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733B1 -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733B1
KR102002733B1 KR1020180141040A KR20180141040A KR102002733B1 KR 102002733 B1 KR102002733 B1 KR 102002733B1 KR 1020180141040 A KR1020180141040 A KR 1020180141040A KR 20180141040 A KR20180141040 A KR 20180141040A KR 102002733 B1 KR102002733 B1 KR 10200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tation
valve
docked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18014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모듈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면에 부품이 놓여질 수 있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될 수 있는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된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이션은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A SLIDER AND A CONVEY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실시예들은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정 스테이션 간 팔레트 이송을 위하여 벨트가 이용되는 방식의 종래의 기계식 컨베이어 시스템은 근본적인 한계를 많이 가지고 있다. 팔레트 이송용 벨트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제한적이다. 이는 팔레트가 각 공정 스테이션 내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기계적인 정지 메카니즘에 의하여 정지되어야 하는 이유에 크게 기인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팔레트가 기계적으로 정지함으로써 큰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처리를 목적으로 팔레트에 의하여 이송되는 부품에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팔레트 별로 가속도 및 속도에 변화를 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첫번째 팔레트는 빈 상태이고 두번째 팔레트에는 중요한 부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첫번째 팔레트는 최고속도까지 급격히 가속시키되 두번째 팔레트는 좀더 완만하게 가속시킴으로써 속도분포를 다르게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빈 팔레트가 적재된 팔레트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한계에는 생산라인의 대기시간 및 수율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아울러, 벨트 컨베이어 방식은 일반적으로 양방향 이송이 불가능하여 생산 라인의 준최적 설계(suboptimal design)가 필요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벨트 컨베이어 방식은 하나의 공정 스테이션이 복수 개의 정지 지점을 갖도록 하거나 라인이 수정/변경되는 경우에 공정 스테이션의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되도록 하는 등의 유연성(flexibility)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성(programmability)이 제한적이다. 마지막으로, 벨트 컨베이어의 데이터 획득 능력은 일반적으로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팔레트와 그들에 적재된 부품이 컨베이어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항상 획득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정 공정 스테이션 상에 위치하는 팔레트의 갯수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다.
스크롤 캠을 이용하는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 역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 또한 몇 가지의 제약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스크롤 캠 시스템에 의하면 캠홈 내에서 유격(play)이 발생하거나 커짐으로써 위치 재현성의 저하 현상이 커지거나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크롤캠의 유연성 또는 프로그래밍성은 제한적이거나 거의 없다.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독립 제어되는 복수 개의 이송부 및 팔레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독립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복수 개의 팔레트를 구비한 컨베이어 시스템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으나, 많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카트 또는 팔레트는 컨베이어의 원하는 위치에 정지되지 못하고, 리니어 모터가 배치된 곳에서만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스테이션의 위치를 고질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이송 중인 팔레트의 위치를 항상 추적하는 것이 어려웠다.
