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509B1 -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 Google Patents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509B1
KR102026509B1 KR1020160039683A KR20160039683A KR102026509B1 KR 102026509 B1 KR102026509 B1 KR 102026509B1 KR 1020160039683 A KR1020160039683 A KR 1020160039683A KR 20160039683 A KR20160039683 A KR 20160039683A KR 102026509 B1 KR102026509 B1 KR 102026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group
formula
present specification
electrolyt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534A (ko
Inventor
엄영식
김병국
최형삼
신정규
최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3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5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화학식 1의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COMPOUND, POLYMER USING THE SAM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polymer)는 분자량이 큰 화합물로, 단량체(monomer)라는 저분자가 여러 개 중합되어 이루어진 화합물을 일컫는다. 고분자는 사슬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선형 고분자, 가지 고분자, 가교 고분자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구조에 따라 물리적화학적 특성에서 큰 차이점을 보인다.
고분자는 비교적 가벼운 무게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가공성이 좋아 구조를 이루는 재료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기능성 재료로서의 사용이 부각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고분자 분리막으로의 활용이 있다. 고분자 분리막이란, 필름 같은 단순한 엷은 막이 아니라 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고분자막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연료전지, 레독스 플로우 전지 등의 양이온 교환이 가능한 전해질막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 장치이다. 즉 연료전지는 연료가스와 산화제를 사용하고, 이들의 산화환원 반응 중에 발생하는 전자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연료전지의 막 전극 접합체(MEA)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부분으로서 캐소드와 애노드 그리고 전해질막, 즉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산화-환원 흐름 전지, Redox Flow Battery)란 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물질이 산화·환원되어 충전·방전되는 시스템으로 활성물질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저장시키는 전기화학적 축전 장치이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단위셀은 전극, 전해질 및 이온교환막(전해질막)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오염물의 배출이 적은 친환경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연료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서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는 양이온 교환이 가능한 고분자 전해질막이며, 1) 우수한 양성자 전도도 2) 전해질의 크로스오버(Cross Over) 방지, 3) 강한 내화학성, 4) 기계적 물성 강화 및/또는 4) 낮은 스웰링 비(Swelling Ratio)의 특성을 갖는 것이 좋다.
고분자 전해질막은 불소계, 부분불소계, 탄화수소계 등으로 구분이 되며, 부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의 경우, 불소계 주 사슬을 가지고 있어 물리적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열적 안정성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은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과 마찬가지로 양이온 전달 관능기가 불소계 사슬의 말단에 붙어있어,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막과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의 장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내구성 및 내산성이 높은 연료전지 및/또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고분자 막을 제조하기 위해 고분자 합성시 사용되는 단량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부분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양성자 전도도, 기계적 물성, 물리적화학적 특성 등이 향상된 부분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03-0076057호
본 명세서는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F, Cl, Br 및 N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B1 내지 B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CO, S, SO 및 S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C1 및 C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고,
[화학식 2]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수소 또는 알칼리금속이온이며,
g는 0 또는 1이고, h는 0 또는 1이고, i 및 j는 2 내지 6의 정수이며,
R1 내지 R4는 각각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고,
a 및 b는 0 또는 1의 정수이며, c 및 f 는 1 내지 4의 정수, d 및 e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c 내지 f가 2 이상인 경우에는 괄호안의 치환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술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2 이상의 전술한 막-전극 접합체;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구비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택; 상기 스택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상기 스택으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는 양극 및 양극 전해액을 포함하는 양극 셀; 음극 및 음극 전해액을 포함하는 음극 셀; 및 상기 양극 셀과 상기 음극 셀 사이에 구비되는 전술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하여 합성한 고분자는 내구성 및 내산성이 우수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합물은 탄화수소계 주사슬(main chain)에 부분불소계 술폰산을 도입시켜 pKa 값을 감소시킴으로서 양성자 전도도를 높이고, 특히, 상기 C는 주사슬(main chain)의 반응 위치(site)와 이온 전달 효과를 주는 술폰산기의 위치(site)의 거리 증가시킨다, 또한, 복수의 페닐 연결기의 π-π 스태킹(stacking) 의 효과로 인하여 전해질막의 상분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은 친수성-소수성 상분리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분리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친수성 채널을 효율적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중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양성자 전도도가 우수하다. 결과적으로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또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고성능화를 가져온다.
