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206B1 -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206B1
KR102007206B1 KR1020190024445A KR20190024445A KR102007206B1 KR 102007206 B1 KR102007206 B1 KR 102007206B1 KR 1020190024445 A KR1020190024445 A KR 1020190024445A KR 20190024445 A KR20190024445 A KR 20190024445A KR 102007206 B1 KR102007206 B1 KR 10200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folding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19002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06B1/ko
Priority to PCT/KR2020/002911 priority patent/WO20201800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 기능과 함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보호케이스로서 인폴딩 경우에는 평면 펼침 상태의 유지 또는 노트북 모드의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하고 아웃폴딩 경우에는 평면 펼침 상태의 유지 또는 텐트 모드의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with an ability of keeping open status}
본 발명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 또는 구성품으로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선택적 걸림을 형성하는 걸림 가동부 및 걸림 형성부가 적용되어 사용자의 터치조작 또는 외력이 작용하여도 평면 펼침 상태, 노트북 모드의 펼침 상태, 텐트 모드의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또는 구성품에 관한 것이다.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시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보호케이스들이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로 제시되었다.(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5-0109280, 10-2016-0098862, 10-2016-0138950)
또한 본 발명인에 의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몸체 바깥 둘레면에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유지할 수 있는 회전 걸림판이 적용된 대한민국 출원특허(10-2018-0117206)가 제시되었으나 미공개 상태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또는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자체의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오목하게 접힘 변형 되거나 또는 중앙 부분이 솟아올라 평면 펼침 상태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또는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터치 조작 또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사용자가 평면 펼침 상태 유지를 원한다면 접히지 않고 펼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노트북 모드 펼침 상태 또는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텐트 모드 펼침 상태가 외력의 작용 또는 힌지의 느슨해짐에 따른 스프링백 현상 억제 부족 상황이 발생해도 사용자가 특정 펼침 상태 고정을 해제하지 않는 한 유지되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의 실시예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부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의 반대편에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고정부에는 사용자의 작용에 의해 제2고정부에 선택적 걸림을 형성시켜 특정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형상 및 구성품으로 구성되는 걸림 가동부가 구비되고 제2고정부에는 걸림 가동부의 이동 가능한 구성품이 걸림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걸림 형성부가 적용된다.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는 일체형 형상으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연결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된 형상으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분리 고정될 수 있다.
걸림 가동부는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제1고정부의 바깥 둘레면에 적용되고 걸림 형성부는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제2고정부의 바깥 둘레면에 적용된다.
걸림 가동부는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럼 작동되며 접힘 발생 축을 향해 위치되는 일측 끝단 부분이 접힘 발생 축을 경유 하여 반대편 걸림 형성부에 선택적 걸림 또는 결합되는 구성품인 가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동판은 걸림 가동부의 구성 형상으로서 제1고정부의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가동판 지지부 형상에 미끄럼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걸림 가동부는 가동판 지지부로부터 걸림 가동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가동부의 구성 형상인 이탈 방지 형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펼침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부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의 반대편에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힘 발생축에 수직인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바깥 둘레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2개 이상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 걸림 돌출구들은 평면 펼침 상태시 일직선상의 배열을 이루는 특징을 갖는다.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선택적 고정되어 유지되고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부분 펼침 또는 완전 평면펼침 상태시 사용자에 의해 고정판 걸림 돌출구로부터 일측 또는 전체가 고정 해제되어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일측은 제1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선택적 고정되고 반대편 일측은 제2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선택적 고정 유지되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판이 적용된다.
고정판에는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에 형성된 걸림 돌출구들의 간격과 일치하는 거리를 유지하며 형성된 고정 관통구가 2개 이상 형성되어있고 고정 관통구들은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완전 평면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와 제2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고정되는 고정판은 고정판 걸림 돌출구들을 일직선 배열 상태로 유지시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평면펼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노트북 모드 펼침상태 또는 텐트 모드 펼침상태시 고정판은 사용자에 의해 고정판 걸림 돌출구로부터 일측 또는 전체가 고정 해제되어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 측의 임의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와 제2고정부 측의 임의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고정되어 노트북 모드 펼침상태 또는 텐트 모드 펼침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또는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사용자가 선택적 걸림 형성을 통해 평면 펼침 상태 고정을 설정하면 힌지의 유무 또는 힌지의 느슨함에 상관 없이 걸림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전 까지는 평면 펼침 상태가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또는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사용자가 선택적 걸림 형성을 통해 평면 펼침 상태 고정을 설정하면 힌지의 유무 또는 힌지의 느슨함에 상관없이 한손으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끝단을 그립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그립된 반대편 끝단을 터치 조작 하여도 회전모멘트에 의한 출렁거림 또는 하방 접힘 회전을 억제시켜 일정한 펼침 상태를 유지시켜 주므로 초점거리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시력 손상 방지에 도움을 준다.
