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92B1 -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 Google Patents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92B1
KR101991992B1 KR1020160053116A KR20160053116A KR101991992B1 KR 101991992 B1 KR101991992 B1 KR 101991992B1 KR 1020160053116 A KR1020160053116 A KR 1020160053116A KR 20160053116 A KR20160053116 A KR 20160053116A KR 101991992 B1 KR101991992 B1 KR 10199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anisotropic conductive
mpa
group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883A (ko
Inventor
신영주
권순영
김하나
고연조
박영우
송기태
한재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992B1/ko
Priority to TW106113371A priority patent/TWI657122B/zh
Priority to CN201710287338.3A priority patent/CN107338008B/zh
Publication of KR2017012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carrier being 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개시 온도가 75℃~90℃이고,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용융 점도 변동치가 0 내지 300인,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공한다.
[식 1]
용융 점도 변동치 = |(7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5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75℃ - 55℃)

Description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A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방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이란 일반적으로 도전 입자를 에폭시 등의 수지에 분산시킨 필름 형상의 접착제를 말하는 것으로, 필름의 막 두께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띠고 면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띠는 전기 이방성 및 접착성을 갖는 고분자 막을 의미한다.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접속시키고자 하는 회로 사이에 위치시킨 후 일정 조건의 가열, 가압 공정을 거치면, 회로 단자들이 도전 입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하는 전극 사이에는 절연성 접착 수지가 충진되어 도전 입자가 서로 고립하여 존재하게 됨으로써 높은 절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종래의 이방 도전성 필름은 상기 가열 압착 공정을 통하여 단자끼리 접속하는 과정에서 열과 압력에 의하여 도전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플로우가 발생하여 단자 사이의 접속 특성을 발현시키는 입자 효율이 극히 낮아 접속 저항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도전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일부가 인접한 공간(스페이스 부)으로 흘러 들어가 좁은 면적에 도전 입자들이 모이게 되면서 쇼트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자간 접속 특성이 우수하면서, 인접한 전극 사이에 절연성 접착 수지가 충분히 충진되면서도 전극간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접속된 단자간 접속 신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인접한 전극 사이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개시 온도가 75℃~90℃이고,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용융 점도 변동치가 0 내지 300인, 이방 도전성 필름이 제공된다.
[식 1]
용융 점도 변동치 = |(7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5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75℃ - 5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극을 함유하는 제1 피접속부재; 제2 전극을 함유하는 제2 피접속부재; 및 상기 제1 피접속부재와 상기 제2 피접속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접속시키는, 본원에 기재된 이방 도전성 필름에 의해 접속된 접속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방 도전성 필름은 용융 점도를 제어함으로써 필름의 유동성을 제어하여 단자간 접속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인접하는 전극들 사이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전극(70)을 함유하는 제1 피접속부재(50)와, 제2 전극(80)을 포함하는 제2 피접속부재(60), 및 상기 제1 피접속부재와 상기 제2 피접속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도전 입자(3)를 통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접속시키는 본원에 기재된 이방 도전성 필름(1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접속 구조체(30)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개시 온도가 75℃~90℃이고,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용융 점도 변동치가 0 내지 300인, 이방 도전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식 1]
용융 점도 변동치 = |(7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5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75℃ - 55℃)
본 발명의 이방 도전성 필름은,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개시 온도가 75℃~90℃이다.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개시 온도(Onset temperature)란 열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 시 발열에 의해 그래프의 기울기가 최초로 증가하게 되는 시점의 온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기울기 증가 구간을 외삽하여 베이스라인과 맞닿는 점의 온도를 구해 개시 온도로 한다. 발열 개시 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120℃ 내지 160℃의 저온에서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5초간 속경화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이방 도전성 필름은 열시차주사열량계 상 발열 피크 온도가 90℃~105℃일 수 있으며 발열 피크 온도는 열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 시 그래프에서 최고 피크를 나타내는 시점의 온도를 말한다. 