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346B1 - 선박 자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자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346B1
KR102026346B1 KR1020180101876A KR20180101876A KR102026346B1 KR 102026346 B1 KR102026346 B1 KR 102026346B1 KR 1020180101876 A KR1020180101876 A KR 1020180101876A KR 20180101876 A KR20180101876 A KR 20180101876A KR 102026346 B1 KR102026346 B1 KR 102026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hip
operator
vessel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테크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테크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테크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0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0Slowing-down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8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using remote control means, e.g. wireless contro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선박 자동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운행시 선박을 운전하는 조종자가 선박으로부터 이탈하는 긴급 상황 발생시 선박의 자동 제어장치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선박의 조종자 위치신호를 출력하고 해상으로 이탈한 조종자가 선박을 원격하는 선박 자동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자동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vessel}
본 발명은 선박 자동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운행시 선박을 운전하는 조종자가 선박으로부터 이탈하는 긴급 상황 발생시 선박의 자동 제어장치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선박의 조종자 위치신호를 출력하고 해상으로 이탈한 조종자가 선박을 원격하는 선박 자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엔진, 조타키 등의 조작을 통해 항해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엔진, 조타키 등은 각각 조타실 내부에 설치된 속도조절기, 조타기 등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속도조절기, 조타기 등은 각각 엔진, 조타키 등의 조작을 위한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을 이용한 제어라인을 통해 장비 제어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조타실에서는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지피에스와 나침반 등을 이용하여 항로를 결정하면서 컨트롤박스와 연결된 속도조절기, 조타기 등을 조작함으로써, 선박은 안전한 항로를 따라 항해를 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은 자동차 내의 각종 계측제어 장비들 간에 디지털 직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ISO에서 국제표준 규격으로 제정되었다.
캔은 다른 자동화 통신망들에 비하여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며, 지난 수년간 차량 내의 열악한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동작되어 신뢰도가 검증된 통신망이다.
캔은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다중 마스터(multiple master),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등을 지원하는 매우 유연성 있는 네트워크이며, 공장의 열악한 환경이나 고온, 충격이나 진동,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도 잘 견딜 수 있다.
한편, 요트, 어선 등과 같이 규모가 작은 선박은 소수의 인원으로 선원을 구성함에 따라, 선박을 운행시키면서 다른 작업을 위해 조타실을 비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선박을 운행하는 조종자가 여러 가지 이유 등의 돌발 사고로 선박에서 이탈하여 바다에 빠지는 경우 선박을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선이나 요트와 같이 소형 선박의 경우 선박의 운행을 제어하는 조종자가 해상에 추락한 경우 선박의 운행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42655호(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운행시 선박을 운전하는 조종자가 선박으로부터 이탈하는 긴급 상황 발생시 선박의 자동 제어장치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선박의 조종자 위치신호를 출력하고 해상으로 이탈한 조종자가 선박을 원격하는 선박 자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긴급 상황 발생시, 선박의 운전을 제어하는 자동 운전 제어부가 확인 대상 송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위치 확인용 신호를 수신하여 조종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를 벗어났는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 결과, 조종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를 벗어난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가 미수신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상기 송신수단으로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긴급 상황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선박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긴급 상황 자동운전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신수단은 조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구명조끼 및 웨어러블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위치 확인용 신호, 선박의 조종 제어 신호 및 조종자의 위치 좌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선박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조종자의 움직임이 일정 시간 이상 미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종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를 벗어났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는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종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를 벗어났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c-1) 상기 c) 단계의 긴급 상황 자동운전은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엔진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선박이 정지되도록 하고, 상기 선박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c-2)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풍량, 풍향, 수심 정보가 포함된 주변 환경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심을 미리 설정된 수심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c-3) 상기 비교 결과, 검출된 수심이 수심 기준값 이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닻을 투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검출된 수심이 수심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후면 낙하산이 펼쳐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c-4)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비상용 위치지시 무선 표식(EPIRB)을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c-5)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상기 조종자의 신체에 착용된 구명조끼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위치 위치 확인용 신호 또는 GPS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조종자의 위치를 검출하여 선박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c-6) 상기 산출된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가 거리 기준값 이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구명 장비를 전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c-7) 상기 c-6)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산출된 거리가 거리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는 상기 구명조끼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에 설치된 송신수단으로 선박의 이동을 위한 조종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c-8)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선박의 이동을 위한 확인 및 조종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가 전개된 닻 또는 낙하산이 회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c-9) 상기 닻 또는 낙하산의 회수가 완료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는 엔진 시동후, 상기 검출된 조종자 위치로 선박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c-10)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는 