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023B1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023B1
KR102030023B1 KR1020187003148A KR20187003148A KR102030023B1 KR 102030023 B1 KR102030023 B1 KR 102030023B1 KR 1020187003148 A KR1020187003148 A KR 1020187003148A KR 20187003148 A KR20187003148 A KR 20187003148A KR 102030023 B1 KR102030023 B1 KR 10203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ug
longitudinal
receptacle
short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895A (ko
Inventor
기라라 히라타
도시아키 스기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의 인슐레이터 또는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붕괴되기(파손되기) 어려운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15)는, 리셉터클 커넥터(35)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 가능한 고리형상의 고리형상 볼록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벽 및 한 쌍의 짧은 길이 방향 벽을 갖는 외주벽을 가지는 플러그 인슐레이터, 외주벽의 긴 길이 방향 벽에 열상으로 지지되어, 고리형상 볼록부가 감합 오목부에 감합했을 때에 리셉터클 콘택트 군과 접촉하는 플러그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속되는 플러그 콘택트 군, 및 짧은 길이 방향 벽에 장착되는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구비하며,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짧은 길이 방향 벽의 단면을 따른 받음면, 받음면에서 곡절된 짧은 길이 방향 벽의 내외면을 따른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 및 받음면에서 곡절된 긴 길이 방향 벽의 양쪽 외면을 따른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5년 8월 5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특허출원 특원2015-154863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 전의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판 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탑형 PC(퍼스널 컴퓨터), 노트형 PC,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 또는 태블릿형 PC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는,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을 실장(實裝)한 회로기판과, 별도의 전자부품을 실장한 별도의 회로기판을 내장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이들 두개의 회로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회로기판(리지드 기판)에 실장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별도의 회로기판(리지드 기판)에 실장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는, 고리형상의 외주벽과, 외주벽의 내측에 형성한 고리형상의 감합(嵌合) 오목부를 구비한다.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긴 길이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에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와, 한 쌍의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는, 상기 감합 오목부에 감합 가능한 고리형상 벽에 의해 형성된 고리형상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는, 회로기판의 실장면의 회로패턴에 접속가능하다.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당해 실장면에 형성한 도통(導通) 검지 패턴에 접속가능하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오목부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고리형상 볼록부를 감합(접속)하면, 각 플러그 콘택트가 각 리셉터클 콘택트에 대하여 각각 접촉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측의 회로기판에 실장한 전자부품과 플러그 커넥터측의 회로기판에 실장한 전자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각 플러그 콘택트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각 리셉터클 콘택트에 돌출하여 형성된 볼록부에 대하여 계합(engaging)하면,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리셉터클측 고정금구의 탄성접촉편에 대하여 접촉한다. 그 결과, 리셉터클 커넥터측의 회로기판의 도통 검지 패턴과 플러그 커넥터측의 회로기판의 도통 검지 패턴이 서로 도통한다. 따라서, 리셉터클 콘택트와 플러그 콘택트가 접속하고 있는 것(리셉터클 커넥터측의 회로기판의 회로패턴과 플러그 커넥터측의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이 서로 도통하고 있는 것)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20677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에서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고리형상 벽(고리형상 볼록부)은,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짧은 길이 방향 벽(좌벽과 우벽)과, 이 짧은 길이 방향 벽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좌우 방향으로 긴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벽(전벽과 후벽)을 가지며, 짧은 길이 방향 벽에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고정되어 있다. 특히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고리형상 볼록부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오목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에 비해서 소형이다. 한층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기판 간 접속용 커넥터에서는, 보다 소형인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측 고정금구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고리형상 벽이 작고 얇아지고 있다. 따라서, 플러그측 고정금구 또는 고리형상 벽이 파손(붕괴)될 우려가 현저하게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의 인슐레이터 또는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붕괴되기(파손되기) 어려운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는, 내주측에 감합 오목부를 형성하는 고리형상의 외주벽을 가지는 수지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리셉터클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대하여 실장가능하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한 탄성변형 가능한 리셉터클 콘택트 군을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감합 오목부에 감합 가능한 고리형상의 고리형상 볼록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벽 및 한 쌍의 짧은 길이 방향 벽을 갖는 외주벽을 가지는 플러그 인슐레이터, 상기 외주벽의 긴 길이 방향 벽에 열상(列狀)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리형상 볼록부가 상기 감합 오목부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 군과 접촉하는 플러그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속되는 플러그 콘택트 군, 및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에 장착되는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의 단면을 따른 받음면, 상기 받음면에서 곡절(曲折)된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의 내외면을 따른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外方壁)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內方壁), 및 상기 받음면에서 곡절된 상기 긴 길이 방향 벽의 양쪽 외면을 따른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의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은, 상기 긴 길이 방향 벽을 따른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과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과의 사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 내에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의 어느 일방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짧은 길이 방향 벽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는 한 쌍의 분할 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짧은 길이 방향 벽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는 한 쌍의 분할 벽을 가지는 것이 실제적이다.