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857B1 - 철근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857B1
KR102011857B1 KR1020170079318A KR20170079318A KR102011857B1 KR 102011857 B1 KR102011857 B1 KR 102011857B1 KR 1020170079318 A KR1020170079318 A KR 1020170079318A KR 20170079318 A KR20170079318 A KR 20170079318A KR 102011857 B1 KR102011857 B1 KR 10201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reinforcing bar
pressing
grip par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235A (ko
Inventor
전병수
Original Assignee
전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수 filed Critical 전병수
Priority to KR102017007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8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철근 커플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소개되는 철근 커플링 장치는 제1철근과 제2철근이 일직선으로 배치된 경우 각각의 철근을 그립하는 제1그립부, 제2그립부와, 각각의 그립부를 가압하는 가압을 수행하는 구성을 통하여 제1철근과 제2철근을 일직선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Description

철근 커플링 장치{STEEL COUPLING DEVICE}
본 기술은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할 때 철근을 그립하는 그립부가 철근을 양방향에서 엇갈리며 가압하며 철근을 고정시키는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 커플링 장치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철근의 양끝을 연결하여 철근의 길이를 연장하는데 이용된다. 철근은 기본적으로 큰 중량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됨으로 철근을 연결하기 위하여 매우 쉬우며 간편한 방법이 요구된다. 즉, 철근 커플링 장치는 복잡하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철근을 연결하여야 한다.
이에 관한 선행문헌으로는, 등록특허 "10-0514807"에는 위와 같은 철근 커플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0514807"을 살펴보면, 쐐기삽입면(27)으로 되어 철근을 삽입하는 철근삽입면(26)을 포함하고, 철근삽입면(26)에는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마디홈(25)이 형성된 원통부(22) 등을 포함하고, 슬리브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부(21)가 개시되어 있어서, 이 경사부(21)가 철근을 가압하며 연결하는 철근 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철근 연결구는 철근을 가압하며 연결하는 경사부(21)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철근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철근의 길이방향과 맞닿으며 철근의 표면을 끌면서 연결되기 때문에 철근의 모재에 손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철근 커플링 장치를 제조 시, 주물 주조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어려우며, 생산 비용 소모가 다소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철근 커플링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43594호(2004년 7월 28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47260호(2006년 1월 20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을 연결하도록 가압하는 과정에서 철근을 그립하는 그립부가 짧게 형성되어 철근을 고정하도록 이동하는 과정에서 철근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철근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면서도 그립부가 가압되어 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철근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 밀링 또는 프레스에서 가공,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비용이 적게 소모되는 철근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 장치는 일측으로 제1철근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가 형성된 제1가압바디부;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타측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제1중공부에 삽입된 제1철근의 외측과 맞닿아 고정하는 고정산이 형성된 제1그립부; 타측으로 제2철근이 삽입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된 제2가압바디부; 및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일측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제2중공부에 삽입된 제2철근의 외측과 맞닿아 고정하는 고정산이 형성된 제2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둘레를 제1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며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그립부를 가압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가압돌기가 형성된 제1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일측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간격과 교차된 제2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제1가압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그립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철근의 타단부와 제2철근의 일단부 사이에는 외주에 고정돌기가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된 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가압부 또는 제2가압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배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링의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면과 맞닿으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는, 외측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설정된 각도로 돌출된 경사면이 길이방향을 이격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는 가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의 경사면은 각각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제2가압바디부의 내측면과 맞닿으며 고정되고, 상기 경사면과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된 가압홈에는 상기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가 각각 위치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 장치는 수평으로 배치된 제1철근과 제2철근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설정된 길이를 가져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과 모두 맞닿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이 고정되도록 고정산이 형성된 제1그립부;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내측면에 고정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그립부가 이격되어 배치된 설정된 간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철근과 제2철근과 맞닿는 제2그립부; 및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1철근 및 제2철근에 끼워져서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는 양측면이 일부 중첩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 중 어느 하나는 양측면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은 상기 제1철근 및 제2철근과 맞닿는 하측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되 하측이 상기 하측돌출부와 맞닿도록 상측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1철근과 제2철근 사이에는 외주에 고정돌기가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된 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의 중심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되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나머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링의 외측면과 맞닿는 라운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의 중심에는 설정된 길이만큼 수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된 경사면이 복수개 형성되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수평면의 일부와 맞닿으며 삽입되어 상기 수평면의 일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외부에서 일부 관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 장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1철근이 일측으로 삽입되는 제1가압바디부;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단부에서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에 고정산이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내경보다 적어도 크지 않은 외경을 가지며 형성된 제1그립부;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2철근이 타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그립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1그립부를 가압하여 제2철근을 고정하도록 하는 제2가압바디부; 및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그립부의 설정된 간격과 