상기 선박의 위치와 조종자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하가 되면, 엔진 시동을 정지하고, 닻 또는 낙하산이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명조끼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는 조종자에게 착용되면, 온(ON)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 확인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조종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조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음향 신호 및 디스플레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명조끼는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긴급 상황 확인 요청 신호, 선박의 조종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음향 및 디스플레이 신호로 출력하고, 조종자가 긴급 상황 확인 신호, 선박의 조종 제어 신호, GPS 위치 좌표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자동 운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선박의 운행시 선박을 운전하는 조종자가 선박으로부터 이탈하는 긴급 상황 발생시 선박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선박의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운행시 선박을 운전하는 조종자가 선박으로부터 이탈하는 긴급 상황 발생시 조종자가 선박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선박 조종자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선박 자동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선박 자동 제어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의 자동 운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자동 운전 과정의 조종자 위치 검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자동 운전 과정의 조종자 위치로 선박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명조끼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도 6의 조종자 위치로 선박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선박 자동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 자동 제어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의 자동 운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자동 운전 과정의 조종자 위치 검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자동 운전 과정의 조종자 위치로 선박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명조끼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9는 도 6의 조종자 위치로 선박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자동 제어방법은 선박(1)에 설치되는 자동 운전 제어부(10)와, 선박(1)의 조종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와, 상기 선박(1) 내에서 조종자(30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선박(1)을 자동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에서 송신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수신하여 조종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조종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 판단용 위치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면, 선박(1)의 운전이 중단되도록 엔진, 조타기 등의 제어수단과 제어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선박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거나 구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닻, 낙하산, 구명정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선박(1)의 제어를 위해 선박(1)의 캔 버스(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캔 버스를 이용하여 선박(1)의 운전 신호(예를 들면, 엔진 정지, 엔진 시동, 조타기 회전, 닻 투하 또는 회수, 낙하산 전개 또는 회수 등)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근거리 무선통신(NFC), RFID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포맷을 이용하여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와 위치 확인용 신호, 긴급 상황 확인 요청 신호, 조종 확인 신호, 조종 제어 신호 및 조종자의 위치 좌표 신호 등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구명조끼(100)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101)와, 상기 부력부(101)가 조종자(300)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버클(102)로 이루어진 구명조끼로서, 상기 조종자(300)의 신체에 상기 구명조끼(100)가 착용되면 센서부(111)가 온(ON) 되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위치 확인용 신호가 선박(1)의 자동 운전 제어부(10)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에서 전송되는 조종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음향 신호 및 디스플레이 신호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명조끼(100)는 상기 조종자(300)가 입력하는 선박의 조종 제어 신호와 GPS 위치 좌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와 데이터 신호,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110)와, 구명조끼(100)의 착용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111)와,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검출하는 입력부(112)와,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에 전송되는 신호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13)와, 조종자의 음성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114)와,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의 동작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5)와, 구명조끼(100)의 위치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16)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7)와, 상기 전원부(117)로 태양광 발전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태양 전지 패널부(118)와, 상기한 구명조끼(100)에 설치된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태양 전지 패널부(118)는 태양 전지 패널부(118)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전원부(117)로 공급하도록 연결는 전원선(118a)과, 상기 부력부(101)에서 분리된 태양 전지 패널부(118)가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패널 부력부(118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a)는 구명조끼(100)의 부력부(101)를 제외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조종자(300)의 손목 등에 착용되는 시계 형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명조끼(100) 및 웨어러블 단말기(100a)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 확인용 신호, 긴급상황 확인 신호, 선박의 조종 제어 신호 및 조종자의 위치 좌표 신호 등이 송신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선박(1)을 운전하는 조종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에 설치된 송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등록(S100)하여 상기 조종자(300)의 부재로 인한 긴급 상황 발생시 선박(1)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100 단계의 위치 확인용 신호가 등록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상기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에 설치된 송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수신하여 조종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를 벗어났는지 분석(S110)한다.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는 조종자(300)가 착용하고 있는 경우 온(ON)되어 위치 확인용 신호를 일정 시간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상기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는 예를 들면, 조타실 내부, 크기가 작은 선박인 경우 선박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의 분석결과,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에 따른 조종자(300)의 위치가 상기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를 벗어난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가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미수신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상기 조종자(300)의 위치가 선박(1)의 외부인지 여부를 확인(S120)한다.