도 1은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료전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라는 용어는 중수소; 할로겐기; 또는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어떠한 치환기도 가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량체”는 화합물이 중합반응에 의해서 중합체 내에서 2가기 이상의 형태로 포함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래"란 화합물의 결합이 끊기거나, 치환기가 떨어져 나가면서 새로운 결합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위는 중합체의 주쇄에 연결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위는 중합체 내 주쇄에 포함되어 중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및 1-2으로 표시되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1-1]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3
[화학식 1-2]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4
상기 화학식 1-1 및 1-2의 A1, A2, B1 내지 B3, C1 C2, R1 내지 R4 및 c 내지 f의 정의는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A1 및 A2는 B와 파라(para)로 치환되어 있으며, A1 및 A2가 B와 메타(meta) 위치인 경우, 전자당김기(Electron-withdrawing Group)인 B의 메타 위치에 A1 혹은 A2가 존재하게되면, 비활성화(Deactivating)되어 반응성이 떨어지고, 오쏘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면, A1과 A2의 반응성 차이로 인하여 고분자량의 소재를 얻기가 힘들다. 그러므로 A1 및 A2는 B와 파라(para)로 치환되어 있으면, 반응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어, 고분자량의 소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A1 및 A2는 F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B는 SO2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는
-CF2CF2OCF2CF2SO3M 또는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5
이고, M은 수소 또는 알칼리금속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알칼리금속은 주기율표 1족에 속하는 원소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알칼리금속은 Li, Na 및 K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알칼리금속은 K 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1 및 C2는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6
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1 및 C2는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7
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1 및 C2는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8
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1 및 C2는
Figure 112016031361577-pat00009
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학식 1 중 상기 C1 및 C2는 전자끌개 성질(electron withdrawing character)을 가져, 높은 분자량의 중합체의 형성이 용이하고, 안정한 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4 수소이다.
본 명세서의 일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된다.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0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중합체는 친핵성치환반응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본원 발명의 A1 혹은 A2와 다이올(diol) 혹은 다이티올(Dithiol) 단량체와 친핵성치환반응 방법으로 중합하여, 최종적으로, 폴리(아릴렌 에테르)(Poly(arylene ether)) 혹은 폴리(아릴렌 티오에테르)(Poly(arylene thioether))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몰 %를 기준으로 50 몰% 내지 60 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만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란 화합물이 중합체 재료를 위한 중합반응에 의하여 중합체 내의 주쇄 또는 측쇄에 결합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 외에 다른 제2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제2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의 함량은 30 몰% 내지 70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는 분리막의 이온 전도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제2 단량체는 중합체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단위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량체라면 그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량체는 하기 구조식 중에서 선택될수 있으나, 하기 구조식들로 한정하지 않는다.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2
,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3
,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4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 g/mol 내지 2,000,000 g/mol 이다. 상기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의 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의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적절한 고분자의 용해도를 유지하여, 전해질막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랜덤 중합체 또는 블록 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는 랜덤 중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블록 중합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중합체는 친수성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블록은 상기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블록 중합체 내에서 상기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은 1:0.1 내지 1:10의 몰비율로 포합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블록 중합체 내에서 상기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은 1:0 내지 1:2의 몰비율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블록 내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량체는 상기 친수성 블록을 기준으로 30 몰% 내지 70몰%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g/mol 내지 500,000 g/mol 이다. 구체적인 실시상태에 있어서, 2,000 g/mol 내지 300,000 g/mol 이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2,500 g/mol 내지 100,000 g/mol 이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g/mol 내지 500,000 g/mol 이다. 