 보상하여 주는 장치일 수 있다.
전력보상장치(50)는 최근 멀티레벨 컨버터(MMC: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타입의 STATCOM 설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멀티레벨 컨버터타입의 STATCOM은 다수의 서브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브모듈은 내부의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력보상장치는 다수의 서브모듈을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서브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워팩과 커패시터팩의 탈부착이 용이한 서브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브모듈은, 다수의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파워팩; 상기 다수의 스위칭모듈과 접속되어 상기 파워팩의 제1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 상기 다수의 스위칭모듈과 접속되어 상기 파워팩의 제2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 커패시터소자를 포함하는 커패시터팩; 및 상기 커패시터팩의 일면의 양 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팩과 상기 커패시터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패시터팩에 체결된 연결부에 파워팩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부스바가 슬라이딩 체결됨으로써, 커패시터팩과 파워팩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계통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MMC 기반 전력보상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실시예에 따른 MMC 기반 전력보상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의 저면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MMC 기반 전력보상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력보상장치는 프레임(70)에 구비되어 서로 적층되는 다수의 절연유닛(81, 83, 85)과 다수의 캐비닛(91, 93, 95)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유닛(81, 83, 8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자가 설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캐비닛(91, 93, 95)은 다수의 서브모듈(92, 94, 96)이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서브모듈유닛(11-1, 11-3, 11-5)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일 수 있다.
각 캐비닛(91, 93, 95)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유닛(81, 83, 85)은 각 캐비닛(91, 93, 95)에 수용되는 서브모듈유닛(11-1, 11-3, 11-5)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1 캐비닛(91)에 수용되는 제1 서브모듈유닛(11-1)은 3상 교류전압 중에서 제1 상, 예컨대 a 상의 전압을 컨버팅하기 위한 다수의 서브모듈(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비닛(93)에 수용되는 제2 서브모듈유닛(11-3)은 3상 교류전압 중에서 제2 상, 예컨대 b 상의 전압을 컨버팅하기 위한 다수의 서브모듈(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캐비닛(95)에 수용되는 제3 서브모듈유닛(11-5)은 3상 교류전압 중에서 제3상, 예컨대 c 상의 전압을 컨버팅하기 위한 다수의 서브모듈(9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서브모듈(92) 중에서 제1 서브모듈에 입력부스바(busbar, 71)가 접속되고, 마지막 서브모듈에 출력부스바(75)가 접속되며, 그 외 서브모듈 간에는 연결부스바(73)가 접속될 수 있다.
각 서브모듈(92, 94, 96)은 각 캐비닛(91, 93, 95)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 슬라이딩레일부(68)에 의해 캐비닛(91, 93, 95) 안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2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캐비닛(91, 93, 95) 및 3개의 절연유닛(81, 83, 85)이 도시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캐비닛(91, 93, 95)의 개수 및 절연유닛(81, 83, 85)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프레임(70)의 하부에는 프레임(70)을 이동시키는 바퀴(103)가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바퀴(103)에 의해 무거운 하중을 갖는 프레임(70)이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만일 프레임(70)이 특정 장소에 고정되는 경우, 바퀴(103)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는 실시예에 따른 MMC 기반 전력보상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MMC 기반 전력보상장치(10)는 각 상 별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서브모듈(92, 94, 9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서브모듈(92, 94, 96)의 동작에 의해 전력계통으로 유효전력이나 무효전력이 공급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유효전력이나 무효전력이 흡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Y-형 전력보상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Δ-형 전력보상장치 또한 본 발명에 채택될 수 있다.
각 상에 구비된 다수의 서브모듈(92, 94, 96)이 하나의 밸브(valve)로 정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4은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92, 94, 96)은 파워팩(13) 및 커패시터팩(55)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팩(13)과 커패시터팩(55)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파워팩(13)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커패시터팩(55)이 충방전될 수 있다.
