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00B1 - 신규한 화합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00B1
KR101998000B1 KR1020177007738A KR20177007738A KR101998000B1 KR 101998000 B1 KR101998000 B1 KR 101998000B1 KR 1020177007738 A KR1020177007738 A KR 1020177007738A KR 20177007738 A KR20177007738 A KR 20177007738A KR 101998000 B1 KR101998000 B1 KR 10199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fluoro
tetrahydro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489A (ko
Inventor
니알 앤드류 앤더슨
매튜 하워드 제임스 캠벨-크라우포드
애슐리 폴 한코크
존 마틴 프리차드
조안나 메리 레드몬드
Original Assignee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디벨로프먼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디벨로프먼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디벨로프먼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5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인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Description

신규한 화합물{NOVEL COMPOUNDS}
α v β 6 인테그린 길항제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αvβ6 인테그린 길항제인 피롤리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요법, 특히 αvβ6 인테그린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병태의 치료에서, αvβ6 인테그린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병태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화합물의 사용을 위한 그의 용도 및, 인간에서 αvβ6 인테그린의 길항작용을 필요로 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인테그린 슈퍼패밀리 단백질은 알파 및 베타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진 이종이합체 세포 표면 수용체이다. 적어도 18개의 알파 및 8개의 베타 서브유닛이 보고되었고 24개의 개별 알파/베타 이종이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각각의 쇄는 쇄당 약 20개의 아미노산의 막횡단 스패닝 영역 및 일반적으로 쇄당 30-50개의 아미노산의 짧은 세포질 꼬리와 함께 커다란 세포외 도메인 (베타 서브유닛의 경우 >640개의 아미노산, 알파 서브유닛의 경우 >94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여러 인테그린이 세포외 기질에 대한 세포 부착, 세포-세포 상호작용 및, 세포 이동, 증식, 분화 및 생존에 대한 영향을 비롯한 다수의 세포 생물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rczyk et al., Cell and Tissue Research, 2010, 339, 269).
인테그린 수용체는 짧은 단백질-단백질 결합 계면을 통해 결합 단백질과 상호작용한다. 인테그린 패밀리는 상기 리간드에서 유사한 결합 인지 모티프를 공유하는 서브-패밀리로 그룹화될 수 있다. 주요 서브패밀리는 그의 단백질 서열 내에서 RGD (아르기닌-글리신-아스파르트산) 모티프를 함유하는 리간드를 인지하는 RGD-인테그린이다. 이러한 서브-패밀리에서의 인테그린 8종, 이른바 αvβ1, αvβ3, αvβ5, αvβ6, αvβ8, αIIbβ3, α5β1, α8β1이 존재하며, 여기서 명명법은 αvβ1, αvβ3, αvβ5, αvβ6 및 αvβ8이 발산 β 서브유닛과의 공통의 αv 서브유닛을 공유하며, αvβ1, α5β1 및 α8β1은 발산 α 서브유닛과의 공통의 β1 서브유닛을 공유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β1 서브유닛은 11개의 상이한 α 서브유닛과 쌍을 이루며, 그 중 상기 제시된 단 3개만이 RGD 펩티드 모티프를 공통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Humphries et al., Journal of Cell Science, 2006, 119, 3901).
8종의 RGD-결합 인테그린은 상이한 RGD-함유 리간드에 대하여 상이한 결합 친화성 및 특이성을 갖는다. 리간드는 단백질, 예컨대 피브로넥틴, 비트로넥틴, 오스테오폰틴 및, 전환 성장 인자 β1 및 β3 (TGFβ1 및 TGFβ3)의 잠복기 관련된 펩티드 (LAP)를 포함한다. TGFβ1 및 TGFβ3의 LAP에 결합된 인테그린은 수개의 계내에서 TGFβ1 및 TGFβ3 생물학적 활성의 활성화 및 차후의 TGFβ-유도된 생물학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orthington et al.,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2011, 36, 47). RGD-결합 인테그린의 발현 패턴과 더불어 상기 리간드의 다양성은 질환 치료개입에 대한 다수의 기회를 생성한다. 상기 질환은 섬유화 질환 (Margadant et al., EMBO reports, 2010, 11, 97), 염증성 질환, 암 (Desgrosellier et al., Nature Reviews Cancer, 2010, 10, 9), 재협착 및, 혈관형성 성분을 갖는 기타 질환 (Weis et al., Cold Spring. Harb . Perspect . Med. 2011, 1, a 006478)을 포함한다.
억제 항체, 펩티드 및 소분자를 포함한 상당수의 αv 인테그린 길항제 (Goodman et al.,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2012, 33, 405)가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항체의 경우, 이들은 범-αv 길항제 인테투무맙(Intetumumab) 및 아비투주맙(Abituzumab) (Gras, Drugs of the Future, 2015, 40, 97), 선택성 αvβ3 길항제 에타라시주맙(Etaracizumab) 및 선택성 αvβ6 길항제 STX-100을 포함한다. 실렌기티드(Cilengitide)는 αvβ3 및 αvβ5 둘 다를 억제하는 시클릭 펩티드 길항제이며, SB-267268은 αvβ3 및 αvβ5 둘 다를 억제하는 화합물의 일례이다 (Wilkinson-Berka et al., Invest. Ophthalmol . Vis . Sci ., 2006, 47, 1600). αv 인테그린의 조합을 달리한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의 발명은 특정한 질환 적응증에 맞춰진 신규 작용제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폐 섬유증은 특발성 간질성 폐렴을 포함한 수개의 간질성 폐 질환의 최종 단계를 나타내며, 폐 간질 내에서 세포외 기질의 과도한 침착을 특징으로 한다. 특발성 간질성 폐렴 중에서, 특발성 폐 섬유증 (IPF)은 진단 후 3 내지 5년의 통상의 생존을 갖는 가장 흔하면서도 가장 치명적인 병태를 나타낸다. IPF에서의 섬유증은 일반적으로 진행성이며, 현재의 약리적 치료개입에 대하여 무반응성이며, 가차없이 기능적 폐포 단위의 폐색으로 인한 호흡 부전을 초래한다. IPF는 미국 및 유럽에서 약 500,000명의 인간에게서 발병된다.
TGFβ1의 활성화에서 상피 제한된 인테그린, αvβ6에 대한 핵심적인 역할을 지지하는 시험관내 실험, 동물 및 IPF 환자 면역조직화학 데이터가 존재한다. 그러한 인테그린의 발현은 정상의 상피 조직에서는 낮으며, IPF에서 활성화된 상피를 포함한 손상된 및 감염된 상피에서 상당하게 상향조절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테그린의 표적화는 더 넓은 TGFβ 항상성 역할을 간섭할 이론적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항체 차단에 의한 αvβ6 인테그린의 부분 억제는 감염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폐 섬유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Horan GS et al., Partial inhibition of integrin αvβ6 prevents pulmonary fibrosis without exacerbating inflamma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8 177: 56-65). 폐 섬유증 이외에, αvβ6은 또한 간 및 신장을 포함한 기타 장기의 섬유화 질환의 중요한 프로모터로 간주되며 (Henderson NC et al., Integrin-mediated regulation of TGFβ in Fibrosi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 Molecular Basis of Disease 2013 1832:891-896에서 리뷰됨), 이는 αvβ6 길항제가 복수의 기관에서 섬유화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수개의 RGD-결합 인테그린이 TGFβ에 결합되어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관찰과 일치하여, 각종 αv 인테그린은 최근 섬유화 질환에 연루되었다 (Henderson NC et al., Targeting of αv integrin identifies a core molecular pathway that regulates fibrosis in several organs Nature Medicine 2013 Vol 19, Number 12: 1617-1627; Sarrazy V et al., Integrins αvβ5 and αvβ3 promote latent TGF-β1 activation by human cardiac fibroblast contraction Cardiovasc Res 2014 102:407-417; Minagawa S et al., Selective targeting of TGF-β activation to treat fibroinflammatory airway disease Sci Transl Med 2014 Vol 6, Issue 241: 1-14; Reed NI et al., The αvβ1 integrin plays a critical in vivo role in tissue fibrosis Sci Transl Med 2015 Vol 7, Issue 288: 1-8). 그러므로, RGD 결합 인테그린 패밀리의 특정 구성원에 대한 또는 RGD 결합 인테그린 패밀리 내의 특정 선택성 핑거프린트를 갖는 억제제는 복수의 기관에서 섬유화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αvβ3, αvβ5, αvβ6 및 αvβ8에 대한 일련의 인테그린 길항제의 SAR 관계가 기재되어 있다 (Macdonald, SJF et al.,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of αv integrin antagonists for pulmonary fibrosis by variation in aryl substituents. ACS Med Chem Lett 2014, 5, 1207-1212. 19 Sept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αvβ6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다른 αv 인테그린, 예컨대 αvβ1, αvβ3, αvβ5 또는 αvβ8에 대한 활성을 갖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또는 그의 염, 보다 특히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1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은 αvβ6 길항제 활성을 가지며, 특정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한 잠재적 용도를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용어 αvβ6 길항제 활성은 본원에서 αvβ6 억제제 활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의 측면에서, 요법, 특히 αvβ6 인테그린 수용체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의 측면에서,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인간에서 αvβ6 인테그린 수용체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의 측면에서, αvβ6 인테그린 수용체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또는 그의 염, 보다 특히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2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1을 갖는 (R)-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A1>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3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2를 갖는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A2>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4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3을 갖는 (R)-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A3>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5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4를 갖는 (S)-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A4>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6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 IA1, IA2, IA3 또는 IA4 중 임의의 하나는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염기성 아민 기 및 카르복실산 기 둘 다를 가지며, 그 결과, 내부 염, 즉 쯔비터이온 또는 내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쯔비터이온 염 형태의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또는, 화합물 IA1, IA2, IA3 또는 IA4 중 임의의 하나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비-쯔비터이온 염 형태의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또는, 화합물 IA1, IA2, IA3 또는 IA4 중 임의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모 화합물로서, 쯔비터이온으로서 (모 화합물이 그의 카르복실산 기에 의하여 내부적으로 양성자화되며, 통상적으로 쯔비터이온으로서 존재함) 및 그의 염으로서, 예를 들면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서 화학식 I, IA1, IA2, IA3 또는 IA4의 화합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적절한 염에 관한 리뷰를 위해, (Berge et al., J. Pharm . Sci ., 66:1-19, (1977))을 참조한다. 적절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P H Stahl and C G Wermuth, editors,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Weinheim/Zurich: Wiley- VCH/VHCA, 2002)에 제시되어 있다. 적절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무기 산, 예를 들면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오르토인산, 질산, 인산 또는 황산 또는, 유기 산, 예를 들면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산, 숙신산, 살리실산, 말레산, 글리세로인산, 타르타르산, 벤조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벤젠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예컨대 2-나프탈렌술폰산, 헥산산 또는 아세틸살리실산, 특히 말레산과의 산 부가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원하는 산 또는 염기를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염은 용액으로부터 침전될 수 있으며, 여과에 의하여 수집될 수 있거나 또는 용매의 증발에 의하여 회수될 수 있다.
기타 비-제약상 허용되는 염, 예를 들면 포르메이트, 옥살레이트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예를 들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분리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은 임의로 적절한 용매 중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적절한 유기 염기 (예, 트리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콜린, 아르기닌, 리신 또는 히스티딘)의 반응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결정화 및 여과에 의하여 분리되는 염기 부가 염을 산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무기 염기 염은 암모늄 염,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및 칼륨의 염, 알칼리 토 금속 염, 예컨대 칼슘 및 마그네슘의 염 및, 1급, 2급 및 3급 아민, 예컨대 이소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 아민 및 N-메틸-D-글루카민의 염을 포함한 유기 염기와의 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모 화합물, 예를 들면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그의 범주 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의 모든 가능한 화학량론적 및 비-화학량론적 형태를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결정성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결정성 형태 몇몇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되는 다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다형태 형태는 X-선 분말 회절 (XRPD) 패턴, 적외선 (IR) 스펙트럼, 라만 스펙트럼,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열중량 분석 (TGA) 및 고체 상태 핵 자기 공명 (SSNMR)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통상의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특징화 및 분화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약물 물질의 안정성 및 용해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분무-건조 분산 (SDD) 공정을 사용하여 중합체 매트릭스,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중의 무정형 분자 분산물로서 생성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액체 또는 반-고체 충전된 경질 캡슐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포맷으로, 성질, 예컨대 생체이용률 및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액체 캡슐화 기술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다수의 유기 화합물은 이들이 반응되거나 또는 이들이 이로부터 침전 또는 결정화되는 용매와 착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들 착체는 "용매화물"로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물과의 착체는 "수화물"로서 공지되어 있다. 높은 비점을 갖거나 및/또는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용매, 예컨대 물, 크실렌, N-메틸 피롤리디논, 메탄올 및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용매화물의 확인 방법은 NMR 및 미량분석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결정성 형태는 용매화되어 예를 들면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 예컨대 화학량론적 수화물뿐 아니라, 가변적인 양의 물을 함유하는 화합물일 수 있는 수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용매화물은 화학량론적 용매화물 및 비-화학량론적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용매화된 또는 비-용매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광학 이성질체, 예를 들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거울상이성질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2개의 비대칭 중심을 함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컨대 다른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도록 분리된 (즉, 순수한) 개개의 이성질체로서 또는 혼합물로서 이건 간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예컨대 다른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도록 분리된 (즉, 순수한) 개개의 이성질체는 10% 미만, 특히 약 1% 미만, 예를 들면 약 0.1% 미만의 다른 이성질체가 존재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한 부분입체이성질체가 다른 것보다 활성이 더 적을 수 있으며, 개개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활성이 선택된 한계치 미만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이성질체의 분리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기술, 예를 들면 분별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HPLC 또는 이들 기술의 조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수개의 호변이성질체 형태 중 하나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개의 호변이성질체로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이건 간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의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다형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화합물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은 표준 화학을 포함한 각종 방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임의의 종래 정의된 변수는 다른 의미로 나타내지 않는다면 상기 정의된 의미를 계속 가질 것이다. 예시의 일반적인 합성 방법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화합물은 작업예에서 생성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2종의 기하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는 몇몇 중간체 화합물의 (E) 또는 (Z) 기재가 기타 기하 이성질체를 소수의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1차 탈보호, 즉 에스테르 기의 분해에 이어서 임의로 염으로의 전환을 포함한 공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화학식 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7
(상기 식에서, R2는 C1-C6 알킬 기, 예를 들면 tert-부틸, 에틸 또는 메틸 기임). 대안으로, R2는 키랄 알킬, 예를 들면 (-)-멘틸 [(1R, 2S, 5R)-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사놀]이다.