구체적인 실시상태에 있어서, 2,000 g/mol 내지 300,000 g/mol 이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2,500 g/mol 내지 100,000 g/mol 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에 따라, 블록 중합체인 경우에는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의 구획, 구분이 명확하여 상분리(phase separation)가 용이하여, 이온 전달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라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의 구분이 더욱 명확하게 되어, 종래의 고분자보다 이온 전달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중합체란 하나의 블록과 상기 블록과 상이한 1 또는 2 이상의 블록이 서로 고분자의 주쇄로 연결되어 구성된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친수성 블록"은 작용기로 이온 교환기를 갖는 블록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작용기는 ―SO3H, ―SO3 -M+, ―COOH, ―COO-M+, ―PO3H2, ―PO3H-M+, ―PO3 2-2M+, ―O(CF2)mSO3H, ―O(CF2)mSO3 -M+, ―O(CF2)mCOOH, ―O(CF2)mCOO-M+, ―O(CF2)mPO3H2, ―O(CF2)mPO3H-M+ 및 ―O(CF2)mPO3 2 -2M+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M은 금속성 원소일 수 있다. 즉, 작용기는 친수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이온 교환기를 갖는 블록"이란, 해당 블록을 구성하는 구조 단량체 1개당 있는 이온 교환기수로 나타내어 평균 0.5개 이상 포함되어 있는 블록인 것을 의미하고, 구조 단량체 1개당 평균 1.0개 이상의 이온 교환기를 갖고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소수성 블록"은 이온 교환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상기 고분자 블록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상기 "이온 교환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블록"이란, 해당 블록을 구성하는 구조 단량체 1개당 있는 이온 교환기수로 나타내어 평균 0.1개 미만인 블록인 것을 의미하고, 평균 0.05개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이온 교환기를 전혀 갖지 않는 블록이면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브랜쳐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브랜쳐란 중합체 사슬을 연결 또는 가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브랜쳐를 더 포함하는 중합체의 경우에는 브랜쳐가 직접 중합체의 주쇄를 구성할 수 있으며, 박막의 기계적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브랜치된 중합체는 산 치환체(acid substituents)를 포함하지 않는 브랜치된 소수성 블록(branched hydrophobic block)과 산 치환체를 포함하는 브랜치된 친수 블록(branched hydrophilic block)을 중합함으로써 후처리 술폰화 반응(post-sulfonation)이나 술폰화된 중합체(sulfonated polymer)의 가교반응(cross-linking)을 실시하지 않고 브랜쳐(brancher)가 중합체의 주사슬을 직접 구성하며, 박막의 기계적 집적도를 유지시켜주는 소수 블록과 박막에 이온전도성을 부여하는 친수 블록이 교대로 화학적 결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브랜쳐 또는 하기 화학식 4으로 표시되는 브랜쳐를 더 포함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5
[화학식 4]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6
화학식 3 및 4에 있어서,
X는 S; O; CO; SO; SO2; NR; 탄화수소계 또는 불소계 결합체이며,
R은 할로겐기로 치환된 방향족고리; 또는 할로겐기로 치환된 지방족 고리이고,
l은 0 내지 100의 정수이며,
l이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X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Y1 및 Y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및 할로겐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1 또는 2 이상 치환된 방향족고리; 또는 히드록시기 및 할로겐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1 또는 2 이상 치환된 지방족 고리이며,
Z는 3가의 유기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브랜처는 상기 Y1 및 Y2 각각의 할로겐기로 치환된 방향족 고리; 또는 할로겐기로 치환된 지방족 고리 중 할로겐기가 방향족 고리 또는 지방족 고리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브랜쳐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은 3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는 S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는 할로알킬기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는 NR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Y1 및 Y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치환 방향족 고리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Y1 및 Y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고리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Y1 및 Y2는 각각 불소 치환된 페닐기이다. 구체적으로 2,4-페닐, 2,6-페닐, 2,3-페닐, 3,4-페닐 등이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7
상기 구조에 있어서, X, l 및 R은 화학식 3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4의 Z는 하기 화학식 4-1 내지 4-4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1]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8
[화학식 4-2]
Figure 112016031361577-pat00019
[화학식 4-3]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0
[화학식 4-4]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1
상기 화학식 4-1 내지 4-4에 있어서,
L2 내지 L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결합; -S-; -O-; -CO-; 또는 -SO2-이고,
R10 내지 R2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이고,
m, n, o, r, t, u 및 v는 각각 1 내지 4의 정수이며,
p, q, 및 s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고,
w는 1 내지 6의 정수이며,
m, n, o, p, q, r, s, t, u, v 및 w가 각각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2 이상의 괄호내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1은 CO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1은 SO2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1은 S이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2는 CO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2는 SO2이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2는 S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3는 CO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3는 SO2이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3는 S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4는 CO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4는 SO2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5는 직접결합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L6는 직접결합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7은 직접결합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R10 내지 R20은 수소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R16은 할로겐기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R16은 불소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브랜처는 하기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2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3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4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5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6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7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8
