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134B1 - 기어 - Google Patents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134B1
KR102016134B1 KR1020180029713A KR20180029713A KR102016134B1 KR 102016134 B1 KR102016134 B1 KR 102016134B1 KR 1020180029713 A KR1020180029713 A KR 1020180029713A KR 20180029713 A KR20180029713 A KR 20180029713A KR 102016134 B1 KR102016134 B1 KR 10201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in
elastic
extern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면
강성준
라인숙
임정규
김성우
임재혁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KR102018002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134B1/ko
Priority to PCT/KR2019/002471 priority patent/WO20191772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5/00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 F16H35/10Arrangements or devices for absorbing overload or preventing damage by over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4Construction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중앙에 지지축이 삽입되는 제1홀이 형성된 외기어;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홀을 중심으로 상기 외기어의 상면으로 돌출되되,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핀 가이드홈이 형성된 보스부; 상기 핀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핀; 상기 수용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 및 중앙에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제2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보스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둘레면에는 상기 핀이 안착되는 오목 형상의 결합홈이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내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어{GEAR}
본 발명은 기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기어와 내기어가 함께 회전되거나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기어에 관한 것이다.
기어는 축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웃하는 기어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어는 다양한 동력 전달장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로 기어는 액추에이터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에 기어가 구비된 경우, 기어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기어는 전동부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며, 길이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로드부로 전달되는 토크를 증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세탁기, 냉장고, 식기 세척기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가 냉장고의 서랍(drawer)을 자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종래의 액추에이터는 냉장고의 서랍이 자동으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장애물로 인해 서랍이 제대로 인출되지 못할 시, 로드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에는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전동부에 발생되는 과부하는 전동부의 주요 고장 원인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서랍을 직접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과정에서 액추에이터의 내부 부품이 파손될 수도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32696호(2011.03.3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외기어와 내기어가 함께 회전되거나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중앙에 지지축이 삽입되는 제1홀이 형성된 외기어;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홀을 중심으로 상기 외기어의 상면으로 돌출되되,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핀 가이드홈이 형성된 보스부; 상기 핀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핀; 상기 수용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 및 중앙에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제2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보스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둘레면에는 상기 핀이 안착되는 오목 형상의 결합홈이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내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이격되어 탄성 조절 공간부를 형성하는 중공형 원기둥 형상의 몸체판부; 및 상기 몸체판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복수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기어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폭과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폭과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 공간부는 상기 핀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고정홀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 가이드홈은 상기 탄성부의 압축 또는 복원시 상기 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핀 가이드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가 고정된 경우, 고정되지 않은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는 고정된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핀은 상기 탄성부를 압축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상기 결합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에 구비되는 외기어와 내기어는 함께 회전되거나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외기어 또는 내기어에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될 경우, 외기어 또는 내기어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가 동력 전달장치에 구비된 경우, 동력 전달장치에 구비되는 전동부는 상기 기어로 인해 과부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과부하로 인한 전동부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서 바라본 기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기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스부와 외기어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기어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의 외기어가 내기어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서 바라본 기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기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스부와 외기어의 단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기어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어(100)는 외기어(110), 보스부(120), 핀(130), 탄성부(140) 및 내기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기어(110)와 내기어(150)는 기어(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외기어(110)는 내기어(150)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외기어(110)의 중앙에는 지지축(미도시)이 관통 삽입되는 제1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기어(110)의 외주연에는 치형이 형성된다. 이러한 외기어(110)에 형성된 치형은 이웃하는 다른 기어부품과 치합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기어(110)는 보스부(12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스부(120)는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외기어(110)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보스부(120)는 제1홀(111)을 중심으로 외기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보스부(120)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121)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수용 공간부(121)가 형성된 보스부(120)의 내경은 제1홀(111)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보스부(120)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핀 가이드홈(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핀 가이드홈(122)은 보스부(120)를 일정 크기로 분할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핀 가이드홈(122)은 보스부(120)에 2개 이상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핀 가이드홈(122)이 3개인 형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핀 가이드홈(122)은 탄성부(140)의 압축 또는 복원에 따라 핀(130)이 이동될 시, 핀(13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핀 가이드홈(122)은 핀(130)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홀(111)로부터 멀어질수록 핀 가이드홈(122)이 일정 각도(α)로 벌어지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핀 가이드홈(122)이 벌어진 형태를 이룰 경우, 압축 상태의 탄성부(140)가 복원력에 의해 핀(130)을 결합홈(153) 측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핀(130)은 결합홈(153)에 신속히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내기어(150)와 외기어(110)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핀(130)은 탄성부(140)를 원활히 가압할 수 있다. 즉, 내기어(150)와 외기어(110)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벌려진 형태의 핀 가이드홈(122)은 핀(130)의 부드러운 이동을 유도하여 핀(130)은 탄성부(140)를 원활히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핀(130)은 핀 가이드홈(122)에 배치되되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핀(130)이 자체적으로 회전되더라도 내기어(150)의 결합홈(153)에 핀(130)이 안착됨에 있어 문제가 없다.
