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015B1 -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015B1
KR101992015B1 KR1020170111515A KR20170111515A KR101992015B1 KR 101992015 B1 KR101992015 B1 KR 101992015B1 KR 1020170111515 A KR1020170111515 A KR 1020170111515A KR 20170111515 A KR20170111515 A KR 20170111515A KR 101992015 B1 KR101992015 B1 KR 10199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belt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486A (ko
Inventor
심명순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심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순 filed Critical 심명순
Priority to KR102017011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0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입출고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이동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적재부를 향하여 전후 이동하며 중량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 및 이동 유닛이 고정되며 좌우로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대면(對面)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이동 유닛으로부터 중량물을 반출시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유닛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본 발명은 자동창고에 사용되는 물품을 탑재 및 하역하는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창고는 컴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관리되는데, 다수의 적재 공간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다수의 적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종류 및 개수 등을 컴퓨터에서 인식하여 자동으로 가져오거나 저장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창고는 중량의 물품을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경우에는 이동시에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일예로, 수십 톤(TON)이 넘는 철 제품을 운반하는 경우에 제품의 하중에 의해 자동창고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로 움직이게 되면 물품을 운반하는 동안 자동창고의 일 부분이 손상되게 된다.
다시 말해, 수직 포스트를 감싸면서 승하강하는 부품이 있다면 상기 수직 포스트에 접촉되면서 수직 포스트 또는 이와 접촉하는 다른 부품이 손상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량물을 반출시에는 호이스트(hoist) 또는 크레인(crane)과 같은 장치로 반출하는데,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과 같은 설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로 반출하는데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을 운반하더라도 기울어짐이 없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이동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적재부를 향하여 전후 이동하며 중량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 및 이동 유닛이 고정되며 좌우로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대면(對面)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이동 유닛으로부터 중량물을 반출시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유닛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에 적재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벨트가 구비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벨트부; 및 상기 제1 벨트부와 분리되어 상기 제1 벨트부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이 적재되고 전후로 이동가능한 적재 프레임; 및 상기 적재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접촉부; 및 일 단부는 상기 접촉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의 단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가 상기 접촉부 상에서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의 양 단부는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벨트부 및 제2 벨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는 상기 중량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중량품(重量品)을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운반시에도 흔들림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수직 포스트에 고정시키고, 플레이트에 구름접촉하는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수직 포스트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동 유닛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롤러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유닛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정 프레임을 더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호이스트와 같은 설비가 없는 경우에 종래의 입출고장치에 추가적인 프레임을 구비하여 적재 및 반출 대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받침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정 프레임을 이용한 중량물 이송시에 입출고장치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이드부재에 의해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가 수직 포스트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과 고정 프레임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 프레임 주변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받침부와 접촉되는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윗부분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동창고에 물품을 입출고시키는 장치가 개시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 (이하 입출고장치(100)라 칭하기로 한다.)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130)과, 일측은 상기 이동 유닛(1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과 함께 승하강하도록 하고, 타측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감싸도록 외측부(143), 내측부(144), 전면부(141) 및 후면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143), 내측부(144), 전면부(141) 및 후면부(142)의 내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지지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 중 하나에 측면지지부(140)가 형성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쪽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 모두에 측면지지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출고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중심으로 적재부(105)에 인접한 면을 전면(111)이라 칭하고, 전면(111)과 반대의 면을 후면(112)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111)과 후면(112)을 잇는 양 측면 중, 입출고장치(100)의 외측에 형성된 면을 외측면(113), 상기 외측면(113)과 반대의 면으로 입출고장치(100)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내측면(114)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111)과 대향하는 전면부(141), 수직 포스트(110)의 후면(112)과 대향하는 후면부(142),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과 대향하는 외측부(143),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대향하는 내측부(144)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이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상단부, 특히 외측부(143)의 상면은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연결부(120)는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이동 유닛(130)이 이동하면서 적재부(105)에 중량품(重量品)을 저장하거나 반출하기도 한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중량품이 탑재된 상태로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을 하게 된다. 