본 발명의 제6의 측면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R2가 메틸, 에틸, 키랄 알킬, 예컨대 멘틸 또는 tert-Bu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탈보호는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또는 시클로펜틸 메틸 에테르 또는 물 중에서 예를 들면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황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한 산 가수분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R2가 메틸, 에틸 또는 키랄 알킬, 예컨대 멘틸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탈보호는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수성 용매, 예컨대 수성 메탄올 중에서 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을 사용한 염기 가수분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에스테르 기의 분해 후, 생성된 생성물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필요한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쯔비터이온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의 전환은 불활성 유기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또는 아세톤 중의 쯔비터이온의 용액을 수성 염산 용액으로 처리, 생성된 염 용액의 농축 및 아세토니트릴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하여 달성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쯔비터이온의 말레에이트 염으로의 전환은 쯔비터이온의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말레산의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생성된 용액을 40℃로 가열하고, 5℃로 냉각시켜 결정화가 발생되도록 하여 달성된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의 보론산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화학식 I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8
(상기 식에서,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화학식 IV>
Figure 112017027864469-pct00009
대안으로,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피나콜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모 보론산을 계내에서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나민 엘엘씨(Enamine LLC), 미국 08852 미국 뉴저지주 몬머스 융티온 Ste. 17-3 디어 파크 드라이브 7에 소재하는 프린스턴 코포레이트 플라자(Princeton Corporate Plaza), 맨체스터 올개닉스(Manchester Organics) 또는 플루오로켐(Fluorochem)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화학식 III 및 IV의 화합물 사이의 반응은 적절한 촉매, 예컨대 로듐 촉매, 예를 들면 로듐 (1,5-시클로옥타디엔) 클로라이드, [Rh(COD)Cl]2의 이량체 및 첨가제, 예컨대 포스핀 리간드, 예를 들면 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BINAP)의 존재하에서, 바람직하게는 염기, 예컨대 수성 수산화칼륨의 존재하에서, 승온, 예컨대 50-90℃에서 및 수-혼화성 용매, 예컨대 1,4-디옥산 중에서 실시될 수 있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엄격하게 혐기성 조건 하에서 실시되며, 여기서 반응 혼합물을 불활성 기체, 예컨대 질소로 퍼징하고, 감압 하에서 비우고, 이러한 비우고 질소로 퍼징하는 공정을 3회 반복하였다. 이러한 반응은 통상적으로 1:1의 비로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생성한다. 생성된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 HPLC 또는 결정화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비대칭 합성은 로듐 화합물에 기초한 촉매의 존재하에서 키랄 리간드의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BINAP)의 포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에서의 이중 결합의 기하형태는 (E) 또는, (E)와 (Z) 이성질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순수한 (E) 이성질체일 수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와 화학식 IV의 화합물 사이의 반응은 약 1:1 비로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생성하며, 이는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또는 HPLC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분리의 바람직한 방법은 키랄 지지체, 예컨대 키랄팩(Chiralpak) 또는 키랄셀(Chiralcel) 칼럼 상에서의 키랄 HPLC이다. 형성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비는 약 10%의 첨가제, 예컨대 (R)-(+)-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탈렌 [(R)-BINAP]의 존재하에서 예를 들면 약 80:20 또는 그보다 높게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주요한 이성질체로서 생물학적으로 더 큰 활성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또는 다수의 조합의 스크리닝에 의하여 선택된, 상이한 키랄 R2 기를 갖는 화합물 (III), 리간드, 보론산 (IV), 촉매 및 용매의 다양한 조합은 더 큰 비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제공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 비는 예를 들면 키랄 HPLC에 의하여 또는 결정화에 의하여 99:1 초과로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유기 염기,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EA") 및 적절한 팔라듐계 촉매, 예를 들면 PdCl2(dppf)-CH2Cl2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II), 디클로로메탄과의 착체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화학식 V>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0
<화학식 V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1
(상기 식에서,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화학식 V의 화합물은 모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염, 예컨대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부터 3급 아민 염기의 존재하에서 계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로서 R2가 메틸이며, 이중 결합이 (E) 기하형태를 갖는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하기 제시한 방법에 의하여 아세토니트릴 중의 입수 가능한 메틸 4-브로모크로토네이트 및 아세트산나트륨 또는 아세트산칼륨을 출발 물질로 하여 승온, 예를 들면 50℃에서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2
화학식 V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면 탄소 상에서 부착된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불활성 용매, 예컨대 에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서 촉매성 가수소분해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화학식 V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3
화학식 VI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로부터 염기, 예컨대 탄산칼륨의 존재하에서 적절한 용매, 예컨대 DMF 중에서 승온, 예컨대 130℃에서 예를 들면 벤젠술포닐 히드라지드로부터 생성된, 디이미드 환원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화학식 VI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4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은 기하 이성질체, 예를 들면 (E) 또는 (Z)-형태로서 존재하며, 순수한 이성질체로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중국 200131 상하이 와이가오쿠이아오 프리 트레이드 후테 종 로드 288에 소재하는 우시 앱 태크(Wuxi App Tec)로부터) 공지의 입수 가능한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예를 들면 피리딘 중의 삼산화황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X의 대응 알데히드로 산화시킬 수 있다:
<화학식 IX>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5
<화학식 X>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6
그 후, 화학식 X의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X의 화합물을 분리하지 않고 하기 화학식 XI의 일리드와 반응시켜 기하 이성질체 (E) 및 (Z)의 혼합물로서 존재하는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X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7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알데히드 (X)로부터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기하 이성질체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다음 단계에서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전체 반응식은 하기 반응식 I로서 하기에 요약된다:
<반응식 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8
화학식 XI의 일리드는 하기 화학식 XII의 화합물 (플루오로켐으로부터 입수 가능)로부터 출발하여
<화학식 X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19
우선 염산과 반응시킨 후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한 중화에 의하여 하기 화학식 XIII의 알데히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화학식 XI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0
예를 들면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XIV의 대응 알콜로 환원될 수 있으며:
<화학식 XIV>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1
(또한, 화학식 XIV의 알콜의 제조의 경우 US-A-20040092538에 개시된 경로를 참조함), 그 후, 예를 들면 삼브로민화인을 사용하여 브로민화시켜 하기 화학식 XV의 대응 브로모 화합물을 생성하며:
<화학식 XV>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2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중의 트리페닐포스핀과의 반응에 의하여 하기 화학식 XVI의 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로 전환시켜 생성될 수 있다:
<화학식 XV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3
화학식 XI의 전술한 일리드 화합물은 불활성 용매, 예컨대 THF 중에서 화학식 XVI의 화합물을 염기, 예컨대 포타슘 tert-부톡시드의 용액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화학식 XI의 일리드는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계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용기 내에서 사전 분리 없이 화학식 X의 알데히드와 반응할 수 있다.
화학식 XI의 일리드의 제조를 위한 전체 반응식은 하기 반응식 II로서 하기 요약한다:
<반응식 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4
화학식 IX의 화합물의 각각의 2종의 입수 가능한 거울상이성질체는 대응하는 부차적인 것보다 더 유효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나의 주요한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재된 임의의 경로에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보호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보호기 및 그의 제거를 위한 방법의 예는 (T. W.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J. Wiley and Sons, 1999))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적절한 아민 보호기는 아실 (예, 아세틸), 카르바메이트 (예,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또는 t-부톡시카르보닐) 및 아릴알킬 (예, 벤질)을 포함하며, 이들은 가수분해에 의하여 (예, 디옥산 중의 산, 예컨대 염산 또는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함) 또는 환원에 의하여 (예, 벤질 또는 벤질옥시카르보닐 기의 가수소분해 또는 아세트산 중의 아연을 사용한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기의 환원성 제거)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기타 적절한 아민 보호기는 염기 촉매화된 가수분해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 (-COCF3)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임의의 경로에서, 각종 기 및 모이어티를 분자에 도입하는 합성 단계의 정확한 순서는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공정의 한 단계에서 도입된 기 또는 모이어티가 후속 변환 및 반응에 의하여 실시되지 않을 것을 보장하고, 그에 따라 합성 단계의 순서를 선택하는 것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에 포함될 것이다.
화학식 III, V 내지 VIII, X, XI, XV 및 XVI의 화합물은 또한 신규한 것으로 여겨지며,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을 형성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절대 배열은 공지의 절대 배열의 중간체로부터 독립적 거울상이성질체선택성 합성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대안으로, 화학식 I의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은 공지된 절대 배열을 갖는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분광학 데이터, 광학 회전 및 분석적 HPLC 칼럼 상에서의 체류 시간의 비교는 절대 배열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행 가능한 제3의 선택은 X-선 결정학을 통한 절대 배열의 측정이다.
사용 방법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은 αv 인테그린 길항제 활성, 특히 αvβ6 수용체 활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αvβ6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에서의 잠재적 유용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αvβ6 인테그린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함일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αvβ6 인테그린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한, αvβ6 인테그린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αvβ6 인테그린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적절하게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효량"은 예를 들면 연구원 또는 임상의에 의하여 추구되는 조직, 계, 동물 또는 인간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할 약물 또는 제약 약제의 양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상기 양을 투여하지 않은 해당 대상체에 비하여, 질환, 질병 또는 부작용의 개선된 치료, 치유, 예방 또는 향상 또는 질환 또는 질병의 진행률에서의 감소를 초래하는 임의의 양을 의미한다. 용어는 또한 그의 범주 내에서 정상의 생리적 기능을 향상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을 포함한다.
섬유화 질환은 회복 또는 반응성 과정에서 장기 또는 조직에서의 지나친 섬유 결합 조직의 형성을 포함한다. αvβ6 길항제는 αvβ6 인테그린 작용 및, 알파 v 인테그린을 통한 전환 성장 인자 베타의 활성화에 의존하는 것을 포함한 각종 상기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에서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질환은 폐 섬유증 (예, 특발성 폐 섬유증, 비-특이적 간질성 폐렴 (NSIP), 보통형 간질성 폐렴 (UIP), 헤르만스키-푸들라크(Hermansky-Pudlak) 증후군, 진행성 거대 섬유증 (탄광부 진폐증의 합병증), 결합 조직 질환-관련된 폐 섬유증, 천식 및 COPD에서의 기도 섬유증, ARDS 관련된 섬유증, 급성 폐 손상, 방사선-유발 섬유증, 가족성 폐 섬유증, 폐동맥 고혈압); 신장 섬유증 (당뇨병 신경병증, IgA 신장병증, 루푸스 신장염, 국소 분절 사구체경화증 (FSGS), 이식 신장병증, 자가면역 신장병증, 약물-유발 신장병증, 고혈압-관련 신장병증, 신성 전신 섬유증); 간 섬유증 (바이러스-유발된 섬유증 (예, C 또는 B형 간염), 자가면역 간염,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알콜성 간 질환,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을 포함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선천성 간섬유증, 원발성 경화 담관염, 약물-유발 간염, 간 경화증); 피부 섬유증 (비후 흉터, 공피증, 켈로이드, 피부근염, 호산구성 근막염, 뒤퓌트랑 구축,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페로니병, 이영양성 표피 수포증, 구강 점막하 섬유증); 안구 섬유증 (노년기 황반 변성 (AMD), 당뇨병성 황반 부종, 눈 마름증, 녹내장) 각막 흉터형성, 각막 손상 및 각막 상처 치유, 섬유주절제술 후 여과포 흉터형성의 예방; 심장 섬유증 (울혈성 심부전, 죽상경화증, 심근 경색증, 심내막심근 섬유증, 비대 심근병증 (HCM)) 및 기타 기타 섬유증 병태 (종격 섬유증, 골수섬유증, 후복막 섬유증, 크론병, 신경섬유종증, 자궁 근종 (섬유양), 만성 장기 이식 거부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αvβ1, αvβ5 또는 αvβ8 인테그린의 추가의 억제에 대한 추가의 이득이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αvβ6 인테그린과 관련된 전암성 병변 또는 암도 또한 치료될 수 있다 (이들은 자궁내막암, 기저 세포암, 간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구강암, 췌장암, 유방암 및 난소암, 카포시 육종, 거대 세포암 및 기질 관련 암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혈관형성에 대한 효과로부터의 잇점을 유도할 수 있는 병태도 또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예, 고형 종양).
용어 "αvβ6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는 상기 질환 상태 중 임의의 또는 모두를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αvβ6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는 특발성 폐 섬유증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αvβ6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는 각막 흉터형성, 각막 손상 및 각막 상처 치유로부터 선택된다.
조성물
요법에서의 사용의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뿐 아니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미정제 화학물질로서 투여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한편, 활성 성분이 제약 조성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담체(들), 희석제(들) 또는 부형제(들)는 조성물의 기타 성분과의 적합성 및 그의 수용체에 대하여 유해하지 않다는 면에서 허용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제약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함일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αvβ6 인테그린 길항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이 추가로 제공된다.
0.01 내지 3,000 ㎎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 염 및 0.1 내지 2 g의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추가로 제공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제약 조성물에 사용하고자 하므로, 이들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예를 들면 적어도 60% 순수한, 더욱 적절하게는 적어도 75% 순수한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순수한, 특히 적어도 98% 순수한 (중량 기준에 대한 중량%)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약 조성물은 단위 투여당 미리 결정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1일 투여량 또는 하위-투여량 또는 그의 적절한 일부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단위 투여량은 1일 1회 초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본원의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1일 투여량 또는 하위-투여량 (1일 1회 초과의 투여의 경우) 또는 그의 적절한 일부를 함유하는 것이다.