그리고 핀(130)의 높이는 핀 가이드홈(122)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탄성부(140)의 압축 또는 복원이 이루어질 시, 핀(130)이 핀 가이드홈(122)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핀(130)은 복수개의 핀 가이드홈(122)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핀(130)은 탄성부(140)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핀(1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1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라운드가 형성된 경우, 외기어(110) 또는 내기어(150)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140)의 탄성 변형시, 핀(130)은 신속하고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탄성부(140)는 수용 공간부(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13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즉, 탄성부(140)는 보스부(120)의 내경과 제1홀(11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핀(13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140)는 판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판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140)의 높이는 핀(130)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탄성부(140)가 핀(130)을 전체적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140)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탄성부(140)는 몸체판부(141) 및 고정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판부(141)는 중공형 원기둥 형상을 이루되, 몸체판부(14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이격되며 탄성 조절 공간부(143)를 형성하게 된다. 즉, 몸체판부(141)를 횡단면할 시, 몸체판부(141)는 탄성 조절 공간부(14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원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부(140)에는 탄성 조절 공간부(143)가 형성됨에 따라 탄성부(140)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탄성부(140)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져 탄성부(140)가 압축되는 경우, 몸체판부(14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며 탄성부(140)는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140)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해제되어 탄성부(14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 몸체판부(14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서로 멀어지며 탄성부(140)는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140)에는 몸체판부(14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탄성 조절 공간부(143)가 형성됨에 따라 탄성부(140)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140)가 복원된 경우, 몸체판부(141)의 외측면은 보스부(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핀(130)을 결합홈(153)으로 가압시킨다.