발열 피크 온도가 상기 범위일 때, 160℃이하, 구체적으로 150℃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14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경화될 수 있으며, 개시온도와 발열 피크 온도 간의 차이가 적어 빠르게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개시 온도 및 발열 피크 온도를 측정하는 비제한적인 예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열시차주사열량계(DSC, TA instruments, Q20)를 이용하여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10℃/min의 속도로 0℃ 내지 250℃의 범위에서 열시차주사열량계 상 개시 온도 및 발열 피크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열시차주사열량계 상 발열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이방 도전성 필름을 열시차주사열량계(DSC, TA instruments, Q20)를 이용하여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10℃/min의 속도로 0℃ 내지 250℃의 범위에서 온도에 따른 열량을 측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방 도전성 필름의 상기 식 1로 나타나는 용융 점도 변동치는 0 내지 300, 구체적으로 0 내지 200일 수 있다. 용융 점도 변동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일정 온도 구간에서 용융 점도가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저온 속경화 동안 필름내 조성물의 유동성이 제어되어, 압흔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간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되며, 인접한 전극들 사이에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50 내지 100에서의 최저 용융 점도가 1,000 내지 100,000 Pa·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000 내지 100,000 Pa·s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이방 도전성 필름이 적절한 유동성을 나타내어 가압착 및 본압착이 가능하며, 도전 입자의 포착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용융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ARES G2 레오미터(TA Instruments)를 이용하여, 샘플 두께 150㎛, 승온속도 10℃/분, 스트레인(strain) 5%, 각속도 1.0rad/sec로 0℃ 내지 250℃ 구간에서 이방 도전성 필름의 용융 점도를 측정한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경화율 90% 이상으로 경화 시 저장 탄성률이 2.5 내지 5 GPa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3 내지 5 GPa 범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3.5 내지 4.5 GPa 범위일 수 있다. 경화가 90 % 이상 진행되었을 때라 함은 통상적으로 완전 경화가 이루어진 때를 의미한다.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인 경우, 절연층의 유동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목적하는 점도를 가질 수 있어 필름의 형태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자 간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저장 탄성률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이방 도전성 필름을 150℃의 열풍 오븐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DMA(Dynamic Mechanical Analyzer; TA사의 Q800)를 이용하여 3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50℃ 내지 80℃, 1 내지 3초간 및 1.0MPa 내지 3.0MPa의 조건에서 가압착하고, 120℃ 내지 160℃, 5 내지 6초간 및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본압착한 후 측정한, 하기 식 2에 따른 입자포착율이 20 내지 5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5 내지45%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40% 일 수 있다.
[식 2]
입자포착율(%) = (본압착 후 접속 부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 /압착 전 이방 도전성 필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 × 100
상기 범위에서 단자 상에 도전 입자가 충분히 위치하여 통전성이 개선되고, 도전 입자의 유출을 감소시켜 단자 간 쇼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입자포착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비제한적인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제조된 이방 도전성 필름에 대해, 압착 전 이방 도전성 필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를 입자자동측정기를 사용하여 산출한다. 이후, 이방 도전성 필름을 범프면적 1,200㎛2, 두께 2,000Å의 인듐틴옥사이드 회로가 있는 유리 기판에 놓고 70℃, 1초간 및 1MPa의 조건으로 가압착한 후,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범프면적 1,200㎛2, 두께 1.5T의 IC칩을 올린 뒤 이를 150℃에서 5초, 70MPa의 조건으로 본압착하고, 접속 부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를 입자자동측정기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상기 식 2에 의해 입자포착율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50℃ 내지 80℃, 1 내지 3초간 및 1.0MPa 내지 3.0MPa의 조건에서 가압착하고, 120℃ 내지 160℃, 5 내지 6초간 및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본압착한 후,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여 측정한 신뢰성 평가 후 접속 저항이 0.5Ω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3Ω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0.2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신뢰성 평가 후 접속저항 범위를 갖는 이방 도전성 필름은, 접속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기 전에 측정한 초기 접속 저항은 0.2Ω 미만, 구체적으로 0.1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초기 접속 저항 및 신뢰성 평가 후 접속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이방 도전성 필름을 범프면적 1200㎛2, 두께 2,000Å의 인듐틴옥사이드 회로가 있는 유리 기판에 놓고 70℃, 1초간 및 1MPa의 조건으로 가압착한 후,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범프면적 1200㎛2, 두께 1.5T의 IC칩을 올린 뒤 이를 150℃에서 5초, 70MPa의 조건으로 본압착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4점 탐침(4 point probe)법을 사용하여 4점 사이에서의 저항을 저항측정기기(2000 Multimeter, Keithley社)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초기 접속저항으로 나타낸다. 이후, 상기 본압착하여 제조된 시편을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저항을 측정하여 이를 신뢰성 평가 후 접속저항으로 나타낸다. 저항측정기기는 1mA를 인가하며 이때 측정되는 전압으로 저항을 계산하여 평균을 내어 표시한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50℃ 내지 80℃, 1 내지 3초간 및 1.0MPa 내지 3.0MPa의 조건에서 가압착하고, 120℃ 내지 160℃, 3 내지 5초간 및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본압착한 후 측정한 초기 쇼트 발생율이 0% 일 수 있다.
