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235B1 -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235B1
KR102013235B1 KR1020180144596A KR20180144596A KR102013235B1 KR 102013235 B1 KR102013235 B1 KR 102013235B1 KR 1020180144596 A KR1020180144596 A KR 1020180144596A KR 20180144596 A KR20180144596 A KR 20180144596A KR 102013235 B1 KR102013235 B1 KR 10201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keleton
abnormality
skelet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4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2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2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old people living alone, which comprises: a monitoring device detecting a user and converting user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into skeleton information which is skeletal information of the user; a central serve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kelet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n abnormal occurrence signal when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to the user; and an emergency center automatic call system sending an automatic call to an emergency center when receiving the abnormal occurrence signal.

Description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OLD PEOPLE MONITORING SYSTEM}Elderly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enior citizen monitoring system.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라 하고,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Aged Society)라 하고, 20% 이상이면 후기 고령 사회(Post-aged Society) 혹은 초고령 사회라고 한다.Generally, more than 7% of the population over 65 years of age is called Aging Society, more than 14% is called Aged Society, and more than 20% is Post-aged. Society or the old age society.

한국의 경우, 고령자 고용촉진법시행령에서는 55세 이상을 고령자, 50~54세를 준고령자(2조)로 규정하고 있으나, UN에서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일 때 고령화 사회라고 보고 있다.In Korea,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motion Act stipulates that people over 55 years old are aged people and those aged 50-54 years old (Article 2), but the United Nations is aging society when the proportion of people over 65 years is 7% or more I see.

고령에 따른 질병, 고독, 빈곤, 무직업 등에 대응하는 사회적, 경제적 대책은 고령화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과제로서, 혼자 살고 있는 독거노인은 갑작스럽게 건강에 이상이 생기는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누군가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독거노인들의 안전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Social and economic measures to cope with disease, loneliness, poverty, and unemployment caused by aging are the challenges facing an aging society.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receive help, and a monitoring system for the safe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being developed.

국내공개특허 2009-0080672호에서는 지체 장애인이나 고령의 노인 등이 생활하는 실내의 바닥에 좌표 정보를 포함한 RFID 태그를 다수개 설치하고,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신발을 신은 위치 추적 대상자가 이동하면, RFID 리더기에 의해 바닥에 설치된 RFID 태그의 좌표 정보가 수집되고 이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대상자의 현재 위치나 이동 경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80672, a plurality of RFID tags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r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room where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or an elderly elderly person lives, and when a person tracking a location wearing shoes with an RFID reader moves, Disclosed are coordinates of an RFID tag installed on a floor by a reader, and a shoe having an embedded RFID reader capable of easily grasping a current location or a moving path of a location tracking object, and a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그러나, 이와 같은 RFID 리더기를 이용한 방식은 반드시 RFID가 내장된 신발을 이용해야 하며, 사용자의 행동이나 현재 상황 등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ethod using such an RFID reader must use a shoe with a built-in RFID,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user's behavior or the current situation.

국내등록특허 10-1648076호는 사용자인 독거노인의 손목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안심 밴드(relief band)가 측정한 맥박을 비콘 신호(beacon signal)로 송신하면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수신한 비콘 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해당 사용자의 맥박을 추출하고 추출된 맥박과 해당 사용자 정보를 독거노인 모니터링 서버로 실시간으로 송신함으로써 구조 요청이 필요한 독거노인에 대한 응급 처지와 구조를 하도록 한다.Korean Patent No. 10-1648076 parses a beacon signal received by a user's smartphone when a pulse measured by a relief band configured to be worn on a wrist of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is a beacon signal. By parsing, the user's pulse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pulse and the user's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elderly living monitoring server in real time so as to provide emergency treatment and rescu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그러나, 안심 밴드는 독거노인이 상시로 손목에 착용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노인들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lief b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and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elderly because the elderly should be worn on the wrist at all times.

또한, 국내등록특허 10-1654609호에 게시되어 있는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독거노인의 현재 상황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처럼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독거노인들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emote smart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54609 is using a camera to shoo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en using the camera in this way violates the priv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be done.

