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51B1 - 태양 전지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51B1
KR102018651B1 KR1020130036457A KR20130036457A KR102018651B1 KR 102018651 B1 KR102018651 B1 KR 102018651B1 KR 1020130036457 A KR1020130036457 A KR 1020130036457A KR 20130036457 A KR20130036457 A KR 20130036457A KR 102018651 B1 KR102018651 B1 KR 102018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electrode
contact portion
substr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994A (ko
Inventor
양주홍
양두환
정일형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2433Particular geometry of the gri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28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 및 상기 불순물 영역에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컨택부를 가지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경사진 복수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태양 전지{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한 태양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 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 전지에서는 다양한 층 및 전극을 설계에 따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층 및 전극의 설계에 따라 태양 전지 효율이 결정될 수 있다. 태양 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낮은 효율을 극복하여야 하는바, 다양한 층 및 전극이 태양 전지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고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태양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 및 상기 불순물 영역에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컨택부를 가지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경사진 복수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 상기 불순물 영역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 및 상기 불순물 영역에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컨택부, 그리고 상기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컨택부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의 피치가 100㎛ 내지 500㎛이고,상기 복수의 연결부 각각의 폭이 10㎛ 내지 50㎛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이 반도체 기판에 점 컨택되어 금속 분율을 저하하면서도 저항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이 제2 전극용 페이스트의 조성, 제2 연결부의 폭 및 피치를 조절하여 제2 전극의 컨택부가 경사면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우수한 저항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컨택부의 형상에 의하여 후면 전계 영역을 반도체 기판의 내부 깊숙이 형성하여 후면에서의 표면 재결합을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태양 전지의 전면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에서 후면 전계 영역, 제2 패시베이션 막 및 제2 전극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태양 전지의 제2 전극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2 전극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점 컨택을 하는 경우 점 컨택의 피치에 따른 후면 저항 및 금속 분율(metal fraction)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는 라인 컨택을 하는 경우 라인 피치에 따른 후면 저항 및 금속 분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의 태양 전지에서 제2 전극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와 달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전극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태양 전지의 전면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100)는, 기판(일례로, 반도체 기판)(이하 "반도체 기판")(110)과, 반도체 기판(110)에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20, 30)과, 불순물 영역(20, 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24, 34)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 영역(20, 30)은 에미터 영역(20)과 후면 전계 영역(30)을 포함할 수 있고, 전극(24, 34)은 에미터 영역(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24)과 후면 전계층(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태양 전지(100)는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반사 방지막(22), 제2 패시베이션 막(32)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도체 기판(110)은, 불순물 영역(20, 30)이 형성되는 영역과 불순물 영역(20, 30)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인 베이스 영역(10)을 포함한다. 베이스 영역(10)은, 일례로 제1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으로는 단결정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도전형 불순물은 n형 또는 p형일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 영역(10)이 n형일 경우에는 인(P), 비소(As), 비스무스(Bi), 안티몬(Sb) 등의 5족 원소가 도핑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 영역(10)이 p형일 경우에는 보론(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등의 3족 원소가 도핑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은 텍스쳐링(texturing)되어 피라미드 등의 형태의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텍스쳐링에 의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표면 거칠기가 증가되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기판(110)과 에미터 영역(20)의 계면에 형성된 pn 접합까지 도달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에 텍스쳐링에 의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고,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만 텍스쳐링에 의한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고,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에 텍스쳐링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텍스처링으로는 습식 또는 건식 텍스처링을 사용할 수 있다. 습식 텍스처링은 텍스처링 용액에 반도체 기판(110)을 침지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공정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건식 텍스처링은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을 깍는 것으로, 요철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반면 공정 시간이 길고 반도체 기판(110)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 반응성 이온 식각(RIE) 등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을 텍스쳐링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반도체 기판(110)을 텍스쳐링 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는 제2 도전형 불순물을 가지는 에미터 영역(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형은 제1 도전형과 반대되는 도전형으로서 p형 또는 n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미터 영역(20)이 p형일 경우에는 제2 도전형 불순물로 3족 원소인 보론(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등의 불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미터 영역(20)이 n형일 경우에는 제2 도전형 불순물로 5족 원소인 인(P), 비소(As), 비스무스(Bi), 안티몬(Sb) 등의 불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가지는 반도체 기판(110)과 에미터 영역(20)에 의하여 pn 접합(junction)이 형성된다. 이러한 pn 접합에 광이 조사되면 광전 효과에 의해 생성된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가 반도체 기판(110)의 제2 면(이하 "후면") 쪽으로 이동하여 제2 전극(34)에 의하여 수집되고, 또 다른 캐리어(정공 또는 전자)가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으로 이동하여 제1 전극(24)에 의하여 수집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에미터 영역(20)은,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가져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가지는 제1 부분(20a)과, 제1 부분(20a)보다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가져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을 가지는 제2 부분(20b)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20a)은 제1 전극(24)의 일부 또는 전체(즉, 적어도 일부)에 접촉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광이 입사되는 제1 전극(24)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의 제2 부분(20b)를 형성하여 얕은 에미터(shallow emitter)를 구현한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의 전류 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전극(24)과 인접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의 제1 부분(20a)을 형성하여 제1 전극(24)과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에미터 영역(20)은 선택적 에미터 구조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미터 영역(20)이 균일한 도핑 농도를 가지는 균일한 구조(homogeneous structure)를 가질 수도 있다.