만약, 적재부(105)에 구비된 중량품이 상기 이동 유닛(130)에 탑재되면 상기 이동 유닛(130)은 전후 방향으로 다소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130)이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측면지지부(140)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에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수직 포스트(110)의 넓은 영역에 걸쳐 손상을 입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이동 유닛(13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플레이트(151,152)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140)에는 상기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동 유닛(130)이 수직 포스트(1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구름가능한 롤러가 수직 포스트(110)의 플레이트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151,152)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중량품을 이송하는 장치인 만큼 철재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프레임(frame) 형태의 골격을 가지거나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중량품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거나 전후 이동하게 되며, 상기 측면지지부(1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지지부(140)와 일체로 승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에 구비되고, 작동하기 전의 최초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유닛(130)의 중간 정도의 지점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동 유닛(130)이 최초 상태에서 승하강시에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중량품을 이동 유닛(130)에 탑재하거나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적재부(105)에 저장되어 있던 중량품을 상기 이동 유닛(130)에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유닛(130)은 최초 상태에서 상승한 다음 적재부(105)로 전진 이동하고 중량품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allet)를 들어올린 다음 후진 이동하여 상기 이동 유닛(130)의 중심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 중량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방으로 다소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 유닛(130)과 연결되어 있는 측면지지부(140)의 내측면 중 일부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유닛(130)이 측면지지부(14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적재부(105)에 중량품을 적재하기 위한 과정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다만, 적재부(105)로 저장하는 과정에서는 적재부(105)에서 반출하는 과정과는 반대로, 측면지지부(140)와 수직 포스트(110)가 접촉하는 면이 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플레이트(151,152)를 부착하고, 상기 플레이트(151,152)와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161,163)를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배치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에 배치된 제1 플레이트(151)와 접촉하는 롤러부를 제1 롤러부(161)라 칭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후면에 배치된 제2 플레이트(152)와 접촉하는 롤러부를 제2 롤러부(163)라 칭하기로 한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143)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인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는 각각 상기 외측부(143)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며 쌍으로 형성된다. 도 4는 측면지지부(140)의 전면부(141)와 후면부(142)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140)가 수직 포스트(110)를 감싼 상태의 사시도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롤러부(163)가 상하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다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보다 견고하게 수직 포스트(110)에 접촉될 수 있으며, 롤러에 작용하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롤러부(161) 및 제2 롤러부(163)는 각각 3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롤러부(161) 및 제2 롤러부(163)의 롤러들은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외측부(143)의 외부에서 관통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외측부(143)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 리벳 등의 부품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151)와 제2 플레이트(152)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수직 포스트(110)에 고정되며, 용접 또는 다른 접착수단에 의해 수직 포스트(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151) 및 제2 플레이트(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을 전부 덮을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소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에까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제3 롤러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평면도인데,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에 구름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거나 수직 포스트(110)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가 수직 포스트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인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각각 동시에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를 포함하는데, 상기 한 쌍의 롤러(165a)가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결합될 수도 있고, 각각의 롤러(165c)가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65b,165d)는 상기 외측부(143)에 고정된다.
만약, 한 쌍의 롤러(165a)가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는 지지부재에(165b)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보다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하나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롤러는 후술하는 제4 롤러부(167)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165c)가 각각 분리된 독립된 지지부재(165d)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각각의 롤러(165c)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143)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가 수직 포스트(110)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인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한 쌍의 롤러(165c)가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부(143)의 내측벽(147)에 홀(148)이 형성되고, 상기 홀(148)을 관통하여 한 쌍의 롤러(165c)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롤러부(165)도 앞선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부(143)의 상면에는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한 쌍의 롤러(165a)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143)의 중간 일 영역(지점)에는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분리 형성된 한 쌍의 롤러(165c)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제3 롤러부(165)가 외측부(143)의 상면과 중간 일 지점의 2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3 롤러부(165)의 롤러 형성 개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별개의 평판 플레이트(미도시)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제3 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140)에는 상기 제3 플레이트와 구름 접촉하는 제3 롤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 플레이트를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3 