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130B1 -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 Google Patents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130B1
KR101989130B1 KR1020180114731A KR20180114731A KR101989130B1 KR 101989130 B1 KR101989130 B1 KR 101989130B1 KR 1020180114731 A KR1020180114731 A KR 1020180114731A KR 20180114731 A KR20180114731 A KR 20180114731A KR 101989130 B1 KR101989130 B1 KR 10198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omega
foi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철
이문혁
조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농
(주)우둥
이문혁
조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농, (주)우둥, 이문혁, 조명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농
Priority to KR102018011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인애플박, 줄리플로라, 갈대, 배아박, 피스타치오박, 팜박, 캐슈너트박, 팥빵박, 유지박, 유황, 천매암, 비타민, 소금 및 생균제를 포함하는 오메가-3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가격이 낮은 조사료를 사용하면서도 일반 한우에 비해 오메가-3 함량이 높아 오메가-3에 대한 오메가-6의 비율이 낮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풍미가 우수한 우육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Cattle feed for improving omega-3 fatty acids content, breeding method using it, and beef having high omega-3}
본 발명은 소, 특히 한우의 오메가-3 함량을 개선하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진 우육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메가-3 함량이 높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우육을 얻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에 관한 것이다.
소는 반추동물로서, 먹은 음식을 넣어두는 큰 제1위, 벌집과 같은 모양의 벽이 있는 제2위, 점막이 주름모양으로 된 제3위 및 위선이 분포된 제4위의 4개의 위로 이루어진 반추위를 가지고 있다. 반추위를 가진 동물이 섭취한 사료는 제1위에 체류하는 동안 위의 연동운동에 의해 혼합되어 위 내의 각종 미생물이나 효소의 작용에 의해 발효되어 소화되는데 전체 사료 중 섬유물질이 적으면 반추위의 물리적 자극부족과 급격한 pH 저하가 일어난다. 반추위의 pH가 6 이하이면 전분의 소화가 잘 되지 않아 섭취한 전분이 반추위에서 이용되지 못하고 소장에서 발효하게 된다. 따라서 소에게 농후사료를 급여할 때에는 조사료를 함께 급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반추동물에 대한 농후사료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사료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조사료 자체는 영양함량이 낮으므로 사료 내에서 조사료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전체 에너지의 농도는 낮아지게 된다. 반면 조사료의 사용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사료 내 영양소의 함량이 높아지기는 하지만 대사성 질병의 발생이 증가하여 일당증체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행등급기준에 따르면, 소고기의 등급은 육질등급과 육량등급으로 구분하여 판정한다. 육질등급은 고기의 질을 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에 따라 1++등급, 1+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고기를 선택하는 기준이 된다. 육량등급은 도체에서 얻을 수 있는 고기량을 도체의 중량,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을 측정하여 산정된 육량지수에 따라 A등급(육량지수 67.20 이상), B등급(육량지수 63.30 이상 ~ 67.20 미만), C등급(육량지수 63.30 미만)의 3개 등급으로 판정한다. 육질등급과 육량등급의 관계는 하기 표와 같다.
Figure 112018095183234-pat00001
상기와 같은 현행등급기준에 따르면, 등급(1++)이 높을수록 불포화지방산보다 건강에 유해한 포화 지방산함량이 많고, 등급(1++)을 높이기 위하여 장기 비육하면 불가식지방이 많아지고 정육(고기의 양)은 적어져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오메가-3와 오메가-6는 우리 몸에서 합성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하는 필수지방산이다.
오메가-3는 항염작용이나 혈전생성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세포막에 오메가-3 지방산이 충분하면 세포막의 구성물이 활발하게 움직여 호르몬과 빠르게 반응할 수 있고 포도당 등의 물질이 세포 안으로 잘 흡수되어 1++ 등급을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반면, 오메가-6는 염증의 반응이나 혈전의 생성을 유도하고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며 혈소판의 응고를 촉진시켜 심장병을 유발한다. 또한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를 증가시키므로 지방조직도 늘어나서 C 등급을 많이 만들어 내고 세포의 노화를 촉진시킨다.
오메가-3와 오메가-6는 대사과정에서 효소를 공유하여 효소 이용에 있어 서로 경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한쪽으로 치우친 섭취는 균형있는 생체 내 오메가 지방산의 대사를 방해하므로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균형있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메가-3와 오메가-6는 모두 생리기능유지에 중요하지만, 체내 오메가-6 비율이 증가할 경우 대사속도의 둔화, 인슐린 민감성의 둔화, 신경전달물질 기능 둔화, 지방조직 발달, 염증 유발, 심혈관계 질환 유발 등의 건강문제가 야기된다.
신생아의 경우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이 1:2이지만, 성인이 되어 갈수록 오메가-6의 함량이 높은 음식물 섭취로 인해 그 균형이 무너지게 되어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된다. 정상체형의 오메가-3와 오메가-6 균형비는 1:11, 비만체형은 1:50, 고도 비만체형은 1:92~125이다.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은 1:10 이하가 바람직하고, 1:4 이하가 최적인데,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이 1:10 이하이면 면역력이 증가하고 항암효과가 있으며 피부에 탄력이 있고 혈과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발력이 개선되고 두뇌가 발달하며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대부분의 축산사료는 오메가-6 함량이 높은 옥수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조하고 있다. 옥수수사료를 먹은 소의 위는 산성화되고 전체 소화체계에 나쁜 영향을 미쳐 반추위 벽의 각질화, 식욕부진, 간기능 장애 및 소고기의 화학적 구성변화를 초래하여, 축산물에서 오메가-3에 대한 오메가-6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진다. 일반사료를 급여한 일반한우의 경우 오메가-3와 오메가-6이 비율이 1:20~60으로 매우 높다.