따라서, 노인의 행동이나 이상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과 개인 사생활도 보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easily grasp the behavior or abnormality of the elderly, and to protect the convenience and personal privac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독거노인 행동 패턴 모니터링 시에 사용자의 정보를 뼈대화한 정보인 상기 스켈레톤(skeleton) 정보로 변환하고, 이와 같은 스켈레톤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이상 발생 여부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켈레톤 정보만을 외부로 제공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to skeleton information (skeleton) that is skeletal information when monitor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nalyzes such skeleton informa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abnormality occurs, more efficient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ity is possible, and only skelet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outside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사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다 신뢰도 높고 신속한 이상 발생 여부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신사 네트워크의 사용시에 스켈레톤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양을 대폭 줄여 통신비를 최소화하고자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liver more reliable and promptly whether an abnormality occurs through the carrier network, and to minimize the communication cost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data using the skeleton information when using the carrier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빅데이터 딥러닝을 통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데이터 분석 및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or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the user's age group data to learn the user's behavior pattern, it is intended to enable more accurate data analysis and learning through deep data deep lear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를 이용해 구성된 아바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자와 보호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매우 용이하게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avatar information and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configured us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the administrator and the guardian can easily and intuitively grasp the user's status.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를 감지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를 뼈대화한 정보인 스켈레톤(skeleton)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 상기 스켈레톤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응급센터로 자동호출을 발신하는 응급센터 자동호출 시스템;을 포함한다.The elderly monitoring system for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user by convert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into skeleton information which is skeletal information which is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Device; A central server which receives and analyzes the skelet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n abnormal occurrenc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to the user; And an emergency center automatic call system for sending an automatic call to an emergency center when receiving the abnormal occurrence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3D 카메라;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발목, 무릎, 엉덩이, 손목, 팔꿈치, 어깨, 턱 또는 이마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켈레톤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정보처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3D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user; An infrared camera sensor detecting the use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photographed image into skelet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f ankle, knee, hip, wrist, elbow, shoulder, chin, or forehead of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를 이용해 구성된 아바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base for stor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the age group data of the user; And a web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avatar information configured us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는 행동 패턴 학습부; 및 상기 행동 패턴 학습부에서 학습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발생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erver comprises: a behavior pattern learning unit learn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the user's age group data; And an abnormality occurrenc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user based on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user learned by the behavioral pattern learn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상 발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 경보부;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생활 필수정보를 제공하는 생활 필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erver may include: a danger alarm unit generating an abnormal occurrenc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to the user; And essential life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essential life information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독거노인 행동 패턴 모니터링 시에 사용자의 정보를 뼈대화한 정보인 상기 스켈레톤(skeleton) 정보로 변환하고, 이와 같은 스켈레톤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이상 발생 여부의 판단이 가능하며, 스켈레톤 정보만을 외부로 제공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nitor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user's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skeleton information, which is skeletal information, and such skeleton information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abnormality is more effici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accurate abnormality occurs, and because only the skelet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outside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personal privacy for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사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다 신뢰도 높고 신속한 이상 발생 여부의 전달이 가능하며, 통신사 네트워크의 사용시에 스켈레톤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양을 대폭 줄여 통신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liver more reliable and quicker occurrence of abnormality through a carrier network,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transmission data by using skeleton information when using the carrier network, thereby minimizing communication costs.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빅데이터 딥러닝을 통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데이터 분석 및 학습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or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the user's age group data to learn the user's behavior pattern,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learn more accurate data through big data deep learning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를 이용해 구성된 아바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자와 보호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매우 용이하게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avatar information and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configured us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the administrator and the guardian can easily and intuitively grasp the user's st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스켈레톤(skeleton) 정보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living alon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entra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onitori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skeleton information of a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llustrate a method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description, it does not mean the size that is actual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ram of the server.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elderly monitoring alo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장치(110), 중앙 서버(120), 응급센터 자동호출 시스템(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웹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lderly monitoring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nitoring apparatus 110, a central server 120, an emergency call center system 130, a database 140, and a web server 150. .