셋째, 별도의 거치대 적용없이 보호케이스 적용만으로도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노트북 모드 펼침 상태 또는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텐트 모드 펼침 상태가 유지된다.
도 1은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 및 노트북 모드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2는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 및 텐트 모드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3은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인앤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 및 노트북 모드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가 적용된 접힘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가 펼침 상태로 전환된 후 걸림 가동부의 걸림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SECTION CUT A-A 및 도 5의 SECTION CUT B-B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1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SECTION CUT C-C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2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SECTION CUT D-D 및 SECTION CUT E-E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걸림 가동판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및 SECTION CUT F-F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적용된 접힘상태 및 펼침 상태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SECTION CUT G-G 및 SECTION CUT H-H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 2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들에 대한 우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0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1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2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가 적용된 접힘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가 펼침 상태로 전환된 후 걸림 가동부의 걸림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SECTION CUT I-I 및 도 15의 SECTION CUT J-J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1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SECTION CUT K-K 및 SECTION CUT L-L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2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SECTION CUT M-M 및 SECTION CUT N-N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4실시예가 적용된 접힘상태 및 펼침 상태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21은 제 4실시예의 다른 사용예에 대한 우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0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1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3은 도 20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2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4는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에 걸림 가동부 및 걸림 형성부가 직접 적용된 제 5실시예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5는 도 24가 펼침 상태로 전환된 후 걸림 가동부의 걸림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6은 도 24의 SECTION CUT O-O 및 도 24의 SECTION CUT P-P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3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에 걸림 가동부들 및 걸림 형성부가 직접 적용된 제 6실시예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이 펼침 상태로 전환된 후 걸림 가동부들의 걸림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SECTION CUT Q-Q 및 도 28의 SECTION CUT R-R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3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에 고정판 걸림 돌출구가 형성되고 고정판이 적용된 제 7실시예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특허들(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5-0109280, 10-2016-0098862, 10-2016-0138950)이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되었으나 특정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인에 의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몸체 바깥 둘레면에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품인 회전 걸림판이 적용된 특허(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8-0117206)가 제시되었으나 아직 미공개 상태이다.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된 상기 특허(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8-0117206)는 접힘 및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품인 회전 걸림판이 특정 형상을 갖는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한정되 실시예가 제시되어 이러한 개념을 좀더 다양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하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제시하게 되었다.
도 1은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 및 노트북 모드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2는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 및 텐트 모드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3은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인앤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 및 노트북 모드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의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무힌지 방식인 경우 또는 힌지의 저항력이 감소된 경우 평면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을 따라 인접 영역에서 발생하는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일측 끝단이 접힘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힌지 구성품의 작용력을 높게 설정하면 억제될 수 있으나 반대로 사용자의 조작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며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설정된 작용력이 감소되며 억제되어있던 스프링백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스프링백 현상이 일어나면 완전 평면상태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목한 화면을 보이며 터치 조작시 상하로 출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스프링백 현상과 더불어 평면펼침 상태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수행되면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일측 터치 부분이 접힘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멘트가 발생 된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힌지의 작용력 설정을 높여야하고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조작감 감소 및 반복 사용시 작용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동일하게 갖는다.
그리고 스프링백 현상이 발생할 경우 노트북 모드 펼침 상태 또는 텐트 모드 펼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워 펼침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도 3의 인앤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2의 문제점을 모두 갖고 있으며 한손 그립시 그립하고있는 위치로 부터 터치 조작 부위 까지의 거리가 증대되어 회전모멘트가 더크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하 제시된다.
