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653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653B1
KR102023653B1 KR1020170144756A KR20170144756A KR102023653B1 KR 102023653 B1 KR102023653 B1 KR 102023653B1 KR 1020170144756 A KR1020170144756 A KR 1020170144756A KR 20170144756 A KR20170144756 A KR 20170144756A KR 102023653 B1 KR102023653 B1 KR 10202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strip
rim
bead
pneumatic tir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182A (ko
Inventor
김우강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6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4Bead contour, e.g. lips,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4Bead contour, e.g. lips, grooves, or ribs
    • B60C2015/0245Bead lips at the bead toe portion, i.e. the axially and radially inner end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60C2015/065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at the axially outer side of the carcass turn-up portion not wrapped around the bea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트레드의 측부에 연결된 사이드 월, 사이드 월의 하부에 배치되며 비드 코어 및 비드 필러를 포함하는 비드부, 비드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공기입 타이어의 외측을 향해 턴업된 단부를 포함하는 바디 플라이, 비드부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림 스트립, 및 제1 림 스트립과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림 스트립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차량에 있어서 지면과 접촉하여 차량의 주행 및 제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타이어는 단순히 내구성만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고 조종성, 안정성과 같이 승차감 성능도 좋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타이어는 차량의 승차감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연비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차량의 운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 성능, 핸들링 성능 및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입 타이어로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측부에 연결된 사이드 월; 상기 사이드 월의 하부에 배치되며, 비드 코어 및 비드 필러를 포함하는 비드부; 상기 비드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외측을 향해 턴업된 단부를 포함하는 바디 플라이; 상기 비드부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림 스트립; 및 상기 제1 림 스트립과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림 스트립;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림 스트립의 외측에 결합하는 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드 필러의 정점부로부터 상기 림의 중심까지의 최단 수직거리는, 상기 림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림의 상기 중심까지의 최단 수직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림 스트립의 상단부 보다 상기 트레드를 향해 더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림 스트립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상단부 사이의 길이 차이는 10mm 이거나 그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경도(Hardness)는 상기 제1 림 스트립의 경도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경도는 상기 비드 필러의 경도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히스테리시스 손실 계수는 상기 비드 필러의 손실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림 스트립과 상기 제2 림 스트립은 각각 고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공동(cavity)을 향하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의 반대편인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플라이의 단부는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을 일부 커버하도록 턴업되며, 상기 제2 림 스트립은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바디 플라이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간층을 이용하여 공기입 타이어의 측면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연비를 개선하는 등 타이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및 제2 림 스트립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제1 및 제2 림 스트립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과 대응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편의상 림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110), 트레드(110)에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월(120)들, 사이드 월(120)들 각각의 하부에 위치한 비드부(130), 트레드(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스틸벨트(140), 바디 플라이(150), 바디 플라이(15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너라이너(160), 사이드 월(120)의 하측에 배치된 제1 림 스트립(170), 및 제2 림 스트립(180)을 포함한다.
트레드(110)는, 타이어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110)의 표면에는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과 트레드 패턴에 의해 구획된 블록(116)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그루브(114)와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14)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트레드 패턴은 원주방향 그루브(114) 사이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116)에 형성되며, 그루브(114)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록(116)은 트레드(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지면과 직접 접하여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사이드 월(120)은 트레드(110)의 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사이드 월(120)은 공기입 타이어(1)의 옆 부분으로서 한 쌍이 구비된다. 사이드 월(120)은 바디 플라이(150)를 보호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월(120)은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트레드(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이드 월(120)은 트레드(100)와 다른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드부(130)는 사이드 월(120)의 하측에 구비되며, 공기입 타이어(1)를 림(Rim, R)에 장착하는데 있어서 이들의 결합을 도와준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2)와 비드 충전재인 비드 필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2)는 예컨대, 고무가 코팅된 강철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될 수 있으며, 비드 필러(134)는 고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필러(134)의 높이(H)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비드 필러(134)의 높이(H)는 15mm 이상 ~ 50m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비드 필러(134)의 높이(H)는 비드 코어(132)의 상측으로부터 비드 필러(134)의 정점부(134p)까지의 최단 수직 거리를 나타낸다. 비드 필러(134)의 높이(H)가 전술한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비드 코어(132)를 보호하기 어렵고, 비드 필러(134)의 높이(H)가 전술한 상한을 벗어나는 경우 공기입 타이어(1)의 연비가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도 3에서는 비드 필러(134)의 정점부(134p)가 림(R)의 상단부(R-t) 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즉 비드 필러(134)의 정점부(134p)가 림(R)의 상단부(R-t)를 지나 트레드(110)를 향해 연장되지 않도록 도시하고 있다.
