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77B1 -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 Google Patents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77B1
KR102021377B1 KR1020180010663A KR20180010663A KR102021377B1 KR 102021377 B1 KR102021377 B1 KR 102021377B1 KR 1020180010663 A KR1020180010663 A KR 1020180010663A KR 20180010663 A KR20180010663 A KR 20180010663A KR 102021377 B1 KR102021377 B1 KR 102021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weight
carbon black
mixtur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735A (ko
Inventor
손영곤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0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14Amylose derivatives; Amylopectin derivatives
    • C08L3/20Oxidised amylose; Oxidised amylopec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a) 90 ~ 99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1 ~ 10 중량%의 카본블랙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혼합물 100 중량부에 1 ~ 10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해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 중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복합소재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카본블랙의 혼합물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고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간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전기전도성이 우수해 대전방지, 전자파 차폐용 제품 또는 캐리어 테이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을 포함할 경우에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시 높은 전단응력으로 인해 카본블랙의 응집체(agglomerate)가 파괴되어 복합소재 내의 전도성 경로(conductive path)가 감소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사출성형에 따른 저항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ONDUCTIVE POLYCARBONATE NANOCOMPOSITE HAVING CABON-BASED FILLER AND ELECTROCONDUCTIVE POLYCARBONATE NANOCOMPOSITE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나노복합소재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는 투명성이 높고, 열에 안정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로서, 상용 플라스틱 또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널리 사용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이다.
하지만, 폴리카보네이트는 전기절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대전방지필름, 전자파 차폐 필름 또는 캐리어 테이프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이 필요한 분야에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에 전도성을 부여하여 보다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전도성을 가지는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혼합하여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가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에 영향주기 때문에 조성물의 전기전도도 부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분산성이 좋고 전단응력이 높은 고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와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전기전도성 복합소재를 제조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카본나노튜브 사이의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의 힘과 같은 표면인력으로 인해 응집이 발생하기 쉽고, 제조 시 카본나노튜브의 파괴 등으로 인해 분산이 용이하지 않으며, 전기전도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본나노튜브의 양이 증가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2426호 (공개일: 2010.08.2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7222호 (등록일: 2008.12.26)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515361호 (공개일: 2002.05.28)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리카보네이트 내에서 분산성이 낮고, 그에 따라 복잡한 후처리 공정이 필요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카본나노튜브를 대체하는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신규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90 ~ 99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1 ~ 10 중량%의 카본블랙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혼합물 100 중량부에 1 ~ 10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해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 중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복합소재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액정 결정성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액정 결정성 폴리머의 공중합체, PET의 공중합체, PBT의 공중합체 및 PEN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 또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을 통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포함하는 복합소재 조성물을 사출성형을 통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카본블랙의 혼합물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고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간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전기전도성이 우수해 대전방지, 전자파 차폐용 제품 또는 캐리어 테이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을 포함할 경우에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시 높은 전단응력으로 인해 카본블랙의 응집체(agglomerate)가 파괴되어 복합소재 내의 전도성 경로(conductive path)가 감소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사출성형에 따른 저항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및 2의 체적저항(volume resistance) 비교 그래프이다.
