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648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648B1
KR102168648B1 KR1020160001843A KR20160001843A KR102168648B1 KR 102168648 B1 KR102168648 B1 KR 102168648B1 KR 1020160001843 A KR1020160001843 A KR 1020160001843A KR 20160001843 A KR20160001843 A KR 20160001843A KR 102168648 B1 KR102168648 B1 KR 10216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touch
touch interaction
processor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722A (ko
Inventor
이일호
김대명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648B1/ko
Priority to US15/215,156 priority patent/US10928948B2/en
Publication of KR2017008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메인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서브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Out Bending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의 뒷면까지 확장된 전자 장치(Half Round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터치 기능이 구비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에 따라, 상술한 전자 장치(Half Round Display)는 전면 디스플레이만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던 종래와는 달리 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도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확보해 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활용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c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메인 표시영역, 서브 표시영역 및 라운드 표시영역 중 하나만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메인 표시영역, 서브 표시영역 및 라운드 표시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각 영역과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대한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터치 인터랙션과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대한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터치 지점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제스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1b는 제스처 입력과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터치 인터랙션과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라운드 표시영역을 이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15a 및 도 15b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의 필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서브 표시영역 상의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디스플레이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나 중요도에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나 중요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 또는 통신적으로(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연결(coupled)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하는 것은, 각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disclosure)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임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수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표현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의 좌측 도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고, 도 1a의 우측 도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는 전면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는 후면 디스플레이가 배치되어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후면 디스플레이는 전면 디스플레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는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면 디스플레이를 메인 표시영역(10), 후면 디스플레이를 서브 표시영역(20)으로 설명한다.
도 1b의 좌측 도면은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연결된 전체 디스플레이의 전면도를 나타내고, 도 1b의 우측 도면은 전체 디스플레이의 후면도를 나타낸다.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각을 이룰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은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고, 각진 형상일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은 경계 라인(30-1, 30-2)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과 구분된다.
도 1b에 도시된 경계 라인(30-1, 30-2)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경계 라인(30-1, 30-2)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경계 라인(30-1, 30-2)은 제조사에 의해 제조 시에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경계 라인(30-1, 30-2)이 변경되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의 영역 크기가 변경되고,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상측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측,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측면이 아닌 복수의 측면을 감싸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는 터치패드를 감싸고,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드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패드 역시 디스플레이와 유사하게 구부러지게 되어, 터치 입력이 사용자가 생각하는 것과는 반대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으로부터 위쪽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으로부터 위쪽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 터치 영역의 차이 외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터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패드는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메인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으로부터 위쪽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으로부터 위쪽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의 방향을 반대로 입력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어느 한 영역의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생략한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각종 센서 및 리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지향성 리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동 가능한 일체형 커버에 리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리시버가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화 통화 시에 메인 표시영역(10)의 상하를 반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서브 표시영역(20)이 메인 표시영역(10)으로부터 곡면 형상의 라운드 표시영역(30)을 거쳐 연장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다른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도 실시 예를 확장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으로부터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 그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설명한다.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20)을 바라보는 경우의 좌측 및 우측을 반대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10),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서브 표시영역(2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전부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면 및 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단어이고, 특별히 단어의 의미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하여는 일 측면 및 타 측면일 수도 있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의 모든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 전체를 디스플레이로 덮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U'자와 같이 연결 부분이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ㄷ'자와 같이 연결 부분이 90°의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형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결 부위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홈 화면, 전화 기능, 메시지 기능, 인터넷 기능 및 컨텐츠 재생 기능 등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각각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을 연동시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1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동영상과는 무관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별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터치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면 동영상의 재생을 종료할 수도 있다.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제1 인터랙션과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제2 인터랙션 모두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제1 및 제2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제1 인터랙션과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제2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제3 기능을 수행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제2 인터랙션과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제1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제4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인터랙션이 입력된 영역을 고려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20)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고, 제2 터치 인터랙션은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며,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 및 제2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터치 인터랙션은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고, 제2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이며, 프로세서(120)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제스처 유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 인터랙션은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고, 제2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적어도 두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며, 프로세서(120)는 제2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터치된 지점의 개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고, 제2 터치 인터랙션은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며,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제1 및 제2 터치 인터랙션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변경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라 기 수행된 필기를 지울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의 두께, 색상 및 펜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필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서브 표시영역(20)을 기설정된 제스처로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1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넓게 해석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음악 어플리케이션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홈 화면이란 아이콘, 위젯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도 2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스토리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GPS 칩(145), 통신부(150), 감지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감지부(155)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 별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이 모두 구비되고,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터치 패널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특정 패널의 전원을 차단하여 특정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며 터치 또는 펜 입력을 수신하나, 소프트웨어적으로 특정 패널에 대한 입력을 무시하여 특정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손 터치 및 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만을 활성화시켜 펜 터치 입력은 받지 않고 손 터치 입력만을 받거나 펜 인식 패널만을 활성화시켜 손 터치 입력은 받지 않고 펜 터치 입력만을 받을 수도 있다.
