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463B1 -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463B1
KR102016463B1 KR1020170159409A KR20170159409A KR102016463B1 KR 102016463 B1 KR102016463 B1 KR 102016463B1 KR 1020170159409 A KR1020170159409 A KR 1020170159409A KR 20170159409 A KR20170159409 A KR 20170159409A KR 102016463 B1 KR102016463 B1 KR 102016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at
variable unit
drain pi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250A (ko
Inventor
김동건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4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구비되고 다면체 형태로 유지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가변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가변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Folding Type Apparatus For Suppressing Pest Emergence and Spawning}
본 발명은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면체 형태를 유지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해충, 특히 모기 유충 및 번데기의 성충으로의 우화 및 성충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알·유충·번데기·성충의 순으로 일생을 보내는 완전변태성 곤충이다. 모기는 하수구 등의 고인 물에 한번에 300~500개의 알을 낳는다.
모기의 알은 물 위에서 약 3일 만에 부화되어 유충인 장구벌레가 된다. 유충은 물 속에서 살지만 대기 중의 산소를 호흡해야 하므로, 물속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배 끝에 있는 원통 모양의 호흡관을 수면 위로 내놓고 대기호흡을 한다.
유충은 4~10일에 4번의 허물을 벗고(탈피) 번데기가 되는데, 주로 고여 있는 물 속에서 썩은 부식성 물질을 먹고 자란다.
번데기는 먹이는 먹지 않지만, 자유롭게 헤엄치며 번데기 역시 유충과 마찬가지로 호흡관을 통하여 대기호흡을 한다.
번데기는 2~3일 후에 껍질을 벗고 성충이 되어 하수구 밖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기는 유충 및 번데기 상태에서 모두 수면 위로 호흡관을 내놓고 대기호흡을 해야 한다. 즉, 유충 및 번데기가 대기호흡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오픈된 상태의 수면인 개방수면이 존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면, 유충 및 번데기의 호흡이 방해되어 죽게 되므로, 유충 및 번데기가 모기 성충이 되는 우화(emergence, 羽化)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성충인 암컷 모기가 산란을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오픈된 상태의 개방수면이 존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면, 성충인 모기가 수면에 산란(spawn, 産卵)하는 행위 자체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791027호는 구체 형태의 부유체를 유체의 표면에 부유시켜 해충의 우화 및 산란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구체 형태의 부유체와 인접하는 구체 형태의 부유체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서, 위 공극 부분의 유체의 표면이 개방되어 해충의 우화 및 산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하우징의 외면이 집수정의 내벽에 의한 횡압력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의 외면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하우징 외부로 유체가 누설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하우징은 외면이 기립상태로만 유지되어 그 부피가 커서 집수정이 위치한 시공현장에 운반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가변유닛의 내부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를 구비하여, 상기 부유체로 유체의 표면을 덮어 개방수면을 최소화하여, 해충, 특히 모기의 유충 및 번데기가 대기호흡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유충 및 번데기가 우화하여 성충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성충인 모기가 수면 위에 알을 낳는 산란 행위를 방지하고자 한다.
가변유닛에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가변유닛을 다면체 형태로 유지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가변유닛을 접은 상태로 시공현장에 용이하게 운반하고,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가변유닛을 기립시킴으로써 간편하게 본 발명을 완성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구비되고 다면체 형태로 유지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가변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가변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유닛은, 방수기능이 구비된 소재로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재 및 상기 하면부재의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 둘레를 다각형으로 유지하는 다각형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모서리 2개 이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기 하면부재에 대하여 지지하여 상기 측면부재를 기립상태로 유지하거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측면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유닛은 상기 하면부재에 삽입결합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유닛은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재는 유체가 수용공간에 유입되도록 내부가 개방된 둘레면 및 상기 둘레면의 내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망을 포함할 수 있다.
부유체는 수평판체, 상기 수평판체의 일측에 경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경사판체 및 상기 수평판체의 타측에 경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경사판체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부유체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체는 십자형태의 십자판체 및 상기 십자판체의 일부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체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부유체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체는 직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유체에 부유되는 부유체와 부유체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기 위한 본 발명의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를 가변유닛의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시켜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함으로써, 해충, 특히 모기의 유충 및 번데기가 대기호흡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유충 및 번데기가 우화하여 성충이 되는 과정과 성충인 모기가 수면 위에 알을 낳는 산란 행위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가변유닛을 다면체 형태로 유지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가변유닛을 접은 상태로 시공현장에 용이하게 운반하고,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가변유닛을 기립시킴으로써, 간편하게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부유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가변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가변유닛의 수평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의 부유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집수정(10)은 지면에 설치되는 유입관(20) 및 상기 유입관(20)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3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정(10)에는 유입관(20)을 통하여 하수나 오수(이하, 유체라 함)가 유입되며, 유입된 유체가 일정높이만큼 차오르면 배수관(30)을 통하여 유체가 배수된다.