모니터링 장치(110)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스켈레톤(skeleton)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상기 스켈레톤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형태 정보를 뼈대화한 정보로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110)는 이와 같이 사용자를 감지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뼈대화한 정보인 상기 스켈레톤(skeleton)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한다.The monitoring device 110 detects the user, photographs through a camera, converts the information into skelet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nverted information. The skelet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skeletonizes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monitoring device 110 detects the user and thus the skelet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that skeletoniz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Convert to and send.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110)는 3D 카메라(111), 적외선 카메라 센서(112), 센서부(113), 디스플레이(114), 전원부(115), 마이크(116), 스피커(117), 통신부(118) 및 정보처리 제어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the monitoring device 110 includes a 3D camera 111, an infrared camera sensor 112, a sensor unit 113, a display 114, a power supply 115, a microphone 116,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117, the communication unit 118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119.

3D 카메라(111)는 사용자를 촬영하며 이때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센서(112)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 및 감지할 수 있다.The 3D camera 111 photographs a user, and at this time, photographs the user to generate a 3D image, and the infrared camera sensor 112 may photograph and detect the user.

또한, 센서부(113)는 온도 등의 감지가 가능하고, 디스플레이(114)는 사용자에게 날씨 등의 필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원부(115)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110)에 전원을 제공하며, 마이크(116)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110)의 주변의 소리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스피커(117)는 상기 사용자에게 정보 또는 경고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13 can detect the temperature and the like, the display 114 can provide the user with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the weather, and the power supply unit 115 provides power to the monitoring device 110. The microphone 116 may obtain a sound around the monitoring device 110 or a voice of a user, and the speaker 117 may provide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r a warning to the user.

정보처리 제어부(119)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뼈대화한 정보인 스켈레톤(skeleton)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통신부(118)를 제어하여 네트워크(101)를 통해 중앙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119 may convert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to skeleton information, which is skeletal information,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8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entral server 120 through the network 101.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01)가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사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경우 스켈레톤 정보를 사용하므로 전송 데이터의 양을 대폭 줄여 통신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101 may be configured as a wireless network,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network is configured as a carrier network, skeleton information may be used,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data, thereby minimizing communication costs. .

중앙 서버(120)는 이와 같이 네트워크(101)를 통해 전송되는 스켈레톤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entral server 12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o the user by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keleto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101 as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서버(120)는 행동 패턴 학습부(121), 이상 발생 판단부(122), 위험 경보부(123) 및 생활 필수정보 제공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central server 120 includes a behavior pattern learning unit 121, an abnormality occurrence determining unit 122, a hazard warning unit 123, and an essential l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4. Can be configured.

상기 행동 패턴 학습부(121)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할 수 있으며, 상기 이상 발생 판단부(122)는 상기 행동 패턴 학습부에서 학습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behavior pattern learner 121 may learn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based on the skelet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ata for each age group of the user stored in the database 140. The behavior pattern learner may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user based on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또한, 상기 위험 경보부(123)는 상기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상 발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생활 필수정보 제공부(124)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생활 필수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생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isk alerting unit 123 may generate an abnormality occurrenc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to the user, and the essen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4 may provide the essential information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By providing a user can be more conveniently provided with a variety of life information.

그에 따라, 응급센터 자동호출 시스템(130)은 상기 중앙 서버(120)의 위험 경보부(123)로부터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자동호출을 발신하도록 하여, 응급센터는 신속하게 출동하여 사용자에 대한 응급조치가 가능하다.Accordingly, when the emergency center automatic call system 130 receives an abnormal occurrence signal from the danger alerting unit 123 of the central server 120, the emergency center automatically calls the emergency center so that the emergency center can be dispatched quickly to the user. Action is possible.

또한, 관리자 및 보호자는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조치하거나, 유무선 전화를 통해 독거 노인 등의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and the guardian can receive an error occurrence signal and take measures, or check the safety of the user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한편, 데이터베이스(140)는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중앙 서버(120)의 행동 패턴 학습부(121)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빅데이터 딥러닝을 통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데이터 분석 및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base 140 stores the skelet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ata for each age group of the user so that the behavior pattern learner 121 of the central server 120 can learn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Deep learning can enable more accurate data analysis and learning.

또한, 웹 서버(150)는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를 이용해 구성된 아바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매우 용이하게 직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eb server 150 provides the avatar information configured us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be intuitively provided with the user's statu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스켈레톤(skeleton) 정보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onitori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cessing skeleton information of a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부터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onitori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집안 내부의 거실과 방 등에 각각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110)가 독거 노인 등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3D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한다.Referring to FIG. 4, first, a monitoring device 110 installed in a living room and a room inside a house detects a user corresponding to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and photographs a user through a 3D camera.