교차되는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둘레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내경보다 적어도 크지 않은 외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내측에는 고정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1가압바디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1철근을 고정하는 제2그립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며 형성된 제1연결면과 제2연결면을 통하여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제2가압바디부와 연결되어서 내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철근과 제2철근 사이에는 외주에 고정돌기가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된 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면 또는 제2연결면 중 하나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링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라운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돌출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내측은 상기 제2그립부와 상기 제1그립부가 각각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경사면이 위치되도록 내측에는 둘레를 따라 경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의 외측면은 단차부와 내측경사부가 형성되어 외경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내측면은 상기 내측경사부와 대응되는 내측면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가 각각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상기 제2가압바디부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립부의 길이가 다소 짧아서 철근을 고정 시 철근에 손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철근과 맞닿으며 그립하는 그립부에 충분한 가압력이 가해져서 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 밀링 또는 프레스에서 가공, 제작할 수 있도록 되어서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적은 생산비용이 소모되어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4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4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4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2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2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
도 6은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2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3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8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3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
도 9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4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11는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
도 15는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17는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
도 18는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철근 커플링(700) 장치를 매개로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2철근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으며, 제1, 2철근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중앙에서 가장 강하게 가압력이 가해지고,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약해지는 가압력을 가해지도록 하였다. 또한,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이 연결되는 경우, 철근 커플링(700) 장치의 정중앙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 부위가 일측으로 치우쳐 지지 않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철근의 연결은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4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4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4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2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2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6은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2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3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3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9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4개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제1가압바디부(100), 제1그립부(300), 제1홈, 제1가압부(500), 제2가압바디부(200), 제2그립부(400), 제2홈, 제2가압부(600) 등을 포함한다.
제1가압바디부(100)는 제1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철근(10)은 제1가압바디부(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1중공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철근(10)의 타측은 후술할 링(700)과 맞닿도록 된다.
제1그립부(300)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며, 제1가압바디부(100)의 타측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그립부(300)는 도 4 내지 도 6에 의하는 것과 같이 2개로, 도 7 내지 도 9에 의하는 것과 같이 3개로, 도 1 내지 도3에 의하는 것과 같이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그립부(3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또는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즉, 철근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면 문제되지 않는다.
제1그립부(30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내측면에는 설정된 길이를 따라서 고정산(4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산(40)은 철근의 외측면과 맞닿아 철근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그립부(300)가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는 이유는 가압되기 전까지는 제1철근(10)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제1철근(10)의 외측이 고정산(40)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가압바디부(200), 제2그립부(400)는 제1가압바디부(100), 제1그립부(30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철근(20)을 일직선상으로 제1철근(10)과 연결할 수 있다.
제2가압바디부(200)는 제2중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철근(20)이 제2가압바디부(200)의 타측에서 제2중공부를 관통하며 삽입될 수 있다.
제2그립부(400)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고, 제2가압바디부(200)의 일측 단부에서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제2그립부(400)는 제1그립부(300)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그립부(300)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2그립부(400)도 2개로 구성되고, 제1그립부(300)가 3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2그립부(400)도 3개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은 각각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1그립부(300), 제2가압바디부(200)와 제2그립부(400)에 둘러싸여 배치된다.
여기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각각 제2가압부(600), 제1가압부(500)에 의하여 크로스되는 형태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가압부(500)는 제1가압바디부(100)의 타측 단부에 연장되며 형성된다. 제1가압부(500)는 제1가압바디부(100)의 둘레를 따라 제1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압바디부(100)의 타측 단부는 일부가 연통되고 설정된 형상의 제1공이 형성된다.
제1가압부(500)는 가압돌기가 형성된다. 제1가압부(500)가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가압바디부(200)에 의하여 제2그립부(40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그립부(400)는 제2철근(20)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제2가압부(600)는 제2가압바디부(20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가압부(600)는 제1간격과 교차된 제2간격을 가진다. 또한, 제2가압부(600)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된다. 제2가압부(600)는 제1가압부(500)와 교차된 제2간격으로 배치됨으로 제1가압부(500)와 교차되며 제1가압바디부(100)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가압부(600)는 제1가압바디부(100)에 의하여 제1그립부(30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그립부(300)는 제1철근(10)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한편, 보다 정확하게 제1그립부(300), 제2그립부(400)의 외형을 살펴보면, 각각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경사면(30)이 형성된다.