상기 집수정(10)은 일반적으로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인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는 개략적으로, 가변유닛(200), 부유체(500) 및 메쉬망(300)으로 구성된다.
가변유닛(200)은 집수정(10) 내부에 배치되며, 방수소재의 천이나 면 등으로 형성되며,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30)과 연통되도록 일측에는 통공부가 형성된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상기 가변유닛(200)은 박스 형상과 같이 다면체 형태로 유지되거나 납작하게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변유닛(200)은 내구성이 좋으며 방수기능이 구비된 천이나 면 등의 섬유소재로 형성되며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면부재(230) 및 측면부재(250)로 형성된 몸체와, 베이스판(235), 수평프레임(252) 및 지지프레임(254-1, 254-2)을 포함한다.
하면부재(230)는 가변유닛(20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하면부재(230)는 납작한 포켓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강판 소재와 같이 중량이 큰 베이스판(235)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판(235)을 중량이 큰 소재로 형성하는 것은 가변유닛(200)의 외면과 집수정(10)의 내벽 사이에 스며드는 유체의 부력에 의해 상기 가변유닛(200)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는, 상기 가변유닛(200)이 부력에 의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판(235)을 앵커나 볼트 등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집수정(10) 바닥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측면부재(250)는 상기 하면부재(230)의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재(250)의 내측 상부 둘레에는 상기 측면부재(250)의 상부 둘레를 다각형으로 유지시키는 다각 형상의 수평프레임(252)이 구비된다. 상기 수평프레임(252)은 상기 측면부재(250)의 내측 상부 둘레에 삽입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254-1, 254-2)은 수평프레임(252)의 적어도 2개 모서리 이상에 힌지(256)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252)을 하면부재(230)에 대하여 지지하여 상기 측면부재(250)를 기립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측면부재(250)를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54-1, 254-2)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254-1, 254-2)이 하면부재(230)를 지지하여 측면부재(250)가 기립상태로 유지되므로 가변유닛(200) 자체가 기립이 되며, 지지프레임(254-1, 254-2)을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접은 경우 측면부재(250)가 접히므로 가변유닛(200) 자체가 접힌 상태로 형성이 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프레임(254-1)이 수평프레임(252)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가변유닛(200)의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내부에 집수되는 유체의 하중을 고려할 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지지프레임(254-1, 254-2)이 수평프레임(252)의 4개 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가변유닛(200)의 기립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54-1)을 모두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접으면 가변유닛(200)이 납작하게 접히므로 상기 가변유닛(200)을 집수정(10)이 위치한 시공현장에 운반하는 경우, 그 부피를 줄여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하우징의 외면이 집수정(10)의 내벽에 의해 횡압력을 받아 찌그러지는 등 변형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가변유닛(200)의 측면부재(250)는 천 또는 면 등 섬유소재로 형성되므로 집수정(10)의 내벽에 의해 상기 측면부재(25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변유닛(200)은 측면부재(25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면부재(270)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부재(270)는 유체가 수용공간에 유입되도록 내부가 개방된 둘레면(272) 및 상기 둘레면(272)의 개방 부분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망(27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으로 낙엽이나 직경이 큰 슬러지 등이 1차로 필터링 되나, 상면부재(270)에 필터망(275)을 구비함으로써, 작은 직경의 슬러지 등을 2차로 필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부재(270) 둘레면(272) 중 일면은 측면부재(250)의 상부 일면과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재(270) 둘레면(272)의 나머지 면은 측면부재(250)의 상부 나머지 면과 지퍼(278) 등의 형식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부재(270)를 위와 같이 지퍼(278) 등으로 측면부재(250)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은, 지지프레임(254-1, 254-2)을 접어서 가변유닛(200)을 납작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시공현장에 운반하고, 상면부재(270)를 오픈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254-1, 254-2)을 수직으로 회전시켜 가변유닛(200)의 기립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상면부재(270)를 지퍼(278)를 이용하여 측면부재(250)에 결합함으로써, 가변유닛(200)의 설치를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완성된 가변유닛(200)은 집수정(10) 내부에 배치하면 된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부유체(500)는 가변유닛(200)의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서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개방수면이란 유체의 표면을 덮는 어떤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오픈된 상태의 순수한 유체 표면을 말한다.