따라서 소의 성장을 최적화하면서 오메가-3와 오메가-6의 균형이 우수하고 품질이 우수한 소고기를 얻을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오메가-3와 오메가-6의 균형을 위하여 들깨박, 아마종실, 치아씨, 청정바다에서 서식하는 미세조류, 호두, 완두콩, 강낭콩, 견과류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들을 사용하면 사료의 가격이 높아지고, 특히 아마종실을 사용하는 경우 악취나 시안화물(cyanide)의 독성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2004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5134호
본 발명은 조사료로 파인애플박, 줄리플로라 및 갈대를 사용하여 오메가-3의 함량이 높아 오메가-3와 오메가-6의 균형이 우수하고 풍미와 맛이 우수한 우육을 얻을 수 있는 소사료 조성물과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저렴한 조사료인 파인애플박, 줄리플로라 및 갈대를 사용하여 일반사료와 유사한 수준으로 생산원가를 낮추면서도 오메가-3 함량이 높고 풍미와 맛이 우수한 우육을 얻을 수 있는 소사료 조성물과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육전기용 및 육종용으로는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갈대 10~50중량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유지박 5~30중량부; 유황 0.1~0.5중량; 천매암 1~5중량부; 비타민 0.1~0.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포함하고,
비육후기용으로는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갈대 10~50중량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유지박 5~30중량부; 유황 0.1~0.5중량; 천매암 1~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균제는, 파인애플 8~13중량부, 볏짚 8~13중량부; 천매암 8~13중량부; 도라지·더덕·황죽초를 포함하는 생약재 20~42중량부; 옥수수 엿밥 20~42중량부; 비타민 B 부산물 8~13 중량부를 각각 30~35℃에서 2~5일간 배양한 후, 상기 배양된 원료들을 혼합하여 28~32℃에서 5~10일간 발효숙성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천매암, 석회석, 유황, 비타민, 소금 및 생균제, 또는 천매암, 석회석, 유황, 소금 및 생균제는 혼합한 후 20~35℃의 발효저장고에서 5일 이상 숙성시켜 얻은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생균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바실러스 소노렌시스, 바실러스 코아굴란스, 바실러스 아밀롤리퀴파시엔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테트라티오박터 카시미렌시스,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오렉투스 및 패니바실러스 쿠키 중 5종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갈대 10~50중량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유지박 5~30중량부; 유황 0.1~0.5중량; 천매암 1~5중량부; 비타민 0.1~0.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육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비육전기에 급여하는 단계; 및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갈대 10~50중량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유지박 5~30중량부; 유황 0.1~0.5중량; 천매암 1~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육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비육후기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균제는, 파인애플 8~13중량부; 볏짚 8~13중량부; 천매암 8~13중량부; 도라지·더덕·황죽초를 포함하는 생약재 20~42중량부; 옥수수 엿밥 20~42중량부; 비타민 B 부산물 8~13 중량부를 각각 30~35℃에서 2~5일간 배양한 후, 상기 배양된 원료들을 혼합하여 28~32℃에서 5~10일간 발효숙성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육방법에서, 상기 천매암, 석회석, 유황, 비타민, 소금 및 생균제, 또는 천매암, 석회석, 유황, 소금 및 생균제는 혼합한 후 20~35℃의 발효저장고에서 5일 이상 숙성시켜 얻은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육방법에서, 비육전기에는 비육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12~16kg/일 급여하고, 비육후기에는 비육후기용 사료 조성물을 16~17kg/일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소로부터 생산되며,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사료 조성물과 사육방법은, 비교적 저렴한 조사료인 파인애플박, 줄리플로라 및 갈대를 사용하여 일반사료와 유사한 원가수준에서 일반 한우에 비해 오메가-3 함량이 높아 오메가-3에 대한 오메가-6의 비율이 낮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풍미가 우수한 우육을 얻을 수 있다.
1. 소사료 조성물
본 발명의 소사료 조성물은, 비육전기용 및 육종용으로는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갈대 10~50중량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유지박 5~30중량부,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비타민 0.1~0.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사료 조성물은, 비육후기용으로는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갈대 10~50중량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유지박 5~30중량부,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
(1) 조사료
조사료로는 파인애플박, 줄리플로라 및 갈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파인애플박, 줄리플로라 및 갈대는 10~40중량부:2~30중량부:10~5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파인애플박
파인애플박으로는 파인애플 통조림을 만들고 남은 껍질, 속대, 불량 파인애플, 파인애플 잎 등을 사용한다.
파인애플박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류와 류코노스톡스(Leuconostocs)류의 식물성 유산균들이 함유되고, 이들 유산균들은 식물, 특히 섬유소 등을 영양원으로 하여 잘 자라기 때문에 사료원료의 이용효율을 높여준다. 파인애플박에 함유되어 있는 브로멜라인(Bromelain) 성분은 우수한 단백질 분해효소로 번식문제를 예방하고 항생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 항생제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또한 천연소염제로 염증의 산물인 피브린과 변성단백질을 분해제거하고, 특히 젖소의 유선조직에 깊숙이 침투해 체세포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유방염을 예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파인애플박은 면역기능을 최적화하고, 천연소염제가 함유되어 있어 먹이는 것만으로도 유방염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으며, 근내 지방도를 향상시키고 등지방 두께를 감소시키며(체내 갑상선 호르몬 작용에 의한 지방연소 효과로 인한 등지방 두께 감소 효과) 체세포수를 감소시키고, 섬유질 중 리그닌과 헤미세루로스의 강력한 결합을 해체하여 섬유소의 소화를 향상시켜 건물섭취량을 증가시키며, 단백질의 소화를 증진시키므로 탁월한 소화 촉진제의 작용을 하고,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향과 맛이 구미를 돋구워 사료 섭취량을 늘려주는 역할을 하고, 장운동 및 칼로리 활용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육우의 육질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② 줄리프로라
줄리프로라는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야생콩이며, 줄리프로라의 잎과 콩깍지를 사용한다.