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에, 상기 한 쌍의 분할 벽이 감합되는 한 쌍의 금구 장착홈을 가진다.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의 적어도 일방, 및 상기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은, 상기 받음면에서 곡절된 후, 직선적으로 연장되어서 선단부가 상기 플러그측 회로기판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천정판부에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천정판부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서 플러그 회로기판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은, 좁은 폭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의 좁은 폭부는, 플러그 회로기판에 대하여 실장되는 상기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의 금도금 부분보다 상기 받음면측에 설치되는 솔더 위킹 방지부의 높이 위치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 및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이 끼워지는 홈을 가지는 것이 실제적이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측 고정금구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짧은 길이 방향 벽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인슐레이터가 파괴될 우려가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를 접근시킨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하게 접속한 상태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하게 접속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하게 접속한 상태의 평면(상면)도, 도 8(b)는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8(b)의 Ⅸa-Ⅸa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 도 9(b)는 도 8(b)의 Ⅸb-Ⅸb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a)는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도, 도 10(b)는 평면(하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a)의 ⅩⅠa-ⅩⅠa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b)는 도 10(a)의 ⅩⅠb-ⅩⅠb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3(a)는 은 도 12의 ⅩⅢa-ⅩⅢa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b는 도 12의 ⅩⅢb-ⅩⅢb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a는 플러그측 고정금구의 확대 사시도, 도 14(b)는 보는 방향을 바꾼 플러그측 고정금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은, 도면 내의 화살표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구비하고 있다(도 5~도 7).
플러그 커넥터(15)는, 주로 도 1~도 5, 도 10(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구성요소로서 플러그 인슐레이터(16)와, 다수의 플러그 콘택트(군)(25)와, 2개의 플러그측 고정금구(28)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16)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 부재이다. 플러그 인슐레이터(16)는, 상단부를 구성하는 천정판부(17)와, 천정판부(17)의 하면의 주연부 전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고리형상 벽(20)으로 이루어지는 고리형상 볼록부(18)를 구비하고 있다.
고리형상 벽(20)은,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짧은 길이 방향 벽(좌벽과 우벽)(20a)과, 이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좌우 방향으로 긴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벽(전벽과 후벽)(20b)을 가진다.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분에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6)를 좌우 방향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용융 재료를 주입하여 사출성형할 때, 웰드 라인(WL)(도 1, 도 2)이 생기기 쉽다.
천정판부(17)와 고리형상 벽(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계합 오목부(19)를 구성하고 있다(도 2, 도 4, 도 13등). 고리형상 벽(20)의 전후의 긴 길이 방향 벽(20b)에는 전후 양면 및 하면에 걸치는 단면 대략 U자형의 콘택트 장착홈(21)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2 등).
각 플러그 콘택트(25)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티탄 구리, 콜슨 구리)의 박판(薄板)을 도시하는 형상이 되도록 스탬핑 성형한 것이다.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표면에는,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해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플러그 콘택트(25)는, 단면 대략 U자형을 이루는 본체부의 내측부분을 구성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접촉편(26a)과, 본체부의 외측부분을 구성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접촉편(26b)과, 외측 접촉편(26b)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는 테일편(27)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측 접촉편(26b)의 표면의 하단 근방에는 제 1 플러그측 돌기(26b1)(플러그측 돌기)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 접촉편(26a)의 표면의 하단 근방에는 제 2 플러그측 돌기(26a1)(플러그측 돌기)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2, 도 9(a)등). 도 9(a), 도 11(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플러그측 돌기(26a1)는 제 1 플러그측 돌기(26b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플러그 콘택트(25)는, 테일편(27)을 제외하는 부분이 콘택트 장착홈(21)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압입되어 있다(도 11(a) 참조). 내측 접촉편(26a) 및 외측 접촉편(26b)의 좌우 양측면에는 계지(係止) 돌기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계지 돌기가 콘택트 장착홈(21)의 내면에 맞물려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테일편(27)의 상단부는 천정판부(17)의 상단면보다 약간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4 참조).