제약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하여, 예를 들면 경구 (협측 또는 설하 포함), 직장, 흡입, 비강내, 국소 (협측, 설하 또는 경피 포함), 질, 눈 또는 비경구 (피하,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내 포함) 경로에 의한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예를 들면 활성 성분을 담체(들) 또는 부형제(들)와 회합하도록 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다.
경구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은 불연속 단위, 예컨대 캡슐 또는 정제; 분말 또는 과립;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 식용 포옴 또는 휩; 또는 수중유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 액체 에멀젼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또는 캡슐 형태로 경구 투여의 경우, 활성 약물 성분은 경구, 비-독성 제약상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 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조합될 수 있다. 정제 또는 캡슐에 혼입시키기에 적절한 분말은 화합물을 적절한 미세한 입자 크기로 감소시키고 (예를 들면 미분화에 의하여), 유사하게 생성된 제약 담체, 예컨대 식용 탄수화물, 예컨대 전분 또는 만니톨과 혼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풍미제, 보존제, 분산제 및 착색제도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캡슐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분말 혼합물을 생성하고, 형성된 젤라틴 외피를 충전시켜 생성될 수 있다. 활택제 및 윤활제, 예컨대 콜로이드성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또는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분말 혼합물에 첨가한 후 충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캡슐의 섭취시 약제의 유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붕해제 또는 가용화제, 예컨대 한천,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을 첨가할 수 있다.
게다가, 요구되거나 또는 필요시, 적절한 결합제, 활택제, 윤활제, 감미제, 풍미제, 붕해제 및 착색제도 또한 혼합물에 혼입될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는 전분, 젤라틴, 천연 당, 예컨대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스, 옥수수 감미제, 천연 및 합성 껌, 예컨대 아카시아, 트라가칸트 또는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포함한다.
이들 투여 형태에 사용된 윤활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한천, 벤토나이트, 크산탄 껌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정제는 예를 들면 분말 혼합물을 생성하고, 과립화 또는 슬러그화시키고, 윤활제 및 붕해제를 첨가하고, 정제로 압축시켜 제제화된다. 분말 혼합물은 적절하게 분쇄된 화합물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희석제 또는 베이스 및 임의로 결합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용해 지연제, 예컨대 파라핀, 재흡수 촉진제, 예컨대 4급 염 및/또는 흡수제, 예컨대 벤토나이트, 카올린 또는 인산이칼슘과 혼합하여 생성된다. 분말 혼합물은 결합제, 예컨대 시럽, 전분 페이스트, 아카디아 점액 또는 셀룰로스 용액 또는 중합체 물질로 습윤화시키고, 스크린에 가하여 과립화시킬 수 있다. 과립화에 대한 대안으로서, 분말 혼합물은 정제기를 통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결과는 과립으로 분쇄되는 불완전하게 형성된 슬러그이다. 과립은 스테아르산, 스테아레이트 염, 탈크 또는 미네랄 오일의 첨가에 의하여 정제 형성 다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 처리될 수 있다. 그 후, 윤활 처리된 혼합물을 정제로 압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자유 유동 불활성 담체와 조합하고, 과립화 또는 슬러깅 단계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정제로 압축시킬 수 있다. 셸락의 실링 코트, 당 또는 중합체 물질의 코팅 및 왁스의 광택 코팅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불투명 보호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염료를 코팅에 첨가하여 상이한 단위 투여량을 구별할 수 있다.
경구 유체, 예컨대 용액, 시럽 및 엘릭시르는 주어진 양이 미리 결정된 양의 화합물을 함유하도록 투여 단위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시럽은 적절하게 풍미가 가해진 수용액 중에 화합물을 용해시켜 생성될 수 있는 한편, 엘릭시르는 비-독성 알콜성 비히클의 사용에 의하여 생성된다. 현탁액은 비-독성 비히클 중에 화합물을 분산시켜 제제화될 수 있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및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보존제, 풍미 첨가제, 예컨대 페퍼민트 오일 또는 천연 감미제 또는 사카린 또는 기타 인공 감미제 등을 또한 첨가할 수 있다.
적절할 경우, 경구 투여를 위한 투여 단위 조성물은 마이크로캡슐화될 수 있다. 제제는 또한 예를 들면 입자상 물질을 중합체, 왁스 등에 코팅 또는 매립시켜 방출을 연장 또는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리포좀 전달계, 예컨대 작은 단층 소포, 커다란 단층 소포 및 다층 소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리포좀은 각종 인지질, 예컨대 콜레스테롤, 스테아릴아민 또는 포스파티딜콜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경피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은 연장된 시간 동안 수용체의 표피와 긴밀한 접촉으로 잔존하도록 불연속 패취로서 제시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은 연고, 크림, 현탁액, 로션, 분말, 액제, 페이스트, 겔, 스프레이, 에어로졸 또는 오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눈 또는 기타 외부 조직, 예를 들면 입 또는 피부의 치료의 경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국소 연고 또는 크림으로서 적용된다. 연고 중에 제제화되는 경우, 활성 성분은 파라핀성 또는 수 혼화성 연고 베이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활성 성분은 수중유 크림 베이스 또는 유중수 베이스와 함께 크림 중에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국소 점안약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보다 더 긴 투여 간격을 필요로 하는 결막하, 전방내 또는 유리체내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눈에 국소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제제는 활성 성분을 적절한 담체, 특히 수성 용매 중에 용해 또는 현탁시킨 점안약을 포함한다. 눈에 투여하고자 하는 제제는 안과학상 적합한 pH 및 오스몰랄농도를 가질 것이다. 산, 예컨대 아세트산, 붕산, 시트르산, 락트산, 인산 및 염산; 염기,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인산나트륨, 붕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및 락트산나트륨; 및 완충제, 예컨대 시트레이트/덱스트로스, 중탄산나트륨 및 염화암모늄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안과학상 허용되는 pH 조절제 및/또는 완충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 염기 및 완충제는 조성물의 pH를 안과학상 허용되는 범위내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과학상 허용되는 염은 조성물의 오스몰랄농도가 안과학상 허용되는 범위가 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염은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양이온 및 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보레이트, 포스페이트, 비카르보네이트, 술페이트, 티오술페이트 또는 바이술파이트 음이온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눈 전달 디바이스는 복수의 규정된 방출률 및 지속된 투여 동역학 및 투과도로 하나 이상의 치료제의 제어된 방출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다. 제어된 방출은 생분해성/생부식성 중합체 (예,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초가수분해된 PVA),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스 (HPC), 메틸셀룰로스 (MC),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HPMC), 폴리카프롤락톤,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다가무수물, 약물 확산, 침식, 용출 및 삼투를 향상시키는 중합체 분자량, 중합체 결정화도, 공중합체 비, 처리 조건, 표면 피니쉬, 기하형태, 부형제 첨가 및 중합체 코팅의 상이한 선택 및 성질을 포함하는 중합체 매트릭스의 설계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눈 디바이스를 사용한 약물 전달을 위한 제제는 투여의 제시된 경로에 적절한 하나 이상의 활성제 및 아주반트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제는 통상의 투여를 위하여 정제화 또는 캡슐화된 임의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락토스, 수크로스, 전분 분말, 알칸산의 셀룰로스 에스테르, 스테아르산,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인산 및 황산의 나트륨 및 칼슘 염, 아카시아,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딘 및/또는 폴리비닐 알콜과 혼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콜로이드성 용액, 에탄올, 옥수수유, 땅콩유, 면실유, 참기름, 트라가칸트 껌 및/또는 각종 완충제 중에 용해될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생분해성 및 비-생분해성 중합체 둘 다 및 시간 지연 성질을 갖는 담체 또는 희석제의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다. 생분해성 조성물의 대표적인 예는 알부민, 젤라틴, 전분, 셀룰로스, 덱스트란, 다당류, 폴리(D,L-락티드), 폴리(D,L-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알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생분해성 중합체의 대표적인 예는 EVA 공중합체, 실리콘 고무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눈 전달을 위한 제약 조성물은 또한 계내 겔 형성 가능한 수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눈 또는 누액과 접촉시 겔 형성을 촉진시키기에 효과적인 농도로 겔화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겔화제는 열경화성 중합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계내 겔 형성 가능한"은 눈 또는 누액과 접촉시 겔을 형성하는 저 점도의 액체뿐 아니라, 눈에 투여시 실질적으로 증가된 점도 또는 겔 강성도를 나타내는 점성이 더 큰 액체, 예컨대 반-유체 및 틱소트로픽(thixotropic) 겔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Ludwig (2005) Adv . Drug Deliv. Rev. 3; 57:1595-639)을 참조하며, 이 문헌은 눈 약물 전달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 예의 교시를 위하여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입에서 국소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은 로젠지, 향정 및 구강 세정제를 포함한다.
직장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은 좌제로서 또는 관장제로서 제시될 수 있다.
코 또는 흡입 투여를 위한 투여 형태는 에어로졸, 용액, 현탁액, 겔 또는 건조 분말로서 간편하게 제제화될 수 있다.
질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은 페사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포옴 또는 스프레이 제제로서 제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은 항산화제, 완충제, 정균제 및, 조성물이 의도하는 수용체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게 하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살균 주사액 및, 현탁제 및 농조화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살균 현탁액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단위투여 또는 복수-투여 용기, 예를 들면 밀봉된 앰풀 및 바이알로 제시될 수 있으며, 사용 직전에 살균 액체 담체, 예를 들면 주사용수의 첨가만을 필요로 하는 냉동-건조된 (동결건조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임시 주사액 및 현탁액은 살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피하 또는 근육내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은 지속 방출을 제공하기 위하여 활성 제약 성분을 함유하는 미세입자를 형성하는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 (PLGA)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면 대상체의 연령 및 체중, 치료를 필요로 하는 정확한 병태 및 그의 경중도, 제제의 성질 및 투여의 경로를 포함한 다수의 요인에 의존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주치의 또는 수의사의 재량에 따를 것이다. 제약 조성물에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각각의 투여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쯔비터이온 모 화합물로서 계산한 본 발명의 화합물 0.01 내지 3,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0 ㎎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쯔비터이온으로서 계산된 1일당 0.01 ㎎ 내지 3,000 ㎎ 또는 1일당 0.5 내지 1,000 ㎎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량의 1일 투여량 (성인 환자의 경우)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양은 1일당 단일 투여량으로 또는 총 1일 투여량이 동일하도록 일반적으로 1일당 다수의 (예컨대 2회, 3회, 4회, 5회 또는 6회)의 하위-투여량으로 제시될 수 있다. 유효량의 그의 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그 자체의 유효량의 비율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기타 치료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조합 요법은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투여 및, 적어도 하나의 기타 제약 활성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조합 요법은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적어도 하나의 기타 제약 활성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및 기타 제약 활성제(들)는 단일 제약 조성물로 또는 별도로 함께 투여될 수 있으며, 별도로 투여시 이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임의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및 기타 제약 활성제(들)의 양 및 투여의 상대적 타이밍은 원하는 조합된 치료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될 것이다.
그래서,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기타 제약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합이 제공된다.
그래서, 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 및 제약 조성물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알러지 질환,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을 위한 요법, 항-섬유증 요법 및, 폐쇄성 기도 질환을 위한 요법, 당뇨병성 안 질환을 위한 요법 및 각막 흉터형성, 각막 손상 및 각막 상처 치유를 위한 요법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기타 치료제를 포함한다.
항-알러지 요법은 항원 면역요법 (예컨대 벌침 독, 화분, 우유, 땅콩, CpG 모티프, 콜라겐의 성분 및 분절, 경구 또는 설하 항원으로서 투여될 수 있는 세포외 기질의 기타 성분), 항-히스타민 (예컨대 세티리진, 로라티딘, 아크리바스틴, 펙소페니딘, 클로르페나민)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컨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부데소니드, 시클레소니드,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트리암시놀론, 플루니솔리드, 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을 포함한다.
항-염증 요법은 NSAID (예컨대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류코트리엔 조정제 (예컨대 몬테루카스트, 자피르루카스트, 프란루카스트) 및 기타 항-염증 요법 (예컨대 iNOS 억제제, 트립타제 억제제, IKK2 억제제, p38 억제제 (로스마피모드, 딜마피모드), 엘라스타제 억제제, 베타2 효능제, DP1 길항제, DP2 길항제, pI3K 델타 억제제, ITK 억제제, LP (리소포스파티드) 억제제 또는 FLAP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 억제제 (예컨대 소듐 3-(3-(tert-부틸티오)-1-(4-(6-에톡시피리딘-3-일)벤질)-5-((5-메틸피리딘-2-일)메톡시)-1H-인돌-2-일)-2,2-디메틸프로파노에이트); 아데노신 a2a 효능제 (예컨대 아데노신 및 레가데노손), 케모카인 길항제 (예컨대 CCR3 길항제 또는 CCR4 길항제), 조정제 방출 억제제를 포함한다.
자가면역 질환을 위한 요법은 DMARDS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레플루노미드, 아자티오프린), 생물약제 요법 (예컨대 항-IgE, 항-TNF, 항-인터류킨 (예컨대 항-IL-1, 항-IL-6, 항-IL-12, 항-IL-17, 항-IL-18)), 수용체 요법 (예컨대 에타네르셉트 및 유사 약제); 항원 비-특이성 면역요법 (예컨대 인터페론 또는 기타 시토카인/케모카인, 시토카인/케모카인 수용체 조정제, 시토카인 효능제 또는 길항제, TLR 효능제 및 유사 약제)을 포함한다.