상기 초기 쇼트 발생율 범위를 갖는 이방 도전성 필름은 회로의 구동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초기 쇼트 발생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이방 도전성 필름을 2mm × 25mm로 잘라서 절연저항 평가 자재에 각각 본딩하여 평가한다. 즉.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을 0.5㎜ 두께 유리기판 상에 배치시킨 뒤, 70℃, 1MPa, 1sec 조건으로 가열/가압하고, 이형 필름을 제거한다. 이후, 칩(칩 길이 19.5㎜, 칩 폭 1.5㎜, 범프 간격 8㎛)을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 상에 배치한 후, 150℃, 70MPa, 5sec 조건으로 본압착하여, 회로 장치를 제조한다. 이후, 50V를 인가하며 2 단자법으로 총 38포인트에서 쇼트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초기 쇼트 발생율을 측정한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50℃ 내지 80℃, 1 내지 3초간 및 1.0MPa 내지 3.0MPa의 조건에서 가압착하고, 120℃ 내지 160℃, 5 내지 6초간 및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본압착한 후,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여 측정한 신뢰성 쇼트 발생율이 0% 일 수 있다.
상기 신뢰성 쇼트 발생율 범위를 갖는 이방 도전성 필름은 회로의 구동 전압을 지속적으로 낮게 유지시킬 수 있어서, 장기간 안정성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신뢰성 쇼트 발생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초기 쇼트 발생율 측정에 사용되는 회로 장치를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초기 쇼트 발생율을 측정한 방법과 동일하게 신뢰성 쇼트 발생율을 측정한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바인더 수지, 에폭시 수지, 무기 필러, 경화제, 및 도전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스타이렌-부티렌-스타이렌(SBS) 수지 및 에폭시 변성체, 스타이렌-에틸렌-부틸렌-스타이렌(SEBS) 수지 및 그 변성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및 그 수소화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될 양이온 경화제의 활성을 고려하여, 바인더 수지로 페녹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렌계 페녹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렌계 페녹시 수지는, 플루오렌 구조를 포함하는 페녹시 수지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D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E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에폭시 수지,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 에폭시 수지 등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지환족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 아민계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 에스테르계 에폭시 수지; 비페닐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환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지환족 에폭시 수지는 지환족 고리에 근접하여 에폭시 구조가 존재하므로 개환 반응이 빨라 다른 에폭시 수지에 비해 경화 반응성이 좋다. 상기 지환족 에폭시 수지로는 지환족 고리에 직접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연결기를 통해 에폭시 구조가 존재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내지 3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와 에폭시 수지의 중량비는 4:6 내지 6:4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 내에서 제조 시 열압착 후 접속성능이 안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량비는 4:6 내지 5:5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무기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의 비제한적인 예로,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세리아, 산화아연, 산화철, 질화규소, 질화티탄, 질화 붕소, 탄산칼슘, 황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티탄산칼슘, 탈크,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나, 실리카, 탄산칼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에서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이방 도전성 필름 내에서의 분산성 개선을 위해 페닐아미노기, 페닐기, 메타크릴기, 비닐기, 에폭시기 등의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를 표면처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표면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로 헨셀믹서를 사용하여 무기 필러에 직접 표면처리 물질을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열처리를 하는 등의 건식방법으로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제를 적합한 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도전 입자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방 도전성 필름의 유동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 필러는 평균 입경이 10nm 내지 500nm 범위 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가 상기 범위의 평균 입경을 가질 때, 도전 입자 사이에 위치하여 도전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저장 탄성률을 향상시키고, 입자 포착율을 높일 수 있고, 쇼트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경화제는 양이온 경화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설포늄계 경화제 또는 화학식 2로 나타내는 4급 암모늄계 경화제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41590819-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6041590819-pat00002
(R8, R9, R10, R11로 변경)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각각, 수소 원자, C1-6 알킬기, 아세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또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이고, R6 및 R7은 각각, 알킬기, 벤질기, o-메틸벤질기, m-메틸벤질기, p-메틸벤질기 또는 나프틸메틸기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8, R9, R10 및 R11은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내지 C6의 알킬 또는 C6내지 C20의 아릴 중 하나이고, M-는 각각 Cl, BF4, PF6, N(CF3SO2)2, CH3CO2, CF3CO2, CF3SO3, HSO4, SO4 2, SbF6 -, B(C6F5)4 -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2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은 R8, R9, R10 및 R11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n-펜틸기, t-펜틸기, 이소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페닐기, 안트릴기 및 페난트릴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치환된"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치환될 수 있는 기는 예를 들어, 알킬기, 알콕시기, 아미노기, 할로겐 또는 니트로기일 수 있다.