스틸벨트(140)는 트레드(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바디 플라이(150)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스틸벨트(140)는 서로 중첩된 제1스틸벨트층(141) 및 제2스틸벨트층(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틸벨트층(141)은 제2스틸벨트층(143) 상에 위치하며, 제1스틸벨트층(141)의 폭은 제2스틸벨트층(143)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110)와 스틸벨트(140) 사이에는 캡 플라이(1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캡 플라이(145)는 스틸벨트(140) 위에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45)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50)는 스틸벨트(140)의 아래에 배치되며, 공기입 타이어(1)의 골격을 형성하며, 공기입 타이어(1)가 받는 하중, 충격 등을 흡수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압을 유지시킨다.
바디 플라이(150)는 공기입 타이어(1)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높은 장력의 섬유코드에 고무재가 토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섬유코드는 그물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50)는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비드부(1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턴업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50)는 하나의 바디 플라이층을 포함하는 단층이거나 다층일 수 있다.
이너라이너(160)는 튜브 대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층으로,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60)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입 타이어(1)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림 스트립(170)은 사이드 월(120)의 하측에 배치되되, 사이드 월(120)과 적어도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제1 림 스트립(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부(1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제2 림 스트립(180)은 제1 림 스트립(170)과 비드부(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는 제1 및 제2 림 스트립(170, 180)의 적어도 2개의 림 스트립 구조를 통해 주행시 사이드에서의 굴신 구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트레드(110)에서의 변형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여 공기입 타이어(1)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드부(130)는 림(R)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는데 반하여, 제1 및 제2 림 스트립(170, 180) 각각은 일부가 림(R)과 대응하고 나머지는 림(R) 상측의 사이드 월(120)과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응한다고 함은 중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입 타이어(1)의 측부에서 보았을 때, 비드부(130)의 비드 코어(132) 및 비드 필러(134)는 모두 림(R)과 중첩하며, 림(R)의 상단부(R-t)는 비드 필러(134)의 정점부(134p) 보다 트레드(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비드 필러(134)의 정점부(134p)는 림(R)의 상단부(R-t) 보다 트레드(11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필러(134)의 정점부(134p)로부터 림(R)의 중심(R-c)까지의 최단 수직 거리(D1)는 림(R)의 상단부(R-t)로부터 림(R)의 중심(R-c)까지의 최단 수직 거리(D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림 스트립(170)은 비드부(1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예컨대, 제1 림 스트립(170)은 비드부(130)의 내측면 상의 이너라이너(160)의 하부면 상에서부터 비드부(130)의 하단부를 커버하도록 턴업되어 비드부(130)의 외측면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비드부(130)의 내측면은 공기입 타이어(1)의 공동(cavity)을 향하는 면을, 비드부(130)의 외측면은 내측면의 반대편으로서 림(R) 향하는 면을 나타낸다.
제2 림 스트립(180)은 제1 림 스트립(170)과 비드부(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림 스트립(180)의 일부(예, 하측 부분)는 제1 림 스트립(170)과 비드부(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예, 상측 부분)는 사이드 월(120)의 내측에서 트레드(1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림 스트립(170, 180) 각각의 상단부(170a, 180a)는 비드 필러(134)의 정점부(134p)를 지나 트레드(1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림 스트립(170)의 상단부(170a)는 제2 림 스트립(180)의 외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림 스트립(180)의 상측 단부(180a)는 제1 림 스트립(170)의 상단부(170a)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제1 림 스트립(170)의 상단부(170a)와 제2 림 스트립(180)의 상단부(180a) 사이의 길이 차이는 약 10mm 이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림 스트립(170)의 상측 단부(170a)와 제2 림 스트립(180)의 상측 단부(180a) 사이의 길이 차이가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공기입 타이어(1)의 성형 및 가공시 불량이 발생하거나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고 후술할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이형 재질인 제1 및 제2림 스트립(170, 180) 사이의 응력의 집중을 피하기 어렵다.
제2 림 스트립(180)의 하단부(180b)는 비드 코어(132)의 바닥면(132b)을 지나도록 연장되지는 않는다. 제2 림 스트립(180)의 하단부(180b)가 비드 코어(132)의 바닥면(132b)을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경우, 공기입 타이어(1) 내측의 열의 방출이 어려워 공기입 타이어(1)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제2 림 스트립(180)의 경도(Hardness)는 제1 림 스트립(170)의 경도 보다 클 수 있고, 비드 필러(134)의 경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경도는 쇼어 A 경도를 나타낸다. 예컨대, 제2 림 스트립(180)의 경도는 약 81이고, 제1 림 스트립(170)의 경도는 약 72이며, 비드 필러(134)의 경도는 약 90일 수 있다. 제1 림 스트립(170)의 경도보다 높고 비드 필러(134)의 경도보다는 낮은 제2 림 스트립(180)은, 공기입 타이어(1)의 연비를 향상시면서 동시에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의 경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2 림 스트립(180)의 히스테리시스 손실 계수는 비드 필러(134)의 히스테리시스의 손실 계수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2 림 스트립(180)의 히스테리시스 손실 계수는 비드 필러(134)의 히스테리시스의 손실 계수 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림 스트립(180)과 비드 필러(134) 간의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제1 림 스트립(170) 및 제2 림 스트립(180)은 모두 고무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포함된 물질의 함유량 등을 달리 할 수 있다.