또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구비되고, 일부 영역의 펜 인식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응되는 펜 인식 패널만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이 하나의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통해 터치 입력 및 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이 하나의 패널로 구현된 경우, 입력 종류 및 입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펜 입력과 같은 특정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펜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13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20)의 동작은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터치 인식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GPS 칩(145)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12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14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NFC 칩(15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3)은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감지부(155)는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155)는 상술한 터치 이외에,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그립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오브젝트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지자기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구비된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후면, 테두리,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는 터치 센서 외에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밖에, 도 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c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의 소프트웨어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c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는 OS(191), 커널(192), 미들웨어(193), 어플리케이션(194)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191)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91)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192)은 디스플레이(11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93)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9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c에 따르면, 미들웨어(193)는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윈도우 매니저(193-2),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 보안 모듈(193-4), 시스템 매니저(193-5), 연결 매니저(193-6), X11 모듈(193-7), APP 매니저(193-8),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를 포함한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는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는 서브 표시영역(2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보안 모듈(193-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93-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93-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93-6)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93-6)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X11 모듈(193-7)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93-8)는 스토리지(13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93-8)는 X11 모듈(193-7)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즉, APP 매니저(193-8)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c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스토리지(13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서 설명한 구성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하나만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어느 한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다른 두 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는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전화 또는 문자를 수신하는 경우,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가까운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정보가 제공될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서브 표시영역(20)의 일 영역을 연속하여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동일한 정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될 영역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별로 홈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프로세서(130)는 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제공할 정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정보를 제공할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오브젝트 뿐만 아니라 오브젝트의 크기, 내용 및 레이아웃을 모두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분할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전화 수신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서브 표시영역(20)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화 수신 UI를 터치하여 전화가 연결되면, 전화 통화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계속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을 음소거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일 일시 정지해둘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전부를 이용하여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전부를 이용하여 서로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는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조합하거나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동일한 사용자 터치 입력이 감지되더라도 터치 영역에 따라 설정 값의 조절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드래그 조작의 방향에 따라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드래그 조작이 메인 표시영역(10)인 경우보다 서브 표시영역(20)인 경우에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은 서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대한 동작은 얼마든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각 영역과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드래그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드래그 입력 전에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정보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정보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특정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방송 컨텐츠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컨텐츠의 채널 또는 음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대한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2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그 방향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터치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인 경우, 아래쪽인 경우, 왼쪽인 경우, 오른쪽인 경우 등에 따라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을 모두 고려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을 향하고,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아래쪽을 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영역과 각각의 터치의 방향을 모두 고려하여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을 향하고,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와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아래쪽을 향하고,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20)는 터치 영역을 고려하지 않고, 하나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고, 다른 하나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최초 터치 지점을 반영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동일하게 위쪽을 향하는 경우라도,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최초 터치 지점이 메인 표시영역(10)의 중앙인지 가장자리인지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크기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된 경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유효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최초 터치 지점의 크기를 반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의 최초 터치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b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제1 스와이프 인터랙션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모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을 고려하여 새로운 인터넷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보고 있던 인터넷 창을 닫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좌측을 향하는 경우에는, 보고 있던 인터넷 창의 이전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우측을 향하는 경우에는, 보고 있던 인터넷 창의 다음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음 화면이 없는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화가 오는 중에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상대방과의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연락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연락처 