도 4는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가 적용된 접힘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가 펼침 상태로 전환된 후 걸림 가동부의 걸림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SECTION CUT A-A 및 도 5의 SECTION CUT B-B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1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SECTION CUT C-C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2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SECTION CUT D-D 및 SECTION CUT E-E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걸림 가동판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및 SECTION CUT F-F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부터 도 9에 나타내어진 제 1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인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에 고정되는 보호케이스(100)로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접힘 및 펼침시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부(101)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101)의 반대편에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2고정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고정부(101)에는 사용자의 조작력 작용에 의해 제2고정부(102)에 선택적 걸림을 형성시켜 특정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형상 및 구성품으로 구성되는 걸림 가동부(120)가 구비되고 제2고정부(102)에는 걸림 가동부(120)의 선택적 이동 가능한 구성품이 걸림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걸림 형성부(130)가 적용된다.
제1고정부(101) 및 제2고정부(102)는 일체형 형상으로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양측이 연결되어 폴더블 몸체(12)에 적용되거나 또는 분리된 형상으로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분리 적용될 수 있다.
걸림 가동부(120)는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제1고정부(101)의 바깥 둘레면(110)에 적용되고, 걸림 형성부(130)는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제2고정부(102)의 바깥 둘레면(110)에 적용된다.
걸림 가동부(120)는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럼 작동되며 접힘 발생 축(11)을 향해 위치되는 일측 끝단 부분이 접힘 발생 축(11)을 경유 하여 반대편 걸림 형성부(130)에 선택적 걸림 또는 결합되는 구성품인 가동판(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예 및 이하 실시 예들에서도 언급될 가동판(121)은 판, 봉, 각재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으며 판상의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판(121)은 걸림 가동부(120)의 구성 형상으로서 제1고정부(101)의 바깥 둘레면(110)에 형성된 가동판 지지부(122) 형상에 미끄럼 상태로 지지된다.
가동판 지지부(122)에 가동판(121)이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가동판 지지부(122)에는 관통구(126)가 형성되며 관통구(126)에는 가동판(121)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걸림 가동부(120)는 가동판 지지부(122)로부터 걸림 가동판(121)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가동부(120)의 구성 형상인 이탈 방지 형상(125)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펼침 상태시 걸림 가동부(120)와 걸림 형성부(130)의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걸림 가동판(121), 가동판 지지부(122) 및 걸림 형성부(130)의 걸림위한 형상인 걸림형성 삽입부(131)는 일직선 위치를 유지한다.
도 5 및 도 6의 SECTION CUT A-A 및 SECTION CUT B-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평면 펼침 상태에서 가동판(121)의 일측 끝단이며 걸림형성 삽입부(131)에 삽입되는 걸림형성 돌출부(124)가 걸림형성 삽입부(131)에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가동판(121)의 일측 끝단은 가동판 지지부(122)에 지지되고 반대편 일측은 걸림형성 삽입부(131)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직선 배열 고정상태를 갖음으로 인해 터치 조작이 가해지거나 또는 스프링백 구동력이 발생 되어도 사용자가 걸림을 해제시키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걸림 가동부(120) 관련 형상들이 반영된 제1고정부(101)를 보여주며 도 8은 걸림 형성부(130) 관련 형상이 반영된 제2고정부(102)를 보여준다.
걸림 가동부(120) 및 걸림 형성부(130)는 제1고정부(101) 및 제2고정부(102)의 일측 바깥 둘레면(110)에만 적용될 수도 있고 양측 바깥 둘레면(110)에 마주보는 상태로 적용될 수 있다.
외력 작용부(123)의 끝단과 이탈 방지 형상(125) 사이에는 가동판(121)의 걸림 유지력 증대를 위해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인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으로 도 2의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가 적용된다.