경사면(30)은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경사면(30)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경사면(30)의 단부는 수평으로 형성된다. 이는 제1그립부(300) 또는 제2그립부(400)가 제1가압바디부(100), 제2가압바디부(200)에 각각 위치될 때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그립부(300), 제2그립부(400)의 단부에는 경사면(30)과 이격된 위치에 플랜지부(310)가 형성된다. 경사면(30)은 외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되고, 플랜지부(310)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경사면(30)과 플랜지부(310) 사이에는 가압홈(320)이 형성된다. 즉,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단부에는 가압홈(320)이 형성된다.
이 가압홈(320)에는 전술한 제1가압부(500)의 가압돌기와 제2가압부(600)의 가압돌기가 위치된다. 즉, 제1그립부(300)의 가압홈(320)에는 제2가압부(600)의 가압돌기가 위치되고, 제2그립부(400)의 가압홈(320)에는 제1가압부(500)의 가압돌기가 위치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1그립부(300), 제2그립부(400)는 제1철근(10), 제2철근(20)을 각각 가압하여 고정하는데, 이 경우 연결되는 부분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고정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철근(10)과 제2철근(20) 사이에 링(700)을 설치한다. 링(700)은 제1철근(10)과 제2철근(20) 사이에 개재되어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이 직접 맞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제1가압바디부(100), 제1그립부(300), 제2가압바디부(200), 제2그립부(400) 등)이 고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고정돌기(710)가 형성된 링(700)과 링(700)의 고정돌기(710)에 연결되는 고정홈(50)이 제1가압부(500) 또는 제2가압부(600)에 형성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가압부(600)에 고정홈(50)이 형성된 것을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2가압부(600)의 고정홈(50)에는 링(700)의 고정돌기(710)가 위치된다. 여기서, 링(700)의 고정돌기(710)는 이격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데, 고정돌기(710)가 형성되는 위치는 별도의 피스로 형성된 각각의 그립부가 연결된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가압부(600)에 링(700)의 고정돌기(710)가 고정되어야 함으로 링(700)의 고정돌기(710)는 제2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복수의 피스로 구성된 그립부는 이 고정돌기(710)를 사이에 두고 철근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4개로 구성된 제2그립부(400) 중 시계방향 순으로 제2a그립부, 제2b그립부라고 명명한다면 제2a그립부와 제2b그립부는 각각 제2철근(20)을 둘러싸며 배치되되 그 사이에 제2가압부(600)의 고정홈(50)이 링(700)의 고정돌기(710)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매우 견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을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가압부(500)는 링(700)의 고정돌기(7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게 된다. 즉, 제1가압부(500)는 링(700)의 고정돌기(7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미끄러지면서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피스로 형성된 제1그립부(300)의 배치도 전술한 제2그립부(400)와 마찬가지이다. 즉, 제1가압부(50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곳에 별도의 피스로된 제1그립부(300)의 간격이 배치될 것이다.
즉, 도 2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제1a그립부(301), 제1b그립부(302)라고 명명한다면 제1a그립부(301)와 제1b그립부(302)가 제1철근(10)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1a그립부(301)와 제1b그립부(302) 사이의 간격에 제1가압부(500)가 위치되도록 된다. 이를 통하여 역시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는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2는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제1그립부(300), 제2그립부(400) 및 가압부(150)를 포함한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이 일직선으로 배치된다면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제1철근(10)과 제2철근(20)과 모두 맞닿도록 배치된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내측면에는 고정산(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에 모두 맞닿게 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그립부(300)는 상호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가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제2그립부(400)는 제1그립부(300)가 배치된 설정된 간격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상호 양측이 일부 중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후술할 가압부(150)가 설치되는 경우,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서로를 가압하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상측돌출부(410)와 하측돌출부(420)를 통하여 측면이 일부 중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제1그립부(300)의 측면에 상측돌출부(410)가 형성되고, 제2그립부(400)의 측면에 하측돌출부(420)가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2그립부(400)는 양측으로 상측돌출부(410)와 대비 시 하측에 위치한 하측돌출부(4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그립부(400)의 하측돌출부(420)의 하측은 제1철근(10)과 제2철근(20)과 맞닿게 된다. 제1그립부(300)는 상측돌출부(410)가 양측에 형성되고, 제1그립부(300)의 상측돌출부(410)의 하측은 제2그립부(400)의 하측돌출부(420)의 상측과 맞닿게 된다. 