롤러부(165)는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롤러부(161), 제2 롤러부(163) 또는 제4 롤러부(167)와 같이 하나의 롤러가 제3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4개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지지부(140)에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는 롤러를 설치하는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대향하는 내측부(144)에도 롤러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는 상기 내측부(144)에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제4 롤러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롤러부(167)의 롤러는 상기 제3 롤러부(165)의 롤러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두께를 이루는 면에 구름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에 제4 플레이트(154)를 형성하여 상기 제4 플레이트(154)에 구름 접촉하는 제4 롤러부(167)를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플레이트(154)를 설치하여 제4 롤러부(167)를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의 롤러들의 접촉만 이루어지면 충분하므로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111)과 후면(112)을 모두 덮을 필요는 없으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롤러부(165)와의 접촉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에서부터 내측 단부까지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내측 일 지점까지만 형성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에 작용하는 힘이 제3 롤러부(165) 및 제4 롤러부(167)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므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를 구성하는 롤러는 상기 제3 롤러부(165) 및 제4 롤러부(167)를 구성하는 롤러보다 크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측면지지부(140)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부(143)는 체인(19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하부 스프로킷(191)과 상기 연결부(120)에 설치되는 상부 스프로킷(19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 및 이동 유닛(130)이 승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외측부(143)에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145)에 형성된 제1 체결구(171) 및 제2 체결구(172)에 체인(195)의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195)은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스프로킷(191)과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스프로킷(192)에 체인 결합하면서 상기 이동 유닛(130)과 측면지지부(14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195)은 상기 플랜지(145)에 형성된 홀(146)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70)의 일측에는 제1 구동부(196)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196)에 연결된 체인(198)에 의해 회전축(197)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스프로킷(19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체인(195)에 의해 상기 하부 스프로킷(191)을 회전시킴으로써 측면지지부(14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97)은 상기 연결부(120)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196)에 구비되는 구동 스프로킷(196a)과 상기 회전축(197) 상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로킷(197a)이 상기 체인(198)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97)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35)을 횡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수직 포스트(110), 이동 유닛(130), 지지 프레임(135) 및 연결부(120)가 일체로 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7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롤러(180)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부 레일(102)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130)과 고정 프레임(200)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 프레임(200) 주변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6에서는 고정 프레임(200)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도 7 이하에서는 고정 프레임(200)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130)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 및 이동 유닛(130)이 고정되며 하부 레일(101)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106)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에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이동 유닛(130)으로부터 중량물을 반출시 상기 중량물을 받치는 고정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재(106)와 이격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량물(重量物)을 적재부(105)에 적재하거나 적재부(105)로부터 반출하기 위한 이동 유닛(130) 이외에, 상기 이동 유닛(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중량물을 상기 이동 유닛(130)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이동 유닛(130)으로부터 중량물을 이송받는 고정 프레임(200)을 더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적재부(105)에 중량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고정 프레임(200)에 놓여진 중량물을 이동 유닛(130)에 이동시키거나, 적재부(105)로부터 중량물을 반출하는 과정에서 이동 유닛(130)에 놓여진 중량물을 고정 프레임(200)에 이동시키게 된다.
이는 이동 유닛(130)에 중량물을 싣거나 내릴 때 천정에 매달려 있는 호이스트(hoist)와 같은 설비가 없는 경우에는 지게차(fork lift)와 같은 장비로 중량물을 운반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적재 설비로써 고정 프레임(200)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중량물을 탑재하거나 탑재된 중량물을 외부로 반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06) 및 상기 이동 유닛(130)은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데, 상기 베이스부재(106) 및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최초 상태 또는 제1 상태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때는 상기 베이스부재(106)와 고정 프레임(200)이 서로 대면(對面)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베이스부재(106)가 이동하게 되면 고정 프레임(200)과 베이스부재(106)는 정면으로 대면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제2 상태라 칭하기로 한다. 즉, 최초 상태를 제1 상태, 그 외의 상태를 제2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유닛(130)과 연계하여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200)이 상기 베이스부재(106)와 대면(對面)한 제1 상태에서 상기 이동 유닛(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이동 유닛(130)으로부터 중량물을 반출시 상기 중량물이 안착된다.
이때, 도 10는 도 9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130)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130)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유닛(130)은 상기 이동 유닛(130)에 적재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벨트가 구비되며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벨트부(132)와, 상기 제1 벨트부(132)와 분리되어 상기 제1 벨트부(132)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1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30)은 중량물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제1 벨트부(132)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벨트부(132)보다 더 큰 영역을 차지하는 이동 프레임(1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프레임(131)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1 벨트부(132)와는 높이가 중첩된 상태로 된다.