도 14에 상세 단체(單體)형상을 나타내는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금속판을 도시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것이다.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플러그 콘택트(25)와 동등한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티탄 구리, 콜슨 구리)의 박판이 사용된다.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의 하면(단면)을 따른 평판형상의 받음면(29)과, 이 받음면(29)으로부터 곡절된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의 내외면을 따른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 및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과, 받음면(29)으로부터 곡절된 긴 길이 방향 벽(20b)의 양쪽 외면을 따른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을 가진다.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와 33)은 동일(또는 대칭)형상이다.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의 긴 길이 방향 벽(20b)을 따른 길이 방향의 길이는, 받음면(29)의 폭방향(긴 길이 방향 벽(20b)의 길이 방향)의 길이 내(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받음면(29)보다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있다).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은, 받음면(29)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접속 벽부(31b)와, 접속 벽부(31b)로부터 두 갈래로 갈라지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간한 한 쌍의 분할 벽부(31a)를 가진다(접속 벽부(31b)를 통해 받음면(29)과 한 쌍의 분할 벽부(31a)가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분할 벽부(31a)는, 플러그 커넥터(15)(플러그 인슐레이터(16))에 장착되었을 때에 웰드 라인(WL)을 사이에 두고 대칭형상이 되는 동일(대칭)형상을 가지고 있다.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은, 받음면(29)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넓은 폭부(30a)와, 넓은 폭부(30a)의 양측을 줄인 좁은 폭부(30b)와, 넓은 폭 다리부(30c)를 가진다.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한 쌍의 분할 벽부(31a))과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은, 받음면(29)으로부터 곡절된 후, 직선적(평면형상, 스트레이트)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선단부)는, 플러그 커넥터(15)가 실장되는 기판(플러그측 회로기판)에 이른다(접촉한다). 따라서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받음면(29)이 받은 힘을 플러그측 회로기판과의 사이에서, 받음면(29)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된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과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에 의해 지지하므로, 내(耐)하중성이 향상한다.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은, 동일 또는 대칭형상이다.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의 긴 길이 방향 벽(20b)을 따른 길이 방향의 길이(폭)가 받음면(29)의 동일 길이 방향의 길이(폭) 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받음면(29)의 변형 또는 붕괴가 억지된다.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분할 벽부31a)의 상단부(선단부)에는, 금도금부(31x)가 실시되어 있다.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에는, 상방으로부터 순서대로, 금도금부(32x,33x), 솔더 위킹 방지부(금제대(禁制帶))(32y,33y), 및 금도금부(32z,33z)가 형성되어 있다. 솔더 위킹 방지부(32y,33y)는,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의 전체에 금도금을 일단 실시한 후에,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금도금을 제거함으로써 베이스(예를 들면 Ni 베이스)를 노출시킨 것이다.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에는, 금도금부(32z,33z)의 외면 일부에 도통(導通) 돌기(32b,33b)가 형성되어 있다.
금도금부(32z,33z)는,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가 완전하게 접속되었을 때,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와 접촉하여 도통하는 도통부다.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는, 고전류를 요하는 기기에 대한 도전경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의 좁은 폭부(30b)는,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의 내면에 레이저광의 조사를 가능하게 하고, 내면의 금도금을 제거하여 솔더 위킹 방지부(32y,33y)를 현출시킨다. 즉, 이 좁은 폭부(30b)는, 플러그 커넥터(15)가 플러그 회로기판에 대하여 실장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의 금도금부(32x,33x)보다 상기 받음면(29)측에 형성하는 솔더 위킹 방지부(32y,33y)의 높이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고리형상 벽(20)의 좌우의 짧은 길이 방향 벽(20a)에는, 한 쌍의 분할 벽부(31a)가 끼워지는 전후 한 쌍의 금구 장착홈(22a)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2, 도 12, 도 13(b) 등 참조). 전후의 긴 길이 방향 벽(20b)의 좌우의 짧은 길이 방향 벽(20a) 근방부(짧은 길이 방향 벽(20a) 전후 단면)에는,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이 끼워지는 금구 장착홈(22b)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2, 도 11(b) 등 참조). 천정판부(17)에는 넓은 폭 다리부(30c)가 끼워지는 바닥이 있는 구멍(17a)(도 13(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금구 장착홈(22a)은,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의 중간부분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통상의 성형 상태에서 생길 가능성이 있는 웰드 라인(WL)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다. 바닥이 있는 구멍(17a)은, 관통 구멍으로 하여, 넓은 폭 다리부(30c)가 플러그 회로기판에 맞닿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의 넓은 폭 다리부(30c)와 바닥이 있는 구멍(17a)은,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을 위치 결정하는 작용을 초래하고, 또는 플러그 커넥터(15)를 리셉터클 커넥터(35)에 삽탈(揷脫)할 때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의 긁힘 혹은 변형을 억지할 수 있다.