제1 및 제2림 스트립(170, 180)은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림 스트립(170, 180) 중 사이드 월(120)의 하단부에 인접하며 림(R)의 상단부(R-t)와 인접한 부분들(이하, 후육부라고 함, 170T, 180T)의 두께는 각각 단부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및 제2 림 스트립(170, 180)은, 후육부(170T, 180T)에서 상단부(170a, 180a)를 향할수록 그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림 스트립(170, 180)의 후육부(170T, 180T)의 외측면(사이드 월(120)을 향하는 면)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커브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림 스트립(170)의 후육부(170T) 중 공기입 타이어(1)의 외측을 향해 가장 돌출된 위치에서의 곡률반경(r1)은 제2 림 스트립(180)의 후육부(180T) 중 공기입 타이어(1)의 외측을 향해 가장 돌출된 위치에서의 곡률반경(r2) 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 때 r1의 곡률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과 r2의 곡률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의 중심은 상호 이격되어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
120: 사이드 월
130: 비드부
140: 스틸벨트
150: 바디 플라이
160: 이너라이너
170: 제1 림 스트립
180: 제2 림 스트립

Claims (9)

  1. 공기입 타이어로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측부에 연결된 사이드 월;
    상기 사이드 월의 하부에 배치되며, 비드 코어 및 비드 필러를 포함하는 비드부;
    상기 비드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외측을 향해 턴업된 단부를 포함하는 바디 플라이;
    상기 비드부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림 스트립; 및
    상기 제1 림 스트립과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림 스트립;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림 스트립은 제1 후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림 스트립은 상기 제1 후육부와 인접한 제2 후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육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후육부의 외측면 각각은 외측을 향해 돌출된 커브진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후육부의 상기 커브진 경사면은 상기 제1 후육부의 상기 커브진 경사면 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상기 비드 필러의 정점부는 상기 제1 후육부 및 상기 제2 후육부보다 상기 비드 코어로부터 낮게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 스트립의 외측에 결합하는 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드 필러의 정점부로부터 상기 림의 중심까지의 최단 수직거리는, 상기 림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림의 상기 중심까지의 최단 수직거리 보다 작은, 공기입 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림 스트립의 상단부 보다 상기 트레드를 향해 더 연장된, 공기입 타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 스트립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상단부 사이의 길이 차이는 10mm 이거나 그 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경도(Hardness)는 상기 제1 림 스트립의 경도 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경도는 상기 비드 필러의 경도 보다 작은,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스트립의 히스테리시스 손실 계수는 상기 비드 필러의 손실 계수보다 작은, 공기입 타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 스트립과 상기 제2 림 스트립은 각각 고무재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공동(cavity)을 향하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의 반대편인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플라이의 단부는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을 일부 커버하도록 턴업되며, 상기 제2 림 스트립은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바디 플라이의 단부를 커버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170144756A 2017-11-01 2017-11-01 공기입 타이어 KR10202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56A KR102023653B1 (ko) 2017-11-01 2017-11-01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56A KR102023653B1 (ko) 2017-11-01 2017-11-01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82A KR20190049182A (ko) 2019-05-09
KR102023653B1 true KR102023653B1 (ko) 2019-09-20

Family

ID=6654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756A KR102023653B1 (ko) 2017-11-01 2017-11-01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576B1 (ko) * 2021-11-09 2024-05-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905A (ja) * 2000-12-28 2002-07-16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7210363A (ja) * 2006-02-07 2007-08-23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WO2012018106A1 (ja) * 2010-08-06 2012-0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025A (ja) * 1992-11-27 1994-06-03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チューブレス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905A (ja) * 2000-12-28 2002-07-16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7210363A (ja) * 2006-02-07 2007-08-23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WO2012018106A1 (ja) * 2010-08-06 2012-0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82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478B2 (en) Pneumatic tire
EP3437900B1 (en) Pneumatic tire
RU2409477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KR102023653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902927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8295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89037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26000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8195101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30013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8001168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8295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890808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605834B1 (ko) 타이어
KR101879433B1 (ko) 타이어
KR10213589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775106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8024128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99916B1 (ko) 탈부착형 중량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타이어
KR10211331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578630B1 (ko) 측부의 강성이 강화된 공기입 타이어
KR10211331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4945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287885B1 (ko) 타이어
KR102118105B1 (ko)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