줄리프로라를 사용하면 반추시간과 관련된 식괴가 많이 만들어져 반추시간이 길어지고 반추위에서 제3위로 넘어갈 때 사료의 입자도가 1mm 이하가 되어 변으로 배출되는 영양분이 적어져 파리의 발생이 줄어든다.
또한, 반추할 때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반추위의 온도는 38~41℃로 소의 체온인 38.5~39.5℃ 보다 높다. 특히 여름에 외부온도가 30℃가 넘으면 반추열 때문에 고온 스트레스를 받아 섭취량이 떨어져 발육이 멈추고 유량과 유지방이 감소하는 현상이 생기는데, 줄리프로라를 사용하면 고온 스트레스를 예방하여 유량, 유지방, 육질 및 육량이 개선된다.
즉, 여름철에 조섬유 함량이 40% 이상 되는 긴 건초(3~5cm)의 조섬유가 총 급여하는 조사료 중 25%가 넘으면 소의 체온이 상승하고 호흡수가 늘어나 고온 스트레스를 받는다. 오메가-6(16.61%)와 오메가-3(6.72%)의 비율이 2.47로 낮고 건초 길이가 6~8mm 이하로 짧은 줄리프로라를 급여하면 섬유소를 분해시키는 셀룰라제의 빠른 발생으로 성장기 소의 위벽을 자극하여 반추위 발달 촉진과 성장 후 소의 섬유소 층에 의한 물리적 자극을 통해 반추 유도를 하면서 오메가-3인 리놀렌산과 에이코사트리에노산을 생성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육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애 최대 건물섭취량(DMI)를 높여야 하고, 육량등급 A등급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택적 채식을 방지함으로서 반추위발효환경을 최적화시켜 주어야 하는데, 줄리프로라는 다른 사료들에 비해 소화율이 높아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볏집은 조단백질 함량이 3.34%이고 소화율이 10.39%이어서 1kg의 볏짚을 먹으면 3.5g의 조단백질이 소화되고 나머지는 변으로 배설된다. 반면, 줄리프로라는 조단백질 함량이 8.38%이고 소화율이 67%이므로 1kg의 줄리프로라를 먹으면 56.1g이 소화되며, 소화되는 양이 많으므로 변의 양이 감소한다.
줄리플로라는 잎과 콩깍지를 펠렛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펠렛의 입자크기는 4~8mm인 것이 바람직하며, 5~7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줄리플로라 펠렛은 통상적인 펠렛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며, 원료투입, 이물질 제거, 분쇄, 혼합, 펠렛화 및 냉각의 공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③ 갈대
갈대로는 7~8월에 수확한 갈대를 사용한다.
(2) 농후사료
농후사료로는 배아박, 피스타치오박, 팜박, 캐슈너트박, 팥빵박 및 유지박을 사용한하며,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및 유지박 5~3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아박은 옥수수의 기름을 짜고 남은 부산물을 사용한다.
팥빵박으로는 유통기한이 경과한 팥이 들어있는 빵을 사용한다.
유지박은 식용유를 만들고 남은 부산물로, 포도씨유 부산물, 카놀라유 부산물 및 올리브유 부산물 중 선택된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3) 첨가제
첨가제는 유황, 천매암, 비타민, 소금 및 생균제를 포함하며, 석회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육전기 및 육종용 사료에는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비타민 0.1~0.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첨가제를 사용한다.
비육후기용 사료에는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첨가제를 사용한다.
상기 첨가제는 유황, 천매암, 비타민, 소금 및 생균제, 또는 유황, 천매암, 소금 및 생균제를 혼합한 후 20~35℃의 발효저장고에서 5일 이상 숙성시켜 얻은 것으로 고체생균제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황, 천매암, 비타민, 소금 및 생균제, 또는 유황, 천매암, 소금 및 생균제를 혼합기에 투입한 후 혼합기 내에서 30분 이상 혼합한 다음 공기를 차단하여 밀봉한 후 20℃ 이상 발효저장고에서 5일 이상 발효숙성시켜 고체생균제를 얻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① 유황
유황은 독성이 제거된 분말 형태로 사용하며, 사료 조성물 내 질소(N)와 황(S)의 비율이 13:1이 되도록 첨가한다. 사료 내 질소와 황의 비율이 상기와 같이 조절되면 체내의 과잉공급된 단백질을 이용하여 소가 살이 찌게 되고 고기의 육질이 좋아지게 된다.