도 15는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가 적용된 접힘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가 펼침 상태로 전환된 후 걸림 가동부의 걸림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SECTION CUT I-I 및 도 15의 SECTION CUT J-J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1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SECTION CUT K-K 및 SECTION CUT L-L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2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SECTION CUT M-M 및 SECTION CUT N-N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5부터 도 19에 나나태어진 바와 같이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의 제 3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비교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폴더블 방식만 다르고 형상 및 적용 구성품이 동일하므로 제 3실시예에 대한 별도의 서술은 전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의 제 1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적용된 걸림 가동부(120) 및 걸림 형성부(130)는 보호케이스(100)의 바깥 둘레면(110)에 적용되지 않고 이하 제시되는 제 5실시예와 같이 직접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4는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에 걸림 가동부 및 걸림 형성부가 직접 적용된 제 5실시예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5는 도 24가 펼침 상태로 전환된 후 걸림 가동부의 걸림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6은 도 24의 SECTION CUT O-O 및 도 24의 SECTION CUT P-P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4부터 도 2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5실시예는 제 1실시예에서 걸림 가동부(120) 및 걸림 형성부(130)가 적용되는 대상이 보호케이스(100)가 아니고 폴더블 몸체(12)라는 점만 다르다.
도 24부터 도 26에 나타내어진 제 5실시예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인 펼침 상태 유지 및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일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는 사용자의 조작력 작용에 의해 반대편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에 선택적 걸림을 형성시켜 특정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형상 및 구성품으로 구성되는 걸림 가동부(120)가 적용되고 반대편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에는 걸림 가동부(120)의 선택적 이동 가능한 구성품이 걸림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걸림 형성부(130)가 적용된다.
도 24부터 도 2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걸림 가동부(120)는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일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적용되고, 걸림 형성부(130)는 반대편 폴더블 몸체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적용된다.
걸림 가동부(120)는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럼 작동되며 접힘 발생 축(11)을 향해 위치되는 일측 끝단 부분이 접힘 발생 축(11)을 경유 하여 반대편 걸림 형성부(130)에 선택적 걸림 또는 결합되는 구성품인 가동판(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실시예의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와 동일 개념이 적용되는 제 5실시예의 가동판(121)은 판, 봉, 각재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으며 판상의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판(121)은 걸림 가동부(120)의 구성 형상으로서 일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110)에 형성된 가동판 지지부(122) 형상에 미끄럼 상태로 지지된다.
가동판 지지부(122)에 가동판(121)이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가동판 지지부(122)에는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구(126)가 형성되며 관통구(126)에는 가동판(121)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걸림 가동부(120)는 가동판 지지부(122)로부터 걸림 가동판(121)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가동부(120)의 구성 형상인 이탈 방지 형상(125)을 포함하며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일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다.
상기의 제 5실시예의 개념은 도 2의 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도 3의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인앤아웃폴딩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제 5실시예의 개념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이하 제시한다.
도 27은 도 3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에 걸림 가동부들 및 걸림 형성부가 직접 적용된 제 6실시예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이 펼침 상태로 전환된 후 걸림 가동부들의 걸림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SECTION CUT Q-Q 및 도 28의 SECTION CUT R-R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7부터 도 29에 나나태어진 바와 같이 제 6실시예는 일측의 인폴딩 관련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는 제 5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 적용되고 반대편의 아웃폴딩 관련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는 제 3실시예의 개념이 적용되나 걸림 가동부(120) 및 걸림 형성부(130)가 보호케이스가 아닌 폴더블 몸체(12)의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적용된다.
도 27부터 도 29에 나나태어진 바와 같이 제 6실시예는 두 개의 접힘 발생 축(11)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일측 접힘 발생 축(11)은 인폴딩이 수행되고 다른 접힘 발생 축(11)은 아웃폴딩이 수행되는 폴더블 모체(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는 사용자의 조작력 작용에 의해 접힘 발생 축(11)들 사이의 폴더블 몸체(12) 바깥 둘레면에 선택적 걸림을 형성시켜 특정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형상 및 구성품으로 구성되는 걸림 가동부(120)가 적용되고 접힘 발생 축(11)들 사이의 폴더블 몸체(12) 바깥 둘레면의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 인접 부위에는 걸림 가동부(120)의 선택적 이동 가능한 구성품이 걸림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걸림 형성부(130)가 적용된다.
또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는 사용자의 조작력 작용에 의해 접힘 발생 축(11)들 사이의 폴더블 몸체(12) 바깥 둘레면에 선택적 걸림을 형성시켜 특정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형상 및 구성품으로 구성되는 걸림 가동부(120)가 적용되고 접힘 발생 축(11)들 사이의 폴더블 몸체(12) 바깥 둘레면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 인접 부위에는 걸림 가동부(120)의 선택적 이동 가능한 구성품이 걸림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걸림 형성부(130)가 적용된다.