커패시터팩(55)은 케이스와 그 케이스 안에 설치된 커패시터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소자는 서브모듈(92, 94, 96)로 입력되는 에너지(전력)를 저장하여 주고, 이 에너지가 서브모듈(92, 94, 96) 내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력계통에 무효전력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파워팩(13)의 후면에 커패시터팩(55)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파워팩(13)과 커패시터팩(55)는 슬라이딩 체결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파워팩(13)의 후단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63, 65) 각각이 캐패시터팩(55)의 전단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연결부(110, 12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파워팩(13)과 커패시터팩(55)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체결 방식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57, 59)가 파워팩(13)의 외부, 즉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57, 59)는 케이스(141)를 통해 케이스(141) 안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칭모듈에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부스바(57)는 파워팩(13)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 스위칭모듈 중 제1 및 제3 스위칭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입력부스바(59)는 제1 내지 제4 스위칭모듈 중 제2 및 제4 스위칭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스위칭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보드(130)가 파워팩(13)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57, 59)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스바(73)이거나,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스바(7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57, 59)를 통해 전력계통으로부터 흡수된 유효전력 또는 무효전력이 입력되거나 커패시터소자에 충전된 에너지를 유효전력 또는 무효전력으로 전력계통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57, 59)는 다른 말로 제1 및 제2 입력단자로 명명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57, 59)는 바이패스스위치(BPS: ByPass Switch, 6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즉, 바이패스스위치(61)의 제1 스위치단자(161)가 제1 입력부스부(57)에 접속되고, 바이패스스위치(61)의 제2 스위치단자(163)가 제2 입력부스바(59)에 접속될 수 있다.
바이패스스위치(61)는 제1 스위치단자(161)와 제2 스위치단자(163)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단자(161)는 바이패스스위치(61)의 상측으로부터 제1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제2 스위치단자(163)는 바이패스스위치(61)의 하측으로부터 제1 수평방향과 반대인 제2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입력부스바(57)은 제1 스위치단자(161)의 제1 돌출부에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고, 제2 입력부스바(59)는 제2 스위치단자(163)의 제2 돌출부에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스위치(61)는 파워팩(13) 내에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에 에러가 발생되어 고장나는 경우,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57, 59) 사이를 전기적으로 쇼트시켜, 제1 입력부스바(57)로부터 바이스패스스위치(61)를 경유하여 제2 입력부스바(59)로 전류를 바이패스시켜 해당 파워팩(13)을 포함하는 서브모듈(92, 94, 96)을 탈락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탈락이라 함은 해당 서브모듈(92, 94, 96)이 사용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파워팩(13)의 상측에는 캐비닛(91, 93, 95)의 상측에 설치된 슬라이딩레일부(68)와 대응되어, 파워팩(13)이 캐비닛(91, 93, 95)에 인입될 때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는 제1 슬라이딩가이드부(1191)이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패시터팩(55)의 상측에는 캐비닛(91, 93, 95)의 상측에 설치된 슬라이딩레일부(68)와 대응되어, 커패시터팩(55)이 캐비닛(91, 93, 95)에 인입될 때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는 제2 슬라이딩가이드부(119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슬라이딩가이드부(1191, 1193)을 통칭하여 슬라이딩가이드부(119)로 명명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부(119)가 캐비닛(91, 93, 95)의 상측에 설치된 슬라이딩레일부(68)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도 4 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슬라이딩가이드부(1191) 및 제2 슬라이딩가이드부(1193)이 각각 파워팩(13)의 상측 및 커패시터팩(55)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필요에 따라 제1 슬라이딩가이드부(1191) 및 제2 슬라이딩가이드부(1193)가 각각 파워팩(13)의 하측 및/또는 측면 및 커패시터팩(55)의 하측 및/또는 측면에 구비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딩레일부(68)는 캐비닛(91, 93, 95)의 바닥부 또는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의 저면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서브모듈의 저면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파워팩(13)의 후단에 제1 연결부스바(63)와 제2 연결부스바(65)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스바(63)는 파워팩(13)의 제1 측면으로부터 파워팩(13)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스바(65)는 파워팩(13)의 제2 측면으로부터 파워팩(13)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은 제1 측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스바(63)는 파워팩(13)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 스위칭모듈 중 제1 및 제2 스위칭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부스바(65)는 제1 내지 제4 스위칭모듈 중 제3 및 제4 스위칭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스바(63)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모듈에 연결된 제1 출력전극에 체결되고, 제2 연결부스바(65)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제3 및 제4 스위칭모듈에 연결된 제2 출력전극에 체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팩(55)의 전단에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0)는 커패시터팩(55)의 제1 영역으로부터 커패시터팩(55)의 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0)는 커패시터팩(55)의 제2 영역으로부터 커패시터팩(55)의 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커패시터팩(55)의 전단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0)는 커패시터팩(55)에 구비된 커패시터소자의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부(120)는 커패시터팩(55)에 구비된 커패시터소자의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0)는 제1 커패시터전극(111)과 제1 커패시터전극(111)에 체결된 제1 연결전극(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은 커패시터소자의 제1 단자일 수 있다. 