4급 암모늄 화합물은 특정 온도에서 에폭시 화합물의 개환반응을 촉진하여 160℃ 이하, 나아가, 150℃ 이하, 더 구체적으로 14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에폭시 화합물을 신속히 경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4급 암모늄 화합물은 경화온도보다 낮은 온도, 예컨대 상온에서는, 에폭시 화합물의 개환반응을 지연시켜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에서, M-은 구체적으로, SbF6 - 및 B(C6F5)4 - 중 하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M-은 B(C6F5)4 - 일 수 있는데, 이것은 환경 문제를 유발하지 않아서 선호된다.
상기 경화제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고형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경화에 필요한 충분한 반응이 일어나며 적당한 분자량 형성을 통해 본딩 후 접착력, 신뢰성 등에서 우수한 물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도전 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도전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Au, Ag, Ni, Cu, 땜납 등을 포함하는 금속 입자; 탄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타이렌,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포함하는 수지 및 그 변성 수지를 입자로 하여 Au, Ag, Ni 등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도금 코팅한 입자; 그 위에 절연 입자를 추가로 코팅한 절연화 처리된 도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 입자의 크기는, 적용되는 회로의 피치(pitch)에 따라, 예를 들어 1㎛ 내지 20㎛ 범위, 구체적으로 1㎛ 내지 1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도전 입자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전 입자가 단자 간에 용이하게 압착되어 안정적인 접속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통전성 향상으로 접속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상기 성분들 외에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예로는 비닐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메타)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부가적인 물성을 제공하기 위해, 중합방지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중합방지제의 예로는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p-벤조퀴논, 페노티아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페놀릭계 또는 히드록시 신나메이트계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신나메이트)메탄, 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 벤젠 프로판산 티올 디-2,1-에탄다일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방 도전성 필름은 단일의 도전층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층 및 절연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층 위에 절연층이 적층된 복층 구조의 이방 도전성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적층"이란, 임의의 층의 일면에 다른 층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전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의 이방 도전성 필름의 경우, 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도전 입자의 압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유동성을 갖는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이 도전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인 경우, 상기 절연층은, 상기 도전층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들 중 도전 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각 성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이방 도전성 필름 내 각 성분의 함량은 도전층과 절연층 전체의 중량에 대해 각 성분의 최종 중량비가 전술한 중량비가 되도록 도전층과 절연층 내의 각 성분의 중량비가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COG(chip on glass) 실장 방식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방 도전성 필름을 형성하는 데에는 특별한 장치나 설비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각 조성을 포함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 조성물을 톨루엔과 같은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액상화한 후 도전성 입자가 분쇄되지 않는 속도 범위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를 이형 필름 위에 일정한 두께 예를 들면 5 내지 50㎛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일정시간 건조시켜 톨루엔 등을 휘발시킴으로써 이방 도전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접속 구조체는, 제1 전극을 함유하는 제1 피접속부재; 제2 전극을 함유하는 제2 피접속부재; 및 상기 제1 피접속부재와 상기 제2 피접속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접속시키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방 도전성 필름에 의해 접속된 접속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피접속부재 또는 제2 피접속부재는, 전기적 접속을 필요로 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프린트 배선판, 세라믹 배선판, 플렉시블 배선판, 반도체 실리콘 칩, IC칩 또는 드라이버 IC칩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피접속부재 및 제2 피접속부재 중 어느 하나가 IC칩 또는 드라이버 IC칩이고 다른 하나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접속 구조체(30)를 설명하면, 제1 전극(70)을 함유하는 제1 피접속부재(50)와, 제2 전극(80)을 포함하는 제2 피접속부재(60)는, 상기 제1 피접속부재(50)와 상기 제2 피접속부재(6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전극(70) 및 상기 제2 전극(80)을 접속시키는 본원에 기재된 도전 입자(3)를 포함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10)을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방 도전성 필름은 일반적인 패널용 글래스와 IC의 접속 시 사용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형태로서, 도전입자를 포함한 도전층과 도전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절연층의 2층 구조로 제작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특정 층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 도전층의 제조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21.5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21.5 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14 중량%, 양이온계 경화제(SI-B3A, 산신케미컬) 3 중량%, 도전 입자(KSFD, 평균입경 3.0㎛, NCI) 40 중량%를 혼합하여 도전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도전층 조성물을 이형필름 위에 도포한 후, 60℃ 건조기에서 5분간 용제를 휘발시켜 6㎛ 두께의 건조된 도전층을 얻었다.
