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717B1 -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717B1
KR102028717B1 KR1020120103481A KR20120103481A KR102028717B1 KR 102028717 B1 KR102028717 B1 KR 102028717B1 KR 1020120103481 A KR1020120103481 A KR 1020120103481A KR 20120103481 A KR20120103481 A KR 20120103481A KR 102028717 B1 KR102028717 B1 KR 10202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inch
flexible device
crumpl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850A (ko
Inventor
서준규
강경아
곽지연
김현진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717B1/ko
Priority to CN201380048593.2A priority patent/CN104813268A/zh
Priority to PCT/KR2013/008463 priority patent/WO2014046492A2/en
Priority to IN2726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2726A/en
Priority to RU2015114557A priority patent/RU2015114557A/ru
Priority to EP13838727.9A priority patent/EP2898400A4/en
Priority to US14/030,211 priority patent/US9921737B2/en
Publication of KR2014003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플렉서블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UI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플렉서블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 크럼플 판단 조건이 저장된 저장부, 복수의 감지 센서 각각의 감지 결과가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면, 플렉서블 장치를 구기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UI 화면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안이 다양해지게 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램플,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과 같은 특수 변형을 감지하여, 그 변형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상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플렉서블 장치에 대한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 니즈(Needs)를 충족할 수 있는 플렉서블 장치의 구조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램플,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과 같은 특수 변형이 감지되면, 감지된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는, UI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상기 플렉서블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 크럼플 판단 조건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각각의 감지 결과가 상기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플렉서블 장치를 구기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UI 화면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크럼플 판단 조건은, 감지 센서의 최대 개수 조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을 감지하여 센싱값을 출력하면, 상기 센싱 값을 출력한 감지 센서의 개수와 상기 최대 개수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 센서의 개수가 상기 최대 개수 조건을 초과하면 상기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크럼플 판단 조건은,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벤딩 라인의 최대 개수 조건, 형성 방향 조건, 상기 벤딩 라인 각각의 형성 각도 조건, 상기 벤딩 라인 간의 교차점 개수 조건, 상기 벤딩 라인이 형성되는 시간 범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장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플렉서블 장치는, 상기 UI 화면에 대응되는 빔을 출사하는 빔 프로젝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장치는, 상기 UI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럼플이 발생하면, 상기 UI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의 위치를 재배열하는 셔플 동작, 상기 UI 화면을 구겨진 형태로 변형하면서 상기 UI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삭제 동작, 상기 UI 화면을 삭제하고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턴-오프 동작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는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전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에서 일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형상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상기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는, UI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된 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상기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에 따라 상기 UI 화면을 국부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화면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표면에 적층된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1 보호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표면에 적층된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2 보호층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핀치 업이 제1 방향으로 발생하면 상기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국부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상기 핀치 업이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발생하면 상기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기 제2 표면으로부터 국부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 표면 또는 상기 제2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터치 및 이격 상태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가 기 저장된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플렉서블 장치를 구기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변경된 UI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크럼플 판단 조건은,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을 감지한 감지 센서의 최대 개수 조건,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벤딩 라인의 최대 개수 조건,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벤딩 라인의 형성 방향 조건, 상기 벤딩 라인 각각의 형성 각도 조건, 상기 벤딩 라인 간의 교차점 개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방법은, 상기 변경된 UI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빔을 출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방법은, 상기 변경된 UI 화면의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은,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의 위치를 재배열하는 셔플 동작, 상기 UI 화면을 구겨진 형태로 변형하면서 상기 UI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삭제 동작,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턴-오프 동작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에서 일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형상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상기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상기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UI 화면을 국부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에 대응되는 동작은, 상기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형상 변형이 아닌 크럼플이나 핀치 업, 포크 다운 등과 같은 특수한 형상 변형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장치의 동작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장치에서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크럼플 상태의 플렉서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크럼플이 발생한 경우에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장치에서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크럼플이 발생하였을 때의 UI 화면 변경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빔 프로젝트 기능을 구비한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플렉서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플렉서블 장치의 국부적 형상 변형의 일 예인 핀치 업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플렉서블 장치의 국부적 형상 변형의 다른 예인 포크 다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복수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국부적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국부적 형상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8의 디스플레이부에서 국부적 형상 변형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 내지 28은 국부적 형상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의 다양한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그리고,
도 32는 플렉서블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플렉서블 장치(100)는 장치 전체 또는 일부분이 플렉서블한 특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힘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장치(100)는 휴대폰, PDA, 전자 액자, 전자 책, 전자 수첩,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니터, 키오스크, 테이블 PC, 리모콘, 빔 프로젝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 화면 생성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는 플렉서블 장치(100)에 배치되어, 형상 변형을 감지한다. 각 감지 센서(110-1 ~ 110-n)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각 감지 센서(110-1 ~ 110-n)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저항치가 감소하게 되고, 인장력이 가해지면 저항치가 증대하게 된다. 감지 센서(110-1 ~ 110-n)의 저항치 변화에 따라, 각 감지 센서(110-1 ~ 110-n)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크기가 변화된다. 제어부(130)는 각 감지 센서(110-1 ~ 110-n)의 출력값 변화를 판단하여, 형상 변형을 판단할 수 있다. 감지 센서(110-1 ~ 110-n)는 스트레인 게이지 외에 압전 센서나 기타 벤드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40)에는 형상 변형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조건이 저장될 수 있다. 형상 변형의 유형에는 가장 자리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이 한 부분만 구부러지는 싱글 벤딩, 두 부분 이상 구부러지는 멀티 벤딩, 일정 각도 이상 접히는 폴딩, 말리는 롤링, 비틀리는 트위스트, 구겨지는 크럼플, 일부분이 집혀 올려지는 핀치 업, 일부분이 눌려지는 포크 다운 등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 각각의 감지 결과가 입력되면, 그 감지 결과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판단 조건을 비교하여, 형상 변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 각각의 감지 결과가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면, 플렉서블 장치를 구기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화면 생성부(120)는 각종 UI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UI(User Interface) 화면이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 소프트 키보드나 각종 키가 표시되는 입력 화면, 각종 메인 메뉴가 표시되는 메인 화면, 각종 아이콘이 표시되는 아이콘 표시 화면, 잠금 상태를 알리는 잠금 화면 등과 같이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화면 생성부(120)는 연산부(미도시), 렌더링부(미도시), 버퍼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연산부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화면의 레이아웃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 데이터는 버퍼부에 저장된다. 버퍼부에 저장된 화면 데이터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크럼플에 따라 UI 화면을 변경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은 크럼플이 이루어진 시점에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기능의 종류나, 크럼플이 이루어진 시점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UI 화면의 구성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UI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크럼플이 이루어지면, UI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의 순서를 재배열하는 셔플 동작, UI 화면을 구겨진 형태로 변형하면서 UI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삭제 동작, UI 화면을 삭제하고 플렉서블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턴-오프 동작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른 UI 화면 변화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같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바디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의 전체 또는 일 부분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장치(100)는 사용자 임의대로 형상을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센서의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들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 렬로 정렬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일 렬로 정렬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열로 정렬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110-1 ~ 110-n)가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성된 경우,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면 그 형상 변형 지점에 배치된 감지 센서(110-1 ~ 110-n)에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가해진다. 감지 센서(110-1 ~ 110-n)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센싱 값을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그 센싱 값을 출력한 감지 센서의 위치와, 그 센싱 값의 크기에 따라 형상 변형의 유형을 판단한다.