받음면(29)으로부터 연장된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과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의 한 쌍의 분할 벽부(31a))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6)의 고리형상 벽(20)의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을 내외에서 협지한다. 동일 받음면(29)으로부터 연장된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은,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의 연장방향과 동일 위치에 있어서, 긴 길이 방향 벽(20b)의 양쪽 외면(전후 방향의 외면)을 협지한다. 이에 따라, 받음면(29)이 변형되기 어렵도록, 플러그 인슐레이터(16)(천정판부(17),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붕괴(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의 한 쌍의 분할 벽부(31a)는, 한 쌍의 금구 장착홈(22a)에 감합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웰드 라인(WL)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고,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웰드 라인(WL)으로부터 전후로 이간하는(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짧은 길이 방향 벽(20a)에 웰드 라인(WL)이 형성되었다고 해도, 한 쌍의 분할 벽부(31a)는,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된 금구 장착홈(22a)에 끼워지고,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은 전후의 긴 길이 방향 벽(20b)의 전후 외측면에 형성된 금구 장착홈(22b)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웰드 라인(WL)은 전후로부터 협압(挾壓)되어, 웰드 라인(WL)으로부터 플러그 인슐레이터(16)(천정판부(17), 짧은 길이 방향 벽(20a))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플러그 커넥터(15)는,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은 리지드 기판, 플러그측 회로기판 등)의 일방의 면에 형성한 실장면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테일편(27)이 플러그 회로기판의 실장면(하면)에 형성된 회로패턴(도시 생략)에 대하여 납땜(리플로우 납땜)된다. 각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분할 벽부(31a),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의 선단부의 금도금부(31x,32x,33x)가 당해 실장면에 형성된 도통 패턴(도시 생략)에 대하여 납땜(리플로우 납땜)된다. 회로기판의 실장면에는 플러그 커넥터(15)와는 다른 전자부품(예를 들면 고기능용 모듈, 반도체, 또는 대용량 메모리 등)이 실장되어 있다.
계속해서 리셉터클 커넥터(35)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 주로 도 5~도 9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35)는, 큰 구성요소로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와,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와, 플러그 콘택트(25)와 같은 수의 리셉터클 콘택트(군)(60)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는, 도 5~도 9 등에 나타낸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 부재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는,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부(41)와, 바닥판부(41)의 상면의 주연부 전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고리형상 벽으로 이루어지는 외주벽(42)과, 바닥판부(41)의 상면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며,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계합 볼록부(43)를 구비하고 있다(도 9(a) 참조). 외주벽(42)은, 좌우 한 쌍의 짧은 길이 방향 벽(42a)과, 좌우 한 쌍의 짧은 길이 방향 벽(42a)의 전후 양단끼리를 접속하는 전후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벽(42b)을 구비하고 있다. 계합 볼록부(43)는, 외주벽(42)(짧은 길이 방향 벽(42a) 및 긴 길이 방향 벽(42b))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외주벽(42)과 계합 볼록부(43) 사이에는, 고리형상의 감합 오목부(44)가 형성된다.
외주벽(42)의 좌우의 짧은 길이 방향 벽(42a)의 외주면에는 금구 고정홈(45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전후의 긴 길이 방향 벽(42b)의 외주면의 좌우 양단부에는, 금구 고정홈(45b)이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긴 길이 방향 벽(42b)의 좌우 양단부의 내주면에는 좌우 한 쌍의 수납홈(45c)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42)의 전후의 긴 길이 방향 벽(42b)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택트 장착홈(46)이 바닥판부(41)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플러그 콘택트(25)와 같은 수) 형성되어 있다(도 5, 도 7, 도 9(a) 등 참조). 또한 전후의 긴 길이 방향 벽(42b)과 계합 볼록부(43)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판부(41) 및 계합 볼록부(43)의 전후면에는, 대응하는 콘택트 장착홈(46)과 연속하는 변형 허용홈(47)이 바닥판부(4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9(a) 참조). 바닥판부(41)의 전후 가장자리부(전후의 긴 길이 방향 벽(42b)의 하단부와의 결합부)에는, 각 콘택트 장착홈(46) 및 변형 허용홈(47)과 연속하는 테일 수용 홈(48)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9(a) 참조).