2. 절연층의 제조
도전층의 조성에서 도전 입자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전층의 제조와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12㎛ 두께의 건조된 절연층을 제조하였다.
3.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제조
제조한 도전층 및 절연층을 40℃, 1MPa에서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접착하여, 도전층 위에 절연층이 적층되어 있는 2층 구조의 이방 도전성 필름(두께: 18㎛)을 얻었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 내 각 성분의 최종 함량은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31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31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20 중량%, 양이온계 경화제(SI-B3A, 산신케미컬) 4 중량%, 도전 입자(KSFD, 평균입경 3.0㎛, NCI) 13중량%가 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 2, 3, 비교예 1 및 2에서도 실시예 1과 유사하게 도전층 위에 절연층이 적층되어 있는 2층 구조의 이방 도전성 필름(두께: 18㎛)을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절연층은 각각의 도전층 조성물에서 도전입자를 제외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졌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2, 3, 비교예 1, 2에서 도전입자를 포함한 도전층 조성물의 차이 및 최종 이방 도전성 필름 내 각 성분의 함량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도전층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16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16 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2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실시예 2의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 내 각 성분의 최종 함량은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23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23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36 중량%, 양이온계 경화제(SI-B3A, 산신케미컬) 4 중량%, 도전 입자(KSFD, 평균입경 3.0㎛, NCI) 13중량%가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도전층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14.5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14.5 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28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실시예 3의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 내 각 성분의 최종 함량은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21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21 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40 중량%, 양이온계 경화제(SI-B3A, 산신케미컬) 4 중량%, 도전 입자(KSFD, 평균입경 3.0㎛, NCI) 13중량%가 된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도전층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27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27 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3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비교예 1의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 내 각 성분의 최종 함량은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39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39 중량%, 무기 필러 4 중량%, 양이온계 경화제(SI-B3A, 산신케미컬) 4 중량%, 도전 입자(KSFD, 평균입경 3.0㎛, NCI) 13 중량%가 된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도전층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11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11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3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비교예 2의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 내 각 성분의 최종 함량은 바이페닐 플루오렌형 바인더 수지(FX-293, 신일철화학, Tg:165℃, 분자량:45,000) 16 중량%, 에폭시 수지(Celloxide 2021P, DAICEL) 16 중량%, 무기 필러로서 페닐아미노로 표면처리된 입경 50nm의 실리카(YA050C, Admatech) 51 중량%, 양이온계 경화제(SI-B3A, 산신케미컬) 4 중량%, 도전 입자(KSFD, 평균입경 3.0㎛, NCI) 15중량%가 된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도전층 및 이방 도전성 필름 내 각 성분의 함량을 각각 다음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함량은 모두 중량%를 기준으로 나타낸다.