또는 제1 커패시터전극(111)은 커패시터소자의 제1 단자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은 상기 커패시터팩(55)의 제1 영역으로부터 파워팩(13)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의 일측은 커패시터소자에 체결되고, 커패시터전극의 타측은 스크류(165)를 이용하여 제1 연결전극(113)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과 제1 연결전극(113)은 우수한 도전성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과 제1 연결전극(113)은 상이한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커패시터전극(111)은 구리를 포함하고, 제1 연결전극(113)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과 제1 연결전극(113)은 동일한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커패시터전극(111)과 제1 연결전극(113)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전극(113)은 제1 측에 구비된 제1 체결홈(151)과 제1 측의 반대편인 제2 측에 구비된 제1 가이드홈(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홈(151)과 제1 가이드홈(155)은 동일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홈(151)은 제1 측에서 파워팩(13)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155)은 제2 측에서 커패시터팩(55)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전극(113)은 제2 측에 구비된 제1 슬라이딩유도부(1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유도부(161)는 제1 가이드홈(155)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스바(63)가 제1 연결전극(113)의 제1 슬라이딩유도부(161)에 의해 제1 가이드홈(155)으로 유도된 후, 제1 가이드홈(155) 내로 슬라이딩 인입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이 제1 연결전극(113)의 제1 체결홈(151)에 삽입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165)를 이용하여 제1 연결전극(113)의 제1 체결홈(151) 내에서 제1 커패시터전극(111)이 제1 연결전극(113)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류(165)가 제1 연결전극(113)의 제1 외측면으로부터 제1 체결홈(151)을 관통한 후 제1 외측면의 반대면이 제2 외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165)가 제1 연결전극(113)의 제2 외측면에서 제1 체결홈(151)을 관통할 수도 있다.
제1 연결전극(113)이 커패시터팩(55)에 체결된 후, 제1 체결홈(151)이 제1 연결전극(113)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체결홈이 제1 연결전극(113)에 체결된 후, 제1 연결전극(113)이 커패시터팩(55)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0)는 제2 커패시터전극(121)과 제2 커패시터전극(121)에 체결된 제2 연결전극(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전극(121)은 커패시터소자의 제2 단자일 수 있다. 또는 제2 커패시터전극(121)은 커패시터소자의 제2 단자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전극(121)은 상기 커패시터팩(55)의 제2 영역으로부터 파워팩(13)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전극(121)의 일측은 커패시터소자에 체결되고, 커패시터전극의 타측은 스크류(167)를 이용하여 제2 연결전극(123)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전극(121)과 제2 연결전극(123)은 우수한 도전성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커패시터전극(121)과 제2 연결전극(123)은 상이한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커패시터전극(121)은 구리를 포함하고, 제2 연결전극(123)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전극(121)과 제2 연결전극(123)은 동일한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커패시터전극(121)과 제2 연결전극(123)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전극(111)과 상기 제2 커패시터전극(121)은 동일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연결전극(113)과 제2 연결전극(123)은 동일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커패시터전극(121)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전극(123)은 제1 측에 구비된 제2 체결홈(153)과 제1 측의 반대편인 제2 측에 구비된 제2 가이드홈(1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홈(153)과 제2 가이드홈(157)은 동일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홈(153)은 제1 측에서 파워팩(13)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157)은 제2 측에서 커패시터팩(55)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전극(123)은 제2 측에 구비된 제2 슬라이딩유도부(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유도부(163)는 제2 가이드홈(157)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스바(65)가 제2 연결전극(123)의 제2 슬라이딩유도부(163)에 의해 제2 가이드홈(157)으로 유도된 후, 제2 가이드홈(157) 내로 슬라이딩 인입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전극(121)이 제2 연결전극(123)의 제2 체결홈(153)에 삽입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167)를 이용하여 제2 연결전극(123)의 제2 체결홈(153) 내에서 제2 커패시터전극(121)이 제2 연결전극(123)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류(167)가 제2 연결전극(123)의 제1 외측면으로부터 제2 체결홈(153)을 관통한 후 제1 외측면의 반대면이 제2 외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홈(151)의 제2 외측면과 제2 체결홈(153)의 제2 외측면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스크류(167)가 제2 연결전극(123)의 제2 외측면에서 제2 체결홈(153)을 관통할 수도 있다.
제2 연결전극(123)이 커패시터팩(55)에 체결된 후, 제2 체결홈(153)이 제2 연결전극(123)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제2 체결홈(153)이 제2 연결전극(123)에 체결된 후, 제2 연결전극(123)이 커패시터팩(55)에 체결될 수 있다.