목록 중 포커스되어 있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새 메시지 작성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음악 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음악 또는 동영상을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음악 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현재 재생중인 음악 또는 동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동일한 경우 중 특히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 아래쪽인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 아래쪽이 아닌 경우 또는 제1 및 제2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도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터치 인터랙션과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대한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71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및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에는 상하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720)만을 도시하였으나, 얼마든지 다른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될 수 있고, 각각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인터랙션의 유무에 따라 동일한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더라도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b에서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최초 터치 지점을 반영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라도,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최초 터치 지점이 메인 표시영역(10)의 중심부인지 가장자리인지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크기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된 경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유효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터치 지점 및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더라도, 서브 표시영역(20)의 중심부를 터치한 경우와 가장자리를 터치한 경우에 대해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터치 지점의 개수 및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더라도,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지점이 한 개인 경우와 두 개인 경우에 대해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b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및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인터넷 창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없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인터넷 창을 스크롤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좌우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나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크기의 제한으로 일부 어플리케이션만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없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좌우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또다른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연락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연락처 목록을 기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건너뛰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알파벳 단위로 연락처 목록을 건너뛰면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B"로 시작되는 연락처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C"로 시작되는 연락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연락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없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좌우 방향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연락처 목록을 건너뛰지 않고 순차적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음악 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도 연락처가 디스플레이된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의 유무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만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도 7a에서 설명한 변형 실시 예에 대하여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7b에서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한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점을 드래그하는 동작일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터치 지점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어느 한 지점(820)을 터치하는 입력이고, 제2 터치 인터랙션은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810)을 터치하는 입력이며,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820) 및 제2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8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지속 시간 및 터치 지점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의 지속 시간과 기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의 연속 터치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터치 인터랙션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제2 터치 인터랙션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순서 및 터치 지점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제2 터치 인터랙션보다 먼저 감지된 경우 및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제1 터치 인터랙션보다 먼저 감지된 경우에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면적의 크기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터치 면적이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에만 유효한 입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의 음악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카메라 아이콘이 터치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없이 메인 표시영역(10)의 음악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도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특정 메시지, 특정 링크, 특정 이미지 등을 선택하는 터치 인터랙션이 있으면,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각각의 컨텐츠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음악 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의 좌측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 리스트 상의 이전 음악 또는 동영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우측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 리스트 상의 다음 음악 또는 동영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도 8a에서 설명한 변형 실시 예에 대하여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제스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터치 지점, 터치 지점의 개수, 연속적인 터치를 통한 궤적의 모양 및 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는 손가락 두 개를 이용하여 위,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지점의 개수 및 터치 방향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터치한 후 엄지와 검지를 벌리는 터치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엄지와 검지가 최초 터치한 지점 및 엄지와 검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c)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터치한 후 검지를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엄지와 검지가 최초 터치한 지점, 엄지와 검지의 거리 및 검지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d)는 손가락 세 개를 이용하여 터치한 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최초 터치한 지점, 터치 지점의 개수 및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e)는 손가락 세 개를 이용하여 좌우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지점의 개수 및 터치 방향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터치 인터랙션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손바닥을 이용한 터치 인터랙션을 인식할 수도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제스처 입력과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을 통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는 도 10a 내지 도 11b를 통해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1010)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1020) 입력인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a에서는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이 "v"자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스처 입력은 "U"자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일 수도 있고, 그 밖에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제스처 입력의 시작 지점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v"자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더라도, 시작 지점이 메인 표시영역(10) 중심부인지 가장자리인지에 따라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스처 입력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v"자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더라도, 메인 표시영역(10) 전체를 이용하는 경우와 메인 표시영역(10)의 가장자리 일부를 이용하는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없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이 