② 천매암
천매암은 Fe2O3 3.58%, Al2O3 11.62%, K2O 4.79%, Na2O 5.20%, SiO2 71.20%, CaO 1.32% 및 MgO 0.65%로 이산화규소(SiO2)와 산화알루미늄(Al2O3)이 주성분이며, 인체 및 살아있는 세포에 꼭 필요한 산화제2철(Fe2O3)이 함유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란타늄(La), 네오디뮴(Nd), 바나듐(V) 등의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천매암은 40여 종의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어 우수한 천연 미네랄을 공급하여 생체의 발육과 생리기능을 조절하여 세포의 활력을 유지하고, 1cm3당 3만~15만 여개의 많은 공극으로 되어 있어 소의 설사방지 및 치료효과를 가지며, 낙농우의 세균수와 체세포수를 감소시키고, 성장을 촉진시키며, 유량 유지율을 증가시키고 이취를 제거하며 유방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비육기간을 단축시키며, pH 9.1~9.6으로 반추동물 위의 완충작용을 한다. 또한, 암모니아 탈취기능이 있어 분뇨냄새를 감소시켜 축사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천매암에는 테트라티오박터 카시미렌시스(Tetrathiobacter Kashmirensis)와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오렉투스(Streptomyces aureorectus)가 함유되어 있다. 테트라티오박터 카시미렌시스는 황산화균으로서 천매암 내에 3.3×107cfu/g 이상 포함되어 있으며, 유황 분해 효과와 토양 중 유기물 분해작용이 있고 토양의 산성을 중화시켜 토양을 개량시키는 효과가 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오렉투스는 방선균으로서 천매암 내에 8.3×107cfu/g 이상 포함되어 있으며, 구근 부패병, 고추 탄저병, 역병균, 인삼 반점병 등을 예방하고, 토양 중 유기물을 분해하는 작용이 있다.
천매암은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사용한다.
③ 비타민
비타민은 영양성분으로 사용되며, 비육전기(거세비육전기, 암소비육전기) 및 번식우 육종용 사료에는 사용되지만, 비육후기(거세비육후기, 암소비육후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④ 소금
소금은 나트륨 공급원으로 첨가된다.
⑤ 생균제
생균제는 파인애플 8~13중량부; 볏짚 8~13중량부; 천매암 8~13중량부; 도라지, 더덕 및 황죽초를 포함하는 생약재 20~42중량부; 옥수수 엿밥 20~42중량부; 비타민 B 부산물 8~13 중량부 각각의 원료를 30~35℃에서 2~5일간 배양한 후, 상기 배양된 원료들을 혼합하여 28~32℃에서 5~10일간 발효숙성시키는 방법으로 자연발효시킨 것이다.
먼저, 생균제의 원료로 사용하는 파인애플쥬스; 볏짚; 천매암(CMH); 도라지·더덕·황죽초를 포함하는 생약재; 옥수수엿밥 및 비타민 B 부산물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
파인애플쥬스에는 식물성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류와 류코노스톡(Leuconostoc)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은 식물, 특히 섬유소 등을 영양원으로 하여 자라기 때문에 사료원료의 이용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볏짚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천매암에는 테트라티오박터 카시미렌시스과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오렉투스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생약재는 바람직하게는 도라지·더덕·황죽초를 각각 0.5 내지 2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옥수수엿밥은 옥수수로 물엿을 만들고 남은 부산물로,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퍼시엔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베나글루칸, 베타아밀라아제, 알파아밀라아제가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B 부산물은 비타민 B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다.
상기 원료 각각을 30~35℃에서 2~5일 동안 배양하며,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배양한다. 배양된 각 원료를, 파인애플 8~13중량부; 볏짚 8~13중량부; 천매암 8~13중량부; 도라지, 더덕 및 황죽초를 포함하는 생약재 20~42중량부; 그리고 옥수수 엿밥 20~4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후 30~35℃에서 6~10일 동안 발효숙성시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균제를 얻는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7일 동안 발효숙성시킨다.
상기 생균제는,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아밀롤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테트라티오박터 카시미렌시스(Tetrathiobacter Kashimirensis, 황산화균),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오렉투스(Streptomyces Aureorectus, 방선균), 및 패니바실러스 쿠키(Paenibacillus cookii) 중 5종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거된 미생물 중 8종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한다.
(4) 소사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조사료, 농후사료 및 첨가제를 20분 정도 혼합하면 30~40℃의 발열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발열에 의하여 생균제가 활성화되어 발효가 일어나게 된다.
여름에는 2일 정도, 겨울에는 1주일 정도 발효가 진행되면 안정화되어 사료 조성물의 상태를 1년 내지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의 혼합시 수분의 함량은 약 35%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소의 사육방법
본 발명의 소의 사육방법은,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갈대 10~50중량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유지박 5~30중량부,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비타민 0.1~0.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육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비육전기에 급여하는 단계; 및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갈대 10~50중량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유지박 5~30중량부,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육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비육후기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사료, 농후사료, 첨가제 각각에 대한 설명은 위의 사료 조성물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비육전기(6개월)는 입식~6개월의 기간으로, 이때 소의 중량은 일반적으로 375~580kg이다. 비육전기에는 본 발명의 비육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하루에 12~16kg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육전기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단백질 공급과 에너지원 공급이 균형을 이루어 등심단면적이 증대된다.
비육후기(6개월)는 입식 7~12개월의 기간으로, 이때 소의 중량은 일반적으로 580~690kg이다. 비육후기에는 본 발명의 비육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하루에 16~17kg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육후기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바이패스 단백질 함량의 증대로 적육 생산이 증대되고, 최고의 에너지 수준으로 육량과 육질이 향상된다.
입식 12개월 이후에도 비육후기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사육방법에 따라 사육한다.