기타 항-섬유증 요법은 TGFβ 합성의 억제제 (예컨대 피르페니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PDGF) 및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FGF) 수용체 키나제를 표적화하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예컨대 닌테다닙(Nintedanib) (BIBF-1120) 및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글리벡(Gleevec)), 엔도텔린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암브리센탄 또는 마시텐탄), 항산화제 (예컨대 N-아세틸시스테인 (NAC); 광범위 항생제 (예컨대 코트리목사졸, 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5 (PDE5) 억제제 (예컨대 실데나필), 항-αvβx 항체 및 약물 (예컨대 항-αvβ6 모노클로날 항체 (예컨대 WO2003100033A2에 기재된 것); 인테투무맙; 실렌기티드)를 포함하며, 이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폐쇄성 기도 질환을 위한 요법은 기관지확장제, 예컨대 단기-작용 β2-효능제, 예컨대 살부타몰), 장기-작용 β2-효능제 (예컨대 살메테롤, 포르모테롤 및 빌란테롤)), 단기-작용 무스카린 길항제 (예컨대 이프라트리퓸 브로마이드), 장기-작용 무스카린 길항제, (예컨대 티오트로퓸, 우메클리디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치료의 기타 기존의 방식, 예를 들면 당뇨병성 안 질환의 치료를 위한 기존의 약제, 예컨대 항 VEGF 치료제, 예를 들면 루센티스(Lucentis)®, 아바스틴(Avastin)® 및 아플리베르셉트(Aflibercept)® 및 스테로이드, 예를 들면 트리암시놀론 및,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를 함유하는 스테로이드 이식체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치료의 기타 기존의 방식, 예를 들면 각막 흉터형성, 각막 손상의 치료 또는 각막 상처 치유를 위한 기존의 약제, 예컨대 겐텔(Gentel)®, 송아지 혈액 추출물,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및 오플록사신(Ofloxacin)®과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표적제, 면역요법 및 세포 또는 유전자 요법을 포함한 암 요법과 조합하여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기타 치료 성분(들)이 염의 형태로,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또는 아민 염으로서 또는 산 부가 염 또는 전구약물로서 또는 에스테르, 예를 들면 저급 알킬 에스테르로서 또는 용매화물, 예를 들면 수화물로서 사용되어 치료 성분의 활성 및/또는 안정성 및/또는 물리적 성질, 예컨대 용해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적절하게는 치료 성분이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상기 언급된 조합은 제약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하여 간편하게 제시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조합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을 나타낸다. 상기 조합의 개개의 화합물은 별도의 또는 조합된 제약 조성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화합물은 조합된 제약 조성물로 동시에 투여될 것이다. 공지의 치료제의 적절한 투여량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흡입, 정맥내, 경구, 비강내, 눈 국소 또는 기타 경로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기타 치료적 활성제와 조합하여 투여될 경우, 생성된 제약 조성물은 동일한 경로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대안으로, 조성물의 개개의 성분은 상이한 경로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은 단지 예에 의하여 예시될 것이다.
약어
하기 리스트는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특정한 약어의 정의를 제공한다. 그러한 리스트는 완전한 것은 아니지만, 본원의 하기에 정의되지 않은 이들 약어의 의미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용이하게 자명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Ac (아세틸)
BCECF-AM (2',7'-비스-(2-카르복시에틸)-5-(및-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아세톡시메틸 에스테르)
BEH (에틸렌 브릿지드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Bridged Hybrid Technology))
Bu (부틸)
CBZ (카르복시벤질)
CHAPS (3-[(3-콜아미도프로필)디메틸암모니오]-1-프로판술포네이트)
키랄셀 OD-H (5 ㎛ 실리카 겔 상에 코팅된 셀룰로스 트리스(3,5-디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키랄팩 AD-H (5 ㎛ 실리카 겔 상에 코팅된 아밀로스 트리스(3,5-디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키랄팩 ID (5 ㎛ 실리카 겔 상에 부동화된 아밀로스 트리스(3-클로로페닐카르바메이트))
키랄팩 AS (5 ㎛ 실리카 겔 상에 코팅된 아밀로스 트리스((S)-알파-메틸벤질카르바메이트))
CDI (카르보닐 디이미다졸)
CSH (차지드 서피스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Charged Surface Hybrid Technology))
CV (칼럼 부피)
DCM (디클로로메탄)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술폭시드)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Et (에틸)
EtOH (에탄올)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h (시간/시간들)
HCl (염산)
HEPES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법)
MDAP (질량 특이적 자동-정제용 HPLC)
MDCK (매딘-다비 개과 신장)
Me (메틸)
Me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MS (질량 스펙트럼)
min 분/분들
PdCl2(dppf)-CH2Cl2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II), 디클로로메탄과의 착체
Ph (페닐)
iPr (이소프로필)
(R)-BINAP (R)-(+)-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탈렌
[Rh(COD)Cl]2 ((클로로(1,5-시클로옥타디엔)로듐(I) 이량체)
RT (체류 시간)
SPE (고체 상 추출)
TBME (tert-부틸 메틸 에테르)
TEA (트리에틸아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GA (열 중량 분석)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UPLC (초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염수에 대한 모든 기준물질은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지칭한다.
실험 세부사항
분석 LCMS
분석 LCMS는 하기 시스템 A, B 또는 C 중 하나에서 실시하였다.
모든 시스템에 대한 UV 검출은 220 ㎚ 내지 350 ㎚의 파장으로부터의 평균 시그날이며, 질량 스펙트럼은 질량 분광기 상에서 교호(alternate)-스캔 양성 및 음성 모드 전기분무 이온화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본원에서 지칭된 바와 같은 LCMS 시스템 A-D의 실험 세부사항은 하기와 같다:
시스템 A
칼럼: 50 ㎜×2.1 ㎜ ID, 1.7 ㎛ 애큐이티(Acquity) UPLC BEH C18 칼럼
유량: 1 ㎖/min.
온도: 40℃
용매: A: 암모니아 용액을 사용하여 pH 10으로 조절한 물 중의 10 mM 중탄산암모늄
B: 아세토니트릴
구배: 시간 ( min) A% B%
0 99 1
1.5 3 97
1.9 3 97
2.0 99 1
시스템 B
칼럼: 50 ㎜×2.1 ㎜ ID, 1.7 ㎛ 애큐이티 UPLC BEH C18 칼럼
유량: 1 ㎖/min
온도: 40℃
용매: A: 물 중의 포름산의 0.1% v/v 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포름산의 0.1% v/v 용액
구배: 시간 ( min) A% B%
0 97 3
1.5 0 100
1.9 0 100
2.0 97 3
시스템 C
칼럼: 50 ㎜×2.1 ㎜ ID, 1.7 ㎛ 애큐이티 UPLC CSH C18 칼럼
유량: 1 ㎖/min.
온도: 40℃
용매: A: 암모니아 용액을 사용하여 pH 10으로 조절한 물 중의 10 mM 중탄산암모늄
B: 아세토니트릴
구배: 시간 ( min) A% B%
0 97 3
1.5 5 95
1.9 5 95
2.0 97 3
시스템 D
칼럼: 50 ㎜×2.1 ㎜ ID, 1.7 ㎛ 애큐이티 UPLC BEH C18 칼럼
유량: 1 ㎖/min.
온도: 40℃
용매: A: 물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0.1% v/v 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0.1% v/v 용액
구배: 시간 (min) A% B%
0 95 5
1.5 5 95
1.9 5 95
2.0 95 5
중간체 1: 7 -( 브로모메틸 )-1,2,3,4-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화합물 XV)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5
삼브로민화인 (0.565 ㎖, 5.99 mmol)을 무수 아세토니트릴 (50 ㎖) 중의 (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메탄올 (화합물 (XIV)): US20040092538, 제80면, [0844] 참조) (820 ㎎, 4.99 mmol)의 현탁액에 0℃에서 질소 하에서 적가하였다. 첨가 시 짙은 오렌지색 침전물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옅은 오렌지색으로 변색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 및 NaHCO3의 포화 수용액 (250 ㎖)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용액을 소수성 프릿을 통하여 통과시킨 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05 g, 93%)을 솜털같은 크림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0.95 min, ES+ve m/z 227, 229 (M+H)+.
중간체 2: 트리페닐 ((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 메틸 )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화합물 ( XVI ))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6
아세토니트릴 (98 ㎖) 중의 7-(브로모메틸)-1,2,3,4-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 (화합물 (XV), 중간체 1) (1.00 g, 4.40 mmol)의 용액을 트리페닐포스핀 (1.270 g, 4.84 mmol)으로 처리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짙은 크림색 고체를 얻은 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시켜 표제 화합물 (2.139 g, 99%)을 옅은 크림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 1.23 min, ES+ve m/z 409 (M+H)+.
중간체 3: ( E,Z ) 벤질 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비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VI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7
DCM (3 ㎖) 및 DMSO (0.3 ㎖) 중의 (+)-벤질 3-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IX): 우시 앱 태크로부터 입수 가능) (260 ㎎, 1.03 mmol)의 교반된 용액을 질소 하에서 DIPEA (0.896 ㎖, 5.13 mmol)로 처리하였다. 0-5℃ (얼음 배쓰)로 냉각시킨 후, 피리딘 삼산화황 (327 ㎎, 2.05 mmol)을 일부분씩 약 5 분에 걸쳐 첨가하여 알콜 화합물 (IX)을 해당 알데히드 화합물 (X)로 산화시키고, 이를 분리하지 않았다. 냉각조를 꺼내고, 교반을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무수 DCM (10 ㎖) 중의 트리페닐 ((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메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화합물 (XVI), 제조에 대하여서는 중간체 2 참조) (553 ㎎, 1.13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서 포타슘 tert-부톡시드 (THF 중의 1M) (1.232 ㎖, 1.232 mmol)로 약 5 분에 걸쳐 적하 처리하여 오렌지색 용액을 얻었다. 교반을 10 분 동안 지속한 후, 알데히드 (화학식 X) 용액을 일리드 용액에 한번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2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20 ㎖) 및 염수 (20 ㎖)로 세정하고, 건조 (Na2SO4)시킨 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켰다. 암갈색 잔류물을 20 g 실리카 SPE 카트리지 상에서 0-100% 에틸 아세테이트-시클로헥산의 구배로 용출시키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30 분에 걸쳐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2종의 기하 이성질체로서 얻었다:
이성질체 1: 담황색 껌 (123.4 ㎎, 31%); LCMS (시스템 A) RT=1.28 min, 95%, ES+ve m/z 382 (M+H)+
이성질체 2: 담황색 껌 (121.5 ㎎, 31%); LCMS (시스템 A) RT=1.22 min, 91%, ES+ve m/z 382 (M+H)+
총 수율 = 244.9 ㎎, 62.5%.
그 후, 중간체 3의 배열은 (R)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2종의 기하 이성질체는 (R,E)-벤질 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비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및 (R,Z)-벤질 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비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이다.
중간체 4: 벤질 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V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8
DMF (2 ㎖) 중의 (E,Z) 벤질 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비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VIII, 중간체 3) (244 ㎎, 0.640 mmol) (1:1, E:Z)의 용액을 벤젠술포닐 히드라지드 (알파 에이서(Alfa Aesar)로부터 입수 가능) (275 ㎎, 1.60 mmol) 및 탄산칼륨 (354 ㎎, 2.56 mmo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30℃로 1 시간 동안 가열한 후, 냉각되도록 하고, DCM 및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상을 물로 세정하고, 소수성 프릿을 통하여 건조시켰다. 유기 용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 오렌지색 오일을 0-50% [(3:1 EtOAc: EtOH) - EtOAc]의 구배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카트리지 (20 g)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20 분에 걸쳐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50 ㎎, 61%)을 담황색 껌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A) RT=1.24 min, 90%, ES+ve m/z 384 (M+H)+. 그 후, 중간체 4의 절대 배열은 (S)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리하여 화합물은 (S)-벤질 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이다. 중간체 3에서의 (R)로부터 중간체 4에서의 (S)로의 변화는 이중 결합의 제거에 대한 우선적인 변화로 인한 것이다.
중간체 5: 7 -(2-(3- 플루오로피롤리딘 -3-일)에틸)-1,2,3,4- 테트라히드로 -1,8-나프티리딘 (화합물 (V))
Figure 112017027864469-pct00029
10% 탄소상 팔라듐 (0.50 g)을 함유하는 에탄올 (70 ㎖) 중의 벤질 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VII, 중간체 4) (4.67 g, 12.2 mmol)의 교반된 용액을 수소 대기 하에서 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불완전한 탈보호를 나타냈으며, 추가의 10% 탄소상 팔라듐 (0.25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 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짙은 회색 현탁액으로서 존재하므로, 혼합물이 흑색이 될 때까지 DCM을 첨가하여 물질을 용해시켰다. 촉매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여과액 및 세정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으로부터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얻었다 (3.28 g): LCMS (시스템 A) RT=0.79 min, 90%, ES+ve m/z 250 (M+H)+. 그 후, 중간체 5의 배열은 (S)로서 설정되었으며, 화합물의 명칭은 (S)-7-(2-(3-플루오로피롤리딘-3-일)에틸)-1,2,3,4-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이다.
중간체 6: [7-(2-(3- 플루오로피롤리딘 -3-일)에틸)-1,2,3,4- 테트라히드로 -1,8-나프티리딘 (화합물 (V)) 메탄술폰산 염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0
화합물 (V)의 상기 염은 상기 화합물 (V)의 정제 방법으로서 생성 및 결정화시킬 수 있다.
2-부탄올 (5 ㎖)을 7-(2-(3-플루오로피롤리딘-3-일)에틸)-1,2,3,4-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 (화합물 (V)) (1.0 g, 4.0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완전한 용출이 달성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메탄술폰산 (0.260 ㎖, 4.01 mmol)을 따뜻한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80℃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그 후, 용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침전은 즉시 뚜렷하지 않으며, 그리하여 용액을 냉장고 (약 4℃)에서 추가로 냉각시켰다. 3 일 후, 상당량의 고체가 관찰되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분리하고, 저온 2-부탄올로 세정하고, 진공 하에서 추가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600 ㎎, 43%)을 담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A) RT=0.80 min, 100%, ES+ve m/z 250 (M+H)+; 키랄팩 AD 칼럼 (250 ㎜×4.6 ㎜)상의 분석 키랄 HPLC RT=8.41 min, 99.6% 및 RT=12.03 min, 0.4%, 40% EtOH-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함유), 유량 1 ㎖/min으로 용출시키며, 235 ㎚에서 검출함. 그 후, 중간체 6의 배열은 (S)로서 설정되었으며, 화합물의 명칭은 (S)-7-(2-(3-플루오로피롤리딘-3-일)에틸)-1,2,3,4-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 메탄술폰산 염이다.