또한, 상기 S110 단계는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가 선박(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카메라(20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신호를 미리 저장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조종자(300)의 움직임이 일정 시간 이상 미검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조종자(300)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조종자(300)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110 단계는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가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를 일정 시간 이상 미수신하였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미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조종자(300)가 미리 설정된 긴급 상황 판단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S120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조종자(300)의 위치가 선박(1)의 외부로 확인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에 설치된 송신수단으로 조종자(300)가 선박에서 이탈하여 바다에 빠진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S130)하고, 긴급 상황인지 판단(S140)한다.
상기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에서 조종자(300)가 입력부(112) 또는 음향 입력부(114)를 통해 입력한 긴급 상황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선박(1)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긴급 상황 자동운전을 실행(S150)한다.
상기한 긴급 상황 자동운전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가 긴급 상황 자동운전을 실행하면, 우선, 선박(1)을 정지시키기 위해 엔진 정지 신호를 출력(S200)하고, 상기 엔진 정지 신호의 출력 후 선박(1)이 완전히 정지하였는지 여부와 상기 선박(1)의 위치를 확인(S210)한다.
상기 선박(1)의 정지 여부와 위치는 선박(1)에 설치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한다.
상기 선박(1)이 정지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풍량, 풍향, 수심 정보가 포함된 선박(1)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S220)하고, 상기 검출된 수심을 미리 설정된 수심 기준값과 비교(S230)한다.
상기 수심 기준값은 선박(1)에 설치된 닻이 도달할 수 있는 거리로서, 얕은 바다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S230 단계의 비교 결과, 검출된 수심이 닻이 도달할 수 있는 수심 기준값 이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선박(1)에 설치된 닻이 투하되도록 닻 구동부(미도시)로 제어 신호를 출력(S240)하고, 상기 S230 단계의 비교 결과, 검출된 수심이 수심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 후면 낙하산이 펼쳐지도록 낙하산 구동부(미도시)로 제어 신호를 출력(S241)한다.
상기 S240 단계 또는 S241 단계를 수행한 다음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비상용 위치지시 무선 표식(EPIRB)이 동작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S250)한다.
또한,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S250 단계를 수행한 다음, 조종자(300)의 신체에 착용된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에서 송신되는 위치 위치 확인용 신호 또는 GPS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조종자(300)의 위치를 검출하여 선박(1)의 위치와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선박(1)과 조종자(3000 사이의 거리를 산출(S300)한다.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상기 S300 단계에서 산출된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 기준값과 비교(S310)한다.
상기 거리 기준값은 선박(1)에 설치된 구명장치(미도시)를 투하할 경우 조종자(300)에게 도달할 수 있는 근접한 거리로서, 예를 들면 10m 내외의 거리다.
상기 S310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산출된 선박(1)과 조종자(300) 사이의 거리가 상기 거리 기준값 이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구명 장비(미도시)가 전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S320)한다.
이때,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선박(1)의 위치 좌표와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에서 전송되는 위치 좌표의 비교를 통해 방향 및 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확인된 방향에 설치된 구명장비가 전개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310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산출된 선박(1)과 조종자(300) 사이의 거리가 거리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상기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에 설치된 송신수단으로 선박(1)의 이동을 위한 조종 확인 신호를 전송(S320)하고, 이동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S322)한다.
상기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로부터 선박(1)의 이동을 위한 확인 및 조종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전개된 닻 또는 낙하산이 회수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S323)한다.
상기 S323 단계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통해 닻 또는 낙하산의 회수가 완료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엔진이 시동되도록 엔진 시동 신호를 출력(S324) 다음, 선박(1)이 일정 속도의 RPM과 방향을 유지하면서 조종자(300)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S325)한다.