Figure 112016031361577-pat00029
본 명세서의 상기 치환기들의 예시들은 아래에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치환"이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다른 치환기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치환되는 위치는 수소 원자가 치환되는 위치 즉, 치환기가 치환 가능한 위치라면 한정하지 않으며, 2 이상 치환되는 경우, 2 이상의 치환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탄화수소계는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유기 화합물을 의미하며, 직쇄, 분지쇄, 환형 탄화수소 등이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단일 결합,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불소계 결합체는 상기 탄화수소계에서 탄소-수소 결합이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방향족 고리는 방향족 탄화수소고리 또는 방향족 헤테로고리일 수 있으며, 단환 또는 다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족 탄화수소고리로는 페닐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등의 단환식 방향족 및 나프틸기, 비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파이레닐기, 페릴레닐기, 테트라세닐기, 크라이세닐기, 플루오레닐기, 아세나프타센닐기, 트리페닐렌기, 플루오란텐(fluoranthene)기 등의 다환식 방향족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족 헤테로고리는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고리에서 탄소원자 대신에 헤테로 원자 예컨대, O, S, N, Se 등을 1 이상 포함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티오펜기, 퓨란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티아졸기, 옥사졸기, 옥사디아졸기, 트리아졸기, 피리딜기, 비피리딜기, 피리미딜기, 트리아진기, 트리아졸기, 아크리딜기, 피리다진기, 피라지닐기, 퀴놀리닐기, 퀴나졸린기, 퀴녹살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피리도 피리미디닐기, 피리도 피라지닐기, 피라지노 피라지닐기, 이소퀴놀린기, 인돌기, 카바졸기, 벤조옥사졸기, 벤조이미다졸기, 벤조티아졸기, 벤조카바졸기, 벤조티오펜기, 디벤조티오펜기, 벤조퓨라닐기, 페난쓰롤린기(phenanthroline), 티아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페노티아지닐기 및 디벤조퓨라닐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방족 고리는 지방족 탄화수소고리 또는 지방족 헤테로고리일 수 있으며, 단환 또는 다환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고리의 예시로는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이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유기기로는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케닐기, 아릴기,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유기기는 상기 유기기 중에 헤테로 원자 등의 탄화수소기 이외의 결합이나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유기기는 직쇄상, 분기쇄상,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3가의 유기기란 유기 화합물에 결합 위치가 3개 있는 3가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유기기는 환상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여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소 원자, 질소 원자, 규소 원자 등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결합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카르보닐 결합, 티오카르보닐 결합,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우레탄 결합, 이미노 결합(-N=C(-A)-,-C(=NA)-: A은 수소 원자 또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카보네이트 결합, 설포닐 결합, 설피닐 결합, 아조 결합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환상 구조로는 전술한 방향족 고리, 지방족고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단환 또는 다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및 헵틸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케닐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 1-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1-부테닐, 2-부테닐, 3-부테닐, 1-펜테닐, 2-펜테닐, 3-펜테닐, 3-메틸-1-부테닐, 1,3-부타디에닐, 알릴, 1-페닐비닐-1-일, 2-페닐비닐-1-일, 2,2-디페닐비닐-1-일, 2-페닐-2-(나프틸-1-일)비닐-1-일, 2,2-비스(디페닐-1-일)비닐-1-일, 스틸베닐기, 스티레닐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클로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3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이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으며, 전해질막의 상분리 현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해질막"은 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막으로서, 막, 이온교환막, 이온전달막, 이온 전도성 막, 분리막, 이온교환 분리막, 이온전달 분리막, 이온 전도성 분리막, 이온 교환 전해질막, 이온전달 전해질막 또는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기 할로겐화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재료 및/또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도는 0.01 S/cm 이상 0.5 S/cm 이하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도는 0.01 S/cm 이상 0.3 S/cm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도는 가습 조건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습 조건이란 상대 습도(RH) 10% 내지 100%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교환용량(IEC) 값은 0.01 mmol/g 내지 5.0 mmol/g이다. 상기 이온교환용량값의 범위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에서의 이온 채널이 형성되고, 중합체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두께는 1 ㎛ 내지 500 ㎛이다. 상기 범위 두께의 고분자 전해질막은 전기적 쇼트(Electric Short) 및 전해질 물질의 크로스오버(Cross Over)를 저하시키고, 우수한 양이온 전도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또한,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술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막-전극 접합체(MEA)는 연료와 공기의 전기화학 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캐소드와 애노드)과 수소 이온의 전달이 일어나는 고분자 막의 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극(캐소드와 애노드)과 전해질막이 접착된 단일의 일체형 유니트(unit)이다.