상기 제1 벨트부(132)는 베이스부재(106)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6)가 좌우로 이동시에 베이스부재(106)와 일체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131)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측면지지부(1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가 상기 베이스부재(106)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부재(106) 이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106), 상기 제1 벨트부(132)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이동 프레임(131)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벨트부(132)와는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발생시킨다. 상기 이동 프레임(131)은 상기 중량물이 적재되고 전후로 이동가능한 적재 프레임(133)과, 상기 적재 프레임(133)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 상에서 적재부(105)를 향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중량물을 상기 적재부(105)로 인입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량물을 적재부(105)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량물은 상기 이동 프레임(131),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재 프레임(133)에 탑재된 상태로 위로 이동하게 되고,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적재 프레임(133)이 적재부(105)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적재부(105)에 중량물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지지 프레임(135) 상에서 후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 또는 중량물이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135)에 걸림부(137)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137)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의 외측 단부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재 프레임(133) 또는 중량물이 미끄러지는 경우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이동 유닛(130)은 제1 벨트부(132), 적재 프레임(133), 및 지지 프레임(135)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과는 분리된 채로 지지 프레임(135)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한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35)은 이동 유닛(130) 중 상기 적재 프레임(133)과 일체로 승하강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35)은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하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적재 프레임(133)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고장치(100)는 상기 이동 유닛(13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벨트부(132)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벨트부(132)의 하부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136)가 구비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2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접촉부(221)와, 일 단부는 상기 접촉부(221)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132)의 단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136)가 상기 접촉부(221) 상에서 구름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136)가 상기 접촉부(221)에 접촉함으로써 중량물이 상기 이동 유닛(130)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량물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롤러(136) 및 받침부(220)가 없다면 중량물에 의해 상기 이동 유닛(130)이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이동 유닛(130)을 포함한 입출고장치(100)가 손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유닛(130)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131)과 베이스부재(106)가 동시에 이동한다. 예를 들면, 도 7은 입출고장치(10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최초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200), 이동 유닛(130), 베이스부재(106)가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을 적재부(105)에 적재하기 위하여 베이스부재(106)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동 프레임(131)이 상승한다. 이때는 좌로 이동과 위로 이동하는 것의 조합인데, 베이스부재(106)가 좌로 이동한 후 이동 프레임(131)이 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프레임(131)이 먼저 위로 상승한 후 베이스부재(106)가 좌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 순서를 정하여 순서대로 한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다른 단계를 작동시키게 되면, 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프레임(131)과 베이스부재(106)가 동시에 이동가능하도록 하였다. 물론, 이는 베이스부재(106)의 이동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이동 프레임(131)과 베이스부재(106)가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벨트부(132)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136)는 반드시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221)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21)과의 슬라이딩 접촉 구간이 작으면 상기 롤러(136)가 상기 접촉부(221) 상에서 불안정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22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136)가 상기 접촉부(221)에 매끄럽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221)의 양 단부가 경사지도록 형성하였다. 즉, 상기 접촉부(221)의 단부는 경사면(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22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러(136)가 접촉부(221)와 최초로 접촉하는 시점에서 큰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량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이동 유닛(130)이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중량물이 고정 프레임(200)에서 이동 유닛(130)으로 이동하거나, 이동 유닛(130)에서 고정 프레임(2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중량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13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벨트부(21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상기 제2 벨트부(210) 외에도 상기 제2 벨트부(21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곽 프레임(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벨트부(132)와 제2 벨트부(210)의 높이가 상이하게 되면 상기 중량물이 이동시에 덜컹거리게 되어 중량물과 입출고장치(100)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135)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이동 유닛(130) 간의 중량물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이송 롤러(1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롤러(139)는 평상시에는 팔레트(230)가 이동을 못하도록 막는 기능을 수행하나, 팔레트(23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송 롤러(139)가 내려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량물을 반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 중량물이 실린 팔레트(230)가 탑재되고, 중량물이 탑재된 상태로 적재 프레임(133)이 정면을 항하여 지지 프레임(135)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걸림부(137)까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전후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베이스부재(106)가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대면되도록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 프레임(131)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 프레임(131)이 상하 이동과 동시에 좌우 이동을 하여, 상기 적재 프레임(133)과 고정 프레임(200)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벨트부(132)와 제2 벨트부(210)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일직선 상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과 고정 프레임(200)이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게 되면, 이동 프레임(131)이 보다 하강하게 되어 상기 제1 벨트부(132)와 상기 이송 롤러(139)의 높이가 같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팔레트(230)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서 제1 벨트부(132)로 안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벨트부(132)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팔레트(230)는 제1 벨트부(132) 및 이송 롤러(139)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2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벨트부(210)도 제1 벨트부(132)와 함께 구동된다.