도 3은 성형방법에 따른 복합소재 내의 카본블랙 미세조직 상 차이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체적저항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 실시예 2-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체적저항 비교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2-1, 실시예 2-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체적저항 비교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a) 90 ~ 99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1 ~ 10 중량%의 카본블랙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혼합물 100 중량부에 1 ~ 10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해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 중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복합소재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카본블랙을 혼합하여 폴리카보네이트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단계로서, 전기절연성을 나타내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충전제(filler)로서 카본블랙을 혼합하여 전기전도성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전체 수지 혼합물 중량 대비 9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카본블랙은 전체 수지 혼합물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수지 혼합물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여 전기전도성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수지 혼합물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는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일으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전단응력을 감소시켜 카본블랙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조성물의 전기전도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를 첨가하면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서로 간의 상용성을 보이고, 점도를 낮춰 카본블랙의 분산성을 높이고, 전단응력을 낮춰 카본블랙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복합소재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킨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액정 결정성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액정 결정성 폴리머의 공중합체, PET의 공중합체, PBT의 공중합체 및 PEN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기 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어 상기한 함량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는 단계 (b)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로, 이를 위해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전도성을 향상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가 가지고 있는 에스테르기에 붙어 있는 알킬기를 서로 교환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간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폴리카보네이트를 구성하는 비스페놀A의 일단 또는 양단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부탄디올로 치환될 수 있으며,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구성하는 테레프탈산의 일단 또는 양단이 폴리카보네이트의 비스페놀 A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환 반응을 통해 생성된 공중합체는 서로 간의 상용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폴리카보네이트의 전단응력 감소에 의한 카본블랙의 분산성 향상 및 3차원 네트워크의 형성을 통해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250 내지 350 ℃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70 내지 280 ℃에서 유도할 수 있는데,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반응 시간이 길수록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효율은 증가하나 온도 유지 등의 조건 유지를 위한 비용이 많이 소모될 수 있어, 이와 같은 경제적인 이유로 10시간 이내로 유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d)에서는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전도성이 향상된 복합소재 조성물을 이용해 성형체를 형성한다.
본 단계에서 나노복합소재의 성형체를 얻기 위한 구체적인 성형 방법으로는 압축성형,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압출 성형, 필름 성형 및 섬유 성형 등의 다양한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단계에서 사출성형을 통해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할 경우, 성형에 제공된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가 공중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카본블랙 응집체(agglomerate)와 결합되어, 사출성형시 높은 전단응력으로 인한 카본블랙 응집체의 파괴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사출성형에 의하더라도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카본블랙의 혼합물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고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간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전기전도성이 우수해 대전방지, 전자파 차폐용 제품 또는 캐리어 테이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을 포함할 경우에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시 높은 전단응력으로 인해 카본블랙의 응집체(agglomerate)가 파괴되어 복합소재 내의 전도성 경로(conductive path)가 감소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사출성형에 따른 저항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1>
1. 전기전도성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
280℃에서 340 Pa.s를 가지는 중점도 폴리카보네이트 92 내지 96 중량%와 카본블랙 4 내지 8 중량%을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해 수지 혼합물 25g을 제조하였고, 상기 수지 혼합물에 280℃에서 460 Pa.s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0.5g을 첨가하여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소재 조성물을 오븐에 넣고 280℃에서 10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시편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복합소재 조성물을 이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하여 280℃, 150rpm의 조건의 용융혼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소재는 80℃ 오븐에 하루 동안 감압 건조를 실시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280℃ 및 20MPa의 온도 및 압력 조건으로 압축 성형해 직경 82mm 및 두께 2mm의 디스크(disc) 형태의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시편을 얻었다.
<실시예 1-2>
압축 성형 대신에 간이 사출 성형기(mini injection machine)를 사용하여 280℃의 온도로 사출하고 80℃의 온도인 몰드에 주입하여 직경 82mm 및 두께 2mm의 디스크(disc) 형태의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시편으로 성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대신에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대신에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본원 실시예 1-1 내지 2-2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나노복합소재의 체적저항 측정 및 결과 분석
도 2는 비교예 1 및 2의 체적저항(volume resistance) 비교 그래프이고, 도 3은 성형방법에 따른 복합소재 내의 카본블랙 미세조직 상 차이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든 조성에서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비교예 2의 나노복합소재가 압축 성형을 통해 제조된 비교예 1에 비해 높은 전기 저항을 나타냈으며,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시 압축 성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단응력으로 인해 카본블랙의 응집체가 파괴되어 전도성 경로(conductive path)가 감소함에 따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체적저항 비교 그래프로서, 이를 참조하면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실시예 1-2에 따른 나노복합소재의 경우 카본블랙 함량이 4.5 내지 7 중량%일 때 PET 첨가에 따른 전기 저항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 압축 성형을 통해 제조된 실시예 1-1에 따른 나노복합소재의 경우에는 모든 조성범위에서 PET 첨가에 따른 전기 저항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긴 했으나, 저항 감소 정도는 실시예 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성형 방법에 따라 저항 감소 정도에 차이가 있긴 하나, PET 첨가에 의해 형성된 폴리카보네이트-PET 공중합체가 카본블랙 응집체(agglomerate)와 결합해 성형시 발생하는 카본블랙 응집체의 파괴를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사출 성형은 압축 성형에 비해 높은 전단 응력을 가하기 때문에 PET 첨가에 의한 저항 감소 효과가 보다 두드러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 실시예 2-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체적저항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실시예 2-2에 따른 나노복합소재의 경우 카본블랙 함량이 4 내지 7 중량%일 때 PBT 첨가에 따른 전기 저항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 압축 성형을 통해 제조된 실시예 2-1에 따른 나노복합소재의 경우에는 모든 조성범위에서 PBT 첨가에 따른 전기 저항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긴 했으나, 저항 감소 정도는 실시예 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성형 방법에 따라 저항 감소 정도에 차이가 있긴 하나, PBT 첨가에 의해 형성된 폴리카보네이트-PBT 공중합체가 카본블랙 응집체(agglomerate)와 결합해 성형시 발생하는 카본블랙 응집체의 파괴를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사출 성형은 압축 성형에 비해 높은 전단 응력을 가하기 때문에 PBT 첨가에 의한 저항 감소 효과가 보다 두드러진다.
