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90B1 - 다이버 추진기 - Google Patents

다이버 추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90B1
KR102001490B1 KR1020160169449A KR20160169449A KR102001490B1 KR 102001490 B1 KR102001490 B1 KR 102001490B1 KR 1020160169449 A KR1020160169449 A KR 1020160169449A KR 20160169449 A KR20160169449 A KR 20160169449A KR 102001490 B1 KR102001490 B1 KR 10200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diver
buoyancy
stern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969A (ko
Inventor
임정욱
Original Assignee
(주)보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고 filed Critical (주)보고
Priority to KR102016016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90B1/ko
Priority to TW105141910A priority patent/TWI643788B/zh
Publication of KR20180067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6Divers' sleds or like craft, i.e. craft on which man in diving-suit ri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5/00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 A63B35/08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 A63B35/12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operated by a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16Control of attitude or depth by direct use of propeller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4Automatic depth adjustment; Safety equipment for increasing buoyancy, e.g. detachable ballast, floating bod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미부가 접은상태 또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보관 시 공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기본적으로 음성부력을 갖고 추가적으로 부력조절백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해수나 담수 등 비중 변화 또는 탑재 장비 변경에 따른 중량 변화에 대응하여 중성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수중 상황 또는 임무 상황에 맞춰 용이하게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이버 추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다이버 추진기는, 반구형 또는 유선형의 선수부; 상기 선수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의 선체부; 및 상기 선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은상태 또는 상기 선체부의 후단에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한 선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음성부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이버 추진기{DIVER PROPULSION DEVICE}
본 발명은 다이버 추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미부가 접은상태 또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보관 시 공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기본적으로 음성부력을 갖고 추가적으로 부력조절백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해수나 담수 등 비중 변화 또는 탑재 장비 변경에 따른 중량 변화에 대응하여 중성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수중 상황 또는 임무 상황에 맞춰 용이하게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이버 추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추진장치는 수중에서 사람이 신속하게 이동하거나 수중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해양산업의 발달과 함께 수중에서 사람이 신속하게 이동하거나 수중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많은 잠수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잠수장치들은 대형의 잠수함과 비교적 소형의 잠수정으로 그 부피와 비용적인 측면에서 개인이 소장하며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뿐 아니라, 수중에서 잠수활동을 하는 다이버(diver)들 개개인이 구비하여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규모로 행해지는 수중작업의 경우 잠수기구를 착용한 다이버들이 이동하며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시간이 더디고 넓은 지역에서 작업이 진행되면 작업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364888호) " 수중추진장치"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장치, 상기 추진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추진장치를 피장착물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장치는, 물이 통과하여 흐를 수 있도록 전후가 개구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안착 지지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전방으로 입수되는 물을 후방으로 토출시키도록 구비되는 프로펠러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신체의 등에 고정되는 추진장치의 특성상 잠수부 또는 조종자가 자세를 균일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워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잠수부 또는 조종자의 체력이 떨어지거나 방향을 잘못 잡게 되면 잠수부가 위험할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이동중 해상 또는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질과의 충돌에 의해 잠수부 또는 조종자가 위험에 빠지거나 프로펠러와 같은 추진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4888호(등록일자 2004년10월05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미부가 접은상태 또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보관 시 공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기본적으로 음성부력을 갖고 추가적으로 부력조절백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해수나 담수 등 비중 변화 또는 탑재 장비 변경에 따른 중량 변화에 대응하여 중성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수중 상황 또는 임무 상황에 맞춰 용이하게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이버 추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이버 추진기는, 반구형 또는 유선형의 선수부; 상기 선수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의 선체부; 및 상기 선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은상태 또는 상기 선체부의 후단에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한 선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음성부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다이버 추진기의 음성부력이 중성부력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부력조절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부력조절백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조절백은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밸트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트는 상기 부력조절백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력조절백에는 부력재 또는 침력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켓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력조절백의 일면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에는 다이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버의 신체일부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바가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미부는, 선미본체, 상기 선미본체 상에 구비된 수직회전축에 의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추진프로펠러 및 상기 선미본체 상에 구비된 수평회전축에 의해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방향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향키는 상기 추진프로펠러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진프로펠러의 좌우 회전 및 상기 방향키의 상하 회전은 상기 선수부에 구비된 조종부와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종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전후좌우 및 경사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조이스틱; 상기 조이스틱의 하부가 관통하는 수평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조이스틱의 