좌우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는 전후 대칭한 형상이다. 각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는,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동일하게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며, 그 표면의 소정부분에는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해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짧은 길이측 고정부(51)와, 짧은 길이측 고정부(51)의 양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긴 길이측 고정부(52)와, 짧은 길이측 고정부(51) 및 긴 길이측 고정부(52)의 외주연부로부터 각각 대략 하방으로 연장된 짧은 길이측 테일편(53) 및 긴 길이측 테일편(54)과, 긴 길이측 고정부(52)의 내주연부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된 금구측 탄성변형부(55)와, 짧은 길이측 고정부(51)의 내주연부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된 금구측 탄성변형부(57)를 구비하고 있다(도 6 참조). 금구측 탄성변형부(55)의 하단 근방은 굴곡하고 있으며, 당해 하단 근방에는,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도통 돌기(32b,33b)에 대응하는 도통 오목부(55a)가 형성되어 있다(도 9(b) 참조). 금구측 탄성변형부(57)의 하단 근방은 굴곡하고 있으며, 당해 하단 근방에는 돌출 접촉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구측 탄성변형부(55와 57)는 대략 전후 방향과 대략 좌우 방향(고리형상 볼록부(18)의 감합 오목부(44)에 대한 감합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좌우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는, 짧은 길이측 고정부(51)를 좌우의 짧은 길이 방향 벽(42a)의 상면에 씌우고 또한 긴 길이측 고정부(52)를 긴 길이 방향 벽(42b)의 단부에 씌우면서, 짧은 길이측 테일편(53)을 금구 고정홈(45a)에 고정 상태로 압입하고 또한 좌우의 긴 길이측 테일편(54)을 좌우의 금구 고정홈(45b)에 고정 상태로 압입함으로써,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하여 좌우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에 고정하면, 각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의 좌우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5,57)가 대응하는 수납홈(45c) 내에 위치하고 또한 수납홈(45c)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한다(도 9(b) 참조). 그 때문에 각 금구측 탄성변형부(55)는 전후 방향으로, 각 금구측 탄성변형부(57)는 좌우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또한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의 짧은 길이측 테일편(53) 및 긴 길이측 테일편(54)의 하단부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60)는 플러그 콘택트(25)와 같은 요령에 의해 성형한 것이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60)는,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테일편(61)과, 테일편(61)의 내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편(62)과, 고정편(62)의 상단부에 연속하는 대략 S자형의 탄성접촉편(63)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접촉편(63)은, 고정편(62)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64)와, 수하부(64)의 하단부에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65)와, 연장부(65)의 내측 단부에서 대략 상방으로 연장되는 라이징부(66)를 갖고 있다(도 5~도 8, 도 9(a) 등을 참조). 또한 수하부(64)의 표면의 상단부에는 제 1 리셉터클측 돌기(64a)(리셉터클측 돌기)가 라이징부(66)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라이징부(66)의 표면의 상단 근방에는 제 2 리셉터클측 돌기(66a)(리셉터클측 돌기)가 수하부(64)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9(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리셉터클측 돌기(66a)는 제 1 리셉터클측 돌기(64a)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리셉터클 콘택트(60)(탄성접촉편(63))가 자유상태에 있을 때의 제 1 리셉터클측 돌기(64a)와 제 2 리셉터클측 돌기(66a) 사이의 전후 방향거리(대향 거리)보다도, 플러그 커넥터(15)의 제 2 플러그측 돌기(26a1)의 선단과 제 1 플러그측 돌기(26b1)의 선단과의 사이의 전후 방향거리쪽이 길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6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의 하방으로부터 각 콘택트 장착홈(46) 및 각 변형 허용홈(47)에 대하여 삽입하고, 고정편(62)을 콘택트 장착홈(46)에 대하여 압입(고정)함으로써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에 장착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60)(고정편(62))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0)(콘택트 장착홈(46))에 고정하면, 탄성접촉편(63)이 변형 허용홈(47)의 내면으로부터 이간한다(도 9(a) 등을 참조). 따라서, 탄성접촉편(63)은 변형 허용홈(47)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또한 각 리셉터클 콘택트(60)의 테일편(61)이, 바닥판부(41)의 하면의 하방에 위치한다(도 5~도 9 등을 참조).
이상의 리셉터클 커넥터(35)는, 회로기판(리지드 기판, 리셉터클측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패턴(도시 생략)에 대하여 각 리셉터클 콘택트(60)의 테일편(61)을 납땜하고, 또한 당해 실장면에 형성된 도통 패턴에 대하여 각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의 짧은 길이측 테일편(53) 및 긴 길이측 테일편(54)의 하단부를 납땜(리플로우 납땜)함으로써, 회로기판에 대하여 도통 고정(실장)된다. 회로기판의 실장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5)와는 다른 전자부품(예를 들면 CPU, 컨트롤러, 메모리 등)이 실장되어 있다.
이상 구성의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는 이하의 요령으로 접속한다.
우선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도시 생략)가 손으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파지해서(또는 이들이 실장된 회로기판을 손으로 파지해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서로의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일치시키면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게 한다(도 5 참조).
그리고,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15)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리셉터클 커넥터(35)에 접근시켜서) 고리형상 볼록부(18)의 고리형상 벽(20)을 감합 오목부(44)에 감합한다.
플러그 커넥터(15) 및 리셉터클 커넥터(35)의 소형화에 의해, 작업자는, 육안에 의해 정확하게 대향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어긋남이 생기기 쉽다. 어긋남이 생긴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감합하려고 할 때, 플러그 커넥터(15) 및 리셉터클 커넥터(35)의 좌우 양단부에서는, 플러그측 고정금구(28) 및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의 금속끼리 접촉한다.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받음면(29)과 받음면(29)으로부터 일체로 굴곡 형성된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과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과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을 가지므로 강성이 높고, 붕괴될 우려가 없다. 또한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받음면(29)과, 받음면(29)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과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과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과의 접속 부분과, 또는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과,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과,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이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의 금속부분과 접촉하므로,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웰드 라인(WL)에 기인하여 파손되거나, 붕괴될 우려가 없다. 게다가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은, 단면 내외면이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받음면(29)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과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과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으므로,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에 의해 깎일 우려가 없다.