에미터 영역(20)은 제2 도전형 불순물을 반도체 기판(110)에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핑 방법으로는 열 확산법, 이온 주입법, 레이저 법, 도핑 페이스트 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에미터 영역(20)이 반도체 기판(110)과 별개로 반도체 기판(110) 위에 형성되는 별도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에미터 영역(20)이 열적 성장법, 증착법(예를 들어, 화학 기상 증착법(PECVD), 원자층 증착법(ALD))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반도체 기판(110) 위에, 좀더 정확하게는 반도체 기판(110)에 형성된 에미터 영역(20) 위에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반사 방지막(22) 및 제1 전극(24)이 형성된다.
에미터 영역(20) 위에는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또는 반사 방지막(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미터 영역(20) 위에 제1 패시베이션 막(21)이 형성되고, 제1 패시베이션 막(21) 위에 반사 방지막(22)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패시베이션 막(21)은 제1 전극(24)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후면 전계층(30) 위의 전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 방지막(22)은 제1 전극(24)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제1 패시베이션 막(21) 위의 전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 막(21)은 에미터 영역(20)에 존재하는 결함을 부동화하여 소수 캐리어의 재결합 사이트를 제거하여 태양 전지(100)의 개방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사 방지막(22)은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반사율이 낮추는 것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과 에미터 영역(20)에 의하여 형성된 pn 정션까지 도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100)의 단락 전류(Isc)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 반사 방지막(22)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의 개방 전압과 단락 전류를 증가시켜 태양 전지(100)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 막(21)은 에미터 영역(20)을 효과적으로 패시베이션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패시베이션 막(21)은 실리콘 질화물,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화 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MgF2, ZnS, TiO2 및 Ce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에미터 영역(20)이 n형일 경우에는 제1 패시베이션 막(21)이 양전하를 가지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에미터 영역(20)이 p형일 경우에는 제1 패시베이션 막(21)이 음전하를 가지는 알루미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 방지막(22)은 표면에서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반사 방지막(22)은 실리콘 질화물,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화 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MgF2, ZnS, TiO2 및 Ce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 방지막(22)이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 반사 방지막(22)은 다양한 성막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4)은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 반사 방지막(2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즉,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 반사 방지막(22)을 관통하여) 에미터 영역(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전극(24)은 다양한 물질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4)의 평면 형상을 도 3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극(24)은 제1 피치(P1)를 가지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핑거 전극(24a)을 각기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및 제2 전극(24)은 핑거 전극들(24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핑거 전극(24a)을 연결하는 버스바 전극(2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전극(24b)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치(P1)보다 더 큰 제2 피치(P2)를 가지면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핑거 전극(24a)의 폭(W1)보다 버스바 전극(24b)의 폭(W2)이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하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제1 전극(24)의 형상은 일례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면 상으로 볼 때, 핑거 전극(24a) 및 버스바 전극(24b)이 모두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 반사 방지막(2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핑거 전극(24a)이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 반사 방지막(22)을 관통하고 버스바 전극(24b)은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또는 반사 방지막(22) 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전극(24)은 제1 패시베이션 막(21) 및 반사 방지막(22)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 내에 도금법, 증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전극 물질을 형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24)용 페이스트를 반사 방지막(22) 및 제2 패시베이션 막(32) 상에 각기 스크린 인쇄 등으로 도포한 후에 파이어 스루(fire through) 또는 레이저 소성 컨택(laser firing contact) 등을 하여 상술한 형상의 제1 전극(2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별도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에는 반도체 기판(110)보다 높은 도핑 농도로 제1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후면 전계 영역(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전계 영역(30)은 국부적 구조(local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후면 전계 영역(30)은 제2 전극(34)에 인접한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제2 전극(34)과 함께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는 제2 패시베이션 막(32)과 제2 전극(3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은 경면 연마(mirror polishing)되어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서 반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패시베이션 막(32)은 제2 