트랙을 따라 작동하는 다수의 이송부를 구비하며 가동-자석형 리니어 디.씨. 브러시리스 모터(moving-magnet type linear d.c. brushless motor)를 포함하고 있는 또 다른 종래의 시스템의 경우에, 각 이송부 별로 위치 추적/통신센서용 트랙이 필요하다는 사실로 인하여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이송부 만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니어 모터의 길이는 단일의 마이크로컴퓨터로 설명되는 서보-제어 메카니즘에 의하여 제한되고, 이러한 마이크로 컴퓨터는 제한된 수의 위치/통신 센서 및 이와 관련된 제어 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전류만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전기자(stator armature)의 권양설비(winding arrangement)가 리니어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에 마련되며, 고정 전기자를 따라서 불균형한 자기저항(magnetic reluctance)이 발생하여 비교적 확실한 코깅 이펙트(cogging effect)와 불안정한 출력(jerky thrust)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코어리스(coreless) 형 고정 전기자 역시 일반적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려운 정도의 비교적 낮은 평균 출력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몇몇의 종래의 독립제어 형 컨베이어 세스템은 공간 제약 및/또는 필요한 재질과 관련한 문제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몇몇 자력 중심 컨베이어 들은 불량품 또는 빈 팔레트를 우회시키거나 불량 팔레트 또는 빈 팔레트가 언로딩 스테이션을 우회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어려웠다. 몇몇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팔레트 이송시 전체 루프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하여 더 큰 공간을 필요로 하거나 부품 로딩/언로딩 스테이션 용으로 별도의 모듈을 필요로 하게 된다.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비용 문제로 인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공정에 따라서는 더 저렴한 가격의 종래 기계식 컨베이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아울러,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슬라이더 상에 놓여진 상태로 이동하는 부품을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부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었으며, 슬라이더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부품보다 슬라이더의 안착부의 면적이 크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경우, 슬라이더 상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부품의 하부 또는 하면에 대한 작업(예를 들어, 검사, 조립, 분해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 상에 배치된 부품을 별도로 뒤집어 준 뒤 후속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하였으며,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한 부품의 작업공정이 증가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6051호 (공개일 2017년 06월 02일)에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상면의 너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의 하부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과 진공 흡착되고 이동되는 동안에 진공 흡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슬라이더의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의 하부에 대한 검사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모듈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면에 부품이 놓여질 수 있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될 수 있는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된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이션은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되어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킨 후,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는 진공 흡착 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너비 보다 좁은 너비를 지니며 상면에 상기 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를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의 상면의 양측에는 상기 흡착홀과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션과 도킹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연결부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밸브와 도킹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은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흡입력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흡착홀로 전달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은 진공 흡착되며,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연결부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밸브와 도킹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2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흡착홀과 상기 복수 개의 밸브와 연결되는 유로는, 상기 안착부 내에서는 상기 흡착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해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 내에서는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향해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밸브와 도킹되어 상기 밸브에 흡입력을 제공한 후 밀폐시키거나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는 도킹부 및 상기 도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션의 하측으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도킹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 시키거나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킨 후,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흡착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밸브는 상기 복수 개의 흡착홀의 수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킹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밸브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도킹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부품을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까지 수평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며, 일면에 부품이 놓여질 수 있는 복수 개의 슬라이더 및 상기 프레임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제1 스테이션은 부품이 반입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스테이션은 부품이 반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킨 후,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킨 후,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킨 후 상기 슬라이더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스테이션에 연결되기 전까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는 진공 흡착 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너비 보다 좁은 너비를 지니며 상면에 상기 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를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의 