즉,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양측면은 블럭을 맞추는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를 가압하는 가압부(150)가 설치되는 경우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안정적으로 연결된 채로 고정되며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예시와는 또 다른 예시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상측돌출부(410)와 하측돌출부(420)가 각각 일측면, 타측면에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을 통하여 이를 살펴보면, 제1그립부(300)의 일측면은 상측돌출부(410)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하측돌출부(420)가 형성되며, 이 제1그립부(300)와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그립부(400)의 일측면은 상측돌출부(410)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하측돌출부(420)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제1실시예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링(700)을 통하여 중심에서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을 고정할 수 있다. 링(700)은 고정돌기(710)가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링(700)은 일직선으로 연결된 제1철근(10)과 제2철근(20) 사이에 배치된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중심은 수평면(70)이 형성된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수평면(70)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수평면(70)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수평면(70)의 중심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한편,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수평면(70)의 외측면은 플랫한 형태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당연하게도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수평면(70)의 내측은 외측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수평면(70) 중 어느 하나는 고정홈(50)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라운딩면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그립부(400)의 수평면(70)에는 고정홈(50)이 형성되고, 제1그립부(300)에는 라운딩면이 형성된 것을 일예시로 하겠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제1그립부(300)는 설정된 이격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고, 제2그립부(400)는 제1그립부(300)의 이격된 간격 사이에 배치된다고 설명하였다. 링(700)의 고정돌기(710)는 제2그립부(400)의 고정홈(50)에 삽입된다.
따라서 링(700)의 고정돌기(710)는 제2그립부(400)가 설치되는 이격된 간격에 맞추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2그립부(400)는 링(700)의 고정돌기(710)에 고정홈(50)이 삽입되며 고정되고, 그 사이에는 링(700)의 고정돌기(710)가 형성되지 않은 면과 제1그립부(300)가 맞닿으며 배치된다. 이렇게 제1그립부(300), 제2그립부(400), 제1철근(10), 제2철근(20)은 링(700)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후 가압부(150)가 양측으로 끼워진다.
가압부(150)를 설명하기 전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외측면을 살펴보면,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수평면(7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돌출된 경사면(30)이 복수개 형성된다. 경사면(30)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의 경사면(3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가압부(150)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가압부(150)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각각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을 끼워 넣을 수 있다. 가압부(150)의 내측면은 경사면(30)을 수용하도록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1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가압부(150)가 끼워지면 가압부(150)의 내측에 위치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내측으로 가압력을 받게되고, 이 가압력은 제1철근(10), 제2철근(2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가압부(150)가 설치되면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은 제1그립부(300), 제2그립부(400)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게 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50)가 설치되면 외측에서는 도 10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수평면(70)의 외측은 관찰된다.
도 13은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5는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제1가압바디부(100), 제1그립부(300), 제2가압바디부(200), 제2그립부(400)를 포함한다. 제1가압바디부(100)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1철근(10)이 삽입될 수 있다. 제2가압바디부(200)는 제1가압바디부(10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철근(20)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가압바디부(200)도 중공부가 형성된다.
제1그립부(300)는 제1가압바디부(100)의 단부에서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제1가압바디부(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제1그립부(3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것과 제2실시예에 의한 제1그립부(30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그립부(300)의 내측에는 고정산(40)이 형성된다.