도 6은 상기 도 2, 4 및 5에 따른 결과를 종합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2-1, 실시예 2-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체적저항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에 따르면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나노복합소재의 경우 폴리에스테르(PET 또는 PBT) 첨가에 따른 전기 저항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낮은 카본블랙 함량(4 내지 5.5 중량%) 범위에서는 폴리에스테르로서 PBT를 첨가한 실시예 2-2의 나노복합소재가 PET를 첨가한 실시예 1-2의 나노복합소재보다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냈다.
반면, 압축 성형을 통해 제조된 나노복합소재의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PET 또는 PBT) 첨가에 따른 전기 저항의 감소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a) 92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8 중량%의 카본블랙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2 중량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혼합해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 중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복합소재 조성물을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KR1020180010663A 2018-01-29 2018-01-29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KR102021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63A KR102021377B1 (ko) 2018-01-29 2018-01-29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63A KR102021377B1 (ko) 2018-01-29 2018-01-29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35A KR20190091735A (ko) 2019-08-07
KR102021377B1 true KR102021377B1 (ko) 2019-09-16

Family

ID=6762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663A KR102021377B1 (ko) 2018-01-29 2018-01-29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196A (ja) 1999-08-03 2001-02-13 Teijin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5442B (en) 1998-05-14 2004-12-21 Bayer Ag A composite of coated polycarbonate and a polymer
DE102007052949A1 (de) 2007-10-31 2009-05-07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carbonat-Schichtverbundes
KR100877222B1 (ko) 2007-12-27 2009-01-07 한국화학연구원 플라스틱기판용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재와 이의제조방법
KR101135055B1 (ko) * 2009-06-26 2012-04-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파차폐 효율이 우수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KR101269422B1 (ko) * 2009-12-30 2013-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마모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40718B1 (ko) * 2015-10-08 2017-05-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196A (ja) 1999-08-03 2001-02-13 Teijin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35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8341B2 (en) Nanocarbon-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KR100981929B1 (ko) 전기 전도성,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Zhan et al. Electric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arylene ether nitriles/graphite nanosheets nanocomposites prepared by masterbatch route
WO2014199915A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射出成形品
CN101948617A (zh) 玻璃纤维/矿物复合增强改性尼龙6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77647A (ko)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9226A (ko) 우수한 내가수분해성과 레이저 투과율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Gorrasi et al. Hybrid clay‐carbon nanotube/PET composites: Preparati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KR101355026B1 (ko) 성형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55620B1 (ko)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0369A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KR102021377B1 (ko)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KR101740718B1 (ko)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216230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
CN115803368B (zh) 聚芳硫醚树脂组合物的毛边抑制方法
KR102175291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CN102532833A (zh) 一种纳米高分子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40080115A (ko)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열전도도의 이방성이 감소된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5135722B (zh) 聚芳硫醚树脂组合物
KR20120078342A (ko)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H03131651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N114641535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制造的模制品
KR101269088B1 (ko) 바이오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CN105331061A (zh) 一种pe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82344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