한편, 고정부(142)는 몸체판부(141)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142)는 외기어(11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홀(112)에 삽입된다. 이렇게 고정부(142)가 고정홀(112)에 삽입될 경우, 탄성부(140)의 회전은 방지된다. 즉, 고정홀(112)은 고정부(142)의 회전을 제한하여 탄성부(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예를 들어 내기어(150)와 외기어(110)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정부(142)와 고정홀(112)은 몸체판부(14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탄성부(140)에 고정부(142)가 없다면 내기어(150)와 외기어(11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탄성부(1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140)의 탄성 조절 공간부(143)가 핀(130)을 지지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140)는 핀(130)을 제대로 탄성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탄성부(1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경우, 탄성부(1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핀(130)이 탄성 조절 공간부(143)에 끼워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핀(130)이 보스부(120)와 탄성부(140) 사이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에, 탄성부(140)에는 고정부(142)를 구비시킴으로써, 탄성부(14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외기어(11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홀(112)은 제1홀(111)의 테두리와 보스부(120)의 내경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홀(112)의 깊이는 고정부(14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홀(112)의 폭과 길이는 고정부(142)의 폭과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압축 및 복원의 탄성부(140)의 탄성 변형 시, 탄성부(140)가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고정홀(112)은 고정부(142)보다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일정 이상의 힘으로 핀(130)이 탄성부(140)를 가압할 경우, 탄성부(140)는 압축되며 탄성부(140)의 원형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부(140)가 핀(130)에 의해 가압되며 압축이 이루어질 경우, 탄성부(140)의 원형 크기는 작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홀(112)에 삽입된 고정부(142)는 제1홀(111)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며 탄성부(140)의 원형 크기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 상태의 탄성부(140)가 팽창되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도 고정홀(112)에 삽입된 고정부(142)는 제1홀(11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며 탄성부(140)의 원형 크기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홀(112)은 고정부(142)보다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탄성부(140)는 탄성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42)와 고정홀(112)은 탄성 조절 공간부(143)가 핀 가이드홈(122)과 연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결합된다. 즉, 고정부(142)와 고정홀(112)의 결합시, 탄성 조절 공간부(143)는 핀 가이드홈(122)과 연통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탄성부(140)의 압축 또는 복원 과정에서 핀(130)의 끼임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내기어(150)의 중앙에는 지지축이 관통 삽입되는 제2홀(151)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기어(150)의 외주연에는 치형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기어(150)에 형성된 치형은 이웃하는 다른 기어부품과 치합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내기어(150)의 하면에는 보스부(120)가 삽입되는 삽입홈(1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152)의 둘레면은 핀(130)이 안착되는 오목 형상의 결합홈(15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홈(153)은 삽입홈(152)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다. 이에, 내기어(150) 또는 외기어(110)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핀(130)은 탄성부(140)를 압축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결합홈(15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6을 통해 내기어(150) 또는 외기어(110)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작동 상태를 살펴보기로 하자.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의 외기어가 내기어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예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지칭되는 구성들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내기어(150)가 외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외기어(110)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외기어(110)만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도 6과 달리 외기어(110)가 고정되고, 내기어(150)만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기어(150)에 일정 이상의 힘(외력)이 작용하여 내기어(1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기어(110)만 회전되는 경우, 핀(130)은 내기어(150)에 의해 탄성부(140)를 압축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결합홈(15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탄성부(140)의 탄성력은 내기어(150)에 작용되는 외력과 외기어(110)의 회전력에 비해 힘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가능하다.
그리고 핀(130)이 결합홈(153)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내기어(150)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 힘 미만으로 떨어지거나 내기어(150)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진 경우, 핀(130)은 복수개의 결합홈(153)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153)에 안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기어(110)가 회전하는 경우, 내기어(150)는 외기어(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140)의 탄성력은 내기어(150)에 작용되는 외력보다 더 크게 작용하여, 탄성부(140)는 압축됨없이 핀(130)을 결합홈(153)에 밀착 가압시키게 된다. 따라서, 내기어(150)는 외기어(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어(100)에는 탄성부(140)가 구비됨에 따라 기어(100)는 내기어(150)와 외기어(110)는 함께 회전되거나 내기어(150) 또는 외기어(110) 중 하나만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기어(150)와 외기어(110)는 일체형이 아닌 독립적으로 분리된 형태를 이룸에 따라 내기어(150) 또는 외기어(110)는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기어(100)가 동력 전달장치(미도시)에 구비된 경우, 동력 전달장치에 구비되는 전동부는 기어(100)로 인해 과부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기어(150)와 외기어(110)가 일체로 이루어진 기어의 경우, 외력에 의해 내기어(1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기어(110)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시, 외기어(110)로 동력을 공급하는 전동부에는 과하부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동부에 발생된 과부하는 전동부의 고장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어(100)는 내기어(150) 또는 외기어(110)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동력 전달장치에 구비되는 전동부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어 110: 외기어