플러그 커넥터(15)를 하방으로 더 이동시키면(고리형상 벽(20)과 감합 오목부(44)의 감합을 깊게하면), 플러그 커넥터(15)의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하단부가 리셉터클 커넥터(35)의 각 리셉터클 콘택트(60)의 수하부(64) 및 라이징부(66)의 상단부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플러그 커넥터(15)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플러그 커넥터(15)의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하단부가 각 리셉터클 콘택트(60)의 수하부(64)와 라이징부(66) 사이에 진입하고, 수하부(64)와 라이징부(66)의 간격을 확대하도록 탄성접촉편(63)을 탄성변형 시킨다. 그렇게 해서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제 1 플러그측 돌기(26b1)가 각 리셉터클 콘택트(60)의 수하부(64)의 제 1 리셉터클측 돌기(64a)에 대하여 측방으로부터 계합하고, 또한,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제 2 플러그측 돌기(26a1)가 라이징부(66)의 제 2 리셉터클측 돌기(66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계합한다. 그러면 플러그 콘택트(25) 및 리셉터클 콘택트(60)를 통해서 플러그측 회로기판과 리셉터클측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5)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 1 플러그측 돌기(26b1)가 제 1 리셉터클측 돌기(64a)를 하방(고리형상 볼록부(18)의 감합 오목부(44)에 대한 감합방향)으로 타고 넘어서 제 1 리셉터클측 돌기(64a)가 외측 접촉편(26b)의 표면에 접촉하고, 제 2 플러그측 돌기(26a1)가 라이징부(66)의 제 2 리셉터클측 돌기(66a)에 대하여 측방으로부터 계합한다. 플러그 커넥터(15)를 더욱 하방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제 2 플러그측 돌기(26a1)가 라이징부(66)의 제 2 리셉터클측 돌기(66a)를 하방으로 타고 넘어서, 제 2 리셉터클측 돌기(66a)가 내측 접촉편(26a)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 때 플러그 커넥터(15)의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리셉터클 커넥터(35)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금구측 탄성변형부(55,57))에 접촉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15)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리셉터클 콘택트(60)의 제 2 리셉터클측 돌기(66a) 및 제 1 리셉터클측 돌기(64a)에 대하여 플러그 콘택트(25)의 내측 접촉편(26a) 및 외측 접촉편(26b)이 슬라이딩하여,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가 완전하게 접속한다.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가 완전하게 접속된 후, 또는 제품에 탑재된 상태에서, 진동을 받거나, 낙하하거나 해서,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강한 외력을 받는 일이 있다.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은, 피치 방향의 외력에 약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5)는,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받음면(29)과 받음면(29)으로부터 4방향으로 형성된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 및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붕괴될 우려가 적다.
이상의 리셉터클 콘택트(60) 및 플러그 콘택트(25)의 접속 공정에 있어서는,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15)의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리셉터클 커넥터(35)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가 접촉을 개시한다. 접속 완료 상태에서는,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금도금부(32z,33z))이 대응하는 금구측 탄성변형부(55)를 외측(전측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5)는 전측, 후측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5)는 후측)으로 탄성변형 시키고, 한 쌍의 분할 벽부(31a)가 대응하는 금구측 탄성변형부(57)를 외측(좌측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7)는 좌측, 우측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7)는 우측)으로 탄성변형 시킨다(도 9(b)). 그 결과, 전후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5), 좌우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7)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발생하면서 플러그 커넥터(15)의 전후 양측과 좌우 양측을 끼운다. 따라서, 이때 전후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5), 좌우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7)가 발생하는 가압력은 플러그 커넥터(15)를 리셉터클 커넥터(35)로부터 탈출시키는 방향의 가압력이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의도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5)를 리셉터클 커넥터(35)에 대하여 상방으로 상대 이동시키지 않는 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의 완전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접속 완료 상태에서는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의 도통 돌기(32b,33b)가,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의 금구측 탄성변형부(55)의 도통 오목부(55a)에 감합하고, 양쪽 고정금구의 도통을 확보하고, 또한 양자의 빠짐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5)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6)의 고리형상 벽(20)의 좌우의 짧은 길이 방향 벽(20a)(및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접속된 천정판부(17))가,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받음면(29)으로부터 연장된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과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의 한 쌍의 분할 벽부(31a)에 의하여 내외로 협지되며, 짧은 길이 방향 벽(20a) 전후 단부(부근의 긴 길이 방향 벽(20b)의 전후면)가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에 의해 전후로부터 협지되어 있으므로, 붕괴되기(파괴 등 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5)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6)를 사출성형할 때에 웰드 라인(WL)이 천정판부(17)의 좌우 양단부, 고리형상 벽(20)의 좌우 양단부(짧은 길이 방향 벽20a)에 발생했다고 해도, 웰드 라인(WL)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한 쌍의 금구 장착홈(22a)에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한 쌍의 분할 벽부(31a)가 감합되므로,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웰드 라인(WL)으로부터 파괴될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5)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6)의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전후로부터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에 의해 협지되므로, 짧은 길이 방향 벽(20a)이 웰드 라인(WL)으로부터 