전극(34)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패시베이션 막(32)은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 존재하는 결함을 부동화하여 소수 캐리어의 재결합 사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의 개방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패시베이션 막(32)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막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패시베이션 막(32)은 실리콘 질화막,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화 질화막, MgF2, ZnS, TiO2 및 Ce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패시베이션 막(32)이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전극(34)은 제2 패시베이션 막(3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즉, 제2 패시베이션 막(32)을 관통하여) 후면 전계 영역(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 전극(34)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컨택부(34a)와, 제2 패시베이션 막(32)을 관통하여 복수의 컨택부(34a)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3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전극(34)은 복수의 연결부(34b)에 연결되며 제2 패시베이션 막(32) 위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전극부(34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후면 전계 영역(30), 제2 패시베이션 막(32) 및 제2 전극(34)과 후면 전계 영역(30)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후면 전계 영역(30), 제2 패시베이션 막(32) 및 제2 전극(34)의 제조 공정을 먼저 설명한 다음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이들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에서 후면 전계 영역, 제2 패시베이션 막 및 제2 전극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태양 전지의 제2 전극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패시베이션 막(32)을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형성한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패시베이션 막(32)에 개구부(32a)를 형성한다. 이때, 개구부(32a)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제2 전극(34)이 점 컨택(point contact)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에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일례로, 개구부(32a)는 레이저 어블레이션 또는 에칭 페이스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개구부(32a)의 형성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개구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32a)는 제2 패시베이션 막(32)을 관통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패시베이션 막(32)의 개구부(32a)를 채우면서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를 도포한다.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는 다양한 방방법에 의하여 도포될 수 있으며, 일례로, 인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는 개구부(32a)를 채우면서 제2 패시베이션 막(32) 위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32a)가 미리 형성된 상태이므로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는 파이어 스루(fire through)를 유도하지 않아도 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파이어 스루를 위하여 글라스 프릿(glass frit)의 함량이 높은 페이스트를 사용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부담이 없다. 따라서 글라스 프릿의 함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의 전극 물질의 함량을 종래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제2 전극(34)의 저항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는 금속 물질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글라스 프릿, 용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물질은 제2 전극(34)을 구성하면서 제2 전극(34)의 주변으로 확산되어 후면 전계 영역(30)을 형성하는 제1 도전형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일례로,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물질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도체 물질은 열처리에 의하여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를 소성할 때 반도체 기판(110)과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의 상호 반응에 의하여 형성되는 컨택부(34a)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이다. 즉, 이후 단계에서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에 열처리를 수행하면 반도체 기판(110) 내의 반도체 물질은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쪽으로 확산되고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의 물질은 반도체 기판(110) 쪽으로 확산된다. 이때,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지 않으면 반도체 기판(110)과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의 농도 차이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반도체 물질이 빠른 속도로 확산하게 되어 반도체 기판(110)에 보이드(void)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여 반도체 기판(110)과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사이의 농도 차이를 줄이는 것에 의하여 보이드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금속 물질은 제2 전극(34)의 주요 물질로서 반도체 물질보다 많은 양으로 첨가된다. 일례로,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에서 금속 물질 : 반도체 물질의 중량비가 97 : 3 내지 82 : 12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물질의 중량비가 3 미만이면, 반도체 기판(110) 내의 반도체 물질이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쪽으로 확산하여 반도체 기판(110) 내에 보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물질의 중량비가 12를 초과하면, 금속 물질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내의 금속 물질은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로 확산되어 후면 전계 영역(30)을 구성하게 되므로 금속 물질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면 후면 전계 영역(30)이 충분하게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글라스 프릿, 용매 등으로는 알려진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극용 페이스트를 소성하기 위한 열처리를 수행하여 제2 전극(34) 및 후면 전계 영역(30)을 형성한다.