도전층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바인더 수지 21.5 16 14.5 27 11
에폭시 수지 21.5 16 14.5 27 11
무기 필러 14 25 28 3 35
경화제 3 3 3 3 3
도전 입자 40 40 40 40 40
합계 100 100 100 100 100
이방 도전성 필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바인더 수지 31.03 23.11 20.95 39 15.89
에폭시 수지 31.03 23.11 20.95 39 15.89
무기 필러 20.28 36.12 40.44 4.34 50.56
경화제 4.33 4.33 4.33 4.33 4.33
도전 입자 13.33 13.33 13.33 13.33 13.33
합계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의 이방 도전성 필름에 대해 하기 조건 및 방법으로 최저용융점도, 저장 탄성률, 입자포착율, 초기 및 신뢰성 접속저항, 초기 및 신뢰성 평가 후 쇼트 발생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이방 도전성 필름의 열시차주사열량계 ( DSC ) 상 개시 온도(Onset temperature) 및 발열 피크 온도 산출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의 이방 도전성 필름들에 대해 열시차주사열량계(DSC, TA instruments社, Q20)를 이용하여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10℃/min의 속도로 0℃ 내지 250℃의 범위에서 열량을 측정하여 열시차주사열량계 상 개시 온도 및 발열 피크 온도를 산출하였다.
실험예 2: 용융점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이방 도전성 필름에 대해 ARES G2 레오미터(TA Instruments)를 이용하여, 샘플 두께 150㎛, 승온속도 10℃/분, 스트레인(strain) 5%, 각속도 1.0rad/sec로 0℃ 내지 250℃ 구간에서 용융 점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3: 용융 점도 변동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이방 도전성 필름에 대해 ARES G2 레오미터(TA Instruments)를 이용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용융 점도 변동치를 계산하였다.
[식 1]
용융 점도 변동치 = |(7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5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75℃ - 55℃)
실험예 4: 저장 탄성률 측정
상기 각각 제조된 이방 도전성 필름을 150℃의 열풍 오븐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DMA(Dynamic Mechanical Analyzer; TA사의 Q800)를 이용하여 0℃부터 100℃까지 승온속도 5℃/min로 측정하여 3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5: 입자포착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이방 도전성 필름에 대해, 가압착 전 이방 도전성 필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를 입자자동측정기(ZOOTUS)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이방 도전성 필름을 범프면적 1,200㎛2, 두께 2,000Å의 인듐틴옥사이드 회로가 있는 유리 기판(제조원: 네오뷰 코오롱)에 놓고 각각 70℃에서, 1초 동안 1MPa로 가압착한 후,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범프면적 1200㎛2, 두께 1.5T의 IC칩(제조원: 삼성 LSI)를 올린 뒤 이를 150℃, 5초간 및 70MPa의 조건으로 본압착하고, 접속 부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를 상기 입자자동측정기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하기 식 2에 의해 입자포착율을 계산하였다.
[식 2]
입자포착율(%) = (본압착 후 접속 부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 /압착 전 이방 도전성 필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 × 100
실험예 6: 초기 및 신뢰성 평가 후 접속저항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이방 도전성 필름을 범프면적 1,200㎛2, 두께 2,000Å의 인듐틴옥사이드 회로가 있는 유리 기판(제조원: 네오뷰 코오롱)에 놓고 각각 70℃에서 1초 동안 1MPa로 가압착한 후,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범프면적 1,200㎛2, 두께 1.5T의 IC칩(제조원: 삼성 LSI)를 올린 뒤 이를 150℃, 5초간 및 70MPa 의 조건으로 본압착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4점 탐침법을 사용하여 4점 사이에서의 저항을 저항측정기기(2000 Multimeter, Keithley社)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초기 접속저항으로 나타내었다. 이후, 상기 본압착하여 제조된 시편을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저항을 측정하여 이를 신뢰성 평가 후 접속저항으로 나타내었다.
저항측정기기는 1mA를 인가하며 이때 측정되는 전압으로 저항을 계산하여 평균을 내어 표시하였다.