상기 S325 단계를 수행하여 선박(1)이 이동하면,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는 상기 선박(1)의 위치와 조종자(30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하가 되는지 확인한 다음,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이하가 되면, 엔진 시동을 정지하고, 닻 또는 낙하산이 전개되도록 상기 제어하는 상기 S200 단계 내지 S250 단계를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구명조끼(100)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a)는 조종자(300)에게 착용되면, 센서부(111)가 온(ON)되어 송신 제어부(120)가 미리 설정된 위치 확인용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에서 전송되는 조종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조종자(3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음향 신호 및 디스플레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구명조끼(100)는 상기 자동 운전 제어부(10)에서 전송되는 긴급 상황 확인 요청 신호, 선박의 조종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음향 및 디스플레이 신호로 출력하고, 조종자(300)가 긴급 상황 확인 신호, 선박의 조종 제어 신호, GPS 위치 좌표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자동 운 제어부(10)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선박의 운행시 선박을 운전하는 조종자가 선박으로부터 이탈하는 긴급 상황 발생시 선박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선박의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박의 운행시 선박을 운전하는 조종자가 선박으로부터 이탈하는 긴급 상황 발생시 조종자가 선박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선박 조종자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선박 10 : 자동 운전 제어부
100 : 구명조끼 100a : 웨어러블 단말기
101 : 부력부 102 : 버클
110 : 무선 통신부 111 : 센서부
112 : 입력부 113 : 음향 출력부
114 : 음향 입력부 115 : 디스플레이부
116 : GPS 수신부 117 : 전원부
118 : 태양 전지 패널부 120 : 송신 제어부
200 : 카메라 300 : 사용자

Claims (3)

  1. 선박(1)에 설치된 자동 운전 제어부(10)가,
    조종자가 착용한 송신수단(100, 100a)으로부터 위치 확인용 신호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상기 송신수단(100, 100a)으로부터 전송된 조종자의 위치 좌표 신호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신호를 분석하여 조종자의 움직임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조종자가 긴급 상황 판단용 위치의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긴급 상황 판단용 위치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될 경우, 엔진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풍량, 풍향, 수심 정보가 포함된 선박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환경 정보에 대응하여 닻 투하 신호 또는 낙하산 투하 신호를 생성하여 닻 또는 낙하산이 투하되도록 제어하거나, 비상용 위치지시 무선 표식(EPIRB)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닻 또는 낙하산의 투하에 이어서 조종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종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조종자가 착용한 상기 송신수단(100, 100a)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조종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닻 또는 낙하산을 회수하도록 제어한 후, 엔진 시동 신호를 생성하여 엔진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조종자의 위치 좌표 신호와 선박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조향 신호를 생성하여 선박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조종자의 위치와 선박의 위치가 설정 거리 이내로 도달하면, 엔진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선박 자동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80101876A 2018-08-29 2018-08-29 선박 자동 제어방법 KR102026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76A KR102026346B1 (ko) 2018-08-29 2018-08-29 선박 자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76A KR102026346B1 (ko) 2018-08-29 2018-08-29 선박 자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346B1 true KR102026346B1 (ko) 2019-11-29

Family

ID=6872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76A KR102026346B1 (ko) 2018-08-29 2018-08-29 선박 자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3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095A (ja) * 1997-02-06 1998-08-18 Enii:Kk 船舶運行制御装置
KR100883046B1 (ko) * 2008-06-11 2009-02-10 (주)지오시스템리서치 무인원격 수질 및 기상환경 모니터링 선박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80042655A (ko)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KR20180075866A (ko) * 2016-12-27 2018-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난사고 시 익수자 자동 구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095A (ja) * 1997-02-06 1998-08-18 Enii:Kk 船舶運行制御装置
KR100883046B1 (ko) * 2008-06-11 2009-02-10 (주)지오시스템리서치 무인원격 수질 및 기상환경 모니터링 선박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80042655A (ko)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KR20180075866A (ko) * 2016-12-27 2018-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난사고 시 익수자 자동 구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563B1 (ko)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EP3696076A1 (en) Lanyard system and method for a marine vessel
KR20170088123A (ko) 무인 선박의 항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해 제어 방법
KR101523704B1 (ko) 해상 조난신호 송출기 및 이를 구비한 구명조끼
KR101087680B1 (ko) 선박의 원격 위치제어를 이용한 해상교통관리 방법
US11488462B2 (en) Signal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and surveillance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US10922947B2 (en) Rescue signal transmission system
CN114599580B (zh) 船舶操纵支持***及方法
KR20170031896A (ko) 비행체를 이용한 선박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KR100702448B1 (ko) 무인표적예인선의 원격통제장치 및 통제방법
KR102026346B1 (ko) 선박 자동 제어방법
KR20160054350A (ko) 조난신호 발생장치
US11738847B2 (en) Interface unit
KR101995259B1 (ko) 무선기기를 이용한 선외추락 경보장치
US20220234701A1 (en) Rescue system
KR102587291B1 (ko) 무인운항선박 오토파일럿시스템
US11697479B2 (en) Rescue method and system for man overboard with remote monitoring
KR101402618B1 (ko) 자동 항해 무인선을 이용한 해상 구조 방법 및 시스템
KR102026345B1 (ko) 선박 자동 제어 장치
KR20200026649A (ko) 선상에서 추락한 조난자를 위한 해상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720791B1 (ko) 선박의 자동 부력 제공 및 비상상태 알림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2084135B1 (ko) 선박 조종자용 구명조끼
KR102655087B1 (ko) 예인선 통합 관리시스템
KR20140008100A (ko) 함선 운항 방법 및 시스템
ITRM960421A1 (it) Sistema elettronico di sicurezza per navigatori a ve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