전후방향 조절에 따라 회동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조이스틱의 하부가 관통하는 수직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조이스틱의 좌우방향 조절에 따라 회동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하나는 상기 제1브라켓의 일측과 상기 수직회전축에 축결합된 캠의 단부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과 상기 방향키의 일부분에 결합된 캠의 단부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이스틱의 상부에는 속도 조절을 위한 회전형 다이얼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를 고정 연결하기 위한 추진기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추진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의 선체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모두 관통하되, 일측 다이버 추진기의 선체부에 형성된 일측 체결홀에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추진기 연결대;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 사이에 위치한 상기 추진기 연결대의 외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의 선체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각각 걸려 지지되어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양현 고정대; 및 상기 추진기 연결대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타측 다이버 추진기가 상기 연결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를 고정 연결하기 위한 추진기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추진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의 선체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모두 관통하되, 일측 다이버 추진기의 선체부에 형성된 일측 체결홀에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추진기 연결대;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연결대가 관통하도록 구성된 컨테이너; 및 상기 추진기 연결대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타측 다이버 추진기가 상기 연결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진기 연결대의 타단에는 덮개체결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체결용 홀에 대응하는 상기 마감덮개에는 연결대체결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추진기 연결대와 상기 마감덮개는 상기 덮개체결용 홀과 상기 연결대체결용 홀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핀으로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미부는, 선미본체, 상기 선미본체 상에 구비된 수직축에 고정되어 구비된 추진프로펠러, 상기 추진프로펠러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선미본체 상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프로펠러하우징, 상기 프로펠러하우징의 후방에 고정된 좌우방향키 및 상기 선미본체 상에 구비된 수평회전축에 의해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방향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방향키는 상기 추진프로펠러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펠러하우징의 좌우 회전 및 상기 상하방향키의 상하 회전은 상기 선수부에 구비된 조종부와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선미부가 접은상태 또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보관 시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음성부력을 갖도록 구성되되, 해수나 담수 등 수중 상황에 따라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부력조절백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수중 상황에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부력조절백에 밸트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력조절백에 복수의 포켓이 구비됨에 따라 부력의 정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력조절백에 구비된 연결고리에 걸림바를 장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이버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선수부에 구비된 조종부를 통해 선미부의 추진프로펠러 좌우 회전과 선미부의 방향키 상하 회전을 조절하거나, 또는 선미부의 프로펠러하우징의 좌우 회전과 선미부의 방향키 상하 회전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조종바의 조이스틱에 구비된 회전형 다이얼을 통해 속도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조이스틱 하나 만으로 전방 상하좌우 방향조절은 물론 속도 조절까지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길이가 가변되는 텔레스코픽 지지대의 상부에 GPS 또는 DGPS 수신기를 방수처리하여 구비하고, 상기 GPS 또는 DGPS 수신기의 신호가 선수부 중앙에 방수처리된 전자해도 디스플레이에 연동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추진기가 수중에 잠겨있고, 상기 GPS 또는 DGPS 수신기만 수면 상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다이버가 현재의 위치 및 속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임무 수행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중이 높은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는 선체부의 내측 저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비중이 낮은 부력조절백은 선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부력중심과 무게중심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다이버 추진기가 수중에서 돌아가는 현상을 방지하여 수중 안전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방향키의 일측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고, 방향키의 타측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와류를 방지하여 다이버 추진기가 자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추진기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 사이에 컨테이너를 체결하여 이송 공간을 확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의 선미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의 선미부가 접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에 다이버가 탑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에 구비되는 부력조절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에 부력조절백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의 조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연결수단을 통해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가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연결수단을 통해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연결수단을 통해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가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연결수단을 통해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체결핀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100), 선체부(200) 및 선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수부(100)는 추진 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반구형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선수부(100)에는 길이가 가변되는 텔레스코픽 지지대(위성항법장치(700)의 하부에 조립된 봉 형태의 부재로서, 텔레스코픽 안테나와 같이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됨)의 상부에 GPS 또는 DGPS 수신기와 같은 위성항법장치(700)를 방수처리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GPS 또는 DGPS 수신기와 같은 위성항법장치(700)의 신호가 선수부 중앙에 방수처리된 전자해도 디스플레이(800)에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텔레스코픽 지지대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고, 상기 위성항법장치(700)만 수면 상부에 노출된 상태와 같이 다이버 추진기가 수중에 잠겨있겨 있더라도, 상기 전자해도 디스플레이(800)를 통해 다이버가 현재의 위치 및 속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임무 수행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체부(200)는 상기 선수부(100)의 후단에 일체 또는 조립되어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이버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선미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은상태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부(200)의 후단에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하도록 상기 선체부(200)의 후단에 힌지(HG)로 연결된다.