3. 우육
본 발명의 소사료 조성물을 소에 급여하여 사육함으로써 오메가-3 함량이 높아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이 1:5 이하인 우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육은 감칠맛을 내는 글루탐산과 이노신산의 함량이 높고 육즙이 풍부하고 풍미가 우수하며 연하고 부드러우며, 근내지방도를 낮추는 스테아린산, 지방의 융점을 높이는 팔미트산 등의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낮고, 연도 및 다즙성을 높이고 지방의 융점을 낮추는 올레인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으므로, 우육(등심) 지방의 융점이 21.30℃로 일반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의 25.02℃보다 3.72℃나 낮다.
또한, 본 발명의 우육은 일반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에 비하여 1+ 등급 이상 출현율이 34% 이상 높고 C 등급의 출현율이 낮아져 육질등급이 향상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균제의 제조
파인애플쥬스 10㎏, 볏짚 10㎏, 천매암 10㎏, 도라지·더덕·황죽초를 각각 1:1:1로 혼합한 생약재 30kg, 옥수수엿밥 30㎏ 및 비타민 B 부산물 10㎏을 각각 30~35℃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배양된 각각의 원료를 혼합한 후 30~35℃에서 7일 동안 발효 숙성시켜 생균제를 얻었다.
<실시예 2>
소사료 조성물의 제조
1. 비육전기 및 육종용 소사료 조성물의 제조
갈대 19.68kg, 줄리프로라 4.38kg, 배아박 7.22kg, 피스타치오박 9.63kg, 팥빵박 7.88kg, 팜유박 2.19kg, 파인애플박 27.35kg, 캐슈너트박 2.19kg, 유지박 9.63kg, 천매암 1.31kg, 석회석 0.7kg, 유항 0.18kg, 비타민 0.44kg, 소금 0.22kg 및 생균제 7kg의 비율로 혼합하고 압축하여 수분을 조절한 후 기밀포장을 하였다.
2. 비육후기용 소사료 조성물의 제조
갈대 14.13kg, 줄리프로라 4.71kg, 배아박 7.76kg, 피스타치오박 10.35kg, 팥빵박 8.47kg, 팜유박 2.35kg, 파인애플박 29.41kg, 캐슈너트박 2.35kg, 유지박 10.35kg, 천매암 1.41kg, 석회석 0.75kg, 유항 0.19kg, 소금 0.24kg 및 생균제 7.53kg의 비율로 혼합하고 압축하여 수분을 조절한 후 기밀포장을 하였다.
<실시예 3>
한우의 사육
경남 산청군 소재 산청자연순환농업영농협동조합법인의 목장에서 1,000두의 한우에 실시예 2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비육전기(입식~6개월)에는 실시예 2의 비육전기 및 육종용 사료 조성물을 하루에 두당 12~16kg 급여하였으며, 비육후기(입식 7개월~12개월)는 실시예 2의 비육후기용 사료 조성물을 하루에 두당 16~17kg 급여하였다.
<실시예 4>
한우의 사육
충남 부여군 소재 더존영농조합법인의 목장에서 1,500두의 한우에 실시예 2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비육전기(입식~6개월)에는 실시예 2의 비육전기 및 육종용 사료 조성물을 하루에 두당 12~16kg 급여하였으며, 비육후기 및 그 이후(입식 7개월~24개월)에는 실시예 2의 비육후기용 사료 조성물을 하루에 두당 16~17kg 급여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비육전기 및 육종용 소사료 조성물의 지방산 성분을 한국단미사료협회 사료연구소에 의뢰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성분 단위 검정결과 검정방법
라우르산 C12:0 % 0.35 AOCS method
미리스트산 C14:0 % 2.86 AOCS method
미리스트올레산 C14:1 % 0.17 AOCS method
펜타데카노산 C15:0 % 0.28 AOCS method
시스-펜타데카노산 C15:1 % 0.15 AOCS method
팔미트산 C16:0 % 20.33 AOCS method
팔미트올레산 C16:1 % 7.52 AOCS method
마가르산 C17:0 % 0.35 AOCS method
마가올레산 C17:1 % 0.75 AOCS method
스테아르산 C18:0 % 6.20 AOCS method
올레산 C18:1 % 53.22 AOCS method
리놀레산 C18:2n6 % 0.23 AOCS method
감마 리놀렌산 C18:3n6 % 0.19 AOCS method
리놀렌산 C18:3n3 % 0.56 AOCS method
아라키드산 C20:0 % 0.35 AOCS method
에이코사트리에노산 C20:1 % 0.46 AOCS method
불명(unknown) % 6.02 AOCS method
성분 단위 검정결과 검정방법
오메가-3 지방산 % 0.56 AOCS method
오메가-6 지방산 % 0.42 AOCS method
포화지방산 % 30.71 AOCS method
불포화지방산 % 63.27 AOCS method
상기 표 1과 2의 결과에서, 포화지방산의 함량에 비해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현저히 높고,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은 0.56:0.42로 1:0.75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비육후기용 소사료 조성물의 지방산 성분을 한국단미사료협회 사료연구소에 의뢰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4에 나타내었다.