파워팩(13)의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63, 65) 각각은 커패시터팩(55)의 제1 및 제2 연결부(110, 120)에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워팩(13)의 제1 연결부스바(63)는 제1 연결부(110)의 제1 연결전극(113)의 제1 가이드홈(155) 내로 슬라이딩 인입되어, 제1 연결부스바(63)가 제1 연결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파워팩(13)의 제2 연결부스바(65)는 제2 연결부(120)의 제2 연결전극(123)의 제2 가이드홈(157) 내로 슬라이딩 인입되어, 제1 연결부스바(63)가 제1 연결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155)의 폭은 적어도 제1 연결부스바(63)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스바(63)가 제1 연결부(110)의 제1 연결전극(113)의 제1 가이드홈(155) 내로 슬라이딩 인입되는 경우, 제1 연결부스바(63)가 제1 가이드홈(155)의 내면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스바(63)가 제1 가이드홈(155) 내로 가능한 많이 인입될수록, 제1 연결부스바(63)와 제1 연결전극(113) 간의 접촉 면적이 커 제1 연결부스바(63)와 제1 연결전극(113) 간의 접촉 저항이 줄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가이드홈(155) 내에서 제1 연결부스바(63)의 양측면 모두 제1 가이드홈(155)의 내면에 접촉되므로, 접촉 면적이 극대화되어 접촉 저항이 줄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홈(157)의 폭은 적어도 제2 연결부스바(65)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스바(65)가 제2 연결부(120)의 제2 연결전극(123)의 제2 가이드홈(157) 내로 슬라이딩 인입되는 경우, 제2 연결부스바(65)가 제2 가이드홈(157)의 내면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스바(65)가 제2 가이드홈(157) 내로 가능한 많이 인입될수록, 제2 연결부스바(65)와 제2 연결전극(123) 간의 접촉 면적이 커 제2 연결부스바(65)와 제2 연결전극(123) 간의 접촉 저항이 줄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가이드홈(157) 내에서 제2 연결부스바(65)의 양측면 모두 제2 가이드홈(157)의 내면에 접촉되므로, 접촉 면적이 극대화되어 접촉 저항이 줄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63, 65)는 파워팩(13)에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110, 120)는 커패시터팩(55)에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3: 파워팩
55: 커패시터팩
57, 59: 입력부스바
61: 바이패스스위치
63, 65: 연결부스바
92, 94, 96: 서브모듈
110, 120: 연결부
111, 121: 커패시터전극
113, 123: 연결전극
130: 제어보드
151, 153: 체결홈
155, 157: 가이드홈
161, 163: 슬라이딩유도부
165, 167: 스크류

Claims (14)

  1. 다수의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파워팩;
    상기 다수의 스위칭모듈과 접속되어 상기 파워팩의 제1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입력부스바;
    상기 다수의 스위칭모듈과 접속되어 상기 파워팩의 제2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
    커패시터소자를 포함하는 커패시터팩; 및
    상기 커패시터팩의 일면의 양 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팩과 상기 커패시터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스바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커패시터소자의 제1 단자에 체결되고 상기 커패시터팩의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파워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커패시터전극;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전극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스바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 연결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전극은
    제1 측에서 상기 파워팩을 향해 형성된 제1 체결홈; 및
    제2 측에서 상기 커패시터팩을 향해 형성된 제1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서브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홈과 상기 제1 가이드홈은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서브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전극은,
    상기 제2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연결되는 제1 슬라이딩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서브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스바는,
    상기 제1 슬라이딩유도부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 유도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서브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전극은,
    상기 제1 체결홈에 고정되는 서브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의 폭은 상기 제1 연결부스바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서브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커패시터소자의 제2 단자에 체결되고 상기 커패시터팩의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파워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커패시터전극;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전극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스바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연결전극을 포함하는 서브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전극은,
    제1 측에서 상기 파워팩을 향해 형성된 제2 체결홈; 및
    제2 측에서 상기 커패시터팩을 향해 형성된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서브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전극은,
    상기 제2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과 연결되는 제2 슬라이딩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서브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은 동일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서브모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은 상이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서브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전극은 구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서브모듈.