본 명세서의 상기 막-전극 접합체는 애노드의 촉매층과 캐소드의 촉매층이 전해질막에 접촉하도록 하는 형태로서,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100 내지 400℃로 열압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은 애노드 촉매층과 애노드 기체확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기체확산층은 다시 애노드 미세 기공층과 애노드 전극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은 캐소드 촉매층과 캐소드 기체확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기체확산층은 다시 캐소드 미세 기공층과 캐소드 전극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막 전극 접합체(MEA)인데, 이는 전해질막(100)과 이 전해질막(100)의 양면에 형성되는 애노드(200a) 및 캐소드(200b) 전극으로 구성된다.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애노드(200a)에서는 수소 또는 메탄올, 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등의 연료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 수소 이온(H+) 및 전자(e-)가 발생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100)을 통해 캐소드(200b)로 이동한다. 캐소드(200b)에서는 전해질막(100)을 통해 전달된 수소 이온과, 산소와 같은 산화제 및 전자가 반응하여 물이 생성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외부회로에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의 촉매층은 연료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의 촉매층은 산화제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백금 또는 백금-전이금속 합금이 촉매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촉매들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계 담체에 담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촉매층을 도입하는 과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촉매 잉크를 전해질막에 직접적으로 코팅하거나 기체확산층에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촉매 잉크의 코팅 방법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프레이 코팅, 테이프 캐스팅, 스크린 프린팅, 블레이드 코팅, 다이 코팅 또는 스핀 코팅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촉매 잉크는 대표적으로 촉매, 폴리머 이오노머(polymer ionomer) 및 용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체확산층은 전류전도체로서의 역할과 함께 반응 가스와 물의 이동 통로가 되는 것으로, 다공성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기체확산층은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기재로는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탄소 천(Carbon cloth) 또는 탄소 펠트(Carbon felt)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체확산층은 촉매층 및 도전성 기재 사이에 미세기공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세기공층은 저가습 조건에서의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기체확산층 밖으로 빠져나가는 물의 양을 적게 하여 전해질막이 충분한 습윤 상태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2 이상의 막-전극 접합체;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구비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택; 상기 스택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상기 스택으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 장치이다. 즉 연료전지는 연료가스와 산화제를 사용하고, 이들의 산화환원 반응 중에 발생하는 전자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연료전지는 전술한 막-전극 접합체(MEA)를 사용하여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MEA)와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로 구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연료전지는 스택,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연료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는 스택(60), 산화제 공급부(70) 및 연료 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택(60)은 상술한 막 전극 접합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며, 막 전극 접합체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세퍼레이터는 막 전극 접합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막고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 및 산화제를 막 전극 접합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 공급부(70)는 산화제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산소 또는 공기를 펌프(70)로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료 공급부(80)는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81) 및 연료 탱크(81)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펌프(82)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연료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가스를 들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직접 