성분 단위 검정결과 검정방법
라우르산 C12:0 % 0.15 AOCS method
미리스트산 C14:0 % 4.28 AOCS method
미리스트올레산 C14:1 % 0.18 AOCS method
펜타데카노산 C15:0 % 0.34 AOCS method
시스-펜타데카노산 C15:1 % 0.14 AOCS method
팔미트산 C16:0 % 22.94 AOCS method
팔미트올레산 C16:1 % 7.20 AOCS method
마가르산 C17:0 % 0.37 AOCS method
마가올레산 C17:1 % 0.63 AOCS method
스테아르산 C18:0 % 7.30 AOCS method
올레산 C18:1 % 48.72 AOCS method
리놀레산 C18:2n6 % 0.26 AOCS method
감마 리놀렌산 C18:3n6 % 0.16 AOCS method
리놀렌산 C18:3n3 % 0.50 AOCS method
아라키드산 C20:0 % 0.35 AOCS method
에이코사트리에노산 C20:1 % 0.48 AOCS method
불명(unknown) % 6.01 AOCS method
성분 단위 검정결과 검정방법
오메가-3 지방산 % 0.50 AOCS method
오메가-6 지방산 % 0.42 AOCS method
포화지방산 % 35.72 AOCS method
불포화지방산 % 58.27 AOCS method
상기 표 3과 4의 결과에서, 포화지방산의 함량에 비해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현저히 높고,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은 0.50:0.42으로 1:0.84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3에서 사육한 후 도축한 한우에서 얻어진 우육 등심 시료 2가지를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에 2018.01.10.자로 성분분석을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지방산명 화학식 지방산조성 (g/100g 지방산)
시료 1 시료 2
포화
지방산
카프릴산 C8:0 0.04 0.04
카프르산 C10:0 0.07 0.04
라우르산 C12:0 0.08 0.07
미리스트산 C14:0 2.87 2.27
펜타데카논산 C15:0 0.11 0.09
팔미트산 C16:0 23.99 22.94
마가르산 C17:0 0.59 0.35
스테아르산 C18:0 14.63 8.41
아라키드산 C20:0 0.12 0.10
불포화
지방산
미리스트올레산 C14:0 0.85 0.98
펜타디세논산 C15:1 0.08 0.10
팔미트올레산 C16:1 3.22 5.66
마가올레산 C17:1 0.51 0.65
오레산 C18:1 47.71 54.33
리놀레산 C18:2n6 2.51 1.95
감마 리놀렌산 C18:3n6 0.07 0.10
리놀렌산 C18:3n3 0.53 0.50
스테아리돈산 C18:4n3 0.08 0.04
에이코세노산 C20:1n9 0.40 0.41
오메가-3 : 오메가-6 비율 1:4.23 1:3.80
상기 표 5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소의 우육에서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은 각각 1:4.23과 1:3.80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실시예 3에서 사육한 후 도축한 한우에서 얻어진 우육 시료 3가지를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에 2018.02.02.자(사료 3) 및 2018.02.12.자(사료 4와 5)로 성분분석을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지방산 화학식 지방산조성 (g/100g 지방산)
시료 3 시료 4 시료 5
포화
지방산
카프릴산 C8:0 0.01 0.01 0.01
카프르산 C10:0 0.07 0.06 0.08
라우르산 C12:0 0.16 0.14 0.12
미리스트산 C14:0 4.41 3.15 3.45
펜타데카논산 C15:0 0.32 0.28 0.28
팔미트산 C16:0 29.26 23.77 24.85
마가르산 C17:0 0.55 0.63 0.56
스테아르산 C18:0 13.71 9.29 11.14
아라키드산 C20:0 0.16 0.10 0.13
불포화
지방산
미리스트올레산 C14:1 1.14 1.39 1.02
펜타디세논산 C15:1 0.12 0.16 0.18
팔미트올레산 C16:1 3.21 5.47 3.85
마가올레산 C17:1 0.36 0.63 0.50
올레산 C18:1 42.05 49.38 48.30
리놀레산 C18:2n6 2.06 2.74 2.70
감마 리놀렌산 C18:3n6 0.15 0.10 0.12
리놀렌산 C18:3n3 0.46 0.56 0.50
스테아리돈산 C18:4n3 0.10 0.05 0.06
에이코세노산 C20:1n9 0.18 0.36 0.26
에이코사디에노산 C20:2n6 0.06 0.03 0.02
디호모 감마-리놀레산 C20:3n6 0.11 0.05 0.05
에이코사트리에노산 C20:3n3 0.10 0.12
아라키돈산 C20:4n6 0.10 0.12 0.21
오메가-3 : 오메가-6 비율 1:4.43 1:4.28 1:4.56
상기 표 6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소의 우육에서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은 각각 1:4.43, 1:4.28 및 1:4.56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실시예 3에서 사육한 후 도축한 한우에서 얻어진 우육 등심 시료의 이노신산과 글루탐산 함량 분석을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에 2018.04.04.자로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검사항목 단위 검사결과
이노신산나트륨 % 0.18
글루탐산 % 2.25
청산 불검출
상기 표 7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우육에서는 반추위 발효과정에서 감칠맛을 나타내는 성분인 이노신산 나트륨과 글루탐산의 발생이 일반한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6>
실시예 3에서 사육한 후 도축한 한우에서 얻어진 우육 시료들의 지방산 성분을 도축시마다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사육기간은 최소 6개월에서 최대 2년이었다.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날짜 오메가-6 오메가-3 비율 올레인산(%) 비고
2017.03.21 3.45 0.59 5.85 50.80
2018.04.12 3.70 0.86 4.30 55.03
2018.04.12 5.07 0.91 5.57 46.23
2018.04.12 4.03 0.93 4.33 48.25
2018.06.28 3.38 0.61 5.54 46.70 등심
2018.06.28 2.64 0.57 4.63 45.00 양지
2018.06.28 4.11 0.96 4.28 52.86 불고기
2018.07.27 2.46 0.72 3.42 46.75
2018.07.27 3.51 1.03 3.41 55.13
2018.07.27 4.08 0.63 6.48 47.77
2018.07.27 2.45 0.41 5.98 46.33
평균 4.73 49.17
상기 표 8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우육은 오메가-6와 오메가-3의 비율이 평균 4.73으로 일반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우육에 비하여 현저히 낮고 올레인산의 함량이 49.17%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7>
실시예 4에서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6개월 내지 2년 동안 사육한 후 도축한 한우에서 얻어진 우육 시료의 지방산 성분을 도축시마다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사육기간은 최소 6개월에서 최대 2년이었다.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다.