중간체 7: (E)- 메틸 4- 아세톡시부트 -2- 에노에이트 (화합물 (V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1
MeCN (30 ㎖) 중의 아세트산나트륨 (3.5 g, 42 mmol)의 현탁액을 메틸 4-브로모크로토네이트 (알드리치) (3.33 ㎖, 5 g, 28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50℃로 3 일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에테르로 희석한 후, 여과하였다. 고체를 에테르로 세정하고, 합한 여과액 및 세정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증발 후, 잔류물을 에테르 및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상을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정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밝은 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 NMR은 생성물 및 출발 물질의 혼합물을 나타냈으며, 그리하여 아세트산나트륨 (3.44 g, 42 mmol)을 잔류 오일에 첨가한 후, MeCN (1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로 주말에 걸쳐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 및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용액을 물, 염수로 세정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55 g, 80%)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얻었다: NMR δ (CDCl3) 6.92 (1H, dt, J 16, 5 Hz), 6.01 (1H, dt, J 16, 2 Hz), 4.72 (2H, dd, J 5, 2 Hz), 3.73 (3H, s), 2.10 (3H, s).
중간체 8: (E)- 메틸 4-(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 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부트-2-에노에이트 (화합물 (II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2
DCM (2 ㎖) 중의 (E)-메틸 4-아세톡시부트-2-에노에이트 (화합물 (VI), 제조에 대하여서는 중간체 7 참조) (127 ㎎, 0.802 mmol), 7-(2-(3-플루오로피롤리딘-3-일)에틸)-1,2,3,4-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 (화합물 (V), 제조에 대하여서는 중간체 5 참조) (200 ㎎, 0.802 mmol) 및 PdCl2(dppf)-CH2Cl2 부가물 (65.7 ㎎, 0.080 mmol)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약 50% 전환율을 나타냈으며, DIPEA (0.279 ㎖, 1.60 mmol)를 첨가하고, 용액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LCMS는 생성물로의 거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냈다. 물질을 칼럼 상에 직접 로딩하고, 시클로헥산 중의 0-100% EtOAc의 구배로 용출시키는 크로마토그래피 (20 g 아미노 프로필 카트리지)에 의하여 20 분에 걸쳐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01.4 ㎎, 36%)을 얻었다: LCMS (시스템 A) RT=1.08 min, 95%, ES+ve m/z 348 (M+H)+. 중간체 8의 배열은 (S)인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명칭은 (S,E)-메틸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부트-3-에노에이트이었다.
중간체 9: (E,Z) (S)- 벤질 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프티리딘-2-일)비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 XXIII ))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3
디클로로메탄 (60 ㎖) 및 DMSO (5.86 ㎖, 83 mmol) 중의 (R)-(-)-벤질 3-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IX)] (우시 앱 태크로부터 입수 가능) (4.18 g, 16.50 mmol)의 교반된 용액을 DIPEA (14.41 ㎖, 83 mmol)로 질소 하에서 처리하였다. 얼음 배쓰 내에서 0-5℃로 냉각시킨 후, 피리딘 삼산화황 (5.40 g, 33.9 mmol)을 약 5 분에 걸쳐 일부분씩 첨가하였다. 용액은 담황색으로 변색되었으며, 교반을 약 0.5 시간 동안 지속하여 황색 오일을 얻었다. 용액을 묽은 HCl (50 ㎖)로 세정하고, 건조 (MgSO4)시켰다. 그 후, 트리페닐((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메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화합물 XVI, 중간체 2) (8.06 g, 16.47 mmol) 및 소량의 DCM (약 5 ㎖)을 첨가한 후, 시클로헥센 (3.81 ㎖)을 첨가하여 옅은 오렌지색 용액을 얻었다. 포타슘 tert-부톡시드 (19.80 ㎖, 19.80 mmol)를 상기 용액에 적가하여 크림색 현탁액을 얻었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DCM (20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200 ㎖) 및 염수 (200 ㎖)로 세정하고, 건조 (MgSO4)시킨 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켰다. 짙은 오렌지색 오일이 밤새 고형화되었으며, 디에틸 에테르 (약 30 ㎖)로 분쇄시킨 후, 여과하여 크림색 고체 및 황색 여과액을 얻었다. 여과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오렌지색 오일을 얻고, 이를 330 g 순상 실리카 카트리지에 가하고,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 (0-100% 에틸 아세테이트, 50 min에 걸쳐)로 용출시켰다. 분획 16-40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E) 및 (Z) 기하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 (3.953 g, 63%)을 담황색 껌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1.28 min, 50% 및 1.34 min, 46% ES+ve m/z 382 (M+H)+.
중간체 10: (R)- 벤질 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4
DMF (40 ㎖) 중의 (E 및 Z)-(S)-벤질 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비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9) (3.814 g, 10.00 mmol)의 교반된 용액을 질소 하에서 탄산칼륨 (5.53 g, 40.0 mmol)에 이어서 벤젠술포노히드라지드 (4.38 g, 25.4 mmol)로 처리하여 황색 액체를 얻었다. 혼합물을 10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되도록 하고,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크림색 슬러리를 얻었다. 이를 물 (100 ㎖)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0 ㎖) 사이에 분배시키고, 유기층을 물 (4×100 ㎖)로 추가로 세정하고, 건조 (MgSO4)시킨 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황색 오일 (3.261 g)을 얻었다. 이를 고 진공 라인 상에서 주말에 걸쳐 방치하였다 (2.982 g). 오일을 최소의 DMSO (약 3 ㎖) 중에 용해시키고, 120 g 역상 카트리지에 가하고, 10 mM 수성 중탄산암모늄 중의 10-100% (0.1% NH3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로 12 CV에 걸쳐 용출시켰다. 분획 6-9를 진공 하에서 부분적으로 증발시켜 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였다. 나머지 용액을 물 (40 ㎖) 및 DCM (60 ㎖)으로 희석한 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DCM (3×30 ㎖)으로 추가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킨 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145 g, 56%)을 담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1.25 min, ES+ve m/z 384 (M+H)+.
중간체 11: (R)-7-(2-(3- 플루오로피롤리딘 -3-일)에틸)-1,2,3,4- 테트라히드로 -1,8-나프티리딘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5
에탄올 (50 ㎖) 중의 (R)-벤질 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0 참조) (2.334 g, 6.09 mmol)의 용액을 10% 탄소상 팔라듐 (250 ㎎, 0.235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 하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시점에서 탄소상 팔라듐 (107.2 ㎎)을 더 첨가하였다. 반응을 밤새 교반하였다. DCM (약 3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하여 질소 하에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575 g)을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0.83 min, ES+ve m/z 250 (M+H)+.
중간체 12: ( R,E )- 메틸 4-(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일)부트-2-에노에이트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6
(E)-메틸 4-아세톡시부트-2-에노에이트 (중간체 7, 화합물 VI) (0.951 g, 6.01 mmol), (R)-7-(2-(3-플루오로피롤리딘-3-일)에틸)-1,2,3,4-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 (중간체 11) (1.520 g, 6.10 mmol), PdCl2(dppf)-CH2Cl2 부가물 (0.242 g,0.331 mmol) 및 아세트산칼륨 (2.083 g, 21.22 mmol)을 DCM (25 ㎖) 중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여 오렌지색 액체 (2.188 g)를 얻었다. 반응 혼합물을 DCM (50 ㎖) 및 물 (50 ㎖) 사이에 분배시키고, DCM (50 ㎖)으로 한번 더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수 (50 ㎖)로 세정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0-100% 에틸 아세테이트-시클로헥산의 구배를 사용하는 아미노프로필 카트리지 (50 g) 상에서 20 분에 걸쳐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59 g, 75%)을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1.07 min, ES+ve m/z 348 (M+H)+.
중간체 13: 메틸 4-((R)-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7
1,4-디옥산 (10 ㎖) 중의 (R,E)-메틸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부트-2-에노에이트 (중간체 12, 화합물 (R)-III) (0.8 g, 2.303 mmol), (3-(2-메톡시에톡시)페닐)보론산 (맨체스터 올개닉스, 에나민 또는 콤비-블록스(Combi-Blocks)로부터 입수 가능) (1.389 g, 7.09 mmol) 및 클로로(1,5-시클로옥타디엔)로듐(I) 이량체 (57 ㎎, 0.115 mmol)의 현탁액을 탈기시켰다. 1,4-디옥산 (3.33 ㎖) 중의 (R)-BINAP (0.173 g, 0.278 mmol) 및 3.8M 수산화칼륨 (1.515 ㎖, 5.76 mmol)의 용액을 탈기시켰다. 후자의 용액을 전자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90℃에서 질소 하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되도록 한 후, TBME (50 ㎖) 및 2M 염산 (30 ㎖)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상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염기화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30 ㎖)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아미노프로필 카트리지 (50 g) 상에 로딩된 최소의 DCM 중에 용해시키고, 20 분에 걸쳐 0-50% 에틸 아세테이트-시클로헥산의 구배로 용출시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0.7 g; 비 86:14)로서 담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1.29 min, ES+ve m/z 500 (M+H)+.
실시예의 제조
실시예 1: (S)-4-((S)-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및
실시예 2: (R)-4-((S)-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8
Figure 112017027864469-pct00039
(S,E)-메틸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부트-2-에노에이트 (중간체 8) (101.4 ㎎, 0.292 mmol), 3.8M KOH (aq) (0.230 ㎖, 0.876 mmol) 및 (3-(2-메톡시에톡시)페닐)보론산 (화합물 (IV) 에나민 엘엘씨로부터) (172 ㎎, 0.876 mmol)을 1,4-디옥산 (2 ㎖)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탈기시켰다. [Rh(COD)Cl]2 (7.20 ㎎, 0.015 mmol) 및 (R)-BINAP (21.81 ㎎, 0.035 mmol)를 1,4-디옥산 (2 ㎖) 중에 현탁시키고, 탈기시켰다. 상기의 반응물 용액을 후자의 촉매 용액에 질소 하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가열하고, 교반하였다 (50℃, 2 h). 그 후, 혼합물을 SCX 카트리지 (10 g) (1CV MeOH, 1CV MeCN으로 사전-상태조절함) 상에 로딩시키고, 10CV DMSO, 4CV MeCN으로 세정하고, MeOH 중의 2M NH3 (4CV)로 용출시켰다. 염기성 분획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고 진공 하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S)-메틸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타노에이트 (화합물 (II)) (131.3 ㎎, 93%)를 얻었다.
그 후, 상기 메틸 에스테르, 화합물 (II)을 THF (2 ㎖)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1M LiOH (1.459 ㎖, 1.459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카르복실산으로의 완전한 가수분해를 나타냈으며, 2M HCl (0.876 ㎖, 1.751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SCX 카트리지 (10 g) (1CV MeOH, 1CV MeCN으로 사전-상태조절함) 상에 로딩시키고, 4CV MeCN으로 세정하고, MeOH 중의 2M NH3 (4CV)로 용출시켰다. 염기성 분획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껌으로서 얻었다 (127 ㎎, 90%). 분석 키랄 HPLC RT=9.0 min, 88% 및 RT=13.8 min, 6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 함유)-헵탄, 유량=1.0 ㎖/min으로 용출시키고,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셀 OJ-H 칼럼 (4.6 ㎜ id×25 ㎝) 상에서 12%.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은 60% EtOH-헵탄, 유량=30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셀 OJ-H 칼럼 (3 ㎝×25 ㎝) 상의 정제용 키랄 HPLC에 의하여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의 2종의 개개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얻었다.
실시예 1 (78 ㎎, 55%): 분석 키랄 HPLC RT=9.0 min, 6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 함유)-헵탄, 유량=1.0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셀 OJ-H 칼럼 (4.6 ㎜ id×25 ㎝) 상에서 98.7%; LCMS (시스템 D) RT=0.52 min, 100%, ES+ve m/z 486 (M+H)+ 및 (시스템 C) RT=0.81 min, 92%, ES+ve m/z 486 (M+H)+ 1H NMR (CDCl3, 600MHz): δ 8.45 (br s, 1H), 7.21 (t, J=7.7 Hz, 1H), 7.16 (d, J=7.2 Hz, 1H), 6.86-6.73 (m, 3H), 6.31 (d, J=7.2 Hz, 1H), 4.12 (t, J=4.4 Hz, 2H), 4.08 (br s, 1H), 3.75 (td, J=4.7, 0.8 Hz, 2H), 3.73-3.68 (m, 1H), 3.47 (br s, 2H), 3.46 (d, J=1.1 Hz, 2H), 3.42 (br t, J=5.1 Hz, 2H), 3.00-2.85 (m, 2H), 2.82-2.75 (m, 1H), 2.70-2.66 (m, 1H), 2.63-2.57 (m, 1H), 2.73-2.55 (m, 3H), 2.49 (q, J=9.1 Hz, 1H), 2.45 (dd, J=11.9, 3.7 Hz, 1H), 2.23-1.97 (m, 4H), 1.95-1.80 (m, 3H), [α]D 20 + 51 (c = 0.72, 에탄올 중에서).
실시예 1의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을 측정하였으며, 화합물은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하기 참조)인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17027864469-pct00040
실시예 2 (10 ㎎, 7%): 분석 키랄 HPLC RT=12.5 min, 6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 함유)-헵탄, 유량=1.0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셀 OJ-H 칼럼 (4.6 ㎜ id×25 ㎝) 상에서 >99.5%; LCMS (시스템 C) RT=0.82 min, 84%, ES+ve m/z 486 (M+H)+. [α]D 20 - 28 (c = 0.50, 에탄올 중에서).