이는 제2그립부(400)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2그립부(400)도 제1그립부(300)와 마찬가지로 제2가압바디부(200)의 단부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그립부(400)의 내측에는 고정산(40)이 형성된다. 한편, 제2그립부(400)는 제1그립부(300)와 교차되는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따라서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2가압바디부(200)가 인접하여 배치되어도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부딪히지 않고 서로 크로스 된다. 따라서 제2그립부(400)는 제1가압바디부(100)의 내측으로, 제1그립부(300)는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외경은 각각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경보다 적어도 크지 않게 형성된다. 즉,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가 이격된 간격을 가지지 않고 연속되어 배치될 때 그려지는 외경은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가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것은 각각 제1연결면(800), 제2연결면(900)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연결면(800)은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1그립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면이다. 제1연결면(800)은 내측으로 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다. 따라서 제1연결면(800)은 제1그립부(300)를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제1가압바디부(1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제2연결면(900)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2그립부(400)도 제2가압바디부(200)보다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로 제2가압바디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는 각각 제1연결면(800), 제2연결면(900)을 통하여 제1가압바디부(100), 제2가압바디부(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2가압바디부(200)가 일직선 상으로 점진적으로 거리가 가까워지면 제1그립부(300)는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측으로, 제2그립부(400)는 제1가압바디부(10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가압바디부(100), 제2가압바디부(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의 구성 중 가압부(150)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그립부(300)는 제2가압바디부(200)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고, 제2그립부(400)는 제1가압바디부(100)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아서 각각 제2철근(20)과 제1철근(10)에 가압력을 가하여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외측에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의 그립부들과 마찬가지로 외측에 설정된 각도로 돌출된 형상의 경사면(30)이 형성되고,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가 수용되는 제2가압바디부(200) 제1가압바디부(100)의 내측에는 각각 경사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2가압바디부(200)는 각각 제2그립부(400), 제1그립부(3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철근(10)과 제2철근(20) 사이에 링(700)이 설치될 수 있다. 링(700)은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돌출된 고정돌기(710)가 형성된다. 제1연결면(800) 또는 제2연결면(900)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돌기(710)가 삽입되는 고정홈(50)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연결면(900)에 고정홈(50)이 형성되고, 제1연결면(800)에는 라운딩면이 형성된 것을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연결면(800)과 제2연결면(900)은 내측으로 경사지며 평평하게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연결면(900)에서 이 평평하게 일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는 고정홈(50)이 형성되고, 제1연결면(800)은 라운딩하게 형성된 라운딩면이 형성된다.
제2연결면(900)의 고정홈(50)에는 고정돌기(710)가 위치되어 제2가압바디부(200), 제2그립부(400)가 안정적으로 링(700)에 고정되고, 제1연결면(800)의 라운딩면은 링(700)의 고정돌기(710)가 형성되지 않은 면과 맞닿는다.
위와 같은 연결을 통하여 제1철근(10)과 제2철근(20)은 본 발명인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에서 편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7는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8는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철근 커플링(700) 장치는 제3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와 유사하나, 제1그립부(300), 제2그립부(400)의 외측면 및 제1가압바디부(100),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측면에서 차이가 발생된다.
도 17을 통하여 이를 살펴보면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의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외측면은 내측경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의 외경은 내측경사부를 기준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2가압바디부(200)의 내측면은 내측경사부가 형성된 제1그립부(300), 제2그립부(400)가 수용되도록 제2그립부(400), 제1그립부(300)가 삽입될 때 내측경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면경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가압바디부(100)와 제2가압바디부(200)에 제2그립부(400), 제1그립부(300)가 각각 수용될 때 내측경사부를 통하여 외경이 작아진 부분이 내측면경사부가 형성된 부분으로 수용되기까지는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에도 고정돌기(710)가 형성된 링(700)이 설치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링(700) 장치도 제1그립부(300)와 제2그립부(400)가 제1연결면(800), 제2연결면(900)을 통하여 각각 제1가압바디부(100), 제2가압바디부(200)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3실시예에 의한 것과 같이 제1연결면(800), 제2연결면(9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홈(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제2연결면(900)에 고정홈(50)이 형성되어 링(700)의 고정돌기(710)와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제1철근 20 : 제2철근
30 : 경사면 40 : 고정산
50 : 고정홈 70 : 수평면
100 : 제1가압바디부 150 : 가압부
200 : 제2가압바디부 300 : 제1그립부
301 : 제1a그립부 302 : 제1b그립부
310 : 플랜지부 320 : 가압홈
400 : 제2그립부 410 : 상측돌출부
420 : 하측돌출부
500 : 제1가압부 600 : 제2가압부
700 : 링 710 : 고정돌기
800 : 제1연결면 900 : 제2연결면

Claims (12)

  1. 일측으로 제1철근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가 형성된 제1가압바디부;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타측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제1중공부에 삽입된 제1철근의 외측과 맞닿아 고정하는 고정산이 형성된 제1그립부;