날짜 오메가-6 오메가-3 비율 올레인산(%) 비고
2016.08.12 2.38 0.78 3.05 50.04
2016.10.14 0.31 0.77 0.40 50.00
2016.10.14 0.33 0.62 0.53 50.28
2016.11.01 2.95 0.57 5.18 53.38
2016.11.01 2.86 0.49 5.84 53.65
2016.11.13 3.23 0.91 3.55 47.70 지방
2016.11.10 3.62 0.68 5.32 48.16 살코기+지방
2016.11.10 3.89 0.70 5.56 48.82 살코기
2016.11.10 3.12 0.75 4.16 48.71 지방
2016.11.10 3.29 0.65 5.06 49.94 살코기+지방
2016.11.10 3.53 0.57 6.19 51.73 살코기
2016.11.29 3.29 0.40 8.23 52.66
2016.11.29 4.31 0.63 6.84 46.17
2016.12.14 2.87 0.44 6.52 50.22
2016.12.14 3.06 0.61 5.02 51.10
2016.12.23 4.03 0.58 6.95 48.06
2016.12.23 4.71 0.42 11.21 53.91
2017.01.10 3.91 0.83 4.71 50.13
2017.01.10 1.95 0.53 3.68 48.63
2017.01.17 3.69 0.51 7.24 46.23
2017.01.17 3.68 0.51 7.22 49.12
2017.01.17 4.58 0.52 8.81 52.99
2017.02.02 2.82 0.39 7.23 43.00
2017.02.21 3.34 0.69 4.84 47.69
2017.02.21 3.41 0.54 6.31 46.70
2017.02.21 2.51 0.55 4.56 43.18
2017.02.21 2.41 0.51 4.73 44.00
2017.03.14 3.95 0.47 8.40 44.00
2017.03.14 3.93 0.52 7.56 45.00
2017.03.30 3.96 0.67 5.91 45.00
2017.03.30 2.38 0.36 6.61 47.41
2017.04.11 3.17 0.57 5.56 47.33
2017.04.11 3.01 0.46 6.54 56.70
2017.04.27 3.09 0.58 5.33 45.00
2017.04.27 2.62 0.52 5.04 49.34
2017.05.11 3.03 0.58 5.22 48.35
2017.06.20 2.00 0.31 6.45 43.00
2017.06.20 2.45 0.40 6.13 51.25
2017.07.14 0.42 0.50 0.84 48.72
2017.07.14 0.42 0.56 0.75 53.22
2017.08.01 0.45 0.58 0.78 53.00
2017.08.01 0.43 0.57 0.78 52.00
2018.01.10 2.05 0.54 3.80 54.33
2018.01.10 2.58 0.61 4.23 47.71
2018.02.02 2.48 0.56 4.43 48.00
2018.02.12 3.10 0.68 4.56 48.30
2018.02.12 3.04 0.71 4.28 49.38
평균 4.93 49.01
상기 표 9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우육은 오메가-6와 오메가-3의 비율이 평균 4.93으로 일반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우육에 비하여 현저히 낮고 올레인산의 함량이 49.01%로 높게 나타났다.

Claims (7)

  1. 비육전기용 및 육종용으로는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및 갈대 10~5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사료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및 유지박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농후사료와, 유황 0.1~0.5중량; 천매암 1~5중량부; 비타민 0.1~0.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비육후기용으로는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및 갈대 10~5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사료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및 유지박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농후사료와,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비육전기용 및 육종용'과 상기 '비육후기용'에서 생균제는 파인애플 8~13중량부, 볏짚 8~13중량부; 천매암 8~13중량부; 도라지·더덕·황죽초를 포함하는 생약재 20~42중량부; 옥수수 엿밥 20~42중량부; 비타민 B 부산물 8~13 중량부를 각각 30~35℃에서 2~5일간 배양한 후, 상기 배양된 원료들을 혼합하여 28~32℃에서 5~10일간 발효숙성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육전기용 및 육종용에서 첨가제는 유황, 천매암, 비타민, 소금 및 생균제를 혼합하고, 상기 비육후기용에서 첨가제는 유황, 천매암, 소금 및 생균제를 혼합한 후, 각각 20~35℃의 발효저장고에서 5일 이상 숙성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육전기용 및 육종용'과 상기 '비육후기용'에서 생균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바실러스 소노렌시스, 바실러스 코아굴란스, 바실러스 아밀롤리퀴파시엔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테트라티오박터 카시미렌시스,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오렉투스 및 패니바실러스 쿠키 중 5종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4.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및 갈대 10~5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사료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및 유지박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농후사료와,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비타민 0.1~0.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육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비육전기에 급여하는 단계; 및
    파인애플박 10~40중량부; 줄리플로라 2~30중량부 및 갈대 10~5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사료와, 배아박 5~30중량부; 피스타치오박 5~40중량부; 팜박 5~30중량부; 캐슈너트박 2~15중량부; 팥빵박 10~50중량부 및 유지박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농후사료와, 유황 0.1~0.5중량부; 천매암 1~5중량부; 소금 0.1~0.4중량부 및 생균제 5~30중량부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육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비육후기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육전기용 소사료 조성물'과 상기 '비육후기용 소사료 조성물'에서 생균제는, 파인애플 8~13중량부; 볏짚 8~13중량부; 천매암 8~13중량부; 도라지·더덕·황죽초를 포함하는 생약재 20~42중량부; 옥수수 엿밥 20~42중량부; 비타민 B 부산물 8~13 중량부를 각각 30~35℃에서 2~5일간 배양한 후, 상기 배양된 원료들을 혼합하여 28~32℃에서 5~10일간 발효숙성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의 사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육전기용에서 첨가제는 유황, 천매암, 비타민, 소금 및 생균제를 혼합하고, 상기 비육후기용에서 첨가제는 유황, 천매암, 소금 및 생균제를 혼합한 후, 각각 20~35℃의 발효저장고에서 5일 이상 숙성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의 사육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비육전기에는 상기 비육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12~16kg/일 급여하고, 비육후기에는 상기 비육후기용 소사료 조성물을 16~17kg/일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의 사육방법.