KR1020180034683A 2018-03-26 2018-03-26 서브모듈 KR10203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83A KR102030727B1 (ko) 2018-03-26 2018-03-26 서브모듈
CN201910137803.4A CN110365226B (zh) 2018-03-26 2019-02-25 子模块
US16/286,814 US10819114B2 (en) 2018-03-26 2019-02-27 Submodule that is capable of connecting capacitor and power pack easily
EP19161957.6A EP3547472A1 (en) 2018-03-26 2019-03-11 Sub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83A KR102030727B1 (ko) 2018-03-26 2018-03-26 서브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553A KR20190112553A (ko) 2019-10-07
KR102030727B1 true KR102030727B1 (ko) 2019-10-10

Family

ID=6576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683A KR102030727B1 (ko) 2018-03-26 2018-03-26 서브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19114B2 (ko)
EP (1) EP3547472A1 (ko)
KR (1) KR102030727B1 (ko)
CN (1) CN1103652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3243B (zh) * 2020-12-31 2022-10-21 宁波海融电器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圆柱式一体干式电力电子电容器
JP2023027572A (ja) * 2021-08-17 2023-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79B1 (ko) * 2012-12-28 2014-04-29 주식회사 효성 전력용 컨버터
KR101404373B1 (ko) * 2014-01-08 2014-06-09 이옥형 클립 버스바 접속 구조를 이용한 igbt 스택 장치
KR101613812B1 (ko) * 2015-01-12 2016-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초고압 직류 송전의 바이패스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26952U1 (de) * 1986-10-10 1986-12-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erwagen für ein gekapseltes elektrisches Schaltfeld
US5086372A (en) * 1990-06-29 1992-02-04 Amp Incorporated Card edge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900332B2 (ja) * 1991-09-03 1999-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FR2853778B1 (fr) 2003-04-14 2005-06-03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correction de facteur de puissance triphase
DE502007004726D1 (de) * 2007-06-29 2010-09-23 Siemens Ag Schaltgerät mit zwei gesteuerten Phasen
CN102148579B (zh) * 2010-12-20 2014-08-27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模拟mmc多个子模块的等时间常数缩小子模块板
DE102011078811B3 (de) * 2011-07-07 2012-05-24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Leistungselektronisches System mit einer Kühleinrichtung
CN103036452B (zh) * 2012-12-10 2015-03-25 国网智能电网研究院 一种基于全控器件的电压源换流器的子模块单元
GB201511331D0 (en) 2015-06-29 2015-08-12 Alstom Technology Ltd Capacitor unit and electrical apparatus
CN205178894U (zh) * 2015-08-28 2016-04-20 洛阳中重自动化工程有限责任公司 防爆变频器模块化插拔式功率单元
JP2017168632A (ja) * 2016-03-16 2017-09-21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のコンデンサ接続構造及びコンデンサ群の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79B1 (ko) * 2012-12-28 2014-04-29 주식회사 효성 전력용 컨버터
KR101404373B1 (ko) * 2014-01-08 2014-06-09 이옥형 클립 버스바 접속 구조를 이용한 igbt 스택 장치
KR101613812B1 (ko) * 2015-01-12 2016-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초고압 직류 송전의 바이패스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553A (ko) 2019-10-07
US20190296527A1 (en) 2019-09-26
CN110365226A (zh) 2019-10-22
CN110365226B (zh) 2021-12-14
EP3547472A1 (en) 2019-10-02
US10819114B2 (en)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442B1 (ko) 서브모듈
KR102145029B1 (ko) 서브모듈 슬라이딩장치
US10811988B2 (en) Power management utilizing synchronous common coupling
US10608545B2 (en) Power management utilizing synchronous common coupling
US7498693B2 (en) More compact and higher reliability power source system
Geary et al. 380V DC eco-system development: pres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US20050180079A1 (en) More compact and higher reliability power supply module
US20080055822A1 (en) Scalable plant with top or bottom entry flexibility
KR102030727B1 (ko) 서브모듈
CN202019137U (zh) 一种具有换相功能的母线桥架
US10790759B2 (en) Drive system with an intermediate circuit busbar
CN106159964B (zh) 一种功率模块
WO2022170578A1 (zh) 逆变装置及逆变***
CN209823503U (zh) 用于数据中心的集成化ups配电装置
KR20190115600A (ko) 전력보상장치
KR101929283B1 (ko) 서브모듈 슬라이딩장치
CN204407911U (zh) 一种无功功率补偿与谐波治理一体化标准模块
CN204407910U (zh) 一种无功功率补偿标准模块
US11757302B2 (en) Power supply assembly and switch assembly
CN114337194A (zh) 电源转换柜
CN117526266A (zh) 功率变换装置及供电***
EP4252330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a data centre
CN109286141A (zh) 一种双切换开关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