도 3은 플렉서블 장치(100)이 복수 개의 영역이 구부러지는 멀티 벤딩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 따르면,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상태에서 한쪽 모서리와 한쪽 가장자리 영역이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영역과 나머지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는 라인이 형성된다. 이러한 라인을 벤딩 라인이라 명명한다. 벤딩 라인의 형성 위치에 배치된 감지 센서에서는 타 감지 센서보다 강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가해진다. 도 3에 따르면, 좌측 상단 모서리 영역이 벤딩됨에 따라 제3 감지 센서(110-3)와 제9 감지 센서(110-9)를 연결하는 벤딩 라인이 형성되고, 우측 가장 자리 영역이 벤딩됨에 따라 제8 감지 센서(110-8) 및 제n-2 감지 센서(110-n-2)를 연결하는 벤딩 라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장치(100)는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감지 센서(110-1 ~ 110-n)가 플렉서블 장치(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면 측에 배치된 경우라면, 플렉서블 장치(100)가 제1 방향으로 벤딩되면 감지 센서(110-1 ~ 110-n)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제2 방향으로 벤딩되면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반면, 감지 센서(110-1 ~ 110-n)가 플렉서블 장치(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면 측에 배치된 경우라면, 플렉서블 장치(100)가 제1 방향으로 벤딩되면 감지 센서(110-1 ~ 110-n)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고, 제2 방향으로 벤딩되면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제3 감지 센서(110-3)와 제9 감지 센서(110-9)에서 소정 시간 범위 내에 센싱 값이 출력되면 좌상단 모서리가 벤딩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센싱 값의 크기에 따라 좌상단 모서리가 제1 방향으로 벤딩되었는지 제2 방향으로 벤딩되었는지 판단한다. 또한, 제8 감지 센서(110-8) 및 제n-2 감지 센서(110-n-2)에서 소정 시간 범위 내에 센싱 값이 출력되면 우측 가장자리가 벤딩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센싱 값의 크기에 따라 우측 가장자리가 제1 방향으로 벤딩되었는지 제2 방향으로 벤딩되었는지 판단한다. 벤딩 라인, 벤딩 방향 등에 기초하여 형상 변형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 작업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판단 조건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싱글 벤딩, 멀티 벤딩, 폴딩 등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조건은 센싱 값이 출력된 감지 센서의 위치와 개수, 그 센싱 값의 크기에 대해 기 설정해 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링, 트위스트와 같은 경우에도 감지 센서에서 각각 출력되는 센싱 값의 크기 차이, 벤딩 방향 등에 기 설정해 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100)에서는 크럼플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크럼플이란 플렉서블 장치(100)를 구기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크럼플된 플렉서블 장치(100)의 형상을 나타낸다. 크럼플이 이루어지면 플렉서블 장치(100)에서는 다수의 벤딩 라인이 형성되며, 각 벤딩 라인의 형성 위치나 형성 방향, 벤딩 방향 등은 랜덤하게 결정된다. 제어부(130)는 각 감지 센서(110-1 ~ 110-n)의 감지 결과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럼플 판단 조건을 비교하여 크럼플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크럼플 판단 조건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렉서블 장치(100)의 제작자나 설계자는 크럼플을 복수 횟수 수행하면서, 크럼플 상태에서의 형상 변형이 감지되는 감지 센서의 개수와, 그 감지 센서의 센싱 값들의 최대 값, 평균 값, 최소 값 등에 기초하여 정해진 센싱 값 범위 등을 크럼플 판단 조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형상 변형이 감지된 감지 센서 중에서 센싱값 범위 이내의 센싱 값을 출력한 감지 센서의 개수가 정해진 개수 이상이면, 크럼플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고려하여 크럼플 판단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최대 4 군데의 형상 변형에 대해서, 각 형상 변형 영역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경우, 멀티 벤딩 시에는 최대 8군데의 감지 센서에서 센싱 값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크럼플 판단 조건은 센싱 값이 검출되는 감지 센서의 개수를 9 이상으로 정한 최대 개수 조건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크럼플 판단 조건은 벤딩 라인이 형성되는 시간 범위 조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멀티 벤딩의 경우, 사용자는 모서리나 가장 자리 등을 순차적으로 구부리기 때문에 벤딩 라인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벤딩 라인을 감지하는 두 개의 감지 센서의 센싱 값 출력 시점은 서로 거의 유사하지만, 다음 벤딩 라인을 감지하는 두 개의 감지 센서의 센싱 값 출력 시점은 상대적으로 이격된다. 반면, 크럼플이 이루어지게 되면 짧은 시간 내에 2개 이상의 벤딩 라인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에 정해진 개수 이상의 감지 센서에서 센싱 값이 출력되면 크럼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예로, 크럼플 판단 조건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벤딩 라인의 최대 개수 조건, 형성 방향 조건, 벤딩 라인 각각의 형성 각도 조건, 벤딩 라인 간의 교차점 개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라인의 최대 개수 조건이란, 크럼플이 이루어졌을 때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최대 개수를 결정해 둔 조건을 의미한다. 도 5는 크럼플이 발생하였을 때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크럼플이 발생한 상태를 펼쳐서 평면적으로 보면, 도 5와 같이 다수의 벤딩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 중에서 유사 범위 이내의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출력하는 두 개의 감지 센서의 위치를 연결하는 라인을 하나의 벤딩 라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총 8개의 벤딩 라인(B1 ~ B8)이 감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벤딩 라인의 최대 개수 조건이 5이상으로 설정되었다면, 제어부(130)는 도 5와 같이 벤딩 라인이 감지된 경우에 크럼플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형성 방향 조건이나, 형성 각도 조건이란 벤딩 라인들이 놓여진 방향이나 각도에 대해 정해 둔 상태 조건을 의미하고, 교차점 개수 조건이란 서로 교차하는 벤딩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교차점의 개수를 정해둔 조건을 의미한다.