  7. 삭제
KR1020180114731A 2018-09-27 2018-09-27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KR101989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31A KR101989130B1 (ko) 2018-09-27 2018-09-27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31A KR101989130B1 (ko) 2018-09-27 2018-09-27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130B1 true KR101989130B1 (ko) 2019-09-30

Family

ID=6809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31A KR101989130B1 (ko) 2018-09-27 2018-09-27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377B1 (ko) * 2022-01-06 2022-04-26 지승용 오메가3 함유 한우육포 제조방법
KR20230069331A (ko) 2021-11-12 2023-05-19 농업회사법인 (주) 오가닉팜 오메가 밸런스 한우용 사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34B1 (ko) 2005-04-07 2007-11-09 한국이엠산업(주) 저콜레스테롤 육류를 생산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
KR101166313B1 (ko) * 2011-04-06 2012-07-17 박시내 오메가-6와 오메가-3 지방산의 비율이 조절된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사육방법
KR101288392B1 (ko) * 2011-06-01 2013-07-23 대한민국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의 육질개선 방법
KR101320048B1 (ko) 2012-04-03 2013-10-18 (주)천일휘드캄 육질 개선용 소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과 그 사료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우육
KR101357338B1 (ko) * 2012-04-03 2014-02-04 조명현 육질개선용 사슴사료 조성물 및 그 사료를 급여한 사슴으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사슴육과 녹용
KR101743663B1 (ko) * 2016-12-02 2017-06-20 농업회사법인 그린그래스 주식회사 임자박을 이용한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2824B1 (ko) * 2016-11-16 2017-08-29 박주철 육질개선용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사료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진 올레산 함량이 높은 우육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34B1 (ko) 2005-04-07 2007-11-09 한국이엠산업(주) 저콜레스테롤 육류를 생산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
KR101166313B1 (ko) * 2011-04-06 2012-07-17 박시내 오메가-6와 오메가-3 지방산의 비율이 조절된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사육방법
KR101288392B1 (ko) * 2011-06-01 2013-07-23 대한민국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의 육질개선 방법
KR101320048B1 (ko) 2012-04-03 2013-10-18 (주)천일휘드캄 육질 개선용 소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과 그 사료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우육
KR101357338B1 (ko) * 2012-04-03 2014-02-04 조명현 육질개선용 사슴사료 조성물 및 그 사료를 급여한 사슴으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사슴육과 녹용
KR101772824B1 (ko) * 2016-11-16 2017-08-29 박주철 육질개선용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사료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진 올레산 함량이 높은 우육
KR101743663B1 (ko) * 2016-12-02 2017-06-20 농업회사법인 그린그래스 주식회사 임자박을 이용한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31A (ko) 2021-11-12 2023-05-19 농업회사법인 (주) 오가닉팜 오메가 밸런스 한우용 사료 조성물
KR102391377B1 (ko) * 2022-01-06 2022-04-26 지승용 오메가3 함유 한우육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899B1 (ko)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염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높은 염소육
CN105475624B (zh) 微生物发酵饲料及其生产方法与应用
CN104396869B (zh) 一种山猪的饲养方法
CN106834163A (zh) 饲料发酵剂、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772824B1 (ko) 육질개선용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사료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진 올레산 함량이 높은 우육
KR101320048B1 (ko) 육질 개선용 소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과 그 사료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우육
CN103652489A (zh) 一种饲养育肥猪的饲料及饲养方法
CN102972638A (zh) 动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357338B1 (ko) 육질개선용 사슴사료 조성물 및 그 사료를 급여한 사슴으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사슴육과 녹용
KR102106623B1 (ko) 노령동물용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1207A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100876521B1 (ko) 혼합사료 발효용 생균제 및 이를 이용한 혼합사료의 발효방법
KR101989130B1 (ko)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KR101743663B1 (ko) 임자박을 이용한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89659B1 (ko) 육질개선용 염소사료 조성물 및 그 사료를 급여한 염소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염소육
KR100903865B1 (ko)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소사료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CN111183954A (zh) 肉牛育肥的饲喂方法
CN106359888A (zh) 一种天然健康的生物发酵饲料
KR100873778B1 (ko) 가축사료첨가제
CN108850613A (zh) 育肥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669295A (zh) 一种玉米饲料
Shanmuganathan et al. Supplemental enzymes, yeast culture and effective micro-organism cultur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rabbits fed diets containing high levels of rice bran
CN106260542A (zh) 一种泌乳母猪用中药微生物发酵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668915B (zh) 一种盐碱地畜禽养殖用发酵床垫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5053529A (zh) 一种适用罗非幼鱼的饲用豆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