접힘 발생 축(11)들 사이의 폴더블 몸체(12) 바깥 둘레면에는 2개의 걸림 형성부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폴더블 몸체(12)의 양쪽 끝단 모두의 평면 펼침 상태시 걸림 가동부(120), 걸림 형성부(130), 걸림형성부(130), 걸림 가동부(120)가 일직선 상태를 이룬다.
도 27부터 도 2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 측의 걸림 가동부(120)는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적용되고,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 측의 걸림 형성부(130)는 접힘 발생 축(11)들 사이의 폴더블 몸체(12) 바깥 둘레면에 적용된다.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 측의 걸림 가동부(120)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적용되고,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 측의 걸림 형성부(130)는 접힘 발생 축(11)들 사이의 폴더블 몸체(12) 바깥 둘레면에 적용된다.
걸림 가동부(120)는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럼 작동되며 접힘 발생 축(11)을 향해 위치되는 일측 끝단 부분이 접힘 발생 축(11)을 경유 하여 반대편 걸림 형성부(130)에 선택적 걸림 또는 결합되는 구성품인 가동판(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판(121)은 걸림 가동부(120)의 구성 형상으로서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110)에 형성된 가동판 지지부(122) 형상에 미끄럼 상태로 지지된다.
가동판 지지부(122)에 가동판(121)이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가동판 지지부(122)에는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구(126)가 형성되며 관통구(126)에는 가동판(121)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걸림 가동부(120)는 가동판 지지부(122)로부터 걸림 가동판(121)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가동부(120)의 구성 형상인 이탈 방지 형상(125)을 포함하며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일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다.
상기의 제 1실시예, 제 3실시예, 제 5실시예 및 제 6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서 이하 제2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10은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적용된 접힘상태 및 펼침 상태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SECTION CUT G-G 및 SECTION CUT H-H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 2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들에 대한 우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0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1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2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부터 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100)의 제 2실시예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에 고정되는 보호케이스로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접힘 및 펼침시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부(101)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101)의 반대편에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2고정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부터 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제1고정부(101) 및 제2고정부(102)의 바깥 둘레면(110)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2개 이상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은 평면 펼침 상태시 일직선 배열을 이루는 특징을 갖는다.
제1고정부(101) 및 제2고정부(102)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접힘 상태시 제1고정부(101) 또는 제2고정부(102)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되어 유지되고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부분 펼침 또는 완전 평면펼침 상태시 사용자에 의해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로부터 일측 또는 전체가 고정 해제되어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일측은 제1고정부(101)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되고 반대편 일측은 제2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 유지되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판(140)이 적용된다.
도 10부터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고정판(140)에는 제1고정부(101) 또는 제2고정부(102)에 형성된 걸림 돌출구들의 간격과 일치하는 거리를 유지하며 형성된 고정 관통구(141)가 2개 이상 형성되어있고 고정 관통구(141)들은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101)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와 제2고정부(102)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고정되는 고정판(140)은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을 일직선 배열 상태로 유지시켜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시켜 평면 펼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노트북 모드 펼침상태시 고정판(140)은 사용자에 의해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로부터 일측 또는 전체가 고정 해제되어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101) 측의 임의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와 제2고정부(102) 측의 임의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고정되어 노트북 모드 펼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거리 X1은 제1고정부(101) 및 제2고정부(102)에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의 최대 거리이며 X1 = X2 + X3
거리 X2는 제2고정부(102)에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 중 접힘 발생 축(11)에 인접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 사이의 거리
거리 X3는 제2고정부(102)에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 중 접힘 발생 축(11) 반대편에 인접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 사이의 거리
거리 X4는 고정판(140)에 형성된 고정 관통구(141)들 중 거리 X2를 유지하는 고정 관통구(141)들 이외의 고정 관통구(141)들 사이의 거리로서 노트북 모드 펼침상태의 걸림 유지에 적용
도 13의 평면 펼침 상태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101) 측에 위치하는 고정판(140)은 하나의 고정 관통구(141)에 고정되고 제2고정부(102) 측에 위치하는 고정판(140)은 두개의 고정 관통구(141)에 고정된다.