파괴되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5)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5)의 고리형상 볼록부(18)의 하단 외주부, 플러그 콘택트(25)의 외측 접촉편(26b)과 내측 접촉편(26a)을 접속하는 부분, 및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받음면(29)과 한 쌍의 분할 벽부(31a)를 접속하는 접속 벽부(31b)가 R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35)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35)의 고리형상 벽(20)의 상단 내주부, 리셉터클 콘택트(60)의 고정편(62)과 수하부(64)를 접속하는 부분,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의 짧은 길이측 고정부(51)와 금구측 탄성변형부(57)를 접속하는 부분, 및 긴 길이측 고정부(52)와 금구측 탄성변형부(55)를 접속하는 부분이 R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5)와 리셉터클 커넥터(35)를 감합할 때 먼저 R형상부끼리 접촉하므로, 감합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근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변형을 실시하면서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는, 전후 방향의 중간을 지나 상하 방향으로 평행이면서 또한 좌우 방향으로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대칭형상으로 했지만,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좌우의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좌우의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를 좌우 동일 또는 대칭형상으로 했지만, 좌우로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플러그 커넥터(15) 및 리셉터클 커넥터(35)의 일방을 대응하는 회로기판에 대하여 소위 라이트 앵글(RA) 양태로 접속해도 된다.
또 전원(도시 생략)에 접속하는 전원회로에 대하여 플러그측 고정금구(28)와 리셉터클측 고정금구(50)를 접속해도 된다.
또한 리지드 기판 이외의 회로기판(예를 들면 FPC(플렉시블 프린트 회로기판))을 플러그 커넥터(15)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35)에 접속해도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이 한 쌍의 분할 벽부(분할 벽)(31a)를 가질 경우를 예시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이 한 쌍의 분할 벽부(분할 벽)를 가지는 양태, 또는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 및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의 쌍방이 한 쌍의 분할 벽부(분할 벽)를 가지는 양태도 가능하다.
플러그측 고정금구(28)는,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 및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의 적어도 일방과, 긴 길이 방향 외방벽(32,33)이 플러그측 회로기판에 맞닿는 양태이면, 예를 들면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 대신에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의 선단부가 천정판부(17)를 관통해서 플러그측 회로기판에 맞닿는 양태, 혹은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 대신에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의 양방의 선단부가 플러그측 회로기판에 맞닿는 양태도 가능하다.
플러그측 고정금구(28)의 한 쌍의 분할 벽부(분할 벽)(31a)는, 예를 들면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31)을 상방으로 연장한 일체의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의 양태, 혹은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30)과 동일형상의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커넥터
15 플러그 커넥터
16 플러그 인슐레이터
17 천정판부
17a 바닥이 있는 구멍
18 고리형상 볼록부
19 계합 오목부
20 고리형상 벽
20a 짧은 길이 방향 벽(좌벽과 우벽)
20b 긴 길이 방향 벽(전벽과 후벽)
21 콘택트 장착홈
22a 금구 장착홈
22b 금구 장착홈
25 플러그 콘택트(군)
26a 내측 접촉편
26a1 제 2 플러그측 돌기(플러그측 돌기)
26b 외측 접촉편
26b1 제 1 플러그측 돌기(플러그측 돌기)
27 테일편
28 플러그측 고정금구
29 받음면
30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
30a 넓은 폭부
30b 좁은 폭부
30c 넓은 폭 다리부
31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
31a 분할 벽부(분할 벽)
3lb 접속 벽부
31x 금도금부
32,33 긴 길이 방향 외방벽
32b,33b 도통 돌기
32x,33x 금도금부
32y,33y 솔더 위킹 방지부(금제대)
32z,33z 금도금부
35 리셉터클 커넥터
40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41 바닥판부
42 외주벽
42a 짧은 길이 방향 벽
42b 긴 길이 방향 벽
43 계합 볼록부
44 감합 오목부
45a,45b 금구 고정홈
45c 수납홈
46 콘택트 장착홈
47 변형 허용홈
50 리셉터클측 고정금구
51 짧은 길이측 고정부
52 긴 길이측 고정부
53 짧은 길이측 테일편
54 긴 길이측 테일편
55 금구측 탄성변형부
55a 도통 오목부
57 금구측 탄성변형부
60 리셉터클 콘택트(군)
61 테일편
62 고정편
63 탄성접촉편
64 수하부(제 1 탄성변형부)
64a 제 1 리셉터클측 돌기(리셉터클측 돌기)
65 연장부
66 라이징부(제 2 탄성변형부)
66a 제 2 리셉터클측 돌기(리셉터클측 돌기)

Claims (11)

  1. 내주측에 감합 오목부를 형성하는 고리형상의 외주벽을 가지는 수지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리셉터클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대하여 실장가능하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한 탄성변형 가능한 리셉터클 콘택트 군을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감합 오목부에 감합 가능한 고리형상의 고리형상 볼록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벽 및 한 쌍의 짧은 길이 방향 벽을 갖는 외주벽을 가지는 플러그 인슐레이터, 상기 외주벽의 긴 길이 방향 벽에 열상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리형상 볼록부가 상기 감합 오목부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 군과 접촉하는 플러그측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접속되는 플러그 콘택트 군, 및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에 장착되는 플러그측 고정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의 단면을 따른 받음면, 상기 받음면에서 곡절된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의 내외면을 따른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 상기 받음면에서 곡절된 상기 긴 길이 방향 벽의 양쪽 외면을 따른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 및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과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의 어느 일방이, 상기 받음면에서 곡절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는 한 쌍의 분할 벽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은, 상기 긴 길이 방향 벽을 따른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과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과의 사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 내에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고정금구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짧은 