크럼플 이외에는 통상적으로 형상 변형으로 인해 형성되는 벤딩 라인이 서로 교차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교차점 개수 조건은 1 또는 2 포인트 이상으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의 배치 패턴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도 6은 플렉서블 장치(100) 전면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감지 센서(110-1 ~ 110-n)들이 복수의 행과 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각 행이나 열은 엇갈리게 배치될 수도 있고, 전면에서 불균일하게 분산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크럼플이 발생하였을 때 센싱 값을 출력하는 감지 센서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에서 검은 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센싱 값을 출력하는 감지 센서를 의미하고, 흰 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센싱 값이 출력되지 않은 감지 센서를 의미한다. 도 7에서는 형상 변형이 이루어졌을 때 그 형상 변형 지점의 감지 센서에서 센싱 값이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전체 감지 센서에서 센싱 값을 항시 출력하면서 형상 변형이 이루어졌을 때는 그 지점의 감지 센서의 센싱 값이 변하게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 상, 센싱 값이 변한 감지 센서도 본 명세서에서는 센싱 값이 출력되는 감지 센서인 것으로 기재한다.
제어부(130)는 센싱 값이 출력되는 감지 센서 중에서 임의의 하나의 감지 센서를 선택하고, 그 감지 센서의 주변 감지 센서 중에서 센싱 값을 출력한 감지 센서가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센싱 값이 출력된 주변 감지 센서가 있으면, 최초 선택한 감지 센서와 해당 감지 센서를 연결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제어부(130)는 국부적인 벤딩 라인들의 형성 여부, 그 벤딩 라인의 배치 방향, 벤딩 라인 간의 교차 각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제어부(130)에서 벤딩 라인을 파악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도 7과 같이 복수의 감지 센서에서 센싱 값이 출력되면, 그 중 임의의 하나인 제3 감지 센서(110-3)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싱 값을 출력한 복수의 감지 센서들 중에서, 제3 감지 센서(110-3)의 주변 감지 센서인 제12 감지 센서(110-12)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12 감지 센서(110-12)의 주변 감지 센서인 제11, 22 감지 센서(110-11, 110-22)를 선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싱 값이 출력된 감지 센서들을 전부 연결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적인 벤딩 라인들이 파악된다.
크럼플 판단 조건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 방향 조건이나 벤딩 라인 각각의 형성 각도 조건까지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각 벤딩 라인의 방향이나, 형성 각도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조건과 비교하여 크럼플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평행하지 않은 국부적인 벤딩 라인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크럼플이 발생하면, 크럼플에 따라 UI 화면을 변경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화면 생성부(120)에 의해 변경된 UI 화면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 화면 생성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도 9에서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 화면 생성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의 구성 및 동작 중에서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전면 또는 일부분에 형성되어, 화면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각종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구동회로는 a-si TFT(Thin Film Transistor),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대응되는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나 LED와 같은 광원이 직하형 또는 에지형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백라이트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50)의 각 구성요소들은 탄소가 포함된 유기물 재질로 또는 포일(foil) 등으로 얇게 제작되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감지 센서(110-1 ~ 110-n)들은 디스플레이부(15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의 형상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UI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술한 크럼플이 발생하면 UI 화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도 10은 크럼플에 따른 UI 화면 변경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하나의 이미지(1010)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상태에서(a), 전체적으로 구겨지는 크럼플이 발생한 후(b), 펴지면, 이전 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이미지(1010)가 구겨져서 쓰레기 통(1020)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변경된 UI 화면(1030)이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화면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화면 생성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UI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1010), 즉, UI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저장부(140)에서 삭제하는 삭제 동작을 수행한다. 도 10에서는 UI 화면으로 표시된 이미지 컨텐츠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미지와 같은 컨텐츠 이외에 어플리케이션이나 위젯과 같은 프로그램이 크럼플에 의해 삭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크럼플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게임 프로그램 자체를 삭제할 수도 있다.
도 11은 삭제 동작이 이루어졌을 때의 UI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크럼플이 이루어지면 UI 화면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러지면서 삭제되는 형태로 변경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도 12는 크럼플이 발생하였을 때 수행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다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라 컨텐츠 재생 화면(1200)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화면 생성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한다(a).
컨텐츠 재생 화면(1200)은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제어 메뉴가 표시되는 재생 영역(11) 및 이후에 재생될 컨텐츠들의 정보가 표시되는 목록 영역(12)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크럼플이 발생하였다가(b) 다시 펴지면, 제어부(130)는 컨텐츠들의 재생 순서를 재배열하는 셔플 동작을 수행한다. 셔플 동작에 의해, 재생 중이던 컨텐츠와, 이후에 재생될 컨텐츠들의 순서까지 랜덤하게 재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화면(1200) 내의 재생 영역(11), 목록 영역(12)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변경된다.
이상에서는 삭제 동작, 셔플 동작에 대해 예시하였으나, 크럼플에 의해 턴 오프 동작도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홈 화면이나 잠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크럼플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그 화면을 제거하고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플렉서블 장치(100)를 턴오프시킨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 대신에 빔 프로젝트 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은 빔 프로젝트 기능을 구비한 플렉서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 대신에 빔 프로젝트 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빔 프로젝트 부(160)는 광원, 광 도파로, 렌즈 등을 포함한다. 빔 프로젝트 부(160)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화면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UI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빔을 출사하도록 빔 프로젝트 부(160)를 제어한다. 빔 프로젝트 부(160)에서 출사된 빔이 외부 벽이나 스크린에 주사되면, 도 13의 (a)와 같이, UI 화면(10)이 표시된다.
빔 프로젝트부(160)가 배치된 부분은 플렉서블하지 않은 견고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반면, 빔 프로젝트 부(160)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부분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한 부분이 크럼플되면, 도 13의 (b)에서와 같이 원 화면(10)이 구겨진 형태로 표시되는 화면(20)을 표현하기 위한 빔이 출사된다.