    타측으로 제2철근이 삽입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된 제2가압바디부; 및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일측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제2중공부에 삽입된 제2철근의 외측과 맞닿아 고정하는 고정산이 형성된 제2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둘레를 제1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며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그립부를 가압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가압돌기가 형성된 제1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일측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간격과 교차된 제2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제1가압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그립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부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철근의 타단부와 제2철근의 일단부 사이에는 외주에 고정돌기가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된 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가압부 또는 제2가압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배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링의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면과 맞닿으며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는,
    외측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설정된 각도로 돌출된 경사면이 길이방향을 이격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는 가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의 경사면은 각각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제2가압바디부의 내측면과 맞닿으며 고정되고, 상기 경사면과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된 가압홈에는 상기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가 각각 위치하여 가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1철근이 일측으로 삽입되는 제1가압바디부;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단부에서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에 고정산이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내경보다 적어도 크지 않은 외경을 가지며 형성된 제1그립부;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2철근이 타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그립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1그립부를 가압하여 제2철근을 고정하도록 하는 제2가압바디부; 및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그립부의 설정된 간격과 교차되는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둘레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내경보다 적어도 크지 않은 외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내측에는 고정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가압바디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1가압바디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1철근을 고정하는 제2그립부
    를 포함하는 철근 커플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며 형성된 제1연결면과 제2연결면을 통하여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제2가압바디부와 연결되어서 내경이 작아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철근과 제2철근 사이에는 외주에 고정돌기가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된 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면 또는 제2연결면 중 하나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링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라운딩면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링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돌출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내측은 상기 제2그립부와 상기 제1그립부가 각각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경사면이 위치되도록 내측에는 둘레를 따라 경사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링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의 외측면은 단차부와 내측경사부가 형성되어 외경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상기 제2가압바디부의 내측면은 상기 내측경사부와 대응되는 내측면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가 각각 상기 제1가압바디부와 상기 제2가압바디부로 수용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링 장치.
KR1020170079318A 2017-06-22 2017-06-22 철근 커플링 장치 KR102011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18A KR102011857B1 (ko) 2017-06-22 2017-06-22 철근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18A KR102011857B1 (ko) 2017-06-22 2017-06-22 철근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35A KR20190000235A (ko) 2019-01-02
KR102011857B1 true KR102011857B1 (ko) 2019-08-20

Family

ID=6502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318A KR102011857B1 (ko) 2017-06-22 2017-06-22 철근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62Y1 (ko) 2019-11-07 2021-06-16 문수만 퀵 리바 커플러
KR200493977Y1 (ko) 2020-01-10 2021-07-08 문수만 퀵 리바 커플러
KR20240017532A (ko) 2022-08-01 2024-02-08 문수만 쐐기형 철근 커플러 및 그 조립용 지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21Y1 (ko) * 2002-09-04 2002-11-22 (주)윈윈개발 조립이 용이한 철근연결장치의 압지구
KR200409526Y1 (ko) * 2005-11-23 2006-03-03 김용근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94B1 (ko) 2003-04-18 2004-08-0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철근연결장치
KR100547260B1 (ko) 2004-05-28 2006-01-26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철근고정용 조각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장치
KR20120098159A (ko) * 2011-02-28 2012-09-05 김사현 철근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21Y1 (ko) * 2002-09-04 2002-11-22 (주)윈윈개발 조립이 용이한 철근연결장치의 압지구
KR200409526Y1 (ko) * 2005-11-23 2006-03-03 김용근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35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857B1 (ko) 철근 커플링 장치
KR101796717B1 (ko) 철근 커플링 장치
KR101845638B1 (ko) 나사 없는 단자대
CN113227511A (zh) 钢筋耦合器
US9404258B2 (en) Reinforcing bar connector
KR101873647B1 (ko) 결합 분리가 용이한 한옥 구조물의 연결구조체
JP6580797B2 (ja) コンタクト素子及び導電体を有するアセンブリ、及び該アセンブリ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11022758B2 (en) Fiber optical adapter having a railed partitioning
CN105008632A (zh) 利用液压力把钢筋耦合的装置
KR20150145505A (ko) 철근 원터치 커플러
KR20170059840A (ko) 결합성을 향상시킨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1059233B1 (ko) 철근 연결구
KR20160004225A (ko) 철근 원터치 커플러
CN104947940A (zh) 变形钢筋连接装置
KR101882358B1 (ko) 마디 철근 커플러
JP7051706B2 (ja) 光コネクターおよび光コネクターのための接触要素
KR102212168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JP6772041B2 (ja) コネクタ端子
KR101890678B1 (ko) 철근이음장치
KR101547290B1 (ko) 강구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KR102220916B1 (ko)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KR20170123943A (ko) 철근 이음장치
US11090789B2 (en) Sliding element for transmitting a sliding force onto a sliding sleeve and connecting tool comprising said sliding element
JP5725564B2 (ja) 連結継手及びセグメント
KR102518359B1 (ko)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