상기 부유체(500)는 유체에 부유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과 같이 비중이 물보다 낮게 형성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500, 520, 530)는 별 모양과 같이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 결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개의 부유체(500, 520, 530)가 유체의 표면에 부유된 경우 부유체(500, 520, 530)의 방사형 판체가 인접한 다를 부유체(500, 520, 530)의 판체와 얼기설기 밀착되어 결과적으로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배경기술 항목에서 기술했듯이, 부유체가 구체 형태인 경우 구체와 구체 사이에는 공극이 발생할 수 밖에 없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체(500)를 별 모양과 같이 방사형 판체로 형성하여 부유체(500)와 부유체(500)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방수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부유체(52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 및 타측에 홈이 형성된 수평판체(523), 상기 수평판체(523)의 중앙부 일측 홈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체(524) 및 상기 수평판체(523)의 중앙부 타측 홈에 결합되는 제2경사판체(526)를 포함한다(도 6-b). 이 경우, 상기 수평판체(523)의 폭길이는 상기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의 폭길이를 더한 수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유체(520)는 단면이 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부유체(520)의 수평판체(523),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는 인접하는 또 다른 부유체(520)의 수평판체(523),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와 서로 얼기설기 접하면서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는, 도 6-a 와 같이, 부유체(520)는 중앙부 일측에 홈이 형성된 수평판체(523), 상기 중앙부 일측 홈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체(524) 및 상기 수평판체(523)의 중앙부 타측과 상기 제1경사판체(524)에 함께 결합되는 제2경사판체(526)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부유체(520)가 수평판체(523)에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부유체(520)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실제품 제작시 그 생산단가 및 제조시간을 고려하여 부유체(520)를 결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부유체(520)의 수평판체(523)에 제1경사판체(524) 및 제2경사판체(526)를 경사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단면을 십자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부유체(550)는 십자 형태의 십자판체(553) 및 상기 십자판체(553)의 일 홈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체(556)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55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부유체(520)가 단면이 별 형태인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부유체(550)는 입체적 형상이 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유체(550) 역시 판체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유체(550)간의 밀착도를 높여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3가지 형태의 부유체(520, 550)를 모두 같은 형태의 부유체(520, 550)만으로 구성하여 집수정(10) 내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부유체(520, 550)를 서로 섞어서 집수정(10)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부유체(500, 520, 550)를 직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부유체(500, 520, 550)간에 미세하게나마 발생할 수 있는 공극을 더욱 줄임으로써, 유체의 개방수면을 더욱 최소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부유체(500)는 판체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유체(500)간의 밀착도를 높임으로써,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방식이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부유체(500, 520, 550)의 기능에 의해, 유체의 표면을 덮어 개방수면을 최소화하여, 이미 산란되었거나 외부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해충, 특히 모기의 유충 및 번데기가 대기호흡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유충 및 번데기가 우화(emergence, 羽化)하여 성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수면을 최소화 함으로써, 애초에 성충인 모기가 수면 위에 알을 낳는 산란(spawn, 産卵) 행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변유닛(200)의 측면부재(250)에는 집수정(10)의 배수관(30)과 연통되도록 상기 배수관(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부는 집수정(10)에 연결되는 배수관(30)이 복수개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부에는 부유체(500)가 배수관(30)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5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3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쉬망(300)은 철사 또는 낚시줄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유닛(200)의 수용공간 방향을 바라보는 메쉬망(300)의 일면은 돌출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망(300)의 격자는 부유체(5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나, 유체가 빠른 속도로 배수관(30)으로 흐르게 되는 경우, 상기 부유체(500)가 메쉬망(300) 격자 사이에 끼이는 눈막음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메쉬망(300)에 돌출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부유체(500)가 상기 메쉬망(300)의 격자 사이에 끼이게 되는 눈막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변유닛(200)의 측면부재(250)의 통공부에는 고무브라켓(2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무브라켓(280)의 일측은 메쉬망(300)이 구비된 가변유닛(200)의 통공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배수관(30)에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가변유닛(200)의 통공부 및 배수관(30)으로 배출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집수정 20: 유입관
30: 배수관 200: 가변유닛
230: 하면부재 235: 베이스판
250: 측면부재 252: 수평프레임
254-1, 254-2: 지지프레임 270: 상면부재
272: 둘레면 275: 필터망
300: 메쉬망 500, 520, 550: 부유체
523: 수평판체 524: 제1경사판체
526: 제2경사판체 553: 십자판체
556: 수직판체

Claims (7)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구비되고 다면체 형태로 유지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가변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가변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