도 14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플렉서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 빔 프로젝트 부(160) 대신에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화면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UI 화면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RF 무선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나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UI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UI 화면(1410)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렉서블 장치(100)가 크럼플되면, 플렉서블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크럼플에 따라 UI 화면을 변경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통신부(170)는 변경된 UI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UI 화면 데이터에 따라 변경된 UI 화면(142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4에서는 화면 데이터를 플렉서블 장치에서 직접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플렉서블 장치(100)는 크럼플에 따라 UI 화면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코맨드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그 제어 코맨드에 따라 UI 화면을 생성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장치(100) 내의 화면 생성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 코맨드는 삭제 동작, 턴오프 동작, 셔플 동작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동작 별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플렉서블 장치(100)는 빔 프로젝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UI 화면에 대응되는 빔을 출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크럼플 동작 이외에도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과 같은 국부적 형상 변형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시 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과 같은 국부적 형상 변형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는 도 6과 같이 플렉서블 장치(100)의 전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국부적 형상 변형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핀치 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핀치 업이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기타 신체 또는 사물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 중 일부 영역을 집어 올린 상태 또는 그 행위를 의미한다.
도 15의 (a) 및 (b)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집어 올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5의 (c) 및 (d)는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에서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을 집어 올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5에서는 제1 방향을 Z+,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을 Z- 방향으로 도시하였다. 도 15에서와 같이 핀치 업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다. 핀치 업의 방향은 해당 영역 내의 감지 센서의 센싱 값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그 센싱 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16은 포크 다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크 다운이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기타 신체 또는 사물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 중 일부 영역을 눌러 내린 상태 또는 그 행위를 의미한다. 도 16의 (a) 및 (b)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후면에서 표면을 눌러서,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 중 눌려진 영역이 Z+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상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다. 반면, 도 16의 (c) 및 (d)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전면에서 표면을 눌러서,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 중 눌려진 영역이 Z-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상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다. 포크 다운의 방향 역시 해당 영역 내의 감지 센서의 센싱 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핀치 업 및 포크 다운이 이루어졌을 경우,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이 동그랗게 솟아 오르거나 꺼지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그 변형 형태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유연성(flexibility)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플렉서블 장치(100)의 유연성이 작다면,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 위치를 기준으로 벤딩 라인이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손가락으로 잡은 지점만이 국부적으로 접히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또는, 세 손가락으로 잡은 경우에도 복수의 벤딩 라인이 국부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겹치는 형태로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플렉서블 장치(100)의 유연성이 크다면, 도 15 및 도 16과 같이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 위치를 기준으로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국부적 형상 변형을 감지하기 위해서, 감지 센서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의 전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이 발생하게 되면, 전체 감지 센서들 중에서 일부인 국부 영역의 감지 센서들에서만 형상 변형이 감지된다. 제어부(130)는 센싱 값이 출력되는 감지 센서가 플렉서블 장치(1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모여 있다고 확인되면 국부적 형상 변형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7은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과 같은 국부적 형상 변형을 감지한 감지 센서를 나타낸다. 도 17에 따르면, 전체 감지 센서(110-1 ~ 110-n) 중에서 일부 감지 센서(110-m ~ 110-m+8)에서만 센싱 값이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 영역의 감지 센서들에서만 센싱 값이 출력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서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장치(100)에 포함된 터치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핀치 업과 포크 다운을 구분할 수 있다. 가령, 핀치 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최소 두 손가락 이상을 이용하여 집어 올려야 하므로, 터치 지점이 최소 두 군데 이상 발생하게 된다. 반면, 포크 다운은 한 손가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터치 지점이 한 군데만 발생하게 된다. 핀치 업 판단 조건이나 포크 다운 판단 조건 역시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감지 센서들의 감지 결과, 터치 센서의 감지 결과 등을 조합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판단 조건과 비교하여,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이 발생하면 그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에 따라 UI 화면을 변경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이 발생하면,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그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등과 같이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화면 생성부(120)는 제어부(130)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종류에 따라, 전체 UI 화면 내에서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이 발생한 부분의 UI 화면 영역만을 국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크럼플, 핀치 업, 포크 다운 모두를 인식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플렉서블 장치(100)의 구조, 재질에 따라, 크럼플을 제외한 국부적 형상 변형만을 감지할 수 있는 실시 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 디스플레이부(150)의 전면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 감지 센서(110-1 ~ 110-n)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50)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30),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변경된 UI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감지 센서(110-1 ~ 110-n)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도,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조건을 비롯한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140) 등과 같은 추가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크럼플을 제외하고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을 감지할 수 있는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 및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플렉서블 장치(100)는 장치 자체가 구부러질 필요는 없으며 표면 부분만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표면에서의 변형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감지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스트레인 게이지가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에 내장되는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은 표면에서만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0)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보호층(151), 디스플레이 패널(152), 터치 센서(153), 제2 보호층(15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51)은 디스플레이 패널(152)의 제1 표면에 적층된다. 제1 보호층(151)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 패널(152) 상에서 사용자가 집어 올리는 동작을 하면 국부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호층(151)은 투명 실리콘이나, 투명 고분자 물질 등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보호층(154)은 디스플레이 패널(152)의 제2 표면 측에 적층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층이다. 제2 보호층(154)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층이므로, 투명한 물질로 제작될 필요는 없다.