실시예 2의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을 측정하였으며, 화합물은 화학식 (R)-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인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17027864469-pct00041
실시예 3: (R)-4-((R)-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및
실시예 4: (S)-4-((R)-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Figure 112017027864469-pct00042
메탄올 (1 ㎖) 중의 메틸 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타노에이트 (중간체 13) (100 ㎎, 0.200 mmol)의 용액에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 (2M, 0.500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M 염산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pH 7로 산성화하였다. 용액을 물 (10 ㎖)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10 ㎖)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약간 끈적이는 무색 유리 (62 ㎎, 64%)를 얻었다: LCMS (시스템 A) RT=0.8 min, ES+ve m/z 486 (M+H)+. 분석 키랄 HPLC RT=7.4 min, 16% 및 RT=11.8 min, 60% EtOH-헵탄, 유량 1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셀 OJ 칼럼 (250 ㎜×4.6 ㎜) 상에서 84%.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헵탄 중의 50% EtOH, 유량 30 ㎖/min으로 용출시키는 키랄셀 OJ-H 칼럼 (250 ㎜×30 ㎜) 상에서 정제용 키랄 HPLC에 의하여 분리하여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실시예 3 및 4로서 얻었다.
실시예 3 (6 ㎎, 6%): LCMS (시스템 C) RT=0.80 min, 94%, ES+ve m/z 486 (M+H)+ ; 분석 키랄 HPLC RT=7.2 min, 60% EtOH-헵탄, 유량 1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셀 OJ 칼럼 (250 ㎜×4.6 ㎜) 상에서 >99.5%. (R)-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실시예 4 (33 ㎎, 34%): LCMS (시스템 C) RT=0.80 min, 100%, ES+ve m/z 486 (M+H)+; 분석 키랄 HPLC RT=11.8 min, 60% EtOH-헵탄, 유량 1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셀 OJ 칼럼 (250 ㎜×4.6 ㎜) 상에서 >99.5%. (S)-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실시예 5: (S)-4-((S)-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말레에이트
MeCN (100 ㎕)을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실시예 1) (112.7 ㎎)에 첨가하고, 60℃로 가열하였다. 본원과 동일자로 출원되며,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본 출원인의 출원에 기재된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모르폴리노페닐)부탄산 말레에이트 염의 씨드와 함께 말레산 (고체, ~1 당량, 26.82 ㎎)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용액을 60℃에서 3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용액을 60℃로부터 5℃로 매 5℃마다 1 시간으로 단계별로 냉각시키고, 5℃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하여 분리하고, 15 분 동안 공기-건조시켰다. 결정성 말레에이트 염의 수율은 ~41% (57.3 ㎎)이었다.
MeCN (300 ㎕)을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실시예 1) (298.54 ㎎)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에 말레산 (고체, ~1 당량, 71.05 ㎎)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0℃로 가열하여 맑은 용액을 얻었다. 말레에이트 염의 씨드 (상기에서 얻음)를 첨가하였으며, 씨드를 용해시켰다. 용액을 60℃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고, ~53℃로 서서히 냉각시키고, 다시 씨드 형성하였다. 씨드는 서서히 용해되었다. 용액을 5℃로 서서히 냉각시켜서 진한 현탁액을 얻었다. 그러한 현탁액에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900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일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하여 분리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정하고, 1 시간 동안 공기 건조시키고, 진공 오븐 내에서 40℃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결정성 말레에이트 염의 수율은 (352.9 ㎎, 95%)이었다.
실시예 6: (S)-4-((S)-3- 플루오로 -3-(2-(5,6,7,8- 테트라히드로 -1,8- 나프티리딘 -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시트라코네이트
Figure 112017027864469-pct00043
무수 아세토니트릴 (0.1 ㎖)을 주위 온도에서 용해되는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실시예 1) (505 ㎎, 1.04 mmol)에 첨가하였다. 시트라콘산 (28.4 ㎎, 0.218 mmol) (시그마(Sigma)로부터 입수 가능)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60℃로 가열하여 맑은 황색 용액을 얻은 후, ~50℃로 냉각시키고, 거기서 5 분 동안 유지하였다. 용액을 40℃로 냉각시킨 후, 교반하지 않으면서 말레에이트 염 (실시예 5)으로 씨드를 형성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냉장고에 넣은 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0.75 ㎖)로 처리하고, 2층이 관찰되었으며, 냉장고 (~3 내지 4℃)에 1 시간 동안 다시 넣은 후, 1 시간 냉동고 (-22 내지 -20℃)에 넣고, 냉장고에 4 일간 두었다. 침전/결정화가 발생하였으며, 액체를 피펫으로 제거하였으며, 고체를 밤새 공기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99 ㎎, 77%)을 백색 결정성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600 MHz, D2O) 7.53-7.50 (m, 1H), 7.39-7.35 (m, 1H), 7.01-6.98 (m, 1H), 6.97-6.94 (m, 2H), 6.57-6.55 (m, 1H), 5.84-5.82 (m, 1H), 4.21-4.18 (m, 2H), 3.81-3.79 (m, 2H), 3.77-3.69 (m, 1H), 3.68-3.61 (m, 2H), 3.66-3.57 (m, 2H), 3.52-3.42 (m, 1H), 3.44-3.41 (m, 2H), 3.41 (s, 3H), 3.44-3.40 (m, 1H), 2.87-2.77 (m, 2H), 2.77-2.74 (m, 2H), 2.66-2.61 (m, 1H), 2.57-2.52 (m, 1H), 2.44-2.35 (m, 1H), 2.29-2.17 (m, 1H), 2.28-2.16 (m, 2H), 2.01-1.97 (m, 3H), 1.91-1.86 (m, 2H); 융점: 103℃ (DSC)
생물학적 검정
세포 부착 검정
사용된 시약 및 방법은 하기 설명과 함께 (Ludbrook et al., Biochem . J. 2003, 369, 311 및 Macdonald et al., ACS Med Chem Lett 2014, 5, 1207-1212, αvβ8 검정의 경우)에 기재된 바와 같았다. 하기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리간드는 괄호내에 기재하였다: K562-α5β1 (피브로넥틴), K562-αvβ3 (LAP-b1), K562-αvβ5 (비트로넥틴), K562-αvβ6 (LAP-b1), K562-αvβ8 (LAP-b1). 부착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된 2가 양이온은 2 mM MgCl2이었다. 부착은 형광 염료 BCECF-AM (라이프 테크놀로지즈(Life Technologies))으로 표지된 세포에 의하여 정량화하였으며, 여기서 3×106 세포/㎖에서의 세포 현탁액을 0.33 ㎖/㎖의 30 mM BCECF-AM과 함께 37℃에서 1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50 ㎕/웰을 96-웰 검정 플레이트에 분배하였다. 검정 결말에서, 부착된 세포를 H2O 중의 0.5% 트리톤(Triton) X-100의 50 ㎕/웰을 사용하여 용해시켜 형광을 방출하였다. 형광 강도는 인비젼(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 (퍼킨 엘머(Perkin Elmer))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검정에서 활성 길항제의 경우 데이터를 IC50 측정에 대하여 4 파라미터 로지스틱 방정식에 핏팅하였다.
세포 부착 검정에서 실시예 1에 대한 친화도 (pIC50)는 αvβ6 pIC50 = 7.9; αvβ3 pIC50 = 7.4; αvβ5 pIC50 = 7.4; αvβ8 pIC50 = 7.5; αvβ1 pIC50 = 6.4이었다.
세포 부착 검정에서 실시예 2에 대한 친화도 (pIC50)는 αvβ6 pIC50 = 6.2; αvβ3 pIC50 = 5.9; αvβ5 pIC50 = 6.6; αvβ8 pIC50 = 5.8이었다.
세포 부착 검정에서 실시예 3에 대한 친화도 (pIC50)는 αvβ6 pIC50 = 5.4; αvβ3 pIC50 = 5.6; αvβ5 pIC50 = 5.0; αvβ8 pIC50 = 5.3이었다.
세포 부착 검정에서 실시예 4에 대한 친화도 (pIC50)는 αvβ6 pIC50 = 7.7; αvβ3 pIC50 = 6.3; αvβ5 pIC50 = 6.9; αvβ8 pIC50 = 7.3이었다.
언급된 수치는 평균 pIC50 값이다.
MDCK 세포에서의 투과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4 (모두 쯔비터이온으로서)의 수동 막 투과도는 매딘-다비 개과 신장-다약제 내성 1 (MDCKII-MDR1) 세포 중에서 pH 7.4에서 유효한 P-당단백질 억제제 GF120918의 존재하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을 이중으로 3 μM의 농도에서 각각의 테스트 경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러한 검정에서 실시예 1의 수동 겉보기 투과도 (Papp)는 71 ㎚/s (± 23 ㎚/s; n=3 테스트 경우)이며, 실시예 4의 경우 17 ㎚/s (n=2 테스트 경우)이었다.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실시예 1 및 실시예 4가 시험관내 αvβ6 세포 부착 검정에서 유사한 친화도 (실시예 1 pIC50 = 7.9; 실시예 4 pIC50 = 7.7)를 갖기는 하나, 이들은 MDCK 세포에서 상이한 투과도 (실시예 1 P=71 ㎚/s 및 실시예 4 P=17 ㎚/s)를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실시예 1이 생체내 약동학 연구에서 실시예 4에서보다 더 높은 경구 이용률을 갖는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절대 배열의 확인
3- 플루오로피롤리딘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의 확인
표적 분자 (IA)의 합성은 화학식 (IX)의 중간체의 각각의 거울상이성질체로 별도로 개시하였다. (IX)의 거울상이성질체는 우시 앱 태크로부터 구입하였다. (+)-벤질 3-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는 가장 높은 친화도를 갖는 (IA)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실시예 1 이성질체 A)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벤질 3-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IX)의 절대 배열은 공지되어 있지 않으며, 반응식 III에 상술된 하기 실험은 그의 배열을 설정하기 위하여 착수하였다.
산 (XVII)을 우선 카르보닐 디이미다졸 (CDI)과 반응시킨 후 (+)-(R)-α-메틸벤질아민과 반응시켜 1-(tert-부톡시카르보닐)-3-플루오로피롤리딘-3-카르복실산 (XVII) [화학 초록 등록 번호 1001754-59-1]의 라세미 혼합물 (우시 앱 태크로부터 입수 가능)을 N-α-메틸벤질 아미드로 전환시켰다. 이는 실리카 겔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리 가능한 아미드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반응식 3, 화합물 XVIII 및 XIX)을 제공하였다 (P.K. Mykhailiuk et al., Convenient synthesis of enantiopure (R) - and (S)-3-fluoro-3-aminomethylpyrrolidines, Tetrahedron 2014, 70, 3011-3017). 극성이 더 큰 이성질체의 배열은 Mykhailiuk 및 본 출원인 모두에 의하여 및 X-선 회절 시험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설정되었으며, (S)-tert-부틸 3-플루오로-3-(((R)-1-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VIII)]이며 (도 1), 극성이 더 적은 이성질체는 (R)-tert-부틸 3-플루오로-3-(((R)-1-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IX)]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이는 반응식 III에 제시된 순서에 의하여 얻은 화합물과의 비교를 위한 기준 물질을 제공하였다. 극성 이성질체 [화합물 (XVIII)]에 대한 본원의 X-선 데이터가 Mykhailiuk et.al.이 보고한 X-선 결정 구조와 일치하기는 하나, 1H NMR 스펙트럼은 본 출원인이 얻은 스펙트럼과는 상이하였다.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화합물 (XVIII) 및 (XIX)]에 대한 스펙트럼은 매우 유사하였으나, 피롤리딘 C4 양성자에 대한 작은 진단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출원인은 그를 2.22 ppm에서 관찰하였다. 이는 Mykhailiuk에 의하여 2.15 ppm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IA) 실시예 2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이성질체 1)를 제공하는, 화학식 (IX)의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 [(-)-벤질 3-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에탄올 중의 10% Pd/C 상에서 수소화시켜 CBZ 보호기를 제거하고, 생성된 아민 (XX)을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로 보호하여 (-)-tert-부틸 3-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XXI)를 얻었다. 후자를 아세토니트릴-물 중의 삼염화루테늄 및 과아이오딘산나트륨으로 산화시켰다. 그 후, CDI 및 (+)-(R)-α-메틸벤질아민을 사용하여 상기 생성된 카르복실산 (XXII)을 상기와 같은 아미드로 전환시켰다. 상기 아미드를 기준 아미드 샘플 (XVIII) 및 (XIX)과 비교하고, 이는 NMR 분광학, 광학 회전 및 키랄 HPLC에 의하여 (R)-tert-부틸 3-플루오로-3-(((R)-1-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XIX)와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한 시퀀스에 사용된 (IX)의 (-)-거울상이성질체는 부분입체이성질체 (IA3) 및 (IA4)를 제공하는 이성질체 (실시예 2)이므로, (IA1) 및 (IA2)를 제공하는 (IX)의 (+)-거울상이성질체 (실시예 1)는 피롤리딘 비대칭 중심에서 절대 배열 (S)을 갖는다.
<반응식 III>
3-플루오로피롤리딘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의 확인
Figure 112017027864469-pct00044
벤질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의 확인
실시예 1 이성질체 A의 벤질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은 하기 반응식 IV에 제시된 분해 실험에 의하여 얻었다. 그래서, 실시예 1 이성질체 A는 DCM 중의 메틸 아이오다이드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여 피롤리딘 질소를 4급화시킨 후, 탄산칼륨을 첨가하고, 120℃로 1 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반응기 내에서 가열하여 (S)-(+)-4-(3-(2-메톡시에톡시)페닐)디히드로푸란-2(3H)-온 (화합물 XXIV)을 얻었다. 분해 생성물은 촉매로서 비스(노르보르나디엔)로듐 (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키랄 리간드로서 (R)-BINAP를 사용하고, 통상의 하야시(Hayashi) 비대칭 반응 (Hayashi, T. Tetrahedron Asymmetry, 1999, 10, 4047-4056)을 사용하여 (3-(2-메톡시에톡시)페닐)보론산을 푸란-2(5H)-온에 첨가하여 생성된 정격 (R)-(-)-4-(3-(2-메톡시에톡시)페닐)디히드로푸란-2(3H)-온 (화합물 XXV)과 비교하였으며, 분해 생성물의 거울상이성질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하여 실시예 1 이성질체 A의 배열을 그의 벤질 중심에서 (S)로서 설정하였다.