있더라도,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b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인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은 메인 표시영역(10)을 "v"자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인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세서(12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술한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프린트하거나 블로그 또는 이메일에 첨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을 "e"자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곧바로 이메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1110)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1120) 입력인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은 메인 표시영역(10)을 "o"자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특정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술한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제스처 유형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른 유형의 제스처에 대하여도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도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음악 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메인 표시영역(10)을 "o"자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좌우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랙션보다 빠르게 컨텐츠를 내비게이션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 인터랙션은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1210)을 터치하는 입력이고, 제2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적어도 두 지점(1220)을 터치하는 입력이며,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제2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터치된 지점의 개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두 지점(1220)의 터치가 접촉하여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적어도 두 지점(1220)의 터치가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기설정된 시간 내이기만 하면 된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두 지점(1220)의 터치 지점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두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더라도, 메인 표시영역(10)의 중심부인지 가장자리인지에 따라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두 지점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두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이 있더라도, 두 지점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이면 제1 동작을 수행하고, 두 지점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미만이면 제2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세 지점의 터치 지점이 있는 경우, 각각의 지점 간의 거리를 평균 내어 기설정된 거리와 비교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지점 간의 거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2b는 홈 화면에서 도 12a와 같은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도 12a와 같은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경우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특정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도 12a와 같은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경우, 작성된 메시지 전체를 지울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도 12a와 같은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스크린 캡쳐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음악 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고 도 12a와 같은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경우, 재생되고 있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일시정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 표시영역(10)의 두 지점을 터치하는 동작에 대하여만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도 12a에서 설명한 변형 실시 예에 대하여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터치 인터랙션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 인터랙션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어느 한 지점(1310)을 터치하는 입력이고, 제2 터치 인터랙션은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1320)을 터치하는 입력이며, 프로세서(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제1 및 제2 터치 인터랙션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변경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카메라(182)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3b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터치 인터랙션이 없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인터랙션이 없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시간을 나타내는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20)는 얼마든지 다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3c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도 13a와 같은 터치 인터랙션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의 변경이 있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UI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UI에서 중요한 요소만을 추출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특정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90°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음악 또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는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움직임 외에도 흔들기 등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하나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변경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이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은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 사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입력된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에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더이상 정보를 제공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터치 인터랙션을 조합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중에서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은 상술한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터치 인터랙션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은 스와이프 인터랙션, 기설정된 면적 이상의 터치 면적을 갖는 인터랙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인터랙션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도 15a 및 도 15b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의 필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라 필기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필기 어플리케이션은 단순한 노트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외에도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그림 어플리케이션 등 터치 궤적을 입력받아 궤적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1510)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라 기 수행된 필기를 지울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서브 표시영역(20)의 터치 인터랙션 여부에 따라 변경되는 것은 다른 기능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있는 경우 필기가 가능하지만,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없는 경우에는 필기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는 터치용 펜을 이용하여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또한,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입력 여부에 따라 펜 기능 또는 지우개 기능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얼마든지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없으면 메인 표시영역(10)의 터치 궤적을 펜 입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으며 메인 표시영역(10)의 터치 궤적을 크레파스 입력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 여부에 따라 펜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1610)이 입력되면,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1620)에 따른 필기의 두께, 색상 및 펜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필기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에 필기의 두께, 색상 및 펜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바닥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이용하여 필기의 두께, 색상 및 펜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라 필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필기 궤적에 따라 문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지 않은 상태를 고려하여 한글 문자만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어느 한 지점(1710)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라 필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한 상태를 고려하여 필기 궤적에 대응되는 알파벳만을 인식할 수도 있다.