    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유닛은
    방수기능이 구비된 소재로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재 및 상기 하면부재의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 둘레를 다각형으로 유지하는 다각형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모서리 2개 이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기 하면부재에 대하여 지지하여 상기 측면부재를 기립상태로 유지하거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측면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닛은
    상기 하면부재에 삽입결합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닛은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재는
    유체가 수용공간에 유입되도록 내부가 개방된 둘레면 및 상기 둘레면의 내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망을 포함하는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5.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구비되고 다면체 형태로 유지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가변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가변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
    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는
    수평판체;
    상기 수평판체의 일측에 경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경사판체; 및
    상기 수평판체의 타측에 경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경사판체;
    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부유체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6.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배수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집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통공부가 구비되고 다면체 형태로 유지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가변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집수되는 유체에 부유되도록 유체보다 낮은 비중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되는 유체의 표면을 덮어 유체의 개방수면을 최소화하도록 복수개의 판체가 방사형으로 상호결합된 부유체; 및
    상기 가변유닛의 통공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격자로 형성된 메쉬망;
    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는
    십자형태의 십자판체; 및
    상기 십자판체의 일부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체;
    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부유체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직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유체에 부유되는 부유체와 부유체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하는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1020170159409A 2017-11-27 2017-11-27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102016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09A KR102016463B1 (ko) 2017-11-27 2017-11-27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09A KR102016463B1 (ko) 2017-11-27 2017-11-27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50A KR20190061250A (ko) 2019-06-05
KR102016463B1 true KR102016463B1 (ko) 2019-08-30

Family

ID=6684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409A KR102016463B1 (ko) 2017-11-27 2017-11-27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4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088A (ja) * 2001-11-06 2003-05-13 Ngk Insulators Ltd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下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791027B1 (ko) * 2017-06-20 2017-10-2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88049A (en) * 2010-09-17 2013-06-28 Ehl Ltd A filter bag and collapsible but rigid filter frame for a storm water drain that prevents the bag distor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088A (ja) * 2001-11-06 2003-05-13 Ngk Insulators Ltd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下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791027B1 (ko) * 2017-06-20 2017-10-2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50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027B1 (ko)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AU2011302712B2 (en) A storm water filter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e
JP4673645B2 (ja) ボウフラ駆除容器
US8950362B2 (en) Complex floating wetland equipment
CN202064414U (zh) 可旋转密封盖板可溢水滤器水封浮盖多层五防复合地漏
CA2991016A1 (en) Closed tank for fish farming and method for transporting fish into and out from such tank
KR100939204B1 (ko) 부유식 수변 및 수중생물 서식산란장
JP6470644B2 (ja) タコの飼育方法、タコ飼育用シェルタおよびタコの飼育システム
KR102016458B1 (ko)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102016463B1 (ko) 접이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20070041702A (ko) 가두리 양식장
CN205511712U (zh) 水泥池套管排水装置
KR101263442B1 (ko) 해수 흡입용 후드
KR101412043B1 (ko)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육수조용 이중 배수장치
KR101783299B1 (ko) 자동 포집기능을 갖는 힌지 방식의 곤충 대량사육시설
JP2013215170A (ja) 人工着底礁
US20210129053A1 (en) Pre-filter system
KR100289894B1 (ko) 흑참새벌의 사육방법 및 사육장치
KR100530716B1 (ko) 무동력 부유식 이물질수거및 여과장치
US6210569B1 (en) Device for collecting water polluting phytoplankton drifts and method for collecting water polluting phytoplankton drifts
JP4116908B2 (ja) 雨水ます
JP2005137317A (ja) ビオトープ空間形成装置
JP6226598B2 (ja) グレーチングの害虫移動防止網体
KR100938596B1 (ko) 수변 어소블럭
JP3124285U (ja) 雨水会所用防蚊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