2개가 아닌 3개의 고정 관통구(141)를 이용해 고정판(140)이 걸림 고정되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걸림 해전 전 까지는 평면 펼침 상태가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다.(3개가 아닌 2개의 고정 관통구(141)를 이용해 고정판(140)이 걸림 고정되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해 평면 펼침 상태 유지가 어렵다)
상기의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이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하 제 4실시예로 제시된다.
도 20은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4실시예가 적용된 접힘상태 및 펼침 상태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21은 제 4실시예의 다른 사용예에 대한 우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0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1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3은 도 20에 적용된 보호케이스의 구성품인 제2고정부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0부터 도 2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4실시예는 제 2실시예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폴딩 방식과 노트북 모드가 아닌 텐트 모드 적용만 틀리고 나머지는 동일한 개념이 적용되므로 제 4실시예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실시예와 제 4실시예에 적용된 고정판(140)과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는 보호케이스가 아닌 도 1, 도 2 및 도 3의 폴더블 몸체(12)의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직접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0은 도 3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에 고정판 걸림 돌출구가 형성되고 고정판이 적용된 제 7실시예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부터 도 14에 나타내어진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으로 도 30에 나타내어진 제 7실시예의 폴더블 몸체(12)의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2개 이상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가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0에 나타내어진 제 7실시예의 폴더블 몸체(12)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2개 이상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가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에 형성되어 있다.
폴더블 몸체의 중간 부분은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모두 갖으며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 사이의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는 각각의 접힘 발생 축(11) 인접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2개 이상이 돌출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들이 마주보며 형성되어있다.
도 30의 평면 펼침 상태 관련 도면들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은 각각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평면 펼침 상태시 일직선 배열을 이루는 특징을 갖는다.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인폴딩 관련 부분의 접힘 상태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되어 유지되고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인폴딩 관련 부분의 부분 펼침 또는 완전 평면펼침 상태시 사용자에 의해 인폴딩 관련 부분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로부터 일측 또는 전체가 고정 해제되어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일측은 인폴딩 관련 부분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되고 반대편 일측은 폴더블 몸체(12)의 중앙 부분 바깥 둘레면에 위치하는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 유지되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인폴딩 관련 부분의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판(140)이 적용된다.
또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아웃폴딩 관련 부분의 접힘 상태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되어 유지되고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아웃폴딩 관련 부분의 부분 펼침 또는 완전 평면펼침 상태시 사용자에 의해 아웃폴딩 관련 부분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로부터 일측 또는 전체가 고정 해제되어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일측은 아웃폴딩 관련 부분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되고 반대편 일측은 폴더블 몸체(12)의 중앙 부분 바깥 둘레면에 위치하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에 선택적 고정 유지되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아웃폴딩 관련 부분의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판(140)이 적용된다.
도 3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인폴딩 관련 부분에 적용되는 고정판(140)에는 인폴딩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의 간격과 일치하는 거리를 유지하며 형성된 고정 관통구(141)가 2개 이상 형성되어있고 고정 관통구(141)들은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도 3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아웃폴딩 관련 부분에 적용되는 고정판(140)에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에 수직인 바깥측 폴더블 몸체(12)의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의 간격과 일치하는 거리를 유지하며 형성된 고정 관통구(141)가 2개 이상 형성되어있고 고정 관통구(141)들은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3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의 인폴딩 관련 부분 또는 아웃폴딩 관련 부분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시 각각의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분리 적용되는 고정판(140)은 각각의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들을 일직선 배열 상태로 유지시켜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도 30의 평면 펼침 상태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각각의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인폴딩 관련 또는 아웃폴딩 관련 측에 위치하는 고정판(140)은 하나의 고정 관통구(141)에 고정되고 폴더블 몸체(12)의 중간부분 인폴딩 관련 부분 또는 아웃폴딩 관련 부분 측에 위치하는 고정판(140)은 두개의 고정 관통구(141)에 고정된다.