액체 연료전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직접 개미산 연료전지, 직접 에탄올 연료전지, 또는 직접 디메틸에테르 연료전지 등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전해질막을 연료전지의 이온교환막으로 사용하였을 때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양극 및 양극 전해액을 포함하는 양극 셀; 음극 및 음극 전해액을 포함하는 음극 셀; 및 상기 양극 셀과 상기 음극 셀 사이에 구비되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산화-환원 흐름 전지, Redox Flow Battery)는 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물질이 산화·환원되어 충전·방전되는 시스템으로 활성물질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저장시키는 전기화학적 축전 장치이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산화상태가 다른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전해액이 이온교환막을 사이에 두고 만날 때 전자를 주고받아 충전과 방전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전해액이 담겨있는 탱크와 충전과 방전이 일어나는 전지 셀, 그리고 전해액을 탱크와 전지 셀 사이에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로 구성되고, 전지 셀의 단위셀은 전극, 전해질 및 이온교환막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전해질막을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이온교환막으로 사용하였을 때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전해질막(31)에 의해 양극 셀(32)과 음극 셀(33)로 나뉘어진다. 양극 셀(32)과 음극 셀(33)은 각각 양극과 음극을 포함한다. 양극 셀(32)은 파이프를 통해 양극 전해액(41)을 공급 및 방출하기 위한 양극 탱크(10)에 연결되어 있다. 음극 셀(33) 또한, 파이프를 통해 음극 전해액(42)을 공급 및 방출하기 위한 음극 탱크(20)에 연결되어 있다. 전해액은 펌프(11, 21)를 통해 순환되고, 이온의 산화수가 변화되는 산화/환원 반응(즉, 레독스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양극과 음극에서 충전 및 방전이 일어난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Figure 112016031361577-pat00030
콘덴서가 장착된 250mL의 둥근 플라스크에 3,3'-디브로모-4,4'-디플루오로디페닐 설폰 5.0000g(0.012135 mol, 1eq), 과불화(perfluorinated)4-브로모벤젠 13.9689g(0.026696 mol, 2.2eq), 0가의 구리 15.4233g (0.242695mol, 20eq)을 넣고, 디메틸 아세트아미드(DMAc) 30mL를 투입하였다. 반응계의 온도를 160℃로 승온 시킨뒤 48시간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뒤 과량의 에탄올을 반응기에 부었다. 셀라이트 필터(Celite Fiter)를 이용하여, 구리를 걸러준 후, 다량의 에탄올로 여러 번 씻어주었다. 여과 후 수집한 용액을 증발한 후, 남은 DMAc는 염석(salting-out)방법으로 침전을 얻었다. 여과 후 걸러진 고체를 에탄올/물로 재결정 후 오븐에 건조하여 최종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2>
Figure 112016031361577-pat00031
콘덴서가 장착된 250mL의 둥근 플라스크에 4,4'-설포닐비스(2-브로모-1-((40플루오로페닐)설포닐)벤젠) 8.4015g(0.012135 mol, 1eq), 과불화(perfluorinated)4-브로모벤젠 13.9689g(0.026696 mol, 2.2eq), 0가의 구리 15.4233g (0.242695mol, 20eq)을 넣고, 디메틸 아세트아미드(DMAc) 40mL를 투입하였다. 반응계의 온도를 160℃로 승온 시킨뒤 48시간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뒤 과량의 에탄올을 반응기에 부었다. 셀라이트 필터(Celite Fiter)를 이용하여, 구리를 걸러준 후, 다량의 에탄올로 여러 번 씻어주었다. 여과 후 수집한 용액을 증발한 후, 남은 DMAc는 염석(salting-out)방법으로 침전을 얻었다. 여과 후 걸러진 고체를 에탄올/물로 재결정 후 오븐에 건조하여 최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 중합체 합성
[화학식 1-1-1]
Figure 112016031361577-pat00032
Figure 112016031361577-pat00033
딘-스탁(dean-stark) 장치와 콘덴서가 장착된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상기 화학식 1-1-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000 g[2.6341 mmol], 4,4,'-싸이오비스벤젠싸이올 0.6595 g[2.6341 mmol]을 넣고, NMP(N-메틸-2-피롤리돈) 18ml와 톨루엔 9ml 를 이용하여 질소분위기에서 포타슘 카보네이트 1.4561 g[10.536 mmol]을 촉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반응 혼합물을 다시 140 ℃의 온도로 오일 바트(oil bath)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톨루엔이 역류하면서 딘-스탁 장치의 분자체(molecular sieves)에 공비혼합물을 흡착시켜 제거한 후, 반응온도를 175 ℃로 승온시키고 6 시간 동안 축중합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반응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감온시키고, 반응물을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용매로부터 공중합체를 분리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공중합체를 다시 물에 넣어 포타슘 카보네이트를 제거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공중합체를 100 ℃의 진공오븐에서 12 시간 이상 건조하여 고분자 소재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공중합체 1 g을 NMP 5 mL에 녹여 20 wt/v % NMP 용액을 만든 후, 유리기판 위에 코팅 및 건조 후, 약 20 ㎛ 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으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32 S/cm 였다.