이후, 상기 모니터링 장치(110)는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뼈대화한 정보인 스켈레톤(skeleton) 정보로 변환하여 네트워크(101)를 통해 전송한다(S520). 이와 같이 사용자의 정보를 스켈레톤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전송 데이터의 양을 대폭 줄여 통신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켈레톤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reafter, the monitoring device 110 converts the photographed user's information into skeleton information, which is skelet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101 (S520). As such, when the user's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skeleton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he communica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by reducing the amount of transmitted data, and only the skeleton information is provided, thereby protecting personal privacy for the user.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정확도 높고 효율적인 스켈레톤 정보의 생성을 위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110)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발목, 무릎, 엉덩이, 손목, 팔꿈치, 어깨, 턱 또는 이마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켈레톤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generate more accurate and efficient skeleton information, the monitoring device 110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ankle, knee, hip, wrist, elbow, shoulder, chin, or forehead of the user. The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nverted into skelet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중앙 서버(120)는 이와 같이 변환되어 전송된 스켈레톤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한다.The central server 120 receives and analyzes the skeleton information converted and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고, 이와 같이 학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켈레톤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server 120 learns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based on the skeleton information of the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40 and the data for each age group of the user, and based on the learned information Skeleton information can be analyz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연령대별 데이터를 이용한 빅데이터 딥러닝을 통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데이터 분석 및 학습이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accurate data analysis and learning are possible through deep data deep learning us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age group data.

상기 중앙 서버(120)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하여, 응급센터 자동호출 시스템이 응급센터로 자동호출을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entral server 120 determin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o the us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ntral server 120 may transmit an abnormality occurrence signal to allow the emergency center automatic call system to automatically transmit an emergency call to the emergency center.

따라서, 응급센터는 신속하게 출동하여 사용자에 대한 응급조치가 가능하며, 관리자 및 보호자는 이에 대하여 통보 받아 조치하거나 유무선 전화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Therefore, the emergency center can be dispatched quickly to enable emergency actions for the user, and the manager and guardian can be notified of the action and check the safety of the us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를 이용해 구성된 아바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며, 관리자 및 보호자는 웹(web)을 통해 상기 아바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거나,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아바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b server provides avatar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configured using the skelet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n administrator and a guardian include the avatar information through a web.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or may be provided with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avatar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자 및 보호자는 휴대 단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후, 회원 가입 및 로그인하여, 사용자인 독거 노인의 동작 및 현 상태를 아바타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활동량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과거와 현재의 상태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6 and 7, the manager and the guardian can download the applic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register and log in, and receive the opera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s an avatar in the form of an avatar. By checking the various data of the user,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past and current state of the user may be provided.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니터링 장치(110)를 통해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생활 필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이상 발생 감지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essential information including the weather information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110, in addition to detecting the user's abnormal occurrence, Convenience can be provid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101: 네트워크
110: 모니터링 장치
111: 3D 카메라
112: 적외서 카메라 센서
113: 센서부
114: 디스플레이
115: 전원부
116: 마이크
117: 스피커
118: 통신부
119: 정보처리 제어부
120: 중앙 서버
121: 행동패턴 학습부
122: 이상 발생 판단부
123: 위험 경보부
124: 생활 필수정보 제공부
130: 응급센터 자동호출 시스템
140: 데이터베이스
150: 웹 서버
101: network
110: monitoring device
111: 3D camera
112: infrared camera sensor
113: sensor unit
114: display
115: power supply
116: microphone
117: speaker
118: communication
119: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120: central server
121: Behavior pattern learning unit
122: abnormality occurrence determination unit
123: danger alarm
124: essenti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ving
130: emergency call center automatic call system
140: database
150: web server

Claims (5)