즉,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터치 여부에 따라, 필기 궤적에 대응되는 문자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서브 표시영역(20)을 기설정된 제스처로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1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Coffee shop"이라는 필기를 인식하고, 서브 표시영역(20)을 기설정된 제스처(1810)로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Coffee shop"이라는 필기를 인식하여 지도 및 "Coffee shop"의 위치를 나타내는 GUI(182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서브 표시영역 상의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UI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보이는 그대로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좌우 대칭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에서 UI 요소는 불투명하고, 나머지 영역은 투명하게 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다시하기, 되돌리기, 텍스트, 지우개, 펜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UI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보면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여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10)에 필기 등을 수행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그립하고 있는 다른 손으로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는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UI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UI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사용자가 터치하는 지점을 메인 표시영역(10)에 GUI(5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5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터치 지점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관통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사용자 터치 지점에 따라 세부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에서 펜이 터치되면, 펜 종류, 펜 두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9a에서 사용자가 펜 종류를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펜 종류를 나타내는 UI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9c는 에어 커맨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에어 커맨드 기능은 화면에 펜을 가까이 대고 펜 버튼을 클릭하면 에어 커맨드의 5개 메뉴를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크게 액션 메모, 스크랩북, 캡쳐 후 쓰기, S 파인더, 펜 윈도우 등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액션 메모는 전화번호, 주소 등을 쓰고 연결 버튼을 누르면 바로 통화나 지도 검색하는 기능이고, 스크랩북은 유튜브 영상, 기사, 이미지 등을 스크랩하여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기능이고, 캡쳐 후 쓰기는 캡쳐한 화면에 메모나 간단한 편집을 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S 파인더는 검색어 입력만으로 휴대폰 안의 자료를 찾는 기능이고, 펜 윈도우 다른 어플을 창 크기로 실행하여 동시 작업하게 하는 기능이다.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에어 커맨드 기능이 제공하는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실행 중에 다른 하나를 추가로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캡쳐 후 쓰기 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에 의해 “11/17 date”라는 필기를 입력받은 후 액션 메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이때,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면, 에어 커맨드 기능을 메인 표시영역(10)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서브 표시영역(20)을 이용하여 펜 없이 터치만으로 에어 커맨드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캡쳐 후 쓰기 기능이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액션 메모 기능이 실행되면, 액션 메모 UI(1910) 및 액션 메모 실행 UI(19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액션 메모 UI(1910)에서 이루어진 필기를 이용하여 액션 메모 실행 UI(1920)에서 선택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액션 메모 기능이 실행 완료되면, 액션 메모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캡쳐 후 쓰기 기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디스플레이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2010)은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되고, 접혀지지 않은 영역(2020)은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2010) 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20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접혀지지 않은 영역(20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0a에서는 뒤집어진 영역(2010)의 면적이 접혀지지 않은 영역(2020)의 면적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정확히 반으로 접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 중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시 예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다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두 번 접어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형성하는 경우, 상술한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한 실시 예도 적용 가능하다.
도 20b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앞뒤로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20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되고, 후면 디스플레이(204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실시 예 중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시 예가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앞뒤로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적용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S2110). 그리고, 메인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서브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수행한다(S2120).
그리고, 감지하는 단계(S2110)는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수행하는 단계(S2120)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감지하는 단계(S2110)는 메인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서브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수행하는 단계(S2120)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 및 제2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하는 단계(S2110)는 서브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메인 표시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인 제2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수행하는 단계(S2120)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제스처 유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감지하는 단계(S2110)는 서브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메인 표시영역의 적어도 두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수행하는 단계(S2120)는 제2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터치된 지점의 개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행하는 단계(S2120)는 메인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서브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제1 및 제2 터치 인터랙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 변경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행하는 단계(S2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라 기 수행된 필기를 지울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S2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메인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의 두께, 색상 및 펜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필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행하는 단계(S2120)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메인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서브 표시영역을 기설정된 제스처로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1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활용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홈 화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등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도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에 대한 각각의 터치 인터랙션이 반대로 입력된 경우에도 유사한 동작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에서 설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새로운 터치 인터랙션의 유형을 생성하고 대응되는 동작을 매핑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대부분의 실시 예가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경우, 음악 어플리케이션과 관련이 없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대부분의 실시 예가 메인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및 서브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동시에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기설정된 시간 내에 다른 하나의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동시에 입력된 경우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0 : 메인 표시영역
20 : 서브 표시영역 30 : 라운드 표시영역
110 : 디스플레이 120 : 프로세서
130 : 스토리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5 : GPS 칩 150 : 통신부
155 : 감지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80 : 스피커
181 : 버튼 182 : 카메라
183 : 마이크