상기 선미부(300)는 접은상태 또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하도록 상기 선체부(200)의 후단에 힌지(HG)로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4, 도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부(200)의 후단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선미부(300)가 상기 선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선체부(200)의 후단에 연장되도록 힌지(HG)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미부(300)가 펼친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선체부(200)의 내부 후단에 구비된 클램프(222)와 상기 클램프에 체결가능하도록 상기 선미부(300)에 구비된 후크(333)를 통해 펼친상태로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선미부(300)는, 선미본체(310), 추진프로펠러(320), 방향키(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미본체(310)는 선미부(300)의 전체적인 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이고, 상기 추진프로펠러(320)는 상기 선미본체(310)의 중앙 부분에 구비된 수직회전축(311)에 축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프로펠러(320)의 외부에는 상기 추진프로펠러(320)를 감싸는 프로펠러하우징(322)이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은 상기 추진프로펠러(320)의 좌우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키(330)는 상기 추진프로펠러(320)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미부(300)에 연결된 연장프레임(332)의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수평회전축(313)에 연결되어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회전축(311)을 기준으로 추진프로펠러(32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추진프로펠러(320), 프로펠러하우징(322)이 모두 함께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추진프로펠러(320), 프로펠러하우징과는 별개로 상기 방향키(330)는 단독으로 수평회전축(31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추진프로펠러(320)의 좌우회전과 상기 방향키(330)의 상하회전은 상기 선수부(100) 측에 내장되도록 구비된 조종부(500)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프로펠러(320) 및 방향키(330)가 각각 풀 앤 푸시(pull & push) 케이블(c1, c2)로 연결되어 케이블(c1, c2) 동작에 의해 회전이 이뤄지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종부(50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전후좌우 및 경사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조이스틱(520)과, 상기 조이스틱(520)의 하부가 관통하는 수평슬릿(s1)이 형성되어 상기 조이스틱(520)의 전후방향 조절에 따라 회동되는 제1브라켓(530)과, 상기 조이스틱(520)의 하부가 관통하는 수직슬릿(s2)이 형성되어 상기 조이스틱(520)의 좌우방향 조절에 따라 회동되는 제2브라켓(5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프로펠러(32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케이블(c1)은 상기 제2브라켓(540)의 일측과 상기 수직회전축(311)에 축결합된 캠(311c)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향키(33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케이블(c2)은 상기 제1브라켓(530)의 일측과 상기 방향키(330)의 일부분에 결합된 캠(330c)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좌측을 향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1케이블(c1)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추진프로펠러(320)가 후방 좌측을 향하게 회전하게 되고, 다이버 추진기는 좌측 방향을 향하여 추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우측을 향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1케이블(c1)이 밀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추진프로펠러(320)가 후방 우측을 향하게 회전하게 되고, 다이버 추진기는 우측 방향을 향하여 추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후방측을 향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2케이블(c2)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방향키(330)가 상방으로 향하게 회전하게 되고, 다이버 추진기는 하방을 향하여 추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전방측을 향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2케이블(c2)이 밀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방향키(330)가 하방으로 향하게 회전하게 되고, 다이버 추진기는 상방을 향하여 추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이스틱(520)은 경사방향을 포함하여 360°로 조작이 가능하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조작된 방향과 조작된 정도(케이블(c1, c2)의 당김 또는 밀려진 정도)에 따라 상기 추진프로펠러(320)와 방향키(330)의 방향을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에는 속도 조절을 위한 회전형 다이얼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이버는 조이스틱(520) 하나만 한손으로 조작하는 것을 통해 다이버 추진기의 상하전후 추진 방향과 추진 속도를 모두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수부(100), 선체부(200) 및 선미부(300)로 구성된 다이버 추진기는, 기본적으로 음성부력을 갖도록 구성되며,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조절을 위한 부력조절백(400)이 구비된다.