중량물을 적재부(105)에 적재하는 과정은 상기 과정을 거꾸로 진행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량물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이동 유닛(130) 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217)는 상기 이동 유닛(130) 및 고정 프레임(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벨트부(132)와 제2 벨트부(210)는 상면이 넙적한 다수의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져 있어, 중량물이 안착된 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일반적으로는 중량물이 안착된 팔레트(pallet)(230)가 직접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벨트부(210)의 벨트(211)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213)가 고정 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213)가 스프로킷(212)을 구동시키면, 연결축(2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던 다른 스프로킷(212)도 동시에 구동되어 제2 벨트부(21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 벨트부(132)의 경우에도 동일하며, 상기 제1 벨트부(13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131)의 단부에는 이동 프레임(131)의 보호를 위한 충돌 방지부(13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입출고장치, 101: 하부 레일, 102: 상부 레일, 105: 적재부, 106: 베이스부재, 107: 롤러, 110: 수직 포스트, 111: 전면, 112: 후면, 113: 외측면, 114: 내측면, 120: 연결부, 130: 이동 유닛, 131: 이동 프레임, 132: 제1 벨트부, 133: 적재 프레임, 135: 지지 프레임, 136: 롤러, 137: 걸림부, 138: 충돌 방지부, 139: 이송 롤러, 140: 측면지지부, 141: 전면부, 142: 후면부, 143: 외측부, 144: 내측부, 151: 제1 플레이트, 152: 제2 플레이트, 154: 제4 플레이트, 161: 제1 롤러부, 163: 제2 롤러부, 165: 제3 롤러부, 165a: 제1 롤러, 165b: 지지부재, 167: 제4 롤러부, 170: 지지부, 171: 제1 체결구, 172: 제2 체결구, 191: 하부 스프로킷, 192: 상부 스프로킷, 195: 체인, 196: 제1 구동부, 197: 회전축, 200: 고정 프레임, 210: 제2 벨트부, 211: 벨트, 212: 스프로킷, 213: 구동부, 214: 연결축, 215: 외곽 프레임, 217: 가이드부재, 220: 받침부, 221: 접촉부, 223: 고정부, 224: 경사면, 230: 팔레트

Claims (6)

  1.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이동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적재부를 향하여 전후 이동하며 중량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적재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벨트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 이동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벨트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 및 제1 벨트부가 고정되며 하부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대면(對面)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이동 프레임으로부터 중량물을 반출시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1 벨트부와 고정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벨트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이 적재되고 전후로 이동가능한 적재 프레임; 및
    상기 적재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접촉부; 및
    일 단부는 상기 접촉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의 단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가 상기 접촉부 상에서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양 단부는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부 및 제2 벨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는 상기 중량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20170111515A 2017-08-31 2017-08-31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99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15A KR101992015B1 (ko) 2017-08-31 2017-08-31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15A KR101992015B1 (ko) 2017-08-31 2017-08-31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486A KR20190024486A (ko) 2019-03-08
KR101992015B1 true KR101992015B1 (ko) 2019-06-21

Family

ID=6580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15A KR101992015B1 (ko) 2017-08-31 2017-08-31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957B1 (ko) * 2020-03-20 2021-07-08 태양산업 주식회사 텔레스코픽식 로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14A (ja) * 2000-05-10 2001-11-13 Okamura Corp ロータリーラックにおける荷の払出し装置
JP2002326709A (ja) 2001-04-27 2002-11-12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及びその棚
US20060237292A1 (en) * 2005-04-22 2006-10-26 Laitram, L.L.C. Converting a pre-existing conveyor frame into a belt conveyor
KR101363836B1 (ko) * 2005-11-18 2014-02-17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스토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7U (ja) * 1991-06-21 1993-01-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自動倉庫用入出庫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14A (ja) * 2000-05-10 2001-11-13 Okamura Corp ロータリーラックにおける荷の払出し装置
JP2002326709A (ja) 2001-04-27 2002-11-12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及びその棚
US20060237292A1 (en) * 2005-04-22 2006-10-26 Laitram, L.L.C. Converting a pre-existing conveyor frame into a belt conveyor
KR101363836B1 (ko) * 2005-11-18 2014-02-17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스토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486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828B1 (ko) 물류 자동화 창고
KR101965209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2006528120A (ja) 非パレット方式の貨物保管システムの入出庫用積載台
JP2016003069A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KR101992015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2692414B2 (ja) トレーへの荷積み卸し設備
KR101912916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946907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2006315829A (ja) 自動倉庫
KR101588567B1 (ko)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KR102212047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2003063632A (ja) コンベヤ装置、および、物品搬送設備
JP4378640B2 (ja) 搬送設備
KR102072848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3807255B2 (ja) 棚設備
JP3603986B2 (ja) 自動倉庫の物品搬送システム
JP3417530B2 (ja) コンベヤ装置
JP2008081240A (ja) 段積み装置
JPS6015306A (ja) 搬送装置
JPS61178305A (ja) 板材の供給システム
JP2002240909A (ja) 荷受け渡し装置
JPS6374813A (ja) 荷物搬入搬出用2段昇降ステ−シヨン
JP5427467B2 (ja) 荷物貯蔵システム
JP2003212480A (ja) リフタ装置
JPS6387419A (ja) トラツクの一括積卸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