Claims (18)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표시영역,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제2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상기 제3 표시영역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제2 표시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상기 제2 표시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 및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인 제2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제스처 유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적어도 두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터치된 지점의 개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 변경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라 기 수행된 필기를 지우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2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의 두께, 색상 및 펜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필기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상기 제2 표시영역을 기설정된 제스처로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표시영역,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제2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표시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상기 제3 표시영역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제2 표시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상기 제2 표시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와이프 인터랙션의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 및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이 감지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인 제2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제스처 유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적어도 두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터치된 지점의 개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인터랙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 변경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라 기 수행된 필기를 지우는,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2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의 두께, 색상 및 펜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필기를 수행하는,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필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상기 제2 표시영역을 기설정된 제스처로 터치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궤적에 따른 필기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KR1020160001843A 2016-01-07 2016-01-07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843A KR102168648B1 (ko) 2016-01-07 2016-01-07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215,156 US10928948B2 (en) 2016-01-07 2016-07-20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843A KR102168648B1 (ko) 2016-01-07 2016-01-07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22A KR20170082722A (ko) 2017-07-17
KR102168648B1 true KR102168648B1 (ko) 2020-10-21

Family

ID=5927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843A KR102168648B1 (ko) 2016-01-07 2016-01-07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28948B2 (ko)
KR (1) KR102168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2512S1 (en) * 2015-06-07 2017-03-2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36138B2 (en)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60598B1 (ko) * 2016-12-21 202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074124B (zh) * 2017-01-26 2021-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的方法及移动设备
KR102563630B1 (ko) * 2018-10-10 2023-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200116583A (ko) 2019-04-01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D941813S1 (en) * 2019-05-23 2022-01-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83355B2 (en) * 2020-11-18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720312B2 (en) * 2021-03-22 2023-08-08 Motorola Mobility Llc Manage quickview content for a multi-display device
US11966659B2 (en) 2022-03-08 2024-04-23 Motorola Mobility Llc Context-based display of content on a multi-displa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3330A (ja) * 2011-09-27 2013-04-2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型電子機器、タッチ領域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210744A1 (en) * 2013-01-29 2014-07-31 Yoomee SONG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5118373A (ja) * 2013-11-15 2015-06-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2573A1 (en) * 2005-04-19 2006-10-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scription format provid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same,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display contro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same, display system,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description format providing device,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n storing program
KR101592296B1 (ko) * 2008-09-03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321319A1 (en) * 2009-06-17 2010-12-23 Hefti Thierry Method for displaying and updating a view of a graphical scene in response to commands via a touch-sensitive device
KR101591524B1 (ko) * 2009-08-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US9891821B2 (en) * 2010-04-23 2018-02-13 Handscape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rol region of a computerized device from a touchpad
EP2431870B1 (en) * 2010-09-17 2019-1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50894B1 (ko) * 2010-09-17 201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372618B2 (en) * 2010-10-01 2016-06-21 Z124 Gesture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9250768B2 (en) * 2012-02-13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JP6271858B2 (ja) 2012-07-0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954878B2 (en) * 2012-09-04 2015-02-10 Google Inc. Information navigation on electronic devices
KR102060155B1 (ko) 2013-01-11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50651B2 (en) * 2013-04-24 2016-02-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with folded display
KR101584590B1 (ko) 2013-07-1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TWI510994B (zh) * 2013-09-13 2015-12-01 Acer Inc 可攜式電子裝置及控制可攜式電子裝置的方法
FR3021485A1 (fr) * 2014-05-26 2015-11-27 Lg Electronics Inc Dispositif mobile et methode de controle associe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3330A (ja) * 2011-09-27 2013-04-2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型電子機器、タッチ領域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210744A1 (en) * 2013-01-29 2014-07-31 Yoomee SONG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5118373A (ja) * 2013-11-15 2015-06-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99614A1 (en) 2017-07-13
US10928948B2 (en) 2021-02-23
KR20170082722A (ko)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00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0388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7833B1 (ko) 사용자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55143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TWI708169B (zh)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US939582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 thereof
KR10231861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0417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8101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09439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7214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24368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2838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9218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87887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400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