디스플레이 패널(152) 및 제2 보호층(154) 사이에는 터치 센서(153)가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센서(153)는 정전식이나, 감압식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5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5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디스플레이부(15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15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과 같은 구성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핀치 업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보호층(151)은 제1 방향, 즉, 플렉서블 장치(100)의 표면에 수직한 Z+ 방향으로 핀치 업이 발생하면, 핀치 업이 발생한 지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52)의 제1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보호층(154)은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 즉, Z- 방향으로 핀치 업이 발생하면, 핀치 업이 발생한 지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52)의 제2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터치 센서(153)는 제1 보호층(151), 제2 보호층(154)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의 터치 및 이격 상태를 영역별로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터치 센서(153)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핀치 업이 발생한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52) 자체는 플렉서블하지 않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52)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핀치 업 인지 포크 다운인지 여부 및 그 방향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장치는 다양한 감성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사용자는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사람의 얼굴 이미지가 표시된 경우, 그 얼굴 이미지 내의 일부 영역을 꼬집어 당기거나, 표면에 평행하게 미는 조작을 하여, 얼굴 이미지의 일부 영역이 형태나 색깔을 변경하는 편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어린이 교구재나 실감나는 광고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부분에서는 핀치 업과 포크 다운을 구별 인식하여 그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핀치 업이 이루어졌을 때의 동작을 기준으로 다양한 화면 변경 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제1 방향의 핀치 업이 발생하였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20의 (a)와 같이, 음악 컨텐츠의 재생 화면(20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방향으로, 즉, 플렉서블 장치(100)의 앞쪽 표면에서 핀치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의 (b)와 같이, 재생 중인 음악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2020)가 표시될 수 있다. 상세 정보(2020)에는 음악 컨텐츠의 가수 정보, 앨범 정보, 제목 정보, 관련된 음악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동일한 앨범 내의 다른 음악 컨텐츠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 정보(2020)는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도 20의 (b)와 같은 상세 정보(2020)를 생성하여 재생 화면(2010)에 추가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제2 방향의 핀치 업이 발생하였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20과 동일하게 음악 컨텐츠의 재생 화면(2010)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21의 (a)), 사용자는 제2 방향으로, 즉, 플렉서블 장치(100)의 뒷면에서 핀치 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삭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삭제 동작을 수행할 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화면(2030)을 추가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Yes를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를 삭제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100)는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에 의해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또는 컨텐츠 삭제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서는 하나의 UI 화면 자체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 표시 동작 또는 컨텐츠 삭제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동작은 하나의 UI 화면에 표시된 객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2는 제1 방향의 핀치 업이 발생하였을 때의 또 다른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있는 UI 화면(221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표시된 지점에서 제1 방향의 핀치 업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의 좌표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UI 화면에 표시된 각 객체들의 표시 좌표값과 비교하여, 핀치 업 지점에 표시되어 있는 객체를 결정한다. 제어부(130)는 결정된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검색하여 화면 생성부(120)로 제공한다.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생성부(120)는 제공된 상세 정보(2220)를 화면상에 추가적으로 표시한다. 표시 위치는,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이 될 수 있다.
도 23은 제2 방향의 핀치 업이 발생하였을 때의 또 다른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의 (a)에 따르면,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있는 UI화면(221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표시된 지점에서 제2 방향의 핀치 업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결정한다. 제어부(130)는 결정된 객체를 삭제할 것인지 문의하는 문의 화면(2230)을 생성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에 문의 화면(2230)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Yes 메뉴를 터치하여, 해당 객체를 삭제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에서는 썸네일 형태의 객체가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객체는 이미지로만 한정되지 않고 문자나 아이콘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특히, 복수의 아이콘이 표시된 홈 화면이나 아이콘 화면에서 하나의 아이콘에 대해 핀치 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되거나 그 프로그램을 삭제 또는 언인스톨(uninstall)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국부적 형상 변형이 이루어졌을 경우, 제어부(130)는 그 형상 변형 지점에 표시된 객체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동작이나 축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확대나 축소가 이루어지는 시점이나 그 조정 비율에 대해서는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에서, 화면을 국부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의 (a)에서와 같이 UI 화면(24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화면 내의 국부 영역에 핀치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을 확인하여, 전체 화면(2400) 내에서 핀치 업이 이루어진 부분을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된 화면 영역(2410) 만을 확대시키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는 핀치 업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24의 (b)는 핀치 업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핀치 업 위치를 이동시킴에 따라 화면의 확대 영역은 이동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변경(2420)된다.
또한, 사용자는 양손을 사용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핀치 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4의 (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두 지점에서 핀치 업을 수행하면, 해당 지점들의 화면 영역(2420, 2430)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4의 (a)에서는 하나의 이미지가 UI 화면(2400) 전체에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도 22 및 도 23에서와 같이 복수의 독립적인 객체가 표시된 경우, 그 중 하나의 객체에서 핀치 업이 이루어지면 그 객체의 크기만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도 있다.
도 26은 핀치 업이 이루어졌을 때 그 객체의 크기만을 확대시키는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지도(2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6에서는 단순 지도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지도(2610) 상의 특정 지역에 대해 핀치 업을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 감지된 지점에 POI(Point Of Information) 정보(2620)를 생성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POI 정보란 핀치 업이 발생한 포인트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의미한다. 도 26의 (b)에 따르면, 해당 포인트에 대해 돋보기를 가져다 댄 형태로 POI 정보(2620)를 표현하면서 그 지점의 객체를 확대하여 표시한 것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UI 화면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것 이외에 국부적 형상 변형에 따라 UI 화면에 표시된 내용 자체를 변경시키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도 27은 UI 화면의 내용을 변경하는 플렉서블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의 (a)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다양한 객체(2610, 2620, 2630)를 포함하는 UI 화면(2600)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들 객체(2610, 2620, 2630)는 문자나 숫자 등과 같은 각종 캐릭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7에서는 달, 일, 년도를 각각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 형태의 객체(2610, 2620, 2630)를 도시하였다.
사용자는 이들 객체(2610, 2620, 2630) 중에서 조정하고자 하는 객체 부분에 핀치 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7의 (b)는 세 번째 객체(2630)에 Z+ 방향으로 핀치 업이 행해 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 행해진 객체(2630)에 표시되어 있던 숫자를 핀치 업의 강도나 핀치 업 유지 시간 등에 따라 증가시킨다. 도 27의 (d)에서는 2001에서 2002로 증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반면, 사용자는 Z- 방향의 핀치 업을 이용하여 숫자를 줄일 수도 있다. 즉, 도 27의 (c)에서와 같이 제1 객체(2610)에서 Z- 방향의 핀치 업이 이루어지면, 도 27의 (e)에서와 같이 숫자 05가 04로 감소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숫자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숫자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7에서는 숫자의 증가 또는 감소를 위한 조작을 도시하였으나, 문자도 같은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가령, 문자가 표시된 지점에서 Z+ 방향으로 핀치 업이 이루어지면 알파벳 순서를 기준으로 A에서 Z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문자를 변경하고, Z- 방향으로 핀치 업이 이루어지면 Z에서 A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국부적 형상 변형에 따라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바 있으나, 상세 정보 이외에 해당 객체에 대한 조작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8은 국부적 형상 변형에 따라 메뉴를 표시하는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2810 ~ 2860)를 포함하는 UI 화면(280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5 객체(2850) 지점에 대해 Z+ 방향으로 핀치 업을 수행하면, 해당 지점이 위로 솟아오르는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다.