실험예 7: 초기 및 신뢰성 평가 후 쇼트 발생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이방 도전성 필름을 2mm × 25mm로 잘라서 절연저항 평가 자재에 각각 본딩하여 평가하였다. 즉.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을 0.5㎜ 두께 유리기판 상에 배치시킨 뒤, 70℃, 1MPa, 1sec 조건으로 가열/가압하고, 이형 필름을 제거하였다. 이후, 칩(칩 길이 19.5㎜, 칩 폭 1.5㎜, 범프 간격 8㎛)을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 상에 배치한 후, 150℃, 70MPa, 5sec 조건으로 본압착하여, 회로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후, 50V를 인가하며 2 단자법으로 총 38포인트에서 쇼트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초기 쇼트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이후, 제조된 회로 장치를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신뢰성 쇼트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개시 온도(℃) 85 87 87 83 89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발열 피크 온도(℃) 100 101 102 98 104
최저 용융 점도 (Pa·s) 31684 47033 94024 9016 801684
용융 점도(Pa·s) 55℃ 34461.7 52440.4 97923.0 210294.0 814461.7
75℃ 32401.5 54309.1 94023.6 9055.7 802401.5
용융 점도 변동치 103.01 93.43 194.97 10061.92 603.01
저장 탄성률(GPa) 3.5 3.7 4.1 2.1 4.3
입자포착율(%) 32 35 38 18 42
초기 접속저항(Ω) 0.05 0.06 0.08 0.05 0.6
신뢰성 평가 후 접속저항(Ω) 0.1 0.12 0.2 0.2 3
초기 shortage 율(%) 0 0 0 0 12
신뢰성 평가 후 shortage 율(%) 0 0 0 0 12
초기 외관 4 4 4.5 3 4.5
신뢰성 평가 후 외관 3.5 3.5 4 1.5 2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이온 경화제를 사용하면서 무기 필러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개시 온도 및 발열 피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이방 도전성 필름 내에 20 중량 % 이상의 무기 필러를 포함함으로써 최저 용융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용융 점도 변동치를 감소시켜 이방 도전성 필름의 유동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방 도전성 필름 내 무기필러의 함량을 40 중량%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초기 및 신뢰성 접속 저항 특성이 매우 낮은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은 저장 탄성률이 2.5 내지 5 GPa 이고 양호한 입자포착율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및 신뢰성 후 쇼트 발생율 특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외관 및 신뢰성 평가 후 외관이 양호하였다.
3 도전 입자 10 이방 도전성 필름 30 접속 구조체
50 제1 피접속 부재 60 제2 피접속 부재 70 제1 전극 80 제2 전극

Claims (16)

  1. 바인더 수지; 경화성 화합물; 양이온 경화제; 도전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고,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개시 온도가 75℃~ 90℃이고,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용융 점도 변동치가 0 내지 300 인, 이방 도전성 필름으로서
    [식 1]
    용융 점도 변동치 = |(7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55℃에서의 상기 필름의 용융 점도)| / (75℃ - 55℃)
    상기 경화성 화합물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표면 처리된 무기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40 중량% 포함되는 것인, 이방 도전성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의 50℃ 내지 100℃에서의 최저 용융 점도가 10,000 내지 100,000 Pa·s인, 이방 도전성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열시차주사열량계(DSC) 상 발열 피크 온도가 90℃~105℃인, 이방 도전성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경화율 90% 이상으로 경화 시 저장 탄성률이 2.5 내지 5 GPa 범위인, 이방 도전성 필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을 50℃ 내지 80℃, 1 내지 3초간 및 1.0MPa 내지 3.0MPa의 조건에서 가압착하고, 120℃ 내지 160℃, 5 내지 6초간 및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본압착한 후 측정한, 하기 식 2에 따른 입자포착율이 20% 내지 50% 인, 이방 도전성 필름.