111: 제1홀 112: 고정홀
120: 보스부 121: 수용 공간부
122: 핀 가이드홈 130: 핀
140: 탄성부 141: 몸체판부
142: 고정부 143: 탄성 조절 공간부
150: 내기어 151: 제2홀
152: 삽입홈 153: 결합홈

Claims (10)

  1. 중앙에 지지축이 삽입되는 제1홀이 형성된 외기어;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홀을 중심으로 상기 외기어의 상면으로 돌출되되,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핀 가이드홈이 형성된 보스부;
    상기 핀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핀;
    상기 수용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 및
    중앙에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제2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보스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둘레면에는 상기 핀이 안착되는 오목 형상의 결합홈이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내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홈은 상기 탄성부의 압축 또는 복원시 상기 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핀 가이드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형성된 것인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이격되어 탄성 조절 공간부를 형성하는 중공형 원기둥 형상의 몸체판부; 및
    상기 몸체판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복수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기어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폭과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폭과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 공간부는 상기 핀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고정홀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라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가 고정된 경우, 고정되지 않은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는 고정된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어 또는 내기어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핀은 상기 탄성부를 압축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상기 결합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KR1020180029713A 2018-03-14 2018-03-14 기어 KR10201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13A KR102016134B1 (ko) 2018-03-14 2018-03-14 기어
PCT/KR2019/002471 WO2019177293A1 (ko) 2018-03-14 2019-03-04 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13A KR102016134B1 (ko) 2018-03-14 2018-03-14 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134B1 true KR102016134B1 (ko) 2019-08-30

Family

ID=6777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713A KR102016134B1 (ko) 2018-03-14 2018-03-14 기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6134B1 (ko)
WO (1) WO201917729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097A (ja) * 2005-04-04 2006-10-19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KR20100116142A (ko) * 2009-04-21 2010-10-29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웨빙 권취 장치
KR20110032696A (ko) 2009-09-24 2011-03-30 이상연 기어 동력전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6883B1 (en) * 2005-05-19 2016-05-04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device
JP2010019339A (ja) * 2008-07-10 2010-01-28 Nippo Ltd トルクリミッタ機構付き歯車
KR20120002521U (ko) * 2010-10-01 2012-04-12 황용하 감속기 과부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097A (ja) * 2005-04-04 2006-10-19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KR20100116142A (ko) * 2009-04-21 2010-10-29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웨빙 권취 장치
KR20110032696A (ko) 2009-09-24 2011-03-30 이상연 기어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293A1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0454A (zh) 包括摩擦离合器的推出器
CN209063145U (zh) 耦合单元、功能附件及个人护理装置
EP3255234B1 (en) Hinge having damping effect, and apparatus having said hinge
CN110173517A (zh) 一种汽车变速器斜撑离合器
EP3127417B1 (en) Reducer with double-clutch structure
KR102016134B1 (ko) 기어
KR102010339B1 (ko) 액추에이터
JP6806653B2 (ja) 動力で動く乗物用のギア・シフト装置
US20140155226A1 (en) Low noise wrist strength training ball
EP3852982B1 (en) Improved hair-cutting unit for a shaving device
EP2960019A1 (en) Hammer drill
JP6524297B1 (ja) リンク部材を利用するロック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KR102091596B1 (ko) 액추에이터
JP6887843B2 (ja) 二方向クラッチ
KR102216944B1 (ko) 펌핑 디바이스
CN204242903U (zh) 保护旋转开关
KR102473962B1 (ko) 충격흡수 기어
US5690208A (en) Clutch disk vibration damper assembly
TW202124807A (zh) 多段式緩衝轉軸裝置
WO2019184314A1 (zh) 一种换挡连杆机构及换挡装置
KR20160129164A (ko) 클러치의 허브 댐핑장치
CN208457060U (zh) 离合装置和包括该离合装置的电机***
KR102180585B1 (ko) 축 연결 커넥터
CN215806654U (zh) 一种回转式阀门执行器
KR100524393B1 (ko)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클러치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