<반응식 IV>
Figure 112017027864469-pct00045
시약 및 조건: i) MeI, DCM, 실온, 18 h; ii) K2CO3, 120℃, 1 h; iii) 비스(노르보르나디엔)로듐 (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R)-BINAP, KOH, 1,4-디옥산, 100℃, 1 h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각각의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을 확인하는 상기 실험에 기초하여, 각각의 실시예의 절대 배열은 하기와 같이 요약한다:
실시예 1은 화학식 (IA2)의 화합물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이다.
실시예 2는 화학식 (IA1)의 화합물 (R)-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이다.
실시예 3은 화학식 (IA3)의 화합물 (R)-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이다.
실시예 4는 화학식 (IA4)의 화합물 (S)-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이다.
실험
(S)- tert -부틸 3- 플루오로 -3-(((R)-1- 페닐에틸 ) 카르바모일 ) 피롤리딘 -1-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VIII ) 및 (R)- tert -부틸 3- 플루오로 -3-(((R)-1- 페닐에틸 )카르바모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IX)
THF (70 ㎖) 중의 (±)-1-(tert-부톡시카르보닐)-3-플루오로피롤리딘-3-카르복실산 (화합물 XVII) [1001754-59-1] (우시 앱 태크로부터 입수 가능) (3.00 g, 12.9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고체 CDI (2.5 g, 15.4 mmol)로 처리한 후, 혼합물을 80℃로 1.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R)-(+)-α-메틸벤질아민 (플루카(Fluka)로부터 입수 가능) (1.6 g, 13.2 mmol)을 상기 온도에서 첨가한 후, 혼합물을 추가의 1.5 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묽은 HCl, NaHCO3, 염수로 세정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서서히 실온에서 증발되도록 하였다. 고체가 결정화되지 않아 혼합물을 마지막으로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0-25% EtOAc-시클로헥산으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2×100 g) 카트리지 상에서 40 분에 걸쳐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1차로 용출되는 화합물은 백색 포옴 (1.54 g, 36%)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A) RT=1.17 min, ES+ve m/z 337 (M+H)+; 1H NMR (500 MHz, CDCl3) 1.43-1.49 (m, 9H), 1.54 (d, J=7.0 Hz, 3H), 2.08-2.19 (m, 1H), 2.37-2.62 (m, 1H), 3.43-3.56 (m, 1H), 3.61-3.93 (m, 3H), 5.14 (quin, J=7.1 Hz, 1H), 6.71-6.76 (m, 1H), 7.27-7.39 (m, 5H)는 약 10%의 극성이 더 큰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며; [α]D 20 +61 (c=1.27, MeOH 중에서); 분석 키랄 HPLC RT=7.58 min, 90% 및 RT=9.53 min, 10% EtOH-헵탄, 유량=1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팩 AD 칼럼 (250 ㎜×4.6 ㎜) 상에서 10%. 상기 샘플의 50 ㎎ 부분을 0-25% EtOAc-시클로헥산으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카트리지 (20 g) 상에서 20 분에 걸쳐 추가로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R)-tert-부틸 3-플루오로-3-(((R)-1-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IX)의 분석적으로 순수한 샘플 (30 ㎎)을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1.16 min, ES+ve m/z 337 (M+H)+ 및 354 (M+NH4)+ 및 ES-ve m/z 335 (M-H)-; [α]D 20 +63 (c=0.933, MeOH 중에서).
칼럼으로부터 용출되는 제2의 화합물 (극성이 더 큰 부분입체이성질체) (1.2 g, 28%)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시켜 (S)-tert-부틸 3-플루오로-3-(((R)-1-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VIII)의 백색 결정을 얻었다: mp=113-115℃; LCMS (시스템 C) RT=1.16 min, ES+ve m/z 337 (M+H)+; 1H NMR (500 MHz, CDCl3) 1.43-1.48 (m, 9H), 1.54 (d, J=7.0 Hz, 3H), 2.14-2.26 (m, 1H), 2.44-2.70 (m, 1H), 3.46-3.55 (m, 1H), 3.56-3.87 (m, 3H), 5.14 (quin, J=7.1 Hz, 1H), 6.73 (br s, 1H), 7.27-7.40 (m, 5H); [α]D 20 +73 (c=0.876, MeOH 중에서); 분석 키랄 HPLC RT=9.50 min, 10% EtOH-헵탄, 유량=1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팩 AD 칼럼 (250 ㎜×4.6 ㎜) 상에서 100%. 상기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절대 배열은 X-선 회절 시험으로부터 설정하였다.
(-)-(R)-(3- 플루오로피롤리딘 -3-일)메탄올 (화합물 XX )
화합물 (IX)의 (-)-이성질체인 (-)-N-CBZ-3-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의 용액 (우시 앱 태크로부터 입수 가능) (4.0 g, 15.8 mmol)을 에탄올 (150 ㎖) 중의 10% Pd/C (400 ㎎) 상에서 밤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셀라이트를 통한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에탄올로 세정하였다. 여과액 및 세정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0 g, 106%, NMR에 의하여 일부 에탄올을 함유함)을 황색 오일로서 얻고, 이를 왁스질 고체로 고화시켰다: LCMS (시스템 C) RT=0.22 min, ES+ve m/z 120 (M+H)+ 및 ES-ve m/z 118 (M-H)-. 생성물을 블로우-다운(blow-down) 유닛 내에서 질소 하에서 40℃에서 추가로 건조시켰다. 1H NMR (500 MHz, CDCl3) 3.82 (dd, J=18.7, 12.5 Hz, 1H), 3.73 (dd, J=22.0, 12.2 Hz, 1H), 3.22-3.15 (m, 1H), 3.23-3.14 (m, 1H), 2.99-2.92 (m, 1H), 2.91 (dd, J=29.1, 13.2 Hz, 1H), 2.66 (br s, 2H), 2.10-1.98 (m, 1H), 1.94-1.81 (m, 1H); [α]D 20 = -4 (c=1.19, EtOH 중에서).
(-)-(R)- tert -부틸 3- 플루오로 -3-( 히드록시메틸 ) 피롤리딘 -1-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XI)
DCM (15 ㎖)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13 ㎖, 23.7 mmol) 중의 (R)-(3-플루오로피롤리딘-3-일)메탄올 (화합물 XX) (1.88 g, 15.8 mmol)의 용액을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3.79 g, 17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2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M HCl 및 DCM 사이에 분배시키고, 상 분리기 카트리지 내에서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0-50% EtOAc-시클로헥산의 구배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카트리지 (70 g) 상에서 40 분에 걸쳐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분획을 실리카 (50% EtOAc-시클로헥산) 상에서 TLC에 의하여 체크하고, KMnO4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73 g, 79%)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0.79 min, ES+ve m/z 220 (M+H)+ 및 439 (2M+H)+; 1H NMR (400 MHz, DMSO-d6) δ 1.42 (s, 9H), 1.96-2.14 (m, 2H), 3.32-3.41 (m, 2H), 3.42-3.50 (m, 2H), 3.54-3.61 (m, 1H), 3.62-3.69 (m, H), 4.90 (t, J=5.8 Hz, 1H); [α]D 20 = -28 (c=3.51, CHCl3 중에서).
(R)- tert -부틸 3- 플루오로 -3-(((R)-1- 페닐에틸 ) 카르바모일 ) 피롤리딘 -1- 카르 복실레이트 (화합물 XIX)
MeCN (1 ㎖) 및 물 (1 ㎖) 중의 (-)-tert-부틸 3-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XI) (200 ㎎, 0.9 mmol)의 용액을 RuCl3 (9.5 ㎎, 0.05 mmol) 및 과아이오딘산나트륨 (976 ㎎, 4.5 mmol)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20℃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M HCl (5 ㎖)로 산성화하고, DCM 중에 분배하였다. 수성 상을 DCM으로 2회 재추출하고, 상을 상-분리 카트리지에서 분리하였다. 유기 용액을 블로우-다운 유닛 내에서 증발시켜 (R)-1-(tert-부톡시카르보닐)-3-플루오로피롤리딘-3-카르복실산 (화합물 XXII) (125 ㎎, 59%)을 얻었다: MS ES-ve m/z 232 (M-H)-. 산 (125 ㎎, 0.54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 중에 용해시키고, CDI (360 ㎎, 2.2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50℃에서 0.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블로우-다운 유닛 내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THF (6 ㎖) 중에서 용해시키고, (R)-(+)-α-메틸벤질아민 (200 ㎎, 1.9 mmol)으로 처리하고, 20℃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2M HCl 용액으로 2회에 이어서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 용액을 건조 (MgSO4)시키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회색 고체 (290 ㎎)를 얻었다. 잔류물을 MeOH-DMSO (1:1; 3 ㎖) 중에 용해시키고, 30 min 동안 전개하는 30-85% (수성 암모니아 용액으로 pH 10으로 조절한 물 중의 10 mM 중탄산암모늄-아세토니트릴)의 구배로 용출시키고, 254 ㎚에서 검출하고, RT=17.4 min의 피크를 수집하는 엑스셀렉트(XSELECT) CSH C18 칼럼 (150 ㎜×30 ㎜ i.d. 5 ㎛ 팩킹 직경) 상의 MDAP에 의하여 주위 온도에서 정제하였다. ES+ve m/z 337 (M+H)+. 분획을 블로우-다운 유닛 내에서 45℃에서 질소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 현탁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액을 2 M HCl로 2회, 그 후 염수로 세정하고, 건조 (MgSO4)시키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황색 껌 (35 ㎎)을 얻었다. 25 분 동안 전개하는 (수성 암모니아 용액으로 pH 10으로 조절한 물 중의 10 mM 중탄산암모늄-아세토니트릴)의 구배로 용출시키며, 254 ㎚에서 검출하며, 제1의 분획 (RT=10 min)을 수집하는 엑스브릿지 C18 칼럼 (100 ㎜×19 ㎜ i.d. 5 ㎛ 팩킹 직경) 상의 MDAP에 의하여 주위 온도에서 껌을 재정제하였다. 용매를 블로우-다운 유닛 내에서 질소 하에서 45℃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16 ㎎, 5%)을 무색 껌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C) RT=1.16 min, ES+ve m/z 337 (M+H)+, 354 (M+NH4)+; 분석 키랄 HPLC RT=7.58 min, 10% EtOH-헵탄, 유량=1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팩 AD 칼럼 (250 ㎜×4.6 ㎜) 상에서 97.7%; [α]D 20 +63 (c=1.15, MeOH 중에서). 1H NMR 스펙트럼 (500 MHz, CDCl3)뿐 아니라, 광학 회전 및 키랄 HPLC RT 모두는 (R)-tert-부틸 3-플루오로-3-(((R)-1-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XIX)의 것과 일치하였다.
(S)-(+)-4-(3-(2- 메톡시에톡시 )페닐) 디히드로푸란 -2(3H)-온 (화합물 XXIV ) 로의 분해에 의한 실시예 1의 벤질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의 측정
DCM (20 ㎖) 중의 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실시예 1 (200 ㎎, 0.412 mmol)의 용액을 아이오도메탄 (0.400 ㎖, 6.40 mmol)으로 실온에서 처리하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과잉의 아이오도메탄을 제거하고, 잔류 고체를 DCM (10 ㎖) 중에 재용해시킨 후, 탄산칼륨 (250 ㎎, 1.80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 내에서 120℃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 오일을 시클로헥산 중의 0-100% TBME의 구배로 용출시키며, 220 ㎚에서 검출하는 실리카 칼럼 (10 g)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관련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S)-(+)-4-(3-(2-메톡시에톡시)페닐)디히드로푸란-2(3H)-온 (화합물 XXIV) (80 ㎎, 82%)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B) RT=0.80 min, 100%, ES+ve m/z 237 (M+H)+; 1H NMR (400 MHz, CDCl3) 7.34-7.26 (m, 1H), 6.92-6.72 (m, 3H), 4.67 (dd, J= 9.0, 7.9 Hz, 1H), 4.28 (dd, J= 9.1, 8.1 Hz, 1H), 4.20-4.10 (m, 2H), 3.84-3.72 (m, 3H), 3.48 (s, 3H), 2.93 (dd, J=17.5, 8.7 Hz, 1H), 2.68 (dd, J= 17.5, 9.0 Hz, 1H); [α]D 22 =+42 (c=1.06, CHCl3 중에서); 키랄 HPLC RT=9.72 min, 헵탄 중의 40% EtOH, 유량=1 ㎖/min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팩 AD 칼럼 (250 ㎜×4.6 ㎜) 상에서 100%.
화합물 ( XXIV )과의 비교를 위한 정격 (R)-(-)-4-(3-(2- 메톡시에톡시 )페닐) 히드로푸란-2(3H)-온 (화합물 XXV)의 합성
1,4-디옥산 (10 ㎖) 중의 비스(노르보르나디엔)로듐 (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알드리치로부터 입수 가능) (37.4 ㎎, 0.100 mmol), (R)-BINAP (125 ㎎, 0.200 mmol) 및 (3-(2-메톡시에톡시)페닐)보론산 (에나민으로부터 입수 가능) (980 ㎎, 5.00 mmol)의 용액에 푸란-2(5H)-온 (알파 에이서로부터 입수 가능) (0.142 ㎖, 2.0 mmol) 및 수성 KOH (3.8 M, 1.053 ㎖, 4.0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00℃로 1 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반응기 내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되도록 하고, 물 (20 ㎖) 및 DCM (20 ㎖) 사이에 분배하였다. 층이 분리되었으며, 유기층을 소수성 프릿에 통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 오일을 시클로헥산 중의 0-100% TBME의 구배로 용출시키고, 220 ㎚에서 검출하는 KPNH 칼럼 (50 g)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45 분에 걸쳐 정제하였다. 관련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01 ㎎, 21%)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시스템 B) RT=0.80 min, 100%, ES+ve m/z 237 (M+H)+; [α]D 23 =-37 (c=1.10, CHCl3 중에서); 키랄 HPLC RT=11.82 min, 94% 및 RT= 9.67 min, 헵탄 중의 40% EtOH, 유량=1 ㎖/min으로 용출시키며, 215 ㎚에서 검출하는 키랄팩 AD 칼럼 (250 ㎜×4.6 ㎜) 상에서 6%, 이는 표제 화합물이 화합물 (XXIV)의 거울상이성질체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은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이다.