상기 부력조절백(400)은 상기 선체부(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다이버 추진기의 음성부력이 중성부력이 되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비중이 높은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는 선체부(200)의 내측 저면에 구비되도록 하고, 비중이 낮은 부력조절백(400)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부력중심과 무게중심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다이버 추진기가 수중에서 추진 시 돌아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중 안정성이 구비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부(20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부력조절백(400)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홀(200h)이 각각 3개씩 형성되고, 상기 부력조절백(400)은 상기 체결홀(200h)을 관통하는 3개의 밸트(410)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밸트(410)는 상기 부력조절백(40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조절백(400)의 하부에는 체결고리가 구비된 와이어(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430)의 체결고리가 상기 선체부(200)의 내측에 구비된 D자형 고리(200D)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부력조절백(400)을 상기 선체부(2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조절백(400)의 상부에는 연결고리(40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401)에는 다이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버의 신체 일부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바(4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420)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고리(401)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단부가 양측으로 갈라져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바(420)의 타단부는 T자가 아닌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력조절백(400)에는 부력재 또는 침력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켓(400P1, 400P2, 400P3)이 구비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포켓은 일측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부력재나 납을 포켓에 삽입함에 따라 부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부력조절백(400)을 이용하여 부력의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해수나 담수 등 수중 상황에 따라 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수중 상황에서 다이버 추진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이버 추진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추진기 연결수단(600)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추진기 연결수단(600)은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를 서로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기 연결수단(600)은,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의 선체부(200)에 형성된 체결홀(200h)을 모두 관통하되, 일측 다이버 추진기(A1)의 선체부(200)에 형성된 일측 체결홀(200h)에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추진기 연결대(610)와,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 사이에 위치한 상기 추진기 연결대(610)의 외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의 선체부(200)에 형성된 체결홀(200h)에 각각 걸려 지지되어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양현 고정대(620)와, 상기 추진기 연결대(61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타측 다이버 추진기(A2)가 상기 추진기 연결대(6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덮개(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추진기 연결수단(600)을 이용하여,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고정되어 함께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추진기 연결수단(6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의 선체부(200)에 형성된 체결홀(200h)을 모두 관통하되, 일측 다이버 추진기(A1)의 선체부(200)에 형성된 일측 체결홀(200h)에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추진기 연결대(610)와,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추진기 연결대(610)가 관통하도록 구성된 컨테이너(640)와, 상기 추진기 연결대(61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타측 다이버 추진기(A2)가 상기 추진기 연결대(6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덮개(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추진기 연결수단(600)을 이용하여,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A1, A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고정되어 함께 추진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컨테이너(640) 내에 추가적인 물품 수납이 가능하여 많은 양의 물품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추진기 연결수단(600)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기 연결대(610)의 타단에는 덮개체결용 홀(610h)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체결용 홀(610h)에 대응하는 상기 마감덮개(630)에는 연결대체결용 홀(630h)이 형성되며, 상기 추진기 연결대(610)와 상기 마감덮개(630)는 상기 덮개체결용 홀(610h)과 상기 연결대체결용 홀(630h)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핀(650)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핀(650)은 핀(651), 상기 핀(651)의 일측단에 구비된 스프링(652), 상기 스프링(652)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핀(651) 상에 축삽입되는 탄성판(653), 상기 핀(651)의 단부에 힌지체결되도록 일측에 장공(654h)이 형성된 회동바(6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651)과 상기 회동바(654)가 일축선 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덮개체결용 홀(610h)과 연결대체결용 홀(630h)을 관통하도록 하고 난 후 상기 상기 핀(651)에 대해 상기 회동바(654)를 대략 90°정도 회전시켜 덮개체결용 홀(610h)의 외측에 걸려지지되도록 할 수 있어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버 추진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다이버 추진기는 앞서 설명한 다이버 추진기와 비교할 때, 선미부의 구성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므로, 선미부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선미부(300`)는, 선미본체(310`), 추진프로펠러(320`), 상하방향키(330`), 프로펠러하우징(322`)의 후단에 고정된 좌우방향키(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미본체(310`)는 선미부(300`)의 전체적인 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이다.