상면의 양측에는 상기 흡착홀과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테이션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션과 도킹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연결부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밸브와 도킹된 경우, 상기 제1 스테이션은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흡입력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흡착홀로 전달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은 진공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연결부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밸브와 도킹된 경우,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2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착홀과 상기 복수 개의 밸브와 연결되는 유로는, 상기 안착부 내에서는 상기 흡착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해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 내에서는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향해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션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밸브와 도킹되어 상기 밸브에 흡입력을 제공한 후 밀폐시키거나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는 도킹부 및 상기 도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테이션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션의 하측으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된 경우 상기 제1 스테이션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도킹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 시킨 후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킨 후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흡착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밸브는 상기 복수 개의 흡착홀의 수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밸브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도킹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슬라이더의 상면의 너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의 하부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과 진공 흡착되고 이동되는 동안에 진공 흡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의 하부에 대한 검사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의 투명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의 투명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는, 부품을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까지 수평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며 일면에 부품이 놓여질 수 있는 복수 개의 슬라이더(100), 프레임의 주위에 배치되고 슬라이더(100)에 선택적으로 도킹(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스테이션(200) 및 프레임의 주위에 배치되고 슬라이더를 통해 이동되는 부품에 대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작업 공간(300)을 포함한다. 일 예로써 작업 공간(300)에서는 부품에 대한 비전 검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100)와 스테이션(200)으로 구성된 슬라이더 모듈은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스테이션은 부품이 반입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스테이션은 부품이 반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테이션은 슬라이더(100)에 도킹(연결)하여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라이더(100)의 일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킨 후, 상기 슬라이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테이션은 각종 검사 등 작업을 마치고 돌아오는 슬라이더(100)에 도킹하여 슬라이더의 일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킨 후, 슬라이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스테이션이 슬라이더의 일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킨 후 슬라이더(100)에서 분리된 경우, 슬라이더(100)가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의 일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는 진공 흡착 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슬라이더(100)가 제2 스테이션이 배치된 공간으로 이동하여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100)에 도킹된 경우, 상기 진공 흡착 구조는 해지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더(100)와 프레임의 구동 방식은 이동형 마그네틱 타입일 수 있으며, 리니어 모터를 구비한 플렛 코어(flat core)로 무선의 방식일 수 있다. 즉, 컨베이어 장치 상에 전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장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이동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00)의 구동 방식은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더(100)는, 베이스(110),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베이스의 너비 보다 좁은 너비를 지니며 상면에 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20) 및 베이스(100)와 안착부(120) 사이에서 배치되어 베이스(100)와 안착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안착부(120)는 일 예로써 얇은 너비를 지닌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부품이 안착되는 면의 너비를 최소화함으로써 부품의 하부가 슬라이더에 의하여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할 경우 부품의 하부에 대한 비전 검사를 위하여 상기 부품을 다시 뒤집어야 하는 수고를 제거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좁은 너비를 지닌 안착부(120)의 상면에 부품이 놓여 이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부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더(100)는 흡착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즉, 안착부(120)의 상면에는 안착부(120)의 상면과 부품의 하부를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홀(140)이 구비되고, 안착부(120)를 기준으로 연결부(130)의 상면의 양측에는 흡착홀(140)과 유로(160)를 통해 연결되고 제1 스테이션 또는 제2 스테이션과 도킹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밸브(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이 연결부(130)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밸브(151)와 도킹된 경우, 제1 스테이션은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흡입력은 유로(160)를 통해 흡착홀(140)로 전달되어 안착부(120)의 상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은 진공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테이션이 연결부(130)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밸브(152)와 도킹된 경우, 제2 스테이션은 제2 밸브(152)를 개방시킴으로써 안착부(120)의 상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밸브(1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은 차폐요소에 의하여 개방 또는 밀폐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폐요소는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상기 