고정판(140)이 2개가 아닌 3개의 고정 관통구(141)를 이용해 걸림 고정되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걸림 해제 시키지 않는 한 평면 펼침 상태가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다.(3개가 아닌 2개의 고정 관통구(141)를 이용해 고정판(140)이 걸림 고정되면 접힘 발생 축(11)을 기준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해 평면 펼침 상태 유지가 어렵다)
도 30에 표시된 거리 X1, X2는 제 2실시예의 설명부분을 참고하면 되므로 별도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또는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 장치의 폴더블 몸체(12)에 고정판 걸림 돌출구(150)을 형성하고 고정판(140)을 적용하는 별도의 실시예들은 상기 제 7실시예의 인폴딩 관련 부분 또는 아웃폴딩 관련 부분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을 참고하면 되므로 별도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1: 접힘 발생 축
12: 폴더블 몸체 13: 바깥 원주면
20: 유연성있는 표시장치 21: 바깥면 디스플레이
100: 보호케이스 101: 제1고정부
102: 제2고정부 110: 바깥 둘레면
120: 걸림 가동부 121: 가동판
122: 가동판 지지부 123: 외력 작용부
124: 걸림형성 돌출부 125: 이탈 방지 형상
126: 관통구
130: 걸림 형성부 131: 걸림형성 삽입부
140: 고정판 141: 고정 관통구
150: 고정판 걸림 돌출구

Claims (11)

  1.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고정되는 보호케이스로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부;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의 반대편에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고정부에는 사용자의 작용에 의해 제2고정부에 선택적 걸림을 형성시켜 특정 펼침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형상 및 구성품으로 구성되는 걸림 가동부;가 구비되고
    제2고정부에는 걸림 가동부의 선택적 이동 가능한 구성품이 걸림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걸림 형성부;가 적용되며,

    걸림 가동부는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럼 작동되며 접힘 발생 축을 향해 위치되는 일측 끝단 부분이 접힘 발생 축을 경유 하여 반대편 걸림 형성부에 선택적 걸림 또는 결합되는 구성품인 가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동판은 걸림 가동부의 구성 형상으로서 제1고정부의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가동판 지지부; 형상에 미끄럼 상태로 지지되되,

    가동판 지지부는 미끄럼 상태에서 가동판이 가동판 지지부에 평행하게 지지되는 최소 길이를 갖고,
    가동판이 걸림 형성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는 일체형 형상으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연결되어 폴더블 몸체에 적용되거나 또는 분리된 형상으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분리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걸림 가동부는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제1고정부의 바깥 둘레면에 적용되고,
    걸림 형성부는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제2고정부의 바깥 둘레면에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걸림 가동부는 가동판 지지부로부터 걸림 가동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가동부의 구성 형상인 이탈 방지 형상;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걸림 가동부와 걸림 형성부의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걸림 가동판, 가동판 지지부 및 걸림 형성부의 걸림위한 형상은 일직선 위치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7.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고정되는 보호케이스로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부;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의 반대편에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접힘 발생축에 수직인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바깥 둘레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2개 이상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 걸림 돌출구들은 평면 펼침 상태시 일직선상의 배열을 이루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부분 펼침 또는 완전 평면펼침 상태시 사용자에 의해 고정판 걸림 돌출구로부터 일측 또는 전체가 고정 해제되어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일측은 제1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선택적 고정되고 반대편 일측은 제2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선택적 고정 유지되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판;이 적용되며,

    제1고정부 측에서 선택되어 고정 유지되는 고정판 걸림 돌출구와 제2고정부 측에서 선택되어 고정 유지되는 고정판 걸림 돌출구 사이에, 고정판에 체결되는 고정판 걸림 돌출구가 제1고정부 측 및 제2고정부 측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 존재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고정판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선택적 고정되어 유지되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고정판에는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판 걸림 돌출구들의 간격과 일치하는 거리를 유지하며 형성된 고정 관통구;가 2개 이상 형성되어있고