상기 추진프로펠러(320`)는 상기 선미본체(310`)의 중앙 부분에 구비된 수직축(311`)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물을 분출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추진프로펠러(320`)는 상기 수직축(311`)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좌우방향키(340`)는 프로펠러하우징(322`)의 후단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은 상기 추진프로펠러(3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선미본체(310`) 상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의 상부는 상기 선미본체(310`)의 후단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322'-1)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의 하부는 상기 선미본체(310`)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추진가이드(30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322'-1)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좌우방향키(340`)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이버 추진기의 좌우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방향키(330`)는 상기 추진프로펠러(320`)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미부(300`)에 연결된 연장프레임(332`)의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수평회전축(313`)에 연결되어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방향키(330`)는 단독으로 수평회전축(31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의 좌우회전과 상기 상하방향키(330`)의 상하회전은 상기 선수부(100`) 측에 내장되도록 구비된 조종부(500`)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 및 상기 상하방향키(330`)가 각각 풀 앤 푸시(pull & push) 케이블(c1, c2)로 연결되어 케이블(c1, c2) 동작에 의해 회전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1케이블(c1)이 구성되고, 상기 상하방향키(33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2케이블(c2)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케이블(c1)은 상기 제2브라켓(540`)의 일측과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의 상부에 구비된 축과 연결되어 선미본체(310`)에 내장된 캠(미도시)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하방향키(33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케이블(c2)은 상기 제1브라켓(530`)의 일측과 상기 상하방향키(330`)의 일부분에 결합된 캠(330c`)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좌측을 향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1케이블(c1)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이 후방 좌측을 향하게 회전하게 되고, 다이버 추진기는 좌측 방향을 향하여 추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우측을 향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1케이블(c1)이 밀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이 후방 우측을 향하게 회전하게 되고, 다이버 추진기는 우측 방향을 향하여 추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후방측을 향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2케이블(c2)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하방향키(330`)가 상방으로 향하게 회전하게 되고, 다이버 추진기는 하방을 향하여 추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전방측을 향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2케이블(c2)이 밀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하방향키(330`)가 하방으로 향하게 회전하게 되고, 다이버 추진기는 상방을 향하여 추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이스틱(520)은 경사방향을 포함하여 360°로 조작이 가능하며, 조이스틱(520)의 상부가 조작된 방향과 조작된 정도(케이블(c1, c2)의 당김 또는 밀려진 정도)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하우징(322`)와 상하방향키(330`)의 방향을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선수부 200:선체부
200h:체결홀 300:선미부
310:선미본체 311:수직회전축
311c, 330c:캠 313:수평회전축
320:추진프로펠러 330:방향키
400:부력조절백 400P1, 400P2, 400P3:포켓
401:연결고리 420:걸림바
410:밸트 500:조종부
510:베이스 플레이트 520:조이스틱
530:제1브라켓 540:제2브라켓
600:추진기 연결수단 610:추진기 연결대
610h:덮개체결용 홀 620:양현 고정대
630:마감덮개 630h:연결대체결용 홀
640:컨테이너 650:체결핀
700:위성항법장치 800:전자해도 디스플레이
c1, c2:케이블 s1:수평슬릿
s2:수직슬릿

Claims (17)

  1. 반구형 또는 유선형의 선수부;
    상기 선수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부 양측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의 선체부;
    상기 선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은상태 또는 상기 선체부의 후단에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펼친상태로 전환가능한 선미부; 및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를 고정 연결하기 위한 추진기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음성부력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추진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의 선체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모두 관통하되, 일측 다이버 추진기의 선체부에 형성된 일측 체결홀에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추진기 연결대; 상기 추진기 연결대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타측 다이버 추진기가 상기 연결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덮개; 및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 사이에 위치한 상기 추진기 연결대의 외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의 선체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각각 걸려 지지되어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양현 고정대 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다이버 추진기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연결대가 관통하도록 구성된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다이버 추진기의 음성부력이 중성부력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부력조절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백은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밸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는 상기 부력조절백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백에는 부력재 또는 침력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백의 일면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에는 다이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버의 신체일부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부는,
    선미본체, 상기 선미본체 상에 구비된 수직회전축에 의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추진프로펠러 및 상기 선미본체 상에 구비된 수평회전축에 의해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방향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는 상기 추진프로펠러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프로펠러의 좌우 회전 및 상기 방향키의 상하 회전은 상기 선수부에 구비된 조종부와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전후좌우 및 경사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조이스틱;
    상기 조이스틱의 하부가 관통하는 수평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조이스틱의 전후방향 조절에 따라 회동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조이스틱의 하부가 관통하는 수직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조이스틱의 좌우방향 조절에 따라 회동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하나는 상기 제1브라켓의 일측과 상기 수직회전축에 축결합된 캠의 단부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과 상기 방향키의 일부분에 결합된 캠의 단부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의 상부에는 속도 조절을 위한 회전형 다이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 연결대의 타단에는 덮개체결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체결용 홀에 대응하는 상기 마감덮개에는 연결대체결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추진기 연결대와 상기 마감덮개는 상기 덮개체결용 홀과 상기 연결대체결용 홀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핀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부는,
    선미본체, 상기 선미본체 상에 구비된 수직축에 고정되어 구비된 추진프로펠러, 상기 추진프로펠러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선미본체 상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프로펠러하우징, 상기 프로펠러하우징의 후방에 고정된 좌우방향키 및 상기 선미본체 상에 구비된 수평회전축에 의해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방향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키는 상기 추진프로펠러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하우징의 좌우 회전 및 상기 상하방향키의 상하 회전은 상기 선수부에 구비된 조종부와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추진기.