제어부(130)는 핀치 업이 이루어진 좌표 값과, UI 화면(2800)내의 각 객체의 표시 좌표를 비교하여 제5 객체(2850)가 핀치 업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5 객체(2850)에 대해 조작 가능한 상위 메뉴(A, B, C, D) 및 하위 메뉴(a, b, c)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원형 UI(2870)와, 제2 원형 UI(2880)를 각각 생성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도 2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형 UI(2870)는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원형 UI(2870)의 중심 영역에는 원래 표시되어 있던 제5 객체(2850)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원형 UI(2880)는 제1 원형 UI(2870)의 주위에 형성된다. 제2 원형 UI(2880)는 제1 원형 UI(2870)에 표시된 각 상위 메뉴(A, B, C, D)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원형 UI(2880)는 하나의 상위 메뉴가 선택되면 그 상위 메뉴의 주변에 부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령, D가 편집 메뉴라면, 제2 원형 UI(2880)는 편집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인 복사 메뉴, 삭제 메뉴, 크기 조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위 메뉴 선택 시에 제2 원형 UI(2880)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르게는, 제2 원형 UI(2880)는 핀치 업이 발생하면 제1 원형 UI(2870)과 동시에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100)는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과 같은 다양한 국부적인 형상 변형에 따라 UI 화면을 국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20 내지 도 28에서는 핀치 업이 발생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포크 다운이 발생하였을 때에 도 20 내지 도 28과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을 구별하지 않고 그 형상 변형 방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가령, Z+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에 대해서는 동일한 제1 동작이 매핑되고, Z-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에 대해서는 동일한 제2 동작이 매핑되어 실행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는 복수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가 입력되면(S2910), 그 감지 결과가 기 저장된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920). 판단 결과,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930),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2940). 상술한 바와 같이 크럼플 판단 조건은 다양한 값으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크럼플이 이루어졌을 때의 동작 역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에서는 크럼플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는, 크럼플이 아닌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과 같은 국부적인 형상 변형을 판단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UI 화면을 국부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어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는 생략한다. 또한, 핀치 업, 포크 다운을 판단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동작, UI 화면의 종류 등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8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한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일반 벤딩이나, 크럼플, 핀치 업, 포크 다운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형상 변형을 모두 감지할 수도 있다. 도 30은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는 복수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입력하면(S3010), 그 감지 결과가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20). 이에 따라,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면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3030),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3040).
반면,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S3020), 국부적 형상 변형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0). 국부적 형상 변형인지 여부는 형상 변형이 감지되는 지점이 전체 영역 중 일부에 국한되었는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국부적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그 형상 변형이 핀치 업인지 아니면 포크 다운인지 판단한다(S3060, S3080). 핀치 업인지 포크 다운인지 여부는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핀치 업이면, 플렉서블 장치는 핀치 업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3070). 반면, 포크 다운이면 포크 다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3090). 핀치 업에 대응되는 동작, 포크 다운에 대응되는 동작은 각각 형상 변형 방향에 따라 다시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제1 방향으로 집어 올리는 핀치 업에 대해서는 복사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방향으로 집어 올리는 핀치 업에 대해서는 붙여 넣기 동작을 수행하며, 제1 방향으로 누르는 포크 다운에 대해서는 확대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방향으로 누르는 포크 다운에 대해서는 축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과 각 형상 변형의 유형들 간의 매핑 관계는 플렉서블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국부적 형상 변형임에도 불구하고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이 아닌 경우에는 모서리나 가장자리 영역이 국부적으로 구부러지는 싱글 벤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싱글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00). 가령, 접혀진 모서리나 가장자리 영역과, 나머지 영역을 구분하여 별개의 화면을 표시하거나, 접혀진 모서리나 가장자리 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싱글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은 클립 보드 영역 표시, 컨텐츠 재생 일시 정지, 북마크 삽입 동작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으로 설정되어 매핑될 수도 있다.
한편, 다수의 지점에서 형상 변형이 이루어졌으나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지 않고, 국부적 형상 변형도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멀티 벤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10). 멀티 벤딩이란 상하좌우 가장자리, 4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이 구별 가능한 영역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께 접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장치는 멀티 벤딩이 이루어지면 그 상태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플렉서블 장치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고 있다면,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가 함께 접혀서 3등분되면 화면을 3등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우하단 모서리 부분이 모두 접힌 경우에는 그 모서리 부분마다 상이한 기능의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줄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동작들이 각 영역마다 매핑되어 지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나, 빔 프로젝트 기능을 구비한 빔 프로젝트 장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어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1은 통신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플렉서블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1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 화면 생성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통신부(170), GPS 수신부(181), DMB 수신부(182), 전원부(183), 오디오 처리부(184), 비디오 처리부(185), 스피커(186), 버튼(187), 카메라(188), 마이크(189), 감지부(190)를 포함한다.