밸브와 도킹된 경우, 스테이션에 구비된 접촉요소는 상기 차폐요소와 접촉되고 상기 차폐요소를 상기 밸브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밸브 상에 형성된 홀은 개방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은 유로를 통하여 흡착홀(140)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스테이션과 밸브(150)의 도킹이 해제된 경우, 차폐요소는 상기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밸브의 홀은 다시 밀폐될 수 있고, 유로 및 안착부의 상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은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흡착홀(140)과 복수 개의 밸브(150)와 연결되는 유로(160)는, 안착부(120) 내에서는 흡착홀(140)로부터 연결부(130)를 향해 안착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부(130) 내에서는 제1 밸브(151)와 제2 밸브(152)를 향해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 또는 제2 스테이션은, 밸브(150)와 도킹되어 밸브(150)에 흡입력을 제공한 후 밀폐시키거나 밸브(150)를 개방시켜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는 도킹부(210) 및 도킹부(210)를 지지하고 컨베이어 장치(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제1 스테이션 또는 제2 스테이션의 하측으로 슬라이더(100)가 이동된 경우 제1 스테이션 또는 제2 스테이션은 슬라이더(100)를 향해 아래로 이동되어 슬라이더(100)와 도킹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은 슬라이더(100)의 상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 시킨 후 슬라이더(10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로 이동되어 슬라이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은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킨 후 슬라이더(10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로 이동되어 슬라이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안착부(120)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흡착홀(1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밸브(150)는 복수 개의 흡착홀(140)의 수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테이션의 도킹부(210) 또한 연결부(130)의 일측에 형성된 밸브(150)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도킹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흡착홀(140)을 구비함으로써 안착부(120)의 상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 사이의 흡착력을 보다 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안착부(120)의 상면에 다수의 부품들이 복수 개의 흡착홀(140)에 흡착됨으로써 동시에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슬라이더 모듈(10)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장치에 부품이 반입되는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안착부(120)의 상면에는 작업 대상인 부품(M)이 안착될 수 있다. 그 후, 스테이션의 지지부(220)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스테이션(200)의 도킹부(210)는 슬라이더의 연결부(130)의 일측에 형성된 밸브(150)에 도킹될 수 있다. 도킹된 후, 스테이션(200)은 슬라이더의 안착부(120)의 상면과 부품(M)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 시킨 후 상기 밸브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안착부(120)와 부품(M)의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 구조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수행된 후, 도 6을 참조하면, 스테이션(200)의 지지부(220)는 상측을 향해 이동되고, 그에 따라, 도킹부(210) 또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밸브(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슬라이더(100)는 부품(M)을 안정하게 흡착한 상태에서 각종 작업이 수행되기 위하여 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든 작업이 수행된 후 슬라이더(100)는, 컨베이어 장치로부터 부품이 반출되는 위치에 배치된 스테이션(200) 근처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스테이션의 지지부(220)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스테이션(200)의 도킹부(210)는 슬라이더의 연결부(130)의 타측에 형성된 밸브(150)에 도킹될 수 있다. 도킹된 후, 스테이션(200)은 밸브(150)를 개방시킴으로써 안착부(120)의 상면과 부품(M)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부품(M)의 컨베이어 장치의 외측으로 반출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의 안착부(120)와 부품(M)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 대하여 진공 흡착 구조를 형성하고 해제하기 위하여 각각 별개의 스테이션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스테이션만으로 상기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의 안착부(120)와 부품(M)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 대하여 진공 흡착 구조를 형성하고 해제하기 위한 작업이 각각 연결부(130)의 일측에 형성된 밸브와 타측에 형성된 밸브를 각각 이용하여 수행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밸브만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슬라이더의 상면의 너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의 하부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과 진공 흡착되고 이동되는 동안에 진공 흡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슬라이더의 상면 상에 놓여지는 부품의 하부에 대한 검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컨베이어 장치
10 : 슬라이더 모듈
100 : 슬라이더
110 : 베이스
120 : 안착부
130 : 연결부
140 : 흡착홀
150 : 밸브
160 : 유로
200 : 스테이션
210 : 도킹부
220 : 지지부
300 : 작업 공간
M : 부품

Claims (9)

  1. 컨베이어 장치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모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면에 부품이 놓여질 수 있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될 수 있는 스테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된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이션은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에 도킹되어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시킨 후,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슬라이더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는 진공 흡착 구조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너비 보다 좁은 너비를 지니며 상면의 중앙부에 상기 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의 중앙부에 상기 부품이 안착된 경우 상기 부품의 측면부 및 하부가 상기 안착부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부품의 너비보다 얇은 너비를 지닌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를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흡착홀과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션과 도킹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에 도킹한 상태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흡입력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흡착홀로 전달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은 진공 흡착됨으로써, 상기 부품보다 얇은 너비를 지닌 안착부의 상면에 부품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부품은 상기 안착부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에 도킹한 상태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연결부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밸브 및 상기 연결부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제1 밸브와 도킹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은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흡입력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흡착홀로 전달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은 진공 흡착되며,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제2 밸브와 도킹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2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밸브와 도킹되어 상기 밸브에 흡입력을 제공한 후 밀폐시키거나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는 도킹부; 및