길이 방향 벽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는 한 쌍의 분할 벽을 갖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벽에, 상기 한 쌍의 분할 벽이 감합되는 한 쌍의 금구 장착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과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의 적어도 일방, 및 상기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은, 상기 받음면에서 곡절된 후, 직선적으로 연장되어서 선단부가 상기 플러그측 회로기판에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천정판부에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천정판부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서 플러그 회로기판에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은, 좁은 폭부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의 좁은 폭부는, 플러그 회로기판에 대하여 실장되는 상기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의 금도금 부분보다 상기 받음면측에 설치되는 솔더 위킹 방지부의 높이 위치에 대응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 외방벽, 짧은 길이 방향 내방벽, 및 한 쌍의 긴 길이 방향 외방벽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10. 삭제
  11. 삭제
KR1020187003148A 2015-08-05 2016-06-29 플러그 커넥터 KR102030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4863 2015-08-05
JPJP-P-2015-154863 2015-08-05
PCT/JP2016/003125 WO2017022171A1 (ja) 2015-08-05 2016-06-29 プラグ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895A KR20180021895A (ko) 2018-03-05
KR102030023B1 true KR102030023B1 (ko) 2019-10-08

Family

ID=5794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148A KR102030023B1 (ko) 2015-08-05 2016-06-29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41483B2 (ko)
JP (1) JP6464270B2 (ko)
KR (1) KR102030023B1 (ko)
CN (1) CN107851914B (ko)
WO (1) WO2017022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4412B2 (ja) * 2019-12-25 2023-03-2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040A (ja) * 2013-04-18 2014-11-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778A (en) * 1991-11-18 1992-12-29 Lin Tin Huang Electronic connector
JP3746106B2 (ja) * 1996-06-27 2006-02-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基板用電気コネクタ
SG71046A1 (en) * 1996-10-10 2000-03-21 Connector Systems Tech Nv High density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500503B2 (ja) * 2000-12-19 2004-02-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ロック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3031316A (ja) * 2001-07-18 2003-01-31 Jst Mfg Co Ltd 誤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4055306A (ja) *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5294036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7412B2 (ja) * 2009-09-18 2012-02-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080623A (ja) * 2011-10-04 2013-05-02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5685216B2 (ja) 2012-03-29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955097B2 (ja) * 2012-05-23 2016-07-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方法
JP5943774B2 (ja) * 2012-08-16 2016-07-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747953B2 (ja) * 2013-06-27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56641B2 (ja) * 2013-09-03 2017-07-05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6266286B2 (ja) * 2013-09-27 2018-01-24 Hoya株式会社 マスクブランク用基板の製造方法、マスクブランクの製造方法、転写用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5881666B2 (ja) * 2013-11-19 2016-03-0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887326B2 (ja)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378642B2 (ja) *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040A (ja) * 2013-04-18 2014-11-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0133A1 (en) 2019-01-17
WO2017022171A1 (ja) 2017-02-09
CN107851914A (zh) 2018-03-27
JPWO2017022171A1 (ja) 2018-03-08
JP6464270B2 (ja) 2019-02-06
US10541483B2 (en) 2020-01-21
KR20180021895A (ko) 2018-03-05
CN107851914B (zh)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023B1 (ko) 플러그 커넥터
US1087963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666963B2 (en) Terminal,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EP2806502B1 (en) Connector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15099694A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9979122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JP2011119152A (ja) 電気コネクタ
TW201324969A (zh) 交錯安裝的電連接器
JP5517488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20140141478A (ko)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7379025B2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JP201119240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65147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JP2014165065A (ja) コネクタ
JP7206170B2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US2017026403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US9033714B2 (en) Connector for mounting on a board
JP2022040584A (ja) コネクタ
WO202216888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499714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150854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7250396A (ja) 電気コネクタのマウ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