즉,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내의 전극 물질이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로 확산되고, 반도체 기판(110)의 반도체 물질은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쪽으로 확산하면서, 높은 온도에 의하여 서로 용융되면서 컨택부(34a)를 형성한다. 그리고 개구부(32a) 내의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는 소성에 의하여 연결부(34b)를 형성하고, 제2 패시베이션 막(32) 위의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는 소성에 의하여 전극부(34c)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반도체 기판(110)의 반도체 물질이 빠른 속도로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쪽으로 확산하면서 컨택부(34a)를 형성하므로, 컨택부(34a)의 반도체 물질(일례로, 실리콘 농도)의 함량이 연결부(34b)의 반도체 물질의 함량보다 크질 수 있다.
그리고 컨택부(34a)의 주변에는 전극 물질(일례로, 알루미늄)이 확산되어 후면 전계 영역(3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후면 전계 영역(30)이 컨택부(34a)의 주변에서 국부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 전계 영역(30)이 국부적으로 형성되면 반도체 기판(110)의 손상 정도가 작아져서 표면 재결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후면 전계 영역(30)의 두께는 제2 전극(34)의 열처리 온도, 제2 전극(34)의 조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2 전극(34)의 열처리 온도가 높아지면 후면 전계 영역(30)의 두께가 커질 수 있고, 열처리 온도가 낮아지면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내의 반도체 물질 함량이 작아지면 후면 전계 영역(30)의 두께가 커질 수 있고, 반도체 물질 함량이 커지면 후면 전계 영역(30)의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일례로, 후면 전계 영역(30)의 두께가 1㎛ 내지 5㎛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전계 영역(30)이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34)의 연결부(34b)는 개구부(32a)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게 되며, 전극부(34c)는 제2 패시베이션 막(32) 위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컨택부(34a)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택부(34a)는 개구부(32a) 내의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내의 전극 물질과 반도체 기판(110) 내의 반도체 기판(110)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일례로, 컨택부(34a)는 전극 물질(일례로, 알루미늄)과 반도체 물질(일례로, 실리콘)의 합금(알루미늄-실리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컨택부(34a)는 개구부(32a)(또는 연결부(34b))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면서 구비되어 반도체 기판(110) 또는 후면 전계 영역(30)과 점 컨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택부(34a)가 반도체 기판(110) 또는 후면 전계 영역(30)과 점 컨택하면 태양 전지(100)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도 7은 점 컨택을 하는 경우 점 컨택의 피치에 따른 후면 저항 및 금속 분율(metal fraction)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8는 라인 컨택을 하는 경우 라인 피치에 따른 후면 저항 및 금속 분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라인 컨택에 의할 경우보다 점 컨택에 의할 경우에 금속 분율이 매우 낮은 수준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점 컨택에 의할 경우 작은 피치에서는 저항도 낮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점 컨택을 작은 피치로 형성하면 금속 분율을 낮추면서도 후면 저항을 낮출 수 있어 태양 전지(100)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컨택부(34a)(또는 복수의 연결부(34b), 이하 동일)의 피치를 100㎛ 내지 500㎛으로 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분율을 낮추면서도 후면 저항 또한 크게 낮출 수 있다. 즉, 복수의 컨택부(34a)의 피치를 100㎛ 미만으로 하면 금속 분율이 커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택부(34a)의 피치가 100㎛ 미만이면 컨택부(34a)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컨택부(34a)의 피치가 500㎛를 초과하면, 후면 저항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부(34b) 각각의 폭이 10㎛ 내지 50㎛일 수 있고, 연결부(34b)에 인접한 컨택부(34a)의 단부(즉, 제1 단부(342))의 폭 또한 10㎛ 내지 50㎛일 수 있다. 여기서, 폭이라 함은 가장 큰 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례로,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폭이 10㎛ 미만이면 공정 상 구현이 어려울 수 있고 저항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이때, 컨택부(34a)의 폭을 피치에 비하여 크게 작게 하면 컨택부(34a)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폭이 50㎛를 초과하면 개구부(32a)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개구부(32a)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경 또는 폭이 작은 것이 공정 상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택부(34a) 또는 연결부(34b)의 폭, 피치 등을 조절하면서 파이어 스루 없이 제2 전극(34)을 형성하게 되면 컨택부(34a)가 컨택부(34a)가 경사면(340a)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컨택부(34a)가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좀더 정확하게는,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과 경사진 복수의 경사면(340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경사면(340a)은 반도체 기판(110)의 내의 반도체 물질이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 쪽으로 적절한 속도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형성되는 것이다. 반도체 기판(110) 내의 반도체 물질이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 반도체 기판(110)에 보이드가 형성될 수 있고, 반도체 물질이 지나치게 느린 속도로 이동하면 컨택부(34a)가 경사면(340a)을 구비하지 않고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340a)은 반도체 기판(110)의 (111) 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면(340a)은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과 5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111) 면의 각도와, 반도체 기판(110)의 소잉(sawing) 단계에서의 기울어진 소잉(tilted sawing) 등을 모두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사면(340a)과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과의 각도는 이와 달라질 수 있다.