Figure 112017027864469-pct00046
그리고 실시예 2는 (R)-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이다.

Claims (16)

  1. 4-(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인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I>
    Figure 112017027864469-pct00047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A1, IA2, IA3 또는 IA4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A1>
    Figure 112017065039094-pct00048

    (R)-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화학식 IA2>
    Figure 112017065039094-pct00049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화학식 IA3>
    Figure 112017065039094-pct00050

    (R)-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및
    <화학식 IA4>
    Figure 112017065039094-pct00051

    (S)-4-((R)-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3. 제1항에 있어서,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인 하기 화학식 IA2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A2>
    Figure 112017027864469-pct00052
  4. 제1항에 있어서,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말레에이트 염인 화학식 I의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부탄산 시트레이트 염인 화학식 I의 화합물.
  6. 삭제
  7.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인간에서 폐 섬유증, 간 섬유증 또는 신장 섬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8.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인간에서 특발성 폐 섬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9.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인간에서 특발성 폐 섬유증을 예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를 위하여 적합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치료용 제약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77007738A 2014-09-26 2015-09-22 신규한 화합물 KR101998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417002.1A GB201417002D0 (en) 2014-09-26 2014-09-26 Novel compound
GB1417002.1 2014-09-26
PCT/EP2015/071776 WO2016046225A1 (en) 2014-09-26 2015-09-22 Novel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489A KR20170055489A (ko) 2017-05-19
KR101998000B1 true KR101998000B1 (ko) 2019-07-08

Family

ID=5190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738A KR101998000B1 (ko) 2014-09-26 2015-09-22 신규한 화합물

Country Status (36)

Country Link
US (3) US9956209B2 (ko)
EP (2) EP3197892B1 (ko)
JP (1) JP6611799B2 (ko)
KR (1) KR101998000B1 (ko)
CN (1) CN107074848B (ko)
AR (1) AR101994A1 (ko)
AU (1) AU2015320858B2 (ko)
BR (1) BR112017006251A2 (ko)
CA (1) CA2962315A1 (ko)
CL (1) CL2017000705A1 (ko)
CO (1) CO2017002714A2 (ko)
CR (1) CR20170112A (ko)
CY (1) CY1121071T1 (ko)
DK (1) DK3197892T3 (ko)
DO (1) DOP2017000081A (ko)
EA (1) EA031481B1 (ko)
ES (1) ES2690748T3 (ko)
GB (1) GB201417002D0 (ko)
HR (1) HRP20181796T1 (ko)
HU (1) HUE041827T2 (ko)
IL (1) IL250592A0 (ko)
JO (1) JO3413B1 (ko)
LT (1) LT3197892T (ko)
MA (1) MA40580B1 (ko)
MX (1) MX2017003948A (ko)
PE (1) PE20170502A1 (ko)
PH (1) PH12017500361A1 (ko)
PL (1) PL3197892T3 (ko)
PT (1) PT3197892T (ko)
RS (1) RS58000B1 (ko)
SG (1) SG11201701183YA (ko)
SI (1) SI3197892T1 (ko)
TW (1) TW201629056A (ko)
UA (1) UA119181C2 (ko)
UY (1) UY36314A (ko)
WO (1) WO2016046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5668D0 (en) 2013-03-28 2013-05-15 Glaxosmithkline Ip Dev Ltd Avs6 Integrin Antagonists
GB201417018D0 (en) 2014-09-26 2014-11-12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s
GB201417002D0 (en) 2014-09-26 2014-11-12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
GB201417011D0 (en) 2014-09-26 2014-11-12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s
GB201417094D0 (en) 2014-09-26 2014-11-12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s
GB201604589D0 (en) * 2016-03-18 2016-05-04 Glaxosmithkline Ip Dev Ltd Chemical compound
GB201604680D0 (en) * 2016-03-21 2016-05-04 Glaxosmithkline Ip Dev Ltd Chemical Compounds
GB201604681D0 (en) 2016-03-21 2016-05-04 Glaxosmithkline Ip Dev Ltd Chemical Compounds
EA038164B1 (ru) 2016-11-08 2021-07-16 Бристол-Маерс Сквибб Компани 3-замещенные пропановые кислот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интегрина v
EA201991121A1 (ru) 2016-11-08 2019-11-29 АЗОЛАМИДЫ И АЗОЛАМИН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ИНТЕГРИНОВ αV
EP3538519B1 (en) 2016-11-08 2021-07-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dazole derivatives as alpha v integrin antagonists
HUE053620T2 (hu) 2016-11-08 2021-07-28 Bristol Myers Squibb Co Pirrol amidok mint alfa-V integrin inhibitorok
TW201819378A (zh) 2016-11-08 2018-06-01 美商必治妥美雅史谷比公司 作為αv整合素抑制劑之含環丁烷及氮雜環丁烷之單及螺環化合物
WO2018119087A1 (en) 2016-12-23 2018-06-28 Pliant Therapeutics, Inc. Amino acid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AU2018229275B2 (en) 2017-02-28 2021-12-23 Morphic Therapeutic, Inc. Inhibitors of (alpha-v)(beta-6) integrin
WO2018160522A1 (en) 2017-02-28 2018-09-07 Lazuli, Inc. Inhibitors of (alpha-v)(beta-6) integrin
WO2018167295A1 (en) * 2017-03-17 2018-09-20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LIGANDS FOR INTEGRIN αvβ8, SYNTHESIS AND USES THEREOF
US11292802B2 (en) 2017-11-07 2022-04-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ubstituted tetrahydropyrrolo[1,2-a]pyrazines as alpha v integrin inhibitors
CN108208177A (zh) * 2017-11-28 2018-06-2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新华医院 含丁酸类化合物的组合物及其应用
UY38352A (es) * 2018-08-29 2020-03-31 Morphic Therapeutic Inc Inhibidores de integrina alfavbeta6
WO2020047207A1 (en) * 2018-08-29 2020-03-05 Morphic Therapeutics, Inc. Inhibitors of (alpha-v)(beta-6) integrin
TW202035400A (zh) * 2018-08-29 2020-10-01 美商莫菲克醫療股份有限公司 抑制αvβ6整合素
WO2020047208A1 (en) * 2018-08-29 2020-03-05 Morphic Therapeutic, Inc. Inhibitors of (alpha-v)(beta-6) integrin
US20210347898A1 (en) * 2018-10-09 2021-11-11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Use of alpha-v-integrin (cd51)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rdiac fibrosis
AU2019391097A1 (en) * 2018-12-04 2021-05-20 Sumitomo Pharma Oncology, Inc. CDK9 inhibitors and polymorphs thereof for use as agents for treatment of cancer
GB202010626D0 (en) 2020-07-10 2020-08-26 Univ Nottingham Compou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4797A1 (en) 1999-10-04 2001-04-12 Merck & Co., Inc.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WO2005082889A1 (en) 2004-02-18 2005-09-09 Janssen Pharmaceutica N.V. Piperidinyl targeting compounds that selectively bind integrin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36026B2 (en) 1997-12-17 2001-07-26 Merck & Co., Inc.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DE69829996T2 (de) 1997-12-17 2006-02-23 Merck & Co., Inc. (A New Jersey Corp.) Integrin-rezeptor-antagonisten
IL146378A0 (en) 1999-06-02 2002-07-25 Merck & Co Inc Alpha v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EP1194151A4 (en) 1999-06-23 2003-01-15 Merck & Co Inc ANTAGONISTS OF THE INTEGRIN RECEPTORS
JP2003513974A (ja) 1999-11-08 2003-04-15 メルク エンド カ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ミダゾリジノン系αv−インテグリン拮抗薬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用中間体
US6921767B2 (en) 2000-06-15 2005-07-26 Pharmacia Corporation Cycloalkyl alkanoic acids as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derivatives
JP2004511434A (ja) * 2000-06-15 2004-04-15 ファルマシア・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テグリン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ヘテロアリールアルカン酸
CA2416751A1 (en) 2000-07-26 2002-01-31 Merck & Co., Inc. Alpha v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AU2001290772A1 (en) 2000-09-14 2002-03-26 Merck And Co., Inc. Alpha v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JP2004517853A (ja) 2001-01-03 2004-06-17 メルク エンド カ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周病の治療方法及び治療用組成物
DE10112771A1 (de) 2001-03-16 2002-09-26 Merck Patent Gmbh Inhibitoren des Integrins alpha¶v¶beta¶6¶
MY130622A (en) 2001-11-05 2007-07-31 Novartis Ag Naphthyridi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phosphodiesterase isoenzyme 4 (pde4) inhibitors
BRPI0308585B8 (pt) 2002-03-13 2021-05-25 Biogen Idec Inc anticorpo isolado ou fragmento de ligação a antígeno do mesmo que se liga à alfavbeta6, composição, método de detecção in vitro de alfavbeta6 e construção de dna
MXPA05006727A (es) 2002-12-20 2005-09-08 Pharmacia Corp Acidos heteroarilalcanoicos como antagonistas de receptor de integrina.
US6932865B2 (en) 2003-04-11 2005-08-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ingle-crystal structures through free-form fabrication techniques
CA2680853C (en) 2007-03-23 2012-07-17 Amgen Inc. 3- substituted quinoline or quinoxal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 inhibitors
US8563566B2 (en) 2007-08-01 2013-10-22 Valeant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Naphthyridine derivatives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EP2211615A4 (en) 2007-10-22 2010-10-13 Glaxosmithkline Llc PYRIDOSULFONAMIDE DERIVATIVES AS PI3 KINASE INHIBITORS
WO2011111880A1 (ko) 2010-03-08 2011-09-15 주식회사 메디젠텍 세포핵에서 세포질로의 gsk3의 이동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포핵에서 세포질로의 gsk3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GB201305668D0 (en) * 2013-03-28 2013-05-15 Glaxosmithkline Ip Dev Ltd Avs6 Integrin Antagonists
EP3052515A4 (en) 2013-09-30 2017-03-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ti-alphavbeta1 integrin compounds and methods
GB201417011D0 (en) 2014-09-26 2014-11-12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s
GB201417002D0 (en) * 2014-09-26 2014-11-12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
GB201417094D0 (en) 2014-09-26 2014-11-12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s
GB201417018D0 (en) 2014-09-26 2014-11-12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s
KR102647026B1 (ko) 2015-02-19 2024-03-12 사이플루어 라이프 사이언시즈, 인크 플루오르화 테트라히드로나프티리디닐 노난산 유도체 및 이의 용도
US10214522B2 (en) 2015-03-10 2019-02-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ti-alphavbeta1 integrin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GB201604589D0 (en) 2016-03-18 2016-05-04 Glaxosmithkline Ip Dev Ltd Chemical compound
GB201604680D0 (en) 2016-03-21 2016-05-04 Glaxosmithkline Ip Dev Ltd Chemical Compou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4797A1 (en) 1999-10-04 2001-04-12 Merck & Co., Inc.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WO2005082889A1 (en) 2004-02-18 2005-09-09 Janssen Pharmaceutica N.V. Piperidinyl targeting compounds that selectively bind integr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170502A1 (es) 2017-04-27
CL2017000705A1 (es) 2017-11-03
UA119181C2 (uk) 2019-05-10
CO2017002714A2 (es) 2017-06-30
AU2015320858A1 (en) 2017-03-09
WO2016046225A1 (en) 2016-03-31
EP3428167A1 (en) 2019-01-16
US10342783B2 (en) 2019-07-09
ES2690748T3 (es) 2018-11-22
JO3413B1 (ar) 2019-10-20
AR101994A1 (es) 2017-01-25
TW201629056A (zh) 2016-08-16
US20180271845A1 (en) 2018-09-27
SG11201701183YA (en) 2017-04-27
CN107074848A (zh) 2017-08-18
EP3197892B1 (en) 2018-09-05
CN107074848B (zh) 2019-11-01
KR20170055489A (ko) 2017-05-19
DOP2017000081A (es) 2017-04-30
HRP20181796T1 (hr) 2018-12-28
EA031481B1 (ru) 2019-01-31
GB201417002D0 (en) 2014-11-12
IL250592A0 (en) 2017-04-30
HUE041827T2 (hu) 2019-05-28
MA40580A (fr) 2017-08-02
BR112017006251A2 (pt) 2017-12-12
EA201790715A1 (ru) 2017-07-31
DK3197892T3 (en) 2018-11-26
US9956209B2 (en) 2018-05-01
CY1121071T1 (el) 2019-12-11
JP2017528507A (ja) 2017-09-28
UY36314A (es) 2016-04-29
MA40580B1 (fr) 2018-09-28
PH12017500361B1 (en) 2017-07-17
CR20170112A (es) 2017-05-26
MX2017003948A (es) 2017-06-26
US20190275016A1 (en) 2019-09-12
LT3197892T (lt) 2018-12-10
SI3197892T1 (sl) 2018-12-31
PT3197892T (pt) 2018-12-12
EP3197892A1 (en) 2017-08-02
JP6611799B2 (ja) 2019-11-27
AU2015320858B2 (en) 2018-10-18
RS58000B1 (sr) 2019-01-31
CA2962315A1 (en) 2016-03-31
PH12017500361A1 (en) 2017-07-17
PL3197892T3 (pl) 2019-05-31
US20170290817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000B1 (ko) 신규한 화합물
EP3197893B1 (en) Naphthyridine derivatives as alpha v beta 6 integrin ant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e.g. fibrotic diseases
EP3197895B1 (en) Naphthyridine derivatives as alpha v beta 6 integrin ant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fibrotic diseases
KR20180127979A (ko) 화합물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 부탄산의 시트레이트 염
KR20170053638A (ko) 예를 들면 섬유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알파 v 베타 6 인테그린 길항제로서 나프티리딘 유도체
JP2019509305A (ja) インテグリン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ナフチリジン
Anderson et al. Compounds α v β 6 integrin antagon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