    [식 2]
    입자포착율(%) = (본압착 후 접속 부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 /압착 전 이방 도전성 필름의 단위면적당(mm2) 도전 입자의 수) × 100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을 50℃ 내지 80℃, 1 내지 3초간 및 1.0MPa 내지 3.0MPa의 조건에서 가압착하고, 120℃ 내지 160℃, 5 내지 6초간 및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본압착한 후,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여 측정한 신뢰성 평가 후 접속 저항이 0.5Ω 이하인, 이방 도전성 필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을 50℃ 내지 80℃, 1 내지 3초간 및 1.0MPa 내지 3.0MPa의 조건에서 가압착하고, 120℃ 내지 160℃, 5 내지 6초간 및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본압착한 후 측정한 초기 쇼트 발생율이 0% 인, 이방 도전성 필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을 50℃ 내지 80℃, 1 내지 3초간 및 1.0MPa 내지 3.0MPa의 조건에서 가압착하고, 120℃ 내지 160℃, 5 내지 6초간 및 50MPa 내지 9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본압착한 후,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여 측정한 신뢰성 쇼트 발생율이 0% 인, 이방 도전성 필름.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10㎚ 내지 500㎚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인, 이방 도전성 필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페닐아미노기, 비닐기, 페닐기, 에폭시기 및 메타크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것인, 이방 도전성 필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경화제는 아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설포늄염 양이온 경화제 또는 화학식 2로 표현되는 4급 암모늄계 경화제인, 이방 도전성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9004269342-pat00006

    (화학식 2)
    Figure 112019004269342-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각각, 수소 원자, C1-6 알킬기, 아세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또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이고, R6 및 R7은 각각, 알킬기, 벤질기, o-메틸벤질기, m-메틸벤질기, p-메틸벤질기 또는 나프틸메틸기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8, R9, R10 및 R11은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내지 C6의 알킬 또는 C6 내지 C20의 아릴 중 하나이고, M-는 각각 Cl-, BF4 -, PF6 -, N(CF3SO2)2 -, CH3CO2 -, CF3CO2 -, CF3SO3 -, HSO4 -, SbF6 -, B(C6F5)4 - 중 하나이다.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경화제는, 이방 도전성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이방 도전성 필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COG(chip on glass) 실장 방식에 사용되는, 이방 도전성 필름.
  16. 제1 전극을 함유하는 제1 피접속부재;
    제2 전극을 함유하는 제2 피접속부재; 및
    상기 제1 피접속부재와 상기 제2 피접속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접속시키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이방 도전성 필름에 의해 접속된 접속 구조체.
KR1020160053116A 2016-04-29 2016-04-29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KR10199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16A KR101991992B1 (ko) 2016-04-29 2016-04-29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TW106113371A TWI657122B (zh) 2016-04-29 2017-04-21 各向異性導電膜及使用其的連接結構
CN201710287338.3A CN107338008B (zh) 2016-04-29 2017-04-27 各向异性导电膜及使用其的连接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16A KR101991992B1 (ko) 2016-04-29 2016-04-29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83A KR20170123883A (ko) 2017-11-09
KR101991992B1 true KR101991992B1 (ko) 2019-06-21

Family

ID=6022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116A KR101991992B1 (ko) 2016-04-29 2016-04-29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91992B1 (ko)
CN (1) CN107338008B (ko)
TW (1) TWI657122B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1007A (ja) * 2008-11-18 2010-06-03 Sumitomo Electric Ind Ltd 異方導電性フィルム
KR101362868B1 (ko) * 2010-12-29 2014-0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이중층 이방성 도전성 필름
KR101659128B1 (ko) * 2013-09-30 2016-09-22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101628440B1 (ko) * 2013-10-31 2016-06-08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101706818B1 (ko) * 2014-04-30 2017-02-15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이방 도전성 필름 및 반도체 장치
KR101731677B1 (ko) * 2014-08-29 2017-04-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이방 도전성 필름 및 반도체 장치
KR101706821B1 (ko) * 2014-09-01 2017-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상기 필름에 의해 접속된 반도체 장치
KR101716548B1 (ko) * 2014-09-17 2017-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57122B (zh) 2019-04-21
CN107338008A (zh) 2017-11-10
TW201738343A (zh) 2017-11-01
CN107338008B (zh) 2020-03-17
KR20170123883A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544B1 (ko) 이방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US9540549B2 (e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bonded by the same
KR101706818B1 (ko) 이방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이방 도전성 필름 및 반도체 장치
KR20130067779A (ko) 이방성 도전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방성 도전 필름
KR102584123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6821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상기 필름에 의해 접속된 반도체 장치
KR101991992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KR101955749B1 (ko) 이방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101893248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
KR101731677B1 (ko) 이방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이방 도전성 필름 및 반도체 장치
KR101908177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1665171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상기 필름에 의해 접속된 반도체 장치
KR101900542B1 (ko) 이방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8140452B (zh) 各向异性导电膜和使用其的显示设备
KR101758430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101908185B1 (ko)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해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81984A (ko) 이방 도전성 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TW201504054A (zh) 各向異性導電膜、包括該各向異性導電膜之影像顯示器、及包括該各向異性導電膜之半導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