사용자를 감지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를 뼈대화한 정보인 스켈레톤(skeleton)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
상기 스켈레톤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서버;
상기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응급센터로 자동호출을 발신하는 응급센터 자동호출 시스템;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를 이용해 구성된 아바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는 행동 패턴 학습부; 및
상기 행동 패턴 학습부에서 학습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발생 판단부;
를 포함하는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A monitoring device that detects a user and convert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into skeleton information which is skeletal information of the user;
A central server which receives and analyzes the skelet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n abnormal occurrenc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to the user;
Emergency center automatic call system for sending an automatic call to the emergency center when receiving the abnormal occurrence signal;
A database for storing the skelet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ata for each age group of the user; And
And a web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avatar information configured us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central server,
A behavior pattern learning unit learn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nd the user's age group data; And
An abnormality occurrenc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user based on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user learned by the behavioral pattern learning unit;
Senior citizen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3D 카메라;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발목, 무릎, 엉덩이, 손목, 팔꿈치, 어깨, 턱 또는 이마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켈레톤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정보처리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device,
A 3D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user;
An infrared camera sensor detecting the use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photographed image into skelet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f ankle, knee, hip, wrist, elbow, shoulder, chin or forehead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image;
Senior citizen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상 발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 경보부;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생활 필수정보를 제공하는 생활 필수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server,
A risk alarm unit generating an abnorma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to the user; And
Essential lif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essential life information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The elderly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KR1020180144596A 2018-11-21 2018-11-21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KR1020132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596A KR102013235B1 (en) 2018-11-21 2018-11-21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596A KR102013235B1 (en) 2018-11-21 2018-11-21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235B1 true KR102013235B1 (en) 2019-08-29

Family

ID=6777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596A KR102013235B1 (en) 2018-11-21 2018-11-21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23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43B1 (en) * 2020-01-16 2020-07-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home health care for senior health
KR20210086205A (en) 2019-12-31 2021-07-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User Pattern Monitoring System
KR20210101024A (en) 2020-02-07 2021-08-18 김경호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CN114973597A (en) * 2022-05-19 2022-08-30 四川众信佳科技发展有限公司 Household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02B1 (en) *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alldown prevent device
KR101519841B1 (en) * 2013-06-03 2015-05-15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System for managing Care-Object person with user orientation
JP2015210547A (en) * 2014-04-23 2015-11-24 博司 佐久田 Remote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02B1 (en) *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alldown prevent device
KR101519841B1 (en) * 2013-06-03 2015-05-15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System for managing Care-Object person with user orientation
JP2015210547A (en) * 2014-04-23 2015-11-24 博司 佐久田 Remote monitor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안영샘 외 5인, "Depth Camera를 이용한 관절 가동 범위 측정에 대한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017.4, 111-114 (4 pages).*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205A (en) 2019-12-31 2021-07-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User Pattern Monitoring System
KR102133943B1 (en) * 2020-01-16 2020-07-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home health care for senior health
KR20210101024A (en) 2020-02-07 2021-08-18 김경호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CN114973597A (en) * 2022-05-19 2022-08-30 四川众信佳科技发展有限公司 Household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14973597B (en) * 2022-05-19 2023-08-11 四川众信佳科技发展有限公司 Household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235B1 (en)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KR101654609B1 (en) Remote Smart Monitoring System for Handicapped, Disabled and Elderly Living Alone and Method thereof
CA2992896A1 (en) Automated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personal safety
KR101637007B1 (en) System for viewe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CN107464406A (en) Alarm method, system and corresponding wearable device based on wearable device
KR20200059628A (en) Skeleton image learning based old people behavior pattern monitoring method
KR20180106583A (en) 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KR101513896B1 (en)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sensing emergency situ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thereof
US10834363B1 (en) Multi-channel sensing system with embedded processing
KR20080109371A (en) Emergency rescue system
KR102231183B1 (en) Learning based life pattern recognition and monitoring of living alone system with IoT network
JP2017120366A (en) Picture display device and picture display method
JP2019219844A (en) Radio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disaster prevention method thereof
KR101404717B1 (en) the method and system safety management of preschooler
KR20160101508A (en)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senior citizens
CN105321310B (en) From warning system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ervice personnel transmission data
KR20150016687A (en) Care System for Older People Living Alone
JP6539799B1 (en) Safety confirmation system
KR101639954B1 (en) System for management of the elderly person who lives alone
KR101509924B1 (en) Crime preventing potable device, Crime monitoring system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6386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iometrics based on positioning
KR101997225B1 (en)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TWI656502B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rtable safety care
WO201711574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2407150B1 (e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Resident in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