    고정 관통구들은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10. 제 8항에 있어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완전 평면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와 제2고정부 측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고정되는 고정판은 고정판 걸림 돌출구들을 일직선 배열 상태로 유지시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평면펼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11. 제 8항에 있어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노트북 모드 펼침상태 또는 텐트 모드 펼침상태시 고정판은 사용자에 의해 고정판 걸림 돌출구로부터 일측 또는 전체가 고정 해제되어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 측의 임의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와 제2고정부 측의 임의의 고정판 걸림 돌출구에 고정되어 노트북 모드 펼침상태 또는 텐트 모드 펼침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KR1020190024445A 2019-03-02 2019-03-02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KR10200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45A KR102007206B1 (ko) 2019-03-02 2019-03-02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PCT/KR2020/002911 WO2020180058A1 (ko) 2019-03-02 2020-02-28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45A KR102007206B1 (ko) 2019-03-02 2019-03-02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206B1 true KR102007206B1 (ko) 2019-08-05

Family

ID=6761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45A KR102007206B1 (ko) 2019-03-02 2019-03-02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7206B1 (ko)
WO (1) WO202018005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6238A (zh) * 2020-04-20 2020-08-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保护壳以及电子设备组件
CN111613142A (zh) * 2020-05-26 2020-09-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滑动式柔性显示装置
WO2020180058A1 (ko) * 2019-03-02 2020-09-1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US11395421B2 (en) 2020-05-26 2022-07-19 Wuhan China Star Optoelee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Sliding flexible display device
CN114863807A (zh) * 2022-04-13 2022-08-05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支撑装置及柔性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7494B2 (ja) * 2020-01-08 2024-03-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87U (ko) * 1999-05-20 2000-12-15 이형찬 간이용 접는 사다리
KR20170003801A (ko) * 2015-06-30 2017-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85278Y1 (ko) * 2017-02-07 2018-01-18 강미화 낚시용 절첩식 의자
KR20180138494A (ko) * 2017-06-21 2018-12-31 임경원 교차힌지 및 이를 이용한 폴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7206B1 (ko) * 2019-03-02 2019-08-05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87U (ko) * 1999-05-20 2000-12-15 이형찬 간이용 접는 사다리
KR20170003801A (ko) * 2015-06-30 2017-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85278Y1 (ko) * 2017-02-07 2018-01-18 강미화 낚시용 절첩식 의자
KR20180138494A (ko) * 2017-06-21 2018-12-31 임경원 교차힌지 및 이를 이용한 폴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058A1 (ko) * 2019-03-02 2020-09-1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CN111526238A (zh) * 2020-04-20 2020-08-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保护壳以及电子设备组件
CN111613142A (zh) * 2020-05-26 2020-09-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滑动式柔性显示装置
WO2021237828A1 (zh) * 2020-05-26 2021-1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滑动式柔性显示装置
US11395421B2 (en) 2020-05-26 2022-07-19 Wuhan China Star Optoelee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Sliding flexible display device
CN114863807A (zh) * 2022-04-13 2022-08-05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支撑装置及柔性显示装置
CN114863807B (zh) * 2022-04-13 2023-09-15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支撑装置及柔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0058A1 (ko)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206B1 (ko) 펼침 상태 유지가 가능한 보호케이스
US9934706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liding action using elasticity of flexible display means being foldable
KR102006300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JP7510679B2 (ja) ヘッドバン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溶接用ヘルメット
JP4434298B2 (ja) 携帯型スクリーン
CN107448469B (zh) 枢转结构及具有其的电子装置
US8813312B2 (en) Hinge for display device
KR200349726Y1 (ko) 접철식 사다리용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안전부재
ES2952450T3 (es) Dispositivo terminal
CN1271107A (zh) 镜腿长度可调的摺叠眼镜架
EP3757716B1 (en) Rollabl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18033961A (ja) テーブル
USD933144S1 (en) Training band
JP2007028952A (ja) 折り畳み式たも網
JP3198468U (ja) 眼鏡フレームと眼鏡テンプルとの接続構造及び眼鏡
JP6537047B1 (ja) スマートフォンカバー
KR102108908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JP2012058679A (ja) 光学映像投影用半球スクリーン
JP2017089038A (ja) テレスコピック伸縮式ヘルメット
KR20200075183A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200337327Y1 (ko) 접철식 사다리용 힌지장치
TWI827372B (zh) 鏡頭的固持裝置
JP2013101180A (ja) フードキャップ
JP6749821B2 (ja) フレキシブルロックユニット
JP2018084304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ア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