화면 생성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크럼플이나, 핀치 업, 포크 다운 등이 발생하면 그에 따라 UI 화면을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변경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화면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특히, 저장부(140)에는 크럼플이나 핀치 업, 포크 다운, 일반 벤딩, 트위스트, 쉐이킹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형상 변형에 대해 매핑된 동작에 대한 정보, 각종 형상 변형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조건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형상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1 ~ 110-n)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와, 판단 조건을 비교하여 어떤 형상 변형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고, 그 형상 변형에 매핑된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의 세부 구성 및 그 동작과, 저장부(14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감지부(190)는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10-1 ~ 110-n) 이외의 센서들을 통칭하는 부분이다. 감지부(190)는 지자기 센서(191), 자이로 센서(192), 가속도 센서(193), 터치 센서(194), 근접 센서(195)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수 있다. 터치 센서(194)는 도 18 및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내에 내장된 터치 센서(153)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나 터치 센서 이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구비하게 되면, 감지부(190)는 플렉서블 장치의 회전이나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70)는 와이파이칩(171), 블루투스 칩(172), NFC칩(173), 무선 통신 칩(174)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71), 블루투스 칩(172), NFC 칩(17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173)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171)이나 블루투스 칩(17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7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통신부(170)는 상술한 다양한 칩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그 밖의 통신 규격에 따른 칩을 구비하며, 이를 이용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I 화면 데이터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또는, 플렉서블 장치(100)가 리모콘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제어 코맨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GPS 수신부(181)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DMB 수신부(182)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183)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183)는 양극 집전체, 양극 전극, 전해질부, 음극 전극, 음극 집전체 및 이를 감싸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83)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된다. 전원부(183)는 플렉서블 장치(10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집전체, 전극, 전해질, 피복 등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84)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84)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5)는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84) 및 비디오 처리부(185)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 될 때 구동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컨텐츠 선택을 위한 UI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화면 생성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한다. UI 화면에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비디오 처리부(185) 및 오디오 처리부(184)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비디오 처리부(185)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86)는 오디오 처리부(184)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럼플에 대해 셔플 동작이 매핑된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컨텐츠 선택 또는 재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크럼플이 감지되면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를 비롯한 각 컨텐츠들의 재생 순서를 재배열하는 셔플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버튼(187)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8)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8)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89)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89)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88) 및 마이크(189)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89)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88)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플렉서블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188)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가 지원되는 플렉서블 장치(100)에서는, 크럼플, 핀치 아웃, 포크 다운, 일반 벤딩, 멀티 벤딩, 기타 벤딩 등과 같은 형상 변형을 이용한 제어 이외에도, 모션 조작이나 음성 조작 방식으로 UI 화면을 표시하고 변경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밖에, USB 포트,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각종 어플리케이션, 위젯 등과 같은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형상 변형 및 제어 동작 간의 매핑 정보, 형상 변형 유형 별 판단 조건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34-n), 버스(135)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34-n) 등은 버스(1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내지 134-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133)는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UI 화면을 렌더링하도록 화면 생성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감지 센서들(110-1 ~ 110-n)에서 감지 결과가 입력되면 메인 CPU(133)는 어떠한 유형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면, 메인 CPU(133)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및 그 밖의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코맨드를 화면 생성부(120)를 비롯한 각종 구성요소들로 출력한다. 또는, 핀치 업이나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면 메인 CPU(133)는 도 20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및 그 밖의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코맨드를 화면 생성부(120)를 비롯한 각종 구성요소들로 출력한다. 이들 동작의 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은 플렉서블 장치가 통신 기능, 자동 회전 기능, DMB 기능, GPS 수신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단말 장치로 구현되었을 경우에 탑재 가능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1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2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커널(141), 미들웨어(142), 어플리케이션 모듈(143)이 저장된다.
커널(141)은 감지 센서(110-1 ~ 110-n)나 감지부(190)에 포함된 각종 센서, 기타 하드웨어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미들웨어(142)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42)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32에 따르면, 미들웨어(142)는 X11 모듈(142-1), APP 매니저 (142-2), 연결 매니저(142-3), 보안 모듈(142-4), 시스템 매니저(142-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42-6), UI 프레임워크(142-7), 센싱 모듈(142-8), 통신 모듈(142-9)을 포함한다.
X11 모듈(142-1)은 플렉서블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터치나 벤딩 기타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뿐만 아니라, 시스템 알람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이 개시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42-2)는 저장부(14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42-2)는 X11 모듈(142-2)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가령, 복수의 아이콘이 표시된 아이콘 화면 상에서 하나의 아이콘에 대해 핀치 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APP 매니저(142-2)는 핀치업이 이루어진 지점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따른 UI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크럼플이 이루어지는 경우, APP 매니저(142-2)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APP 매니저(142-2)에 의해 호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에 따른 화면은 UI 프레임워크(142-7)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42-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42-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2-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42-5)는 플렉서블 장치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42-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UI 프레임워크(142-7)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42-6)는 플렉서블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42-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이 실행되면 상술한 오디오 처리부(184) 및 비디오 처리부(185)와 같은 하드웨어들을 제어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UI 프레임워크(142-7)는 각종 UI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UI 프레임워크(142-7)는 각종 이미지 객체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 객체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이미지 객체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UI 프레임 워크(142-7)은 화면 생성부(120)에 의해 실행되어 다양한 UI 화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크럼플이나 국부적인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에 따라 UI 화면을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센싱 모듈(142-8)은 감지 센서(110-1 ~ 110-n) 및 감지부(190) 내의 각종 센서들의 센싱 결과나, 버튼, 마이크, 카메라 등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메인 CPU(133)는 센싱 모듈(142-8)을 실행시켜 각 감지 센서들의 감지값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크럼플이나 국부적 형상 변형 및 그 밖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싱 모듈(142-8)은 분석 결과에 따라 화면 변경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UI 프레임워크(142-7)로 이벤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통신 모듈(142-9)은 도 31의 통신부(170)에 포함된 각종 통신 수단을 구동시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43)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143-1 ~ 143-n)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메인 CPU(133)는 어플리케이션 모듈(143) 내의 어플리케이션들(143-1 ~ 143-n)을 상술한 크럼플이나, 핀치 업, 포크 다운에 따라 삭제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2는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프로그램 구성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140)에는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벤딩이나 멀티 벤딩 등과 같은 단순한 유형의 형상 변형 이외에도 크럼플이나 핀치 업, 포크 다운과 같은 특수한 유형의 형상 변형 까지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장치에 대한 활용성이 커지게 되며, 사용자가 플렉서블 장치의 이용에 재미를 느끼게 되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플렉서블 장치에 연결되거나 탑재되어, 해당 장치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1 ~ 110-n : 감지 센서 120 : 화면 생성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플렉서블 장치에 있어서,
    UI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상기 플렉서블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
    크럼플 판단 조건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각각의 감지 결과가 상기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플렉서블 장치를 구기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UI 화면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럼플 판단 조건은,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을 감지한 복수의 감지 센서 중에서 기설정된 범위 이내의 센싱 값을 출력한 감지 센서의 개수 조건,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벤딩 라인의 최대 개수 조건, 형성 방향 조건, 상기 벤딩 라인 각각의 형성 각도 조건, 상기 벤딩 라인 간의 교차점 개수 조건, 상기 벤딩 라인이 형성되는 시간 범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럼플 판단 조건은,