<실시예 2> 멀티블록 중합체 합성
Figure 112016031361577-pat00034
딘-스탁(dean-stark) 장치와 콘덴서가 장착된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상기 화학식 1-1-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000 g[2.6341 mmol], 4,4,'-싸이오비스벤젠싸이올 0.6595 g[2.6341 mmol]을 넣고, NMP(N-메틸-2-피롤리돈) 18ml와 톨루엔 9ml 를 이용하여 질소분위기에서 포타슘 카보네이트 1.4561 g[10.536 mmol]을 촉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반응 혼합물을 다시 140 ℃의 온도로 오일 바트(oil bath)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톨루엔이 역류하면서 딘-스탁 장치의 분자체(molecular sieves)에 공비혼합물을 흡착시켜 제거한 후, 반응온도를 175 ℃로 승온시키고 6 시간 동안 축중합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종료 후 상기 반응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감온시킨 후, 동일 플라스크에 4,4'-디플루오로디페닐 술폰 0.6697 g[2.6341 mmol] 및 4,4,'-싸이오비스벤젠싸이올 0.6595 g[2.6341 mmol]을 넣고, NMP(N-메틸-2-피롤리돈) 6.6 ml와 톨루엔 3.3 ml 를 이용하여 질소분위기에서 포타슘 카보네이트 1.4561 g[10.536 mmol]을 촉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다시 개시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반응 혼합물을 다시 140 ℃의 온도로 오일 바트(oil bath)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톨루엔이 역류하면서 딘-스탁 장치의 분자체(molecular sieves)에 공비혼합물을 흡착시켜 제거한 후, 반응온도를 175 ℃로 승온시키고 6 시간 동안 축중합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반응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감온시키고, 반응물을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용매로부터 공중합체를 분리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공중합체를 다시 물에 넣어 포타슘 카보네이트를 제거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공중합체를 100 ℃의 진공오븐에서 12 시간 이상 건조하여 소수성 블록과 친수성 블록이 교대로 화학결합으로 이어진 멀티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공중합체 1 g을 NMP 5 mL에 녹여 20 wt/v % NMP 용액을 만든 후, 유리기판 위에 코팅 및 건조 후, 약 20 ㎛ 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으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2 S/cm 였다.
<비교예 1>
Figure 112016031361577-pat00035
딘-스탁(dean-stark) 장치와 콘덴서가 장착된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디소듐 2,2'-디술포네이트-4,4'-디플루오로디페닐 술폰 3.0000 g[6.5455 mmol], 4,4'-디플루오로디페닐 술폰 1.6642 g[6.5455 mmol], 및 4,4,'-싸이오비스벤젠싸이올 3.2779 g[13.091 mmol]을 넣고, NMP(N-메틸-2-피롤리돈) 40 ml와 톨루엔 20 ml 를 이용하여 질소분위기에서 포타슘 카보네이트 7.2367 g[52.364 mmol]을 촉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반응 혼합물을 다시 140 ℃의 온도로 오일 바트(oil bath)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톨루엔이 역류하면서 딘-스탁 장치의 분자체(molecular sieves)에 공비혼합물을 흡착시켜 제거한 후, 반응온도를 175 ℃로 승온시키고 6 시간 동안 축중합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반응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감온시키고, 반응물을 과량의 메탄올에 부어 용매로부터 공중합체를 분리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공중합체를 다시 물에 넣어 포타슘 카보네이트를 제거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공중합체를 100 ℃의 진공오븐에서 12 시간 이상 건조하여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공중합체를 g을 NMP 5 mL에 녹여 20 wt/v % NMP 용액을 만든 후, 유리기판 위에 코팅 및 건조 후, 약 20 ㎛ 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으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 S/cm 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의 전해질막 성능평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 및 2에서 제조된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보다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 상태에 따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은 종래의 전해질막에 비해 이온전도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00: 전해질 막
200a: 애노드
200b: 캐소드
10, 20: 탱크
11, 21: 펌프
31: 전해질막
32: 양극 셀
33: 음극 셀
41: 양극 전해액
42: 음극 전해액
60: 스택
70: 산화제 공급부
80: 연료 공급부
81: 연료 탱크
82: 펌프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43327913-pat00036

    상기 화학식 1에서,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F, Cl,및 B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B1 내지 B3는 SO2이며,
    C1 및 C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고,
    [화학식 2]
    Figure 112019043327913-pat00037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수소 또는 알칼리금속이온이며,
    g는 1이고, h는 1이고, i 및 j는 각각 2 내지 6의 정수이며,
    R1 내지 R4는 수소이고,
    a 및 b는 각각 0 또는 1의 정수이며, c 및 f 는 4이고, d 및 e는 3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또는 1-2으로 표시되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1-1]
    Figure 112019043327913-pat00038

    [화학식 1-2]
    Figure 112019043327913-pat00039

    상기 화학식 1-1 및 1-2의 A1, A2, B1 내지 B3, C1 C2, R1 내지 R4 및 c 내지 f의 정의는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같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는
    Figure 112019043327913-pat00040
    이고, M은 수소 또는 알칼리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인 화합물:
    Figure 112016031361577-pat00041

    Figure 112016031361577-pat00042
  7. 청구항 1 내지 3 및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위를 50몰 % 내지 60몰%를 포함하는 것인 중합체.