KR1020160169449A 2016-12-13 2016-12-13 다이버 추진기 KR10200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449A KR102001490B1 (ko) 2016-12-13 2016-12-13 다이버 추진기
TW105141910A TWI643788B (zh) 2016-12-13 2016-12-16 潛水推進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449A KR102001490B1 (ko) 2016-12-13 2016-12-13 다이버 추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969A KR20180067969A (ko) 2018-06-21
KR102001490B1 true KR102001490B1 (ko) 2019-07-18

Family

ID=6280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449A KR102001490B1 (ko) 2016-12-13 2016-12-13 다이버 추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1490B1 (ko)
TW (1) TWI6437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5280A (zh) * 2018-12-21 2019-03-12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一种可潜水水域救援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282Y1 (ko) * 2000-01-10 2000-06-01 양남일 선박의스크루추진력증진장치
JP2005297738A (ja) * 2004-04-09 2005-10-27 Honda Motor Co Ltd 水中スク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491A (en) * 1987-07-09 1989-01-19 Yamaha Motor Co Ltd Submersible vehicle
KR20030064158A (ko) * 2002-01-26 2003-07-31 주식회사 동궁물산 수중 추진장치
KR200364888Y1 (ko) 2004-07-07 2004-10-19 노하우뱅크(주) 수중추진장치
CN1955069A (zh) * 2005-10-28 2007-05-02 智点科技股份有限公司 浮潜机
CN2913179Y (zh) * 2006-02-06 2007-06-20 无锡安久自动车有限公司 水下推进器
KR20090093919A (ko) * 2009-08-10 2009-09-02 윌버딩 데이비드 개인용 수중추진장치
FR2969116B1 (fr) * 2010-12-20 2013-06-21 Marc Vaudore Bodyboard a moteur thermique apte a evoluer dans les vagues
US8869729B2 (en) * 2011-07-08 2014-10-28 Julien Montousse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CN202848007U (zh) * 2012-10-29 2013-04-03 张献文 一种无水箱气囊式升降潜水艇
DE102013100544B4 (de) * 2013-01-18 2022-03-03 Cayago Tec Gmbh Wasserfahrzeug mit Flutungsraum
CN104787275B (zh) * 2015-04-09 2017-01-18 潘亦鹏 可变体式三体水翼复合潜水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282Y1 (ko) * 2000-01-10 2000-06-01 양남일 선박의스크루추진력증진장치
JP2005297738A (ja) * 2004-04-09 2005-10-27 Honda Motor Co Ltd 水中スク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969A (ko) 2018-06-21
TWI643788B (zh) 2018-12-11
TW201821328A (zh) 201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0592A (en) Power driven underwater viewing platform
EP2943400B1 (en) Underwater personal submersible
US20040139905A1 (en) Motorized hydrofoil device
US20150209622A1 (en) Personal Aquatic Propulsion Device
JP2020511361A (ja) 水中推進装置
US4577583A (en) Small gliding underwater craft
EP2729355B1 (en)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US10124873B2 (en) Motorized kayak
EP2943399B1 (en)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with on-board oxygen
JPH07267184A (ja) 水ジェット推進艇
US6000978A (en) Propulsion device for snorkel board
KR102001490B1 (ko) 다이버 추진기
KR101549669B1 (ko) 휴대가 간편한 워터 제트 보드
EP1272389B1 (en) Diver propulsion device
US8277272B1 (en) Flotation apparatus
US3065722A (en) Towed underwater vehicle
US3101691A (en) Underwater sled
CN108189985B (zh) 一种拖曳式浮潜动力推进装置
WO2013126889A1 (en) Easily transportable personal watercraft
RU2154591C1 (ru) Буксировщик водолаза (варианты)
JP2003002286A (ja) 救助用ボートの操船システム
KR20180128164A (ko) 보드서핑이 가능한 추진체 가변각 수중스쿠터
KR20200066530A (ko) ?드라이 자전거
JP4563910B2 (ja) 水上乗り物
KR101750780B1 (ko) 레저용 수상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