    감지 센서의 최대 개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을 감지하여 센싱값을 출력하면, 상기 센싱 값을 출력한 감지 센서의 개수와 상기 최대 개수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 센서의 개수가 상기 최대 개수 조건을 초과하면 상기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에 대응되는 빔을 출사하는 빔 프로젝트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장치.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럼플이 발생하면, 상기 UI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의 위치를 재배열하는 셔플 동작, 상기 UI 화면을 구겨진 형태로 변형하면서 상기 UI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삭제 동작, 상기 UI 화면을 삭제하고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턴-오프 동작 중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는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전면에 분산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에서 일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형상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상기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10. 플렉서블 장치에 있어서,
    UI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상기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이 발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국부 영역이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변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에 따라 상기 UI 화면을 국부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화면 생성부를 제어하는, 플렉서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표면에 적층된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1 보호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표면에 적층된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2 보호층;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핀치 업이 제1 방향으로 발생하면 상기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국부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상기 핀치 업이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발생하면 상기 핀치 업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기 제2 표면으로부터 국부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 표면 또는 상기 제2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터치 및 이격 상태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13.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가 기 저장된 크럼플 판단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플렉서블 장치를 구기는 크럼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변경된 UI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크럼플 판단 조건은,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을 감지한 복수의 감지 센서 중에서 기설정된 범위 이내의 센싱 값을 출력한 감지 센서의 개수 조건,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벤딩 라인의 최대 개수 조건, 형성 방향 조건, 상기 벤딩 라인 각각의 형성 각도 조건, 상기 벤딩 라인 간의 교차점 개수 조건, 상기 벤딩 라인이 형성되는 시간 범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UI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빔을 출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UI 화면의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3항,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럼플에 대응되는 동작은,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의 위치를 재배열하는 셔플 동작, 상기 UI 화면을 구겨진 형태로 변형하면서 상기 UI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삭제 동작,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턴-오프 동작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에서 일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형상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상기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국부 영역을 집어 올리는 핀치 업 또는 상기 국부 영역을 눌러 내리는 포크 다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이 발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국부 영역이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변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UI 화면을 국부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업 또는 상기 포크 다운에 대응되는 동작은,
    상기 핀치 업 또는 포크 다운이 발생한 지점에 표시된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복사하는 동작, 클립 보드 영역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해당 지점에 표시된 숫자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한 조정 메뉴를 추가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객체를 삭제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103481A 2012-09-18 2012-09-18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2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81A KR102028717B1 (ko) 2012-09-18 2012-09-18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1380048593.2A CN104813268A (zh) 2012-09-18 2013-09-17 柔性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3/008463 WO2014046492A2 (en) 2012-09-18 2013-09-17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2726DEN2015 IN2015DN02726A (ko) 2012-09-18 2013-09-17
RU2015114557A RU2015114557A (ru) 2012-09-18 2013-09-17 Гиб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EP13838727.9A EP2898400A4 (en) 2012-09-18 2013-09-17 FLEXIBLE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US14/030,211 US9921737B2 (en) 2012-09-18 2013-09-18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81A KR102028717B1 (ko) 2012-09-18 2012-09-18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850A KR20140036850A (ko) 2014-03-26
KR102028717B1 true KR102028717B1 (ko) 2019-10-07

Family

ID=5027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81A KR102028717B1 (ko) 2012-09-18 2012-09-18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21737B2 (ko)
EP (1) EP2898400A4 (ko)
KR (1) KR102028717B1 (ko)
CN (1) CN104813268A (ko)
IN (1) IN2015DN02726A (ko)
RU (1) RU2015114557A (ko)
WO (1) WO20140464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065A (ko) * 2012-06-04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028157B1 (ko) * 2012-11-20 2019-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909492B1 (ko) 2012-12-27 2018-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와의 인터렉션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N104461024B (zh) * 2013-09-18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输入装置、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2953005A1 (de) * 2014-06-03 2015-1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Aufrufen eines Editiermodus eines Homescreens
JP6345097B2 (ja) * 2014-12-05 2018-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5761617A (zh) * 2014-12-17 2016-07-1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屏的变形控制方法和***
JP6187546B2 (ja) * 2015-06-22 2017-08-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表示システム、操作表示装置および操作表示プログラム
CN105094646B (zh) * 2015-08-24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电子设备
US10156911B2 (en) * 2017-01-03 2018-12-18 Facebook, Inc. Content display control with a deformable display screen
CN107704167B (zh) * 2017-09-15 2019-08-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分享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330726A (zh) * 2019-05-15 2021-08-3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工作模式的控制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671976B (zh) * 2019-09-30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7441A1 (en) 2002-03-29 2003-12-1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input device and display input system
US20100093399A1 (en) 2008-10-15 2010-04-15 Lg Electronics Inc. Image proj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115422A1 (en) 2010-11-09 2012-05-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8494A1 (en) * 2005-04-22 2006-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s as an input device
CN101152646B (zh) * 2006-09-27 2012-07-04 香港理工大学 柔性超声换能器阵列及其应用装置
CN201262741Y (zh) * 2006-10-11 2009-06-24 苹果公司 带有传感器结构的用户输入装置
DE102007048596A1 (de) * 2007-10-10 2009-04-23 Vodafone Holding Gmbh Flexibles elektro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US20090262083A1 (en) 2008-04-16 2009-10-22 Jateen Parekh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user input through a display with a flexible backplane via touch sensors
KR101469779B1 (ko) 2008-08-21 2014-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US20100225578A1 (en) * 2009-03-03 2010-09-09 Chueh-Pin Ko Method for Switching Multi-Functional Modes of Flexible Panel and Calibrating the Same
KR101664418B1 (ko) * 2010-11-25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007300B2 (en) * 2011-10-14 2015-04-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process with bend movem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7441A1 (en) 2002-03-29 2003-12-1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input device and display input system
US20100093399A1 (en) 2008-10-15 2010-04-15 Lg Electronics Inc. Image proj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115422A1 (en) 2010-11-09 2012-05-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w Users Manipulate Deformable Display as Input Devices(2010.01.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850A (ko) 2014-03-26
US20140078088A1 (en) 2014-03-20
CN104813268A (zh) 2015-07-29
US9921737B2 (en) 2018-03-20
EP2898400A2 (en) 2015-07-29
EP2898400A4 (en) 2016-04-20
RU2015114557A (ru) 2016-11-10
WO2014046492A2 (en) 2014-03-27
WO2014046492A3 (en) 2015-04-30
IN2015DN02726A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717B1 (ko)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4641322B (zh) 用于提供局部反馈的用户终端装置及其方法
US9575706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43805A1 (zh) 一种微件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US9983628B2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641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611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9959B1 (ko)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US939582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 thereof
KR20200090684A (ko)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4220963A (zh) 柔性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2954A (ko) 사용자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4850181A (zh) 电子装置及其索引显示方法
US104817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sing on-screen keyboard
US1057214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216127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30159934A1 (en) Changing idle screens
KR20150111701A (ko)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5533A (ko) 전자 장치 및 색인 표시 방법
KR10203636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TWI442274B (zh) 一種電子裝置及其圖形化使用者介面控制方法
KR202000224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3502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