  9. 청구항 7 의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0.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청구항 9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11. 2 이상의 청구항 10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구비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택;
    상기 스택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상기 스택으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12. 양극 및 양극 전해액을 포함하는 양극 셀;
    음극 및 음극 전해액을 포함하는 음극 셀; 및
    상기 양극 셀과 상기 음극 셀 사이에 구비되는 청구항 9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0160039683A 2016-03-31 2016-03-31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KR102026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683A KR102026509B1 (ko) 2016-03-31 2016-03-31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683A KR102026509B1 (ko) 2016-03-31 2016-03-31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534A KR20170112534A (ko) 2017-10-12
KR102026509B1 true KR102026509B1 (ko) 2019-09-27

Family

ID=6014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683A KR102026509B1 (ko) 2016-03-31 2016-03-31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1384B2 (ja) * 2016-09-29 2020-09-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3319A (ja) 2006-03-31 2007-10-18 Fujifilm Corp 高分子電解質、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JP2008027890A (ja) * 2006-06-23 2008-02-07 Fujifilm Corp 固体電解質、電極膜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JP2013189515A (ja) * 2012-03-13 2013-09-26 Toyobo Co Ltd 芳香族炭化水素系ポリマーとそれを用いてなる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JP2013221086A (ja) 2012-04-17 2013-10-28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アリーレ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5549970B2 (ja) 2009-03-27 2014-07-16 国立大学法人山梨大学 超強酸基を有する芳香族高分子電解質及び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62B1 (ko) 2002-03-22 2004-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 전지용 복합 폴리머 전해질 막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3319A (ja) 2006-03-31 2007-10-18 Fujifilm Corp 高分子電解質、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JP2008027890A (ja) * 2006-06-23 2008-02-07 Fujifilm Corp 固体電解質、電極膜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JP5549970B2 (ja) 2009-03-27 2014-07-16 国立大学法人山梨大学 超強酸基を有する芳香族高分子電解質及びその利用
JP2013189515A (ja) * 2012-03-13 2013-09-26 Toyobo Co Ltd 芳香族炭化水素系ポリマーとそれを用いてなる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JP2013221086A (ja) 2012-04-17 2013-10-28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アリーレン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53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500B1 (ko) 강화막
CN108884213B (zh) 嵌段聚合物和包含该嵌段聚合物的聚合物电解质膜
KR101821480B1 (ko)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KR101947605B1 (ko) 할로겐화 화합물,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JP6478175B2 (ja) 高分子重合用組成物、これを用いた高分子、こ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
KR101991430B1 (ko) 할로겐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CN107922596B (zh) 嵌段聚合物和包含该嵌段聚合物的聚合物电解质膜
KR102026509B1 (ko)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EP3228643B1 (en) Polymer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same
KR102026510B1 (ko)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KR102050626B1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102055965B1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8080B1 (ko)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074552B1 (ko) 할로겐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KR102672160B1 (ko)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집합체, 연료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20170062398A (ko)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KR102050623B1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20200069660A (ko)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집합체, 연료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20180027884A (ko) 강화막
KR20170131030A (ko) 불소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