컨택부(34a)는 반도체 기판(110)의 (111) 면을 따라 형성된 4 개의 경사면(340a)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컨택부(34a)가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340a)이 (111) 면을 따라 형성된 4개의 경사면(340a)과 경사면(340a)을 연결하는 상부면(340b)을 가지는 사각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택부(34a)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 단부인 제1 단부(342)의 폭이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인 제2 단부(344)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는 경사면(340a)이 (111) 면을 따라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제1 단부(342)의 폭은 연결부(34b)와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을 가지게 된다.
즉, 컨택부(34a)가 본 실시예와 같이 경사면(340a)을 가지면서 형성되면, 컨택부(34a)가 글라스 프릿을 작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를 이용하여 소정의 폭, 피치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컨택부(34a)가 본 실시예와 같이 경사면(340a)을 가지면서 형성되면, 제2 전극(34)이 우수한 저항 특성에 적합한 낮은 글라스 프릿 함량, 폭 및 피치를 가지면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컨택부(34a)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2 전극(34)의 사진을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을 참조하면 컨택부(34a)가 사각뿔 또는 사각뿔대 형상을 가진 상태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연결부(34b)의 폭, 피치가 일정한 범위 내에 속하지 않거나,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의 조성이 일정한 범위 내에 속하지 않거나 제2 전극(34)이 파이어 스루에 의하여 형성되면, 컨택부(34a)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예들의 사진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의 (a)는 연결부의 피치가 너무 작은 경우에 형성된 제2 전극의 사진으로, 컨택부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도 10의 (b)는 연결부의 폭이 피치에 비하여 너무 작은 경우에 형성된 제2 전극의 사진으로, 컨택부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도 10의 (c)는 연결부의 폭이 피치에 비하여 너무 큰 경우에 형성된 제2 전극의 사진으로, 컨택부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도 10의 (d)는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에 반도체 물질이 너무 많이 첨가된 경우이며, 컨택부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택부(34a)가 경사면(340a)을 가지면서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후면 전계 영역(30)의 효과를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컨택부(34a)가 경사면(340a)을 가지면서 형성되면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에 비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로 좀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컨택부(34a) 주변에 형성되는 후면 전계 영역(30) 또한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로 깊게 형성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으로 이동하는 캐리어(즉, 후면 전계 영역(30)이 p형일 경우에는 전자, n형일 경우에는 정공)을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쪽으로 효과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표면 재결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34)이 반도체 기판(110)에 점 컨택되어 금속 분율을 저하하면서도 저항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32a)를 먼저 형성한 후에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를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가 글라스 프릿을 종래보다 적은 양으로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저항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34)의 연결부(34a)의 폭 및 피치(또는 컨택부(34a)의 제1 단부(342)의 폭 및 피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저항 특성을 최대한 향상하면서 금속 분율은 저하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34)이 제2 전극용 페이스트(340)의 조성, 제2 연결부(34a)의 폭 및 피치를 조절하여 향상된 저항 특성을 가졌는지는 컨택부(34a)에 상술한 바와 같은 (111) 면의 경사면(340a)이 형성되었는지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즉, 경사면(340a)을 구비하는 컨택부(34a)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가 우수한 저항 특성, 향상된 효율 등을 가졌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컨택부(34a)의 형상에 의하여 후면 전계 영역(30)을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 깊숙이 형성하여 후면에서의 표면 재결합을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태양 전지
110: 반도체 기판
10: 베이스 영역
20: 에미터 영역
30: 후면 전계 영역
24: 제1 전극
34: 제2 전극
34a: 컨택부
34b: 연결부
34c: 전극부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
    상기 불순물 영역에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컨택부를 가지는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경사진 복수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컨택부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기판의 (111) 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표면을 덮으면서 형성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컨택부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절연막 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두께가 균일한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가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는 태양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가 사각뿔대 형상을 가지는 태양 전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기판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가 50도 내지 60도인 태양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에서 상기 기판의 표면 쪽 단부를 제1 단부라 하고, 상기 기판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를 제2 단부라 할 때,