    상기 도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의 하측으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도킹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과 상기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을 진공 흡착 시키거나 진공 흡착 구조를 해제시킨 후,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되며,
    상기 밸브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은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차폐요소에 의하여 개방 또는 밀폐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밸브와 도킹된 경우, 스테이션에 구비된 접촉요소는 상기 차폐요소와 접촉되고 상기 차폐요소를 상기 밸브의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밸브 상에 형성된 홀은 개방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은 유로를 통하여 상기 흡착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과 상기 밸브의 도킹이 해제된 경우, 상기 차폐요소는 상기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밸브의 홀은 다시 밀폐될 수 있고, 상기 유로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부품의 하부가 접하는 면은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슬라이더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홀과 상기 복수 개의 밸브와 연결되는 유로는, 상기 안착부 내에서는 상기 흡착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해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 내에서는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향해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 연장되는, 슬라이더 모듈.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흡착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는 상기 복수 개의 흡착홀의 수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밸브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도킹요소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모듈.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41040A 2018-11-15 2018-11-15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0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40A KR102002733B1 (ko) 2018-11-15 2018-11-15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40A KR102002733B1 (ko) 2018-11-15 2018-11-15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733B1 true KR102002733B1 (ko) 2019-07-22

Family

ID=6746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040A KR102002733B1 (ko) 2018-11-15 2018-11-15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21802B2 (ja) 2020-12-01 2024-07-24 Utm株式会社 吸着保持ユニット及び搬送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670A (ja) * 2004-02-24 2005-09-08 Tokyo Electron Ltd 塗布膜形成装置
US20140160213A1 (en) * 2012-12-07 2014-06-12 Xerox Corporation Moveable platen cart for handling sheets of substrate media in a printing system
JP2014529489A (ja) * 2011-08-09 2014-11-13 カティーバ,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向き印刷装置および方法
KR101645197B1 (ko) * 2014-10-08 2016-08-03 (주)에이티엘 밀폐형 리니어 모터 스테이지 장치
KR101704506B1 (ko) * 2016-02-16 2017-02-09 주식회사 에스에스알 흡착 클램핑형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670A (ja) * 2004-02-24 2005-09-08 Tokyo Electron Ltd 塗布膜形成装置
JP2014529489A (ja) * 2011-08-09 2014-11-13 カティーバ,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向き印刷装置および方法
US20140160213A1 (en) * 2012-12-07 2014-06-12 Xerox Corporation Moveable platen cart for handling sheets of substrate media in a printing system
KR101645197B1 (ko) * 2014-10-08 2016-08-03 (주)에이티엘 밀폐형 리니어 모터 스테이지 장치
KR101704506B1 (ko) * 2016-02-16 2017-02-09 주식회사 에스에스알 흡착 클램핑형 이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21802B2 (ja) 2020-12-01 2024-07-24 Utm株式会社 吸着保持ユニット及び搬送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9018B2 (ja) 低減容量キャリア、搬送機、積載ポート及び緩衝装置システム
US10056279B2 (en) Semiconductor process equipment
US9643220B2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for transferring a substrate
KR101944147B1 (ko) 기판 반전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JP6896027B2 (ja) 半導体部品処理システム
CN106847736B (zh) 基板处理***和方法
KR960702412A (ko) 웨이퍼 이송 장치(wafer transport device)
KR100707390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2039240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2002733B1 (ko) 슬라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JP2007039237A (ja) 磁性ベルト駆動式軌道搬送方法及び装置
JP2018503575A (ja) 反転装置、物品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75168A (ko) 물품 이송탑재 설비
JP2019103225A (ja) 搬送装置、加工システム、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CN108964358B (zh) 线性传输***的无缆供电装置
CN109178941B (zh) 线性传输***的气源接入装置
KR20150022695A (ko) 기계를 위한 공정 스테이션뿐만 아니라 기계의 공정에서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117745B1 (ko) 기판 처리 방법 그리고 기판 처리 장치
JP5543205B2 (ja) 半導体ワークピース処理システム
JPH03138214A (ja) 部品供給装置
JPH10212024A (ja) 部品供給装置
TW201700377A (zh) 流道機構及使用該流道機構的搬送方法及裝置
JPS63296235A (ja) ウエハ搬送装置
KR102035024B1 (ko) 흡착 이송 장치
US20230211966A1 (en) Article transport vehicle, rail assembly, and article transport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