    상기 제1 단부의 폭이 상기 제2 단부의 폭보다 큰 태양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폭이 10㎛ 내지 50㎛인 태양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택부 사이의 피치가 100㎛ 내지 500㎛인 태양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는 금속 물질과 상기 기판을 구성하는 반도체 물질의 합금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는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의 피치가 100㎛ 내지 500㎛이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 각각의 폭이 10㎛ 내지 50㎛인 태양 전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태양 전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 및 상기 연결부는, 금속 물질과, 상기 기판을 구성하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물질의 함량이 상기 연결부보다 상기 컨택부에서 더 큰 태양 전지.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 주위에 상기 불순물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 영역의 두께가 1㎛ 내지 5㎛인 태양 전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영역이 후면 전계 영역이고,
    상기 후면 전계 영역과 반대되는 도전형을 가지는 에미터 영역; 및
    상기 에미터 영역에 연결되는 또 다른 전극
    을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18. 기판;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
    상기 불순물 영역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
    상기 불순물 영역에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컨택부, 그리고 상기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컨택부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의 피치가 100㎛ 내지 500㎛이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 각각의 폭이 10㎛ 내지 50㎛이며,
    상기 컨택부는 상기 기판의 (111)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절연막 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두께가 균일한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 및 상기 연결부는, 금속 물질과, 상기 기판을 구성하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물질의 함량이 상기 연결부보다 상기 컨택부에서 더 큰 태양 전지.
KR1020130036457A 2013-04-03 2013-04-03 태양 전지 KR102018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57A KR102018651B1 (ko) 2013-04-03 2013-04-03 태양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57A KR102018651B1 (ko) 2013-04-03 2013-04-03 태양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994A KR20140120994A (ko) 2014-10-15
KR102018651B1 true KR102018651B1 (ko) 2019-09-05

Family

ID=5199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457A KR102018651B1 (ko) 2013-04-03 2013-04-03 태양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6713B1 (en) 2014-11-28 2019-03-27 LG Electronics Inc.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28425B1 (ko) * 2014-11-28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1019A1 (en) 1998-06-29 2000-01-06 Unisearch Limited A self aligning method for forming a selective emitter and metallization in a solar cell
US20050268963A1 (en) 2004-02-24 2005-12-08 David Jordan Process for manufacturing photovoltaic cells
US20100012185A1 (en) 2007-03-08 2010-01-21 Gebr. Schmid Gmbh & Co.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Solar Cell and the Resulting Solar Cell
US20120048365A1 (en) * 2010-08-27 2012-03-01 Daeyong Lee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160732A (ja) 2011-01-31 2012-08-23 Imec 部分的なバックコンタクト太陽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0309B2 (en) * 1984-03-26 1988-03-10 Unisearch Limited Buried contact solar cell
KR100374810B1 (ko) * 1996-08-21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092468B1 (ko) * 2009-06-04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19936A (ko) * 2010-08-27 201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699315B1 (ko) * 2010-09-10 201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9361A (ko) * 2010-10-15 201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120129292A (ko) * 2011-05-19 2012-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1019A1 (en) 1998-06-29 2000-01-06 Unisearch Limited A self aligning method for forming a selective emitter and metallization in a solar cell
US20050268963A1 (en) 2004-02-24 2005-12-08 David Jordan Process for manufacturing photovoltaic cells
US20100012185A1 (en) 2007-03-08 2010-01-21 Gebr. Schmid Gmbh & Co.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Solar Cell and the Resulting Solar Cell
US20120048365A1 (en) * 2010-08-27 2012-03-01 Daeyong Lee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160732A (ja) 2011-01-31 2012-08-23 Imec 部分的なバックコンタクト太陽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994A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2654B2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2089B1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6059173B2 (ja) 太陽電池
KR101631450B1 (ko) 태양 전지
JP2015130527A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EP341905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JP2019004159A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2018651B1 (ko) 태양 전지
KR102053140B1 (ko) 태양 전지
KR102053139B1 (ko) 태양 전지
KR20160090084A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2741B1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14537A (ko)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40011459A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7485B1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97922A (ko) 태양 전지
KR20140093382A (ko)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889774B1 (ko) 태양 전지
KR20150060412A (ko) 태양 전지
KR102077560B1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9795B1 (ko) 태양 전지
KR102024084B1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0527B1 (ko) 태양 전지
KR102082880B1 (ko)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60005569A (ko)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